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나안은 레바논,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요르단 북부, 시리아 서부 일부를 포함하는 지역을 지칭하는 지명이다. 히브리어 '케나안'에서 유래되었으며, 기원전 14세기의 아마르나 문서와 페니키아 주화 등에서 그 명칭이 확인된다. 가나안의 어원에 대해서는 여러 학설이 존재하며, '낮은 땅' 또는 '자줏빛의 땅'을 의미한다는 주장이 있다. 가나안은 고대 이집트의 지배를 받았으며, 이집트 텍스트에서 가나안이라는 용어는 기원전 2천년기 동안 이집트가 지배하는 식민지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 청동기 시대에는 도시 국가들이 번성했고, 이후 이집트, 히타이트, 아시리아 등의 강대국들의 지배를 받았다. 구약성경에서 가나안은 이스라엘 민족에게 약속된 땅으로 묘사되며, 가나안인들은 이스라엘인에 의해 정복되어야 할 민족으로 언급된다. 고고학적 연구와 유전학 연구를 통해 가나안인들의 기원과 문화, 그리고 현대 레반트 지역 사람들과의 관계가 밝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레바논의 고대사 - 신바빌로니아 제국
신바빌로니아 제국은 나보폴라사르가 신아시리아 제국에서 독립을 선언하며 건국되어 네부카드네자르 2세 시대에 최전성기를 이루었으나, 이후 쇠퇴하여 나보니두스 시대에 아케메네스 페르시아에 의해 멸망한 메소포타미아의 제국이다. - 레바논의 고대사 - 아무루 왕국
아무루 왕국은 기원전 2000년대 중반부터 청동기 시대 말까지 현재의 시리아와 레바논 지역에 존재하며 주변 강대국들과 외교 관계를 맺었으나 히타이트 제국과 함께 멸망 후 지리적 명칭으로 남았다. - 요르단의 고대사 - 에돔
에돔은 구약성경에 등장하는 에서의 후손이 세운 고대 왕국이자 민족으로, 붉은 땅을 특징으로 하는 사해 남단에서 아카바만까지의 산악 지대에 위치했으며, 이스라엘과의 전쟁, 유다 왕국의 속국, 바빌로니아 제국에 의한 쇠퇴, 나바테아인에게 밀려 이두매 사람이 된 후 유대 사회에 통합되어 로마 시대 이후 역사 속에서 사라졌고, 구리 채굴 산업을 기반으로 국가신 카우스를 섬겼다. - 요르단의 고대사 - 모압
모압은 철기 시대에 사해 동쪽에 위치했던 고대 왕국으로, 롯의 후손으로 알려진 모압인들이 세웠으며, 이스라엘과 복잡한 관계를 맺었고, 케모스를 주신으로 섬겼으나, 로마 제국에 정복된 후 쇠퇴하여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 이스라엘의 고대사 - 원시 가나안 문자
원시 가나안 문자는 이집트 상형 문자에서 유래된 초기 알파벳 문자 체계로, 페니키아 문자와 원시 히브리 문자의 조상이며, 다수의 자음 문자로 구성되어 후대 여러 문자 체계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이스라엘의 고대사 - 사마리아교
사마리아교는 그리심산을 하나님의 성소로 여기며, 야훼를 유일신으로 숭배하고 모세의 토라를 유일한 성경으로 인정하며 유대교와 분리된 역사를 가진 종교이다.
| 가나안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개요 | |
| 이름 | 가나안 |
| 원어 이름 | phn: 𐤊𐤍𐤏𐤍 (KNA'N) he: כְּנַעַן (Kənáʿan / Kənāʿan) grc: Χαναάν (Khanaán) ar: كَنْعَانُ (Kan'ān) |
![]() | |
| 특징 | |
| 종류 | 역사적 지역 |
| 위치 | 32° N 35° E |
| 민족 및 정치 | |
| 관련 국가 및 민족 | 페니키아 도시 국가 페니키아인 블레셋인 이스라엘인 모압 암몬 테케르 게술 에돔 |
| 언어 | |
| 가나안어파 | 페니키아어 암몬어 모압어 히브리어 에돔어 |
2. 어원
가나안이라는 명칭은 히브리어 '케나안'(כנען)에서 유래되었으며, 코이네 그리스어 '카나안'(Χανααν)과 라틴어 '카나안'(Canaan)을 거쳐 전래되었다.[144] 기원전 14세기 아마르나 문서에는 '키나아흐나'(𒆳𒆠𒈾𒄴𒈾)로 나타나며,[7] 제1천년기 말 페니키아 주화에서도 'כנען'이라는 표현이 발견된다.[144] 헤카타이오스의 문서에서는 '카나'(Χνᾶ)라는 표현이 그리스어로 처음 등장했다.[8][144] 기원전 2세기에 제작된 베루토스의 동전에서 페니키아어로 확인된다.[9]
레반트 고고학에서, "가나안"이라는 이름은 기원전 13세기의 메르넵타 석비에 이집트 상형 문자로 로 나타난다.
가나안 지명의 정확한 어원은 밝혀지지 않았다. 초기에는 '낮은, 공손한, 복속된'을 뜻하는 셈어 어근 'knʿ'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았다.[145] 일부 학자들은 가나안이 '저지대'를 의미하며, 아람의 '고지대'와 대조된다고 주장했고,[11][146] 다른 학자들은 당시 레반트 지역의 이집트 속주를 가리키는 '종속된 곳'을 의미하며, 프로빈키아 노스트라(현재 프랑스 프로방스)와 유사하게 고유 명칭으로 발전했다고 주장했다.[146]
이프리엄 애빅도어 스파이저는 1936년 자줏빛을 나타내는 후르리어 단어 '키나후'(Kinahhu)에서 유래했다는 가설을 제시했다. 이에 따르면 '가나안'과 '페니키아'는 '자줏빛의 땅'이라는 동의어가 된다.[147] 20세기 초 누지에서 발견된 점토판에는 '키나흐누'(Kinahnu)가 붉은색 또는 자주색 염료의 동의어로 사용된 기록이 있다. 이 염료는 뿔소라에서 추출하거나, 지중해에서는 페니키아인들이 유리세공 부산물로 만들었으며, 출애굽기에도 언급된 가나안의 주요 수출품이었다.[147] 페니키아의 티레 자줏빛 직물은 로마인에게 귀족, 왕족과 연관되어 널리 알려졌다.[147] 그러나 로버트 드루스는 스파이저의 주장이 일반적으로 폐기되었다고 언급했다.[12][147]
레테누는 가나안과 시리아를 가리키는 고대 이집트의 일반적인 명칭으로, 남쪽 가자에서 북쪽 타르투스까지 이르는 지역을 포괄했다.[13]
3. 역사

기원전 2천년기 동안, 고대 이집트의 텍스트는 "가나안"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이집트가 지배하는 식민지를 지칭했는데, 그 경계는 일반적으로 히브리 성경에서 발견되는 가나안의 정의와 일치하며, 서쪽으로는 지중해, 북쪽으로는 시리아의 하맛 근처, 동쪽으로는 요르단 계곡, 남쪽으로는 사해에서 가자 주변까지 이어지는 선으로 제한되었다.[130] 이집트 자료에서 16건의 언급이 알려져 있으며, 이집트 제18왕조부터 존재한다. 아멘호테프 2세 비문에는 가나안인들이 전쟁 포로 목록에 포함되어 있으며, 파피루스 아나스타시 I 27,1"은 "가나안 땅의 끝의 [외국]"인 실레에서 가자까지의 경로를 언급한다. 메르넵타 석비와 파피루스 해리스[64]에도 가나안에 대한 언급이 있다. 파디이세트의 조각상은 가나안에 대한 마지막으로 알려진 이집트 언급이다.[65]
"가나안"이라는 이름에 대한 고고학적 증거는 고대 근동의 자료에서 거의 전적으로 이집트 신왕국 (기원전 16-11세기)의 식민지로서 해당 지역이 운영되었던 시기에 국한되며, 청동기 시대 후기 붕괴 ( BC) 이후에는 이 이름의 사용이 거의 사라졌다. 기원전 년 동안, 지배적인 신아시리아 제국과 아케메네스 제국은 가나안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다.
