맨위로가기

양양군 (조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양군은 중국의 옛 행정 구역으로, 207년 조조가 형주를 점령한 후 남군과 남양군의 일부 현을 분리하여 신설되었다. 위나라 형주에 속했으며, 서진 시기에는 8개 현을 관할했다. 영가의 난으로 혼란이 발생하자 옹주, 진주, 양주에서 온 피난민들이 이주해 동진 시대에는 옹주의 중심지가 되었다. 이후 남조, 북조, 수나라 시대를 거치며 양양군과 양주를 오갔으며, 수나라가 군현제를 폐지하면서 양주에 편입되었다가 수 양제 때 다시 양양군으로 개칭되어 11개 현을 관할했다.

2. 역사

207년(건안 13년), 형주를 점령한 조조남군 북쪽의 군현과 남양군 남쪽의 일부 현들을 분리하여 양양군을 신설했다. 위나라 형주에 속했다.[8] 208년 (후한 헌제 건안 13년)에 설치되었다고도 하고, 어환에 따르면 문제 때 설치되었다고도 한다.[1] 군 치소는 양양현에 두었다.

서진시기에는 8현 24,400호를 거느렸다.[8]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양양현襄陽縣샹양 시 샹청 구 양양고성
중로현中廬縣샹양 시 샹청 구 이가만 일대
기현邔縣샹양 시 이청 시 북
의성현宜城縣샹양 시 이청 시 정집진촉한 유비의 부장인 마량이 태어난 곳이었다.
임저현臨沮縣이창 시 위안안 현 북형산(荊山)이 현 동북쪽에 있다.
산도현山都縣샹양 시 구청 현 묘탄진 동남일대혜제때 신야군으로 이관되었다.
등성현鄧城縣|
유현|



진 때, 양양군은 8개 현을 관할했다.[2]

영가의 난으로 화북일대가 오호십육국의 혼란으로 황폐화되었을 때 옹주, 진주, 양주의 피난민들이 양양군일대로 이주했다.[9][10] 일시적으로 전진의 통치하에 있었으나 비수대전이후 전진이 급격히 무너지면서 동진이 수복했다. 효무제는 양양군과 남양군일대에 옹주를 신설했고 양양군은 옹주의 중심지가 되었다.[9][10]

유송대에는 3현 4,024호 16,496명을 거느렸다.[9][10] 남제 시기에는 양양, 중로, 기, 건창의 4개현을 관할했다.[3]

546년 (남조 양의 중대동 원년), 악양왕 소찰이 옹주 자사가 되어[4] 양양으로 부임했다. 549년 (대통 15년), 소찰이 서위에 항복했고, 554년 (공제 원년), 서위가 강릉을 평정하면서 양양은 서위의 영토가 되었고 양주로 전속되었다.[5]

서위 치하에서 양양군에 '''양주(襄州)'''와 총관부가 설치되었다. 이는 수나라의 중국통일 이후 유지되었다가 수 문제가 군현제를 실시하면서 양주를 양양군으로 개명하고 총관부를 폐지하면서 바뀌었다. 11현 99,577호를 거느렸다.[11]

또한 신안현(新安縣), 무창현(武昌縣), 무평현(武平縣), 안무현(安武縣), 건평현(建平縣)이 남남양군으로 분리되기도 했다.[11]

549년 (대통 15년), 소찰이 서위에 항복했다.[5] 554년 (공제 원년), 서위가 강릉을 평정하자, 소찰에게 강릉 일주의 땅이 주어졌고, 양양은 서위의 영토가 되었다.[5] 양양군은 양주로 전속되었다.

583년 (개황 3년), 수나라가 군제를 폐지하자, 양양군은 폐지되어 양주에 편입되었다. 607년 (대업 3년)에 주가 폐지되고 군이 설치되자, 양주가 양양군으로 개칭되었다. 양양군은 양양, 안양, 곡성, 상홍, 솔도, 한남, 음성, 의청, 남장, 상평, 약의 11개 현을 관할했다.[6]

