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기준예산제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기준예산제도는 예산 편성 시 과거의 예산 규모에 얽매이지 않고, 모든 사업을 원점에서부터 재검토하여 우선순위에 따라 예산을 배분하는 방식이다. 1970년 텍사스 인스트루먼트의 회계 관리자였던 피터 파이흐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조지아 주지사 지미 카터가 이 제도를 도입하여 성과를 거둔 후, 카터가 대통령으로 당선되면서 연방 정부에도 도입되었다. 그러나 로널드 레이건 행정부 출범 이후 폐지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1983년에 처음 시도되었다. 영기준예산제도는 예산 낭비를 막고 탄력적인 재정 운영을 가능하게 하지만, 서류 작업의 복잡성과 장기적인 목표 경시, 정치적 요인의 간과 등의 단점도 존재한다. 민간 부문에서는 3G 캐피털 등이 활용하여 비용 절감 및 주가 상승 효과를 보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예산 - 성과주의예산제도
성과주의 예산 제도는 정부 예산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사업 성과를 측정하여 예산 배분에 반영하는 제도이지만, 대한민국에서는 여러 문제로 인해 정착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효율성 증대와 생산성 향상이라는 장점과 함께 시간 및 노력 과다 소요, 수량화 곤란 영역 소외, 단기적 성과 치중 등의 단점을 가진다.
영기준예산제도 | |
---|---|
영기준 예산제도 | |
![]() | |
유형 | 예산 책정 |
개요 | |
정의 | 모든 예산 항목을 제로베이스에서 재평가하여 예산을 결정하는 방식 |
특징 | 각 부서 또는 기관은 기존의 예산을 기준으로 증액이나 감액을 요구하는 대신, 모든 사업 계획을 원점에서 검토하고 우선순위에 따라 예산을 요구해야 함 각 사업의 필요성과 효율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하여 불필요하거나 비효율적인 사업은 과감하게 삭감하고, 우선순위가 높은 사업에 예산을 집중 투자할 수 있음 |
역사 | |
기원 | 1969년 피터 A. 파이어가 텍사스 인스트루먼트에서 개발 |
도입 | 1977년 지미 카터 대통령이 연방 정부에 도입 |
장단점 | |
장점 | 예산 낭비 감소 자원 배분의 효율성 향상 조직의 목표와 전략에 부합하는 예산 편성 변화하는 환경에 대한 적응력 향상 모든 예산 항목을 제로베이스에서 재평가하므로 불필요하거나 비효율적인 사업을 식별하고 제거하는 데 도움이 됨 예산 결정을 위한 객관적인 기준을 제시하고, 정치적인 압력이나 관행에 의한 예산 배분을 방지할 수 있음 |
단점 | 시간과 비용 소모적 정보 수집 및 분석의 어려움 단기적인 시각에 치우칠 수 있음 조직 구성원의 저항 모든 사업 계획을 원점에서 검토해야 하므로 예산 편성 과정이 복잡하고 시간이 오래 걸림 각 사업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주관적인 판단이 개입될 수 있으며, 조직 구성원 간의 갈등을 유발할 수 있음 |
적용 | |
적용 분야 | 정부 기관 기업 비영리 단체 |
효과 | 예산 삭감 및 효율성 향상 |
같이 보기 | |
관련 개념 | 예산 성과주의 예산 총체적 품질 경영 경제적 가치 부가 |
2. 역사
영기준예산제도는 1970년 피터 파이흐(Peter A. Pyhrr)가 텍사스 인스트루먼트에서 근무하며 처음 개발하고 적용한 예산 편성 방식이다.[1][4] 그는 자신의 연구 결과를 발표하고 책으로 출간했으며,[16][17] 당시 조지아주 주지사였던 지미 카터에 의해 발탁되어 1973년부터 조지아 주 정부 예산 편성에 이 제도를 성공적으로 도입했다.[18][1]
