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연휴는 특정 국가나 지역에서 공휴일과 주말을 연결하여 긴 휴식을 취하는 기간을 의미한다. 다양한 문화권에서 공휴일과 주말 사이의 평일을 휴일로 지정하거나, 공휴일을 월요일로 옮기는 등의 방식으로 연휴를 만들어 낸다. 유럽에서는 '다리의 날'과 같은 용어를 사용하여 연휴를 표현하며, 미국에서는 공휴일을 월요일로 지정하여 3일 연휴를 만드는 경우가 많다. 한국에서는 설날과 추석 연휴에 대체공휴일 제도를 적용하며, 징검다리 연휴에 연차를 활용하여 긴 휴가를 즐기는 문화가 발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휴일 - 대체휴일제도
대체휴일제도는 공휴일이 주말과 겹칠 때 다른 날을 휴일로 지정하여 국민의 휴식권 보장 및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제도로, 대한민국은 2013년부터 시행하여 대부분의 국경일에 적용되며, 각 국가는 법적 근거, 적용 대상, 지정 기준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 휴일 - 주휴수당
주휴수당은 대한민국 근로기준법에 따라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는 노동자에게 지급되는 임금으로, 미지급 시 임금체불로 진정 제기가 가능하며, 최저임금 인상 등에 따라 폐지 논란이 있다. - 노동 시간 - 안식일
안식일은 유대교의 중요한 성일로, 창조 7일째의 하나님의 쉼을 기념하고 이집트 탈출과 미래 메시아 시대를 예표하며, 토라 낭독, 기도, 가족 교류를 통해 지켜지고 39가지 멜라카가 금지되나 생명이 위급한 경우 예외가 허용되며, 기독교의 주일, 이슬람교의 금요일과 유사한 의미를 가진다. - 노동 시간 - 초과근무
초과근무는 정상 근무시간을 넘어서는 노동에 대해 수당, 대체휴가, 보상휴가 등으로 보상받을 수 있으며, 각국 법률에 따라 허용 여부와 보상 방식이 다르지만, 한국에서는 근로기준법에 따라 대체휴가가 가능하고, 가산임금 지급 의무가 존재하며, 장시간 노동 문화와 은폐된 초과근무 등의 문제점이 있다.
| 연휴 | |
|---|---|
| 지도 정보 | |
| 기본 정보 | |
| 유형 | 공휴일로 인해 생기는 3일 이상의 휴일 |
| 관련 용어 | 긴 주말 3일 주말 4일 주말 연장된 주말 |
| 각국 정보 | |
| 관련 법률 | 미국, 캐나다, 영국, 호주, 뉴질랜드, 일본을 포함한 여러 나라의 노동법에 규정됨 |
| 사회적 영향 | |
| 소비 증가 | 여행 및 여가 활동 증가 소매업계 매출 증가 |
| 교통량 증가 | 교통 체증 및 혼잡 증가 대중교통 이용량 증가 |
| 긍정적 효과 | 개인의 휴식 및 재충전 기회 제공 가족 및 친구들과 함께하는 시간 증가 지역 경제 활성화 |
| 다른 문화권의 연휴 | |
| 일본 | '황금연휴'와 같은 긴 연휴 존재 |
| 중국 | '황금주'와 같은 긴 연휴 존재 |
| 한국 | '설날', '추석'과 같은 긴 연휴 존재 |
| 기타 | |
| 추가 정보 | 연휴는 국가별 공휴일 및 문화적 전통에 따라 다르게 지정됨 특정 연휴는 종교적 또는 역사적 의미를 가짐 연휴는 사회적 활동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 |
2. 세계의 연휴
플랑드르(벨기에의 네덜란드어 사용 지역)에서는 "brugdag"(다리의 날)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네덜란드에서는 "Klemdag"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프랑스에서는 "faire le pont"("다리를 만들다")라는 관용구를 사용하는데, 추가적인 휴일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목요일에 공식 휴일이 이미 있는 경우, 금요일에 "faire le pont"하여 목요일부터 일요일까지 포함하여 4일간의 주말을 만들 수 있다.
