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라 코윤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라 코윤루는 1374년부터 1469년까지 오늘날 아제르바이잔, 아르메니아, 이란, 튀르키예, 이라크 지역을 통치한 오구즈 튀르크 계열의 부족 연맹체이다. 14세기 후반 일 칸국의 해체 이후 세력을 확장하여 잘라이르 왕조의 지배를 받다가 독립했다. 티무르의 침입과 샤 루흐의 원정을 겪으며 세력이 약화되었지만, 자한 샤 시대에 전성기를 누렸다. 그러나 백양조와의 경쟁에서 패배하여 멸망했으며, 일부는 인도 지역으로 이주하여 골콘다 술탄국을 건국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구즈 튀르크족 - 셀주크 제국
    11세기 중반에 건국된 셀주크 제국은 투르크계 제국으로, 투으룰의 술탄 책봉 후 이슬람 세계의 주요 세력이 되었으나, 말리크샤 1세 사후 쇠퇴하여 1194년 붕괴되었고, 페르시아-투르크 문화 융합에 기여했다.
  • 오구즈 튀르크족 - 오구즈어파
    오구즈어파는 튀르크어족의 한 갈래로, 8세기에 오구즈 튀르크족의 언어에서 유래되었으며, 튀르키예어, 아제르바이잔어 등을 포함하고 파열음의 유성음화 등의 특징을 보인다.
카라 코윤루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공식 명칭카라 코윤루
지위국가연합
정치 체제군주제
시대중세
존속 기간1374년 – 1468년
수도에르시스(여름 목초지)
모술(겨울 목초지)
타브리즈
공용어페르시아어(공식 궁정어, 시)
아제르바이잔어(왕조어, 시)
아랍어
종교시아 이슬람(추정)
통화악체
탕카
카라 코윤루 투르크멘 영토
카라 코윤루 투르크멘, 더 밝은 파란색은 이라크와 아라비아 동부 해안에서 짧은 기간 동안의 최대 영토 확장 범위를 보여줌
역사
시작1374년
종료1468년
이전 국가잘라이르 왕조
수타이 왕조
계승 국가아크 코윤루
골콘다 술탄국
통치자
초대 통치자바이람 크와자(1374년–1378년)
마지막 통치자하산 알리(1467년–1468년)
면적
면적 (km2)520.000

2. 역사

카라 코윤루는 오구즈 튀르크계 유목민들이 세운 국가로, 일부 연구자들은 이들의 언어가 현재 아제르바이잔어의 기원이 되었다고 본다.[27] 카라 코윤루의 술탄 자한 샤는 아제르바이잔 시의 대표적인 인물로 꼽힌다.[28][29]

일 칸국 시대에 반 호 북쪽을 여름 목초지로, 모술 근처를 겨울 목초지로 삼아 유목 생활을 하던 투르크멘 부족들은 흑양조라는 부족 연합을 이루었다.[30] 이들의 지도자 바이람 크와자는 14세기 후반 잘라일 왕조에 복속되어 세력을 키웠으며, 그의 아들 카라 무함마드는 반란을 일으켰으나 실패했다.[31]

제3대 군주 카라 유수프는 티무르의 침략에 맞서 싸웠으나 일시적으로 세력을 잃었다. 그러나 1405년 티무르가 죽자 세력을 회복, 1408년 타브리즈를 점령하고 1411년에는 바그다드까지 장악했다.[32] 1419년 가즈빈까지 점령했던 카라 유수프가 사망하고, 1420년 티무르 제국샤 루흐가 원정을 오면서 동쪽 영토를 잃었다.[32]

이후 카라 이스칸다르가 왕조를 다시 일으켜 백양조의 카라 오스만을 물리치는 등 세력을 떨쳤지만, 결국 샤 루흐에게 충성하는 자한 샤에게 왕위를 빼앗겼다. 자한 샤는 티무르 제국의 종주권을 인정하는 대신 아제르바이잔 지배권을 확보했다.[32]

