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날 (일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본의 어린이날은 5월 5일로, 예로부터 남자아이의 건강한 성장을 기원하는 단오의 풍습이 이어져왔다. 다이쇼 시대에 아동 애호 단체의 활동과 국민들의 요구로 '남자 어린이의 날'로 제정되었으나, 현재는 성별 구분 없이 어린이날로 기념된다. 어린이날에는 잉어 깃발인 코이노보리를 장식하고, 일본식 미니어처 갑옷과 가부토를 전시하며, 가시와모치와 치마키를 먹는 풍습이 있다. 1948년 '소년의 날'에서 남녀 모두를 아우르는 어린이날로 변경되었으며, 1949년에는 어린이날 우표가 발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5월 5일 - 어린이날 (대한민국)
대한민국 어린이날은 매년 5월 5일 아동의 행복과 권익 증진을 기념하는 공휴일로, 1922년 천도교소년회의 '어린이의 날' 가두 선전이 기원이며 일제강점기 탄압 후 광복 이후 부활, 아동복지법에 의해 공인되어 기념일과 공휴일로 지정되었고 대체휴일 제도가 적용된다. - 5월 5일 - 싱코 데 마요
싱코 데 마요는 1862년 5월 5일 멕시코군이 푸에블라 전투에서 프랑스군을 상대로 승리한 것을 기념하는 날로, 멕시코에서는 푸에블라 주를 중심으로 기념하며 미국에서는 멕시코 문화와 유산을 기념하는 축제로 발전했다. - 어린이날 - 국제 어린이날
- 어린이날 - 어린이날 (대한민국)
대한민국 어린이날은 매년 5월 5일 아동의 행복과 권익 증진을 기념하는 공휴일로, 1922년 천도교소년회의 '어린이의 날' 가두 선전이 기원이며 일제강점기 탄압 후 광복 이후 부활, 아동복지법에 의해 공인되어 기념일과 공휴일로 지정되었고 대체휴일 제도가 적용된다. - 일본의 공휴일 - 성년의 날
성년의 날은 매년 5월 셋째 주 월요일에 사회인으로서의 책임과 의무를 일깨우고 성인으로서의 자긍심을 부여하기 위해 기념하는 날로, 삼한시대부터 유래하여 조선시대의 관례와 계례를 거쳐 현대에는 여성가족부 주관 기념행사와 선물 문화로 이어진다. - 일본의 공휴일 - 국민의 휴일
국민의 휴일은 징검다리 연휴로 인한 국민 불편 해소를 위해 공휴일 사이에 낀 평일을 휴일로 지정하는 제도이며, 5월 4일에 주로 적용되었으나 법 개정으로 날짜가 특정되지는 않아 다양한 공휴일 조합에 따라 지정될 수 있다.
어린이날 (일본) | |
---|---|
기본 정보 | |
관련 기념일 | |
이미지 | |
![]() | |
다른 이름 | |
관찰 대상 | 일본 |
관찰 대상 | 일본 국민 |
기념일 | |
관련 기념일 | |
국경일 | |
1월 | 원단: 1월 1일 성인의 날: 1월 둘째 월요일 |
2월 | 건국기념일: 2월 11일 천황탄생일: 2월 23일 |
3월 | 춘분: 춘분일 |
4월 | 쇼와의 날: 4월 29일 |
5월 | 헌법기념일: 5월 3일 녹색의 날: 5월 4일 어린이날: 5월 5일 |
7월 | 바다의 날: 7월 셋째 월요일 |
8월 | 산의 날: 8월 11일 |
9월 | 경로의 날: 9월 셋째 월요일 추분: 추분일 |
10월 | 스포츠의 날: 10월 둘째 월요일 |
11월 | 문화의 날: 11월 3일 근로감사의 날: 11월 23일 |
기타 | 휴일 - 대체휴일 - 국민의 휴일 |
2. 한국의 어린이날
어린이날한국어은 대한민국에서는 어린이가 올바르고 슬기로우며 씩씩하게 자라도록 하고, 어린이에 대한 애호 사상을 앙양하기 위하여 지정된 날이다. 1961년 제정·공포된 아동복지법에서는 매년 5월 5일을 어린이날로 정하였으며, 1973년에는 기념일로 지정하였다가 1975년부터 공휴일로 지정하였다.