레반트는 기원전 3천년기 중반부터 이 땅을 ''ka-na-na-um''이라고 불렀던 사람들이 거주했다.[78] 아카드어 단어 "''kinahhu''"는 해안의 보라색 고둥에서 염색한 보라색 양모를 가리켰으며, 이는 이 지역의 주요 수출품이었다. 고대 그리스인들이 가나안인들과 무역했을 때, 이 단어의 의미가 우세했던 것으로 보이며, 그들은 가나안인들을 ''포이니케스''(Φοίνικες; 페니키아인)라고 불렀는데, 이는 고대 그리스어 단어 "''포이닉스''" (φοίνιξ; )에서 파생되었을 수 있으며, 그리스인들이 무역했던 천을 묘사하기도 했다. 가나안인들은 근동의 광범위한 지역에서 상인으로서의 명성을 얻었다.[122]
고고학자 및 역사가들은 일반적으로, 기원전 1200년 이전의 청동기 시대 레반트 제 민족을 가나안인이라고 부르고, 철기 시대의 후예, 특히 해안 지역에 살았던 사람들을 페니키아인이라고 부른다. 또한, 아람인에게 지배받지 않았던 레반트 내륙부의 철기 시대 이차 국가, 즉 블레셋인이나 이스라엘 왕국, 유다 왕국을 포함하는 별개의 근연 민족에 의해 지배받았던 국가로 사용되기도 한다.[131][126]
구약 성서에서는 가나안인이 이스라엘인에 의해 '성절'될 7개의 민족 중 하나로 묘사된다('신명기').[132] 현대 과학 연구에 따르면, 중동 레반트 지역(시리아, 요르단, 이스라엘 등)에 거주하는 현대 아랍인과 유대인의 대부분은 DNA의 절반 이상이 가나안인 외 레반트, 코카서스, 이란 고원에 살았던 민족에게서 유래한 것으로 밝혀졌다.[134]
3. 1. 개요
3. 2. 선사 시대 (기원전 4500년 이전)

가나안 문화는 가술 문화라고 하는 동기 시대 원시 가나안인들의 문화[149]에서 발전하였다. 가술 문화는 기원전 6200년경 신석기 혁명을 촉발한 기후 위기 당시 동물을 사육하던 나투프/하리피안 문화가 농경 문화인 선토기 신석기 B와 결합하여 발생한 인접한 아라비아 유목 목축 집단에서 발전한 것이다.[150]
이 지역에는 오래전부터 인간이 거주했으며, 기원전 4400년경에는 요르단 계곡 동부에 이라고 불리는 문화가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다양한 유적이 발견되었으며[123], 구리 산업이 발전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124]
3. 3. 동기 시대 (기원전 4500년 ~ 기원전 3500년)
원시 가나안인들은 기원전 4500년경부터 레반트로 이주하기 시작하여, 자급 원예, 대규모 곡물 재배, 상업용 포도주 및 올리브 경작, 이동 방목식 목축 등으로 이루어진 가나안 지방의 전형적인 지중해 농경 체계를 개척했다.[151] 이들은 소규모 마을에 살며 구리를 채굴하고 생산하였다. 기원전 3800년경 셈어가 아프리카아시아어족에서 분리되면서 가나안인들이 형성되었으며, 엔 게디와 메기도에 주요 신전이 건설되었다.[151] 당시 가나안의 대부분은 동지중해 침엽수-경엽수-활엽수림 생태 지역으로 덮여 있었다.[151]

기원전 4500년경 가나안에 들어온 첫 번째 이주 물결인 가술 문화는 채석기 시대를 시작하였다.[18] 이들은 뛰어난 구리 세공 기술을 가지고 있었으며, 그들의 작업은 고대 세계에서 가장 발전된 금속 기술 중 하나였다. 주요 구리 광산은 와디 페이난에 있었고, 모든 구리는 베르셰바 문화 유적지에서 제련되었다. 유전자 분석 결과, 가술인들은 서아시아 haplogroup T-M184에 속했던 것으로 나타났다.[19]
동기 시대 말, 지중해 남부 해안에 엔 에수르라는 도시 정착지가 등장했다.[20]
3. 4. 초기 청동기 시대 (기원전 3500년 ~ 기원전 2000년)
초기 청동기 시대에 에블라와 같은 유적지가 발달하였고, 이곳에서는 동셈어족의 에블라어가 사용되었다.[152] 에블라는 기원전 2300년경 사르곤 대왕과 나람신이 통치하던 메소포타미아의 아카드 제국에 병합되었다.[152] 유프라테스강 서쪽 지역인 'Mar.tu'( "텐트 거주자", 후대의 'Amurru', 즉 아모리인)에 대한 수메르인들의 언급은 사르곤 시대보다 훨씬 이전인, 적어도 수메르 왕 엔샤쿠샤나 시대부터 나타난다. 초기 수메르 왕 루갈안네문두가 이 지역을 지배했다는 기록이 있는 점토판이 있으나, 이 점토판은 수 세기 후에 제작되었기 때문에 신뢰도가 떨어진다.
에블라의 옛 기록들에는 하솔과 예루살렘을 포함한 여러 성경의 장소들에 대한 언급이 나타나있다.[153] 텔 하조르(Tel Hazor), 카데시(오론테스 강변의 카데시) 및 아무루 왕국(Amurru)(시리아)의 다른 지역에 거주하던 아모리인들은 가나안 북쪽과 북동쪽에 인접해 있었다. (우가리트는 이러한 아모리계 국가에 포함될 수 있다.)[153] 기원전 2154년 아카드 제국의 붕괴는 자그로스 산맥(현대 이란)에서 기원하여 티그리스강 동쪽에 거주하던 사람들이 키르베트 케라크 토기(도자기)를 사용하며 도착한 사건과 겹쳐진다.[154] 또한, DNA 분석 결과에 따르면 기원전 2500년에서 1000년 사이에 찰코리스틱 자그로스와 청동기 시대 코카서스의 인구가 남부 레반트로 이동했다.[155]
이 시기에 남부 레반트에서 최초의 도시들이 등장했다. 주요 유적지로는 엔 에수르와 텔 메기도(Meggido)가 있다. 이 "원시 가나안인"들은 남쪽의 이집트, 북쪽의 소아시아(후르족, 하티족, 히타이트족, 루위족) 및 메소포타미아(수메르, 아카드, 아시리아)와 정기적인 교류를 가졌으며, 이러한 경향은 철기 시대까지 이어졌다. 이 시대의 종말은 도시의 버려짐과 농경 마을 및 반유목 생활 방식으로의 회귀로 특징지어지지만, 특수 공예 생산은 계속되었고 무역로는 열려 있었다.[156] 고고학적으로 우가리트 (시리아의 라스 샴라에 위치)는 전형적인 가나안 도시로 간주되지만,[140][157] 그들의 우가리트어는 정통 가나안어군에 속하지 않는다.[158][159]
3. 5. 중기 청동기 시대 (기원전 2000년 ~ 기원전 1550년)
가나안 지역은 다시 도시화가 진행되어 소규모 도시 국가들로 나뉘었고, 그중 하솔이 가장 중요한 도시였던 것으로 보인다.[160] 가나안의 물질 문화는 메소포타미아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가나안 전 지역이 국제 교역 체계에 더욱 긴밀하게 통합되었다.[160]
아카드 제국의 나람신 재위(기원전 2240년경)에는 '아무루'가 아카드 제국을 둘러싼 '네 세력' 중 하나로 불렸다. 아모리 왕조는 메소포타미아 대부분을 지배하고 기원전 1894년에 바빌로니아를 건국했다. 이후 '아무루'는 가나안 북부와 남부 내륙 지대를 가리키는 아시리아/아카드어 지칭어가 되었다. 이 시기 가나안 지역은 메기도와 카데시를 중심으로 하는 두 도시 연합으로 나뉘어 있었다.
아모리인 지도자 수무아붐은 기원전 1894년에 바빌론을 세웠고, 함무라비 (기원전 1792–1750년)는 바빌로니아 제국을 건국했으나, 그의 사후 제국은 쇠퇴했다. 아모리인들은 아시리아에서 밀려났고, 기원전 1595년까지 바빌로니아를 지배하다가 히타이트인들에게 축출당했다.
《시누헤 이야기》는 세누스레트 1세 재위(기원전 1950년경) 기간 ‘상 레트케누’와 ‘피느쿠’ 지역에서 군사 활동을 벌인 이집트 관료 ‘시누헤’에 대해 묘사한다. 세베크쿠 스텔레는 세누스레트 3세 재위(기원전 1862년경) 때 ‘멘투’, ‘레트케누’, ‘세크멤’(세겜) 원정에 관한 기록을 담고 있다.
기원전 1650년경, 가나안인들은 이집트 삼각주 동부를 침입하여 힉소스로 알려진 지배 세력이 되었다.[165] 이후 가나안인들의 것으로 확인된 많은 고고학 유적지들은 가나안 지역이 하솔의 지도하에 중기 청동기 시대 동안 번영의 절정에 이르렀음을 보여준다. 북쪽에서는 얌하드와 카트나가 주요 도시 연합체의 패권국이었고, 성경 속 하솔은 남쪽 도시 연합의 맹주였다.
구 아시리아 제국 (기원전 2025–1750년)의 뭇-비시르가 샴시-아다드 1세 (기원전 1809–1776년)에게 보낸 편지에는 "강도(하바툼)와 가나안인(키나눔)이 라히섬에 위치해 있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31][33]
알랄라흐에서 발견된 이드리미 조각상 (기원전 16세기)에는 암미야가 "가나안 땅에" 있다는 언급이 있다.
