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우헤메로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우헤메로스는 고대 그리스의 작가로, 그의 생애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으며, 출생지도 논란이 있다. 그는 주요 저서인 《신성한 역사》를 통해 "유헤메리즘"으로 알려진 신화 해석 방법을 제시했다. 유헤메리즘은 신화 속 인물이나 사건을 역사적 인물이나 사건의 변형으로 보는 관점이다. 에우헤메로스는 신들이 원래 인간이었으며, 그들의 업적으로 인해 신격화되었다고 주장하며, 신화는 "변장한 역사"라고 해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안티파트로스 왕조 - 카산드로스
카산드로스는 알렉산드로스 대왕 사후 마케도니아 왕국의 지배권을 장악하고, 헬레니즘 도시 발전에 기여했으나, 수종으로 사망하며 그의 왕조는 오래 지속되지 못했다. - 메시나 출신 - 빈첸초 니발리
빈첸초 니발리는 이탈리아의 은퇴한 사이클 선수로, 3개의 그랜드 투어와 3개의 사이클링 기념비에서 우승했으며, 현재는 기술 고문으로 활동하고 있다. - 메시나 출신 - 마리아 그라치아 쿠치노타
마리아 그라치아 쿠치노타는 1987년 미스 이탈리아 3위 입상을 통해 배우 및 모델 경력을 시작하여 영화 《일 포스티노》로 국제적 인지도를 얻고, 《007 언리미티드》, 《소프라노스》 등 다양한 작품에 출연하며 영화 제작자로도 활동하는 이탈리아 배우이다. - 기원전 4세기 철학자 - 플라톤
플라톤은 소크라테스의 제자이자 아테네에 아카데메이아를 설립하여 철학, 수학 등을 가르치고 이데아론, 영혼론 등을 주요 사상으로 삼아 서양 철학에 큰 영향을 미친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이다. - 기원전 4세기 철학자 - 장자
장자는 중국 전국 시대의 철학자로, 《장자》를 저술하여 개인의 자유와 무위자연의 삶을 추구했으며 노장사상으로 도교에 영향을 미쳤다.
에우헤메로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에우헤메로스 |
로마자 표기 | Euhemerus |
출생 | 기원전 4세기 |
출생지 | 메시나 (시칠리아) |
사망 | 기원전 3세기 |
직업 | 작가, 철학자, 신화학자, 역사가 |
국적 | 그리스 |
2. 생애
에우헤메로스의 삶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그의 출생지에 대해서는 여러 주장이 엇갈린다. 디오도로스 시켈로스[1], 플루타르코스[2], 폴리비오스[3] 등 고대 작가들은 그가 메세네 출신이라고 기록했지만, 이것이 펠로폰네소스의 메세네인지, 시칠리아의 그리스 식민지였던 메세네(메시나)인지는 분명하지 않다. 다른 기록에서는 키오스나 테게아 (가짜 플루타르코스), 아그리젠토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 아르노비우스)를 출생지로 언급하기도 한다.[4] 하지만 오늘날 대부분의 학자들은 그가 시칠리아의 메세네 출신이라는 견해를 지지한다.[4]