1973년 석유 파동 이후 재정 효율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영기준예산제도는 주목받았고,[19] 카터는 1977년 대통령 당선 후 연방 정부에도 이를 도입했다. 1979년 회계연도 예산부터 적용되었으나,[5][6][15] 1981년 로널드 레이건 행정부가 출범하면서 연방 정부 차원의 시행은 중단되었다.[15]
대한민국에서는 1983년에 처음으로 영기준예산제도 도입을 시도한 바 있다.[19]
2. 1. 기원과 발전
영기준예산제도(ZBB)는 1970년 미국의 피터 파이흐(Peter A. Pyhrr)가 텍사스 인스트루먼트에서 회계 관리자로 근무하며 개발했다.[1] 그는 기능별 영역에 전략적 목표를 연계하여 예산 편성에 반영하는 시스템을 고안했으며, 이는 회사의 재정 효율화에 기여했다. 이보다 앞서 1962년 미국 농무부에서 유사한 제도를 시도했으나 성공하지는 못했다.[15] 파이흐는 자신의 시스템이 효과를 보이자 1970년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에 관련 논문을 기고했고,[16] 1973년에는 내용을 보강하여 책으로 출간했다.[17]당시 조지아주 주지사였던 지미 카터는 파이흐의 논문을 접하고 그를 영입하여 조지아 주의 예산 과정 개혁을 맡겼다.[1] 카터는 1973년 회계연도부터 영기준예산제도를 주 정부에 성공적으로 도입하여 좋은 성과를 거두었다.[18][4] 마침 1973년 석유 파동으로 인해 미국 사회 전반에 걸쳐 재정 감축과 효율적 예산 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던 시기였고, 영기준예산제도는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제도로 주목받았다.[19] 조지아 주에서의 성공은 이후 다른 정부 기관과 민간 기업으로 ZBB가 확산되는 계기가 되었다.[15]
1977년 미국의 대통령으로 당선된 카터는 영기준예산제도를 연방 정부 차원으로 확대 적용했다. 그는 '1976년 정부 경제 및 지출 개혁법'(Government Economy and Spending Reform Act of 1976) 제정을 통해[5] 미국 관리예산실에 연방 정부와 중앙 행정기관의 ZBB 도입을 지시했다. 이에 따라 1979년 회계연도부터 미국 연방 정부 예산 편성에 영기준예산제도가 적용되었다.[6] 그러나 1981년 로널드 레이건 행정부가 출범하면서 연방 정부 차원의 영기준예산제도는 폐지되었다.[15]
대한민국에서는 1983년에 처음으로 영기준예산제도를 도입하려는 시도가 있었다.[19]
2. 2. 미국 연방 정부의 도입과 폐지
1973년 석유 파동을 겪으며 미국 사회에서는 감축 관리에 대한 관심이 커졌고,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제도로 영기준예산제도가 주목받았다.[19] 지미 카터는 조지아주 주지사 시절 피터 파이흐를 등용하여 영기준예산제도를 성공적으로 도입하고 좋은 성과를 얻은 경험이 있었다.[18][1]1977년 대통령에 당선된 카터는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영기준예산제도를 연방 정부 차원으로 확대 적용하고자 했다. 그는 의회에서 ''정부 경제 및 지출 개혁법''(Government Economy and Spending Reform Act of 1976eng)을 통과시키고,[5] 미국 관리예산실에 지시하여 연방 정부와 중앙 행정 기관에 영기준예산제도를 적용하도록 했다. 이에 따라 1979년 회계연도부터 연방 정부 예산은 영기준예산제도에 의해 편성되기 시작했다.[15]
당시 미국 정부 회계 감사원(GAO)은 연방 정부에 도입된 영기준예산(ZBB)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영기준예산(ZBB)은 1977년 연방 정부에 도입된 행정부 예산 수립 프로세스였다. 그 주된 초점은 대안적인 예산 수준에서 사용할 수 있는 산출물을 최적화하는 것이었다. ZBB 하에서 기관은 대체 지출 수준에서 달성할 수 있는 프로그램 결과에 따라 우선순위를 설정해야 했으며, 그 중 하나는 현재 자금 조달보다 낮아야 했다."[6]
