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수의 기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예수의 기적은 신약성경에 기록된 예수의 초자연적인 행위들을 의미한다. 4개의 복음서에는 다양한 기적들이 기록되어 있으며, 치유, 자연에 대한 지배, 귀신 쫓아냄, 죽은 자를 살리는 등의 유형으로 분류된다. 기적의 유형과 동기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존재하며, 기독교 신학에서는 예수의 신성과 자비, 가르침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건으로 여겨진다. 자유주의 신학에서는 기적을 은유적으로 해석하기도 하며, 비종교적 관점에서는 심리적, 사회적 현상으로 설명하기도 한다. 학자들 사이에서는 기적의 역사성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며, 기적의 문화적, 역사적 배경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예수 - 유다의 입맞춤
유다의 입맞춤은 유다 이스카리옷의 배신 행위로, 예수를 체포하게 만든 사건이며, 위선과 배신을 상징하여 예술 작품의 주제가 되기도 했다. - 예수 - 두 아들의 비유
두 아들의 비유는 아버지의 명령에 불순종 후 순종한 아들과 순종하는 척 불순종한 아들의 이야기를 통해 예수 그리스도가 종교 지도자들의 위선을 비판하고 진정한 회개와 순종의 중요성을 강조한 비유이다. - 예수의 기적 - 예수의 변모
예수의 변모는 공관복음서에 기록된 사건으로, 예수의 모습이 변화하고 모세와 엘리야가 나타나 예수와 대화하며 예수의 신성을 드러내는 사건이다. - 예수의 기적 - 예수의 승천
예수의 승천은 기독교 신학에서 부활한 예수가 하늘로 올라간 사건으로, 누가복음과 사도행전에 기록되었으며, 승천 장소와 시기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기독교 미술에서의 중요한 주제, 교회력 절기인 승천 축일 기념, 이슬람에서의 다른 관점 해석 등 다양한 의미를 지닌다.
| 예수의 기적 | |
|---|---|
| 지도 정보 | |
| 예수의 기적 | |
| 주요 장소 | 갈릴리 카파르나움 예루살렘 베다니 사마리아 티레 시돈 |
| 치유 기적 | |
| 나병 환자 치유 | 마태복음 8:1–4 마가복음 1:40–45 누가복음 5:12–16 누가복음 17:11–19 |
| 백부장의 종 치유 | 마태복음 8:5–13 누가복음 7:1–10 |
| 베드로의 장모 치유 | 마태복음 8:14–15 마가복음 1:29–31 누가복음 4:38–39 |
| 중풍병자 치유 | 마태복음 9:1–8 마가복음 2:1–12 누가복음 5:17–26 |
| 혈루병을 앓는 여인 치유 | 마태복음 9:20–22 마가복음 5:25–34 누가복음 8:43–48 |
| 두 맹인 치유 | 마태복음 9:27–31 |
| 말 못하는 사람 치유 | 마태복음 9:32–33 |
| 손이 오그라든 사람 치유 | 마태복음 12:9–13 마가복음 3:1–6 누가복음 6:6–11 |
| 귀머거리와 말더듬이 치유 | 마가복음 7:31–37 |
| 맹인 치유 | 마가복음 8:22–26 요한복음 9:1–38 |
| 간질병을 앓는 아이 치유 | 마태복음 17:14–18 마가복음 9:14–29 누가복음 9:37–43 |
| 굽은 여자 치유 | 누가복음 13:10–17 |
| 수종병 환자 치유 | 누가복음 14:1–6 |
| 열 명의 나병 환자 치유 | 누가복음 17:11–19 |
| 말고의 귀를 치유 | 누가복음 22:50–51 |
| 자연에 대한 기적 | |
| 물을 포도주로 변화 | 요한복음 2:1–11 |
| 물고기를 많이 잡게 함 | 누가복음 5:1–11 요한복음 21:1–14 |
| 폭풍을 잠재움 | 마태복음 8:23–27 마가복음 4:35–41 누가복음 8:22–25 |
| 물 위를 걸음 | 마태복음 14:22–33 마가복음 6:45–52 요한복음 6:16–21 |
| 오병이어의 기적 | 마태복음 14:13–21 마가복음 6:31–44 누가복음 9:10–17 요한복음 6:5–15 |
| 칠병이어의 기적 | 마태복음 15:32–39 마가복음 8:1–9 |
| 무화과나무 저주 | 마태복음 21:18–22 마가복음 11:12–14 마가복음 11:20–26 |
| 드라크마를 물고 있는 물고기 | 마태복음 17:24–27 |