3. 6. 후기 청동기 시대 (기원전 1550년 ~ 기원전 1200년)
후기 청동기 시대 초기에, 가나안의 도시 연합체들은 메기도와 카데시를 중심으로 하였으나, 이후 이집트와 히타이트 제국에 복속되었다.[166] 이후 신 아시리아 제국이 가나안 지역을 장악하기도 하였다.[42]
성경에 따르면, 가나안 지역에 정착했던 고대 셈어인족 이주 집단들에는 이전에 바빌로니아를 지배했던 아모리인들이 있었다.[42] 타나크는 족보의 민족들에서 아모리인들을 언급한다 (창세기 10장 16-18절).[42] 아모리인들은 가나안의 초기 역사에서 중대한 역할을 하였으며, 창세기 14절 7장, 여호수아기 10장 5절, 신명기 1장 19절과 27절 그리고 44절에서 아모리들이 남쪽 산악 지대에 있음을 알 수 있다.[42] 민수기 21장 13절, 여호수아기 9장 10절과 24장 8절 그리고 12절 등의 구절에서는 위대한 아모리인들의 왕 두 명이 요르단강 동쪽인 헤스본과 아스테르스에 거주한다고 말한다.[42] 그렇지만, 창세기 15장 16절과 48장 22절, 여호수아기 24장 15절, 판관기 1장 34절을 비롯한 다른 경전들의 구절들은 ‘아모리인’이라는 이름을 가나안인들의 동의어로 여겼지만 그럼에도 아모리인은 해안가의 사람들에는 결코 사용되지 않았다.[42]
성경상의 히브리인들의 출현에 앞서 수세기 전에, 가나안의 일부 지역과 시리아 남서쪽 지역은 이집트 파라오의 조공국 상태가 되었지만, 이집트의 지배는 산발적이었고, 잦은 토착민들의 봉기와 내부 도시들 간의 갈등을 억제할 만큼 충분히 강하지는 못했다.[42] 가나안의 북부와 시리아 북부 같은 지역들은 이 시기에 아시리아의 지배에 놓여 있었다.[42]
투트모세 3세 (기원전 1479–1426년)와 아멘호테프 2세 (기원전 1427–1400년) 시기에, 이집트 지배자와 그의 군대의 지속적이고 강력한 영향력은 아모리인들과 가나안인들이 충성심을 충분하게 유지하게끔 했다.[42] 그렇지만, 투트모세 3세는 이 지역의 인구에서 새롭고 문제를 일으키는 한 집단에 대하여 기록을 남겼다.[42] 하비루 또는 이집트어로 아피루 ('Apiru)들이 처음으로 기록되었던 것이다.[42] 이들은 용병, 도적때 혹은 무법자들로 보이며, 한때 정착 생활을 했을지도 모르나, 이들 집단이 뿌리를 내리지 못하게 한 요소에 기여한 불운이나 상황과 환경에 떠밀려, 자신들의 지원에 대한 대가를 치를 어떠한 지역 유력자들과 왕, 혹은 군주들에게 고용될 준비를 갖췄다.[42]
아카드어로 도적때로 설명된 수메르 설형문자 표기 SA-GAZ 혹은 아카드어로는 하비리라고 한 민족들은 수메르의 왕인 우르 제3왕조의 슐기 재위 시기 때부터 메소포타미아에서 알려졌으나,[42] 이들의 가나안 지역 출현은 아시리아 북쪽에 소아시아를 기반으로 하고 말이 끄는 전차 귀족 사회인 마르야누인들이 중점이된 새로운 국가의 등장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이며, 이들 마르야누들은 미탄니라고 알려진, 후르리인들의 인도아리아인계 지배자들과 관련되어 있다.[42]
하비루는 민족 집단이라기보다는 좀 더 사회 계층처럼 보이기도 한다.[42] 한 분석 결과에서는 셈어 화자들도 다수 있었지만, 하비루의 대다수가 후르리인(고립어를 구사한 소아시아의 비셈어군 화자 집단)이었고, 그중에는 심지어 일부 카시트인들과 루비아인들도 있었다고 나타내었다.[42] 아멘호테프 3세의 재위 시기는 결과적으로 하비루/아피루가 정치적 불안정에 큰 기여를 했기 때문에 아시아 지방에서는 그다지 평온하지 않았다.[42] 호전적이던 지도자들은 대체로 주변의 왕의 도움 없이는 자신들의 지위를 얻을 수 없었음에도 독립의 기회를 엿보았다고 일부에서는 여겨진다.[42] 이런 불만을 품은 귀족들 중 가장 용맹하던 이가 아무루의 지배자인 압디 아시르타의 아들 아지루로, 그는 아멘호테프 3세가 죽기 이전부터 다마스쿠스 평야로 세력을 늘리려 했었다.[42] 카트나(하마 인근) 총독 아키지는 이러한 소식을 아지루의 시도를 저지하려던 것처럼 보이던 이집트의 파라오에게 보고 하였다.[42] 그러나 다음 파라오의 치세 (아크나톤, 재위: 기원전 1352년경-1335년경)에, 이집트 대신에 인근 소아시아를 기반으로 팽창하던 수필룰리우마 1세 치세(재위: 기원전 1344년경–1322년)의 히타이트 제국에 충성심을 열렬히 보낸 압디아시르타와 아지루는 구블라의 총독 립하다 같은 이집트에 충성하는 가신들과 끊임없는 분쟁을 야기했다.[166]
이에 따라 가나안에서 이집트의 세력은 히타이트인 (또는 하티인)들이 아멘호테프 3세 치세 때 시리아로 진입하여, 이들이 아모리인들을 제거하고 셈족계 민족들의 이주를 촉진하며, 아멘호테프의 후임자들 시기에 더욱 큰 위협이 되던 시기에, 중대한 퇴보를 겪었다.[42] 압디아시르타와 그의 아들 아지루는 처음에는 히타이트들을 두려워했으나, 히타이트 왕들과 조약을 맺은 뒤에는 히타이트에 가담하여 이집트에 충성을 유지하던 지역들을 공격하여 정복하였다.[42] 리브하다는 저 멀리 있던 파라오에게 원조를 요청하는 감동적인 호소를 보냈으나, 파라오는 그 소식에 관심을 갖기에는 자신의 종교 개혁에 너무나 열중했기에 허사였다.[166]
아마르나 문서는 시리아 북쪽의 하비리들에 대하여 전하며, 에타카마는 파라오에게 다음의 서신을 보냈다:[167]
:"경청하소서, 남야와자가 주군의 도시들 전부를 카데시와 우비 땅의 도적때()에게 넘겼습니다. 그렇지만 저는 나설 것이고, 당신의 신들과 당신의 태양이 제 앞에서 앞장선다면, 저는 하비리들로부터 그 도시들을 주군께 되찾고 그들을 주군께 복종시키겠으며, 그 도적때들을 내쫒겠나이다."
유사하게 시돈의 왕 짐리다도 “파라오께서 나에게 내려주신 나의 모든 도시들이 하비리들에게 넘어갔다.”라고 나타냈으며,[43] 예루살렘의 왕 압디헤바는 파라오에게 다음과 같이 전했다:[43]
:"만일 병력(이집트의 병력)이 올해 안에 도착한다면, 영토와 군주들은 주군께 남게 될 것이지만, 병력이 오지 않는다면, 이 영토들과 군주들은 군주께 남지 않을 것입니다."
압디헤바의 주요 문제사항들은 일리킬리와 라바야의 후예들이라 불리는 이들한테서 일어났는데, 이들은 하비리들과 반역을 목적으로 한 동맹을 맺었다고 한다.[43] 분명한 것은 이 무자비한 전사들이 기나 공방전에서 그를 죽게 한 것이다.[43] 그러나 이 모든 군주들은 파라오에게 보낸 서간에서 서로를 헐뜯었고, 반역적 행위에 대한 자신들의 무고함을 주장했다.[43] 이에 대한 예시로 배신을 했다고 에타카마에게 비판을 받았던 남야와자는 파라오에게 다음과 같이 전했다:[167]
:”경청하소서, 저와 제 군사들은 제 동포들과 아피루, 수투인과 함께 주군이 마음대로 명하시는 어디로든지 즉시 움직이는 군대입니다”[167]
신왕국 시대가 시작될 무렵에, 이집트는 레반트 거의 전저역에 지배력을 행사했었다.[168] 제18왕조 기간에 지배력은 강력히 유지되었지만, 제19왕조와 제20왕조 시기에 불안정해졌다.[168] 람세스 2세는 기원전 1275년 카데시에서 히타이트와의 교착된 전투 상황으로 레반트의 지배권을 유지할 수 있었으나 얼마 후에, 히타이트는 레반트 북부 (시리아와 아무루)를 성공적으로 장악해냈다.[168] 건축 사업에 물두되어 있던 반면에 아시아의 소식을 등한시 하던 람세스 2세는 레반트에 대한 지속적인 지배력 감소를 야기하고 말았다.[168] 그의 후임자인 메르넵타 치세에, ‘이스라엘’이라 알려진 사람들을 포함한 레반트 남부 지역의 여러 장소들을 파괴했다고 주장하는 메르넵타 스텔레 반포되었다.[168] 그러나, 고고학적 조사에서 메르넵타 스텔레에서 언급된 지역들 어느 곳에서도 파괴의 흔적이 나타나지 않았고 따라서 선전 활동으로 행해진 것으로 보이며, 이 군사 활동은 남부 레반트의 고지대를 피했을 가능성이 크다.[168] 람세스 3세 (기원전 1186-1155년) 치세 기간에 걸쳐, 남부 레반트에 대한 이집트의 지배력은 바다 민족, 좀 더 명확히는, 남서쪽의 해안 평야에 정착했던 블레셋인들의 침입의 여파로 완전히 소멸했다.[168]
3. 7. 청동기 시대의 붕괴 (기원전 1200년경)
아마르나 시대 직후, 가나안 남부(그 외 지역은 당시 아시리아가 지배)에 대한 이집트의 지배에 문제가 발생했다. 파라오 호렘헤브는 요르단강을 건너 갈릴리와 이즈르엘에서 이어지는 이집트의 무역로를 위협하던 유목민들인 샤수(이집트어로 방랑자들)에 대한 원정에 나섰다.[47] 세티 1세 (기원전 1290년경)는 Taru (Shtir?) 요새에서 "Ka-n-'-na"에 이르는, 사해의 동쪽과 남쪽에 살던 셈어족계 유목민들인 샤수를 정복해냈다고 전해진다. 거의 패배할 뻔한 카데시 전투 이후 람세스 2세는 이집트의 영향력을 유지하기 위해 가나안으로 원정을 해야만 했다. 이집트군은 모압과 암몬으로 진격하여, 영구 주둔지를 세웠다.[48]