그러나 카터 행정부의 이러한 예산 개혁 시도는 오래가지 못했다. 1981년 로널드 레이건 행정부가 출범하면서 연방 정부에서의 영기준예산제도는 폐지되었다.[15]
2. 3. 대한민국의 도입과 현황
(해당 섹션 내용을 뒷받침할 정보가 원본 소스에 존재하지 않습니다.)3. 내용
영기준예산제도(Zero-Based Budgeting|ZBB영어)는 예산을 편성할 때 기존의 예산 내역을 고려하지 않고 모든 사업과 활동을 '영(0)', 즉 원점에서부터 새로 검토하여 그 타당성과 우선순위에 따라 예산을 배분하는 방식이다.[20] 이는 기존에 진행되던 사업과 신규 사업을 구분하지 않고 모든 사업을 분석 대상으로 삼아 우선순위를 매기고, 그 순위에 따라 예산을 편성하는 것을 핵심으로 한다.[20]
이 제도는 텍사스 인스트루먼트의 회계 관리자였던 피터 파이러가 기능별 영역의 전략적 목표를 예산 편성에 연계하기 위해 처음 개발했다. 파이러의 시스템은 비용을 과거 결과와 현재의 기대치에 따라 그룹화하고 측정하여, 경영진이 과거 지출의 관성이 아닌 현재의 실제 필요에 따라 자금을 배분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1] 이후 당시 조지아주 주지사였던 지미 카터는 파이러를 임명하여 1973년 주의 예산 과정에 이 제도를 도입했다.[1][4]
지미 카터가 미국 대통령으로 당선된 후, 미국 연방 정부는 ''1976년 정부 경제 및 지출 개혁법''에 따라 1977년부터 영기준예산제도를 시행했다.[5][6] 카터 행정부는 기관들이 여러 예산 수준(현재 수준보다 낮은 수준 포함)에서 달성 가능한 성과를 기준으로 우선순위를 정하도록 요구했다.[6] 이 제도는 입법부, 정부 기관, 행정부 등 다양한 주체들이 활용했으며, 활동의 효율성을 평가하고 불필요하거나 비효율적인 활동을 줄이거나 제거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5] 미국 회계감사원(GAO)에 따르면, ZBB는 "대안적인 예산 수준에서 사용할 수 있는 산출물을 최적화하는 것"에 주된 초점을 두었다.[6] 그러나 연방 정부에서의 영기준예산제도는 1981년 8월 공식적으로 폐지되었다.[6]
영기준예산제도는 기업이나 정부가 각 부서의 자금 지원 필요성을 전년도 예산이나 과거 지출 관행에 얽매이지 않고 현재 시점에서 평가하도록 유도한다.[2] 하지만 실제 적용 과정에서는 '영 기준'의 의미에 대한 혼란이 있었으며,[7] 모든 프로그램을 매년 원점에서 재검토하는 것의 현실적인 어려움과 과도한 행정 부담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기도 했다.[7] 예를 들어, '영 기준'을 프로그램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최소 자금 수준으로 정의하기도 했으나, 이 수준을 식별하는 것은 주관적이고 어려웠다.[7] 일부 주에서는 단순히 작년 예산보다 일정 비율 낮은 수준(예: 50%, 80%, 90%)을 대안으로 설정하기도 했다.[8]
3. 1. 예산 편성 절차
영기준예산제도는 예산 요구액 하나하나에 대해 '영(0)', 즉 원점에서 출발하여 타당한 근거를 요구하는 관점에 기초한다.[20] 기존에 진행되던 사업과 신규 사업을 구분하지 않고 모든 사업을 분석해 우선순위를 매기고 그 순위에 따라 예산을 편성하는 것이다.[20]예산 편성은 기본적으로 다음 세 단계를 거친다.
- '''결정단위 설정''': 활동이나 단위사업과 같은 예산 운영의 의미 있는 최소 단위를 설정하는 단계이다.[20]
- '''결정항목(Decision package영어) 작성''': 사업을 어느 수준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가를 결정하는 단계이다. 즉, 사업의 규모를 축소할 것인가, 유지할 것인가, 확대할 것인가를 결정한다.[19] 이미 진행되고 있는 사업일지라도 신규 사업과 똑같이 평가 과정을 거친다.
