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나구니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나구니섬은 일본 최서단에 위치한 섬으로, 류큐 왕국에 속했다가 1879년 일본에 합병되었다. 섬의 역사는 14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며, 15세기에는 류큐 왕국에 편입되었고, 1945년부터 1972년까지 미국 점령 하에 있었다. 현재 인구는 약 1,700명이며, 면적은 28.88km²이다. 주요 산업은 어업, 농업, 축산업, 관광업이며, 특히 요나구니산, 요나구니 말, 해저 지형 등으로 유명하다. 또한, 일본과 대만, 중국과의 관계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2014년부터 해안 감시 기지가 건설되는 등 안보적인 측면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요나구니정 - 요나구니 공항
오키나와현 요나구니섬에 위치한 요나구니 공항은 1943년 일본군에 의해 건설되어 민간 항공 운항을 시작, 활주로 확장과 제트기 취항을 거쳐 현재 류큐 에어 커뮤터가 나하 및 신이시가키 공항 노선을 운항하며 항행 안전 시설과 편의 시설을 갖춘 1층 터미널을 운영하고 있다. - 요나구니정 - 요나구니어
요나구니어는 일본 오키나와현 요나구니섬에서 사용되는 류큐어파 언어로, 393명 정도의 화자가 있으며 유네스코에 의해 소멸 위기 언어 중 "심각한 위험" 단계로 분류되고, 3모음 체계와 일본어의 특정 음에 대응하는 고유한 발음 특징을 가지며, 가이다 문자라는 고유 표기 체계를 사용했으나 현재는 가나 또는 로마자로 표기되고 보존 노력이 진행 중이다. - 일본의 극점 - 후지산
후지산은 혼슈 중앙부 태평양 연안에 위치한 3,776.24m의 활화산이자 일본의 상징적인 산으로, 신성시되는 신앙의 중심지이자 예술 작품의 소재로 활용되어 일본 문화에 깊은 영향을 미쳤으며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국제적인 관광지이지만 과잉 관광 및 화산 활동에 대한 우려도 존재한다. - 일본의 극점 - 벤텐섬 (왓카나이시)
벤텐섬은 홋카이도 왓카나이시에 위치한 섬으로, 과거 아이누족에게 신성한 장소로 여겨졌으며 바다표범의 주요 서식지이나, 현재는 개체 수 증가로 어업 피해를 야기하고 있다. - 야에야마 제도 - 이리오모테섬
이리오모테섬은 오키나와현에 있는 일본에서 12번째로 큰 섬으로, 섬 면적의 대부분이 열대우림으로 덮여 있고 희귀 동식물의 서식지이며, 하천과 맹그로브 숲이 발달했고, 농업과 관광업이 주요 산업이며, 풍부한 수자원을 바탕으로 주변 섬에 상수도를 공급하고, 이시가키섬과의 여객선 운항을 중심으로 교통이 이루어지고 있다. - 야에야마 제도 - 이시가키섬
일본 오키나와현에 위치한 이시가키섬은 타이완과 인접한 열대 섬으로, 오모토 산을 비롯한 아름다운 자연, 쓰나미 피해의 역사, 자위대 주둔 논란, 고대 인골 발견, 풍부한 해양 생태계, 독특한 문화, 센카쿠 열도 분쟁과 관련된 안보적 중요성을 지닌다.
| 요나구니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지도 정보 | |
| 기본 정보 | |
![]() | |
| 원어 이름 | 일본어: 与那国島 (Yonaguni-jima) 요나구니어: どぅなんちま (Dunan-chima, 옛 Juni-shima) 야에야마어: Yunoon-zïma 오키나와어: Yunaguni-jima |
| 위치 | 태평양, 동중국해 |
| 군도 | 야에야마 제도 |
| 면적 | 28.88 ㎢ |
| 해안선 길이 | 27.49 km |
| 최고봉 | 우라부산 |
| 해발고도 | 231.4 m (우라부산) |
| 소속 국가 | 일본 |
| 지방 | 규슈 |
| 현 | 오키나와현 |
| 읍/면/동 | 요나구니정 |
| 인구 | 1,684명 (2009년 기준) |
| 인구 밀도 | 58.2명/㎢ |
| 민족 | 류큐인, 일본인 |
| 기타 정보 | |
| 좌표 | 24°27′20″N 122°59′20″E |
| 거리 | (대만에서) |
2. 역사
요나구니섬은 14세기부터 류큐국의 유력자가 해양 무역 중계점으로 개척하기 시작하면서 역사가 시작되었다. 1522년 류큐 왕국에 복속되기 전까지는 산아이 이소바라는 여자 족장이 다스리는 작은 왕국이었다고 전해진다.
