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이노보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이노보리는 일본의 전통적인 어린이날(고도모노 히) 축제에 사용되는 잉어 모양의 깃발이다. 18세기부터 사용되었으며, 에도 시대에는 사무라이 가문에서 단오에 깃발을 장식하는 풍습에서 유래했다. 용문 신화에서 잉어가 용이 되는 상징성을 담아 아이들의 건강과 성공을 기원하는 의미를 지닌다. 현재는 가족 구성원을 상징하는 다양한 색상과 크기의 고이노보리가 사용되며, 5월 5일 어린이날에 맞춰 집 밖이나 강가에 설치하는 행사가 전국적으로 열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단오절 - 창포
창포는 습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특유의 향을 지니며, 단오 풍습 및 약재 등으로 사용되지만 독성 성분으로 인해 사용에 주의가 필요하고, 염색체 수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뉘어 분류학적 논쟁이 있다. - 단오절 - 그네
그네는 매달린 좌석을 앞뒤로 흔들며 타는 놀이기구로, 진자의 원리를 이용하며, 동아시아에서 유래하여 전신 협응력과 균형 감각 발달에 도움을 주고 문화 예술 작품의 소재로 사용되기도 한다. - 일본의 연중행사 - 모치바나
모치바나는 풍요와 다산, 가정의 평안을 기원하며 떡을 나뭇가지에 꽂아 만든 일본의 장식으로, 각 지역에서 다양한 형태와 이름으로 전해져 오고 특별한 날에 사용되며 현대에는 장식용이나 선물용으로도 활용된다. - 일본의 연중행사 - 쓰키미
쓰키미는 일본의 추석 풍습으로, 음력 8월 15일에 달을 감상하며 억새, 쓰키미 당고, 제철 음식 등을 바치고 풍성한 수확을 기원하는 행사이며, 헤이안 시대에 중국 중추절의 영향을 받아 시작되어 오늘날에는 가을 달을 즐기는 다양한 방식으로 변화하며 일본 문화 전반에 나타나고 있다. - 일본의 축제 - 칠석
칠석은 견우와 직녀 설화에서 비롯된 동아시아의 전통 명절로, 음력 7월 7일에 한국에서는 바느질 솜씨를 빌고 음식을 먹는 풍습이 있었으며, 일본에서는 다나바타 축제로 소원을 적어 대나무에 매달고, 중국에서는 치차오제 또는 연인의 날로 기념한다. - 일본의 축제 - 히나마쓰리
히나마쓰리는 매년 3월 3일에 일본에서 여자아이의 건강과 행복을 기원하며 히나 인형을 장식하고 특별한 음식을 먹는 축제로, 모모노세쿠라고도 불리며 히나카자리가 중심이 되고 나가시비나, 쓰루시비나 등 지역적 풍습도 존재하며 현대 일본 문화의 중요한 부분이다.
고이노보리 | |
---|---|
기본 정보 | |
![]() | |
종류 | 장식 |
문화권 | 일본 |
관련 기념일 | 어린이날 (단오) |
다른 이름 | 고이노보리 (鯉幟, 皐幟) |
상세 정보 | |
의미 | 어린이의 건강과 성공 기원 |
재료 | 종이 천 부직포 |
형태 | 잉어 모양의 깃발 |
색상 | 검은색 붉은색 파란색 초록색 보라색 등 |
역사 | |
유래 | 에도 시대 때 무사 계급에서 시작, 잉어가 황하의 급류를 거슬러 올라 용이 된다는 전설에서 유래 |
현대 | 메이지 시대 이후 일본 전역으로 확산, 남자아이의 건강과 입신양명을 기원하는 풍습으로 자리 잡음 |
문화적 의미 | |
상징 | 검은색 잉어: 아버지 붉은색 잉어: 어머니 파란색, 초록색, 보라색 잉어: 자녀 |
설치 시기 | 어린이날을 전후로 하여 설치 |
설치 장소 | 집, 정원, 공공장소 등 |
관련 용어 | |
후키나가시 (吹き流し) | 고이노보리와 함께 장식되는 오색 바람개비 |
고가사키 (鯉幟掲揚塔) | 고이노보리를 높이 매달기 위한 장대 |
2. 역사
thumb일본어, 후키누케일본어. 1867년 런던 출판]]
고이노보리일본어는 18세기 에도 시대 (1603–1867)에 사무라이 가문이 단오일본어에 노보리일본어 또는 후키누케일본어 깃발로 마당을 장식하면서 시작되었다. 이 깃발들은 문장일본어(가문 문장)으로 군대를 나타냈다. 이후 노보리일본어와 후키누케일본어가 합쳐져 최초의 고이노보리일본어가 에도 (현재 도쿄)에서 등장했다. 오늘날과 같이 화려한 고이노보리일본어는 메이지 시대 (1868–1912)에 인기를 얻었다.[5][6]
잉어는 용기와 결단력을 상징하며, 아이들이 건강하게 자라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고 있다.[8][9] 이는 후한 말기에 전해지는 용문 설화, 즉 황금 잉어가 황하 끝자락의 폭포를 거슬러 올라가 용이 되었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한다.[10][11]
