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나구니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나구니어는 일본 류큐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일본 오키나와현 요나구니섬에서 사용된다. 2010년 기준 화자 수가 393명으로 추정되며, 유네스코는 심각한 소멸 위기 언어로 분류했다. 3모음 체계를 가지며, 일본어와 음운 및 어휘에서 대응 관계를 보인다. 요나구니어는 복잡한 문법 체계를 가지며, 규칙 활용 동사, 불규칙 활용 동사, 형용사, 경어 등이 존재한다. 요나구니섬에서는 가이다 문자가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일본 가나와 한자로 대체되었고, 현대에는 가나 또는 로마자로 표기된다. 요나구니 방언은 섬 내 지역에 따라 차이를 보이며, 표준 일본어의 영향으로 사용이 감소하여 보존 노력이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요나구니정 - 요나구니 공항
오키나와현 요나구니섬에 위치한 요나구니 공항은 1943년 일본군에 의해 건설되어 민간 항공 운항을 시작, 활주로 확장과 제트기 취항을 거쳐 현재 류큐 에어 커뮤터가 나하 및 신이시가키 공항 노선을 운항하며 항행 안전 시설과 편의 시설을 갖춘 1층 터미널을 운영하고 있다. - 요나구니정 - 요나구니섬
요나구니섬은 일본 최서단 오키나와현의 섬으로, 대만과 가까워 대만 산을 볼 수 있고, 독특한 지형과 자연환경, 요나구니마, 하나자케 등의 특산물, 해저 지형 논쟁, Dr.코토 진료소 촬영지, 센카쿠 열도 관련 해안 감시 기지 등으로 지정학적 중요성을 가진다. - 류큐어파 - 이하 후유
이하 후유는 류큐 왕국 출신으로 오키나와학의 선구자로 불리며 오키나와 역사, 언어, 민속, 문화 등을 연구했고, 오키나와인의 정체성 형성에 기여했으나 오키나와 동화 정책과의 관련성에 대한 비판도 존재하며 그의 업적을 기리는 이하 후유상이 제정되었다. - 류큐어파 - 오키나와어
오키나와어는 일본어족에 속하며 오키나와 제도에서 주로 사용되던 언어로, 류큐 왕국 시대에 발전했으나 일본의 류큐 병합 후 쇠퇴하여 현재는 소멸 위기에 처해 있지만,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며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고 일본어와 차이를 보이는 독자적인 언어이다. - 일본의 언어 - 러시아어
러시아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명사, 형용사, 동사의 복잡한 문법 체계를 가지며,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전 세계적으로 2억 5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 일본의 언어 - 게센어
게센어는 일본 이와테현 기센 지구에서 사용되었던 언어로, 도호쿠 방언의 일종으로 분류되기도 하지만 아이누어의 영향을 받아 독자적인 언어라는 주장도 있으며, 현대 일본어와 차이를 보이는 어휘와 문법, 발음 체계로 인해 지역 언어 부흥 운동의 대상이 되었으나, 방언인지 독립된 언어인지 논쟁 중이다.
| 요나구니어 | |
|---|---|
| 지도 정보 | |
| 기본 정보 | |
| 언어 이름 | 요나구니어 |
| 다른 이름 | 요나구니 방언 |
| 자칭 | 与那国物言 (요나구니 모노이) ドゥナンムヌイ (두난무누이) |
| 발음 (IPA) | /dunaŋmunui/ |
| 사용 국가 | 일본 |
| 사용 지역 | 요나구니 섬 |
| 사용자 수 | 400명 (2008년) 또는 393명 (2010년) |
| 사멸 위기 | 심각 |
| 언어 분류 | |
| 어족 | 일본어족 |
| 어파 | 류큐어파 |
| 어군 | 남류큐어군 |
| 하위 분류 | 광역 야에야마어 |
| 언어 코드 | |
| ISO 639-3 | yoi |
| Glottolog | yona1241 |
| Glottolog 이름 | Yonaguni |
| 문자 체계 | |
| 문자 | 일본 문자 체계 |
| 기타 | |
![]() | |
![]() | |
2. 역사 및 현황
국립 국어 연구소의 추정에 따르면, 2010년 시점에서 요나구니어를 사용하는 사람은 393명이다. 현지 주민 중에서도 60대 중반을 경계로 요나구니어를 할 수 있는 사람은 드물고, 젊은 세대는 요나구니어를 말하거나 이해하지 못한다.[7][8] 2009년 2월 유네스코는 요나구니어를 소멸 위기 언어 중 "심각한 위험"(severely endangered) 단계로 분류했다.
요나구니어는 의 3모음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일본 류큐어파 중 모음 수가 가장 적다. 각 모음은 다양한 이음을 가진다.
3. 음운
모음의 장단은 변별적이지 않지만, 조사가 붙지 않는 1모라 단어는 장모음화되는 경향이 있다. (예: (이름), (나무))
반모음 는 어두에 올 수 없지만 모든 자음과 결합 가능하며, 는 을 제외한 모든 자음과 결합할 수 있다.
자음 중 연구개 파열음과 치경 파열음은 유기음 와 무기화음 의 구별이 있다. 이는 어두에서만 나타나며, 어중에서는 대부분 무기화음으로 실현된다. 및 도 음성적으로는 무기화음이지만, 대응하는 유기음이 없어 변별적 특징은 아니다.
유성 연구개음은 비음 이 파열음 와 대립한다. 은 류큐어파 중 요나구니어와 아마미의 키카이지마에서만 나타난다. 는 용례가 적고 어두의 , 에서만 나타난다.
박음소에는 /N/(비음)이 있으며, 후속 자음에 따라 으로 나타난다. (예: (손톱), (흙), (지네)) /Q/(된소리)는 요나구니어에서 나타나지 않는다.
요나구니어의 박 체계는 다음과 같다.[2]
/tʔwa/ | ||||||
| 박음소 | ||||||
3. 1. 모음
요나구니어는 의 3모음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일본 류큐어파 중 모음 수가 가장 적다. 그렇기 때문에 각각의 구체적인 음성에는 상당한 변동이 있다.다음 표는 요나구니어에 존재하는 모음을 나타낸다. 변이음이거나 부차적인 모음은 괄호 안에 표시되어 있다.