1447년 샤 루흐가 죽고 티무르 제국이 혼란에 빠지자, 자한 샤는 독립하여 1458년 헤라트를 점령하는 등 전성기를 맞이했다.[33] 그러나 1467년 백양조의 우준 하산에게 기습당해 사망하면서 카라 코윤루는 급격히 쇠퇴, 2년 만에 멸망했다.[34] 멸망 후 카라 코윤루의 부족들은 백양조에 흡수되었다.[26]

2. 1. 어원

'카라 코윤루'라는 이름은 문자 그대로 "검은 양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라는 뜻이다.[1] 학자들은 처음에 이 이름이 전통적인 토템 동물을 의미한다고 추정했다. 그러나 라시드 앗 딘 하마다니에 따르면, 튀르크인들은 토템 동물의 고기를 먹는 것이 금지되어 있었다. 유목민들의 식단에서 양고기가 가지는 중요성을 고려해 볼 때 이러한 가설은 틀린 것으로 결론이 났다. 또 다른 가설은 이 이름이 그들 무리의 주된 색깔을 가리킨다는 것이다.[2]

2. 2. 기원

카라 코윤루는 오구즈 튀르크 계통의 이와 부족[43], 그중에서도 바할루 씨족[44]이 중심이 되어 세운 국가다. 14세기까지 상부 메소포타미아반 호수모술 북부의 영토를 가지고 있었다.[43] 바할루 외에 카라 코윤루를 구성한 부족들로는 나흐체반의 사아들루, 간자와 바르다 지역의 카라만루, 마라쉬의 알파우트와 아가체리, 에르주룸-바이부르트 지역의 두하를루, 아르다빌 지역의 자기르루, 하지루가 있었다.[45][46] 역사학자 파루크 쉼에르는 "카라 코윤루는 의심할 여지 없이 오구즈족의 하위 씨족(oba)이었으며, 그들이 이와 부족에 속해 있었다는 블라디미르 미노르스키의 주장은 아마도 사실일 것"이라고 말했다.[47]

카라 코윤루의 통치 가문은 오구즈 튀르크의 이와 부족 출신이며, 특히 14세기에는 반 호수 북쪽과 모술의 상부 메소포타미아에 영토를 소유했던 바하를루 부족이다.[8][9] 카라 코윤루의 한 분파인 두할루 투르크멘족은 미하일 파나레토스의 ''연대기''에 처음 등장한다. 카라 코윤루의 전설에 따르면, 두하를루 부족은 몽골의 아나톨리아 침공 당시 중앙 아시아에서 아나톨리아로 왔을 가능성이 높다.[13]

2. 3. 건국과 발전

카라 코윤루는 1375년경 바이람 크와자를 중심으로 모술을 지배하며 처음 역사의 기록에 등장했다. 그의 후계자 카라 무함마드 시기에는 바그다드타브리즈를 통치하던 잘라이르 왕조의 속국이었다. 그러나 부족들은 카라 유수프(카라 무함마드의 아들)의 지도 하에 반란을 일으켜 타브리즈를 점령하고 독립을 쟁취했다.[31]

1400년대 초, 티무르 제국티무르가 서아시아를 침공해 카라 유수프는 패배하고 맘루크 술탄국으로 망명했다. 다마스쿠스의 총독 셰이흐 마흐무드는 카라 유수프를 환대했다. 얼마 후 잘라이르 왕조의 술탄 아흐마드 잘라이르도 다마스쿠스에 도착했다. 당시 맘루크 술탄 안나시르 파라지는 티무르와의 관계 악화를 우려해 두 사람을 넘겨주려 했다. 투옥 중 카라 유수프와 아흐마드는 협정을 맺어, 잘라이르 왕조는 바그다드를 중심으로 메소포타미아를, 카라 코윤루는 타브리즈를 중심으로 아제르바이잔을 점령하기로 했다. 아흐마드는 카라 유수프의 아들 피르부다크의 대부가 되기로 약속했다. 1405년 티무르가 사망하자 두 사람은 풀려났다.[49][50][51][52]

투르크멘 아미르의 영묘, 1838년 작.