독일어에서도 다리와 관련된 용어가 사용된다. 휴일인 목요일(또는 화요일)과 주말 사이의 공백을 채우기 위해 휴가를 내는 날을 독일과 스위스에서는 "Brückentag"("다리의 날"), 오스트리아에서는 "Fenstertag"("창문의 날")이라고 한다. 승천절은 독일 전역의 휴일이며 성체 성혈 축일은 독일 대부분 지역의 휴일이기 때문에(두 휴일 모두 항상 목요일에 해당함), 이러한 "다리의 날"은 꽤 흔하지만 항상 비공식적인 성격을 띤다.
이탈리아 사람들은 "Fare il ponte"라는 관용구를 사용한다. 문자 그대로 "다리를 만들다"라는 뜻이다. 다리가 금요일을 넘어선다면 목요일-일요일 주말이 될 수 있고, 다리가 월요일을 넘어선다면 토요일-화요일 주말이 될 수 있다.
노르웨이에서는 "oval weekend"(노르웨이어로 "oval helg")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일반적인 주말은 "둥근"(명시적으로 언급되지는 않지만) 것으로 간주되며, 추가적인 휴일을 추가하면 "타원형"이 된다. 노르웨이 사람들은 또한 공휴일과 주말 사이에 있는 "inneklemte"(끼어든) 날들을 언급한다. 이는 항상 목요일에 해당하는 승천절 이후의 금요일에 일반적이다. 주말을 4일로 연장하기 위해 이러한 날에는 일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폴란드에서는 1년에 여러 번 긴 주말이 발생한다. 폴란드어에서 "długi weekend"("긴 주말")라는 용어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부활절 주말과 크리스마스 주말 외에도 성체 성혈 축일 주말(성체 성혈 축일은 항상 목요일이며 사람들은 보통 금요일도 휴가를 낸다)이 있으며, 다른 휴일 주변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가장 잘 알려진 긴 주말은 5월 초로, 5월 1일 노동절과 5월 3일 5월 3일 헌법 기념일의 휴일이 있다. 주말은 실제로 4월 28일부터 5월 6일까지 최대 9일까지 길어질 수 있으며, 폴란드 사람들은 1~3일의 휴가를 내고 짧은 휴가를 가는 경우가 많다.
포르투갈도 포르투갈어 단어 "ponte"를 사용하여 다리 관용구를 사용한다.
슬로베니아어에서는 3일 주말을 "podaljšan vikend"("연장된 주말")이라고 한다. 5월 1일과 5월 2일이 슬로베니아의 공휴일(모두 메이데이)이기 때문에 4일 주말도 발생한다. 특이한 일치는 크리스마스와 독립 및 통일의 날이 연속적인 두 날짜에 해당한다는 점이다.
영국에서는 대부분의 공휴일이 법령에 따라 "은행 공휴일"(bank holidays)이라고 불리는데, 잉글랜드와 웨일스의 8개 영국의 공휴일 중 5개는 항상 월요일이나 금요일에 해당한다. 영국의 고정된 날짜의 휴일이 주말에 해당하는 경우, 다음 평일이 일반적으로 대체 휴일로 지정된다. 따라서 은행 공휴일은 일반적으로 주말 연장을 형성하며 "은행 공휴일 주말"로 알려져 있다. 이 용어는 일부 영연방 국가와 아일랜드 공화국에서도 일반적이다. 그러나 영국 노동법에 따라 은행 공휴일에 휴가를 자동으로 받을 권리는 없으며, 따라서 모든 사람이 긴 주말의 혜택을 받는 것은 아니다. 직원이 은행 공휴일에 휴가를 받을 자격이 있는 경우, 이는 5.6주에 해당하는 법정 연차 휴가에 포함될 수 있지만, 많은 회사는 직원의 계약된 연차 휴가에 추가하여 은행 공휴일을 제공한다.
스페인에서는 1978년 스페인 헌법 기념일(12월 6일)과 성모 마리아 무염시태 축일(12월 8일)이 각각 화요일과 목요일에 해당하는 경우, 다리가 "macropuente"가 된다.
스웨덴에서는 주말과 은행 공휴일 사이의 날을 "klämdag"("짜인 날")이라고 한다. 많은 스웨덴 사람들은 긴 주말을 갖기 위해 휴가를 낸다.
아르헨티나(Argentina)에서는 화요일, 수요일, 목요일 또는 금요일(때로는 토요일)에 있는 일부 국경일이 긴 주말을 만들기 위해 공식적으로 가장 가까운 월요일로 옮겨진다.