단오 (일본)|단오일본어와 관련된 전통에는 연날리기, 연싸움, 사무라이 인형 및 소형 일본 갑옷과 가부토일본어 전시, 붓꽃 목욕, 카시와모치와 쇼부슈일본어 섭취 등이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어린 소년들이 행운을 빌기 위해 고이노보리일본어를 기어 다니기도 한다.[7][5][6] 또한, 어린이날에는 친척, 부모, 선생님께 감사와 존경을 표한다.[12]
2. 1. 기원과 발전
고이노보리일본어는 18세기부터 사용되었다. 에도 시대 (1603–1867) 동안 사무라이 가문은 단오에 노보리일본어 또는 후키누케일본어 깃발로 마당을 장식하기 시작했는데, 이는 문장일본어(가문 문장)으로 군대를 나타냈다.[5][6] 노보리일본어와 후키누케일본어는 이후 합쳐졌고, 최초의 고이노보리일본어가 에도 (현재 도쿄)에서 등장했다. 오늘날 알려진 화려한 고이노보리일본어는 메이지 시대 (1868–1912)에 인기를 얻었다.[5][6]
원래는 사무라이 가문에서만 사용되었지만, 결국 일반 대중에게까지 퍼졌다. 전통적으로 일본 남자 어린이날의 일부로 날렸으며, 아들마다 잉어 한 마리가 달려 있었고, 여자아이들은 히나마쓰리일본어 '인형의 날'을 가졌다. 그러나 1948년 5월 5일이 어린이날로 재지정된 후, 일부 가족은 성별에 관계없이 모든 자녀를 위해 잉어를 날리기 시작했다.[12][7][8]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이노보리일본어와 남자아이 사이의 연관성은 여전히 남아 있으며, 많은 가족이 딸을 위해 날리지 않는다. 거슬러 헤엄치는 능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잉어는 용기와 결단력, 그리고 아이들이 건강하게 자라기를 바라는 마음을 나타낸다.[8][9] 이러한 상징성은 후한 말기에 전해지는 용문 신화에 경의를 표하는 것으로, 황금 잉어가 황하 끝자락의 폭포를 거슬러 헤엄쳐 올라가 용이 되었다는 이야기이다.[10][11]
막대기에 포함된 고이노보리일본어의 수와 색상의 다양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 많은 가족 구성원을 수용하기 위해 증가했다. 원래는 종이나 천과 같은 재료를 손으로 칠해서 만들었지만, 일부 농촌 지역을 제외하고는 거의 완전히 합성 재료로 대체되었다.[9] 비단과 종이 모형도 여전히 판매되지만, 합성 재료보다 가격이 더 높다.[8]
초기 고이노보리는 마고이(검은 잉어)였지만, 이윽고 마고이와 히고이(빨간 잉어)의 두 색이 되었고, 게다가 아오고이(파란 잉어)도 더해져 가족을 나타내게 되었다.[15] 다만 과도적으로 검은색과 파란색만 조합된 경우도 있었다. 또한, 마고이에 붉은 알몸의 남자아이가 매달려 있는 무늬가 있는데, 이는 킨타로로 보이며 킨타로가 자신보다 큰 잉어를 잡은 전설을 바탕으로 한 것으로 보인다.
최근에는 녹색이나 주황색, 보라색, 분홍색과 같이 더 화려한 색의 자고이(어린 잉어)도 널리 보급되어 있으며, 어떤 곳에서는 여자아이를 포함한 가족 전체의 잉어를 올리는 집도 있다. 난색 계열의 자고이 증가가 이러한 수요에 부응한 것으로 보인다. 다채로운 자고이는 1964년 도쿄 올림픽 즈음에 한 고이노보리 장인이 오륜의 색을 힌트로 생각해 냈다고 한다.
장대 끝에 회전 구슬이나 가고다마일본어, 그 아래에 야구루마일본어를 달고, 후키나가시를 맨 위에 두고 이하 마고이, 히고이, 아오고이 순으로 크기 순서대로 늘어뜨려 올리는 것이 일반적이다.[15] 후키나가시일본어는 원래 오색의 '오색 후키나가시일본어'였지만, 후에 채운(彩雲)이나 상서로운 징조, 비룡, 잉어 등을 그린 '무늬 후키나가시일본어'도 등장했다.[15]
메이지 시대 이전에는 와시로 만들어진 것이 대부분이었다.[15] 메이지 후반에 면(綿)제, 쇼와 30년대에 합성 섬유제로 바뀌었다.[15] 그러나 저출산과 주택 사정의 변화 (정원이 있는 단독 주택의 감소와 맨션 등 공동 주택의 증가) 거기에 세시 풍속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로 인해, 민가의 정원에 고이노보리가 걸려 있는 모습을 보는 것은 줄어들고 있으며, 베란다나 현관 옆, 실내에 장식하는 소형 고이노보리가 늘고 있다.[15] 실내에 두는 것은 잉어 장식이라고 불리는 경우가 있다.
세시 풍속은 헤이안 시대부터 시작되었다고 하지만, 원래 무가에서는 단오의 절기를 맞아 현관에 깃발이나 기꽂이를 장식하는 풍습이 있었다.[15] 단오의 절기에는 액막이로 창포를 사용하기 때문에, 별명 '창포의 절기'라고 불리며, 무가에서는 창포와 '숭무'를 결부시켜 사내아이의 입신출세·무운장구를 기원하는 연중 행사로 자리 잡았다.