모음 는 ~의 범위를 가진 음이며, , 의 이음을 가진다. 또한 강조할 때는 (술이야!)처럼 로도 발음된다.[2][3] 모음 도 ~의 변동이 있으며, , 의 이음을 가진다. 조사 (요) 등에서는 처럼 넓게 로 발음된다.[3][2] 는 단지 의 변이음으로서 뿐만 아니라 독립적인 음소로도 인식될 수 있다. 하지만 그 분포는 매우 제한적이다. 몇몇 감탄사를 제외하고, 그것이 나타나는 유일한 형태소는 문장 종결, 감탄사로 사용되는 입자 ''do''이다.[1]
모음의 장단은 변별적이지 않다고 여겨지지만, 조사가 붙지 않는 1모라의 단어는 기본적으로 장모음화된다.[4] 따라서 (이름), (나무)와 같아진다.
3. 2. 자음
다음 표는 요나구니어에 존재하는 자음을 나타낸다.[3]
파열음과 파찰음 음소는 삼중 대립을 이룬다. 히라야마 외(1967)는 이 대립을 무성 무후두화, 무성 후두화, 유성음으로 설명한다.[4] 야마다 외(2015)는 이 대립을 강음(무기음 무긴장), 약음(약하게 유기 및 이완), 그리고 유성음으로 설명한다. 약음/강음 구별은 단어 중간 위치에서 중화되어 둘 다 음성적으로 강음이 된다.[3]
모음 앞이 아닌 위치에서, 모든 비음은 뒤에 오는 자음과 음성적으로 동음이음을 이룬다(예: , , ). 비음은 종결 위치에서 연구개음()이다.[3]
자음에서는 연구개 파열음과 치경 파열음에 유기음 과 무기화음 의 구별이 있는 것이 큰 특징이다. 북부 류큐어파에서도 구별이 있지만, 미야코어・야에야마어에서는 인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 구별은 요나구니어에서는 어두에만 인정되며, 어중에서는 대부분 무기화음으로 실현된다. 및 도 음성적으로는 무기화음이지만, 대응하는 유기음이 결여되어 있어 변별적 특징은 아니다.
유성의 연구개음은 비음 이 파열음 와 대립하고 있다. 은 류큐어파 중에서는 요나구니어와 아마미의 키카이지마에만 인정된다. 또한 는 용례가 극히 적으며, 어두에서 , 로 나타날 뿐 어중・어미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박음소에는 /N/(비음)이 있으며, /Q/(된소리)는 요나구니어에서는 인정되지 않는다. /N/의 음성은 후속 자음에 따라 으로 나타난다.(예) (손톱), (흙), (지네)
3. 3. 음절 구조
요나구니어의 음절 구조는 (C(G))V1(V2)(N) 형태이다. 여기서 C는 자음, G는 활음( 또는 ), V는 모음, N은 모라적 비음을 나타낸다.[1]- 두음: 활음이 나타날 수 있는 단일 자음을 허용한다.
- 핵: 최대 두 개의 모음을 포함할 수 있다.
- 종성: 모라적 비음만이 가능하다.
요나구니어는 의 3모음 체계를 가지며, 이는 일본 류큐어파 중 가장 적은 수이다. 각 모음은 다양한 이음을 가진다.
- : ~ 범위의 소리, , 등의 이음. 강조 시 로 발음되기도 한다.
- : ~ 범위의 소리, , 등의 이음. 조사 (요) 등에서는 처럼 넓게 로 발음되기도 한다.
모음의 장단은 변별적이지 않지만, 조사가 붙지 않는 1모라 단어는 장모음화되는 경향이 있다. (예: (이름), (나무))
반모음 는 어두에 올 수 없지만 모든 자음과 결합 가능하며, 는 을 제외한 모든 자음과 결합할 수 있다.[1]
자음 중 연구개 파열음과 치경 파열음은 유기음 와 무기화음 의 구별이 있다. 이는 어두에서만 나타나며, 어중에서는 대부분 무기화음으로 실현된다. 및 도 음성적으로는 무기화음이지만, 대응하는 유기음이 없어 변별적 특징은 아니다.[1]
유성 연구개음은 비음 이 파열음 와 대립한다. 은 류큐어파 중 요나구니어와 아마미의 키카이지마에서만 나타난다. 는 용례가 적고 어두의 , 에서만 나타난다.[1]
박음소에는 /N/(비음)이 있으며, 후속 자음에 따라 으로 나타난다. (예: (손톱), (흙), (지네)) /Q/(된소리)는 요나구니어에서 나타나지 않는다.[1]
요나구니어의 박 체계는 다음과 같다.[2]
/tʔwa/ | ||||||
| 박음소 | ||||||
3. 4. 음조 (억양)
요나구니어는 의 3모음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일본 류큐어파 중 모음 수가 가장 적다. 모음 는 ~의 범위를 가진 음이며, , 의 이음을 가진다. 강조할 때는 (술이야!)처럼 로도 발음된다[1][2]. 모음 도 ~의 변동이 있으며, , 의 이음을 가진다. 조사 (요) 등에서는 처럼 넓게 로 발음된다[2][1].모음의 장단은 변별적이지 않지만, 조사가 붙지 않는 1모라의 단어는 기본적으로 장모음화된다.[3] 따라서 (이름), (나무)와 같아진다.
자음에서는 연구개 파열음과 치경 파열음에 유기음 과 무기화음 의 구별이 있는 것이 큰 특징이다. 북부 류큐어파에서도 구별이 있지만, 미야코어・야에야마어에서는 인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 구별은 요나구니어에서는 어두에만 인정되며, 어중에서는 대부분 무기화음으로 실현된다(따라서 본 항 이하의 기술에서는 어중의 는 생략하여 표기한다)[4]. 및 도 음성적으로는 무기화음이지만, 대응하는 유기음이 결여되어 있어 변별적 특징은 아니다[2].
유성의 연구개음은 비음 이 파열음 와 대립하고 있다. 은 류큐어파 중에서는 요나구니어와 아마미의 키카이지마에만 인정된다. 또한 는 용례가 극히 적으며, 어두에서 , 로 나타날 뿐 어중・어미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2].
박음소에는 /N/(비음)이 있으며, /Q/(된소리)는 요나구니어에서는 인정되지 않는다. /N/의 음성은 후속 자음에 따라 으로 나타난다. (예) (손톱), (흙), (지네)[5]
이하는 요나구니어에 나타나는 박의 일람이다. //로 둘러싸인 부분은 음소 표기, []로 둘러싸인 부분은 구체적인 음성이다.