| 죽음에서 부활한 사람 | |
| 야이로의 딸 부활 | 마태복음 9:18–26 마가복음 5:21–43 누가복음 8:40–56 |
| 나인 과부의 아들 부활 | 누가복음 7:11–17 |
| 나사로 부활 | 요한복음 11:1–44 |
| 이적과 관련된 신학적 관점 | |
| 보수적인 관점 | 일반적으로 기적은 하나님의 전능하심과 예수님의 신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간주된다. |
| 자유주의적 관점 | 기적은 비신화화하거나 비유적으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다. 이들은 기적을 신앙의 표현으로 여기거나 심리적, 사회적 변화를 보여주는 것으로 본다. |
| 자유주의 기독교와 기적 | |
| 주요 견해 | 자유주의 기독교는 기적의 역사적 진실성에 대해 회의적이며, 이적을 상징적 의미나 은유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다. |
| 영향 | 기적에 대한 이러한 견해는 기독교 신앙에 대한 현대적이고 비문자적인 이해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
2. 4복음서에 기록된 기적 비교표
| 기적 | 마태오 복음서 | 마르코 복음서 | 루가 복음서 | 요한 복음서 |
|---|---|---|---|---|
| 가나의 혼인잔치 | O | |||
| 가버나움 회당에서 귀신을 쫓으심 | O | O | ||
| 게네사렛 호수가에서 시몬 베드로에게 배 두 척에 가득 찰 정도의 고기를 잡게 하심 | O | |||
| 나인성에서 죽은 청년을 살리심 | O | |||
| 문둥병자를 고치심 | O | O | O | |
| 백부장의 종을 고치심 | O | O | ||
| 시몬 베드로 장모의 열병을 고치심 | O | O | O | |
| 해 질 무렵 귀신 들린 많은 사람들을 고치심 | O | O | O | |
| 큰 폭풍을 꾸짖어 잔잔하게 하심 | O | O | O | |
| 거라사 지방의 군대 귀신 들린 사람을 고치심 | O | O | O | |
| 침대에 누인 중풍병자를 고치심 | O | O | O | |
| 야이로 회당장의 죽은 딸을 살리심 | O | O | O | |
| 12년 동안 혈루병을 앓던 여자가 고침을 받음 | O | O | O | |
| 갈릴리에서 두 소경을 고치심 | O | |||
| 귀신 들린 벙어리를 고치시고 귀신을 쫓아내심 | O | O | ||
| 베데스다 연못에서 38년 동안 앓고 있던 병자를 고치심 | O | |||
| 회당에서 손이 오그라든 사람을 고치심 | O | O | O | |
| 귀신 들려 눈 멀고 말 못하는 사람을 고쳐주심 | O | O | ||
| 18년 동안 귀신 들려 불구의 몸이 된 여자를 고치심 | O | |||
| 보리떡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로 남자만 5,000명을 먹이심 (빵과 물고기의 기적의 교회) | O | O | O | O |
| 바다 위를 걸으심 | O | O | O | |
| 게네사렛에서 많은 병자들이 고침을 받음 | O | O | ||
| 가나안 여자의 귀신 들린 딸을 고치심 | O | O | ||
| 데가볼리 지방에서 귀 먹고 말 더듬는 자를 고치심 | O | |||
| 빵 일곱 개로 4,000명을 먹이심 | O | O | ||
| 벳새다에서 소경을 고치심 | O | |||
| 변화산에서 모습이 변하여 눈부신 광채가 나옴 | O | O | O | |
| 벙어리 귀신 들린 아이를 고치심 | O | O | O | |
| 낚시로 잡은 물고기의 입에서 은화를 꺼내심 (공물의 돈) | O | |||
| 몸이 부은 수종증 환자를 고치심 | O | |||
| 문둥병자 10명을 고치심 | O | |||
| 날 때부터 소경된 자를 고치심 | O | |||
| 여리고 근처에서 소경을 고치심 | O | O | O | |
| 죽은 지 4일 된 나사로를 살리심 | O | |||
| 입만 무성하고 열매가 없는 무화과 나무를 말리심 | O | O | ||
| 칼에 잘려진 하인의 귀를 붙이심 | O | |||
| 제자들에게 물고기 153마리를 낚게 하심 | O |