망명에서 돌아온 카라 유수프는 티무르 제국의 총독 이자딘 쉬르에게 항복을 강요하고, 다른 총독 알타미쉬를 생포해 맘루크 술탄 바르쿠크에게 보냈다. 1406년 나흐츠반 전투에서 티무르 왕조의 아부 바크르를 격파하고 타브리즈를 탈환했다. 1408년 사르드루드 전투에서 미란 샤를 전사시키는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1409년 가을, 카라 유수프는 타브리즈를 수도로 삼고 시르반샤키를 습격했지만 큰 소득은 없었다.[53]

1410년, 카라 코윤루는 바그다드를 함락시켰다. 카라 코윤루의 성장은 잘라이르 왕조의 몰락을 가속화했다. 1420년 카라 유수프 사후 권력 다툼이 있었지만, 카라 코윤루는 영토를 유지했다. 티무르 제국의 술탄 샤 루흐는 1420년, 1421년, 1429년에 걸쳐 카라 코윤루를 침공했다. 카라 유수프의 아들 이스칸데르는 티무르 제국에 맞섰지만 패배했다. 샤 루흐는 이스칸데르의 형 자한 샤를 카라 코윤루의 통치자로 세웠다. 1436년, 자한 샤는 샤 루흐의 지원을 받아 이스칸데르를 물리치고 왕위에 올랐다. 그는 티무르 제국의 황후 가우하르 샤드의 양아들이 되어 '무자파르 앗딘(신앙의 승리자)'이라 칭했다.[38][50]

2. 4. 전성기

카라 코윤루는 1375년경 바이람 크와자를 중심으로 모술을 지배했으며, 그의 후계자 카라 무함마드 시기에는 잘라이르 왕조의 속국이었다. 그러나 카라 유수프의 지도 하에 독립, 타브리즈를 점령했다.[31]

1400년대 초, 티무르 제국티무르에게 패배한 카라 유수프는 맘루크 술탄국으로 망명했다. 이후 잘라이르 왕조의 아흐마드 잘라이르와 협력하여, 카라 코윤루는 아제르바이잔을, 잘라이르 왕조는 메소포타미아를 차지하기로 약속했다. 1405년 티무르 사후 풀려났다.[49][50][51][52]

카라 유수프는 1406년 나흐츠반 전투에서 티무르 왕조를 격파하고 타브리즈를 탈환, 1408년 사르드루드 전투에서 미란 샤를 전사시키며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1409년 가을, 타브리즈를 수도로 삼았다.[53]

1410년 바그다드를 함락, 잘라이르 왕조의 몰락을 야기했다. 1420년 카라 유수프 사후 권력 다툼이 있었지만, 티무르 제국의 침공에도 영토를 유지했다. 이스칸데르는 티무르 제국에 저항했으나 패배, 샤 루흐는 자한 샤를 새 통치자로 세웠다. 1436년, 자한 샤는 샤 루흐의 지원으로 왕위에 올랐다.[38][50]

자한 샤는 1440년 조지아 왕국을 침공, 1445년 바그다드를 접수했다. 1447년 샤 루흐 사후 티무르 제국이 내전에 돌입하자, 1458년 헤라트를 일시 점령했다. 그러나 아부 사이드 미르자와 아들 하산 알리의 반란으로 회군했다.[54]

14세기 후반, 일 칸국 해체기에 바이람 호자가 권력을 확립, 잘라일 왕조에 복속되었다. 그의 아들 카라 무함마드는 반란을 일으켰지만 패배했다.[31]

제3대 군주 카라 유수프 시대에 티무르에게 저항했으나 일시적으로 세력을 잃었다. 1405년 티무르 사후 세력을 회복, 1408년 타브리즈를 점령했다. 1411년 바그다드를 점령, 이라크까지 세력을 넓혔다.[32]

1419년 가즈빈까지 점령한 카라 유수프가 사망하고, 1420년 샤 루흐의 원정으로 동방 영토를 빼앗겼다.[32]