3. 일본의 어린이날
일본에서는 5월 5일 어린이날에 잉어 모양의 풍등인 고이노보리를 띄운다. 이는 잉어가 강을 거슬러 올라가 용이 된다는 중국 전설과 관련이 있으며, 나부끼는 풍등이 헤엄치는 물고기와 닮았기 때문이다.[10] 검은색 잉어는 아버지, 빨간색이나 분홍색은 어머니를 나타내며, 각 자녀마다 파란색, 녹색, 주황색 등 한 마리씩의 잉어를 띄운다. 전통적으로 단오를 남자아이의 날로 기념할 때는 붉은 고이노보리는 장남을, 파란색과 다른 색깔들은 남동생들을 상징했다.
현대 일본 가정에서는 어린이날에 '5월 인형'이라고 불리는 일본식 미니어처 갑옷과 가부토를 장식한다. 이 인형들은 대개 헤이안 시대(794~1185)와 가마쿠라 시대 (1185~1333)에 유행했던 오요로이 또는 도마루 스타일로 만들어지는데, 센고쿠 시대의 '도세이 구소쿠' 스타일 갑옷보다 더 화려하다. 아이 머리에 맞는 가부토도 있어 실제로 착용할 수도 있다. 정식 '5월 인형'은 계단식 선반에 유미(활), 타치(장검), 일본 부채, 징가사(사무라이 모자)와 함께 전시된다.[2][3]
에도 시대까지는 미니어처 갑옷과 가부토보다 사무라이 인형이 더 흔했고, 모모타로, 킨타로, 우시와카마루, 벤케이, 진무 천황, 쇼키 등 일본 민속 영웅이 종종 소재로 선택되었다.[2][3]
카시와모치(팥소를 넣고 떡갈나무 잎으로 싼 찹쌀떡)와 치마키(붓꽃이나 대나무 잎으로 싼 찹쌀떡)는 전통적으로 이 날 먹는 음식이다.[9][11] 카시와모치에 사용되는 떡갈나무 잎은 새 잎이 나올 때까지 헌 잎이 떨어지지 않아 자손 번영을 상징하는 것으로 여겨진다.[2]
붓꽃은 약효가 있고 악귀를 물리친다고 믿어져 5월 5일에 욕조에 붓꽃을 넣고 목욕을 하거나, 얇게 썬 붓꽃 뿌리나 잎을 사케에 담가 마시거나, 얇은 와시(일본 전통 종이)에 붓꽃을 넣어 베개 속에 넣고 잠자리에 드는 등 다양하게 사용되었다.[2][3][6]
3. 1. 역사
5월 5일은 예부터 단오로, 남성의 건강한 성장을 기원하는 행사가 열리고 있었다. 다이쇼 시대에는 "아동 애호의 날"로 활동하던 단체가 있었고, 국회에 어린이날을 공휴일로 제정하라고 민원이 많았기 때문에 5월 5일을 '남자 어린이의 날'로 제정하였다. 이 날은 공휴일인데, 3월 3일인 히나마쓰리의 날(여자 어린이의 날)은 공휴일이 아니라며 성차별로 보는 견해가 있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남녀 구별없이 경축일이라는 이미지가 강해져서, 이에 대한 비판은 볼 수 없게 된다.
이 날은 원래 단오|단오노셋쿠일본어—황실에서 열린 5대 연례 행사 중 하나—로 불렸으며, 음력 5월 5일에 기념되었다.
