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에너지 공동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너지 공동체는 유럽 연합의 에너지 관련 법규를 동남유럽 및 동유럽 지역으로 확대하여 유럽 전역의 에너지 시장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유럽 연합과 알바니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코소보, 몰도바, 몬테네그로, 북마케도니아, 세르비아, 우크라이나, 조지아가 회원국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노르웨이, 튀르키예, 아르메니아는 옵서버로, 19개 EU 회원국은 참가국으로 참여하고 있다. 주요 기관으로는 장관회의, 상설 고위급 그룹, 에너지 공동체 규제위원회, 포럼, 사무국이 있으며, 유럽 연합은 에너지 공동체 예산의 대부분을 지원하고 있다. 이 조약은 2005년 아테네에서 체결되었으며, 사회적 차원 부족 및 환경 문제에 대한 비판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6년 발효된 조약 - 환태평양 전략적 경제 동반자 협정
    환태평양 전략적 경제 동반자 협정은 브루나이, 칠레, 뉴질랜드, 싱가포르 4개국이 체결한 자유 무역 협정으로, 높은 무역 기준 설정, APEC 지역 내 무역 자유화 촉진, 포괄적이고 미래 지향적인 무역 협정 구축을 목표로 하며 환태평양 경제 동반자 협정(TPP)으로 확대되는 기반이 되었다.
  • 2006년 발효된 조약 - 환태평양 경제 동반자 협정
    환태평양 경제 동반자 협정(TPP)은 2005년 4개국 협상으로 시작하여 12개국으로 확대되었으나 미국의 탈퇴로 무산되었고, 이후 미국을 제외한 11개국이 일부 조항을 제외한 포괄적 및 진보적 환태평양 파트너십 협정(CPTPP)을 체결하여 발효, 관세 철폐, 투자, 지적 재산권 등 광범위한 분야를 다루며 비판도 존재한다.
에너지 공동체
에너지 공동체
에너지 공동체 로고
기본 정보
정식 명칭에너지 공동체
설립2005년 10월 1일 (조약 서명)
조약 발효일2006년 7월 1일
사무국, 오스트리아
회원국유럽 연합
알바니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코소보
몰도바
몬테네그로
북마케도니아
세르비아
우크라이나
조지아
옵서버아르메니아
노르웨이
튀르키예
주요 인사
의장국 (2024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부의장국유럽 위원회
사무국장아르투르 로르코프스키
웹사이트
공식 웹사이트www.energy-community.org

2. 목표

에너지 공동체는 유럽 연합의 에너지 관련 법규(acquis)를 동남유럽과 동유럽 지역으로 확대하여 유럽 전역의 에너지 시장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에너지 공동체의 법적 체계는 유럽 연합 법규의 에너지, 환경 및 경쟁 분야의 법률을 포괄한다.[5]

2. 1. 법규 범위 확대

에너지 공동체는 유럽 연합의 에너지 관련 법규(acquis)를 동남유럽과 동유럽 지역으로 확대함으로써 유럽 전역의 에너지 시장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에너지 공동체의 법적 체계는 유럽 연합 법규의 에너지, 환경 및 경쟁 분야의 법률을 포괄한다.

발효 후, 조약의 법규(acquis)는 여러 차례 확대되었다.[5] 현재는 공급 안정성, 에너지 효율, 석유, 신재생에너지, 통계, 인프라 및 기후와 관련된 법률도 포함한다.

유럽 연합 차원의 업데이트에 따라 에너지 공동체는 2011년 9월부터 유럽 연합의 제3차 에너지 패키지(Third Energy Package)를 이전하고 이행하고 있다. 2021년 장관 회의에서는 유럽 연합의 '모든 유럽인을 위한 청정 에너지' 패키지[7]에서 비롯된 5개의 주요 법률을 채택했다.[6]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에너지 효율 및 온실가스 감축 목표는 유럽 집행위원회의 연구가 완료된 후 2022년 차기 장관 회의에서 채택될 예정이다.