예수에게 귀속되는 기적은 크게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치유"와 "자연을 지배하는" 기적으로 나눌 수 있다. 치유는 질병을 치료하는 치유, 악마를 쫓아내는 축귀, 그리고 죽은 자를 살리심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카를 바르트는 이러한 기적들 중에서 예수의 변용은 기적이 예수 자신에게 일어난다는 점에서 독특하다고 평가했다.[9]
3. 기적의 유형과 동기
크레이그 블롬버그에 따르면, 복음서에 기록된 예수의 모든 기적에는 공통적인 특징이 나타난다. 예수는 자유롭게 은혜를 베풀었고, 당시 일부 대제사장들과는 달리 치유 기적에 대해 어떤 형태의 대가도 요구하거나 받지 않았다.[10] 마태복음 10장 8절에서 예수는 제자들에게 대가 없이 병든 자를 치유하라고 조언하며 "너희가 거저 받았으니 거저 주어라"라고 말했다.[10]
기독교인들은 예수의 기적을 역사적 사건으로 믿으며, 그의 기적적인 행위가 그의 신성과 하이포스타시스의 연합, 즉 하나님이자 인간으로서의 예수의 이중적인 본성을 증명한다고 믿는다.[45] 그들은 예수의 기갈, 피로, 죽음의 경험을 그의 인성의 증거로, 기적을 그의 신성의 증거로 간주한다.[46][47][48]
기독교 저술가들은 예수의 기적을 단순한 능력 과시가 아닌, 사랑과 자비의 행위로 해석한다. 즉, 전능함에 대한 경외감을 보이기 위한 것이 아니라 죄 많은 고통받는 인류에 대한 연민을 보여주기 위해 행해졌다는 것이다.[45][49] 각 기적에는 특정한 가르침이 담겨 있다는 점도 강조한다.[50]
요한복음[51]에 따르면 예수께서 행하신 모든 기적을 기록하는 것은 불가능했으며, 가톨릭 백과사전은 복음서에 제시된 기적들이 두 가지 이유, 즉 하나님의 영광을 나타내고 증거적 가치를 지니기 때문에 선택되었다고 설명한다. 예수는 자신의 "행위"를 자신의 사명과 신성의 증거로 언급했으며, 요한복음 5장 36절에서 그의 기적이 세례자 요한의 증언보다 더 큰 증거적 가치를 지닌다고 선언했다.[45] 요한복음 10장 37-38절에서 예수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52]
> 내가 아버지께서 하시는 일을 행하지 아니하면 나를 믿지 마라 그러나 내가 행하니 비록 나를 믿지 아니할지라도 이 일들을 보라 아버지께서 내 안에 계시고 내가 아버지 안에 있음을 믿으라
기독교 가르침에서 기적은 예수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중요한 수단이었다. 예를 들어, 열 명의 나병 환자를 깨끗하게 함[53]에서 예수는 "내 능력이 너를 구원했다"라고 말하지 않고,[54][55] "일어나 가라 네 믿음이 너를 구원하였느니라"라고 말하며 믿음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마찬가지로 물 위를 걷는 기적에서 사도 베드로는 믿음이 약해짐에 따라 가라앉기 시작하면서 믿음에 대한 중요한 교훈을 배운다.[56] [57]
기독교 저술가들은 각 기적에 특정한 동기를 부여했다. 예를 들어, 펜테코스트와 다닐슨은 물 위를 걷는 기적이 예수와 사도들과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었다고 보았다. 즉, 이 기적은 장애물을 만났을 때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에 의지해야 함을 사도들에게 가르치기 위해 계획되었다는 것이다.[58]
도나휴와 해링턴은 야이로의 딸을 고침이 믿음을 통해 치유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가르친다고 주장한다. 여자가 치유되었을 때 예수께서는 그녀에게 "네 믿음이 너를 구원하였느니라"라고 말씀하셨다.[59]
복음서에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기적들이 기록되어 있다.3. 1. 치유 기적
복음서에는 예수가 병들고 허약하거나 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치유한 다양한 기적 이야기들이 기록되어 있다. 예수는 때로는 몇 마디 말씀으로, 때로는 침이나 진흙과 같은 물질을 사용하여 병을 고쳤다. 누가복음 4장 40절에는 "병든 모든 사람이 그에게로 데려오매 그가 각 사람의 손에 손을 대어 고쳐 주시니라"라고 기록되어 있다.[81]
유스타슈 르 쉬르(17세기)
이 외에도 나병 환자들을 고침, 중풍병자를 고침, 눈먼 사람들을 고침, 여인들을 고침 등 다양한 치유 기적이 복음서에 기록되어 있다.