단오절은 원래 여성들이 붓꽃으로 지붕을 이어 엮어 집을 정화하고(붓꽃은 악령을 물리치는 데 효과적이라고 믿었다), 여성들이 몸을 쉬는 날이었지만, 가마쿠라 시대(1185~1333)에 무사 계급이 정권을 장악하면서 소년들을 위한 날로 바뀌었다. 그 이유는 붓꽃 잎이 일본도의 날과 모양이 같아 무사를 상징하는 식물이었고, "무예를 중시하다"라는 뜻의 '쇼부'(尚武)라는 단어가 붓꽃(菖蒲)과 발음이 같아 무사들에게 길조의 식물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이 시대부터 5월 5일에는 악령을 쫓는 방법으로 '유부사메'(일본의 기마 궁술)가 행해졌다.[2][3][4][5][6]
어린이날에 전시하는 소형 일본 갑옷과 '가부토'(투구)를 '고가츠 닝교'(5월 인형)라고 하며, 이 풍습은 가마쿠라 시대부터 무로마치 시대(1333~1573)에 그 기원을 두고 있다. 무사들은 장마철 이전인 5월에 갑옷, 가부토, 일본도를 보관함에서 꺼내 관리했다. 이 시기가 단오절이었기 때문에 자녀를 보호하기 위해 갑옷, 가부토, 일본도를 전시하기 시작했다.[2][3]
에도 시대(1603~1867)에는 단오절 축하 행사가 화려해졌고, 무사 가정에서는 실제 갑옷, 가부토, 일본도 외에 무사 인형(''무샤 닝교'', 武者人形)을 전시하기 시작했다. 일반 가정에서는 종이 가부토를 전시하기 시작했다. 5월 5일에 붓꽃으로 목욕하는 풍습도 이 시대에 시작되었다.[2][3]
어린이날에 '고이노보리'(잉어 깃발)를 장식하는 풍습은 에도 시대(1603~1867)에 유래했다. 에도 시대에는 무사 가정에서 단오절에 군사 부대를 나타내는 문장(몬 (家紋))으로 색칠된 '노보리' 또는 '후키누케'(吹貫) 깃발을 마당에 장식하기 시작했다. 그 후 노보리와 후키누케가 합쳐져 최초의 고이노보리가 에도(현재 도쿄)에 등장했다.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화려한 고이노보리는 메이지 시대(1868~1912)부터 유행하기 시작했다.[2][3]
일본이 그레고리력으로 바꾼 후, 날짜는 5월 5일로 변경되었다.[7] 1948년까지 어린이날은 '''소년의 날'''(또는 '''깃발 축제''')로 알려져 있으며, 3월 3일의 히나마쓰리 즉 "여자의 날"과 대응하여 소년을 기념하고 아버지를 기리는 날이었다. 1948년에는 남녀 아이 모두를 포함하고 아버지뿐 아니라 어머니와 가족의 화합이라는 의미를 담아 어린이날로 이름이 바뀌었다.[8][9]
쇼와 시대(1926~1989)에는 무사 인형에서 소형 갑옷으로 인기가 바뀌었고, 21세기 이후로는 일본 주택의 크기 때문인지 소형 가부토가 인기를 얻고 있다.[2][3]
연합국군 점령하의 1948년 2월, 참의원 의원인 김자 히로후미(金子洋文)와 미시마 미치하루(三島通陽)이 국회에서 어린이날에 대해 논의했다.[13][14] 전문 조사원 무토 토시오(武藤智雄)가 5월 5일을 어린이날로 하는 청원을 소개했다.[15] 같은 해 6월 8일, 중의원 의원 마쓰자와 케닌토(松澤兼人)은 고베시(神戸市) 내 아동 약 2만 7천 명의 서명을 받은 "어린이날" 제정 청원을 소개했다.[16]
3. 2. 주요 풍습
고이노보리는 에도 시대(1603~1867)에 유래한 풍습으로, 잉어 모양의 깃발을 달아 아이의 성공과 출세를 기원한다.[2][3] 에도 시대 무사 가정에서 단오에 군사 부대를 나타내는 문장(몬)으로 색칠된 '노보리' 또는 '후키누케'(吹貫) 깃발을 마당에 장식하던 것에서 유래했다. 노보리와 후키누케가 합쳐져 최초의 고이노보리가 에도(현재 도쿄)에 등장했고, 오늘날과 같은 화려한 고이노보리는 메이지 시대(1868~1912)부터 유행하기 시작했다.[2][3] 잉어가 강을 거슬러 올라가면 용이 되어 하늘로 승천한다는 중국 전설과 관련이 있으며,[10] 검은색 잉어는 아버지, 빨간색이나 분홍색은 어머니, 파란색, 녹색, 주황색 등 다양한 색깔의 잉어를 각 자녀를 상징하여 띄운다.[10]
