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구즈어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구즈어파는 튀르크어족의 한 갈래로, 언어학적 특징과 지리적 분포에 따라 서부, 동부, 남부로 나뉜다. 오구즈어파는 8세기에 알타이 산맥에서 중앙아시아로 이동한 오구즈 튀르크족의 언어에서 유래되었으며, 튀르키예어, 아제르바이잔어, 투르크멘어, 카슈카이어 등이 속한다. 오구즈어파는 파열음의 유성음화, 특정 모음 뒤의 자음 소실 등 고유한 특징을 가지며, 동작명사를 여격으로 사용하는 문장 구조를 공유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구즈 튀르크족 - 셀주크 제국
    11세기 중반에 건국된 셀주크 제국은 투르크계 제국으로, 투으룰의 술탄 책봉 후 이슬람 세계의 주요 세력이 되었으나, 말리크샤 1세 사후 쇠퇴하여 1194년 붕괴되었고, 페르시아-투르크 문화 융합에 기여했다.
  • 오구즈 튀르크족 - 카라 코윤루
    카라 코윤루는 오구즈 튀르크 계통의 이와 부족을 중심으로 상부 메소포타미아에서 성장한 국가로, 카라 유수프 시대에 티무르 제국의 침략을 격퇴하고 독립을 쟁취하여 자한 샤 시대에 전성기를 맞았으나 백양조와의 전쟁에서 패배하며 멸망했고 페르시아 문화를 유지하며 후대 쿠트브 샤히 왕조의 기원이 되었다.
  • 모음 조화 언어 - 링갈라어
    링갈라어는 콩고 강 유역에서 발생한 반투어 기반 크레올어로, 콩고 민주 공화국과 콩고 공화국에서 널리 사용되며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가 풍부하고, 라틴 알파벳으로 표기된다.
  • 모음 조화 언어 - 키르기스어
    키르기스어는 튀르크어족 킵차크어파에 속하며 중앙아시아 여러 지역에서 약 490만 명이 사용하는 언어로, 북부와 남부 방언으로 나뉘고 키릴 문자를 주로 사용하며 모음 조화와 독특한 음운론적 특징을 지닌다.
  • 튀르크어족 - 투르크멘어
    투르크멘어는 투르크메니스탄의 공용어이자 튀르크어족 오구즈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튀르키예어, 아제르바이잔어와 유사하며 모음 조화와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가진 교착어이고, 여러 국가에서 사용되며 다양한 방언이 존재하고, 키릴 문자에서 라틴 문자 기반의 독자적인 문자 체계로 변화되었다.
  • 튀르크어족 - 우즈베크어
    우즈베크어는 우즈베키스탄의 공용어이자 중앙아시아에서 쓰이는 튀르크어족 언어로, 다양한 문자 체계를 사용해 왔으며 차가타이어의 영향을 받아 카를루크 방언을 기반으로 표준화되었고 인접 국가와 이민 사회에서도 사용된다.
오구즈어파
개요
이름오구즈어파
다른 이름남서 테ュ르크어파 (남서 투르크어파)
유형언어군
오구즈 테ュ르크어족 언어 분포도
오구즈 테ュ르크어족 언어 분포도
분류
어족테ュ르크어족
어파공통 테ュ르크어파
하위 언어
소멸 언어고대 아나톨리아 테ュ르크어
오스만 테ュ르크어
페체네그어?
아옘-테ュ르크어
호레즘 테ュ르크어
현대 언어발칸 가가우즈어 (루멜리아어)
가가우즈어
테ュ르크어
아제르바이잔어
테ュ르크멘어
카슈카이어
차하르마할리어
호라산 테ュ르크어
사라르어
사용 지역
지역중동, 중앙아시아, 동남 유럽
사용자오구즈 테ュ르크인
언어 코드
글롯토로그oghu1243
글롯토로그 이름오구즈 제어

2. 역사와 명칭

오구즈어의 조상에 대해서는 여러 의견이 있다. 오르혼 비문과 같은 가장 오래된 석비와 고대 위구르어 필사본과 같은 문서의 언어는 오히려 카를루크어킵차크어 튀르크어의 조상에 가깝다. 오구즈어는 중국 연대기에 "서튀르크"로 알려진 사람들의 언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중세 튀르크어로 알려진 고대 아나톨리아 튀르크어와 오스만 튀르크어는 튀르크어의 오구즈어파 내에서 가장 오래된 언어이다.[3]

"오구즈"라는 용어는 공통 튀르크어의 남서부 분파에 적용된다. 이 용어는 8세기에 알타이 산맥[4]에서 중앙아시아로 이주하여 중동과 발칸 반도로 분리된 부족으로 더욱 확장된 오구즈 튀르크족을 지칭한다. 튀르크어족 중에서도 남서쪽에 위치하며, 튀르키예, 아제르바이잔, 투르크메니스탄, 이란아제르바이잔 지방, 이라크 북부(이라크 투르크멘인), 시리아 등에서 주로 튀르키예어, 투르크멘어, 아제르바이잔어 등의 언어가 사용된다.[9] 8세기, 오구즈는 알타이 산맥 방면에서 중앙아시아로 이동하기 시작하여 중앙아시아 및 호라즘으로 분포 지역을 넓혔으며, 중동, 유럽까지 세력을 뻗쳤다. "오구즈"의 명칭은 시대와 함께 "투르크멘", "셀주크]", "

3. 분류

오구즈어파는 언어학적 특징 및 지리적 분포에 따라 서부, 동부, 남부로 분류된다. 살라르어는 중국 칭하이에 분포하며, 오구즈어파가 아닌 별개의 언어로 간주된다.