3. 5. 일본어와의 대응 관계
요나구니어는 표준 일본어와 비교했을 때 음운 체계에서 몇 가지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특히 자음과 모음의 대응 관계에서 이러한 특징들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자음 대응:
- 표준 일본어의 /w/는 요나구니어에서 /b/로 나타난다. 예를 들어, 요나구니어 /bata/(배)는 일본어 /wata/(창자)와 대응된다.[5]
- 표준 일본어의 /j/는 요나구니어에서 /d/로 나타난다. 예를 들어, 요나구니어 /dama/(산)는 일본어 /jama/(산)와 대응된다.[5]
- 표준 일본어 어중의 /k/는 요나구니어에서 /g/가 된다. (예) (열다)
- 표준 일본어 어중의 /g/는 요나구니어에서 이 된다. (예) (오르다)
- 표준 일본어의 /z/는 요나구니어에서 /d/가 된다. (예) (맛)
이러한 자음 변화는 요나구니어가 중국어 차용어에서도 나타난다는 점에서, /j/가 /d/로 변화한 것이 비교적 최근의 일임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dasai''(채소)는 중세 중국어 野菜|yěcài중국어에서 왔다.[5] 15세기 말 한국의 『성종실록』에는 요나구니 섬의 이름이 이두로 閏伊是麼로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중세 한국어 발음 'zjuni sima'로, 'sima'는 '섬'을 의미하는 일본어 단어이다. 이는 - > - > 로의 강음화가 진행된 중간 단계의 증거이며, 현대 지명 '요나구니'로 이어진다.[5]
모음 대응:
요나구니어는 3모음 체계(/i/, /a/, /u/)를 가지고 있어, 일본 류큐어파 중 모음 수가 가장 적다. 이 때문에 각 모음은 다양한 변이음을 가진다.
| 일본어 | 아 | 이 | 우 | 에 | 오 | |||
|---|---|---|---|---|---|---|---|---|
| 요나구니어 |
- /i/는 ~의 변이음을 가지며, 강조될 때는 로도 발음된다.
- /u/는 ~의 변이음을 가지며, 조사 (요) 등에서는 처럼 넓게 로 발음된다.
자음:
요나구니어의 자음 체계는 다음과 같다.
/tʔwa/ | ||||||
| 박음소 | ||||||
- 연구개 파열음과 치경 파열음에는 유기음(, )과 무기화음(, )의 구별이 있다.
- 유성 연구개음 은 파열음 와 대립한다.
- 박음소 /N/은 뒤따르는 자음에 따라 으로 실현된다.
이러한 음운 체계의 특징들은 요나구니어가 다른 류큐어파 언어들과 구별되는 중요한 요소이며, 요나구니어만의 독특한 음운 변화를 보여준다.
4. 문법
요나구니어의 문법은 류큐어파 중에서도 독특하고 복잡한 체계를 가지고 있다. 특히 동사의 활용이 매우 다양하며, 15개의 클래스로 분류된다[1].
동사는 명령형과 완료형을 통해 그룹, 소그룹, 클래스로 분류할 수 있다[2]. 명령형 어근의 형태에 따라 C 그룹, R 그룹, V 그룹으로 나뉘며, 각 그룹은 다시 소그룹과 클래스로 세분화된다. 예를 들어, 명령형 어근이 r 이외의 자음으로 끝나면 C 그룹, k, g, ŋ로 끝나면 K 소그룹에 속한다.
동사 접미사 중에는 사역 -(a)mir-, 비과거 -u-/-∅-, 과거 -(i)ta- 등이 있으며, 이형태를 가진다[5]. 연체형은 일부 동사, 형용사, 완료형, 과거형에서만 -ru를 사용하고, 나머지는 종지형에서 -N을 뺀 형태를 취한다[1]. 완료형은 의미에 따라 -a-계와 -u-계를 구분하여 사용한다[5].
요나구니어에는 모음 축약 등의 음소 배열 규칙이 존재한다[3]. 예를 들어, 모음 또는 j 앞의 i는 삭제되고(ij→j), a 앞의 u는 w로 바뀐다(ua→wa).
현재형에는 -na(예/아니요 의문), -Nga(의문사 의문) 등의 접미사가 붙고, 연체형에는 -ka(간접 의문), -hadi(추측) 등이 붙는다[3][1]. 중지형에는 -ti(계기), -bi(이유) 등의 접미사가 사용된다[3][1].
형용사는 동사와 달리 단순한 구조를 가지며, 어근은 항상 *a*로 끝난다. 어근에 *-gu*를 붙여 부사를 만들 수 있다[3].
경어는 일본어 표준어와 달리 나이 차이에 따라 결정된다. 문장의 주격항이나 여격항의 연장자 여부에 따라 두 종류의 경어가 사용된다[1].
4. 1. 동사 형태론
요나구니어의 동사 어형 변화는 류큐어파 중에서도 가장 복잡한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1]. 동사 어근과 접사 모두에 여러 이형태가 있으며, 그 조합 패턴으로 동사는 15개의 클래스로 분류된다.어떤 동사의 명령형과 완료형 두 개를 보면, 음운 환경에 따라 동사 클래스를 기계적으로 특정할 수 있다[2]. 요나구니어의 동사는 그룹, 소그룹, 클래스 3단계로 나뉜다. 명령형을 보면 소그룹까지, 완료형을 보면 클래스를 특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른 활용형도 올바르게 이끌어낼 수 있다.
요나구니어 동사 클래스 분류는 다음과 같다.
- C 그룹: 명령형 어근이 r 이외의 자음으로 끝나는 것.
- K 소그룹: 명령형 어근이 k, g, ŋ로 끝나는 것.
- K/YA 클래스: 명령형 어근이 k, g로 끝나고, 완료형에 ja를 취하는 것.
- ŋ/YA 클래스: 명령형 어근이 ŋ로 끝나고, 완료형에 ja를 취하는 것.
- K/U 클래스: 완료형이 u를 취하는 것.
- C 소그룹: 그 외.
- C/YA 클래스: 이 소그룹은 모두 이 클래스가 되며, 완료형은 ja뿐이다.
- R 그룹: 명령형 어근이 r로 끝나는 것.
- VR 소그룹: 명령형 어근이 ar 또는 ur로 끝나는 것.
- AR/A 클래스: 명령형 어근이 ar로 끝나는 것. 완료형은 a뿐이다.
- UR/U 클래스: 명령형 어근이 ur로 끝나고, 완료형에 u를 취하는 것.
- UR/WA 클래스: 명령형 어근이 ur로 끝나고, 완료형에 a를 취하는 것.
- IR 소그룹: 명령형 어근이 ir로 끝나는 것.
- IR/U 클래스: 완료형에 u를 취하는 것.
- IR/YA 클래스: 완료형에 ja를 취하는 것.