2. 2. EU 정책 반영

에너지 공동체는 유럽 연합의 에너지 관련 법규(acquis)를 동남유럽과 동유럽 지역으로 확대함으로써 유럽 전역의 에너지 시장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에너지 공동체의 법적 체계는 유럽 연합 법규의 에너지, 환경 및 경쟁 분야의 법률을 포괄한다.[5]

발효 후, 조약의 법규(acquis)는 여러 차례 확대되었다. 현재는 공급 안정성, 에너지 효율, 석유, 신재생에너지, 통계, 인프라 및 기후와 관련된 법률도 포함한다.

유럽 연합 차원의 업데이트에 따라 에너지 공동체는 2011년 9월부터 유럽 연합의 제3차 에너지 패키지(Third Energy Package)를 이전하고 이행하고 있다. 2021년 장관 회의에서는 유럽 연합의 '모든 유럽인을 위한 청정 에너지' 패키지[7]에서 비롯된 5개의 주요 법률을 채택했다.[6]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에너지 효율 및 온실가스 감축 목표는 유럽 집행위원회의 연구가 완료된 후 2022년 차기 장관 회의에서 채택될 예정이다.

3. 회원 및 참여 현황

에너지 공동체 조약 당사국은 유럽 연합과 9개의 계약 당사국으로 구성된다.[8] 불가리아, 크로아티아, 루마니아유럽 연합에 가입한 후 계약 당사국에서 참가국으로 발전하였다.

3. 1. 회원국 (Parties)

국가비준일
유럽 연합2006년 5월 29일[8]
알바니아2006년 5월 24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2006년 9월 20일
코소보2005년 12월 23일
몰도바2010년 3월 17일
몬테네그로2006년 12월 15일
북마케도니아2006년 5월 29일
세르비아2006년 8월 9일
우크라이나2010년 12월 15일
조지아2017년 7월 1일[9]



몰도바우크라이나는 정회원 자격을 얻은 후 정식 회원 가입 의사를 표명했다. 유럽 연합 집행위원회는 2008년 말 몰도바 및 우크라이나와 첫 번째 공식 협상을 진행했다. 세 차례 협상 후 2009년 기술적 협상이 종료되었으나, 장관협의회는 회원 자격 조건으로 입법 개정을 제시했다. 두 국가 모두 가스법을 개정하여 EU의 2003/55/EC 가스 지침과 조율해야 했다.[10] 몰도바는 2010년 5월 1일, 우크라이나는 2011년 2월 1일 정식 회원국이 되었다.

조지아는 2014년 정회원 가입을 신청하여 2017년 7월 1일 정식 회원국이 되었다.

3. 2. 옵서버 (Observers)

근접한 제3국은 장관회의의 타당한 요청 승인을 받으면 옵서버 자격을 얻을 수 있다. 별도의 절차법은 조약의 옵서버의 권리와 의무를 규정한다.[11] 조약의 옵서버는 다음과 같다.

노르웨이 (2006년 11월)
튀르키예 (2006년 11월)
아르메니아 (2011년 10월)


3. 3. 참가국 (Participants)

조약에 따라 EU 회원국은 참가국의 지위를 얻을 수 있다. EU 회원국은 장관회의, 상설 고위급 그룹, 규제위원회 및 포럼에 참석하고 이들 기구의 논의에 참여할 권리를 갖는다. 이러한 특권은 다음 19개 EU 회원국이 행사하고 있다.[1]

국가가입일
오스트리아2006년 11월 17일
불가리아2007년 1월 1일
크로아티아2013년 7월 17일
키프로스2006년 11월 17일
체코2006년 11월 17일
핀란드2013년 10월 24일
프랑스2007년 12월 18일
독일2006년 11월 17일
그리스2006년 11월 17일
헝가리2006년 11월 17일
이탈리아2006년 11월 17일
라트비아2014년 9월 23일
리투아니아2015년 10월 16일
네덜란드2007년 6월 29일
폴란드2011년 10월 6일
루마니아2007년 1월 1일
슬로베니아2006년 11월 17일
슬로바키아2006년 11월 17일
스웨덴2014년 9월 23일



유럽 연합에 가입한 후, 초기 조약 체결국 중 불가리아, 크로아티아, 루마니아 3개국은 계약 당사국에서 참가국으로 발전하였다.[1]

4. 조직 구조

에너지 공동체는 조약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주요 기관은 다음과 같다.


