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비잔티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잔티움은 기원전 667년경 메가라의 식민 개척자들이 건설한 도시로, 건설자 비자스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다. 고대 그리스 시기에는 페르시아 제국에 복속되기도 했으나, 그리스 연합군과 아테네의 지원을 받아 자치를 회복했다. 로마 시대에는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황제 시기에 파괴되었다가 재건되었으며, 콘스탄티누스 1세는 비잔티움을 노바 로마로 개칭했으나 콘스탄티노폴리스로 더 널리 알려졌다. 이후 비잔티움은 동로마 제국의 수도가 되었으며, 오스만 제국에 의해 함락된 후 이스탄불로 발전하여 현재 터키의 최대 도시가 되었다. 도시 이름은 트라키아어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별과 초승달 문양은 비잔티움의 상징으로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스탄불의 역사 - 콘스탄티노폴리스
    콘스탄티노폴리스는 콘스탄티누스 1세가 비잔티움에 건설하여 동로마 제국의 수도로서 천 년 이상 번영했던 전략적 요충지였으나, 현재는 이스탄불이라는 이름으로 터키의 주요 도시로 발전하고 있다.
  • 이스탄불의 역사 - 게지 공원 시위
    게지 공원 시위는 2013년 이스탄불의 게지 공원 재개발 계획에 반대하며 시작되어 에르도안 정부의 권위주의적 행보에 대한 반발로 확산되었고, 터키 사회의 광범위한 불만을 표출하며 터키 정치, 경제, 사회 전반에 큰 파장을 일으킨 대규모 시위이다.
  • 동로마 제국 - 콘스탄티노폴리스
    콘스탄티노폴리스는 콘스탄티누스 1세가 비잔티움에 건설하여 동로마 제국의 수도로서 천 년 이상 번영했던 전략적 요충지였으나, 현재는 이스탄불이라는 이름으로 터키의 주요 도시로 발전하고 있다.
  • 동로마 제국 - 콘스탄티노폴리스 대궁전
    콘스탄티노폴리스 대궁전은 콘스탄티누스 1세가 콘스탄티노폴리스 건설 시 함께 지어진 황궁으로, 여러 차례 확장되었으나 11세기 이후 쇠퇴하여 현재는 일부 유적과 모자이크만이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비잔티움
위치 정보
비잔티온의 위치, 현재의 이스탄불 [[파티흐]] 지역에 해당
비잔티온의 위치, 현재의 이스탄불 파티흐 지역에 해당
기본 정보
이름비잔티움
그리스어 표기Βυζάντιον
이전 그리스어 이름Byzantion
로마 시대 이름Nova Roma (새로운 로마)
위치터키 마르마라 지역 이스탄불 파티흐
유형고대 도시
일부로마 제국
비잔티움 제국
라틴 제국
면적콘스탄티누스 성벽 내: 6 km²
테오도시우스 성벽 내: 14 km²
건설기원전 667년
대체330년대에 콘스탄티노폴리스로 대체됨
역사
존속 기간기원전 667년 – 서기 330년
문화고대 그리스
고대 로마

2. 역사

비잔티움의 기원은 전설에 싸여 있다. 메가라 출신 비자스에게해를 건너 도시를 건설했다는 전통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기원전 667년으로 알려져 있다.[12] 비잔티움은 흑해로 들어가는 유일한 입구에 위치해 있어 주로 무역 도시였다.

다리우스 1세의 스키타이 원정 (기원전 513년) 당시 아케메네스 제국에 점령되어 스쿠드라 행정 구역에 추가되었다. 비잔티움은 헬레스폰트의 유럽 해안에서 가장 중요한 아케메네스 항구 중 하나로 간주되었다.

펠로폰네소스 전쟁 동안 그리스군에 의해 포위되었다. 스파르타는 기원전 411년에 도시를 점령하여 아테네에 대한 곡물 공급을 차단하려 했으나, 아테네 군대는 기원전 408년에 도시를 되찾았다.[13]

셉티미우스 세베루스에 대항하여 페스케니우스 니게르를 지지한 후, 196년에 로마군에 의해 포위되어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14] 비잔티움은 셉티미우스 세베루스에 의해 재건되었고, 곧 이전의 번영을 되찾았다. 카라칼라는 세베루스를 설득하여 비잔티움의 도시 지위와 자유 도시 특권을 회복시켰다.[16]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머리(앞면)와 니케를 들고 있는 아테나(뒷면)가 새겨진 비잔티움 주조 은화 테트라드라크마(–100 BC).