샤 루흐 귀환 후, 카라 이스칸다르가 왕조를 재통일, 티무르 제국과 격렬하게 다투었다. 백양조의 카라 오스만을 격파했으나, 샤 루흐에게 충실한 자한 샤에게 왕위를 빼앗겼다. 자한 샤는 티무르 제국의 종주권을 인정, 아제르바이잔 지배를 확고히 했다.[32]

1447년 샤 루흐 사후, 자한 샤는 티무르 제국에 반기를 들고 이란 고원 중부까지 진출했다. 1458년 헤라트를 점령, 행정 기구도 정비했다.[33]

1467년, 백양조의 우준 하산을 공격 중, 자한 샤가 기습으로 사망하며 흑양조는 혼란에 빠졌다. 우준 하산은 흑양조 왕족들을 격파, 2년도 안 되어 흑양조 세력을 일소했다. 흑양조 부족은 백양조에 흡수되었다.[26]

2. 5. 쇠퇴와 멸망

자한 샤는 메소포타미아 일부와 아라비아 반도의 동해안, 페르시아 중부 지역을 카라 코윤루의 지배권 안에 포함시켰다. 그는 많은 영역을 확보했지만, 역심을 품은 아들들과 통제하기 어려운 바그다드의 친척들로 인해 통치에 어려움을 겪었다.[55] 1466년 자한 샤는 자신에게 반항하는 아크 코윤루(백양 왕조)로부터 디야르바키르를 빼앗기 위해 공격에 나섰으나 원정은 완전히 실패로 돌아갔고, 이 과정에서 자한 샤 자신이 패사(敗死)하면서 카라 코윤루의 패권은 무너져 내렸다.[55] 이로부터 불과 2년 사이에, 우준 하산(1452~1478)의 치하에서 전성기를 맞이한 아크 코윤루는 카라 코윤루를 무너뜨리고 메소포타미아와 아제르바이잔, 페르시아 서부를 손에 넣었다.[55]

1467년, 자한 샤는, 당시 흑양조에 복속되어 있던 백양조의 우준 하산이 세력을 확대하자, 우준 하산을 치기 위해 서쪽으로 진군했다.[34] 그러나, 자한 샤가 야영 중에 우준 하산에게 기습당해 사망하면서 흑양조는 순식간에 혼란에 빠져 분열했다. 우준 하산은 흑양조의 왕족들을 차례로 격파했고, 그 후 불과 2년도 안 되는 사이에 흑양조의 세력은 백양조에 의해 일소되어 버렸다. 흑양조 멸망 후, 지휘 하의 부족은 백양조에 흡수되었다.[26]

3. 종교

타브리즈의 블루 모스크


카라 코윤루의 종교에 대해서는 여러 견해가 있다. 사파비 제국의 사료에 의존하는 아크 코윤루의 수니파와 카라 코윤루의 시아파 사이의 대립 주장은 의심스럽다는 견해가 있다.[35]

후대 왕족들 중 일부가 시아파식 칭호를 사용하고 시아파 문구로 동전을 주조하기도 했지만, 당시 투르크멘족 구성원들 사이에 시아파가 널리 퍼져있었다는 강력한 증거는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는 견해도 있다.[1]

카라 코윤루 시대에 시아파가 널리 퍼졌다는 견해도 있다. 아제르바이잔아나톨리아에서 사파비 가문의 셰이흐 주나이드가 성공적인 활동을 했고, 후제스탄에서는 무사샤이야가 활동했는데, 이것들은 모두 무력으로 시아파가 전파되었다는 중요한 증거로 여겨진다. 카라 유수프의 동생 야르 알리처럼 알리에 대한 의식적인 믿음이 있었다고도 할 수 있다. 그러나 카라 유수프, 이스칸다르, 자한 샤의 동전에는 네 명의 칼리파의 이름이 보인다. 또한 아크 코윤루, 맘루크 술탄국, 티무르 제국의 사료에는 카라 코윤루 통치자들이 시아파를 믿었다는 기록이 등장하지 않는다.[35]