  • 장관회의(Ministerial Council)
  • 상설 고위급 그룹(Permanent High Level Group)
  • 에너지 공동체 규제위원회(Energy Community Regulatory Board, ECRB)
  • 포럼(Fora)
  • 사무국(Secretariat)


각 기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하면 된다.

4. 1. 장관회의 (Ministerial Council)

에너지 공동체 장관회의는 에너지 공동체의 주요 의사결정 기구이다. 장관회의는 주요 정책 결정을 내리고 에너지 공동체의 규칙과 절차를 채택한다. 각 당사국에서 1명의 대표(일반적으로 에너지 담당 장관)와 유럽연합에서 2명의 대표(유럽연합 에너지 담당 집행위원과 유럽연합 의장단의 고위급 대표)로 구성된다.[1]

2009년 12월 결정에 따라 장관회의는 연 1회 개최된다. 의장직은 각 당사국이 12개월씩 순차적으로 맡는다. 2021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는 세르비아가 의장국을 맡아 주요 기관 회의를 주재한다.[1]

4. 2. 상설 고위급 그룹 (Permanent High Level Group)

상설 고위급 그룹은 각 당사국의 고위 관리와 유럽 집행위원회 대표 2명으로 구성된다. 이 그룹은 장관급 정치 회의의 연속성과 후속 조치를 보장하고, 특정 경우 이행 조치를 결정한다.

4. 3. 에너지 공동체 규제위원회 (Energy Community Regulatory Board, ECRB)

에너지 공동체 규제위원회(}, ECRB)는 에너지 공동체 계약 당사국, 옵서버 및 참가국의 국가 에너지 규제 기관의 고위 대표들로 구성된다.[12] 규제위원회는 법적, 기술적, 규제적 규칙의 세부 사항에 대해 에너지 공동체 장관회의와 상설 고위급 그룹(PHLG)에 자문을 제공하고, 규제 기관 간의 국경 간 분쟁이 발생할 경우 권고안을 제시한다. 위원회는 에너지 공동체 장관회의의 권한을 위임받은 경우 규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현재 위원회 위원장(2020-2023)은 북마케도니아 공화국의 에너지 및 수자원 서비스 규제위원회 위원장인 마르코 비슬리모스키(Marko Bislimoski) 씨이다. 유럽연합은 유럽위원회를 통해 부위원장 역할을 수행하며, ACER의 지원을 받는다. 규제위원회는 아테네에서 회의를 개최하며, 활동은 에너지 공동체 사무국이 지원한다.

4. 4. 포럼 (Fora)

포럼은 에너지 공동체에 자문하는 역할을 한다. 유럽 집행위원회가 의장을 맡는 포럼은 산업계, 규제 당국, 산업 협회 및 소비자 등 모든 이해 관계자를 한자리에 모은다. 합의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상설 고위급 그룹에 전달된다.

포럼의 설립은 에너지 공동체 창설로 이어지는 과정을 반영한다. 아테네 전력 포럼(이전에는 동남유럽 에너지 규제 포럼으로 알려짐)은 2002년에 처음으로 회의를 개최했다. 가스 포럼을 규정하는 조건은 2006년에 설정되었다. 가스 포럼은 슬로베니아에서 개최하기로 결정되었다. 첫 번째 사회 포럼은 2008년 11월에 열렸다. 2008년 12월 회의에서 장관 이사회는 석유 비축 법안을 채택하고 석유 포럼을 설립하기로 결정했다. 첫 번째 석유 포럼은 2009년 벨그라드에서 개최되었다. 최근에는 비엔나 법률 포럼, 공정 전환[13] 포럼 및 분쟁 해결[14] 포럼도 설립되었다.

4. 5. 사무국 (Secretariat)

에너지 공동체의 일상 업무는 사무국이 담당한다. 사무국은 계약 당사국이 성과(acquis)를 이행하는 것을 지원한다. 사무국은 입법 초안 작성을 지원하고, 국가 당국이 요청하면 전문가 파견을 수행한다. 사무국은 매년 제도 회의 및 전문가 워크숍을 포함하여 60개가 넘는 행사를 개최한다.