- IR/YU 클래스: 완료형에 ju를 취하는 것.
- UIR/WA 클래스: 명령형 어근이 uir로 끝나고, 완료형에 a를 취하는 것.
- V 그룹: 명령형 어근이 모음으로 끝나는 것. (소그룹 특정에는 완료형 또는 중지형 정보 필요)
- VS 소그룹: 완료형 및 중지형 어근이 s로 끝나는 것. 이 소그룹의 완료형은 항상 ja가 된다.
- AS/YA 클래스: 명령형 어근이 a로 끝나고, 완료형에 ja를 취하는 것.
- US/YA 클래스: 명령형 어근이 u로 끝나고, 완료형에 ja를 취하는 것.
- V 소그룹: 그 외.
- A/A 클래스: 명령형 어근이 a로 끝나고, 완료형에 a를 취하는 것.
- U/WA 클래스: 명령형 어근이 u로 끝나고, 완료형에 a를 취하는 것.
요나구니어에서 이형태를 가진 동사 접미사에는 사역 -(a)mir-, 비과거 -u-/-∅-, 과거 -(i)ta-, 상황(-하면) -uba/-iba, 금지 -(u)Nna, 연체 -ru/-∅, 완료 -(j)a-/-(j)u-가 있다[5]. 이 중 연체형은 일부 변격 활용을 하는 동사, 형용사, 및 완료형과 과거형에만 -ru를 사용하며, 그 외의 경우에는 종지형에서 -N을 뺀 형태를 사용한다[1]. 완료형에서 -a-계를 사용할지 -u-계를 사용할지는 대부분 의미에 따라 결정되며, 주어가 동작주인 경우에는 a계를,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u계를 사용한다[5].
요나구니어에는 다음과 같은 음소 배열 규칙이 존재한다[3].
1. 모음 또는 j 앞의 i가 삭제된다. (ij→j, ii→i, ia→a, iu→u)
2. a 앞의 u가 w로 치환된다. (ua→wa)
3. 같은 모음이 연속될 때는 한쪽이 삭제된다. (aa→a, ii→i, uu→u)
현재형(종지형에서 -N을 뺀 형태)에 붙는 접사에는 -na(예/아니요 의문), -Nga(의문사 의문), -Ndi(인용), -Nsu(명사화) 등이 있다[3][1]. 연체형에 붙는 접사에는 -ka(간접 의문), -hadi(추측) 등이 있다[3][1]. 중지형에 붙는 접사에는 -ti(계기), -bi(이유), -datana(동시), -busa-N(소망), -war-u-N(존경), -bu-N(비완료상) 등이 있다[3][1].
4. 1. 1. 규칙 활용 동사
요나구니어의 동사 어형 변화는 류큐어파 중에서도 가장 복잡한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1]. 동사 어근과 접사 모두에 여러 이형태가 있으며, 그 조합 패턴으로 동사는 15개의 클래스로 분류된다.어떤 동사의 명령형과 완료형 두 개를 보면, 음운 환경에 따라 동사 클래스를 기계적으로 특정할 수 있다[2]. 요나구니어의 동사는 그룹, 소그룹, 클래스 3단계로 나뉜다. 명령형을 보면 소그룹까지 특정할 수 있다(단, 명령형 어근이 모음 어근인 경우 제외). 이어서 완료형을 보면 클래스를 특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른 활용형도 올바르게 이끌어낼 수 있다. 명령형의 접사는 -i이며, 단 한 종류밖에 없다. 따라서 예를 들어 명령형이 kagi라면 반드시 kag-i로 분해할 수 있다.
요나구니어의 동사 클래스는 다음과 같다.
# C 그룹: 명령형 어근이 r 이외의 자음으로 끝나는 것.
## K 소그룹: 명령형 어근이 k, g, ŋ로 끝나는 것.
### K/YA 클래스: 명령형 어근이 k, g로 끝나고, 완료형에 ja를 취하는 것.
### ŋ/YA 클래스: 명령형 어근이 ŋ로 끝나고, 완료형에 ja를 취하는 것.
### K/U 클래스: 완료형이 u를 취하는 것.
## C 소그룹: 그 외.
### C/YA 클래스: 이 소그룹은 모두 이 클래스가 된다. 완료형은 ja뿐이다.
# R 그룹: 명령형 어근이 r로 끝나는 것.
## VR 소그룹: 명령형 어근이 ar 또는 ur로 끝나는 것.
### AR/A 클래스: 명령형 어근이 ar로 끝나는 것. 완료형은 a뿐이다.
### UR/U 클래스: 명령형 어근이 ur로 끝나고, 완료형에 u를 취하는 것.
### UR/WA 클래스: 명령형 어근이 ur로 끝나고, 완료형에 a를 취하는 것.
## IR 소그룹: 명령형 어근이 ir로 끝나는 것.
### IR/U 클래스: 완료형에 u를 취하는 것.
### IR/YA 클래스: 완료형에 ja를 취하는 것.
### IR/YU 클래스: 완료형에 ju를 취하는 것.
### UIR/WA 클래스: 명령형 어근이 uir로 끝나고, 완료형에 a를 취하는 것.
# V 그룹: 명령형 어근이 모음으로 끝나는 것. *이 그룹만 소그룹을 특정하기 위해 완료형 또는 중지형의 정보가 필요하다.
## VS 소그룹: 완료형 및 중지형 어근이 s로 끝나는 것. 이 소그룹의 완료형은 항상 ja가 된다.
### AS/YA 클래스: 명령형 어근이 a로 끝나고, 완료형에 ja를 취하는 것.
### US/YA 클래스: 명령형 어근이 u로 끝나고, 완료형에 ja를 취하는 것.
## V 소그룹: 그 외.
### A/A 클래스: 명령형 어근이 a로 끝나고, 완료형에 a를 취하는 것.
### U/WA 클래스: 명령형 어근이 u로 끝나고, 완료형에 a를 취하는 것.
각 소그룹에 속하는 동사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3][4].
- 1.1. K 소그룹: sunk-u-N(끌다), sag-u-N(찢다), haŋ-u-N(나누어주다), tʔiNg-u-N(잇다), tudug-u-N(닿다), birag-u-N(열다), aig-u-N(걷다), niŋ-u-N(바라다).
- 1.2. C 소그룹: tat-u-N(서다), niNd-u-N(자다), kaNd-u-N(쓰다), Nd-u-N(말하다), Nn-u-N(보다), tub-u-N(날다), dum-u-N(읽다), c-u-N(입다), c-u-N(자르다), mut-u-N(가지다), um-u-N(잣다), nucim-u-N(훔치다), tarum-u-N(의뢰하다).