3. 1. 1. 눈먼 사람들을 고침
마가복음에는 예수가 벳새다에서 눈먼 사람을 치유한 이야기가 기록되어 있다.[14]
마가복음은 예수가 예리코를 떠날 때 바디매오라는 눈먼 사람을 고친 이야기를 전한다.[15] 마태복음[16]에는 이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 간략한 이야기가 나오는데, 한 명 대신 이름 없는 눈먼 사람 두 명이 등장하며(이러한 "배가"는 마태가 마가의 본문을 다루는 특징이다) 이야기의 배경도 서술 순서상 앞부분인 갈릴리로 약간 다르게 나온다.[17] 누가복음은 이름 없는 눈먼 사람을 예수가 치유한 같은 이야기를 전하지만, 서술에서 예수가 예리코에 접근할 때 일어난 사건으로 옮겨놓았다.[18][19]
요한복음은 예수가 태어날 때부터 눈먼 사람을 고치는 이야기를 묘사하는데, 십자가에 못 박히기 약 6개월 전 초막절에 일어난 일로 나온다. 예수는 침과 흙을 섞어 진흙을 만들어 그 사람의 눈에 발라준다. 그리고 그에게 실로암 못에서 눈을 씻으라고 지시한다. 그가 그렇게 하자, 그는 볼 수 있게 된다. 제자들이 그 눈먼 사람의 맹인이 된 원인이 그 자신의 죄 때문인지 그의 부모의 죄 때문인지 묻자, 예수는 둘 다 아니라고 말한다.[20]3. 1. 2. 나병 환자들을 고침
예수는 복음서에서 다양한 병을 고치는 기적을 행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마가복음 1장 40-45절, 마태복음 8장 1-4절, 누가복음 5장 12-16절에는 예수가 나병 환자를 고친 이야기가 나온다. 예수는 나병 환자를 고친 후, 신명기 율법과 제사장 율법에 따라 필요한 제사를 드리라고 지시하고, 이 사실을 아무에게도 말하지 말라고 당부한다. 그러나 나병 환자는 이 말을 따르지 않았고, 예수의 명성은 더욱 널리 퍼져 나갔다. 그 후 예수는 사람들이 없는 곳으로 물러났지만, 많은 사람들이 그를 따라왔다.
누가복음 17장 11-19절에는 또 다른 나병 환자 치유 이야기가 기록되어 있다. 예루살렘으로 가는 길에 예수는 도움을 청하는 열 명의 나병 환자를 만난다. 예수는 그들을 제사장들에게 보냈고, 그들이 가는 도중에 병이 나았다. 그러나 예수께 감사하러 돌아온 사람은 사마리아 사람 한 명뿐이었다. 이는 당시 유대인들이 사마리아인들을 차별하고 배척했던 사회적 분위기를 고려할 때, 예수의 행동이 파격적이고 소외된 사람들에게 관심을 기울였다는 것을 보여준다.[81]
3. 1. 3. 중풍병자를 고침
가버나움의 중풍병자 치유는 마태복음 9장 1절-8절, 마가복음 2장 1절-12절, 누가복음 5장 17절-26절에 나오는 기적이다. 공관복음서에는 중풍병자가 자리에 누워 예수에게로 옮겨졌고, 예수께서 그에게 "일어나 걸어라"라고 말씀하시자 그가 일어나 걸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예수께서는 또한 그의 죄가 사해졌다고 말씀하셨는데, 이는 바리새인들을 자극했다. 예수께서는 그들의 분노에 대해 누군가의 죄를 사하는 것이 더 쉬운지, 아니면 그에게 "일어나 걸어라"라고 말하는 것이 더 쉬운지 질문하심으로써 응답하셨다.[22] 마가복음과 누가복음은 당시 예수께서 집에 계셨고, 문에 사람들이 많아 친구들이 지붕을 통해 그를 내렸다고 기록하고 있다.[21]
요한복음에는 비슷한 치유가 벳세다 중풍병자 치유[21]로 묘사되어 있으며, 벳세다 연못에서 일어났다. 이 치유에서도 예수께서는 그 사람에게 자리를 들고 걸으라고 말씀하셨다.[22]
3. 1. 4. 여인들을 고침
ישוע|예수he는 복음서에서 여러 여인들을 고치는 기적을 행하였다.3. 1. 5. 기타 치유 기적
복음서에는 예수의 다양한 치유 기적이 기록되어 있다. 예수는 간단한 말로 병을 고치기도 하고, 침이나 진흙 같은 물질을 사용하기도 했다. 누가복음 4장 40절에는 "병든 모든 사람이 그에게로 데려오매 그가 각 사람의 손에 손을 대어 고쳐 주시니라"라고 기록되어 있다.3. 2. 귀신을 쫓아냄 (축귀)
공관복음서에 따르면, 예수는 많은 구마를 행하여 악령을 쫓아냈다. 이러한 사건들은 요한복음에는 언급되지 않는데, 신학적 고려 사항으로 인해 제외된 것으로 보인다.[27]
공관복음서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구마 사건들이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그 외에도 다음과 같은 구마에 대한 간략한 언급이 있다.3. 3. 죽은 자를 살리심
카논 복음서 중 세 복음서는 예수가 죽은 사람을 살린 사건을 기록하고 있다.3. 4. 자연에 대한 지배
복음서에는 예수가 부활하기 전에 자연을 다스린 이야기 여덟 가지가 기록되어 있다.
복음서에는 예수의 부활 후 기적도 기록되어 있는데, 153마리 물고기 잡이라고도 불리는 기적은 요한복음에 기록되어 있다. 예수의 부활 후, 낚시를 하던 일곱 제자들에게 예수가 나타나 배 오른쪽에 그물을 던지라고 지시하자, 153마리의 큰 물고기가 잡혔다.