1477년 2월에는 조선 제주도 주민 3명이 요나구니섬에 표류한 사건이 있었는데, 이들의 상세한 기록이 《조선왕조실록》에 남아있다.[57][58] 당시 요나구니섬 주민들의 생활상은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 번호 | 내용 |
|---|---|
| 1 | 섬 주민의 생김새는 우리나라와 같다. |
| 2 | 언어, 의복은 일본인과 전혀 다르다. |
| 3 | 남녀 모두 맨발이고 신발은 없다. |
| 4 | 귀에 구멍을 뚫어 푸른 작은 구슬(피어스)을 3치 드리운다. 또한 목에 관주(목걸이)를 3, 4번 감아 1척 정도 드리운다. 남녀는 같지만 노인은 사용하지 않는다. |
| 5 | 남자는 머리카락을 묶어 접고 목덜미 부근에서 모시 밧줄로 묶는다. 망건은 사용하지 않는다. 수염은 배꼽을 지나칠 정도로 길다. |
| 6 | 여자의 머리카락도 길고 발뒤꿈치까지 닿는다. 짧은 사람도 무릎까지 닿는다. 땋은 머리를 만들지 않고 말아서 머리 위에서 묶고 나무 빗을 옆으로 꽂는다. |
| 7 | 가마, 정, 숟가락, 접시와 바리때, 도자기는 없다. 흙을 굳혀 정을 만든다. 햇볕에 말려 건조시키고 짚불로 그을린다. |
| 8 | 취반(밥을 짓는 것)한 지 5, 6일 만에 터진다. |
| 9 | 주로 쌀을 사용한다. 조도 있지만 그다지 좋아하지 않는다. |
| 10 | 밥은 대나무로 만든 광주리에 담는다. |
| 11 | 밥을 뭉쳐 주먹만 한 둥근 덩어리로 만든다. 식안(식탁)은 없고 작은 나무 탁자를 각자 앞에 놓는다. |
| 12 | 식사할 때마다 한 명의 부인이 한 사람에게 하나씩 밥을 나눠준다. |
| 13 | 나뭇잎을 손바닥에 올려놓고 뭉쳐진 밥을 잎 위에 올려 먹는다. 그 잎은 연과 같다. 하나를 먹으면 다시 하나를 준다. 3개를 한도로 한다. 하지만 많이 먹는 사람은 숫자에 개의치 않고 좋아하는 만큼 먹는다. |
| 14 | 소금이나 간장은 없다. 바닷물을 채소에 섞어 국을 만든다. 그것을 담는 그릇은 표주박(표주박으로 만든 바가지)이나 나무를 파낸 것을 사용한다. |
| 15 | 술은 탁해서 청주는 아니다. 쌀을 물에 담가두고 여자에게 물어 씹게 해서 이것을 술통으로 발효시킨다. 누룩은 사용하지 않는다. 많이 마셔도 조금 취할 뿐이다. 술을 뜨는 데는 표주박을 사용한다. |
| 16 | 마실 때는 한 사람당 하나씩 표주박을 들고 마시거나 멈추거나 자신의 적량에 맞춰 마신다. 酬酢(주인과 손님이 서로 술을 권하는 것)을 하지 않는다. 술을 잘 마시는 사람에게는 술을 더 권한다. |
| 17 | 술은 매우 묽다. 양조하여 3, 4일 만에 숙성된다. 오래 두면 산화된다. 안주는 생선 말린 것을 사용한다. 또는 신선한 생선을 얇게 썰어 회로 만든다. 회에는 부추나 채소를 곁들여 먹는다. |
| 18 | 쌀을 담가 절구로 찧어 반죽하여 떡을 만든다. 크기는 빈랑 열매 정도이다. 떡을 빈랑 잎으로 싸서 짚으로 묶어 삶아 먹는다(요나구니 섬에는 현재도 빈랑 잎으로 떡을 싼 "쿠바 떡"이 있다[72][73]). |