- 2.1. VR 소그룹: Ngar-u-N(젖다), hudur-u-N(성장하다), kʔur-u-N(만들다), Nkar-u-N(향하다), hadimar-u-N(시작하다), maŋar-u-N(굽다), ar-u-N(씻다).
- 2.2. IR 소그룹: bacir-u-N(잊다), kir-u-N(하다), hir-u-N(가다), ubuir-u-N(외우다), ugir-u-N(일어나다), aŋir-u-N(올리다), tir-u-N(비치다), utir-u-N(떨어지다), nadir-u-N(어루만지다), Nnir-u-N(죽다), abir-u-N(부르다), irir-u-N(넣다), abatir-u-N(당황하다), cidikʔir-u-N(계속하다).
- 3.1. VS 소그룹: maga-N(짓다), karaga-N(말리다), kja-N(끄다), Nna-N(죽게 하다), ugu-N(일으키다), hu-N(말리다), Nbu-N(찌다), kuru-N(죽이다), bata-N(건네다), kaina-N(바꾸다), pira-N(부수다).
- 3.2. V 소그룹・A 클래스: hu-N(먹다), ku-N(사다), kʔu-N(쓰다), baːru-N(웃다).
- 3.2. V 소그룹・U 클래스: dugu-N(쉬다), u-N(쫓다), umu-N(생각하다).
몇몇 클래스에 대해 주요 접사가 접속된 경우의 어형은 아래 표와 같다[3].
| 클래스 | 용례 | 사역 | 부정 | 조건 | 현재·직접 (종지) | 명령 | 상황 | 금지 | 과거 | 완료 |
|---|---|---|---|---|---|---|---|---|---|---|
| C/YA | 서다 | tatamiruN | tatanuN | tatja | tatuN | tati | tatuba | tatuNna | tatitaN | tatjaN |
| K/U | 피다 | sagamiruN | saganuN | sagja | saguN | sagi | saguba | saguNna | satitaN | satuN |
| AR/A | 젖다 | NgaramiruN | NgaranuN | Ngarja | NgaruN | Ngari | Ngaruba | NgaNna | NgataN | NgaN |
| IR/U | 잊다 | bacimiruN | baciranuN | bacirja | baciruN | baciri | baciruba | baciNna | bacitaN | bacuN |
| AS/YA | 짓다 | magamiruN | maganuN | magaN | magai | magaiba | magaNna | magataN | magasjaN | |
| US/YA | 말리다 | hwamiruN | hwanuN | huN | hui | huiba | huNna | hutaN | husjaN | |
| A/A | 먹다 | hamiruN | hanuN | huN | hai | haiba | huNna | hataN | haN | |
| U/WA | 쉬다 | dugamiruN | duganuN | duguN | dugui | duguiba | duguNna | dugutaN | dugwaN |
C 클래스의 "서다"의 경우, 1종류의 어근 tat-을 추출할 수 있지만, K 클래스 "피다"의 경우는 어근이 sag-와 sat-의 2종류 있다. AR 클래스의 "젖다"에서는 Ngar와 Nga의 2종류가 있다. 이처럼 요나구니어의 동사 어근에는 여러 이형태가 있다.
요나구니어에서 이형태를 가진 동사 접미사에는 사역 -(a)mir-, 비과거 -u-/-∅-, 과거 -(i)ta-, 상황(-하면) -uba/-iba, 금지 -(u)Nna, 연체 -ru/-∅, 완료 -(j)a-/-(j)u-가 있다[5]. 이 중 연체형은 일부 변격 활용을 하는 동사, 형용사, 및 완료형과 과거형에만 -ru를 사용하며, 그 외의 경우에는 종지형에서 -N을 뺀 형태를 사용한다[1]. 완료형에서 -a-계를 사용할지 -u-계를 사용할지는 대부분의 경우 의미에 따라 결정되며, 주어가 동작주인 경우에는 a계를,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u계를 사용한다[5]. 그 외의 접사를 어떻게 선택할지는 활용 클래스에 따라 결정된다.
클래스별 어근과 접사의 조합은 아래 표와 같다. 단, 완료형만 다른 클래스에 대해서는 같은 행에 넣고, 완료형 열만 /로 나누었다. 어근 말 열에 있는 "C"는 임의의 자음을 나타낸다. 또한, 요나구니어에는 다음과 같은 음소 배열 규칙이 있으므로, 표 중 ※ 표시 부분에서는 이 규칙이 적용된다. 예를 들어 A 클래스의 hu-N(먹다)의 완료형 //ha-a-N//은, 음소 배열 규칙 3에 의해 실제로는 /haN/이 된다. UIR 클래스의 ubuir-u-N(외우다)의 사역형 //ubui-amir-u-N//은, 규칙 1에 의해 ubuamiruN이 된 것에 더하여 규칙 2가 적용되어 /ubwamiruN/이 된다.
; 음소 배열 규칙[3]
# 모음 또는 j 앞의 i가 삭제된다. (ij→j, ii→i, ia→a, iu→u)
# a 앞의 u가 w로 치환된다. (ua→wa)
# 같은 모음이 연속될 때는 한쪽이 삭제된다. (aa→a, ii→i, uu→u)
※1 - 3에 대해서는 위 "음소 배열 규칙"을 참조.
현재형(종지형에서 -N을 뺀 형태)에 붙는 접사에는, -na(예/아니요 의문), -Nga(의문사 의문), -Ndi(인용), -Nsu(명사화) 등이 있다[3][1]. 연체형에 붙는 접사에는, -ka(간접 의문), -hadi(추측) 등이 있다[3][1]. 중지형에 붙는 접사에, -ti(계기), -bi(이유), -datana(동시), -busa-N(소망), -war-u-N(존경), -bu-N(비완료상) 등이 있다[3][1].
4. 1. 2. 불규칙 활용 동사
이상의 규칙에 맞지 않는 변칙 활용 동사가 있다. /aN/("있다"혹은 코퓰러), /buN/
"있다", /cuN/
"알다", /iruN/
"하다", /kuN/
"오다", /hajuN/
"들어가다"가 이에 해당한다. 이 중 연체형 접사에 -ru를 취하는 것은 /aN/, /buN/, /cuN/의 세 가지로, 각각 /aru/, /buru/, /curu/가 된다.