일부에선 '하비루'가 '히브리인들' 그리고 특히나 자신들을 위한 비옥한 토지를 장악하려던 판관기 시대의 초기 이스라엘인들이라 알려진 모든 유목 민족들을 일반적으로 나타낸다고 믿는다.[48] 그러나, 이 용어는 샤수를 묘사하는 데 드물게 사용되고는 했다. 이 용어가 다른 모압인, 암몬인, 에돔인 들 같은 그 밖에 고대 동족 셈어를 구사하는 민족들을 포함하는지는 불확실하며, 모든 이들을 지칭하는 종족명이 아닐 수도 있다.[49]
앤 킬러브루(Ann Killebrew)는 예루살렘 같은 도시들이 '이스라엘 민족 이전 시기'인 청동기 IIB 시대와 이스라엘 민족의 철기 IIC 시대 (각각 기원전 1800–1550년경과 기원전 720–586년경)에는 크고 성벽으로 둘러싸인 중요 도시였으나, 후기 청동기와 철기 시대 I과 IIA/B 시대 사이 기간에는 작고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떨어지며 요새화되지 않았음을 증명해냈다.[47]
기원전 1200년경에 레반트 남부의 주요 도시나 정착지가 파괴되었다는 증거는 거의 없다.[50] 라키스에서는 Fosse Temple III가 의식적으로 파괴된 반면, Area S의 한 집은 불에 타서 두 개의 화덕 옆에서 화재의 가장 심각한 증거가 발견되었으며 도시의 다른 지역에서는 불에 탄 증거가 발견되지 않았다. 하지만 그 이후 이 도시는 이전보다 더 웅장한 방식으로 재건되었다.[51] 메기토의 경우 도시의 대부분 지역에서는 손상 징후가 없으며 Area AA의 궁전이 파괴되었을 가능성이 있지만, 이는 확실하지 않다.[50] 하솔의 기념비적인 구조물은 실제로 파괴되었지만, 이 파괴는 후기 청동기 시대가 시작되기 오래 전인 기원전 13세기에 일어났다.[52] 그러나 기원전 1200년경에 아스칼로나, 아스돗(고대 도시), 텔 에스-사피, 텔 바타시, 텔 부르나, 텔 도르, 텔 게리사, 텔 젬메, 히르베트 라부드, 텔 제로르, 텔 아부 하왐 등 많은 유적지가 불에 타지 않았다.[44][45][50]
레반트 남부에서 기원전 1200년 이후 무역 관계가 붕괴되었다는 많은 이론에도 불구하고, 후기 청동기 시대가 끝난 후에도 레반트 남부의 다른 지역과의 무역이 계속되었다는 충분한 증거가 있다.[53][54] 고고학자 제시 밀렉은 일반적인 추측과 달리, 키프로스 및 미케네 도자기 무역은 기원전 1200년경에 끝났지만, 실제로는 키프로스 도자기 무역은 1300년에, 미케네 도자기 무역은 1250년에 거의 끝났으며, 기원전 1200년경의 파괴는 후기 청동기 시대가 끝나기 전에 끝났기 때문에 국제 무역 패턴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보여주었다.[55] 그는 또한 이집트와의 무역이 기원전 1200년 이후에도 계속되었다는 것을 입증했다.[56] 다양한 팀이 수행한 고고금속학 연구는 또한 청동을 만드는 데 필요한 비지역 금속인 주석 무역이 기원전 1200년 이후에도 중단되거나 감소하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주었으며, 이 금속의 가장 가까운 원천은 오늘날의 아프가니스탄, 카자흐스탄 또는 심지어 잉글랜드 콘월이었다.[57][58] 사르데냐에서 온 납은 초기 철기 시대 동안 기원전 1200년 이후에도 레반트 남부로 수입되었다.[59]
3. 8. 철기 시대 (기원전 1200년 이후)
초기 철기 시대 무렵, 지중해 연안의 불레셋인들의 도시 국가들, 요르단강 동쪽의 아람 다마스쿠스, 모압 왕국, 암몬, 남쪽으로는 에돔을 제외한 레반트 남부는 북이스라엘 왕국 및 유다 왕국의 지배에 놓였다. 북부 레반트는 시리아 히타이트라고 하는 소왕국들과 페니키아인들의 도시 국가들로 분열되어 있었다.[171]
이 지역 전체는 기원전 10세기와 9세기 기간 신아시리아 제국에 정복되어 기원전 7세기 말까지 300여년간 지배하에 놓였다.[171] 아슈르나시르팔 2세, 아다드-니라리 2세, 사르곤 2세,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 에사르하돈, 센나케립, 아슈르바니팔 같은 아시리아의 통치자들이 가나안 국가들을 정복하였다. 누비아 왕조 시기 이집트가 가나안 지역에 교두보를 다시 확보하려다 실패하였고, 이는 아시리아의 이집트 침입 및 정복과 쿠시 왕조의 멸망으로 이어졌다. 유다 왕국은 아시리아에 조공을 바쳐야만 했다.[171]
기원전 616 - 605년 사이에 아시리아 제국은 격렬한 내전과 바빌로니아인, 메디아인, 페르시아인, 스키타이인 연합군의 공격으로 무너졌다. 바빌로니아인들은 가나안, 시리아, 이스라엘, 유다 왕국을 포함한 아시리아 제국의 서쪽 영토를 물려받았다. 그들은 뒤늦게 아시리아를 도우러 온 이집트 세력을 제압하고, 근동 지역에 발판을 회복하려는 시도로 가나안 지역을 유지하였다. 바빌로니아 제국은 기원전 539년에 무너졌고, 가나안 지역은 페르시아인들에게 넘어가 아케메네스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171] 그러다 기원전 332년에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이끄는 그리스인들에게 정복되었으며, 이후 기원전 2세기 후기에 로마에 넘어갔으며, 서기 7세기 아랍인들의 침입과 정복 때까지 비잔티움에 속했다.[171][60]
4. 문화
가나안은 오늘날 레바논,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요르단 북부, 시리아 서부 일부 지역을 포함했다.[140] 고고학자 조나단 터브(Jonathan N. Tubb)에 의하면, "암몬인, 모압인, 이스라엘인, 페니키아인 들은 분명하게 자신들만의 문화적 정체성을 이룩했으나, 민족적으로는 모두 가나안인들이며", "기원전 8000년기에 가나안 지역의 농경 마을에 정착한 동일한 사람들이다."라고 한다.[140]
가나안 문명은 기후 변화로 인한 장기간의 안정적 기후 상태에 대한 반응이었다. 이 시기에 가나안인들은 내륙 지역에서 농업 생산품에 특화한 소규모 왕국들과 더불어 해안가를 따라 상업 국가들을 형성하며, 고대 이집트, 메소포타미아(수메르, 아카드, 아시리아, 바빌로니아), 히타이트, 미노아 문명 등을 비롯한 중동 지역의 고대 문명들 사이의 중개자 위치로 번영을 누렸다. 해안 지역과 내륙의 농업 지역 간의 대립은 가나안 신화에서 테슙(후르리어) 혹은 바알 하다드(아모리어/아람어) 등 다양하게 불린 천둥신과 야아, 얌, 야으, 야후 등으로 불린 강과 바다의 신 간의 투쟁으로 묘사되었다.
초기 가나안 문명은 올리브, 주조용 포도, 피스타치오 등의 경제 작물들과 함께 다양한 지역 원예작물들을 기르는 소작농들, 주로 밀, 귀리 등의 대규모 곡물 경작을 하는 소작농 등으로 둘러싸인, 성벽을 두른 소규모 상업 도시들로 특정 지어진다. 초여름의 수확은 이동 방목 목축이 행해지던 시기로, 목동들은 우기 동안에 양때를 데리고 있다가 여름에 급수가 가까운 곳에 있는 수확이 끝난 그루터기에서 양때들을 풀 뜯게 하러 돌아왔다. 이러한 농업 순환의 증거는 게제르 달력과 성경 속 순환 절기에서 확인된다.
급속한 기후 변화의 기간에 이 혼합적인 지중해 농경 체계의 붕괴가 발생하였는데, 상업 작물들은 자급 농업적 생산물들로 대체되었고, 계절에 따른 이동식 방목은 1년 내내 이동하는 유목 목축 활동이 된 반면에, 부족 사회 집단들은 양때를 데리고 북쪽으로는 유프라테스강에서 남쪽으로는 이집트 삼각주까지 정기적인 패턴으로 이동하였다. 이따금, 부족 집단의 지도자들이 생겨나, 적의 취락을 습격하여 충성스러운 지지자들에게 약탈품이나 상인들한테서 징수한 징수금으로 보상하였다. 도시들은 한 데 모여 보복하거나 이웃 국가가 간섭을 한거나 지도자들이 운명의 기복을 겪게 되면, 동맹들은 떨어져 나가게 되거나 종족간의 불화가 다시 발발하게 되었을 것이다. 성경 속의 족장 시대 이야기는 이러한 사회 형태가 반영된 것이라 제시되기도 하였다.[172] 메소포타미아의 아카드 제국의 붕괴와 이집트 제1중간기, 힉소스인들의 침입과 아시리아 및 바빌로니아의 중기 청동기 시대의 종결, 후기 청동기 시대 붕괴의 기간에, 이집트, 바빌로니아, 아시리아가 고립을 하면서, 가나안을 통한 교역이 줄어들었다.