에도 시대 중기에 상인들이 이 풍습을 따르게 되었다.[15] 한 마을 사람이 깃발의 장대 머리에 있는 오기시로일본어라고 불리는 작은 깃발 같은 것을 중국의 등용문 고사에서 잉어를 본뜬 것으로 바꿔 게양한 것이 퍼져나가면서 차츰 대형화된 것이 고이노보리일본어(잉어 깃발)가 되었다고 한다.[15]
일화로, 무사의 집에서 단오의 절기에 깃발을 장식하여 축하하는 것을 본 마을 사람의 아이가 같은 것을 갖고 싶다고 아버지에게 졸랐지만, 신분 제도의 문제로 마을 사람이 흉내낼 수 없어 곤란해하던 중, 아카오기 류와일본어라는 무사가 염색업자에게 잉어 그림을 염색하게 하여, 그것을 후키나가시일본어(불어 흐르는 깃발, 유선형 깃발) 형태로 만들어서 마을 사람의 아이에게 준 것이 유래라고도 한다.[20]
"에도일본어っ子は皐月の鯉の吹流し(에도 아이는 5월의 잉어 깃발)"라고 불리는 것처럼, 고이노보리일본어는 "노보리(깃발)"라고 명명되어 있지만, 형태는 물고기를 본뜬 후키나가시일본어(불어 흐르는 깃발, 유선형 깃발) 형태이다.
이것은 주로 에도를 포함한 간토 지방의 풍습으로, 당시 간사이(가미가타)에는 없는 풍습이었다. 덴포 9년(1838년)의 『동도세시기』에는 "출세의 물고기라는 속담에 따라" 잉어를 깃발(노보리)에 장식하는 것은 "동도의 풍속이라고 한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2. 2. 상징의 변화
고이노보리일본어는 18세기부터 사용되었다. 에도 시대 (1603–1867) 동안 사무라이 가문은 단오의 날일본어에 노보리일본어 또는 깃발로 마당을 장식하기 시작했는데, 이는 문장일본어(가문 문장)으로 군대를 나타내며 사용되었다. 노보리일본어와 후키누케일본어는 이후 합쳐졌고, 최초의 고이노보리일본어가 에도 (현재 도쿄)에서 등장했다. 오늘날 알려진 화려한 고이노보리일본어는 메이지 시대 (1868–1912)에 인기를 얻었다.[5][6]원래는 사무라이 가문에서만 사용되었지만, 결국 일반 대중에게까지 퍼졌다. 전통적으로 일본 남자 어린이날의 일부로 날렸으며, 아들마다 잉어 한 마리가 달려 있었고, 여자아이들은 이 관습의 상대적인 것으로 히나마쓰리일본어 '인형의 날'을 가졌다. 그러나 1948년 5월 5일이 어린이날로 재지정된 후, 일부 가족은 성별에 관계없이 모든 자녀를 위해 잉어를 날리기 시작했다.[12][7][8]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이노보리일본어와 남자아이 사이의 연관성은 여전히 남아 있으며, 많은 가족이 딸을 위해 날리지 않는다. 거슬러 헤엄치는 능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잉어는 용기와 결단력, 그리고 아이들이 건강하게 자라기를 바라는 마음을 나타낸다.[8][9] 이러한 상징성은 후한 말기에 전해지는 용문 신화에 경의를 표하는 것으로, 황금 잉어가 황하 끝자락의 폭포를 거슬러 헤엄쳐 올라가 용이 되었다는 이야기이다.[10][11]
막대기에 포함된 고이노보리일본어의 수와 색상의 다양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 많은 가족 구성원을 수용하기 위해 증가했다. 원래는 종이나 천과 같은 재료를 손으로 칠해서 만들었지만, 일부 농촌 지역을 제외하고는 거의 완전히 합성 재료로 대체되었다.[9] 비단과 종이 모형도 여전히 판매되지만, 합성 재료보다 가격이 더 높다.[8]
초기 고이노보리일본어는 마고이(검은 잉어) 한 색깔뿐이었다.[15] 우타가와 히로시게의 『에도 명소 백경』에서는 커다란 마고이 한 마리가 그려져 있다.[15]
메이지 시대 후반부터 다이쇼 시대에 걸쳐 마고이(검은 잉어)와 히고이(붉은 잉어) 두 마리를 한 쌍으로 달게 되었다.[15] 히고이(붉은 잉어)는 원래 남자아이를 나타냈으며, 쇼와 시대 6년(1931년)의 동요 잉어 깃발일본어에서도 마고이를 아버지, 히고이를 아이로 하고 있다.[15] 그러나, 쇼와 시대 30년대 후반에는 더 작은 청색 잉어가 더해져 가족관의 변화 등과 맞물려 히고이(붉은 잉어)는 어머니, 청색 잉어가 아이로 재정의되었다.[15] 곧 형제자매를 나타내는 잉어로서 녹색, 분홍색, 보라색 잉어도 포함되게 되었다.[15]
2. 3. 현대의 고이노보리