양양군의 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양양현襄陽縣샹양 시 샹청 구 양양고성현내에 종산(鐘山), 현산(峴山), 봉림산(鳳林山)이 있었다.
안양현安養縣샹양 시 판청 구 번성(樊城)서위 때 하남군에 속했다. 북주시기 번성현(樊城縣)과 산도현(山都縣)이 통폐합되었고 문제시기 하남군이 폐지되자 양양군으로 내속되었다.
곡성현穀城縣샹양 시 구청 현북주 때 의성군(義城郡)이 폐지되자 양양군의 속군이 되었으며 흥국군(興國郡)이 폐지되어 본군에 내속되었다. 개황초 축양현(築陽縣)이 통폐합되었다. 598년(수 문제 개황 18년), 의성현(義城縣)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현내에 곡성산(穀城山)과 궐림산(闕林山)이 있었다.
상홍현上洪縣샹양 시 이청 시 안뇌촌(安垴村)남서위 때 동진시기 교치된 약양현이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또한 양나라 때 본현에 덕광군(德廣郡)이 설치되었는데, 개황초기 폐지되었다. 또한 서위 때 신야군이 위녕군(威寧郡)으로 개명되고 북주 때 폐지됨에 따라 신야군지역도 통폐합되었다. 현내에 아산(亞山)이 있었다.
솔도현率道縣샹양 시 이청 시 소하진(小河鎭) 동양나라 때 설치되었다.
한남현漢南縣샹양 시 이청 시 의성현고성본래 화산군(華山郡)이 있었는데, 서위 때 화산군 화산현이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고 군또한 폐지되어 의성군(宜城郡)의 속현이 되었다. 북주 때 진남군(秦南郡)이 통폐합되었고 무건군(武建郡)과 속현인 혜회현(惠懷縣), 석량현(石梁縣), 귀인현(歸仁縣), 언현(鄢縣)이 통폐합되었고 의성군 또한 무천(武泉)에 통폐합되었다. 현내에 석량산(石樑山)이 있었다.
음성현陰城縣샹양 시 라오허커우 시 소가하촌(蘇家河村)서위 때 찬성군(酂城郡)이 설치되었는데 북주 때 산도군(山都郡)과 함께 폐지되었다.
의청현義淸縣샹양 시 샹청 구 이집향(伊集鄕) 서남양나라 대 양현(穰縣)이란 이름으로 설치되었으나 서위 때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고 귀의군(歸義郡)에 속하게 되었다. 북주 때 군과 강좌현(江左縣), 개남현(開南縣), 귀인현(歸仁縣)이 통폐합되었다. 개황초기 무천군(武泉郡)이 본 현에 통폐합되었다. 현내에 사산(柤山), 영산(靈山), 단계수(檀溪水), 양수(襄水)가 있었다.
남장현南漳縣샹양 시 난장 현북주 때 남남양군이 저주(沮州)로 승격되었으나 얼마못가 폐지되었다. 현내에 형산(荊山)이 있었다.
상평현常平縣샹양 시 샹청 구 니저진(泥咀镇) 동서위 때 의안현(義安縣)이란 이름으로 설치되어 장호군에 속하게 되었지만 후에 현명이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고 개황초기 군이 폐지되었다.


2. 1. 후한~서진

207년(건안 13년), 형주를 점령한 조조남군 북쪽의 군현과 남양군 남쪽의 일부 현들을 분리하여 양양군을 신설했다. 위나라 형주에 속했다.[8] 208년 (후한 헌제 건안 13년)에 설치되었다고도 하고, 어환에 따르면 문제 때 설치되었다고도 한다.[1] 군 치소는 양양현에 두었다.

서진시기에는 8현 24,400호를 거느렸다.[8]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양양현襄陽縣샹양 시 샹청 구 양양고성
중로현中廬縣샹양 시 샹청 구 이가만 일대
기현邔縣샹양 시 이청 시 북
의성현宜城縣샹양 시 이청 시 정집진촉한 유비의 부장인 마량이 태어난 곳이었다.
임저현臨沮縣이창 시 위안안 현 북형산(荊山)이 현 동북쪽에 있다.
산도현山都縣샹양 시 구청 현 묘탄진 동남일대혜제때 신야군으로 이관되었다.
등성현鄧城縣|
유현|



진 때, 양양군은 8개 현을 관할했다.[2]

2. 2. 남조

영가의 난으로 화북일대가 오호십육국의 혼란으로 황폐화되었을 때 옹주, 진주, 양주의 피난민들이 양양군일대로 이주했다.[9][10] 일시적으로 전진의 통치하에 있었으나 비수대전이후 전진이 급격히 무너지면서 동진이 수복했다. 효무제는 양양군과 남양군일대에 옹주를 신설했고 양양군은 옹주의 중심지가 되었다.[9][10]

유송대에는 3현 4,024호 16,496명을 거느렸다.[9][10] 남제 시기에는 양양, 중로, 기, 건창의 4개현을 관할했다.[3]

546년 (남조 양의 중대동 원년), 악양왕 소찰이 옹주 자사가 되어[4] 양양으로 부임했다. 549년 (대통 15년), 소찰이 서위에 항복했고, 554년 (공제 원년), 서위가 강릉을 평정하면서 양양은 서위의 영토가 되었고 양주로 전속되었다.[5]

2. 3. 북조, 수

서위 치하에서 양양군에 '''양주(襄州)'''와 총관부가 설치되었다. 이는 수나라의 중국통일 이후 유지되었다가 수 문제가 군현제를 실시하면서 양주를 양양군으로 개명하고 총관부를 폐지하면서 바뀌었다. 11현 99,577호를 거느렸다.[11]

또한 신안현(新安縣), 무창현(武昌縣), 무평현(武平縣), 안무현(安武縣), 건평현(建平縣)이 남남양군으로 분리되기도 했다.[11]

549년 (대통 15년), 소찰이 서위에 항복했다.[5] 554년 (공제 원년), 서위가 강릉을 평정하자, 소찰에게 강릉 일주의 땅이 주어졌고, 양양은 서위의 영토가 되었다.[5] 양양군은 양주로 전속되었다.