브라질(Brazil)에서는 공휴일이 화요일이나 목요일에 있을 경우, 정부와 교육기관 등 일부 부문에서 공휴일과 주말 사이의 날을 공휴일로 지정한다. 4일 또는 3일의 긴 주말은 브라질 포르투갈어(Brazilian Portuguese)로 ''feriados prolongados''("연장된 공휴일") 또는 일반적인 형태인 ''feriadão''("큰 공휴일")이라고 한다. 이러한 중간의 날은 일반적으로 "imprensado"("압축된(사이에 끼인)") 또는 "enforcado"("매달린")라고 한다. 어느 정도 "ponte"(다리)라는 용어도 사용된다. 또한 동사 ''emendar''(''이어 붙이다'')를 사용하여 ''eu vou emendar o feriado e o fim de semana''("나는 공휴일과 주말을 이어 붙일 것이다.")라고 말할 수도 있다.
칠레(Chile)에서 "sandwich"(샌드위치)는 두 공휴일 사이에 있는 날을 의미하며, 그 자체가 공휴일인지 아닌지는 관계없다. 후자의 경우, 근로자는 휴가일을 사용하여 이 날을 쉴 수 있으며, 이를 "tomarse el sandwich" (직역: "샌드위치를 먹다")라고 한다. 공식적인 글에서는 "sandwich" 대신 "interferiado"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구어체에서는 이러한 날들, 거의 항상 월요일이나 금요일은 "San Lunes" 또는 "San Viernes"(각각 "성 월요일"과 "성 금요일")라고도 부른다.
인도네시아에서는 공휴일 사이에 평일이 있거나 공휴일 중 하나가 주말인 경우, 속칭 "하르피트나스"(Harpitnas, 국경일 끼임/압박의 날/Hari Kejepit Nasionalid)라고 부르며, 일부 기관에서는 휴무를 선포하거나 일부 학생 또는 직원이 자체적으로 휴무를 선포하여 긴 주말을 만들기도 한다. 'Hardiknas'(국가교육의 날, National Education Day)이라고도 한다.
일본에서는 공휴일 사이에 있는 평일이 법적으로 공휴일이다.
미국에서는 미국 연방 공휴일 법에 따라 많은 공휴일의 연방 정부 기념일이 월요일로 공식적으로 변경되었으며, 이는 주로 관광업계의 요청에 따른 것이었다. 이로 인해 긴 주말이 자주 생기는데, 이는 종종 "3일 연휴"라고 불린다. 잘 알려진 4일 연휴는 추수감사절과 그 다음 날 블랙 프라이데이로 시작된다.
이스라엘에서는 인접한 휴일 사이에 평일이 하루나 이틀 낀 경우, 그 날을 '''욤 게셰르'''(욤 게셰르/יום גשרhe, 다리의 날)라고 부른다.
이란에서는 공휴일이 금요일(주말)과 겹치거나 목요일이나 토요일에 공휴일이 있으면, 그 사이의 날(금요일 제외)도 휴일로 지정하는 경우가 있다. 이란에서는 이러한 관행을 베이놀타틸리옌/بینالتعطیلیینfa(바이나 타틸라얀/بَيْن ٱلتَّعْطِيلَيْنar)이라고 부르며, 이는 "두 휴일 사이"를 의미한다.
대한민국의 공휴일은 대부분 음력으로 지정되어 매년 날짜가 바뀌며, 주말과 겹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 경우, 대체공휴일 제도를 통해 연휴를 보장받을 수 있다. 특히, 설날과 추석 연휴는 대체공휴일이 적용되는 대표적인 명절이다. 징검다리 연휴에 연차를 사용하여 긴 휴가를 즐기는 문화도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공휴일이 목요일이나 화요일에 있을 경우, 금요일이나 월요일에 연차를 사용하여 주말을 포함해 4일 이상의 휴가를 만들 수 있다. 설날과 추석은 한국의 대표적인 명절로, 일반적으로 3일 연휴가 주어진다. 이 기간 동안 많은 사람들이 고향을 방문하여 가족, 친지들과 함께 시간을 보낸다. 전통적으로 차례를 지내고 성묘를 하는 등 조상에게 예를 갖추는 풍습이 이어져 오고 있다.