매년 사무국은 에너지 공동체 장관회의에 연간 이행 보고서[15]를 제출하며, 이 보고서에서는 각 계약 당사국의 조약상 의무 준수 여부를 평가한다. 계약 당사국이 조약 의무를 준수하지 않으면 사무국은 위반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16]

2021년 12월 1일부터 사무국 국장은 아르투르 로르코프스키(Artur Lorkowski) 씨이다. 로르코프스키 씨는 야네즈 코파치(Janez Kopač, 2012-2021) 씨와 슬라브초 네이코프(Slavtcho Neykov, 2007-2012) 씨에 이어 세 번째 에너지 공동체 국장이다. 사무국 국장은 모든 당사국이 기여하는 에너지 공동체 예산이 올바르게 지출되고 회계 처리되도록 하는 책임이 있다. 또한 국장은 에너지 공동체의 승인된 정원 계획에 따라 직원을 선발하고 임명한다. 2021년 12월 기준으로 사무국에는 18개국 국적의 직원 34명이 근무하고 있다.

사무국의 소재지는 오스트리아 이다.

5. EU의 역할

유럽 연합은 유럽 집행위원회를 통해 에너지 공동체의 상임 부의장직을 맡고 있다. 유럽 집행위원회는 상임 고위급 그룹과 장관회의 의장직 수행과 모든 기관 회의의 의제 준비를 지원한다. 연례 장관회의에서 유럽 집행위원회는 에너지 담당 집행위원이 대표한다. 유럽 연합은 에너지 공동체 예산에 가장 큰 기여를 하는데, 그 기여도는 약 95%에 달한다.

6. 역사

에너지 공동체 조약의 기원은 남동유럽 안정 협약의 틀에서 처음 형성된 전력 및 천연가스 남동유럽 지역 에너지 시장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이는 아테네 각서를 통해 구체화되었다.[17] 이는 "SEE 국가들의 EU 가입 전 주요 경제 부문에서 에너지 공동체의 설립은 매우 중요한 정치적 조치를 의미한다"는 인식에서 비롯되었다.[17] 에너지 공동체의 제도적 설정은 유럽 연합의 구조와 매우 유사하며, 조약 협상 당시 유럽 집행위원회는 “에너지 공동체 조약은 유럽 연합의 기원이 된 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를 의식적으로 모델로 삼았다”고 밝혔다.[19]

6. 1. 아테네 각서 (Athens Memorandum)

아테네에서 2002년에 체결되고 2003년에 개정된 양해각서이다. 유럽 연합이 제안한 이 각서는 동남유럽 지역 전력 시장 개발을 위한 원칙과 제도적 필요성을 개괄적으로 제시하였다. 2002년 6월 첫 동남유럽 전력 규제 포럼에서 집중적인 논의 끝에 합의가 이루어졌다. 이 각서는 알바니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불가리아, 크로아티아, 그리스, 북마케도니아, 루마니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터키에 의해 2002년 11월 서명되었다.[1]

2003년 개정에서는 사업 범위에 천연가스가 추가되었다. 아테네 각서에 따라 동남유럽 지역 에너지 시장은 EU 내부 에너지 시장의 일부를 형성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아테네 각서는 또한 여러 기관을 설립했는데, 이 기관들은 집합적으로 '아테네 프로세스'(Athens Process)로 알려졌다. 2004년 아테네 포럼 회의에서 이 프로세스의 명칭을 '에너지 공동체'(Energy Community)로 정하고, 동시에 향후 기관의 위치를 합의하였다.[1]

6. 2. 에너지 공동체 조약 (Energy Community Treaty)

2004년 5월, 유럽 연합은 동남유럽 지역 국가들과 법적 합의를 체결하기 위한 협상을 시작했다. 협상에는 한쪽은 유럽 공동체, 다른 한쪽은 알바니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불가리아, 크로아티아, 북마케도니아(FYR of Macedonia), 몬테네그로, 세르비아, 루마니아, 터키, 그리고 코소보를 대표하는 UNMIK이 참여했다. 에너지 공동체를 설립하는 조약은 2005년 10월 25일 그리스 아테네에서 체결되었다.[20] 이 조약의 서명은 2006년 5월 29일 유럽 의회에서 승인되었고,[20] 2006년 7월 1일 발효되었다.[20]

조약 제97조[20]에 따르면, 조약은 발효일로부터 10년간 체결된다. 2013년 10월, 에너지 공동체 장관회의[21]는 조약 기간을 10년 연장하여 2026년까지로 결정했다.