비잔티움의 전략적 위치는 로마 황제 콘스탄티누스 1세의 주목을 받았다. 그는 330년에 이곳을 노바 로마로 재건했고, 도시는 콘스탄티노폴리스로 불렸다.

콘스탄티노폴리스는 유럽과 아시아 대륙 사이의 연결 고리로서 상업, 문화, 외교의 중심지였다. 지중해에서 흑해로 가는 통로를 통제했으며, 비잔틴 제국의 수도였다. 1453년 오스만 튀르크에 의해 정복된 후 오스만 제국의 수도가 되었고, "이스탄불"이라고 불렸다. 오늘날 터키에서 가장 크고 인구가 많은 도시이지만, 수도는 앙카라이다.

2. 1. 기원전 ~ 4세기: 고대 그리스와 로마 시대

기원전 667년경, 메가라의 식민지 개척자들이 건설하였으며, 건설자 비자스의 이름을 따 '비잔티온'으로 명명되었다. 트라키아인 도시 설도 있으나, 전설의 영역을 넘지 못한다.[12]

이후, 기원전 5세기그리스-페르시아 전쟁까지 페르시아 제국 아케메네스 왕조에 복속되었다. 기원전 478년 그리스 연합군에 의해 비잔티온 공성전 (기원전 478년)으로 함락되었다. 이후 아테네의 속국이 되었으나, 기원전 357년 동맹시 전쟁에서 승리하여 자치를 회복했다.[30] 기원전 4세기 중반, 마케도니아의 필리포스 2세가 트라키아 일대를 점령하여 기원전 340년에 비잔티움도 공격을 받았지만, 페르시아와 아테네의 지원으로 마케도니아를 격퇴했다.

196년 로마 황제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시대에 대립 황제를 끝까지 지지하여 도시는 파괴되었지만 곧 재건되었다. 이후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중요한 건축물이 될 히포드롬도 이때 건설된 것이 바탕이 되었다.

2. 2. 4세기 ~ 15세기: 동로마 제국의 수도 콘스탄티노플

330년, 로마 황제 콘스탄티누스 1세는 비잔티움을 '노바 로마'(새로운 로마)로 개칭하고 로마에서 이 도시로 천도했다. 비잔티움은 금각만을 가진 천연의 양항이자 동서남북 교통로의 요충지였기 때문이다. 비잔티움은 콘스탄티노플(콘스탄티누스의 도시)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이후 이 도시는 동로마 제국의 수도가 되었고, 후세에는 이 도시의 옛 칭호를 따서 '비잔티움 제국'으로 불리게 되었다. 동로마 제국이 멸망할 때까지 콘스탄티노플은 수도로서 번영하였고, 중세 유럽의 주요 도시로서 정치, 경제, 문화, 종교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면서 '여덟 이름을 가진 도시'로 알려졌다.[26]

2. 3. 15세기 이후: 오스만 제국의 수도 이스탄불

1453년 오스만 제국콘스탄티노플을 함락시킨 후 제국의 수도로 삼으면서, 이 도시는 동부 지중해 지역을 아우르는 대제국의 수도로 번영하게 되었다.[12] 오스만 제국 시대에는 점차 ‘이스탄불’이라는 도시 이름이 보급되었다.[12] 비잔티움과 콘스탄티노폴리스의 후신인 이스탄불오스만 제국의 멸망 후에도 터키 최대의 도시로서 번영을 계속하고 있으며, 현재는 2,000만 명에 가까운 인구를 가진 거대 도시로 발전했다.[12]

3. 어원

비잔티움의 어원은 확실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트라키아어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4] "수염소"를 뜻하는 트라키아 개인 이름 '비자스'(Byzas)에서 파생되었을 수도 있다.[5][6] 고대 그리스 전설에 따르면, 메가라 식민지 개척자들의 지도자이자 도시의 창건자인 그리스 왕 비자스의 이름에서 도시 이름이 유래했다고 한다.[7] '리고스'(Lygos)라는 이름은 이전 트라키아 정착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4] 대 플리니우스의 ''박물지''에 언급되어 있다.[8]