| 19 | 주거는 한 칸으로 안방이나 문, 창문은 없다. 앞쪽은 약간 처마가 올라가 있고 뒤쪽 처마는 땅까지 늘어져 있다. 지붕은 초가지붕이다. |
| 20 | 기와는 없다. 밖에 울타리도 없다. 잘 때는 나무 침대를 사용한다. 침구는 없다. 억새로 짠 깔개를 사용하고 있다. 집 앞에는 창고가 세워져 있고 거기에 수확한 벼를 저장하고 있다. |
| 21 | 관대(관을 쓰고 띠를 매는 예의를 중시하는 풍속)가 없다. 더울 때는 빈랑 잎으로 갓을 만든다. 조선 승려의 갓과 비슷하다. |
| 22 | 삼이나 면은 없다. 또한 누에도 치지 않는다. 다만 모시를 짜서 천을 만든다. 의복은 직령 같고 깃이나 주름은 없다. 소매는 짧고 넓다. 옷은 쪽으로 푸르게 물들여져 있다. |
| 23 | 속옷에는 흰 천을 세 폭 사용하여 엉덩이 부근에서 묶는다. 여성의 옷도 같지만, 안에 속옷 대신 치마(허리에서 아래를 덮는 치마 같은 것)를 입고 있다. 치마도 쪽으로 푸르게 물들여져 있다. |
| 24 | 집에는 쥐가 있다. 소, 닭, 고양이를 기르고 있다. 소, 닭의 고기는 먹지 않는다. 죽으면 바로 묻는다. "그 고기는 먹을 수 있으니 묻으면 안 된다"라고 말했더니, 섬 주민들은 퉤 하고 침을 뱉고 웃었다. |
| 25 | 산에는 목재가 많지만 짐승은 없다. |
| 26 | 비금(새)에는 비둘기와 참새만 있다. |
| 27 | 곤충에는 거북이, 뱀, 두꺼비, 개구리, 모기, 파리, 박쥐, 벌, 나비, 사마귀, 잠자리, 지네, 지렁이, 반딧불이, 게가 있다. |
| 28 | 대장장이는 있지만 쟁기는 만들지 않고 작은 헤라를 사용하여 밭을 파고 풀을 뽑아 조의 씨앗을 뿌린다. 논은 12월에 소에게 밟게 하여 씨앗을 뿌리고 정월에 모를 심지만 풀은 뽑지 않는다. |
| 29 | 2월에는 벼가 1척 정도 자라고 4월에는 충분히 익는다. 조생종은 4월에 수확하고 늦은 것은 5월쯤 수확한다. 수확한 후에는 싹이 트고 성장하여 이삭이 나온다. 그 벼는 처음 벼보다 우수하다. 7, 8월에 수확한다. |
| 30 | 수확 전에는 사람들은 모두 근신하고, 소리를 높이지 않고 조용히 산다. 휘파람도 불지 않는다. 풀잎을 말아 피리를 부는 자가 있으면 죄를 정하여 곤장형에 처한다. |
| 31 | 수확 후에는 작은 관 모양의 피리를 불지만 그 소리는 매우 미세하다. |
| 32 | 수확한 벼는 줄기를 묶어 창고에 둔다. 대나무로 만든 탈곡 도구를 사용하여 쌀알로 만들고, 현미로 만들 때는 절구로 찧는다. |
| 33 | 풀이나 벼를 벨 때는 낫을 사용하고, 두들겨서 벨 때는 도끼나 손도끼를 사용한다. 작은 칼은 있지만 활이나 창은 없다. 사람들은 작은 창을 가지고 다니며 항상 몸에서 떼어놓지 않는다. |
| 34 | 사람이 죽으면 관에 안치하여 가파른 절벽 가장자리의 암혈에 둔다. 암혈이 넓으면 관을 5, 6개 나란히 놓는다. 흙에 묻지 않는다. |