2. 1. 유럽
플랑드르(벨기에의 네덜란드어 사용 지역)에서는 "brugdag"(다리의 날)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네덜란드에서는 "Klemdag"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프랑스에서는 "faire le pont"("다리를 만들다")라는 관용구를 사용하는데, 추가적인 휴일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목요일에 공식 휴일이 이미 있는 경우, 금요일에 "faire le pont"하여 목요일부터 일요일까지 포함하여 4일간의 주말을 만들 수 있다.
독일어에서도 다리와 관련된 용어가 사용된다. 휴일인 목요일(또는 화요일)과 주말 사이의 공백을 채우기 위해 휴가를 내는 날을 독일과 스위스에서는 "Brückentag"("다리의 날"), 오스트리아에서는 "Fenstertag"("창문의 날")이라고 한다. 승천절은 독일 전역의 휴일이며 성체 성혈 축일은 독일 대부분 지역의 휴일이기 때문에(두 휴일 모두 항상 목요일에 해당함), 이러한 "다리의 날"은 꽤 흔하지만 항상 비공식적인 성격을 띤다.
이탈리아 사람들은 "Fare il ponte"라는 관용구를 사용한다. 문자 그대로 "다리를 만들다"라는 뜻이다. 다리가 금요일을 넘어선다면 목요일-일요일 주말이 될 수 있고, 다리가 월요일을 넘어선다면 토요일-화요일 주말이 될 수 있다.
노르웨이에서는 "oval weekend"(노르웨이어로 "oval helg")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일반적인 주말은 "둥근"(명시적으로 언급되지는 않지만) 것으로 간주되며, 추가적인 휴일을 추가하면 "타원형"이 된다. 노르웨이 사람들은 또한 공휴일과 주말 사이에 있는 "inneklemte"(끼어든) 날들을 언급한다. 이는 항상 목요일에 해당하는 승천절 이후의 금요일에 일반적이다. 주말을 4일로 연장하기 위해 이러한 날에는 일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폴란드에서는 1년에 여러 번 긴 주말이 발생한다. 폴란드어에서 "długi weekend"("긴 주말")라는 용어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부활절 주말과 크리스마스 주말 외에도 성체 성혈 축일 주말(성체 성혈 축일은 항상 목요일이며 사람들은 보통 금요일도 휴가를 낸다)이 있으며, 다른 휴일 주변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가장 잘 알려진 긴 주말은 5월 초로, 5월 1일 노동절과 5월 3일 5월 3일 헌법 기념일의 휴일이 있다. 주말은 실제로 4월 28일부터 5월 6일까지 최대 9일까지 길어질 수 있으며, 폴란드 사람들은 1~3일의 휴가를 내고 짧은 휴가를 가는 경우가 많다.
포르투갈도 포르투갈어 단어 "ponte"를 사용하여 다리 관용구를 사용한다.
슬로베니아어에서는 3일 주말을 "podaljšan vikend"("연장된 주말")이라고 한다. 5월 1일과 5월 2일이 슬로베니아의 공휴일(모두 메이데이)이기 때문에 4일 주말도 발생한다. 특이한 일치는 크리스마스와 독립 및 통일의 날이 연속적인 두 날짜에 해당한다는 점이다.
영국에서는 대부분의 공휴일이 법령에 따라 "은행 공휴일"(bank holidays)이라고 불리는데, 잉글랜드와 웨일스의 8개 영국의 공휴일 중 5개는 항상 월요일이나 금요일에 해당한다. 영국의 고정된 날짜의 휴일이 주말에 해당하는 경우, 다음 평일이 일반적으로 대체 휴일로 지정된다. 따라서 은행 공휴일은 일반적으로 주말 연장을 형성하며 "은행 공휴일 주말"로 알려져 있다. 이 용어는 일부 영연방 국가와 아일랜드 공화국에서도 일반적이다. 그러나 영국 노동법에 따라 은행 공휴일에 휴가를 자동으로 받을 권리는 없으며, 따라서 모든 사람이 긴 주말의 혜택을 받는 것은 아니다. 직원이 은행 공휴일에 휴가를 받을 자격이 있는 경우, 이는 5.6주에 해당하는 법정 연차 휴가에 포함될 수 있지만, 많은 회사는 직원의 계약된 연차 휴가에 추가하여 은행 공휴일을 제공한다.
스페인에서는 1978년 스페인 헌법 기념일(12월 6일)과 성모 마리아 무염시태 축일(12월 8일)이 각각 화요일과 목요일에 해당하는 경우, 다리가 "macropuente"가 된다.