원래 사무라이 가문에서만 사용되던 고이노보리일본어는 점차 일반 대중에게까지 퍼졌다. 전통적으로 일본 남자 어린이날의 일부로, 아들마다 잉어 한 마리를 달아 날렸으며, 여자아이들은 히나마쓰리일본어 '인형의 날'을 가졌다. 그러나 1948년 5월 5일이 어린이날로 재지정된 후, 일부 가족은 성별에 관계없이 모든 자녀를 위해 잉어를 날리기 시작했다.[12][7][8]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이노보리일본어와 남자아이 사이의 연관성은 여전히 남아 있으며, 많은 가족이 딸을 위해 날리지 않는다. 거슬러 헤엄치는 능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잉어는 용기와 결단력, 그리고 아이들이 건강하게 자라기를 바라는 마음을 나타낸다.[8][9]
막대기에 포함된 고이노보리일본어의 수와 색상의 다양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 많은 가족 구성원을 수용하기 위해 증가했다. 원래는 종이나 천과 같은 재료를 손으로 칠해서 만들었지만, 일부 농촌 지역을 제외하고는 거의 완전히 합성 재료로 대체되었다.[9] 비단과 종이 모형도 여전히 판매되지만, 합성 재료보다 가격이 더 높다.[8]
초기 고이노보리일본어는 마고이(검은 잉어)였지만, 이윽고 마고이와 히고이(빨간 잉어)의 두 색이 되었고, 게다가 아오고이(파란 잉어)도 더해져 가족을 나타내게 되었다[15]. 다만 과도적으로 검은색과 파란색만 조합된 경우도 있었다. 또한, 마고이에 붉은 알몸의 남자아이가 매달려 있는 무늬가 있는데, 이는 킨타로로 보이며 킨타로가 자신보다 큰 잉어를 잡은 전설을 바탕으로 한 것으로 보인다.
최근에는 녹색이나 주황색, 보라색, 분홍색과 같이 더 화려한 색의 자고이(어린 잉어)도 널리 보급되어 있으며, 어떤 곳에서는 여자아이를 포함한 가족 전체의 잉어를 올리는 집도 있다. 난색 계열의 자고이 증가는 이러한 수요에 부응한 것으로 보인다. 다채로운 자고이는 1964년 도쿄 올림픽 즈음에 한 고이노보리일본어 장인이 오륜의 색을 힌트로 생각해 냈다고 한다.
장대 끝에 회전 구슬이나 가고다마(かご玉), 그 아래에 야구루마(矢車)를 달고, 후키나가시를 맨 위에 두고 이하 마고이, 히고이, 아오고이 순으로 크기 순서대로 늘어뜨려 올리는 것이 일반적이다[15]. 후키나가시일본어는 원래 오색의 '오색 후키나가시일본어'였지만, 후에 채운(彩雲)이나 상서로운 징조, 비룡, 잉어 등을 그린 '무늬 후키나가시일본어'도 등장했다[15].
메이지 시대 이전에는 와시로 만들어진 것이 대부분이었다[15]. 메이지 시대 후반에 면(綿)제, 쇼와 시대 30년대에 합성 섬유제로 바뀌었다[15]. 그러나 저출산과 주택 사정의 변화 (정원이 있는 단독 주택의 감소와 맨션 등 공동 주택의 증가) 거기에 세시 풍속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로 인해, 민가의 정원에 고이노보리일본어가 걸려 있는 모습을 보는 것은 줄어들고 있으며, 베란다나 현관 옆, 실내에 장식하는 소형 고이노보리일본어가 늘고 있다[15]. 실내에 두는 것은 잉어 장식이라고 불리는 경우가 있다.
고속도로 등에서는 풍속·풍향을 나타내는 후키나가시가 4월, 5월에는 고이노보리일본어로 대체되는 경우도 있다[17].
3. 구성 및 의미
일반적인 고이노보리일본어 세트는 기둥 꼭대기부터 아래로, 공 모양의 회전하는 풍향계가 달린 矢車|야구루마|바퀴살 바퀴일본어 한 쌍, 吹流し|후키나가시|윈드삭일본어, 고이노보리일본어로 구성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잉어 깃발(고이노보리)의 수와 의미는 변화했다. 전통적으로는 아버지를 상징하는 검은색 고이노보리, 장남을 상징하는 더 작은 빨간색 고이노보리가 사용되었다. 일본계 미국 국립 박물관에 따르면, 전통적인 "어린이 노래"에서 빨간색 잉어(緋鯉|히고이일본어)가 장남을 나타내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아들이 더 있는 경우에는 파란색, 녹색, 그리고 지역에 따라 보라색 또는 주황색 고이노보리가 추가되었다.
탄고노 셋쿠|端午の節句|남자아이의 날일본어가 고도모노 히|子供の日|어린이날일본어로 변경되면서, 남자아이와 여자아이 모두의 행복을 축하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빨간색 고이노보리는 가족의 어머니를 나타내게 되었고, 분홍색으로 바뀌는 경우도 드물지 않다. 다른 색상과 크기의 잉어는 아들과 딸 모두, 가족의 모든 자녀를 나타내게 되었다.