| 35 | 기후는 온난하고 겨울에도 눈이나 서리가 없고, 따라서 초목도 시들거나 쇠퇴하는 일이 없다. 또한 얼음도 얼지 않는다. 섬 주민은 홑옷 2벌만 입는다. 여름에는 겨우 1벌만 입을 뿐이다. 그것은 남녀가 같다. |
| 36 | 蔬(푸성귀, 채소)에는 마늘, 가지, 참외, 토란, 생강이 있다. 가지 줄기의 높이는 3, 4척이다. 한 번 씨를 뿌리면 자손을 남기지만 열매를 맺는 상태는 처음과 같다. 고목이 되면 중간에서 그것을 자르지만, 그러면 곁가지가 생겨 열매를 맺는다. |
| 37 | 나무에는 매화(흑단?), 뽕나무, 대나무가 있다. |
| 38 | 과수에는 푸른 귤(시콰사?), 작은 밤이 있다. 귤은 일 년 내내 꽃이 핀다. |
| 39 | 양초는 없다. 밤이 되면 대나무를 묶어 여기에 불을 켜서 빛을 내고 방을 비춘다. |
| 40 | 집에는 변소가 없다. 대소변은 들판에 본다. |
| 41 | 천을 짜는 데는 씨실(씨)과 북(북)을 사용하는데, 그 모양은 조선과 같다. 그 외의 기구에도 다른 것이 있지만, 크기 등은 조선과 같다. |
| 42 | 땅을 파서 작은 우물을 만든다. 물을 긷는 데는 표주박을 사용한다. |
| 43 | 배에는 키와 노가 있지만 노는 없다. 다만 순풍에 돛을 단다. |
| 44 | 도둑이 없고, 길에 잃어버린 물건을 줍지 않는다. 욕하거나 싸우는 일이 없다. 어린이를 귀여워한다. 아무리 울어도 내버려둔다. |
| 45 | 추장은 없다. 섬 주민은 문자를 해독하지 못했고, 우리와 말이 통하지 않았다. 그러나 오랫동안 머무르는 동안 거의 말하는 것을 이해하게 되었다. 우리는 고향을 그리워하며 흐느껴 울었다. |
| 46 | 섬 주민들은 우리에게 새로운 벼 줄기를 뽑아 오래된 벼와 비교했다. 그리고 오래된 벼를 동쪽으로 불었다. 그것에는 이 벼처럼 시간이 지나면 당신들도 반드시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습니다라는 의미가 담겨 있다고 느꼈다. |
| 47 | 대략 6개월간 머물렀고, 7월 마지막 날에 남풍을 기다려 섬 주민 13명과 함께 식량, 술(탁주)을 가져와 배를 타고 항해한 지 1일 반 만에 다른 섬에 도착했다. 섬의 이름은 "소노코레마"(소네시마, 이리오모테섬의 소나)[74][75]。 |
| 48 | 호송해 준 섬 주민들은 소노코레마(이리오모테 섬 소나)에 8, 9일 머문 뒤 윤이세마(요나구니 섬)로 돌아갔다. 소노코레마는 좁고 길다. 섬을 일주하는 데 4, 5일이 걸린다. 언어, 음식, 의복, 주거, 풍속은 윤이세마(요나구니 섬)와 대체로 같다. 우리에게 식사를 제공하는 것도 윤이세마(요나구니 섬)와 같다[76][77][78]。 |
15세기에 류큐 왕국에 편입되었고,[7] 1879년 류큐 처분으로 류큐 왕국이 일본에 합병되면서 요나구니섬도 일본에 속하게 되었다.[57] 1895년 시모노세키 조약으로 타이완이 일본령이 되면서 대만 주민과의 밀무역이 활발해져 인구가 2만 명까지 증가하기도 했다.