에우헤메로스의 주요 저작인 《히에라 아나그라페(신성한 기록)》(Ἱερὰ ἀναγραφή|Hierà anagraphḗgrc, Sacra historia|사크라 히스토리아la)는 현재 원본이 소실되어 단편들만 전해진다. 이 단편들은 주로 다른 고대 작가들의 저술을 통해 알려져 있다. 디오도로스 시켈로스는 그의 저서 《비블리오테카 히스토리카》 제5권과 제6권에서 에우헤메로스의 글을 발췌하여 인용했으며,[6] 특히 제6권은 유실되었으나, 유세비우스가 그의 저서 《복음 준비(Praeparatio evangelica)》에서 이 부분을 길게 인용하여 내용을 보존했다.[7] 고대 로마의 시인 엔니우스는 에우헤메로스의 작품을 처음으로 라틴어로 번역했으나 이 번역본 역시 소실되었다. 하지만 서기 3세기 기독교 작가 락탄티우스가 그의 저서 《신성 강론(Divine Institutes)》 제1권에서 엔니우스의 번역본을 상당 부분 인용하여 그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8] 이 외에도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의 저술 등에서 다른 단편들이 발견된다.[9] 이러한 단편들과 참고 문헌들을 통해 현대 학자들은 에우헤메로스 작품의 전체적인 모습을 상당 부분 복원할 수 있었다.[10]
에우헤메로스는 "에우헤메리즘"(Εὐημερισμός|에우헤메리스모스grc)으로 알려진 합리화 해석 방법으로 주로 알려져 있다. 이 방법은 신화적 설명을 역사적 사건의 반영으로 보거나, 신화 속 인물을 실제 역사적 인물로 취급하되, 시간이 지나면서 전통적인 ''관습''이나 재해석, 과장 등에 의해 변형된 것으로 간주한다. 벌핀치의 『벌핀치의 신화』와 같은 비교적 후대의 신화 해설서에서는 에우헤메리즘을 신화의 "역사적 해석"이라고 부르기도 한다.[14] 현대 학계에서는 에우헤메리즘을 신화가 실제 역사적 사건을 왜곡하여 설명하는 이론으로 정의한다.[15]
[1]
서적
Diodorus vi.1.1
디오도로스 시켈로스는 에우헤메로스의 생애에 대한 몇 가지 단서를 제공한다.[5] 디오도로스에 따르면, 에우헤메로스는 마케도니아의 왕 카산드로스 (기원전 305년–297년)와 개인적인 친구 사이였으며, 마케도니아 궁정에서 중요한 인물이었다. 그는 기원전 3세기 초에 자신의 주요 저서인 "히에라 아나그라페"(신성한 역사)를 저술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3. 《히에라 아나그라페(신성한 기록)》
《히에라 아나그라페》는 철학적인 소설 형식을 띤 여행기로 여겨지며, 오늘날에는 일반적으로 철학적 로맨스로 분류된다. 작품 속에서 에우헤메로스의 문학적 페르소나는 아라비아 해를 항해하다 판카이아(Panchaia)라는 상상의 섬에 도착한다. 유세비우스에 따르면, 이 항해는 마케도니아의 카산드로스 왕의 요청으로 이루어졌다고 한다. 판카이아 섬은 여러 민족으로 구성된 유토피아 사회로 묘사된다. 에우헤메로스는 이 섬의 제우스 트리필리우스 신전에서 고대의 비문을 발견했다고 주장하며, 이 비문을 통해 전통적인 신화에 대한 비판을 제기한다.[11]
이 비문은 신전의 황금 기둥에 새겨져 있었으며, 그리스 신화의 신들이 본래 위대한 업적을 남긴 인간 왕이나 영웅이었고, 사후에 사람들의 숭배를 받아 신격화된 존재에 불과하다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예를 들어, 그리스 신화에서 우주의 지배권을 다투었던 우라노스, 크로노스, 제우스는 사실 판카이아 섬을 다스렸던 역대 왕들이었다. 특히 제우스는 강력한 힘을 가진 위대한 정복자이자 크레타의 왕이었으며, 사후에 그의 업적 때문에 신으로 추앙받아 그리스 민족의 최고신이 되었다는 것이다. 실제로 크노소스 근처에는 제우스의 무덤이라고 전해지는 장소가 있었는데, 이는 전통적인 신앙을 가진 이들 사이에서 크레타인들이 거짓말쟁이라는 평판을 만들거나 강화하는 요인이 되기도 했다.[13] 이러한 주장은 신들을 역사적 인물로 해석하는 에우헤메리즘의 핵심 내용이 된다.