- '''우선순위 결정''': 결정항목들을 평가하고 우선순위를 결정해 예산 요구액을 도출하는 단계이다.[20]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모두 상향식(bottom-up영어)으로 이루어진다. 결정단위가 설정되면 하위 단위는 결정항목을 작성한다. 이 결정항목을 중간관리자가 재검토하고, 이는 최고관리자에게까지 올라간다. 최고관리자는 거시적인 안목에서 최종적으로 결정항목을 검토하고, 우선순위를 결정해 이에 따라 예산 요구액을 도출한다.[19]
3. 2. 장점
- 한 번 책정된 예산이 줄어들지 않는 점증주의 예산 편성의 폐단을 막아 예산의 비대화 및 방만화를 방지할 수 있다.[21]
- 사업의 우선순위에 따라 예산을 편성하므로 예산 낭비를 막고 효율적인 재정 운용을 도모할 수 있다.[22]
- 우선순위 평가 및 결정에 따라 시급한 사업에 재원을 배정할 수 있어 탄력적인 재정 운영이 가능하다.[22]
- 하위 계층부터 상위 계층까지 모든 관리자들이 예산 편성에 참여하므로 민주적인 의사결정이 가능하다.[19]
- 기존의 계속 사업이라도 신규 사업과 동등한 위치에서 경쟁적으로 자원 배분을 검토하므로, 기득권이나 과거의 관행에 얽매이지 않고 합리적인 예산 편성이 가능하다.[23][2]
- 각 부서가 현재의 필요성을 기준으로 예산을 요구하고 정당화하는 과정에서 불필요한 지출을 찾아 제거하는 데 도움이 된다.
- 직원들을 예산 관련 의사 결정 및 우선순위 결정 과정에 참여시켜 부서 간의 소통을 활발하게 만들 수 있다.
3. 3. 단점
영기준예산제도는 여러 단점을 가지고 있다.- 과도한 서류 작업 및 시간 소요: 예산을 편성하기 위해 작성해야 할 서류가 매우 많고, 제도를 적용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21] 예산 개발 과정 자체가 상당한 시간, 노력, 그리고 추가적인 인력을 요구할 수 있으며,[3] 이는 관리자들이 예산 편성에 지나치게 많은 시간과 노력을 쏟게 만들어 다른 중요한 업무 처리나 급변하는 시장 상황에 대한 신속한 대응을 어렵게 할 수 있다.[3]
- 신규 사업 개발 소홀: 기존 사업을 평가하고 관리하는 데 집중하게 되므로, 상대적으로 새로운 사업을 개발하는 데는 소홀해지기 쉽다.[19]
- 고정비 부담 시 효용성 저하: 인건비나 임대료와 같이 반드시 지출해야 하는 경직성 경비(고정비)의 비중이 클 경우, 예산을 삭감하거나 조정할 여지가 적어 영기준예산제도의 효과가 떨어진다.[19]
- 비용 증가 가능성: 예산 절감을 위해 사업 내용을 자주 변경하는 과정에서 오히려 예상치 못한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19]
- 현실적 요인 간과: 예산 결정 과정에는 경제적 효율성 외에도 정치적 역학 관계 등 다양한 현실적인 측면이 작용하는데, 영기준예산제도는 이러한 부분을 간과할 소지가 있다.[19]
- 우선순위 결정의 어려움: 어떤 사업이 더 중요한지를 결정하는 우선순위 선정은 객관적인 기준만으로 이루어지기 어렵고, 가치 판단이 개입될 수밖에 없다.[19] 또한, 관리자가 자신이 선호하는 특정 프로젝트를 마치 필수적인 지출인 것처럼 포장하여 예산을 확보하려 할 가능성도 존재한다.[3]
- 장기 목표 경시: 매년 예산을 '0'에서 다시 검토하는 과정에서 단기적인 효율성이나 성과에 치중하게 되어, 장기적인 비전이나 목표 달성이 소홀해질 수 있다.[15]
- 조직 대응력 저하: 제도 운영에 필요한 시간과 교육 부담으로 인해 관리자들이 갑작스러운 운영상의 변화나 부서 내 긴급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할 수 있으며,[3] 결과적으로 조직 전체적으로 필요한 자금을 제때 배분하는 데 더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다.[3]
- 실행상의 어려움 및 현실적 제약:
- 미국 연방 정부에서 영기준예산제도를 도입했을 당시, 미국 감사원(GAO)은 기관들이 새로운 계획을 실행할 충분한 시간을 갖지 못했으며, 예산 주기 내에서 계획 수립과 예산 책정을 동시에 진행해야 하는 어려움 때문에 관리자들이 기관 목표 달성을 위한 대안적 접근 방식을 찾는 데 제약을 받았다고 지적했다. 일부 기관에서는 영기준예산 분석에 필요한 성과 정보 자체가 부족하다는 문제도 제기되었다.[6]