장관회의는 또한 고위급 검토 그룹을 설립하여 조약의 목표 달성을 위한 에너지 공동체의 제도적 설립 및 운영 방식의 적절성을 평가하도록 했다. 검토 그룹은 2014년 6월 11일 "미래를 위한 에너지 공동체"라는 최종 보고서를 발표[22]하여 에너지 공동체를 개선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권고안을 제시했다. 이러한 제안들을 추진하기 위한 로드맵이 채택되었다.

7. 비판과 과제

동남유럽 환경 단체들은 2008년 12월, ECSEE(Energy Community South Eastern Europe)가 에너지 효율과 재생에너지 촉진을 내세우지만, 실제로는 대규모 석탄 및 수력 발전소 건설로 인한 환경 파괴를 야기할 수 있다는 점을 들어 안전장치가 충분하지 않다고 비판했다.[24]

이에 에너지 공동체 장관 이사회(Energy Community Ministerial Council)는 2007년 에너지 효율 태스크포스(task force)를 설립하고, 2013년 에너지 효율 조정 그룹(Energy Efficiency Coordination Group, EECG)으로 개명하여 계약 당사국, 참관국, 참가국 간 에너지 효율 협력을 강화했다. 2009년부터는 EU 에너지 효율 법규(acquis)를 시행하고 있다.[25]

재생에너지 분야에서는 2008년부터 EU 재생에너지 지침 채택 논의가 시작되었고, 2009년 재생에너지 태스크포스가 설립되었다. 2012년 10월에는 2020년까지의 구속력 있는 재생에너지 목표를 포함한 지침 2009/28/EC가 채택되었으며, 2015년 10월 재생에너지 태스크포스가 재설립되었다. 에너지 공동체 환경 태스크포스(Energy Community Task Force on Environment)는 2011년 봄부터 운영되고 있다.

7. 1. 사회적 차원 부족

이 조약은 사회적 차원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유럽 공공 서비스 노동조합(European Public Service Union)의 비판을 받았다.[23] 에너지 공동체(Energy Community) 법규(acquis)는 공공 서비스 의무와 소비자 보호를 명시적으로 언급하고 있다. 이 조약에는 사회적 대화에 대한 법적 구속력 있는 법규(acquis)가 부족할 수 있지만, 계약 당사국은 그 과정에서 사회적 차원을 증진할 법적 의무를 진다. 2007년 10월, 당사국들은 에너지 공동체의 맥락에서 사회 문제에 관한 양해각서(Memorandum of Understanding)에 서명했다. 이 양해각서는 경제 발전과 사회적 진보가 상호 연관되어 있으며 함께 나아가야 함을 인식하고 있다. 또한 개혁 과정에 사회적 파트너를 참여시키는 것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명시하고 있다. 우크라이나몰도바는 2011년 10월 사회 문제에 관한 양해각서 선언에 서명했다.

7. 2. 환경 문제

유럽 공공 서비스 노동조합(European Public Service Union)은 이 조약에 사회적 차원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비판했다.[23] 에너지 공동체(Energy Community) 법규(acquis)는 공공 서비스 의무와 소비자 보호를 명시하고 있다. 이 조약에는 사회적 대화에 대한 법적 구속력 있는 법규(acquis)가 부족할 수 있지만, 계약 당사국은 그 과정에서 사회적 차원을 증진할 법적 의무를 진다. 2007년 10월, 당사국들은 에너지 공동체의 맥락에서 사회 문제에 관한 양해각서(Memorandum of Understanding)에 서명했다. 이 양해각서는 경제 발전과 사회적 진보가 상호 연관되어 있으며 함께 나아가야 함을 인식하고 있다. 또한 개혁 과정에 사회적 파트너를 참여시키는 것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명시하고 있다. 우크라이나몰도바는 2011년 10월 사회 문제에 관한 양해각서 선언에 서명했다.