기후가 안정되면서, 교역은 블레셋과 페니키아의 도시들이 있는 지역들인 해안을 따라 맨 먼저 재개되었을 것이다. 시장들이 다시 조성됨에 따라, 해안가의 무거운 이용세를 피했을 새로운 무역로가 카데시 바르네아에서 헤브론, 라키시, 예루살렘, 베델, 사마리아, 세겜, 실로 등을 거쳐 갈릴리를 거쳐 이스르엘, 하솔, 메기도로 발전했을 것이며, 가나안의 중요도가 다음가는 도시들이 이 지역들에서 발전하였을 것이다. 추가적인 경제 발전으로 에일라트, 팀나, 에돔(세일산), 모압, 암몬에서 다마스쿠스와 팔미라 등의 아람계 국가들로 이어지는 제3의 무역로가 있었을 것이다. 가나안의 초기 국가들은 일반적으로 내륙의 무역을 장악하려는 시도를 벌였으나 실패로 끝나고 말았다(예시로 유다 왕국과 사마리아의 경우에 블레셋인과 티레인들이 두 번째 교역로를, 유다 왕국과 이스라엘 왕국이 세 번째 교역로).[173]
결국에, 이 교역의 번영은 가나안을 정치적으로 장악하고 공물, 세금, 관세 등을 징수해냈을 고대 이집트, 아시리아, 바빌로니아, 페르시아, 고대 그리스, 로마 같은 더 강력한 이웃한 지역 국가들을 불러들였을 것이다. 이러한 기간 동안에, 과도한 방목이 기후 재앙과 순환기의 반복을 일으킬 수 있었다. 후기 가나안 문명의 쇠퇴는 그리스로마 문화권(유대 속주)으로, 비잔티움 제국 시기를 거친 후에는 이슬람적인 아랍인과 우마이야 칼리파국으로 편입과 함께 일어났다.
텔 카브리는 중기 청동기 시대(기원전 2000–1550년)의 가나안 도시의 유적들이 존재한다. 이곳은 주요한 가나안 외부의 문화적 영향력이 미노아 문명이었다는 점에서 주목할만한데, 미노아 방식의 프레스코화가 텔 카브리의 왕궁을 장식하고 있다.[174]
가나안어군은 히브리어, 페니키아어를 포함하며, 아람어, 우가리트어와 함께 아프리카아시아어족셈어파북서 셈어군에 속한다. 음소 문자(원시 시나이 문자)를 최초로 사용했으며, 그 문자 체계는 알파벳의 원형으로 여겨지는 등[135], 한자 문화권을 제외한 세계에 전파되었다. 학습하기 쉬운 음소 문자가 보급된 결과, 고대 오리엔트의 국제 공용어가 아카드어(Akkadian cuneiform)에서 아람어(아람 문자)로 바뀌었고, 이윽고 아랍어로 대체되었다.
5. 유대교 및 기독교 경전에서

성경에서 가나안이라는 이름은 요르단강 서부 지역을 한정하며, 가나안인들은 "바다 옆에, 요르단강변 옆에" 사는 이들로 묘사된다(민수기 33:51; 여호수아기 22:9).[175] 가나안은 페니키아와 동일시되었으며 (이사야서 23:11),[175] 블레셋인들은 가나안인으로 보이지 않지만, 미즈라임의 후예로 노아의 아들들의 족보에 이름을 올렸다.[175] 아람인, 모압인, 암몬인, 미디안인, 에돔인들은 셈 또는 아브라함의 후손들로 여겨지며 가나안인/아모리인과는 구별되었다.[175] 히타이트인을 나타내는 ‘헷’은 가나안의 아들 중 한 명이지만, 히타이트인들은 인도유럽어 (‘네실리’)를 사용했고, 그들의 조상 하티인들은 ‘하틸리’를 사용했다.[175] 호리인들이 가나안인이라는 직접적인 확증은 드물지만, 히위족이라는 암시가 있으며, 상메소포타미아의 후리인들은 후리어를 사용했다.[175]
성경에서 이스라엘의 땅으로의 가나안의 땅의 개명은 이스라엘인들의 약속의 땅 정복을 상징한다.[176] 가나안과 가나안인은 타나크(구약성경)에서 대략 160회 언급되며, 주로 모세오경과 여호수아기 및 판관기 등에서다.[177] 가나안은 노아의 손자 중 한 명으로, 함의 저주 이야기에서 등장한다.[178] 신은 아브라함에게 가나안의 땅을 약속하고, 아브라함의 후손들인 이스라엘인들에게 전달한다.[177] 성경의 역사적 진실성은 고고학 및 문헌적 증거들이 초기 이스라엘인들이 가나안인들이었다는 견해를 뒷받침함에 따라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177]
타나크는 가나안의 땅에 대한 경계를 담고 있으며, 민수기 34장 2절에는 “경계에 따라 정의된 가나안의 땅”이라는 구절이 있고, 3–12절에서 서술되어 있다.[179] ‘가나안인’이라는 용어는 산악 지역 거주민들과 대조적인, 바닷가와 요르단 강변을 따라 있는 저지대의 거주민들에게 적용되었다.[179] 제2성전기 (기원전 530년–서기 70년)에 ‘가나안인’은 상인에 대한 일반적 동의어가 되었다 (욥기 40장 30절, 잠언 31장 24절).[179] 존 N. 오스월트는 "가나안은 요르단강 서쪽의 땅으로 이뤄지며 요르단강 동쪽 땅과는 구분되었다”며, 성경에 있어서 가나안은 ‘신의 선물로서의 땅’이자 ‘유복한 장소’라는 ‘신학적 성격’을 띤다고 하였다.[180]
타나크는 ‘전기 예언서’ (נביאים ראשונים|네비임 리소님he), 즉 여호수아서, 판관기, 사무엘서, 열왕기 등에서 이스라엘인들의 가나안 정복을 묘사했다.[181] 이 경전들은 모세 사망 및 여호수아의 지도하에 이스라엘인들의 가나안 입성 이후의 이야기를 전한다.[181] 기원전 586년에, 유대 왕국이 신바빌로니아 제국에 합병되었고, 예루살렘은 공방전 끝에 함락되었다.[182] 기원전 586년 무렵, 유대 왕국의 대부분이 황폐화되었으며, 경제 및 인구에서 급격한 쇠퇴를 겪었다.[183] 이로 인해 이스라엘인들의 후손들은 가나안의 지배권을 상실한다. 전기 예언서들의 내용들은 ‘신명기 역사’의 일부이다.[184]
노아의 아들들의 족보라 불리는 창세기의 구절은 가나안인들이 가나안(כְּנַעַןhe, )의 후손들이라 전한다.[185] 가나안은 시돈, 히타이트인, 여부스인, 아모리인, 기르가스인, 히위인, 아르콰인, 신인, 아르왓인, 스말인, 하맛인들의 아버지이며, 가나안의 경계는 시돈에서 게라르까지 지중해 연안을 가로질러 가자에 이르렀으며, 요르단강 유역 내륙 일대인 소돔, 고모라, 아드마, 스보임, 멀리는 라사까지 이르렀다.[185]
족보에서 가나안의 장자인 시돈은 레바논의 해안도시 시돈과 같은 이름을 지녔으며, 페니키아 해안 일대를 지배했으며, ‘가나안의 땅’에 속했다고 말해지는 다수의 민족 집단들을 상대로 헤게모니를 누렸을지 모른다. 가나안인들은 페니키아에 해당하는 레바논()과 불레셋에 해당하는 가자 지구()를 포함하는 지중해 연안(), 요르단강 유역 (, , )에 거주했다고 전해졌다.
가나안인들 ()은 출애굽 사건 이후 이스라엘인들에게 밀려나간 7개의 가나안 지역 민족 집단 중 하나이며, 히타이트인, 기르가스인, 아모리인, 브리스인, 히위인, 여부스인 등이 있었다 (). ‘희년서’에 따르면, 이스라엘인들의 가나안 정복은 가나안이 나일강 저 너머에 대하여 함의 분배 제안에 그의 형제들과 함께 하는 것을 꾸준히 거부하고, 대신에 셈의 것으로 묘사된 상속 재산으로 있던 지중해의 동부 해안가를 무단 ‘점거’한 것에서 비롯했다고 하며, 가나안은 동의한 토지 분배 안을 받아들이지 않은 것에 대해서 노아에게 더욱 큰 저주를 샀다고 전해진다.[186] 613 계명 중 하나는 기르가스인을 제외한 6개의 가나안 민족들의 도시 거주민들 중 그 누구도 살려두어선 안 된다고 하였다.[186]
타나크는 가나안인들을 고대 이스라엘인들과 민족적으로 다르게 구분하지만, Jonathan Tubb과 마크 S. 스미스 등의 현대 학자들은 북이스라엘 왕국과 유다 왕국이 가나안 문화의 부분 집합을 나타낸다는 이론을 세웠다.[140][141]
많은 세기가 흐른 뒤에 ‘가나안인’이라는 이름은 기원전 5세기부터 고대 그리스인들에게 페니키아인들이라 알려진 사람들의 자칭 지명으로 확인되었고,[143] 가나안어 사용자들의 카르타고 (기원전 9세기에 건립)로 이주가 이뤄진 뒤, 고대 후기 기간 북아프리카의 포에니인들의 자기지칭어 (''chanani'')로도 사용되었다.[143] 이는 타나크의 후기 경전들에서 가나안인 및 페니키아인이라는 명칭에 대한 사용 방식 (즈가리야서의 끝 부분에서 이들 명칭들은 상인 계층 혹은 이스라엘이나 인근한 시돈과 티레에 있는 다신론자들을 나타낸다고 여겨진다)뿐만 아니라, 신약성경에서 독립적인 사용 방식을 반영한다 (신약에서는 이 용어들이 유사한 구절 두 개에서 ‘시리아페니키아’로 대체된다).[143]
가나안 (Χανάανgrc, [136])이라는 이름은 신약성경에서는 사도행전에서 구약성경의 이야기를 다시 언급하면서 두 차례만 사용되었다.[187] 파생 형태 (Χαναναίαgrc, 가나안 여인)가 마태오의 복음서의 시리아페니키아 여인의 딸의 퇴마에서 사용된 반면에 마르코의 복음서에서는 ‘시리아페니키아인’ (Συροφοινίκισσαgrc)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다.[187]
6. 그리스-로마 시기 역사서
그리스어식 명칭인 페니키아는 호메로스의 일리아드와 오디세이 등에서 처음으로 확인되었다. 이 용어는 히브리어 성경에선 등장하지 않고, 사도행전을 통해 신약성경에서 세 번 등장했다.[189] 기원전 6세기에, 밀레토스의 헤카타이오스는 페니키아가 과거에 크나/χναgrc라고 불렸다고 주장했는데, 상쿠니아톤에서 비롯한 단편적인 문헌들을 인용하며, 그는 비블로스, 베리토스, 티레 등이 최초로 지어진 도시들이며, 신화속의 크로노스에 지배하에 있었다고 이야기하며, 그곳들의 주민들이 어업, 사냥, 농경, 조선술, 저술 등을 고안해냈다고 보았다.