- 전미 주 의회 협의회(National Conference of State Legislatures)는 모든 과거의 결정을 무시하고 예산을 편성한다는 영기준예산제도의 원래 개념은 현실적으로 실현 불가능하다고 평가했다. 지미 카터가 조지아주 주지사 시절인 1971년에 도입했을 때도 이미 상당 부분 수정된 형태였다. 주 정부의 지출 중에는 법령, 지방 정부에 대한 재정 지원 의무, 연방 정부의 요구 사항, 법원의 판결(예: 교육 재정, 메디케이드 지원, 환경 규제, 교도소 운영 기준 등)과 같이 단기적으로 변경하기 어려운 항목들이 많기 때문에, 모든 예산을 근본적으로 재검토하는 것은 비효율적일 수 있다.[9]
- '영(0) 기준'이라는 개념 자체에 대한 혼란도 존재한다. 프로그램을 유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자금 수준을 정의하는 것이 주관적이고 어려울 수 있으며,[7] 일부 주에서는 단순히 전년 예산 대비 일정 비율(예: 50%, 80%, 90%)을 삭감하는 것을 '영기준'으로 간주하는 등 변형된 방식으로 운영되기도 했다.[8]
- 시장 변동성 대응 문제: 시장 상황이 불확실하고 급변할 경우, 각 부서가 예산의 필요성과 정당성을 명확하게 입증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3]
4. 공공 부문에서의 활용
텍사스 인스트루먼트가 민간 부문에서 처음으로 영기준예산제도(ZBB)를 개발했다.[4] 이 제도는 조지아주 주지사였던 지미 카터에 의해 공공 부문에 처음 도입되었다. 카터는 1973년 조지아 주의 예산안을 준비하면서 이 방식을 적용했다.[1][5]
이후 카터가 미국 대통령으로 선출되면서, 연방 정부 차원에서도 영기준예산제도가 시행되었다. ''1976년 정부 경제 및 지출 개혁법''에 따라 1977년부터 연방 정부 예산 수립 과정에 ZBB가 도입된 것이다.[5][6] 미국 정부 회계 감사원(GAO)은 당시 ZBB의 주된 초점이 "대안적인 예산 수준에서 사용할 수 있는 산출물을 최적화하는 것"이었다고 평가했다. ZBB 하에서 정부 기관들은 여러 가지 예산 시나리오(대체 지출 수준)를 설정하고, 각 시나리오에서 달성 가능한 프로그램 결과를 기준으로 우선순위를 정해야 했다. 이때 반드시 현재 예산보다 낮은 수준의 시나리오도 포함해야 했다.[6]
미국 정부 내에서 ZBB의 주요 사용자는 입법부(의회, 주 의회, 시의회), 정부 기관(기관장, 부서 관리자), 행정부(대통령, 주지사, 시장 등)이다. 이들은 각기 다른 관점에서 예산을 다루지만, 공통적으로 현재 진행 중인 활동의 효율성을 평가하고, 해당 활동을 축소하거나 폐지할 필요가 있는지 검토해야 했다.[5]
그러나 ZBB는 "사람마다 다른 의미를 지닌다"는 지적도 있었다.[7] 일부에서는 ZBB를 예산을 완전히 처음부터 짜거나 모든 프로그램을 매번 새롭게 정당화하는 과정으로 이해했지만, 대규모 조직에서 모든 프로그램을 매번 영기준으로 검토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고 과도한 서류 작업을 유발할 수 있다는 비판도 제기되었다.[7]
4. 1. 구성 요소
공공 부문에서의 영기준예산 분석은 다음 세 가지 주요 요소로 이루어진다.[6]- 자금 지원 수준 식별: 각 단위에 대해 여러 자금 지원 수준(전통적으로 제로 베이스, 현재 자금 지원 수준, 향상된 서비스 수준)을 식별한다.
- 성과 지표 활용: 각 자금 지원 수준에 따른 단위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성과 지표를 사용한다. 많은 경우, 프로그램 담당자들은 더 낮은 자금 지원 수준에서도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대안적인 모델을 모색하도록 요구받았다.[6]
- 의사 결정 패키지 순위 매기기: 식별된 자금 지원 수준에 대한 의사 결정 패키지들의 우선순위를 정한다.