4. 신약성경 외 기적 목록
몰몬경은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의 종교 경전 중 하나로,[40] 예수가 행한 여러 기적들을 기록하고 있다. 예수의 승천 직후, 몰몬경에는 예수가 기적으로 하늘에서 내려와 많은 사람들에게 나타나고 그들이 즉시 예수께 경배하는 장면이 기록되어 있다. 예수는 다음과 같이 초대한다. "일어나 내게로 오라. 너희가 내 옆구리에 손을 넣고 또 내 손과 발에 못 자국을 만져서 내가 이스라엘의 하나님이요 온 땅의 하나님이며 세상의 죄를 위해 죽임을 당한 자임을 알게 하라."
몰몬경에 나오는 예수의 기적은 다음과 같다.
- 저는 자, 맹인, 절름발이, 불구자, 문둥병자, 시든 자, 귀머거리 등 어떤 식으로든 고통받는 병자를 치유함.
- 아무도 가져오지 않았을 때, 희생과 죽음을 상징하는 떡과 포도주를 무리에게 제공함.
- 몰몬경에 나오는 부름받은 열두 제자 중 세 명의 본성을 변화시켜 재림까지 살게 하고, 다른 아홉 명은 72세까지 살다가 "그의 왕국으로" 올라가게 함.
예수의 기적 행위에 대한 기록은 신약 성경 외에도 발견된다. 2세기의 경전인 유아 시절 복음서는 예수가 어린 시절에 행한 기적들을 이야기한다.
| 기적 | 출처 |
|---|---|
| 부유한 청년의 부활 - 요한복음 11장의 나사로 이야기와 유사 | 마가의 비밀 복음서 1 |
| 물을 다스리고 정화함 | 토마스 유아 복음서 2.2 |
| 진흙으로 새를 만들어 생명을 불어넣음 | 토마스 유아 복음서 2.3 |
| 죽은 놀이 친구 제노를 부활시킴 | 토마스 유아 복음서 9 |
| 나무꾼의 발을 치유함 | 토마스 유아 복음서 10 |
| 겉옷에 물을 담음 | 토마스 유아 복음서 11 |
| 한 톨의 밀알에서 100부셸의 밀을 수확함 | 토마스 유아 복음서 12 |
| 목수 일을 하던 중 짧은 판자를 늘림 | 토마스 유아 복음서 13 |
| 전에 때렸던 스승을 부활시킴 | 토마스 유아 복음서 14–15 |
| 죽은 아이를 부활시킴 | 토마스 유아 복음서 17 |
| 죽은 사람을 부활시킴 | 토마스 유아 복음서 18 |
| 야고보의 뱀에 물린 상처를 치유함 | 토마스 유아 복음서 19 |
| 조산사에 의해 확인된 기적적인 동정녀 출산 | 야고보 유아 복음서 19–20 |
예수가 행한 기적들은 꾸란의 두 구절(수라 3:49와 5:110)에서 자세한 내용이나 설명 없이 간략하게 언급된다.[41]
5. 역사적 배경과 해석
H. 반 데어 루스는 저서 ''예수의 기적들''에서 예수의 기적을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치유" 기적(벳새다의 눈먼 사람 치유)과 "자연을 지배하는" 기적(예수의 물 위를 걷는 기적)으로 분류했다. 치유는 질병 치료, 축귀, 죽은 자의 부활로 나뉜다. 카를 바르트는 예수의 변용은 기적이 예수 자신에게 일어났다는 점에서 독특하다고 말했다.[9]
크레이그 블롬버그에 따르면, 복음서에 나오는 예수의 모든 기적은 그가 자유롭게 은혜를 베풀었고, 대가를 요구하거나 받지 않았다는 공통점을 가진다.[10] 마태복음 10장 8절에서 예수는 제자들에게 대가 없이 병든 자를 치유하라고 조언하며 "너희가 거저 받았으니 거저 주어라"라고 말했다.[10]
백부장의 종 치유 기적에서 마태복음[11]과 누가복음[12]은 예수께서 가버나움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있는 백부장의 종을 치유하셨다고 기록한다. 요한복음[13]에는 가버나움에서 고관의 아들이 멀리서 치유받았다는 약간 다른 이야기가 있다.