스웨덴에서는 주말과 은행 공휴일 사이의 날을 "klämdag"("짜인 날")이라고 한다. 많은 스웨덴 사람들은 긴 주말을 갖기 위해 휴가를 낸다.
2. 1. 1. 벨기에
벨기에의 플랑드르 지역에서는 공휴일과 주말 사이의 징검다리 휴일을 브뤼흐다흐/brugdagnl라고 부르며, 이는 '다리의 날'이라는 뜻이다.2. 1. 2. 네덜란드
네덜란드에서는 공휴일과 주말 사이의 평일을 클렘닥/Klemdagnl(클렘/klemnl은 '끼이다'라는 뜻)이라고 부르며, 많은 기업과 관공서에서 이 날을 휴일로 지정하여 직원들에게 긴 연휴를 제공한다.2. 1. 3. 프랑스
프랑스에서는 공휴일이 화요일이나 목요일에 있을 때, 그 주의 주말까지 쉬는 것을 "다리를 놓다"라는 뜻의 페르 르 퐁/faire le pont프랑스어이라고 한다.2. 1. 4. 독일
독일에서는 공휴일이 목요일일 때, 금요일을 쉬어 토요일, 일요일과 함께 4일 연휴를 만드는 경우가 흔하다. 이러한 금요일을 브뤼켄탁/Brückentagde (다리의 날) 또는 펜스터탁/Fenstertagde (창문의 날)이라고 부른다.특히, 승천절과 성체 성혈 축일은 모두 목요일이기 때문에 이러한 관습이 자주 나타난다.
2. 1. 5. 이탈리아
이탈리아에서는 공휴일이 주말과 가까울 때, "fare il ponte" (다리를 만들다)라는 관용구를 사용한다. 이는 휴일과 주말 사이에 낀 평일을 쉬면서 긴 연휴를 즐기는 것을 의미한다.2. 1. 6. 노르웨이
노르웨이에서는 부활절과 같이 특정 공휴일이 목요일에 올 경우, 그 다음날 금요일을 쉬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토요일과 일요일을 포함하여 "타원형 주말"(oval weekend)이라고 부른다. 또한, 평일 사이에 끼어 있는 공휴일을 "인네클렘테"(inneklemte)라고 표현한다.2. 1. 7. 폴란드
폴란드에서는 5월 1일 노동절과 5월 3일 제헌절이 모두 공휴일이다. 이 두 날짜 사이에 낀 5월 2일은 공휴일이 아니지만, 많은 폴란드인들이 휴가를 내어 5월 1일부터 5월 3일까지, 또는 그 주의 주말까지 연휴를 즐긴다. 이러한 관습 때문에 폴란드에서는 "długi weekend" (드우기 비켄트/długi weekendpl)라는 표현이 생겨났다.2. 1. 8. 포르투갈
포르투갈에서는 "ponte"(다리)라는 용어가 사용되지 않는다.2. 1. 9. 슬로베니아
슬로베니아에서는 "podaljšan vikend" (연장된 주말)이라는 용어가 사용되는데, 이는 주말과 겹치는 공휴일이나, 주중 하루나 이틀만 쉬면 연휴를 즐길 수 있는 경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메이데이 연휴는 매우 인기 있는 휴가 기간이다. 크리스마스와 독립 및 통일의 날은 가족과 함께 보내는 것이 일반적이다.2. 1. 10. 영국
영국에서 "은행 공휴일"(bank holidays)이라는 용어는 1871년 은행 휴무법에 의해 처음 도입되었으며, 은행들이 문을 닫는 날을 의미한다. 은행이 문을 닫으면 다른 사업체들도 영업을 하지 않기 때문에 사실상 공휴일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영국에서는 이 은행 공휴일 외에도 관습법에 따른 공휴일도 존재한다.2. 1. 11. 스페인
스페인의 공휴일은 1978년 스페인 헌법과 관련이 있다. 12월 6일은 1978년 스페인 헌법 기념일이고, 12월 8일은 성모 마리아 무염시태 축일이다. 이 두 공휴일이 주말과 가까울 경우, 스페인에서는 "macropuente" 또는 "puente"라고 불리는 긴 연휴가 발생한다.2. 1. 12. 스웨덴
스웨덴에서는 평일, 특히 주의 시작이나 끝과 휴일 사이에 낀 날을 클렘다그/klämdagsv라고 부르며, 많은 사람들이 이 날에 휴가를 내어 쉰다.2. 2. 중동
이스라엘에서는 인접한 휴일 사이에 평일이 하루나 이틀 낀 경우, 그 날을 '''욤 게셰르'''(욤 게셰르/יום גשרhe, 다리의 날)라고 부른다.이란에서는 공휴일이 금요일(주말)과 겹치거나 목요일이나 토요일에 공휴일이 있으면, 그 사이의 날(금요일 제외)도 휴일로 지정하는 경우가 있다. 이란에서는 이러한 관행을 베이놀타틸리옌/بینالتعطیلیینfa(바이나 타틸라얀/بَيْن ٱلتَّعْطِيلَيْنar)이라고 부르며, 이는 "두 휴일 사이"를 의미한다.