미국 회계감사원(GAO)은 1997년에 과거의 성과 예산 책정 계획들을 검토한 바 있다.[6] 미국 연방 정부에서는 영기준예산제도가 1981년 8월 7일에 공식적으로 폐지되었지만, 일부에서는 이 제도가 특정 프로그램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고 평가하기도 한다. 영기준예산제도의 요소 중 하나인, 대체 자금 지원 수준을 제시하고 이를 예상 결과와 연결하는 요구 사항은 로널드 레이건 행정부, 조지 H. W. 부시 행정부, 초기 빌 클린턴 행정부 기간 동안 유지되다가 1994년에 폐지되었다.[6]
4. 2. 성과 지표의 중요성
성과 지표는 영기준예산(ZBB) 제도의 핵심 구성 요소이다. 자금 지원 시나리오가 프로그램 운영과 결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기 위한 질적 지표가 반드시 필요하다. 이러한 지표가 없다면 의사 결정 패키지의 우선순위를 정할 수 없어 ZBB는 제대로 작동하기 어렵다. ZBB 분석을 위해서는 대안적인 의사 결정 패키지를 준비하고 순위를 매겨 한계 효용을 따져보는 비교 분석이 필요하다.[8]전통적으로 ZBB 분석은 효과성, 효율성, 업무량이라는 세 가지 유형의 지표에 중점을 둔다. 만약 이러한 지표 시스템이 없거나 개발 중이라면, 간접적이거나 대리적인 지표를 사용할 수도 있다.[6]
4. 3. 정부 운영에 미치는 영향
미국 감사원(GAO)에 따르면, 영기준예산제도(ZBB) 시행 당시 "기관들은 새로운 계획을 시행하기에 충분한 시간이 주어지지 않았다고 생각했다. 예산 주기 내에서 계획 및 예산 책정 기능을 압축해야 하는 요구 사항은 특히 어려움을 겪었고, 프로그램 관리자가 기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대체 접근 방식을 식별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일부 기관 관계자는 ZBB 분석에 필요한 성과 정보가 부족하다고 생각하기도 했다."[6]또한, 전미 주 의회 협의회(National Conference of State Legislatures)는 영기준예산제도의 근본적인 적용에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9] 협의회에 따르면, 원래 의미의 ZBB는 과거의 어떤 결정도 당연하게 받아들이지 않고 모든 기존 예산 결정을 재검토하는 것을 의미하지만, 어떤 주 정부도 이것이 실현 가능하다고 생각하지 않았다. 지미 카터 주지사가 ZBB를 도입했던 조지아주조차도 대폭 수정된 형태를 사용했다.
주 정부 프로그램들은 여러 이유로 매년 영기준 방식으로 재검토하기 어렵다. 법령, 지방 정부에 대한 의무, 연방 정부의 요구 사항, 과거의 사법적 결정 등은 단기적으로 변경하기 어려운 재정적 약속을 만들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교육 자금 지원 수준은 법령, 주 및 연방 사법 결정, 주 헌법 조항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연방 정부는 주 메디케이드(Medicaid) 자금 지원이 특정 최소 수준을 충족하도록 요구하며, 연방법은 환경 프로그램 지출에 영향을 미치고, 법원은 교도소 관련 주 지출 결정에 관여한다. 따라서 많은 주 지출 항목은 영기준예산제도가 본래 의도했던 근본적인 재검토 방식에 적합하지 않다.[9]
결론적으로, 영기준예산제도는 주지사와 입법자들이 주 지출의 점진적인 변화가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검토하도록 장려했다는 점에서 주 예산 책정에 긍정적인 기여를 한 측면이 있다. 그러나 모든 예산 평가를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는 고전적인 형태의 영기준예산제도는 현실적으로 실행하기 어렵다는 한계를 지닌다.[9]
4. 4. 중국 공공 부문에서의 사용