현재 고이노보리는 자녀가 있는 집 지붕 위에서 펄럭이며, 가장 큰 (검은색) 고이노보리는 아버지, 그다음 큰 (빨간색 또는 분홍색) 고이노보리는 어머니, 그리고 나이가 많은 순서대로 각 자녀를 나타내는 여러 개의 더 작은 잉어가 사용된다.
고이노보리는 길이가 몇 센티미터에서 몇 미터까지 다양하다. 1988년 사이타마현 가조시에서는 100m 길이의 고이노보리가 만들어졌으며, 무게는 350kg이었다.[4]
3. 1. 전통적인 구성
일반적인 고이노보리 세트는 기둥 꼭대기부터 아래로, 공 모양의 회전하는 풍향계가 달린 바퀴살 바퀴 한 쌍, 바람개비, 그리고 고이노보리일본어로 구성된다.[3] 고이노보리일본어 위에 있는 윈드삭은 주로 두 종류가 사용된다. 하나는 중국 철학의 오행을 기반으로 한 오색 윈드삭|五色吹流し일본어이고, 다른 하나는 무늬 윈드삭|柄物吹流し일본어이며, 종종 가문|家紋|몬일본어이 특징이다.[3] 윈드삭 아래에 펄럭이는 잉어 깃발 또는 고이노보리일본어의 수와 의미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했다.전통적으로 이 세트에는 아버지를 나타내는 검은색 고이노보리일본어가 포함되어 있었고, 그 다음에는 장남을 나타내는 더 작은 빨간색 고이노보리일본어가 따랐다. 일본계 미국 국립 박물관에 따르면, 전통적인 "어린이 노래"에서 빨간색 잉어 (히고이일본어)가 장남을 나타내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집에 아들이 더 있으면 파란색, 녹색, 그리고 지역에 따라 보라색 또는 주황색 고이노보리일본어가 추가되었다. 정부의 법령에 따라 남자아이의 날|탄고노 셋쿠일본어가 현재의 어린이날|고도모노 히일본어로 바뀌면서, 이 공휴일은 남자아이와 여자아이 모두의 행복을 축하하게 되었다. 그 결과 빨간색 고이노보리일본어는 가족의 어머니를 나타내게 되었고 분홍색으로 색상이 바뀌는 경우도 드물지 않다. 마찬가지로 다른 색상과 크기의 잉어는 아들과 딸 모두 가족의 모든 자녀를 나타내게 되었다.
현재 고이노보리일본어는 자녀가 있는 집의 지붕 위에서 흔히 펄럭이며, 가장 큰 (검은색) 고이노보리일본어는 아버지, 그다음 큰 (빨간색 또는 분홍색)은 어머니, 그리고 나이가 많은 순서대로 각 자녀를 나타내는 여러 개의 더 작은 잉어가 있다.
고이노보리일본어는 길이가 몇 센티미터에서 몇 미터까지 다양하다. 1988년에는 사이타마현 가조시에서 100m 길이의 고이노보리일본어가 만들어졌으며, 무게는 350kg이었다.[4]
초기 고이노보리는 마고이(검은 잉어)였지만, 이윽고 마고이와 히고이(빨간 잉어)의 두 색이 되었고, 게다가 아오고이(파란 잉어)도 더해져 가족을 나타내게 되었다[15]. 다만 과도적으로 검은색과 파란색만 조합된 경우도 있었다. 또한, 마고이에 붉은 알몸의 남자아이가 매달려 있는 무늬가 있는데, 이는 킨타로로 보이며 킨타로가 자신보다 큰 잉어를 잡은 전설을 바탕으로 한 것으로 보인다.
최근에는 녹색이나 주황색, 보라색, 분홍색과 같이 더 화려한 색의 자고이(어린 잉어)도 널리 보급되어 있으며, 어떤 곳에서는 여자아이를 포함한 가족 전체의 잉어를 올리는 집도 있다. 난색 계열의 자고이 증가가 이러한 수요에 부응한 것으로 보인다. 다채로운 자고이는 1964년 도쿄 올림픽 즈음에 한 고이노보리 장인이 오륜의 색을 힌트로 생각해 냈다고 한다.
장대 끝에 회전 구슬이나 가고다마(かご玉), 그 아래에 야구루마(矢車)를 달고, 후키나가시를 맨 위에 두고 이하 마고이, 히고이, 아오고이 순으로 크기 순서대로 늘어뜨려 올리는 것이 일반적이다[15]. 후키나가시는 원래 오색의 '오색 후키나가시'였지만, 후에 채운(彩雲)이나 상서로운 징조, 비룡, 잉어 등을 그린 '무늬 후키나가시'도 등장했다[15].
메이지 시대 이전에는 와시로 만들어진 것이 대부분이었다[15]. 메이지 후반에 면(綿)제, 쇼와 30년대에 합성 섬유제로 바뀌었다[15]. 그러나 저출산과 주택 사정의 변화 (정원이 있는 단독 주택의 감소와 맨션 등 공동 주택의 증가) 거기에 세시 풍속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로 인해, 민가의 정원에 고이노보리가 걸려 있는 모습을 보는 것은 줄어들고 있으며, 베란다나 현관 옆, 실내에 장식하는 소형 고이노보리가 늘고 있다[15]. 실내에 두는 것은 잉어 장식이라고 불리는 경우가 있다.