5월 인형(五月人形, 고가쓰 닝교)은 일본 갑옷과 가부토(투구)를 작게 만들어 전시하는 것으로, 가마쿠라 시대부터 무로마치 시대(1333~1573)에 그 기원을 두고 있다.[2][3] 무사들이 장마철 이전인 5월에 갑옷, 가부토, 일본도를 보관함에서 꺼내 관리하던 시기가 단오절이었기 때문에 자녀를 보호하기 위해 이를 전시하기 시작했다.[2][3] 쇼와 시대(1926~1989)에는 무사 인형에서 소형 갑옷으로 인기가 바뀌었고, 21세기 이후로는 일본 주택의 크기 때문인지 소형 가부토가 인기를 얻고 있다.[2][3] 현대에는 '5월 인형'이라고 불리는 일본식 미니어처 갑옷과 가부토를 장식하며, 이 인형들은 대개 헤이안 시대(794~1185)와 가마쿠라 시대 (1185~1333)에 유행했던 오요로이 또는 도마루 스타일로 만들어진다.[2][3]
가시와모치(팥소를 넣고 떡갈나무 잎으로 싼 찹쌀떡)와 지마키(붓꽃이나 대나무 잎으로 싼 찹쌀떡)는 전통적으로 이 날 먹는 음식이다.[9][11] 가시와모치에 사용되는 떡갈나무 잎은 새 잎이 나올 때까지 헌 잎이 떨어지지 않는 나무로 알려져 있으며, 자손의 번영을 상징한다.[2]
쇼부유(菖蒲湯)는 창포물에 목욕하며 액운을 쫓고 건강을 기원하는 풍습이다. 붓꽃은 약효가 있고 악귀를 물리친다고 믿어져 5월 5일에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다.[2][3][6]
3. 3. 제정 과정
5월 5일은 예부터 단오로, 남성의 건강한 성장을 기원하는 행사가 열리고 있었다. 다이쇼 시대에는 "아동 애호의 날"로 활동하던 단체가 있었고, 국회에 어린이날을 공휴일로 제정하라는 민원이 많았기 때문에 5월 5일을 '남자 어린이의 날'로 제정하였다. 이 날은 공휴일이었으나, 3월 3일인 히나마쓰리의 날(여자 어린이의 날)은 공휴일이 아니어서 성차별이라는 견해가 있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남녀 구별없이 경축일이라는 이미지가 강해져서, 이러한 비판은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일본이 그레고리력으로 바꾼 후, 날짜는 5월 5일로 변경되었다.[7] 1948년까지 어린이날은 '''소년의 날'''(또는 '''깃발 축제''')로 알려져 있으며, 3월 3일 히나마쓰리 즉 "여자의 날"과 대응하여 소년을 기념하고 아버지를 기리는 날이었다. 1948년에 남녀 아이 모두를 포함하고 아버지뿐 아니라 어머니와 가족의 화합이라는 의미를 담아 어린이날로 이름이 바뀌었다.[8][9]
연합국군 점령하의 1948년 2월, 참의원 의원인 김자 히로후미(金子洋文)와 미시마 미치하루(三島通陽)이 국회에서 어린이날에 대해 논의했다.[13][14] 전문 조사원 무토 토시오(武藤智雄)가 5월 5일을 어린이날로 하는 청원을 소개했다.[15] 같은 해 6월 8일, 중의원 의원 마츠자와 케닌토(松澤兼人)은 고베시 내 아동 약 2만 7천 명의 서명을 받은 "어린이날" 제정 청원을 소개했다.[16]
제정 후 첫 번째 어린이날인 1949년 5월 5일에 어린이날 우표가 발행되었다.
4. 한일 어린이날 문화 비교
한국과 일본의 어린이날은 어린이를 위한 날이라는 공통점을 갖지만, 역사적 배경과 풍습에서 차이를 보인다. 한국은 1919년 3·1 운동 이후 어린이 인권 운동에서 비롯된 반면, 일본은 무사 문화와 관련된 단오에서 유래했다.