5. 1. 문화적 배경
예수 시대와 그 이전 시대에 걸쳐 기적에 대한 믿음은 널리 퍼져 있었다. 헤라클레스, 신격화된 그리스 의사 아스클레피오스, 이집트의 이시스와 같은 신들과 반신들은 모두 병을 고치고 죽음을 이겨냈다고 전해진다.[42] 명망 높고 덕이 있는 필멸의 인간들도 이와 같은 일을 할 수 있다고 믿는 사람들이 있었다. 피타고라스나 엠페도클레스 같은 철학자들이 폭풍을 잠재우고 전염병을 물리쳐 신으로 추앙받았다는 신화가 전해지며,[1] 일부 유대인들은 엘리사 선지자가 나병 환자를 치유하고 죽은 사람을 살렸다고 믿었다.[42] 1세기 아폴로니우스 티아나이우스의 행적은 예수 사후에 일어난 일이지만, 3세기 기독교 반대자들은 이를 근거로 그리스도가 독창적이거나 신적인 존재가 아니라고 주장했다(유세비우스는 이러한 주장에 반박했다).[43]초기 복음서들은 기적과 경이로운 행위에 대한 헬레니즘 및 유대교적 믿음을 배경으로 쓰여졌다. 요한복음에서 예수의 기적을 묘사할 때 사용된 이 '표징'이라는 용어는 신성한 현자의 자격을 증명하는 것으로 여겨졌다.[44]
5. 2. 전통적 기독교적 해석
많은 기독교인은 예수의 기적을 역사적 사건으로 믿으며, 이러한 기적적인 행위들이 그의 신성과 하이포스타시스의 연합, 즉 하나님이자 인간으로서의 예수의 이중적인 본성을 증명하는 중요한 증거라고 생각한다.[45] 이들은 예수의 기갈, 피로, 죽음은 그의 인성을 보여주는 증거로, 기적은 그의 신성을 보여주는 증거로 본다.[46][47][48]기독교 저술가들은 예수의 기적을 단순한 능력 과시가 아니라, 죄로 고통받는 인류에 대한 연민을 보여주기 위해 행한 사랑과 자비의 행위로 해석한다.[45][49] 또한 각 기적에는 특정한 가르침이 담겨 있다고 믿는다.[50]
가톨릭 백과사전에 따르면, 요한복음[51]에는 예수께서 행하신 모든 기적이 기록된 것은 아니며, 복음서에 제시된 기적들은 두 가지 이유, 즉 하나님의 영광을 나타내고 증거적 가치를 지니기 때문에 선택되었다고 한다. 예수는 자신의 "행위"를 자신의 사명과 신성의 증거로 언급했으며, 요한복음 5:36에서 그의 기적이 세례자 요한의 증언보다 더 큰 증거적 가치를 지닌다고 선언했다.[45] 요한복음 10:37-38에서 예수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52]
> 내가 아버지께서 하시는 일을 행하지 아니하면 나를 믿지 마라. 그러나 내가 행하니 비록 나를 믿지 아니할지라도 이 일들을 보라. 아버지께서 내 안에 계시고 내가 아버지 안에 있음을 믿으라.
기독교 가르침에서 기적은 예수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중요한 수단이었다. 예를 들어 열 명의 나병 환자를 깨끗하게 함[53]에서 예수께서는 "내 능력이 너를 구원했다"라고 말씀하지 않으시고,[54][55] "일어나 가라. 네 믿음이 너를 구원하였느니라."라고 말씀하심으로써 믿음의 중요성을 강조하셨다.
마찬가지로 물 위를 걷는 기적에서 사도 베드로는 믿음이 약해지면 가라앉기 시작한다는 중요한 교훈을 얻는다.[56] [57]
펜테코스트와 다닐슨은 물 위를 걷는 기적이 예수와 그의 사도들과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었다고 말하며, 이 기적은 장애물을 만났을 때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에 의지해야 함을 사도들에게 가르치기 위해 계획된 것이라고 주장한다.[58]
도나휴와 해링턴은 야이로의 딸을 고침이 희망 없는 상황에서도 믿음이 존재할 수 있으며, 믿음을 통해 치유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가르친다고 주장한다. 여자가 치유되었을 때 예수께서는 그녀에게 "네 믿음이 너를 구원하였느니라."라고 말씀하셨다.[59]
5. 3. 자유주의적 기독교적 해석
자유주의 기독교인들은 예수의 삶과 관련된 기적적인 사건들보다 그의 가르침에 더 적은 강조를 둔다. 기독교 신앙에서 미신적인 요소들을 제거하려는 노력은 15세기-17세기 에라스무스와 자유주의 신학자들과 같은 지적인 개혁주의 기독교인들로 거슬러 올라간다.[60] 19세기에는 자칭 자유주의 기독교인들이 미신적인 전통과 이교도적 신앙의 흔적에서 벗어난 세계 문명을 위한 기준으로 예수의 인간적인 가르침을 높이려고 했다.[61] 기적에 대한 믿음이 단순한 미신인지 아니면 그리스도의 신성을 받아들이는 데 필수적인 것인지에 대한 논쟁은 19세기 교회 내에서 위기를 초래했고, 이에 대한 신학적 타협이 모색되었다.[62]과학적 또는 합리적인 설명을 통해 기적을 설명하려는 시도는 19세기 말 20세기 초에도 조롱당했다.[63] 기적의 진실성에 대한 믿음은 1910년 미국 장로교회가 진정한 신자들과 "교육받은 '자유주의적' 기독교인들"과 같은 그들이 보기에 거짓 신앙 고백자들을 구별하기 위해 설정한 다섯 가지 기준 중 하나였다.[64]
현대 자유주의 기독교인들은 예수의 기적을 하나님의 능력을 이해하기 위한 은유적인 이야기로 해석하는 것을 선호할 수 있다.[65] 자유주의적 성향을 가진 모든 신학자들이 기적의 가능성을 거부하는 것은 아니지만, 부정이나 긍정이 수반하는 논쟁적인 성격을 거부할 수 있다.[66]
토마스 제퍼슨은 그의 『제퍼슨 성경(Jefferson Bible)에서 예수의 모든 기적을 삭제했다.