크림 타타르어우룸어는 킵차크어군에 속하지만, 오구즈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페체네그어는 사멸된 언어로, 오구즈어였을 것으로 추정되나 자료 부족으로 인해 오구즈어 내에서 더 세부적인 분류는 어렵다.[5]

3. 1. 서부 오구즈어

3. 2. 동부 오구즈어

투르크멘어, 호라산 튀르크어군

3. 3. 남부 오구즈어

카슈카이어를 비롯하여 Aynallu|아이날루어tr, Afshar_language|아프샤르어영어 등이 남부 오구즈어군에 속한다.[11]

3. 4. 기타

살라르어는 중국에서 약 7만 명이 사용하는 언어로, 오구즈어파에 속하지 않고 별개의 언어로 간주된다.[11] 크림 타타르어우룸어는 역사적으로 킵차크어군에 속하지만, 오구즈어군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11] 사어가 된 페체네그어는 오구즈어군에 속한다고 여겨지지만, 문헌 자료가 부족하여 오구즈어군으로 분류하기 어렵다.[11]

4. 언어학적 특징

튀르크학자이자 언어학자인 라르스 요한슨은 오구즈어가 다른 튀르크어 하위 그룹에 비해 오구즈 튀르크족의 문화적, 정치적 역사가 현대까지 더욱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어 튀르크어족 내에서 뚜렷하고 밀접하게 관련된 블록을 형성한다고 언급한다.[6] 오구즈어파는 튀르크어족의 다른 언어들과 공유하는 특징과 오구즈어파 고유의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다.

4. 1. 튀르크어족 공통 특징

오구즈어파는 서로 몇 가지 특징을 공유함으로써 언어학적으로 동일한 그룹으로 분류된다. 몇몇 특징은 다른 튀르크어군과 공유하며, 그 외에 오구즈어파 고유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 어두에 「h」 음이 오지 않음 (할라지어를 제외한 모든 튀르크어족과 공유)[1]
  • 탈격의 부재 (사하어, 할라지어를 제외한 모든 튀르크어족과 공유)[1]

4. 2. 오구즈어군 고유 특징

오구즈어파는 다른 튀르크어족 언어들과 구별되는 몇 가지 고유한 특징을 공유한다. 이러한 특징들은 언어학적으로 오구즈어파를 하나의 그룹으로 묶는 기준이 된다.

  • 전설 모음을 동반한 파열음이 유성음으로 변화한다. (예: ''gör-'' ← ''kör-'' "보다")
  • ɯ/utr 뒤에 q/ɣtr가 오지 않는다. (예: ''quru'' ← ''quruq'' "마르다", ''sarɯtr'' ← ''sarɯɣtr'' "노란색")
  • 분사 형태가 "-''gan''-"에서 "-''an''-"으로 변화한다.

5. 유사성 비교

동작명사를 여격으로 사용하여 본동사와 조동사를 연결하는 문장을 통해 오구즈어의 유사성이 잘 드러난다. 이 특징은 모든 오구즈어에서 보편적으로 나타난다.[7] 튀르크학자 율리안 렌츠는 그의 저서 "튀르크어 시작형 구성의 통일성과 다양성"에서 다음과 같은 예시 문장을 제시했다.[8]

영어: ‘The dead man rose, sat down and began to speak.’

언어문장
터키어Ölü doğrulup oturdu ve konuşmaya başladı.
투르크멘어Öli ýerinden galyp oturdy-da, geplemäge başlady.
아제르바이잔어Ölü durub oturdu və danışmağa başladı.
호레즘 튀르크어Öli turıp otırdı dan, gəpləməyə başladı.
가가우즈어Ölü oturdu da bašladï lafetmää.


6. 주요 문학 작품


  • 데데 코르쿠트의 책
  • 괴로을루 서사시
  • 야즈즈올루 알리의 Târîh-i Âli Selçûk (셀주크 가문의 역사)
  • 푸줄리의 Şikâyetnâme (شکايت نامه|, "불만"ota)
  • 푸줄리의 Dâstân-ı Leylî vü Mecnûn
  • 유누스 에므레의 Risâletü'n-Nushiyye
  • 이브라힘 하크크 에르주루미의 Mârifetnâme (معرفت‌نامه|, "지혜의 책"ota)

참조

[1] 서적 Nomadism in Iran: From Antiquity to the Modern Era
[2] 웹사이트 Language Materials Project: Turkish https://web.archive.[...] UCLA International Institute, Center for World Languages 2007-04-26
[3] 서적 The Oxford Guide to the Transeurasian Languages Oxford University Press
[4] 서적 The Native People of the World, An Encyclopedia of Groups, Cultures and Contemporary Issues, Volume 1–3 Routledge
[5] 서적 Тюркские языки Москва
[6] 서적 The Turkic Languages Routledge
[7] 논문 Uniformity and diversity in Turkic inceptive constructions Johannes Gutenberg University
[8] 논문 Uniformity and diversity in Turkic inceptive constructions Johannes Gutenberg University
[9] 웹사이트 TURKIC LANGUAGES AND LEXICAL SIMILARITIES OF TURKISH AND URDU - An Etymological Approach http://www.southasia[...] 2013-09
[10] 서적 Encyclopedia of the Peoples of Asia and Oceania Infobase Publishing 2010-05-19
[11] 서적 Тюркские языки Москв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