1941년 태평양 전쟁 중에는 미군의 폭격을 받기도 했으며, 1945년 미군정 실시 이후 대만과의 무역이 끊기면서 인구가 감소했다. 1948년 요나구니정으로 승격되었고, 1972년 오키나와 반환으로 일본에 반환되어 오키나와현에 속하게 되었다.
1986년에는 요나구니 해저지형이 발견되어 화제가 되었다.
최근에는 센카쿠 열도(댜오위다오) 영유권 분쟁으로 인해 2016년 육상자위대 요나구니 주둔지가 설립되고 연안 감시대가 발족되는 등 군사적 긴장이 높아지고 있다.[12] 2018년에는 천황 부부가 요나구니섬을 방문하기도 했다.[68]
2. 1. 초기 역사
14세기에 류큐국 유력자가 해양무역 활동 중 중계점으로 개척하기 시작한 것이 알려진 최초라고 한다. 1522년 류큐 왕국에 복속되기 전까지는 산아이 이소바(실존인물인지는 확실치 않음)라는 여자 족장이 다스리는 작은 왕국이었다고 한다. 19세기에 류큐 왕국이 류큐 처분으로 일본 제국령이 되고 대만도 마찬가지로 일본 제국령이 되면서 대만 주민과 설탕, 쌀 등의 밀무역이 이루어지면서 인구가 2만 명까지 늘었다. 1945년에는 미군정이 실시되고 대만이 일본에 해방되면서 무역이 끊기고 주민 수도 줄어들었다. 1972년 류큐열도가 일본으로 반환되면서 일본에 속하게 되었다. 1986년에 잠수부가 해적 유적으로 추정되는 지형을 발견했다고 하여 주목을 끌었다.요나구니섬으로의 초기 인류 이주는 오랫동안 학술적인 논쟁의 대상이 되어왔다. 요나구니섬의 초기 역사를 알 수 있는 최초의 기록은 1477년 한국 문서(《Chosen Hyōryūmin no Yaeyama kenbunroku》)로, 현재의 제주도에서 온 어부들이 표류하여 도착한 사건에 대한 기록이다.
전설적인 여성 지도자 サンアイイソバ|산아이 이소바jp는 15세기 말경 요나구니섬의 지배자였다고 전해진다. 그녀는 초인적인 능력을 가지고 있어 여러 차례 외국으로부터의 공격, 예를 들어 인근 섬인 미야코지마의 공격으로부터 백성을 보호했다고 묘사된다. 이 신화적인 인물을 기리는 의식이 매년 한 번씩 열린다.[6]
15세기에 이 섬은 류큐 왕국에 편입되었다.[7] 1879년에는 공식적으로 일본 제국에 합병되었다.
류큐국으로 표류한 제주 사람 김비의(金非衣), 강무(姜茂), 이정(李正) 3명이 말하는 섬들의 풍속이 매우 기묘하여, 왕은 홍문관에 그들의 말을 기록하도록 명했다.[71]
그들에 따르면:
"우리는 1477년 2월 1일, 현세수 등 5명과 함께 제주도에서 귤 공물을 싣고 추자도를 향해 출항했으나, 갑자기 동풍의 폭풍을 만나 서쪽으로 떠내려갔다. 표류 9일째에는 서풍을 만나 남쪽으로 떠내려갔다. 14일째에 작은 섬이 보였지만, 해안에 닿기 전에 배가 침몰해 버려 많은 사람이 익사했다. 싣고 있던 짐도 모두 수몰되었다. 살아남은 우리 3명(김비의・강무・이정)이 판자에 매달려 표류하고 있던 것을, 각각 4명이 타고 있는 어선 2척에 구조되어 섬으로 데려가졌다.