초기 고이노보리는 마고이(검은 잉어) 한 색깔뿐이었다.[15] 우타가와 히로시게의 『명소 에도 백경』에서는 커다란 마고이 한 마리가 그려져 있다.[15]
메이지 시대 후반부터 다이쇼 시대에 걸쳐 마고이(검은 잉어)와 히고이(붉은 잉어) 두 마리를 한 쌍으로 달게 되었다.[15] 히고이(붉은 잉어)는 원래 남자아이를 나타냈으며, 쇼와 6년의 동요 『잉어 깃발』에서도 마고이를 아버지, 히고이를 아이로 하고 있다.[15] 그러나, 쇼와 30년대 후반에는 더 작은 청색 잉어가 더해져 가족관의 변화 등과 맞물려 히고이(붉은 잉어)는 어머니, 청색 잉어가 아이로 재정의되었다.[15] 곧 형제자매를 나타내는 잉어로서 녹색, 분홍색, 보라색 잉어도 포함되게 되었다.[15]
3. 2. 잉어의 의미
잉어는 용기와 결단력을 상징하며, 아이들이 건강하게 자라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고 있다.[8][9] 이러한 상징성은 후한 말기에 전해지는 용문 신화에 기원을 두고 있는데, 황금 잉어가 황하 끝자락의 폭포를 거슬러 헤엄쳐 올라가 용이 되었다는 이야기이다.[10][11] 중국의 정사, 이십사사 중 하나인 후한서에 나오는 고사에 따르면, 황하의 급류에 있는 용문이라는 폭포를 많은 물고기가 오르려 시도했지만 잉어만이 올라 용이 될 수 있었다고 한다. 이로부터 '''잉어의 폭포 오르기'''는 입신출세의 상징이 되었으며, 출세하기 위한 난관을 "등용문"이라고 부르는 것도 이 고사에 근거한다.초기 고이노보리는 마고이(검은 잉어) 한 색깔뿐이었다.[15] 우타가와 히로시게의 『명소 에도 백경』에는 커다란 마고이 한 마리가 그려져 있다.[15]
메이지 시대 후반부터 다이쇼 시대에 걸쳐 마고이(검은 잉어)와 히고이(붉은 잉어) 두 마리를 한 쌍으로 달게 되었다.[15] 히고이(붉은 잉어)는 원래 남자아이를 나타냈으며, 쇼와 6년(1931년)의 동요 こいのぼり(잉어 깃발)에서도 마고이를 아버지, 히고이를 아이로 묘사하고 있다.[15] 그러나, 쇼와 30년대 후반에는 더 작은 청색 잉어가 더해져 가족관의 변화 등과 맞물려 히고이(붉은 잉어)는 어머니, 청색 잉어가 아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재정의되었다.[15] 이후 형제자매를 나타내는 잉어로서 녹색, 분홍색, 보라색 잉어도 포함되게 되었다.[15]
4. 고이노보리 노래
아이들과 가족들이 자주 부르는 유명한 고이노보리|일본어 노래이다. 이 곡은 1932년 絵本唱歌春の巻|Ehon shōka haru no maki|에혼 쇼카 하루노 마키일본어에 실렸다.[13] 가사는 近藤宮子|곤도 미야코일본어가 썼다.[13] 작곡가는 알려지지 않았다.
'''고이노보리'''는 여러 쇼카(창가)·동요로 불리고 있다.
# 작사・히가시 쿠메, 작곡・다키 렌타로 『고이노보리』[22]
# 작사자 불명, 작곡・히로타 류타로 『고이노보리』 (1914년 (다이쇼 3년))
# 작사・곤도 미야코, 작곡자 불명 『고이노보리』 (1931년 (쇼와 6년))
특히 구어체인 3번째 곡과 문어체인 2번째 곡이 유명하다.
5. 지역별 행사
일본에서는 전국 각지에서 고이노보리 관련 행사가 열린다.
- 사이타마현 가조시는 예전부터 고이노보리 생산량 일본 제일이다.[21] 1988년 2월에는 길이 100m, 무게 350kg의 고이노보리를 만들어, 전체 길이 세계 제일의 크기로 유명해졌다. 생산량과 함께 '''가조의 고이노보리'''로서 세계에 이름을 알렸다. 가조시에서는 매년 5월에 개최하는 시민 평화제에서 도네강 강변에 거대한 고이노보리가 등장한다.[21] 가조에서는 메이지 시대 초에 우산, 초롱 장인이 남은 재료인 일본 종이를 사용하여 만들기 시작한 것이 기원이라고 한다. 그 후 메이지 시대 중반부터 양산이 시작되었지만, 1923년에 일어난 간토 대지진으로 인해 도쿄 방면의 장인이 몰락했고, 그로 인해 가조에 주문이 쇄도하여 일본 제일의 생산량이 되었다.[21]
- 구마모토현 아소군 오구니마치의 쓰에타테 온천에서는 3,500마리의 고이노보리가 세워진다.