베이루트 / 라오디케이아의 주화는 ‘가나안의 메트폴리스, 라오디케이아’라는 문구가 담겨있다. 이 주화들은 안티오코스 4세 (재위: 기원전 175–164년)와 그의 후임자들 치세인 기원전 123년 시기까지의 것들 추정된다.[188] 성 아우구스티누스는 또한 해상 민족 페니키아인들이 자신들의 고향을 부르는 말 중 하나가 ‘가나안’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아우구스티누스는 북아프리카 내 히포의 교외 지역 사람들이 포에니어 자기지칭어인 ‘가나안인’(Chanani)를 유지했다라며 기록을 남기기도 했다.[190][191]
헤로도토스의 기원전 480년경에 ‘팔라이스티네’라는 첫 사용과 더불어, 그리스인들은 페니키아를 제외한 가나안 지역과 거의 일치하는 지역에 대하여 불레셋인(필리스티아인) 또는 에게해의 펠라스기인에서 이름 붙여진 ‘팔레스타인’이라는 용어를 대중화시켰다. 기원전 110년부터, 하스몬 왕조는 유대-사마리아-에돔-이두래-갈릴리 연맹을 만들어내며 자신들의 영향력을 가나안 대부분으로 확장해냈다. 기원전 73–63년 사이에, 로마 공화정은 제3차 미트리다데스 전쟁 중 가나안으로 영향력을 확장했는데, 기원전 63년에 유대를 정복해냈고, 하스몬 왕국을 5개 지역으로 분리시켜냈다. 서기 130–135년경에, 바르 코크바의 난을 진압한 결과로, 유대 속주는 갈릴리와 합쳐져 시리아 팔라이스티나라는 새로운 속주가 되었다.
7. 고고학
텔 마르디크의 기록 보관소에서 나온 셈어로 된 에블라 문서(기원전 3550년경)의 ‘가나나(ga-na-na)의 주군’이란 논쟁이 된 언급은 일부 학자들에게 ‘가나안의 군주’라는 칭호로써 다곤 신을 언급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199] 만약 이들의 주장이 옳다면, 이는 에블라인들이 기원전 2500년 무렵부터 가나안을 하나의 정체로 이해하고 있었음을 시사했다는 것이 가능하다.[200] 조너던 텁은 ‘가나나’라는 용어가 ‘가나안인에 대한 기원전 3천년기의 언급’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으며, 동시에 최초의 언급은 기원전 1800년이라 언급하였다.[201]
무트비시르가 구 아시리아 제국 (기원전 2025–1750년)의 샴쉬아다드 1세 (기원전 1809–1776년경)에게 보낸 문서에 따르면 "산적때들(habbatum)과 가나안인 (Kinahnum)들이 라히숨(Rahisum)에 있다"라고 되어 있다. 이 문서는 1973년에 고대에 시리아에 있던 아시리아의 전초기지인 마리의 유적지에서 발견되었다.[140][202] 키나흐눔에 관한 추가적인 언급도 같은 내용을 나타낸다. 로버트 드루스가 “가나안에 대한 첫 쐐기문자로 된 언급이 이드리미 왕의 알라라크 조각상 아래에서 발견되었다”라고 한 만큼 키나흐눔이라는 용어가 특정 지역 사람들을 나타내는 것인지 아니면 오히려 ‘외국 출신’ 사람들을 나타내는 것인지에 대한 논란이 있어 왔다.[203]
암미야(Ammiya)가 “가나안 땅에 있다”라고 하는 문구가 오늘날 시리아의 알라라크에 있는 이드리미 조각상(기원전 16세기)에서 발견되었다. 그의 통치에 대해 민중들이 봉기를 일으키자, 이드리미는 쫓겨날 수밖에 없었고 그의 어머니의 일족들과 함께 ‘가나안 땅’으로 망명을 떠나는데, 이곳에서 그는 자신의 도시를 되찾기 위한 공격을 준비했다. 알라라크 문서들에서 그 밖의 언급들은 AT 154, AT 181, AT 188, AT 48 등이 있다.
8. 유전학 연구
2017년의 한 연구에서 다섯 구의 가나안인 골격을 조사한 결과, 골격 유전자의 약 절반은 약 10,000년 전에 레반트 지역의 농업 정착민에게서 유래되었고, 나머지 절반은 약 5,000년 전에 레반트로 유입된 것으로 추정되는 이란과 관련된 집단에서 유래되었다.[84]
Hajjej (2018)는 HLA 유전자를 사용한 결과, 팔레스타인인, 시리아인, 레바논인 및 요르단인과 같은 레반트 아랍인들이 가나안 조상을 공유하는 밀접하게 관련된 집단이라는 것을 밝혀냈다. 이들은 19세기의 영국과 프랑스 식민지화로 인해 붕괴되기 전까지 공통의 지리적 영토를 공유했다. 이들의 가나안 조상은 기원전 3300년에 이집트를 거쳐 북아프리카 또는 아라비아 반도에서 왔으며, 기원전 3800~3350년의 가술 붕괴 이후 레반트 저지대에 정착했다. 레반트 아랍인들은 터키인, 그리스인, 크레타인, 이집트인 및 이란인과 같은 동지중해 인구와도 관련이 있었는데, 이는 레반트 하위 지역 간의 높은 이주 흐름으로 설명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은 7세기 이슬람 정복 이전에는 사우디인, 쿠웨이트인 및 예멘인과 같은 아라비아 반도 인구와는 유전적으로 거리가 멀었다.[85]
Agranat-Tamir et al. (2020)에 따르면, 중간 청동기 시대(기원전 2500~2000년경)부터 철기 시대 I 후기(기원전 1000년경)까지의 가나안인들은 유전적으로 서로 유사했다. 이들은 현재의 이스라엘, 요르단, 레바논에 살았으며 "초기 신석기 시대 지역 인구와 근동 북동부(예: 자그로스 산맥, 코카서스인/아르메니아인 그리고 아마도 후르족)에서 온 인구의 혼합"으로 모델링될 수 있었다. 예외는 시돈, 아벨 벳 마아가, 아스글론의 기원전 2천년기 주민들로, 동부 지중해 분지로부터의 유입으로 인해 비교적 이질적이었다. 요르단의 바카(Ba'qah) 주민들 또한 "동부 사막 집단"으로부터의 혼합을 보였다. 청동기 시대 이후, 유럽인 관련 성분과 동아프리카 관련 성분이 추가되었으며, 이는 각각 후기 신석기 시대와 청동기 유럽인과 소말리아인에 의해 북-남 및 남-북 구배로 나타났다. 현대 유대인 및 레반트 아랍어를 사용하는 집단의 대다수는 청동기 시대 레반트인 및 찰코석기 시대 자그로스 집단과 관련된 사람들로부터 50% 이상 조상을 가지고 있으나, 이용 가능한 고대 DNA 데이터로는 모델링할 수 없는 다른 조상도 가지고 있다.[86]
Almarri et al. (2021)은 레반트인과 아라비아인이 신석기 시대 이전에 서로 분화되었으며, 레반트인들은 정착 농업 생활 방식을 채택했다고 말했다. 청동기 시대에 고대 이란 관련 조상을 가진 이주민들이 지역 레반트 조상의 약 50%를 대체했으며, 이전에 레반트인에게서 발견되지 않은 J1 하플로그룹을 도입한 것으로 여겨졌다. 청동기 시대 이후, 동부 수렵 채집인(EHG) 조상이 도입되었으며, 이는 동남 유럽 및 아나톨리아 조상을 가진 사람들의 도래와 일치했다. 현대 레반트인들은 아라비아인보다 EHG 조상이 상당히 높다.[87]
Lazaridis et al. (2022)는 고대 레반트인과 그 후손들이 선 토기 신석기 시대부터 중세 시대까지 매 천년마다 약 8%의 지역 신석기 시대 조상, 즉 대부분 나투프 조상이 감소하는 것을 보인다고 밝혔다. 이는 각각 북쪽과 서쪽에서 온 코카서스 수렵 채집인 관련 조상과 아나톨리아 수렵 채집인 관련 조상에 의해 대부분 대체되었다. 그러나 나투프 구성 요소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이 핵심 조상 출처는 후기 시대의 사람들에게 중요한 기여를 했으며,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88]
참조
[1]
서적
Catalogue of the Greek Coins of Phoenicia
https://books.google[...]
order of the Trustees
1910-01-01
[2]
문서
Septuaginta : id est Vetus Testamentum graece iuxta LXX interprets
Dt. Bibelges.
2006-01-01
[3]
웹사이트
Genetics and the Archaeology of Ancient Israel
https://digitalcommo[...]
2013-12-01
[4]
서적
Who Were the Early Israelites and Where Did They Come From?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5]
서적
The Early History of God: Yahweh and Other Deities of Ancient Israel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6]
서적
[7]
서적
Canaanite Toponyms in Ancient Egyptian Documents
The Magnes Press, Hebrew University of Jerusalem
[8]
서적
A Commentary on Herodotus, Books 1–4
Oxford University Press
[9]
서적
The Gift of the Land and the Fate of the Canaanites
https://www.academia[...]