4. 통치 체제

아르가반드의 묘지, 아랍어 조각


카라 코윤루 국가는 잘라이르 왕조와 일 칸국을 기반으로 조직되었다. 카라 유수프에 의해 피르부다그가 즉위한 이후, 카라 코윤루 통치자들은 술탄 칭호를 사용했다. 때때로 바가투르 칭호가 주화에 나타나기도 했으며, 칸, 카간, 파디샤 칭호도 사용했다.[1]

카라 코윤루는 페르시아 문화를 유지하며 외교, 시, 궁정 언어로 페르시아어를 사용했다. 티무르 왕조오스만 제국에 보내는 외교 서한은 페르시아어로 작성되었고, 맘루크 술탄과의 서신은 아랍어로 작성되었다. 공식적인 내부 문서(파르만, 수유르갈) 또한 페르시아어로 작성되었다.

지방 행정 조직의 경우, 각 지방에는 더 작은 디반을 가진 셰흐자데와 베이가 지방을 다스렸다. 군사 총독(베이)에 의한 통치는 일반적으로 아버지에서 아들로 이어졌다. 도시에는 재정 및 행정 업무를 관리하고 정치적 권한도 가진 다루가라는 관리가 있었다. 셰흐자데와 베이는 훈련을 받고 봉급을 받는 노케르라고 불리는 자신의 군인을 거느렸다.[1]

5. 문화

티무르 시대에 티무르 제국 전역에서 페르시아 문학, 예술, 문화가 후원을 받으면서 이란의 문화적 정체성이 갱신되었다.[1] 그 결과, 카라 코윤루의 예술은 티무르 왕조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2] 자한 샤는 아제르바이잔어페르시아어로 시를 썼으며, 아부 바크르 테흐라니는 카라 코윤루와 아크 코윤루의 역사를 담은 ''키타브-이 디야르바크리야''를 페르시아어로 저술했다.[3]

6. 역대 통치자

카라 코윤루 역대 통치자
대수이름재위 기간
1바이람 호자1366년 - 1380년
2카라 무함마드1380년 - 1389년
3카라 유수프1389/90년 - 1400년, 1406년 - 1420년
4카라 이스칸다르1420년 - 1435/38년
5자한 샤1435/38년 - 1467년
6하산 알리1468년 - 1469년



카라 코윤루는 아크 코윤루에 의해 멸망하였다. 이후 카라 코윤루의 일부는 인도로 이주하여 16세기 초 쿠트브 샤히 왕조를 세웠다.[30]

6. 1. 카라 코윤루

'''카라 코윤루'''(Kara Koyunlu|검은 양tr)는 14세기 후반부터 15세기 후반까지 현재의 아제르바이잔, 이란 북서부, 터키 동부를 중심으로 활동했던 투르크멘 부족 연합체이다. '카라 코윤루'는 투르크어로 '검은 양을 가진 사람들'이라는 뜻이다.

카라 코윤루는 일 칸국 시대에 반 호 북안을 여름 목초지로, 모술 근처를 겨울 목초지로 삼아 유목 생활을 했다.[30] 이들의 지도자 바이람 호자는 일 칸국이 쇠퇴하던 14세기 후반에 세력을 키워 잘라일 왕조에 복속되었다.[31] 바이람 호자의 아들 카라 무함마드는 잘라일 왕조에 반란을 일으켰으나 실패했다.[31]

제3대 군주 카라 유수프는 티무르의 침공에 맞서 잘라일 왕조와 함께 저항했지만, 일시적으로 세력을 잃었다. 그러나 1405년 티무르가 죽자 카라 유수프는 세력을 회복하여 아제르바이잔 지역을 장악하고, 1408년에는 타브리즈를 점령했다.[32] 1411년에는 잘라일 왕조의 잔당을 멸망시키고 바그다드를 점령하여 이라크까지 세력을 확장했다.