1990년대 중국은 국가 예산 개혁의 필요성을 느끼고 새로운 예산 편성 방식을 모색하던 중 영기준예산제도(Zero-Based Budgeting, ZBB)를 도입하기로 결정했다. 1993년 이전까지 중국의 예산 편성은 서구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았다.ZBB 개념은 1990년대 초 중국에 처음 소개되었으며, 주로 후베이성을 중심으로 시범 도입되었다. 이를 위해 부서별 예산 개혁(Departmental Budget Reform, DBR)이라는 정책이 마련되었으나, 초기 시행 과정은 순탄치 않았다. 네브래스카 대학교의 준 마 교수에 따르면, 후베이성의 모든 부서에 DBR이 일괄 적용되지 않아 일부 부서만 ZBB를 도입했고, 이로 인해 여러 예산 시스템이 혼재하며 비효율을 낳았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전통적인 방식의 ZBB가 중국의 현실에 그대로 적용되기 어렵다는 인식이 확산되었다. 이에 후베이성 정부와 DBR 담당자들은 ZBB의 장점을 취하면서도 현지 상황에 맞는 새로운 시스템 개발에 착수했다. 그 결과 탄생한 것이 중국식 목표 기반 예산 시스템(Target-Based Budgeting, TBB)이다. TBB는 각 정부 부처와 기관이 정해진 기간 내에 비교적 간소화된 예산안을 제출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ZBB를 변형한 TBB는 수년간 후베이성에서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두었지만, 여전히 여러 문제에 직면해 있다. 대표적인 문제점으로는 ▲통합된 예산 관리의 어려움 ▲특정 지출 항목이 예산 통제에서 제외되는 문제 ▲예산 편성에 대한 정치적 입김 등이 꼽힌다.
후베이성은 지출과 예산 외 수입을 통합 관리하여 예산의 투명성을 높이려 했으나, 여전히 정부 재무부의 직접적인 통제를 받지 않는 지출 항목들이 존재한다. 이는 정부 전체 사업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데 혼란을 야기한다. 또한, 정치 관료들이 특정 사업에 대한 선호나 반대 의사를 표명하며 예산 배분 과정에 개입하는 경우가 잦아, 일관성 있는 예산 정책 추진을 어렵게 만든다. 운영비, 인건비, 그리고 해당 회계연도 이후에 시작되는 사업 관련 비용 등 일부 주요 지출 항목이 ZBB나 TBB의 검토 과정에서 제외되는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5. 민간 부문에서의 활용
호르헤 파울로 레만의 제자인 카를로스 브리토는 1990년대 초 Anheuser-Busch InBev에서 영기준예산제도(ZBB) 개념을 도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투자 회사 3G 캐피탈은 자사 운영에 ZBB를 성공적으로 활용했으며, 이후 버거킹, 팀 호튼스, 하인즈, 크래프트 푸드, Popeyes Louisiana Kitchen 등 여러 기업을 인수하면서 유사한 비용 관리 방식을 적용했다. 이 과정에서 수백 개의 관리직을 감축하고 회사 전용기를 매각하는 등 과감한 조치와 함께, 직원들에게 복사 용지 사용 시 허가를 받도록 요구하는 등 사소해 보이는 비용 절감까지 시행했다.[10][11] 이러한 성공 사례는 ZBB가 기업의 재무 부담을 줄이는 만병통치약이라는 인식을 확산시키는 데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12]
그러나 2015년 크래프트와 하인즈가 합병하여 크래프트 하인즈가 된 이후, 일부 분석가들과 전직 직원들은 3G 캐피탈의 ZBB 실행 방식이 오히려 회사의 실적 부진을 초래한 원인 중 하나라고 지적하기도 했다.[13]
5. 1. 주주에 미치는 영향
액센츄어의 분석에 따르면, 영기준예산제도(ZBB)를 성공적으로 도입한 회사들은 주주 가치 증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ZBB를 성공적으로 구현한 회사의 예로는 18%의 비용 절감과 주가 20% 상승을 달성한 소비재 회사가 있다. 또 다른 사례는 주요 상업 은행에서 막대한 자금을 확보하여 "디지털화"에 재투자한 경우와 3년 만에 12억파운드 (약 13.600000000000001억유로)의 비용 절감을 달성한 의료 회사가 있었다.