4. 2. 형용사
요나구니어 형용사는 오래된 어근에 "さあり(사아리)"가 붙은 형태에서 유래되었으며, 후에 "さ(사)"가 탈락되었다.[1] 예를 들어 종지형은 "높이 있음(높이 있む)"이 야에야마어 이시가키 방언과 같은 *takasan*이 되고, "さ(사)"가 빠져 *taga*가 되었다. *tagasan*이라는 형태도 존재하는 듯하지만, *taga*와의 차이는 현재로서는 불명이다.[2]소나 방언의 "높다" 활용은 다음과 같다.
| 연용형1 | 조건형1 | 조건형2 | 연용형2 | 종지형 | 연체형 | 접속형 | ||
|---|---|---|---|---|---|---|---|---|
| 높다 | *tagagu* | *tagaru* | *tagarjaː* | *taga* | *tagan* | *tagaru* | *taga* | |
| 주요 접사 | *narun*(なる) | *ba*(ば) | *minun*(ない) *ŋisan*(そうだ) | *bi*(て) *biti*(て) |
동사가 복잡한 구조를 가지는 것에 비해, 형용사는 모두 보조 동사 *an*의 접미에 의해 만들어지기 때문에, 1종류의 활용 패턴밖에 없는 단순한 구조가 되어 있다. 형용사의 어근은 반드시 *a*로 끝나며, 상술한 *taga-n*(종지형)이라면 *taga-n*으로 분석되며, 원칙적으로 어근은 *taga-*의 한 종류뿐이다.[2] 또한 어근에 *-gu*를 붙이면 부사를 만들 수 있다(*taga-n*⇒*taga-gu*: 높다⇒높게).[3]
4. 3. 경어
요나구니어의 경어 규칙은 일본어 표준어와 다르며, 사회적 관계나 심리적 거리, 격식 등에 관계없이 순수하게 나이 차이만으로 경어를 사용할지 여부가 결정된다. 문장의 종류에 따라 두 종류의 경어가 있다.[1]첫 번째 경어는 문장이 여격항을 갖지 않거나, 혹은 여격항이 인간이 아닌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한 문장에서 문장의 주격항이 발화자보다 연장자인 경우 경어가 사용된다.[1]
두 번째 경어는 문장이 인간의 여격항을 갖고, 또한 여격항이 주격항보다 연장자인 경우에 사용된다.[1]
위의 두 예문에서는 첫 번째 경어는 존경어, 두 번째 경어는 겸양어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1]
예를 들어 다음 문장은 "발화자<요시미 씨<이모"라는 나이 순으로 말해지는 것이다. 이모가 주격항이지만, 이 문장에는 요시미 씨라는 인간의 여격항이 있기 때문에, 첫 번째 경어는 적용되지 않고, 연장자에 대한 존경어와 동치가 아님을 알 수 있다. 또한 여격항은 주격항보다 연소자이므로, 두 번째 경어의 적용도 없다. 결과적으로 경어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 문장이 된다.[1]
또한 다음 문장은 발화자 자신이 여격항이며, 주격항인 케이타가 자신보다 연소자인 경우이다. 이 경우 나이 규칙에 따라 두 번째 경어가 사용되기 때문에, 이것이 겸양어와 동치가 아님을 알 수 있다.[1]
5. 어휘
5. 1. 대명사
요나구니어의 대명사는 다음과 같다.| 단수 | 번역 | 복수 | 번역 | ||
|---|---|---|---|---|---|
| 1인칭 | anu] | 나 | banu] | banunta] | 우리들 (화자를 제외) |
| banta] | 우리들 (화자를 포함) | ||||
| 2인칭 | nda= | 너 | ndi= | ndinta= | 너희들 |
| 근칭 | ku= | 이것 | kuntati | 이것들 | |
| 중칭 | u= | 그것 | untati_ | 그것들 | |
| 원칭 | kari= | 저것, 그/그녀 | kantati_ | 저것들, 그들 | |
| 재귀 1 | sa= | 자기 | si | 자기들 | |
| 재귀 2 | du] | 자기 | dunudu | rowspan="2" | | |
| 장소 근칭 | kuma] | 여기 | kumanta | 여기 주변, 이 근처 | |
| 장소 중칭 | uma] | 거기 | umanta | 저기 주변, 그 근처 | |
| 장소 원칭 | kama= | 저기 | kamanta | 저기 주변, 저 근처 | |
| 의문 유성 | ta= | 누구 | tanta | 누구들 | |
| 의문 무성 | nu] | 무엇 | |||
| 장소 의문 | nma] | 어디 | |||
| 시간 의문 | ici] | 언제 | |||
| 수량 의문 | iguci= | 몇 개 | |||
| igurati= | 얼마 | ||||
일부 대명사는 격에 따라 불규칙하게 변한다. 1인칭 대명사에 주격 =ŋa(가), 속격 =nu(의)가 붙는 경우와, 장소 대명사에 소격 =ni(에)가 붙는 경우 다음과 같이 변칙적인 어형이 된다. 장소 대명사의 경우, 어말의 a가 i로 교체되어 소격을 나타낸다.