5. 4. 비종교적 관점
데이비드 흄은 그의 저서 ''인간 이해에 관한 탐구''(1748)에서 기적에 대한 어떤 증거라도 그 기적을 묘사한 사람들이 자신이나 다른 사람들을 속이고 있을 가능성에 비해 훨씬 덜 중요하다고 주장했다.[67] 그는 종교적 기적에 대한 증언에서 진실 왜곡이 더 흔하기 때문에, 이것이 증언의 권위를 매우 감소시킨다고 보았다.[67]역사가 윌 듀란트는 예수의 기적을 "암시—강하고 자신감 있는 정신이 감수성이 강한 영혼에 미치는 영향—의 자연스러운 결과"로 보았으며, 비슷한 현상은 루르드에서도 관찰될 수 있다고 말했다.[68]
러시아 회의론자 키릴 에스코프는 그의 저서 ''아프라니우스의 복음''에서 로마 지방 행정부가 능동적 조치를 통해 예수의 기적에 대한 소문을 퍼뜨려 그의 영향력을 강화하고, 결국 부활까지 연출하는 것이 정치적으로 현명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5. 5. 학술적 견해
학자들은 예수의 기적의 역사성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가지고 있으며, 아직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69] 어떤 학자들은 기적을 선험적으로 배제하고, 어떤 학자들은 가능성을 옹호하며, 또 다른 학자들은 기적을 옹호한다.[69]신약학자인 바트 에르만은 일부 역사가들은 기적이 일어났다고 믿고, 다른 일부는 그렇지 않다고 믿지만, 자료의 한계 때문에 역사가들이 기적을 확인하거나 부정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그는 "이것은 특정 종류의 역사가에게만 국한된 문제가 아니다. 모든 종류의 역사가들에게 공통된 문제이다."라고 말한다.[70][71] 마이클 리코나에 따르면, 일반 역사가들 중에는 기적 조사에 개방적인 후기근대적 역사서술관을 가진 사람들이 있다.[72]
예수 세미나에 따르면, 예수는 아마도 일부 병든 사람들을 치유했을 것이지만,[73] 예수의 치유를 현대적인 용어로 "심신 질환"과 관련짓는다. 그들은 19가지 치유 중 6가지를 "아마도 신뢰할 만한 것"으로 판단했다.[74] 예수 세미나의 대부분 참가자들은 예수가 엑소시즘을 행했다고 믿는다. 요세푸스, 필로스트라투스 등이 다른 당대의 엑소시스트에 대해 썼기 때문이다. 하지만 복음서 기록이 특정 사건에 대한 정확한 보고서가 아니며, 악마가 존재한다고 믿지 않는다.[75] 그들은 어떤 자연 기적도 역사적 사건으로 여기지 않았다.
학자 모리스 케이시는 예수가 심신의 질환에 걸린 사람들을 치유할 수 있었다고 가정하는 것은 타당하지만, 그는 그러한 치유가 자연적인 원인과 플라시보 효과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고 믿는다.[76] 존 P. 마이어는 치유자로서의 예수는 역사적 예수에 관한 거의 모든 것만큼이나 잘 뒷받침된다고 믿는다. 복음서에서 예수의 기적 행위는 그 자신에게 주목을 끌고 그의 종말론적 메시지를 강화하는 데 큰 역할을 한다. 마이어는 이러한 활동이 당국의 우려를 더하게 되어 결국 예수의 죽음으로 이어졌을 것이라고 제안한다.[77] E.P. 샌더스와 게자 베르메스도 예수가 실제로 치유자였으며, 이것이 당시 사람들 사이에서 그의 추종자를 늘리는 데 도움이 되었다는 데 동의한다.[78][79]
참조
[1]
서적
[2]
서적
The Miracles of Jesus
E.J. Brill Press
[3]
서적
Understanding the Bible
Mayfield
[4]
서적
Islam, Judaism, and Christianity
[5]
서적
[6]
서적
The historical Jesus: ancient evidence for the life of Christ
[7]
서적
Jesus as a Figure in History: How Modern Historians View the Man from Galile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8]
서적
Jesus and his contemporaries
[9]
서적
Church dogmatics
[10]
서적
The Miracles of Jesus
[11]
성경
[12]
성경
[13]
성경
[14]
성경
[15]
성경
[16]
성경
[17]
서적
The Gospel of Matthew
Liturgical Press
[18]
웹사이트
Luke 18:35–43
http://bible.oremus.[...]