1419년, 카라 유수프는 이란 중부 가즈빈까지 점령했지만, 이듬해인 1420년에 샤 루흐가 이끄는 티무르 제국의 공격을 받아 동방 영토를 빼앗겼다.[32] 샤 루흐가 호라산으로 돌아간 후, 카라 유수프의 아들 카라 이스칸다르가 왕조를 재건하고 아제르바이잔의 지배권을 두고 티무르 제국과 격렬하게 대립했다. 카라 이스칸다르는 아크 코윤루의 카라 오스만을 격파하는 등 동부 아나톨리아에서 주도권을 잡았지만, 샤 루흐의 계속된 공격으로 인해 형제인 자한 샤에게 왕위를 빼앗겼다. 자한 샤는 샤 루흐에게 충성을 맹세하고 타브리즈의 통치자로 임명되어, 티무르 제국의 종주권을 인정하는 대신 카라 코윤루의 아제르바이잔 지배를 확고히 했다.[32]

1447년 샤 루흐가 사망하고, 2년 뒤 그의 아들 울루그 베그가 살해되면서 티무르 제국의 통치가 약화되자, 자한 샤는 티무르 제국에 반기를 들고 다시 세력을 확장하여 이란 고원 중부까지 진출했다.[33] 1458년에는 티무르 제국의 중심지인 호라산에 접근하여, 수도 헤라트를 일시 점령하기도 했다.[33]

그러나 1467년, 자한 샤는 당시 카라 코윤루에 복속되어 있던 아크 코윤루의 우준 하산을 공격하기 위해 서쪽으로 진군하던 중, 야영지에서 우준 하산의 기습을 받고 사망했다.[34] 이로 인해 카라 코윤루는 급속히 혼란에 빠져 분열되었고, 우준 하산은 카라 코윤루의 왕족들을 차례로 격파하여 2년도 채 되지 않아 카라 코윤루는 아크 코윤루에 의해 멸망했다. 카라 코윤루 멸망 후, 휘하 부족들은 아크 코윤루에 흡수되었다.[26]

카라 코윤루의 일부는 인도로 이주하여 16세기 초 쿠트브 샤히 왕조를 세웠다.[30]

일부 학자들은 카라 코윤루의 오구즈 방언을 아제르바이잔어와 연관 짓는다. 파루크 쉼(Faruk Sümer)은 카라 코윤루의 동 오구즈 방언이 현재 아제르바이잔어로 불린다고 지적했고, 무신 베흐람네자드(Muhsin Behramnejad)는 카라 코윤루의 투르크멘 부족에서 계승된 아제르바이잔어를 불렀다.[27] 자한 샤는 아제르바이잔 시의 대표적인 인물로 널리 알려져 있다.[28][29]

카라 코윤루 역대 군주
대수이름재위 기간
1바이람 호자1366년 - 1380년
2카라 무함마드1380년 - 1389년
3카라 유수프1389/90년 - 1400년, 1406년 - 1420년
4카라 이스칸다르1420년 - 1435/38년
5자한 샤1435/38년 - 1467년
6하산 알리1468년 - 1469년