| 기본형 | 격 | 특수 어형 | 번역 | |
|---|---|---|---|---|
| 1인칭 단수 | anu] | 주격·속격 | a=ŋa | 내가, 나의 |
| 1인칭 복수 | banu] | 주격·속격 | ba=ŋa | 우리들이, 우리들의 |
| banunta] | ||||
| (청자 포함) | banta] | |||
| 장소 근칭 | kuma] | 소격 | kumi] | 여기에 |
| 장소 중칭 | uma] | umi] | 거기에 | |
| 장소 원칭 | kama= | kami= | 저기에 | |
| 장소 의문 | nma] | nmi] | 어디에 |
5. 2. 격조사
{| class="wikitable"|+ 요나구니어의 격조사[1]
! 조사
! 번역
! 예문
! 예문 번역
|-
| =ja
| ~는
| kari=ja ku-n
| 그는 온다
|-
| =du
| ~야
| u=ŋa=du
| 이것이야말로
|-
| =ŋa
| ~가
| kari=ŋa ku-n
| 그가 온다
|-
| =nu
| ~의
| kari=nu suŋuti
| 그의 책
|-
| =nki
| ~에
|
| isu=nki hir-u-n |
| kari=nki tura-n |
|
| 갯벌에 간다 |
| 그에게 준다 |
|-
| =ni
| (장소)에서, 에
(시간)에
|
| isu=ni amb-u-n |
| isu=ni bu-n |
| unu basu=ni |
|
| 갯벌에서 논다 |
| 갯벌에 있다 |
| 그 때에 |
|-
| =gara
| ~부터
| isu=gara su-ta-n
| 갯벌에서 왔다
|-
| =tu
| ~와
| kari=tu ku-n
| 그와 함께 온다
|-
| =si
| ~로
| katana=si cu-n
| 칼로 벤다
|-
| =n
=bagin
| ~도
|
| kari=n ku-n |
| kari=bagin ku-n |
| 그도 온다
|-
| =ka
| ~보다
| ku=ka maci
| 이것보다 좋다
|-
| =nta
| ~들, ~등
| agami=nta
| 아이들
|-
| =ndi
| ~라고
| ku-n=ndi n-ta-n
| 온다고 말했다
|-
| =su
| ~의 (준체조사)
| n-ta-n=su=ja
| 말했다는 것은
|-
| =nni
| ~처럼
| u=nni=nu
| 이와 같이
|}
요나구니어에는 목적격을 나타내는 「을/를」은 존재하지 않으며, 목적어는 항상 무표지이다. 반면에 주격을 나타내는 조사는 =ŋa이며, 주제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ja를 취한다. 주격의 =ŋa는 타동사문에서는 반드시 사용되지만, 자동사문인 경우에는 변동이 있다. 또한, 다른 류큐 제어에서는 주격에 「의」에 해당하는 속격조사(요나구니어 =nu)를 사용하는 용법이 보이지만, 요나구니어에는 존재하지 않는다.[2]
5. 3. 수사 및 분류사
요나구니어의 수사는 다음과 같다.|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
| tʔu | tʔa | mi | du | ici | mu | nana | da | kugunu | tu |
수를 세는 대상에 따라 다른 류별사(분류사)를 사용한다.
| 세는 대상 | 류별사 |
|---|---|
| 사람 | -taintu |
| 동물 | -gara |
| 무생물 | -ci |
| 평평한 물건 | -ira |
| 수목 | -mutu |
| 날짜 | -ka/-ga |
| 횟수 | -muruci |
| 보폭 | -mata |
| 쥐는 횟수 | -ka |
예를 들어 "하나, 둘, 셋, 넷"은 "tʔuci, tʔaci, mici, duci"가 된다.
5. 4. 주요 단어
| 요나구니어 | 한국어 | 비고 |
|---|---|---|
| ウンティ(운티) | 감자 | 사쓰마이모 |
| ダマ(다마) | 산 | 야마 |
| ドゥル(두루) | 밤 | 요루 |
| ドゥー(두우) | 뜨거운 물 | 유 |
| ミンブル(밈부루) | 머리 | 쓰부루 |
| カイグゥ(카이구우) | 알 | 타마고 |
6. 문자 체계
요나구니어는 과거 가이다 로고그램이라는 고유한 문자 체계를 가지고 있었으나, 류큐 왕국에 정복된 후 일본 제국에 병합되면서 일본 가나와 한자로 대체되었다.[6]
요나구니어의 현대 문자 체계는 다음과 같다.
| /a/ | /i/ | /u/ | /e/ | /o/ | /ja/ | /ju/ | |
|---|---|---|---|---|---|---|---|
| /Ø/ | ア /a/ [a] | イ /i/ [i] | ウ /u/ [u] | エ /e/ [e] | オ /o/ [o] | ヤ /ya/ [ja] | ユ /yu/ [ju] |
| /k/ | カ /ka/ [ka] | キ /ki/ [ki] | ク /ku/ [ku] | ケ /ke/ [ke] | コ /ko/ [ko] | キャ /kya/ [kja] | キュ /kyu/ [kju] |
| /k'/ | か /k'a/ [kˀa] | き /k'i/ [kˀi] | く /k'u/ [kˀu] | け /k'e/ [kˀe] | こ /k'o/ [kˀo] | ||
| /g/ | ガ /ga/ [ga] | ギ /gi/ [gi] | グ /gu/ [gu] | ゲ /ge/ [ge] | ゴ /go/ [go] | ギャ /gya/ [gja] | ギュ /gyu/ [gju] |
| /ŋ/ | カ゚ /ŋa/ [ŋa] | キ゚ /ŋi/ [ŋi] | ク゚ /ŋu/ [ŋu] | ケ゚ /ŋe/ [ŋe] | コ゚ /ŋo/ [ŋo] | ||
| /s/ | サ /sa/ [sa] | シ /ɕi/ [ɕi] | ス /su/ [su] | セ /se/ [se] | ソ /so/ [so] | シャ /ɕa/ [ɕa] | シュ /ɕu/ [ɕu] |
| /t/ | タ /ta/ [ta] | ティ /ti/ [ti] | トゥ /tu/ [tu] | テ /te/ [te] | ト /to/ [to] | ||
| /t'/ | た /t'a/ [tˀa] | てぃ /t'i/ [tˀi] | とぅ /t'u/ [tˀu] | て /t'e/ [tˀe] | と /t'o/ [tˀo] | ||
| /d/ | ダ /da/ [da] | ディ /di/ [di] | ドゥ /du/ [du] | デ /de/ [de] | ド /do/ [do] | ||
| /ts'/ | ツャ /ts'a/ [tsˀa] | チ /tɕ'i/ [tɕˀi] | ツ /ts'u/ [tsˀu] | ||||
| /n/ | ナ /na/ [na] | ニ /ni/ [ni] | ヌ /nu/ [nu] | ネ /ne/ [ne] | ノ /no/ [no] | ||
| /h/ | ハ /ha/ [ha] | ヒ /hi/ [çi] | フ /hu/ [hu] | ヘ /he/ [he] | ホ /ho/ [ho] | ヒャ /ça/ [hja] | ヒュ /çu/ [hju] |
| /p/ | パ /pa/ [pa] | ピ /pi/ [pi] | プ /pu/ [pu] | ペ /pe/ [pe] | ポ /po/ [po] | ピャ /pya/ [pja] | ピュ /pyu/ [pju] |
| /b/ | バ /ba/ [ba] | ビ /bi/ [bi] | ブ /bu/ [bu] | ベ /be/ [be] | ボ /bo/ [bo] | ビャ /bya/ [bja] | ビュ /byu/ [bju] |
| /m/ | マ /ma/ [ma] | ミ /mi/ [mi] | ム /mu/ [mu] | メ /me/ [me] | モ /mo/ [mo] | ||
| /w/ | ワ /wa/ [wa] | ||||||
| /r/ | ラ /ra/ [ɾa] | リ /ri/ [ɾi] | ル /ru/ [ɾu] | レ /re/ [ɾe] | ロ /ro/ [ɾo] | ||
| ン /N/* [n, m, ŋ] | ー /ː/ [ː] | ッ (final) /ʔ/ [ʔ] | ッ /Q/ [k, g, s, ts, t, d, h, b, p] | ||||
- /m/은 입술 자음 앞, /ŋ/은 연구개 자음 앞에서 사용된다. 예시: 디ンブンキルン [dimbuŋkirun] "목표를 가지다".