- 일본 종이 생산이 활발한 고치현 아가와군 이노정에서는 물에 젖어도 찢어지지 않는 일본 종이로 만들어진 고이노보리가 니요도강에 방류되어, 래프팅을 하면서 수중을 헤엄치는 고이노보리를 유람할 수 있다.
- 이시카와현 가나자와시를 흐르는 아사노강에서는 아사노가와 대교와 우메노 다리 사이에서 강폭 전체에 걸쳐 헤엄치는 200마리의 고이노보리를 수중에서 라이트업한다.
- 이시카와현 스즈시 오타니마치에서, 5월 상순에 오타니강에 다수의 고이노보리가 장식되는 "오타니강 고이노보리 강 건너기"가 개최된다. 2024년은 중지된다.
- 시만토강 중류의 고치현 다카오카군 시만토정 도가와에서는, 4월 하순부터 5월 상순에 걸쳐 500마리의 고이노보리 강 건너기가 행해지고 있으며, 그 발상지로 알려져 있다. (1974년~ )
- 군마현 다테바야시시에서는 세계 제일 고이노보리 마을 축제가 3월 하순부터 5월 중순까지 개최된다. 5,000마리 이상의 고이노보리가 쓰루다가와, 모린지강, 곤도누마, 쓰쓰지가오카 공원 4곳에서 게양된다. 게양 수 세계 제일로 2005년에 기네스 세계 기록에 등록되었다.
- 동일본 대지진 때 잃은 목숨을 진혼하기 위해, '''푸른 고이노보리 프로젝트'''(青い鯉のぼりプロジェクト|아오이 고이노보리 푸로제쿠토일본어)가 미야기현 히가시마쓰시마시 오마가리하마에서 아이들을 위한 진혼 프로젝트로 개최되고 있다. "축제"와는 뉘앙스가 다르기 때문에, 굳이 프로젝트라고 호칭한다. 단, 100년 후에 이 시대의 사건을 전하는 축제가 되기를 바라며, 10번째 게양 (2020년)을 목표로 "푸른 고이노보리 축제" 등으로 바뀔 가능성도 검토하고 있다.
6. 기타
- 사이타마현 가미카와정 야노 지구에서는 헤이안 시대 중기에 다이라노 마사카도가 이 땅으로 도망쳐 왔을 때, 민가에 걸려 있던 고이노보리 때문에 그의 소재가 적에게 알려져 전투에서 패배했다는 전설이 있다. 그래서 "고이노보리를 걸면 그 집이 불행해진다"고 하여, 현재에도 고이노보리를 거는 풍습이 없다.[23][24]
- 교토부 가메오카시 오이 신사에서는 제신이 잉어를 타고 호즈강의 급류를 거슬러 올라왔다는 전승 때문에 잉어가 신의 사자로 여겨진다. 그래서 씨족들은 잉어에 손을 대는 것을 금지하고 있으며, 오이정에서는 단오에 고이노보리를 거는 일도 하지 않는다.[25][26]
- 히로시마현 후쿠야마시를 비롯한 빈고 후쿠야마 번 지역에서는 미즈노 가쓰미네가 5월 5일에 사망했기 때문에, 후쿠야마 미즈노 가문과 관련된 집안에서는 고이노보리를 걸지 않는다는 풍습이 생겨났다.
- 2014년, 일본 고이노보리 협회는 영일 친선과 조지 왕자의 첫 번째 명절을 축하하며 영국 왕실에 고이노보리를 선물했고, 켄싱턴 궁전 근처 홀랜드 파크의 일본 정원에 게양되었다.[15]
- 아이치현 세토시 미야와키정에서는 고마키·나가쿠테 전투에서 패한 무사를 깃발용 대나무로 죽였다는 전승 때문에 "고이노보리를 세운 집에는 불행이 찾아온다"는 전설에 따라 고이노보리를 게양하지 않는 것이 관습화되어 있다.[27]
- 프로 야구팀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응원 도구로 계절에 상관없이 고이노보리가 사용된다.
- 다카르 랠리에 출전하는 랠리 드라이버 스가와라 요시마사는 고이노보리를 자신의 트레이드 마크로 사용하며, 세레모니얼 피니시 때 차에 장착하여 주행하는 것으로 세계적으로 알려져 있다.
- 인간 고이노보리는 직립한 기둥을 양손으로 잡고, 몸 전체를 지면과 평행이 되도록 들어 올리는 운동이다.
- 아오모리현 오마정에서는 참치 어획량이 많아 "참치노보리"를 세우는 곳도 있다.
- 시즈오카현 오마에자키시, 고치현 구로시오정, 가고시마현 마쿠라자키시, 오키나와현 모토부정 등 가다랑어 어획량이 많은 지역에서는 "가다랑어노보리"를 세우는 곳도 있다.