Oxford University Press
[10]
서적
Hebrew Lexicon
[11]
서적
Bible Places: Or, The Topography of the Holy Land
https://books.google[...]
[12]
서적
[13]
서적
When Egypt Ruled the Eas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4]
웹사이트
Canaanites
https://www.oxfordbi[...]
[15]
서적
The Political Structure of the Canaanite City-States: Monarchy and Merchant Oligarchy
https://doi.org/10.1[...]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17-01-01
[16]
서적
[17]
서적
Pastoralism in the Levant
Prehistory Press
[18]
학술지
Migrations in the Ancient Near East
https://www.jstage.j[...]
1992-01-01
[19]
학술지
Ancient DNA from Chalcolithic Israel reveals the role of population mixture in cultural transformation
[20]
학술지
'En Esur (Asawir): Preliminary Report
2018-01-01
[21]
웹사이트
Territoires autonomes palestiniens : Tell es-Sakan Du village à l'Etat au Proche et Moyen-Orient
http://www.arscan.fr[...]
[22]
서적
The Ancient Languages of Syria-Palestine and Arab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04-10
[23]
학술지
Archaeological Sources for the History of Palestine: The Early Bronze Age: The Rise and Collapse of Urbanism
[24]
뉴스
The Genomic History of the Bronze Age Southern Levant
Cell
[25]
서적
[26]
서적
The Ancient Languages of Syria-Palestine and Arab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7]
서적
Ancient Israelite Religion: Essays in Honor of Frank Moore Cross
https://archive.org/[...]
Fortress Press
[28]
서적
The Blackwell Encyclopedia of Writing Systems
Blackwell
[29]
서적
The History of Ancient Palestine
https://books.google[...]
Fortress Press
[30]
서적
Congress Volum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udy of the Old Testament
Brill
[31]
서적
Canaanites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32]
서적
[33]
학술지
Une mention de Cananéens dans une lettre de Mari
https://dipot.ulb.ac[...]
Institut Francais du Proche-Orient
[34]
서적
Reallexikon der Assyriologie
W. de Gruyter
[35]
서적
A History of Ancient Egypt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0-01-01
[36]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Archaeology of Ancient Egypt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20-06-29
[37]
학술지
The Aamu of Shu in the Tomb of Khnumhotep II at Beni Hassan
2009
[38]
학술지
The Rulers of Foreign Lands – Archaeology Magazine
https://www.archaeol[...]
2020-06-29
[39]
문서
[40]
웹사이트
Lion reliefs
https://www.imj.org.[...]
2022-01-03
[41]
웹사이트
The Hazor Excavations Project
http://unixware.mscc[...]
2022-01-03
[42]
서적
Ancient Mesopotamia: Portrait of a Dead Civilizati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8-10-09
[43]
문서
El Amarna letter, EA 189.
[44]
학술지
Destruction and the Fall of Egyptian Hegemony Over the Southern Levant
http://journals.libr[...]
2022-11-11
[45]
서적
Sea Peoples, Philistines, and the Destruction of Cities: A Critical Examination of Destruction Layers 'Caused' by the 'Sea Peoples'. In Fischer, P. And T.Burge (eds.), "Sea Peoples" Up-to-Date: New Research on Transformation in the Eastern Mediterranean in 13th–11th Centuries BC. 113–140.
https://www.jstor.or[...]
Austrian Academy of Sciences Press
2022-11-11
[46]
웹사이트
Burke et al. Excavations of the New Kingdom Fortress in Jaffa, 2011–2014: Traces of Resistance to Egyptian Rule in Canaan
https://www.ajaonlin[...]
2017
[47]
서적
Jerusalem in Bible and Archaeology: The First Temple Period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2018-10-09
[48]
웹사이트
From Habiru to Hebrews: The Roots of the Jewish Tradition
https://www.newengli[...]
2018-10-09
[49]
서적
The Book of Joshu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02-24
[50]
학술지
Millek, J.M. 2018. Just how much was destroyed? The end of the Late Bronze Age in the Southern Levant. Ugarit-Forschungen 49: 239–274.
https://www.academia[...]
2022-11-11
[51]
서적
Sea Peoples, Philistines, and the Destruction of Cities: A Critical Examination of Destruction Layers 'Caused' by the 'Sea Peoples'. in Fischer, P. and T. Burge (eds.), "Sea Peoples" Up-to-Date: New Research on Transformation in the Eastern Mediterranean in 13th–11th Centuries BC.
https://www.jstor.or[...]
Austrian Academy of Sciences Press
2022-11-11
[52]
학술지
Hazor at the End of the Late Bronze Age: Back to Basics
https://www.jstor.or[...]
2022-11-11
[53]
서적
Exchange, Destruction, and a Transitioning Society. Interregional Exchange in the Southern Levant from the Late Bronze Age to the Iron I. RessourcenKulturen 9. Tübingen: Tübingen University Press.
https://www.academia[...]
2022-11-11
[54]
학술지
The Impact of Destruction on Trade at the End of the Late Bronze Age in the Southern Levant. In: F. Hagemeyer (ed.), Jerusalem and the Coastal Plain in the Iron Age and Persian Periods. Tübingen: Mohr Siebeck, 39–60.
https://www.academia[...]
2022-11-11
[55]
서적
Exchange, Destruction, and a Transitioning Society. Interregional Exchange in the Southern Levant from the Late Bronze Age to the Iron I. RessourcenKulturen 9. Tübingen: Tübingen University Press.
https://www.academia[...]
2022-11-11
[56]
서적
Exchange, Destruction, and a Transitioning Society. Interregional Exchange in the Southern Levant from the Late Bronze Age to the Iron I. RessourcenKulturen 9. Tübingen: Tübingen University Press.
https://www.academia[...]
2022-11-11
[57]
학술지
Lead in the Levant during the Late Bronze and early Iron Ages
https://www.academia[...]
2022-11-11
[58]
학술지
N. Yahalom-Mack, E. Galili, E., I. Segal, A. Eliyahu-Behar, E. Boaretto, S. Shilstein and I. Finkelstein, New Insights to Levantine Copper Trade: Analysis of Ingots from the Bronze and Iron Ages in Israel.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45 (2014), pp. 159–177.
https://www.academia[...]
2022-11-11
[59]
학술지
Ashkenazi, D., Bunimovitz, S. and Stern, A. 2016. Archaeometallurgical Investigation of Thirteenth-Twelfth Centuries BC Bronze Objects from Tel Beth-Shemesh, Israel.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Reports 6: 170–181
https://www.academia[...]
2022-11-11
[60]
서적
Ancient Iraq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2018-10-09
[61]
서적
Ancient records of Egypt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62]
서적
Egypt, Canaan, and Israel in Ancient Times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8-10-09
[63]
문서
[64]
서적
Egyptianization and Elite Emulation in Ramesside Palestine: Governance and Accommodation on the Imperial Periphery
https://books.google[...]
Brill Academic Pub.
2018-10-09
[65]
학술지
Pa-Canaan in the Egyptian New Kingdom: Canaan or Gaza?
https://journals.uai[...]
2018-10-09
[66]
웹사이트
The Popular and Critical Bible Encyclopaedia
https://archive.org/[...]
[67]
서적
The Hellenistic Settlements in Syria, the Red Sea Basin, and North Afric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8-10-09
[68]
문서
[69]
서적
Sacred Violence: African Christians and Sectarian Hatred in the Age of Augustin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8-10-09
[70]
서적
The Richness of Augustine: His Contextual and Pastoral Theology
https://books.goog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2018-10-09
[71]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Judaism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8-10-09
[72]
서적
A History of the Jewish People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2018-10-09
[73]
학술지
Some Observations on the Name of Palestine
https://books.google[...]
2018-10-09
[74]
백과사전
Palestine: History
http://www.usd.edu/~[...]
University of South Dakota
2018-10-09
[75]
문서
Eager to obliterate the name of the rebellious Judaea, the Roman authorities (General Hadrian) renamed it Palaestina or Syria Palaestina.
Moshe Sharon
[76]
학술지
Palestine and Israel
[77]
서적
The Arabs in History
London
[78]
서적
The Phoenicians and the West
Cambridge
[79]
서적
The Canaanites
London
[80]
서적
Abraham in Myth and Tradition
Yale University Press
[81]
학술지
The Genomic History of the Bronze Age Southern Levant
2020-05-28
[82]
서적
Early History of the Israelite People: From the Written & Archaeological Sources
https://books.google[...]
Brill Academic
2018-10-09
[83]
웹사이트
Remains Of Minoan-Style Painting Discovered During Excavations Of Canaanite Palace
https://www.scienced[...]
2018-10-09
[84]
학술지
Ancient DNA reveals fate of the mysterious Canaanites
http://www.sciencema[...]
2017-07-27
[85]
문서
Palestinians, Syrians, Lebanese and Jordanians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Hajjej et al.
[86]
학술지
The Genomic History of the Bronze Age Southern Levant
2020-05-28
[87]
학술지
The genomic history of the Middle East
2021
[88]
학술지
Ancient DNA from Mesopotamia suggests distinct Pre-Pottery and Pottery Neolithic migrations into Anatolia
2022
[89]
서적
[90]
서적
First-Degree Incest and the Hebrew Bible: Sex in the Family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18-11-05
[91]
서적
Traditions of the Bible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92]
학술지
Nations and Super-Nations of Canaan
https://tobias-lib.u[...]
[93]
서적
The Hebrew Bible: New Insights and Scholarship
https://books.google[...]