6. 1. 가이다 문자
요나구니어는 한때 가이다 로고그램이라는 독특한 표기 체계로 표기되었다.[6] 그러나 류큐 왕국의 정복과 일본 제국에 의한 병합으로 인해 로고그램은 일본 가나와 한자로 대체되었다.[6]6. 2. 현대 표기
요나구니어는 한때 가이다 로고그램이라는 독특한 표기 체계로 표기되었다. 그러나 류큐 왕국의 정복 이후, 그리고 이후 일본 제국의 병합으로 인해 로고그램은 일본 가나와 한자로 대체되었다.[6]| /a/ | /i/ | /u/ | /e/ | /o/ | /ja/ | /ju/ | |
|---|---|---|---|---|---|---|---|
| /Ø/ | ア /a/ [a] | イ /i/ [i] | ウ /u/ [u] | エ /e/ [e] | オ /o/ [o] | ヤ /ya/ [ja] | ユ /yu/ [ju] |
| /k/ | カ /ka/ [ka] | キ /ki/ [ki] | ク /ku/ [ku] | ケ /ke/ [ke] | コ /ko/ [ko] | キャ /kya/ [kja] | キュ /kyu/ [kju] |
| /k'/ | か /k'a/ [kˀa] | き /k'i/ [kˀi] | く /k'u/ [kˀu] | け /k'e/ [kˀe] | こ /k'o/ [kˀo] | ||
| /g/ | ガ /ga/ [ga] | ギ /gi/ [gi] | グ /gu/ [gu] | ゲ /ge/ [ge] | ゴ /go/ [go] | ギャ /gya/ [gja] | ギュ /gyu/ [gju] |
| /ŋ/ | カ゚ /ŋa/ [ŋa] | キ゚ /ŋi/ [ŋi] | ク゚ /ŋu/ [ŋu] | ケ゚ /ŋe/ [ŋe] | コ゚ /ŋo/ [ŋo] | ||
| /s/ | サ /sa/ [sa] | シ /ɕi/ [ɕi] | ス /su/ [su] | セ /se/ [se] | ソ /so/ [so] | シャ /ɕa/ [ɕa] | シュ /ɕu/ [ɕu] |
| /t/ | タ /ta/ [ta] | ティ /ti/ [ti] | トゥ /tu/ [tu] | テ /te/ [te] | ト /to/ [to] | ||
| /t'/ | た /t'a/ [tˀa] | てぃ /t'i/ [tˀi] | とぅ /t'u/ [tˀu] | て /t'e/ [tˀe] | と /t'o/ [tˀo] | ||
| /d/ | ダ /da/ [da] | ディ /di/ [di] | ドゥ /du/ [du] | デ /de/ [de] | ド /do/ [do] | ||
| /ts'/ | ツャ /ts'a/ [tsˀa] | チ /tɕ'i/ [tɕˀi] | ツ /ts'u/ [tsˀu] | ||||
| /n/ | ナ /na/ [na] | ニ /ni/ [ni] | ヌ /nu/ [nu] | ネ /ne/ [ne] | ノ /no/ [no] | ||
| /h/ | ハ /ha/ [ha] | ヒ /hi/ [çi] | フ /hu/ [hu] | ヘ /he/ [he] | ホ /ho/ [ho] | ヒャ /ça/ [hja] | ヒュ /çu/ [hju] |
| /p/ | パ /pa/ [pa] | ピ /pi/ [pi] | プ /pu/ [pu] | ペ /pe/ [pe] | ポ /po/ [po] | ピャ /pya/ [pja] | ピュ /pyu/ [pju] |
| /b/ | バ /ba/ [ba] | ビ /bi/ [bi] | ブ /bu/ [bu] | ベ /be/ [be] | ボ /bo/ [bo] | ビャ /bya/ [bja] | ビュ /byu/ [bju] |
| /m/ | マ /ma/ [ma] | ミ /mi/ [mi] | ム /mu/ [mu] | メ /me/ [me] | モ /mo/ [mo] | ||
| /w/ | ワ /wa/ [wa] | ||||||
| /r/ | ラ /ra/ [ɾa] | リ /ri/ [ɾi] | ル /ru/ [ɾu] | レ /re/ [ɾe] | ロ /ro/ [ɾo] | ||
| ン /N/* [n, m, ŋ] | ー /ː/ [ː] | ッ (final) /ʔ/ [ʔ] | ッ /Q/ [k, g, s, ts, t, d, h, b, p] | ||||
- /m/은 입술 자음 앞, /ŋ/은 연구개 자음 앞에서 사용된다. 예시: 디ンブンキルン [dimbuŋkirun] "목표를 가지다".
7. 보존 노력
국립 국어 연구소의 추정에 따르면, 2010년 시점에서 요나구니어를 할 줄 아는 사람은 393명이었다. 현지 주민 중에서도 60대 중반을 경계로 말할 수 있는 사람은 드물고, 젊은 세대는 요나구니어를 말하거나 이해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2009년 2월 유네스코는 요나구니어를 소멸 위기 언어 중 "심각한 위험"(severely endangered) 단계로 분류했다.[7][8]
참조
[1]
웹사이트
Yonaguni in Japan {{!}} UNESCO WAL
https://en.wal.unesc[...]
[2]
서적
Perspectives on Morphological Organization: Data and Analyses
BRILL
2017
[3]
서적
Handbook of the Ryukyuan languages: History, structure, and use
De Gruyter Mouton
2015
[4]
서적
The Tonology of Itoman Okinawan: A Phonological Analysis of the Nominal Tone System
https://www.proquest[...]
2012
[5]
서적
Korea-Japonica: A Re-Evaluation of a Common Genetic Origin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10
[6]
서적
与那国語辞典
null
与那国町(沖縄県)
2003
[7]
웹사이트
消滅の危機にある方言・言語,文化庁
http://www.bunka.go.[...]
[8]
웹사이트
八丈語? 世界2500言語、消滅危機 日本は8語対象、方言も独立言語 ユネスコ
http://www.asahi.com[...]
朝日新聞
2014-03-29
[9]
간행물
1983
[10]
간행물
1984
[11]
간행물
198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