Bible.oremus.org
2011-02-10
[19]
서적
Jesus' Entry Into Jerusalem: In the Context of Lukan Theology and the Politics of His Days
Brill
[20]
성경
[21]
성경
[22]
성경
[23]
성경
[24]
성경
[25]
성경
[26]
성경
[27]
서적
[28]
성경
[29]
서적
A Commentary on the Gospel of Matthew
Wm. B. Eerdmans Publishing
[30]
성경
[31]
성경
[32]
성경
[33]
성경
[34]
성경
[35]
성경
[36]
성경
[37]
성경
[38]
성경
[39]
성경
[40]
웹사이트
Search {{!}} The Church of Jesus Christ of Latter-day Saints
https://www.churchof[...]
2021-10-13
[41]
서적
What you need to know about Islam & Muslims
2000
[42]
서적
Miracles in Greco-Roman antiquity: a sourcebook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8-04-19
[43]
서적
Everett Ferguson, Michael P. McHugh, Frederick W. Norris, "Encyclopedia of early Christianity, Volume 1", p. 804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8-04-19
[44]
서적
Watson E. Mills, Roger Aubrey Bullard, "Mercer dictionary of the Bible" (Mercer University Press, 1991) p. 61
https://books.google[...]
Mercer University Press
2018-04-19
[45]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on Miracles
http://www.newadvent[...]
Newadvent.org
2018-04-19
[46]
서적
All the Miracles of the Bible
1988
[47]
서적
A dictionary of science, literature, & art
1867
[48]
서적
An Evangelical Christology
1993
[49]
서적
Facts, Faith, and the FAQs
2006
[50]
서적
Classic Sermons on the Miracles of Jesus
1995
[51]
성경
[52]
서적
The emergence of Christian theology
1993
[53]
성경
[54]
서적
The creed: the apostolic faith in contemporary theology
2007
[55]
서적
All the Miracles of the Bible
1988
[56]
성경
[57]
서적
Reading the New Testament
1988
[58]
서적
The words and works of Jesus Christ
1980
[59]
서적
The Gospel of Mark
1981
[60]
서적
Religions in the Modern World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2
[61]
서적
The Lost Gospel: The Book of Q and Christian Origins
https://books.google[...]
HarperCollins
1993
[62]
서적
The Making of American Liberal Theology: Imagining Progressive Religion 1805–1900
https://books.goog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2001
[63]
서적
Protestant Miracles: High Orthodox and Evangelical Authority for the Belief in Divine Interposition in Human Affairs
https://books.google[...]
Stockton, California
1899
[64]
서적
The Redemptive Self: Stories Americans Live B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65]
서적
Learning to Teach Religious Education in the Secondary School: A Companion to School Experienc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0
[66]
서적
The Making of American Liberal Theology: Idealism, Realism, and Modernity, 1900–1950
https://books.goog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2003
[67]
웹사이트
Modern History Sourcebook: David Hume: On Miracles
http://www.fordham.e[...]
Fordham.edu
2018-04-19
[68]
서적
Heroes of History: A Brief History of Civilization from Ancient Times to the Dawn of the Modern Age
https://books.google[...]
Simon & Schuster
2002
[69]
서적
The Historical Jesus: Five Views
IVP Academic
2009
[70]
서적
Jesus: Apocalyptic Prophet of the New Millennium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71]
서적
Jesus, Interrupted
HarperCollins
[72]
논문
Historians and Miracle Claims
2014-11-20
[73]
서적
The acts of Jesus: the search for the authentic deeds of Jesus.
HarperSanFrancisco
[74]
서적
(Unspecified, needs more context from original source)
[75]
서적
(Unspecified, needs more context from original source)
[76]
서적
Jesus of Nazareth: An Independent Historian's Account of His Life and Teaching
https://books.google[...]
A&C Black
[77]
서적
A Marginal Jew: Rethinking the Historical Jesus, Volume II: Mentor, Message, and Miracles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78]
서적
The Historical Figure of Jesus
https://books.google[...]
Allen Lane
[79]
서적
Jesus the Jew: A Historian's Reading of the Gospels
https://books.google[...]
Fortress Press
[80]
서적
신성서사전
[81]
웹사이트
교황 베네디クト十六世의 295번째 일반 謁見 연설 いやしの奇跡とかかわるイエスの祈り
https://www.cbcj.cat[...]
2018-09-28
[82]
서적
신약성서
프란치스코회 성서연구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