NYU Press
[94]
서적
"An Excellent Fortress for His Armies, a Refuge for the People": Egyptological, Archaeological, and Biblical Studies in Honor of James K. Hoffmeier
https://jewishstudi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95]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the Holy Land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96]
웹사이트
Who Was Living in the Land When Abraham Arrived?
https://www.thetorah[...]
2013-10-08
[97]
서적
Ancient Israel's Neighbors
Oxford University Press
2020
[98]
웹사이트
The Book of Chronicles and the Ephraimites that Never Went to Egypt
https://www.thetorah[...]
2015-04-08
[99]
성경
[100]
성경
[101]
서적
Palestine: Description géographique, historique et archéologique
https://books.google[...]
F. Didot
[102]
서적
Palästina: geographische, historische und archäologische Beschreibung dieses Landes und kurze Geschichte seiner hebräischen und jüdischen Bewohner
https://books.google[...]
Leiner
[103]
서적
Theological Wordbook of the Old Testament
https://archive.org/[...]
Moody
[104]
학술지
Archaeology and the Book of Genesis
https://www.jstor.or[...]
2024-04-20
[105]
서적
The Making of the Old Testament Canon
Abingdon Press
[106]
서적
The Land of Israel: National Home Or Land of Destiny
https://archive.org/[...]
Fairleigh Dickinson Univ Press
[107]
백과사전
https://archive.org/[...]
Gale Research Company
[108]
백과사전
Wordsworth
[109]
웹사이트
1 Kings 12 NIV
https://www.biblegat[...]
2024-02-08
[110]
학술지
The Last Kings of Judah and the Fall of Jerusalem: An Historical—Chronological Study
[111]
서적
A History of the Jews and Judaism in the Second Temple Period
https://books.google[...]
T&T Clark International
2018-10-09
[112]
성경
[113]
성경
[114]
웹사이트
Hebrew Dictionary
http://www.bluelette[...]
2010-10-28
[115]
웹사이트
Canaan; Canaanites in the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
https://www.internat[...]
2022-09-15
[116]
서적
The Battle Hymn of the Republic: A Biography of the Song That Marches 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117]
문서
Kuzar 12
[118]
웹사이트
Israel's Declaration of Independence and the Biblical Right to the Land
https://www.thetorah[...]
2018-04-15
[119]
문서
Kənā‘an
[120]
서적
Bible Places: Or, The Topography of the Holy Land
https://books.google[...]
Society for Promoting Christian Knowledge
[121]
학술지
Canaanites and Philistines
http://journals.sage[...]
1998-12
[122]
학술지
The Origin of the Terms "Canaan," "Phoenician," and "Purple"
https://www.jstor.or[...]
[123]
웹사이트
Mysterious 6,000-year-old star mural sees first daylight in Jerusalem
https://www.timesofi[...]
The Times of Israel
2023-12-16
[124]
서적
Toledot Erets-Yiśraʾel. kerekh 2
Miśrad ha-Biṭaḥon
746
[125]
서적
The history of ancient Palestine
Fortress Press
[126]
서적
Canaanites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127]
서적
Reallexikon der Assyriologie
W. de Gruyter
[128]
서적
Canaan in the Second Millennium B.C.E.
Eisenbrauns
[129]
문서
恐らくは都市国家間のゆるい連合であろう
[130]
문서
これは、旧約聖書の「民数記」34章1-12節の記述と符合する。
[131]
학술지
初期イスラエルの宗教(1)
https://tohoku-gakui[...]
[132]
문서
「申命記」7章1節
[133]
문서
「民数記」13:29
[134]
웹사이트
古代カナン人のDNAを現代アラブ人とユダヤ人が継承
https://natgeo.nikke[...]
2023-12-16
[135]
웹사이트
アルファベットの原型「カナン人が書いた文章」を世界で初めて発見!
https://nazology.net[...]
2022-11-13
[136]
문서
The current scholarly edition of the Greek Old Testament spells the word without any accents, cf. Septuaginta : id est Vetus Testamentum graece iuxta LXX interpretes. 2. ed. / recogn. et emendavit Robert Hanhart. Stuttgart : Dt. Bibelges., 2006. However, in modern Greek the accentuation is Χαναάν, while the current (28th) scholarly edition of the New Testament has Χανάαν.
[137]
웹인용
Genetics and the Archaeology of Ancient Israel
https://digitalcommo[...]
2013-12-01
[138]
서적
Who Were the Early Israelites and Where Did They Come From?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139]
서적
Joshua 1–12: A New Translation with Introduction and Commentary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140]
서적
Canaanites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2018-10-09
[141]
서적
The Early History of God: Yahweh and Other Deities of Ancient Israel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2018-10-09
[142]
서적
The Hebrew Bible: New Insights and Scholarship
NYU Press
2018-10-09
[143]
harvnb
[144]
서적
A Commentary on Herodotus, Books 1–4
Oxford University Press
[145]
서적
Hebrew Lexicon
[146]
서적
Bible Places: Or, The Topography of the Holy Land
https://books.google[...]
2018-10-09
[147]
harvnb
[148]
harvnb
[149]
저널
Migrations in the Ancient Near East
https://www.jstage.j[...]
2020-06-12
[150]
서적
Pastoralism in the Levant
2018-10-09
[151]
저널
'En Esur (Asawir): Preliminary Report
2018
[152]
문서
Mar. tu로, ‘천막 거주자들’이라는 뜻이다. 이후에 아무루(Amurru)라 불리었는데 성경에서는 아모리인으로 등장한다.
[153]
서적
The Ancient Languages of Syria-Palestine and Arab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05-05
[154]
저널
Archaeological Sources for the History of Palestine: The Early Bronze Age: The Rise and Collapse of Urbanism
[155]
뉴스
The Genomic History of the Bronze Age Southern Levant
Cell
[156]
harvnb
[157]
서적
The Ancient Languages of Syria-Palestine and Arab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8]
서적
Ancient Israelite Religion: Essays in Honor of Frank Moore Cross
https://archive.org/[...]
Fortress Press
2018-10-09
[159]
서적
The Blackwell Encyclopedia of Writing Systems
Blackwell
[160]
harvnb
[161]
서적
A History of Ancient Egypt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0
[162]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Archaeology of Ancient Egypt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5
[163]
저널
The Aamu of Shu in the Tomb of Khnumhotep II at Beni Hassan
https://pdfs.semanti[...]
2009
[164]
저널
The Rulers of Foreign Lands - Archaeology Magazine
https://www.archaeol[...]
2018
[165]
harvnb
[166]
서적
Ancient Mesopotamia: Portrait of a Dead Civilizati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8-10-09
[167]
문서
El Amarna letter, EA 189.
[168]
서적
Beyond the Texts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Press
[169]
서적
Jerusalem in Bible and Archaeology: The First Temple Period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2018-10-09
[170]
웹인용
From Habiru to Hebrews: The Roots of the Jewish Tradition
https://web.archive.[...]
2018-10-09
[171]
서적
Ancient Iraq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2018-10-09
[172]
서적
Abraham in Myth and Tradition
Yale University Press
[173]
서적
Early History of the Israelite People: From the Written & Archaeological Sources
https://books.google[...]
Brill Academic
2018-10-09
[174]
웹인용
Remains Of Minoan-Style Painting Discovered During Excavations Of Canaanite Palace
https://www.scienced[...]
2018-10-09
[175]
웹사이트
Canaan article in the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 online
http://www.internati[...]
[176]
서적
The Land of Israel: National Home Or Land of Destiny
https://archive.org/[...]
Fairleigh Dickinson Univ Press
[177]
harvnb
[178]
서적
First-Degree Incest and the Hebrew Bible: Sex in the Family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16-10-20
[179]
서적
Hebrew Dictionary
http://www.bluelette[...]
[180]
서적
Theological Wordbook of the Old Testament
Moody
[181]
서적
The Making of the Old Testament Canon
Abingdon Press
[182]
저널
The Last Kings of Judah and the Fall of Jerusalem: An Historical—Chronological Study
[183]
서적
A History of the Jews and Judaism in the Second Temple Period
https://books.google[...]
T&T Clark International
2018-10-09
[184]
서적
A brief Introduction to the Old Testament
Oxford University Press
[185]
성경
[186]
서적
From Revelation to Canon: Studies in the Hebrew Bible and Second Temple Literature
https://books.google[...]
BRILL
2002
[187]
성경
[188]
서적
The Hellenistic Settlements in Syria, the Red Sea Basin, and North Afric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8-10-09
[189]
서적
The Popular and Critical Bible Encyclopaedia
https://archive.org/[...]
[190]
서적
Epistulae ad Romanos expositio inchoate expositio
Migne
[191]
서적
Sacred Violence: African Christians and Sectarian Hatred in the Age of Augustin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8-10-09
[192]
서적
The Richness of Augustine: His Contextual and Pastoral Theology
https://books.goog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2018-10-09
[193]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Judaism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8-10-09
[194]
서적
A History of the Jewish People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2018-10-09
[195]
저널
Some Observations on the Name of Palestine
https://books.google[...]
2018-10-09
[196]
백과사전
Palestine: History
http://www.usd.edu/~[...]
University of South Dakota
2018-10-09
[197]
문서
[198]
저널
Palestine and Israel
[199]
서적
The History of Ancient Palestine
https://books.google[...]
Fortress Press
2018-10-09
[200]
서적
Congress Volum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udy of the Old Testament
2018-10-09
[201]
서적
Canaanites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2018-10-09
[202]
저널
Une mention de Cananéens dans une lettre de Mari
https://dipot.ulb.ac[...]
Institut Francais du Proche-Orient
[203]
서적
Reallexikon der Assyriologie
2018-1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