카라 코윤루 가계도


참조

[1] 간행물 KARAKOYUNLULAR Doğu Anadolu, Azerbaycan, İran ve Irak'ta hüküm süren Türkmen hânedanı (1351-1469). https://islamansiklo[...] TDV İslâm Ansiklopedisi
[2] 서적 Kara Koyunlular Turkish Historical Society
[3] 웹사이트 Coins from the tribal federation of Qara Qoyunlu – Numista https://en.numista.c[...]
[4] 서적 The Worlds of the Indian Ocea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9
[5] 웹사이트 Kara Koyunlu https://www.britanni[...]
[6] 서적 The Book of Dede Korkut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Texas Press 1972
[7] 웹사이트 Kara Koyunlu | History, Meaning, & Capital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8]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History of the Turkic Peoples
[9] 서적 The New Islamic Dynasties: A Chronological and Genealogical Manual https://books.google[...]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04
[10] 문서 KARÁ-KOYUNLU. Encyclopaedia of Islam, 2nd edition. https://archive.org/[...]
[11] 문서 Shiism and its social face in Iran at the turn of the XV-XVI centuries
[12] 백과사전 Ḳarā-Ḳoyunlu 2021-05-30
[13] 서적 The Byzantine Turks, 1204-1461
[14] 서적 Mameluke Or Slave Dynasty Of Egypt https://archive.org/[...] Nabu Press
[15] 웹사이트 KARAKOYUNLULAR - TDV İslâm Ansiklopedisi https://islamansiklo[...] 2022-04-07
[16] 웹사이트 Kara Koyunlu {{!}} History, Meaning, & Capital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2-04-07
[17] 학술지 The Religion of the Kara Koyunlu Dynasty: An Analysis
[18] 서적 The Empire of the Steppes: A History of Central Asia RUTGERS UNIV PR
[19] 백과사전 Brill
[20] 문서 Armenia from the Fall of the Cilician Kingdom (1375) to the Forced Migration under Shah Abbas (1604) St. Martin's Press
[21] 문서 Armenia
[22] 문서 Armenia
[23] 문서 Armenia
[24] 서적 The Encyclopedia of World History https://archive.org/[...] Houghton Muffin Books
[25] 문서 東方イスラーム世界の形成と変容 西アジア史 2 イラン・トルコ
[26] 문서 カラコユンル 岩波イスラーム辞典
[27] 문서 Kara Koyunlular
[28] 문서 Karakoyunlular, Akkoyunlular: İran ve Anadoluda Türkmen Hanedanları
[29] 문서 Jihān-Shāh Qara-Qoyunlu and His Poetry (Turkmenica, 9). Bulletin of the School of Oriental and African Studies, University of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on behalf of School of Oriental and African Studies
[30] 문서 カラ・コユンル朝 新イスラム事典
[31] 문서 黒羊朝 アジア歴史事典
[32] 문서 東方イスラーム世界の形成と変容 西アジア史 2 イラン・トルコ
[33] 문서 東方イスラーム世界の形成と変容 西アジア史 2 イラン・トルコ
[34] 문서 東方イスラーム世界の形成と変容 西アジア史 2 イラン・トルコ
[35] 간행물 KARAKOYUNLULAR Doğu Anadolu, Azerbaycan, İran ve Irak'ta hüküm süren Türkmen hânedanı (1351-1469). https://islamansiklo[...] TDV İslâm Ansiklopedisi
[36] 서적 Kara Koyunlular Turkish Historical Society
[37] 서적 The Worlds of the Indian Ocea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9
[38] 웹인용 Kara Koyunlu https://www.britanni[...]
[39] 서적 The Book of Dede Korkut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Texas Press 1972
[40] 웹사이트 Kara Koyunlu | History, Meaning, & Capital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41] 문서 Turks in Iran
[42] 문서 Шuuзм u еso соцо Иране на рубеже ХV-XVI ьь.
[43]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History of the Turkic Peoples
[44] 서적 The New Islamic Dynasties: A Chronological and Genealogical Manual https://books.google[...]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04
[45] 간행물 KARÁ-KOYUNLU https://archive.org/[...] Encyclopaedia of Islam, 2nd edition
[46] 문서 Shiism and its social face in Iran at the turn of the XV-XVI centuries
[47] 백과사전 Ḳarā-Ḳoyunlu 2021-05-30
[48] 서적 The Byzantine Turks, 1204-1461
[49] 서적 Mameluke Or Slave Dynasty Of Egypt https://archive.org/[...] Nabu Press
[50] 웹인용 KARAKOYUNLULAR - TDV İslâm Ansiklopedisi https://islamansiklo[...] 2022-04-07
[51] 웹인용 Kara Koyunlu {{!}} History, Meaning, & Capital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2-04-07
[52] 저널 The Religion of the Kara Koyunlu Dynasty: An Analysis
[53] 서적 The Empire of the Steppes: A History of Central Asia RUTGERS UNIV PR
[54] 문서 History of Central Asia
[55] 서적 The Encyclopedia of World History https://archive.org/[...] Houghton Muffin Book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