중세 시대에 '비잔티온'은 동로마 제국을 가리키는 환유법으로 사용되기도 했다.(의 생략법).[5] '비잔티노스'(, )는 제국 주민을 가리키는 말이었다.[5] 'Byzantium'은 서양에서 동로마 제국을 지칭하는 용어로 널리 사용되었다. 'Byzantius', 'Byzantinus'는 금 비잔틴 주화에 사용되었으며, 이는 프랑스어 'besant'(d'or), 이탈리아어 'bisante', 영어 'besant', 'byzant' 또는 'bezant'에 나타나있다.[5]

4. 상징

헬레니즘 말기 또는 초기 로마 시대(기원전 1세기)에 별과 초승달 문양은 비잔티움과 어느 정도 관련이 있었다. 비록 이 문양이 폰토스 왕국의 미트라다테스 6세 에우파토르의 왕실 문장으로 더 널리 사용되긴 했지만 말이다.[17]

기원전 1세기와 그 이후의 일부 비잔틴 동전에는 활과 화살통을 든 아르테미스의 머리가 묘사되어 있으며, 뒷면에는 팔 방사형 별이 있는 초승달이 특징으로 나타난다.

기원전 340년, 비잔틴인과 아테네인들은 마케도니아의 필리포스 2세의 군대에 포위되었다. 필리포스 2세는 어둡고 습한 밤에 기습 공격을 시도했지만, 하늘에 나타난 밝은 빛 때문에 실패했다. 이 빛은 때로는 유성, 때로는 달로 묘사되며, 어떤 이야기에서는 개의 짖는 소리도 언급된다. 그러나 원래 기록에는 달을 명시하지 않고 단지 하늘의 밝은 빛만 언급되어 있다.[18] 이 사건을 기념하기 위해 비잔틴인들은 헤카테 람파데포로스(빛을 가져오는 자) 조각상을 세웠다.[19]

헤카테는 비잔틴인들에게 마케도니아의 필리포스 2세의 침입으로부터 보호해준 도움으로 특별히 숭배되었다. 그녀의 상징은 초승달과 별이었다.[20][21][22] 로마 제국 시대에도 별이나 초승달이 결합된 동전이 발행되었다.[23]

5. 인물

참조

[1] 서적 Literature of Travel and Exploration: A to F 2003
[2] 서적 Change in Byzantine Culture in the Eleventh and Twelfth Centuries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0-02
[3] 서적 The Rise of the Greeks Orion Publishing Group 2012
[4] 서적 Constantinople byzantine: dévelopment urbain et répertoire topographique https://books.google[...] Institut Français d'Études Byzantines 1964
[5] 간행물 The Names of Constantinopl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47
[6] 간행물 The Names of Constantinople https://www.jstor.or[...] 1947
[7] 서적 Placenames of the World: Origins and Meanings of the Names for 6,600 Countries, Cities, Territories, Natural Features, and Historic Sites McFarland & Company 2006
[8] 문서 Pliny, IV
[9] 서적 Oxford English Dictionary OED Online
[10] 서적 Oxford English Dictionary OED Online
[11]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Byzantium http://www.oxfordref[...] Oxford University Press 1991
[12] 간행물 The silver emissions of Constantine I from Constantinopolis, and the celebration of the millennium of Byzantion in 333/334 CE https://www.research[...] 2018
[13] 문서 Egypt, Greece, and Rome: Civilizations of the Ancient Mediterranean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14] 서적 Daily Life in Ancient and Modern Istanbul https://books.google[...] Lerner Publications 2000-01-01
[15] 문서 Roman History https://penelope.uch[...]
[16] 서적 The Eastern Roman Empire under the Severans: Old Connections, new Beginnings? Vandenhoeck & Ruprecht
[17] 서적 From Polis to Empire, the Ancient World, C. 800 B.C.-A.D. 500: A Biographical Dictionary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2
[18] 서적 The Age of Justinian and Theodora 2003
[19] 서적 Divine Heiress Routledge 1994
[20] 웹사이트 Islam and Symbolism https://www.armyupre[...] 2008-06
[21] 웹사이트 THE STAR AND THE CRESCENT https://www.cyberist[...] 1997
[22] 웹사이트 The Star-And-Crescent - A Symbol for Islam? https://read.cash/@M[...] 2021
[23] 서적 The Star of Bethlehem Rutgers University Press 1999
[24] 문서 "로도스인 해방을 위해"
[25] 문서
[26] 문서 1999
[27] 문서 2008
[28] 문서 2015
[29] 문서 1990
[30] 문서 "로도스 인 방출을 위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