일본의 단오는 원래 여성들이 붓꽃으로 지붕을 엮어 집을 정화하고 몸을 쉬는 날이었지만, 가마쿠라 시대(1185~1333)에 무사 계급이 정권을 장악하면서 소년들을 위한 날로 바뀌었다. 붓꽃 잎이 일본도의 날과 모양이 같아 무사를 상징하는 식물이었고, "무예를 중시하다"라는 뜻의 '쇼부'(尚武)라는 단어가 붓꽃(菖蒲)과 발음이 같아 무사들에게 길조의 식물로 여겨졌기 때문이다.[2][3][4][5][6]
에도 시대(1603~1867)에는 단오절 축하 행사가 화려해졌고, 무사 가정에서는 실제 갑옷, 가부토, 일본도 외에 무사 인형(''무샤 닝교'', 武者人形)을 전시하기 시작했다. 일반 가정에서는 종이 가부토를 전시했다. 5월 5일에 붓꽃으로 목욕하는 풍습도 이 시대에 시작되었다.[2][3]
어린이날에 '고이노보리'(잉어 깃발)를 장식하는 풍습은 에도 시대에 유래했다. 에도 시대에는 무사 가정에서 단오절에 군사 부대를 나타내는 문장(몬 (家紋))으로 색칠된 '노보리' 또는 '후키누케'(吹貫) 깃발을 마당에 장식하기 시작했다. 그 후 노보리와 후키누케가 합쳐져 최초의 고이노보리가 에도(현재 도쿄)에 등장했다.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화려한 고이노보리는 메이지 시대(1868~1912)부터 유행하기 시작했다.[2][3]
1948년, 일본 정부는 5월 5일을 남녀 어린이 모두를 위한 날로 지정하고, '어린이날'로 이름을 바꾸면서 아버지뿐 아니라 어머니와 가족의 화합이라는 의미를 담았다.[8][9]
이러한 역사적 배경의 차이로 인해, 한국은 가족 단위 행사와 놀이 중심인 반면, 일본은 고이노보리, 5월 인형 등 전통적인 상징물을 활용한 행사가 많다.
현대 일본에서는 어린이날에 '5월 인형'이라고 불리는 일본식 미니어처 갑옷과 가부토를 장식한다.[2][3] 카시와모치(팥소를 넣고 떡갈나무 잎으로 싼 찹쌀떡)와 치마키(붓꽃이나 대나무 잎으로 싼 찹쌀떡)는 전통적으로 이 날 먹는 음식이다.[9][11]
양국 모두 어린이에 대한 사랑과 건강, 행복을 기원한다는 공통된 목적을 가지고 있다.
참조
[1]
서적
Encyclopedia of Japan: Japanese History and Culture, from Abacus to Zori
https://archive.org/[...]
Facts on File
2018-05-03
[2]
웹사이트
https://www.touken-w[...]
Nagoya Japanese Sword Museum Nagoya Touken World
2023-02-04
[3]
웹사이트
https://www.touken-w[...]
Nagoya Japanese Sword Museum Nagoya Touken World
2023-02-04
[4]
웹사이트
https://www.dwc.dosh[...]
Doshisha Women's College of Liberal Arts
2018-04-18
[5]
웹사이트
https://www.townnews[...]
Town news-Sha Co., LTD.
2020-02-14
[6]
웹사이트
https://www.gekkeika[...]
Gekkeikan
2023-02-06
[7]
서적
Jap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8]
웹사이트
Kid's Corner: Children's Day
https://www.ny.us.em[...]
Consulate General of Japan in New York
2019-05-05
[9]
웹사이트
Kodomo no hi: Children's Day Celebration
http://aboutjapan.ja[...]
Japan Society
2018-05-03
[10]
웹사이트
端午の節句と5月人形
https://web.archive.[...]
Japanese Doll Association
2014-05-07
[11]
뉴스
For Children's Day, Sweets, Of Course
https://www.nytimes.[...]
1991-05-01
[12]
웹사이트
昭和二十三年法律第百七十八号 国民の祝日に関する法律
https://laws.e-gov.g[...]
디지털청
2024-05-05
[13]
웹사이트
第2回国会 参議院 文化委員打合会 第1号 昭和23年2月2日
https://kokkai.ndl.g[...]
국립국회도서관
1948-02-02
[14]
웹사이트
第2回国会 参議院 文化委員会 第2号 昭和23年2月6日
https://kokkai.ndl.g[...]
국립국회도서관
1948-02-06
[15]
웹사이트
第2回国会 衆議院 文化委員会 第5号 昭和23年4月13日
https://kokkai.ndl.g[...]
국립국회도서관
1948-04-13
[16]
웹사이트
第2回国会 衆議院 文化委員会 第9号 昭和23年6月8日
https://kokkai.ndl.g[...]
국립국회도서관
1948-06-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