섬의 이름은 '윤이시마'(閏伊是麿, 유니시마, 현재의 요나구니 섬). 그곳에서는 섬을 시마(是麿)라고 한다. 섬 주위를 민가가 둘러싸고 있다. 섬은 이틀 정도면 한 바퀴 돌 수 있다. 섬 사람들은 남녀 합쳐 100여 명. 섬 주민들은 해변에 초암(짚이나 띠로 만든 조악한 오두막)을 지어 우리를 살게 했다.
우리는 제주도를 떠나 폭풍을 만나 파도가 머리 위를 넘고, 배는 침수되었으며, 해수에 젖지 않은 현, 배 옆면 판자는 몇 장뿐이었다. 김비의와 이정은 표주박(표주박으로 만든 자루가 있는 바가지)으로 해수를 퍼내고, 강무는 노, 배의 노를 잡고 있었다. 나머지 사람들은 배멀미를 하여 누워 있었고, 밥을 짓는 것조차 할 수 없어 14일 동안 먹지도 마시지도 못했다.
섬에 도착하니 섬 주민들은 죽과 마늘을 가져와 우리에게 먹였다. 그날 밤에는 쌀밥, 탁주, 생선 말린 것이 차려졌다. 생선의 이름은 모른다. 그곳에 머무른 지 7일, 민가로 옮겨졌다. 얼마 후, 다른 집으로 번갈아 옮겨졌다. 하나의 마을이 끝나면 다음 마을로 옮겨졌다. 한 달 후, 우리 3명은 3개의 마을로 나뉘어, 또 차례로 집을 돌았다. 식사는 하루에 세 번"
다음은 1477년 제주도 표류민이 전하는 요나구니섬 주민들의 생활상이다.
| 번호 | 내용 |
|---|---|
| 1 | 섬 주민의 생김새는 우리나라와 같다. |
| 2 | 언어, 의복은 일본인과 전혀 다르다. |
| 3 | 남녀 모두 맨발이고 신발은 없다. |
| 4 | 귀에 구멍을 뚫어 푸른 작은 구슬(피어스)을 3치 드리운다. 또한 목에 관주(목걸이)를 3, 4번 감아 1척 정도 드리운다. 남녀는 같지만 노인은 사용하지 않는다. |
| 5 | 남자는 머리카락을 묶어 접고 목덜미 부근에서 모시 밧줄로 묶는다. 망건은 사용하지 않는다. 수염은 배꼽을 지나칠 정도로 길다. |
| 6 | 여자의 머리카락도 길고 발뒤꿈치까지 닿는다. 짧은 사람도 무릎까지 닿는다. 땋은 머리를 만들지 않고 말아서 머리 위에서 묶고 나무 빗을 옆으로 꽂는다. |
| 7 | 가마, 정, 숟가락, 접시와 바리때, 도자기는 없다. 흙을 굳혀 정을 만든다. 햇볕에 말려 건조시키고 짚불로 그을린다. |
| 8 | 취반(밥을 짓는 것)한 지 5, 6일 만에 터진다. |
| 9 | 주로 쌀을 사용한다. 조도 있지만 그다지 좋아하지 않는다. |
| 10 | 밥은 대나무로 만든 광주리에 담는다. |
| 11 | 밥을 뭉쳐 주먹만 한 둥근 덩어리로 만든다. 식안(식탁)은 없고 작은 나무 탁자를 각자 앞에 놓는다. |
| 12 | 식사할 때마다 한 명의 부인이 한 사람에게 하나씩 밥을 나눠준다. |
| 13 | 나뭇잎을 손바닥에 올려놓고 뭉쳐진 밥을 잎 위에 올려 먹는다. 그 잎은 연과 같다. 하나를 먹으면 다시 하나를 준다. 3개를 한도로 한다. 하지만 많이 먹는 사람은 숫자에 개의치 않고 좋아하는 만큼 먹는다. |
| 14 | 소금이나 간장은 없다. 바닷물을 채소에 섞어 국을 만든다. 그것을 담는 그릇은 표주박(표주박으로 만든 바가지)이나 나무를 파낸 것을 사용한다. |