동남유럽의 환경 단체들은 2008년 12월 이 과정을 비판하며, ECSEE(Energy Community South Eastern Europe)에 에너지 효율과 재생에너지의 선의의 촉진이 대규모이고 종종 환경적으로 해로운 석탄 및 수력 발전소의 촉진에 묻히지 않도록 보장하는 충분한 안전 장치가 없다고 믿었다.[24] 에너지 공동체 장관 이사회(Energy Community Ministerial Council)는 2007년 에너지 효율 태스크포스(task force)를 설립하기로 결정했다. 2013년 에너지 효율 조정 그룹(Energy Efficiency Coordination Group, EECG)으로 개명되어 계약 당사국, 참관국 및 참가국의 에너지 및 에너지 효율 담당 부처 및 기관 대표 간의 광범위한 협력 플랫폼을 제공했다. 2009년부터 에너지 공동체는 핵심 EU 에너지 효율 법규(acquis)를 시행하고 있다.[25] 재생에너지 분야에서는 이미 2008년부터 EU 재생에너지 지침(Renewables Directive) 채택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다. 장관 이사회는 2009년 재생에너지 태스크포스를 설립하고 2012년 10월 2020년까지의 구속력 있는 재생에너지 목표를 포함한 지침 2009/28/EC를 채택했다. 2015년 10월, 장관들은 재생에너지 태스크포스를 재설립하기로 결정했다. 에너지 공동체 환경 태스크포스(Energy Community Task Force on Environment)는 2011년 봄부터 운영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Presidency in Office https://www.energy-c[...]
[2] 서적 "Energy Policy of the European Union" Palgrave Macmillan 2016
[3] 뉴스 Ukraine says Belarus has imposed trade barriers in plane row https://www.reuters.[...] Reuters 2021-05-28
[4] 간행물 Treaty on the Energy Community in South East Europe https://www.ceer.eu/[...] Council of European Regulators 2004
[5] 웹사이트 see acquis in force page https://www.energy-c[...]
[6] 웹사이트 see 19th Ministerial Council news item https://www.energy-c[...]
[7] 웹사이트 see EU Green Deal page https://ec.europa.eu[...]
[8] 웹사이트 European Council Decision on the conclusion of the Energy Community Treaty, L 198/15 https://eur-lex.euro[...] 2006-07-20
[9] 뉴스 Georgia Ratifies Europe's Energy Community Accession Agreement http://civil.ge/eng/[...] Civil Georgia 2017-04-26
[10] 웹사이트 Directive 2003/55/EC of 26 June 2003 concerning common rules for the internal market in natural gas (repealed) http://eur-lex.europ[...] Publications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2003-07-15
[11] 웹사이트 Ministerial Council Decision on adoption of Procedural Rules on Acceptance of Countries as Observers to the Energy Community https://www.energy-c[...]
[12] 웹사이트 see Energy Community Regulatory Board https://www.energy-c[...]
[13] 웹사이트 see Energy Community Just Transition Initiative https://www.energy-c[...]
[14] 웹사이트 see Energy Community Secretariat's Dispute Resolution and Negotiation Centre https://www.energy-c[...]
[15] 웹사이트 see Secretariat's Implementation Reports https://web.archive.[...] 2021-12-02
[16] 웹사이트 see Energy Community case registry https://web.archive.[...] 2021-12-02
[17] 웹사이트 Florence School of Regulation, EUI working paper on the Energy Community, Rozeta Karova, p.18, RSCAS 2009/12 http://cadmus.eui.eu[...]
[18] 웹사이트 EIoP, The Energy Community of Southeast Europe: A neo-functionalist project of regional integration, Stephan Renner, p. 11 https://web.archive.[...] Eiop.or.at 2009-02-25
[19] 웹사이트 The EU and South East Europe sign a historic treaty to boost energy integration, IP/05/1346 https://ec.europa.eu[...] Europa (web portal) 2005-10-25
[20] 웹사이트 see Energy Community Treaty https://www.energy-c[...]
[21] 웹사이트 see Decision 2013/03/MC-EnC extending the duration https://www.energy-c[...]
[22] 웹사이트 High Level Reflection Group Report https://www.energy-c[...]
[23] 웹사이트 EPSU Press Release, Energy Community Ministerial Council urged to strengthen social dimension https://web.archive.[...] Epsu.org 2012-07-24
[24] 웹사이트 South-East Europe Development Watch position paper, South-east Europe energy policies https://web.archive.[...] 2009-03-31
[25] 웹사이트 Ministerial Council Decision on the implementation of certain Directives on Energy Efficiency https://www.energy-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