- 미야자키시의 사도와라마치에는 "사도와라 고래 이야기"에서 유래된 행복을 부르는 "고래노보리"라는 것이 있다.[28]
- 가스시에서는 잉어를 본뜬 붕어빵을 판매하고 있다.[29]
- 잉어 노보리와 비슷한 장어 노보리라는 것도 있다.[30]
- 시즈오카현 누마즈시의 [https://www.gluee.jp/ 오피스 구루]가 운영하는 오리지널 잉어 노보리 제작팀 "https://www.mrs-machine.com/ 미세스 미신"은, 전갱이 건어물형 "https://www.mrs-machine.com/works/himono-mini/ 히모노보리", 와사비형 "https://www.mrs-machine.com/works/wasabi/ 와사비노보리", 아마비에형 "https://www.mrs-machine.com/works/amabie/ 아마비에노보리", 기부나형 "https://www.mrs-machine.com/works/kibuna/ 기부나노보리", 갈치형 "https://www.mrs-machine.com/works/%e6%9c%80%e8%bf%91%e8%a3%bd%e4%bd%9c%e3%81%97%e3%81%9f%e3%82%bf%e3%83%81%e3%82%a6%e3%82%aa%e3%81%ae%e3%81%bc%e3%82%8a%e3%81%a7%e3%81%99%ef%bc%81/ 타치우오노보리", 피라루쿠형 "https://www.mrs-machine.com/works/piraruku/ 피라루쿠노보리", 대왕갯지렁이형 "https://www.mrs-machine.com/works/gusokumushi/ 구소쿠무시노보리" 등, 각 지역의 오리지널 잉어 노보리를 제작하고 있다.
참조
[1]
서적
Trend Illustrated Japanese-English Dictionary of Things Japanese
Shogakukan
1999
[2]
웹사이트
Carp Streamer
http://emojipedia.or[...]
[3]
웹사이트
工業 ― 繊維製品 ― こいのぼり
https://www.okashin.[...]
2019-05-15
[4]
웹사이트
Kazo City Heiwa Festival
https://en.chocotabi[...]
[5]
웹사이트
五月人形と鯉のぼりの由来
https://www.touken-w[...]
Nagoya Japanese Sword Museum Nagoya Touken World
2023-02-04
[6]
웹사이트
五月人形の基礎知識
https://www.touken-w[...]
Nagoya Japanese Sword Museum Nagoya Touken World
2023-02-04
[7]
서적
Japan and Things Japanese
https://books.google[...]
Routledge
[8]
서적
The Encyclopedia of Contemporary Japanese Culture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9]
서적
Mingei: Japan's Enduring Folk Arts
https://books.google[...]
Tuttle Publishing
1990-01
[10]
웹사이트
Koi Fish Meaning and Myth
https://koistory.com[...]
2013-11-18
[11]
웹사이트
koi-no-takinobori 鯉の滝登り
https://www.aisf.or.[...]
2022-07-07
[12]
웹사이트
Children's Day in Japan: Kodomo no Hi
http://kids.asiasoci[...]
Asia Kids Society
2009
[13]
서적
唱歌「コヒノボリ」「チューリップ」と著作権: 国文学者藤村作と長女近藤宮子とその時代
Zen-On Music Company Ltd
2004-09
[14]
웹사이트
Koinobori (Carp streamers)
http://web.mit.edu/j[...]
[15]
기타
工業-繊維製品-
https://www.okashin.[...]
岡崎信用金庫
[16]
서적
日本人形玩具辞典
東京堂出版
1997
[17]
웹사이트
米子自動車道に鯉のぼりを設置します
https://corp.w-nexco[...]
西日本高速道路株式会社中国支社
2008-04-21
[18]
웹사이트
江戸時代の日本の礼儀と習慣をスケッチした貴重書が全ページ無料公開中 - GIGAZINE
https://gigazine.net[...]
2007-12-06
[19]
웹사이트
江戸の浮世絵でたどる 端午の節句|浮世絵のアダチ版画オンラインストア
https://www.adachi-h[...]
[20]
서적
東京都の民話 - コイのぼりのはじまり
偕成社
[21]
서적
東武線歴史散歩
鷹書房
1988-06-15
[22]
간행물
歌い継ぎたい日本の歌“ 鯉のぼり”子どもの生育を願う親の愛、語句に潜められた文化の重層
https://tezukayama.r[...]
帝塚山大学現代生活学部子育て支援センター
2017-03
[23]
웹사이트
鯉のぼりと将門伝説 矢納
http://www.town.kami[...]
神川町
2018-06-27
[24]
뉴스
『ナニコレ珍百景』2012年5月2日放送分・【珍百景No.1270】「あがらない鯉のぼり」埼玉県神川町
http://www.tv-asahi.[...]
[25]
웹사이트
大井町の鯉
http://radio.kyotoga[...]
京都学園大学
[26]
웹사이트
ふるさと昔語り(119)大井神社のコイ伝承(亀岡市)
http://www.kyoto-np.[...]
京都新聞
2007-07-06
[27]
웹사이트
あらゆるサーチ「東海3県の地元あるあるin瀬戸市」
https://www.nagoyatv[...]
名古屋テレビ放送株式会社
2021-05-26
[28]
기타
鯨のぼり(宮崎特産キュラカフェ)
http://cur-cafe.com/[...]
[29]
웹사이트
加須名物 こいのぼり焼 海 (加須/たい焼き・大判焼き)
https://tabelog.com/[...]
[30]
웹사이트
Amazon {{!}} 【徳永鯉】のぼり水族館 鰻 うなぎのぼり 単品 (店舗・イベント用幟旗) {{!}} こいのぼり {{!}} おもちゃ
https://www.amazon.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