유니레버는 2017년 상반기 실적 발표에서 ZBB 도입을 통해 마케팅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광고 지출을 효율화했으며, 불필요한 간접 비용을 줄였다고 보고했다.[14]
투자 회사 3G 캐피탈은 ZBB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주주 수익을 증대시킨 사례로 자주 언급된다. 3G 캐피탈이 크래프트를 인수한 후 ZBB를 통해 신속하게 비용을 절감하자, 크래프트의 주가는 36% 상승했다.[10] 이러한 예산 편성은 크래프트와 같은 기업이 효율적인 경쟁사들과 가격 경쟁을 벌이는 데 도움을 주었다. 영기준예산제도는 활용도가 낮은 부서나 과도한 예산이 배정된 프로그램, 낭비적인 지출 등을 찾아내어 절감된 비용을 주주에게 환원하는 데 기여한다.[10]
ZBB 프로그램을 실적 발표 등에서 언급한 주요 기업으로는 몬델리즈 인터내셔널, 캠벨 수프 컴퍼니, 크래프트 하인즈, 안호이저-부시 인베브, 테스코 등이 있다.
그러나 2015년 크래프트와 하인즈의 합병 이후, 일부 분석가들과 전직 직원들은 3G 캐피탈의 ZBB 실행 방식이 오히려 회사의 실적 부진을 초래한 원인 중 하나라고 지적하기도 했다.[13] 이는 ZBB가 기업의 재무 부담을 줄이는 해결책으로 여겨지는 경향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보여준다.[12]
6. 의의 및 평가
기존의 점증적 예산편성 방식의 폐단을 극복한 예산제도라고 평가받는다. 그러나 자체적으로 많은 단점을 가지고 있어, 기존 방식을 전면 대체하기는 어렵고 이를 보완하는 제도로 평가받는다.[20]
참조
[1]
웹사이트
Meet the Father of Zero-Based Budgeting
https://www.wsj.com/[...]
2015-03-27
[2]
간행물
5 best practices to zero-based budgeting
https://www.anaplan.[...]
Anaplan
2023-03-29
[3]
웹사이트
Zero-base budgeting
https://www.accounti[...]
AccountingTools
2020-06-06
[4]
웹사이트
Comparing budgeting techniques {{!}} F5 Performance Management {{!}} ACCA Qualification {{!}} Students {{!}} ACCA {{!}} ACCA Global
https://www.accaglob[...]
www.accaglobal.com
2022-05-18
[5]
논문
The Zero-Base Approach to Government Budgeting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1977-01
[6]
간행물
Performance Budgeting: Past Initiatives Offer Insights for GPRA Implementation
1997-03
[7]
서적
Zero-based Budgeting in the Public Sector: A Pragmatic Approach
Addison-Wesley
1978
[8]
서적
Public Budgeting in America
Prentice-Hall
1990
[9]
웹사이트
National Conference of State Legislatures, Fundamentals of Sound Budgeting Practices, June 1995
http://www.ncsl.org/[...]
2021-06-07
[10]
웹사이트
Kraft-Heinz Deal Shows Brazilian Buyout Firm's Cost-Cutting Recipe
https://www.wsj.com/[...]
2015-03-25
[11]
뉴스
Here's what happens when 3G Capital buys your company
http://fortune.com/2[...]
Fortune
2015-03-25
[12]
웹사이트
Zero-Based Budgeting Is Not a Wonder Diet for Companies
https://hbr.org/2016[...]
2016-06-30
[13]
웹사이트
When Mac & Cheese and Ketchup Don't Mix: The Kraft Heinz Merger Falters
https://www.nytimes.[...]
2019-09-24
[14]
뉴스
The benefits of zero-based budgeting
https://www.european[...]
EuropeanCEO
2018-07-31
[15]
문서
영기준예산제
한국행정학회
[16]
논문
Zero-base budgeting
Harvard Business Review
1970-11
[17]
서적
Zero-base Budgeting: A Practical Management Tool for Evaluating Expenses
https://books.google[...]
Wiley
[18]
논문
The Zero-Base Approach To Government Budgeting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1977-01
[19]
문서
영기준예산 제도
https://terms.naver.[...]
새정보미디어
[20]
문서
영기준 예산제도
https://terms.naver.[...]
법문사
[21]
문서
영기준예산법
https://terms.naver.[...]
매일경제
[22]
문서
영기준예산제도
https://terms.naver.[...]
박문각
[23]
문서
제로베이스 예산
https://terms.naver.[...]
한국경제신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