2. 2. 1. 이스라엘
이스라엘에서는 인접한 휴일 사이에 평일이 하루나 이틀 낀 경우, 그 날을 '''욤 게셰르'''( 욤 게셰르/יום גשרhe, 다리의 날)라고 부른다.2. 2. 2. 이란
이란에서는 공휴일이 금요일(주말)과 겹치거나 목요일이나 토요일에 공휴일이 있으면, 그 사이의 날(금요일 제외)도 휴일로 지정하는 경우가 있다. 이란에서는 이러한 관행을 بینالتعطیلیین|بینالتعطیلیین|발음=beyn-ol-ta'tili-yeynfa(바이나 타틸라얀/بَيْن ٱلتَّعْطِيلَيْنar)이라고 부르며, 이는 "두 휴일 사이"를 의미한다.2. 3. 북미
미국에서는 미국 연방 공휴일 법에 따라 많은 공휴일의 연방 정부 기념일이 월요일로 공식적으로 변경되었으며,[1] 이는 주로 관광업계의 요청에 따른 것이었다. 이로 인해 긴 주말이 자주 생기는데, 이는 종종 "3일 연휴"라고 불린다.[2] 잘 알려진 4일 연휴는 추수감사절과 그 다음 날 블랙 프라이데이로 시작된다. 미국에서는 추수감사절 다음 날이 블랙 프라이데이인데, 이때부터 연말까지 이어지는 대규모 할인 행사가 진행된다. 이 기간은 전통적으로 쇼핑 시즌으로 여겨지며, 많은 소매점들이 큰 폭의 할인을 제공한다.2. 3. 1. 미국
미국에서는 추수감사절 다음 날이 블랙 프라이데이인데, 이때부터 연말까지 이어지는 대규모 할인 행사가 진행된다. 이 기간은 전통적으로 쇼핑 시즌으로 여겨지며, 많은 소매점들이 큰 폭의 할인을 제공한다.2. 4. 남미
아르헨티나(Argentina)에서는 화요일, 수요일, 목요일 또는 금요일(때로는 토요일)에 있는 일부 국경일이 긴 주말을 만들기 위해 공식적으로 가장 가까운 월요일로 옮겨진다.브라질(Brazil)에서는 공휴일이 화요일이나 목요일에 있을 경우, 정부와 교육기관 등 일부 부문에서 공휴일과 주말 사이의 날을 공휴일로 지정한다. 4일 또는 3일의 긴 주말은 브라질 포르투갈어(Brazilian Portuguese)로 ''feriados prolongados''("연장된 공휴일") 또는 일반적인 형태인 ''feriadão''("큰 공휴일")이라고 한다. 이러한 중간의 날은 일반적으로 "imprensado"("압축된(사이에 끼인)") 또는 "enforcado"("매달린")라고 한다. 어느 정도 "ponte"(다리)라는 용어도 사용된다. 또한 동사 ''emendar''(''이어 붙이다'')를 사용하여 ''eu vou emendar o feriado e o fim de semana''("나는 공휴일과 주말을 이어 붙일 것이다.")라고 말할 수도 있다.
칠레(Chile)에서 "sandwich"(샌드위치)는 두 공휴일 사이에 있는 날을 의미하며, 그 자체가 공휴일인지 아닌지는 관계없다. 후자의 경우, 근로자는 휴가일을 사용하여 이 날을 쉴 수 있으며, 이를 "tomarse el sandwich" (직역: "샌드위치를 먹다")라고 한다. 공식적인 글에서는 "sandwich" 대신 "interferiado"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구어체에서는 이러한 날들, 거의 항상 월요일이나 금요일은 "San Lunes" 또는 "San Viernes"(각각 "성 월요일"과 "성 금요일")라고도 부른다.