에우헤메로스의 이러한 시도는 헬레니즘 시대에 널리 퍼져 있던, 전통적인 종교적 믿음과 신화를 합리적이고 자연주의적인 방식으로 설명하려는 경향과 맥을 같이 한다. 그는 신화 속 신들을 과거의 위대한 왕, 영웅, 정복자, 또는 백성에게 큰 은혜를 베푼 인물로 해석함으로써, 그들이 사후에 숭배의 대상이 된 이유를 설명하고자 했다.
4. 에우헤메리즘
에우헤메로스가 처음으로 역사적 관점에서 신화를 합리화하려 시도한 인물은 아니다. 에우헤메리즘적인 관점은 크세노파네스, 헤로도토스, 아브데라의 헤카타이오스, 에포루스 등 이전 작가들의 저술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16][17] 그러나 에우헤메로스는 이러한 관점을 모든 신화에 적용할 수 있는 포괄적인 이론으로 발전시켰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그는 신화를 본질적으로 "변장한 역사"로 보았다.[18]
에우헤메로스의 저작 『히에라 아나그라페』(신성한 역사)는 현재 디오도로스 시켈로스가 인용한 일부 단편과 라틴어 번역본의 단편만이 전해진다. 이 책은 여행기 형식을 띠고 있는데, 주인공이 상상 속의 아라비아에 있는 판카이아(Παγχαία|팡카이아grc)라는 섬나라를 방문하는 이야기이다. 판카이아는 다양한 민족이 조화롭게 살아가는 유토피아로 묘사된다. 주인공은 그곳 제우스 신전의 황금 기둥에 새겨진 비문을 발견하는데, 그 내용은 신들이 사후에 신격화된 인간 영웅이나 왕들에 불과하다는 것이었다. 그리스 신화에서 우주의 지배권을 놓고 다투었던 우라노스, 크로노스, 제우스는 사실 판카이아를 다스렸던 역대 왕들이었으며, 특히 제우스는 강력한 힘으로 크레타 섬까지 지배했던 인물이었으나 사후 신격화되어 그리스 민족의 주신으로 숭배받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는 에우헤메리즘 이론의 핵심을 보여준다.
참조
[2]
서적
De Iside et Osiride, 23 (360A)
[3]
서적
Hist. 34.5 apud Strabo ii.4.2
[4]
서적
Ne´methy 1889: 4; van Gils 1902: 12; Jacoby 1909; van der Meer 1949: 9.
[5]
서적
Diodorus vi.1.4.
[6]
서적
Diodorus v.41.4–46, vi.1.
[7]
서적
Eusebius Praep. evan. ii.2.59B-61A.
[8]
서적
Lactantius Div. inst. i.11, 13, 14, 17, 22.
[9]
서적
Bibliotheca classica: or, A classical dictionary: containing a copious account of the principal proper names mentioned in ancient authors; with the value of coins, weights, and measures, used among the Greeks and Romans; and a chronological table, Volume 1
John Lemprière, G. & C. & H. Carvill
1833
[10]
학술지
Euhemerus in Context
https://online.ucpre[...]
2006-10-01
[11]
문서
Plutarch noted that no Greek nor barbarian had ever seen such an island. (Fragment noted in Spyridakis 1968:338).
[12]
문서
(Brown 1946:262); compare Plato's Atlantis or the exotic tropical isle described by Iambulus, which was noted in Diodorus 2.55ff. (Spryidakis 1968:338).
[13]
서적
Sprydakis 1968:340.
[14]
서적
Bulfinch's Mythology
Kessinger
2004
[15]
서적
The Problem of Defining Myth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4
[16]
학술지
Zeus Is Dead: Euhemerus and Crete
1968-05
[17]
서적
Herodotus presented rationalized accounts of the myth of Io (Histories I.1ff) and events of the Trojan War (Histories 2.118ff).
[18]
서적
An introduction to mythology
Lewis Spence
19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