583년 (개황 3년), 수나라가 군제를 폐지하자, 양양군은 폐지되어 양주에 편입되었다. 607년 (대업 3년)에 주가 폐지되고 군이 설치되자, 양주가 양양군으로 개칭되었다. 양양군은 양양, 안양, 곡성, 상홍, 솔도, 한남, 음성, 의청, 남장, 상평, 약의 11개 현을 관할했다.[6]

양양군의 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양양현襄陽縣샹양 시 샹청 구 양양고성현내에 종산(鐘山), 현산(峴山), 봉림산(鳳林山)이 있었다.
안양현安養縣샹양 시 판청 구 번성(樊城)서위 때 하남군에 속했다. 북주시기 번성현(樊城縣)과 산도현(山都縣)이 통폐합되었고 문제시기 하남군이 폐지되자 양양군으로 내속되었다.
곡성현穀城縣샹양 시 구청 현북주 때 의성군(義城郡)이 폐지되자 양양군의 속군이 되었으며 흥국군(興國郡)이 폐지되어 본군에 내속되었다. 개황초 축양현(築陽縣)이 통폐합되었다. 598년(수 문제 개황 18년), 의성현(義城縣)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현내에 곡성산(穀城山)과 궐림산(闕林山)이 있었다.
상홍현上洪縣샹양 시 이청 시 안뇌촌(安垴村)남서위 때 동진시기 교치된 약양현이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또한 양나라 때 본현에 덕광군(德廣郡)이 설치되었는데, 개황초기 폐지되었다. 또한 서위 때 신야군이 위녕군(威寧郡)으로 개명되고 북주 때 폐지됨에 따라 신야군지역도 통폐합되었다. 현내에 아산(亞山)이 있었다.
솔도현率道縣샹양 시 이청 시 소하진(小河鎭) 동양나라 때 설치되었다.
한남현漢南縣샹양 시 이청 시 의성현고성본래 화산군(華山郡)이 있었는데, 서위 때 화산군 화산현이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고 군또한 폐지되어 의성군(宜城郡)의 속현이 되었다. 북주 때 진남군(秦南郡)이 통폐합되었고 무건군(武建郡)과 속현인 혜회현(惠懷縣), 석량현(石梁縣), 귀인현(歸仁縣), 언현(鄢縣)이 통폐합되었고 의성군 또한 무천(武泉)에 통폐합되었다. 현내에 석량산(石樑山)이 있었다.
음성현陰城縣샹양 시 라오허커우 시 소가하촌(蘇家河村)서위 때 찬성군(酂城郡)이 설치되었는데 북주 때 산도군(山都郡)과 함께 폐지되었다.
의청현義淸縣샹양 시 샹청 구 이집향(伊集鄕) 서남양나라 대 양현(穰縣)이란 이름으로 설치되었으나 서위 때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고 귀의군(歸義郡)에 속하게 되었다. 북주 때 군과 강좌현(江左縣), 개남현(開南縣), 귀인현(歸仁縣)이 통폐합되었다. 개황초기 무천군(武泉郡)이 본 현에 통폐합되었다. 현내에 사산(柤山), 영산(靈山), 단계수(檀溪水), 양수(襄水)가 있었다.
남장현南漳縣샹양 시 난장 현북주 때 남남양군이 저주(沮州)로 승격되었으나 얼마못가 폐지되었다. 현내에 형산(荊山)이 있었다.
상평현常平縣샹양 시 샹청 구 니저진(泥咀镇) 동서위 때 의안현(義安縣)이란 이름으로 설치되어 장호군에 속하게 되었지만 후에 현명이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고 개황초기 군이 폐지되었다.


참조

[1] 서적 宋書
[2] 서적 晋書
[3] 서적 南斉書
[4] 서적 梁書
[5] 서적 周書
[6] 서적 隋書
[7] 서적 旧唐書
[8] 웹사이트 《진서》15권 지 제5 지리지 下 형주 양양군 https://zh.wikisourc[...]
[9] 웹사이트 《송서》37권 지 제27 주군지 3 옹주 양양군 https://zh.wikisourc[...]
[10] 웹사이트 《남제서》15권 지 제7 주군지 下 옹주 양양군 https://zh.wikisourc[...]
[11] 웹사이트 《수서》권30 지 제 26 지리 下 형주 남양군 https://zh.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