2. 4. 1. 아르헨티나
아르헨티나에서는 국경일이 주말과 겹치는 것을 막기 위해, 특정 국경일을 월요일로 옮겨 긴 연휴를 만드는 관습이 있다.2. 4. 2. 브라질
브라질에서는 "feriados prolongados"(연장된 공휴일) 또는 "feriadão"(큰 공휴일)과 같은 표현이 사용된다. 공휴일이 주말과 가까운 요일에 있으면, 많은 사람들이 휴가를 내어 긴 연휴를 즐긴다. 이때 공휴일과 주말 사이의 평일을 쉬는 것을 "imprensado"(압축된) 또는 "enforcado"(매달린)라고 표현한다. 예를 들어, 목요일이 공휴일이면 금요일을 쉬고 토, 일요일까지 쉬는 것이다. 이러한 관행을 "ponte"(다리)라고 부르며, "emendar"(이어 붙이다) 동사를 사용하여 표현하기도 한다.2. 4. 3. 칠레
칠레에서는 공휴일이 주말과 붙어있을 때, 예를 들어 화요일이나 목요일에 공휴일이 있으면, 그 사이의 월요일이나 금요일도 쉴 수 있는 징검다리 연휴가 된다. 이러한 징검다리 연휴를 칠레에서는 "샌드위치(sandwich)"라고 부른다.'interferiado'라는 용어는 두 공휴일 사이의 평일을 의미하며, 'San Lunes'(성 월요일)와 'San Viernes'(성 금요일)는 각각 공휴일 사이의 월요일과 금요일을 종교 축일처럼 대하는 유머 섞인 표현이다.
2. 5. 아시아
인도네시아에서는 공휴일 사이에 평일이 있거나 공휴일 중 하나가 주말인 경우, 속칭 "하르피트나스"(Harpitnas, 국경일 끼임/압박의 날/Hari Kejepit Nasionalid)라고 부르며, 일부 기관에서는 휴무를 선포하거나 일부 학생 또는 직원이 자체적으로 휴무를 선포하여 긴 주말을 만들기도 한다. 'Hardiknas'(국가교육의 날, National Education Day)이라고도 한다.[3]일본에서는 공휴일 사이에 있는 평일이 법적으로 공휴일이다.[3]
2. 5. 1.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에서는 "하르피트나스"(Harpitnas, 국경일 끼임/압박의 날)라는 용어가 사용되는데, 이는 공휴일과 주말 사이에 끼어 있는 평일을 의미한다. 이 날은 보통 비공식적인 휴일로 간주된다. 또한, 5월 2일은 "하르디크나스"(Hardiknas, 국가 교육의 날)로, 교육 발전에 기여한 키 하드자르 데완타라를 기리는 날이다.2. 5. 2. 일본
일본의 공휴일 관련 법률에 따르면, 공휴일 사이에 낀 평일은 자동으로 공휴일이 된다.2. 5. 3.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공휴일은 대부분 음력으로 지정되어 매년 날짜가 바뀌며, 주말과 겹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 경우, 대체공휴일 제도를 통해 연휴를 보장받을 수 있다. 특히, 설날과 추석 연휴는 대체공휴일이 적용되는 대표적인 명절이다.징검다리 연휴에 연차를 사용하여 긴 휴가를 즐기는 문화도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공휴일이 목요일이나 화요일에 있을 경우, 금요일이나 월요일에 연차를 사용하여 주말을 포함해 4일 이상의 휴가를 만들 수 있다.
설날과 추석은 한국의 대표적인 명절로, 일반적으로 3일 연휴가 주어진다. 이 기간 동안 많은 사람들이 고향을 방문하여 가족, 친지들과 함께 시간을 보낸다. 전통적으로 차례를 지내고 성묘를 하는 등 조상에게 예를 갖추는 풍습이 이어져 오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Uniform Monday Holiday Act
https://www.archives[...]
1968-01-15
[2]
웹사이트
Presidents Day
http://www.snopes.co[...]
Snopes.com
2008-02-17
[3]
웹사이트
NATIONAL HOLIDAYS IN JAPAN
https://www.japansp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