| 15 | 술은 탁해서 청주는 아니다. 쌀을 물에 담가두고 여자에게 물어 씹게 해서 이것을 술통으로 발효시킨다. 누룩은 사용하지 않는다. 많이 마셔도 조금 취할 뿐이다. 술을 뜨는 데는 표주박을 사용한다. |
| 16 | 마실 때는 한 사람당 하나씩 표주박을 들고 마시거나 멈추거나 자신의 적량에 맞춰 마신다. 酬酢(주인과 손님이 서로 술을 권하는 것)을 하지 않는다. 술을 잘 마시는 사람에게는 술을 더 권한다. |
| 17 | 술은 매우 묽다. 양조하여 3, 4일 만에 숙성된다. 오래 두면 산화된다. 안주는 생선 말린 것을 사용한다. 또는 신선한 생선을 얇게 썰어 회로 만든다. 회에는 부추나 채소를 곁들여 먹는다. |
| 18 | 쌀을 담가 절구로 찧어 반죽하여 떡을 만든다. 크기는 빈랑 열매 정도이다. 떡을 빈랑 잎으로 싸서 짚으로 묶어 삶아 먹는다(요나구니 섬에는 현재도 빈랑 잎으로 떡을 싼 "쿠바 떡"이 있다[72][73]). |
| 19 | 주거는 한 칸으로 안방이나 문, 창문은 없다. 앞쪽은 약간 처마가 올라가 있고 뒤쪽 처마는 땅까지 늘어져 있다. 지붕은 초가지붕이다. |
| 20 | 기와는 없다. 밖에 울타리도 없다. 잘 때는 나무 침대를 사용한다. 침구는 없다. 억새로 짠 깔개를 사용하고 있다. 집 앞에는 창고가 세워져 있고 거기에 수확한 벼를 저장하고 있다. |
| 21 | 관대(관을 쓰고 띠를 매는 예의를 중시하는 풍속)가 없다. 더울 때는 빈랑 잎으로 갓을 만든다. 조선 승려의 갓과 비슷하다. |
| 22 | 삼이나 면은 없다. 또한 누에도 치지 않는다. 다만 모시를 짜서 천을 만든다. 의복은 직령 같고 깃이나 주름은 없다. 소매는 짧고 넓다. 옷은 쪽으로 푸르게 물들여져 있다. |
| 23 | 속옷에는 흰 천을 세 폭 사용하여 엉덩이 부근에서 묶는다. 여성의 옷도 같지만, 안에 속옷 대신 치마(허리에서 아래를 덮는 치마 같은 것)를 입고 있다. 치마도 쪽으로 푸르게 물들여져 있다. |
| 24 | 집에는 쥐가 있다. 소, 닭, 고양이를 기르고 있다. 소, 닭의 고기는 먹지 않는다. 죽으면 바로 묻는다. "그 고기는 먹을 수 있으니 묻으면 안 된다"라고 말했더니, 섬 주민들은 퉤 하고 침을 뱉고 웃었다. |
| 25 | 산에는 목재가 많지만 짐승은 없다. |
| 26 | 비금(새)에는 비둘기와 참새만 있다. |
| 27 | 곤충에는 거북이, 뱀, 두꺼비, 개구리, 모기, 파리, 박쥐, 벌, 나비, 사마귀, 잠자리, 지네, 지렁이, 반딧불이, 게가 있다. |
| 28 | 대장장이는 있지만 쟁기는 만들지 않고 작은 헤라를 사용하여 밭을 파고 풀을 뽑아 조의 씨앗을 뿌린다. 논은 12월에 소에게 밟게 하여 씨앗을 뿌리고 정월에 모를 심지만 풀은 뽑지 않는다. |
| 29 | 2월에는 벼가 1척 정도 자라고 4월에는 충분히 익는다. 조생종은 4월에 수확하고 늦은 것은 5월쯤 수확한다. 수확한 후에는 싹이 트고 성장하여 이삭이 나온다. 그 벼는 처음 벼보다 우수하다. 7, 8월에 수확한다. |
| 30 | 수확 전에는 사람들은 모두 근신하고, 소리를 높이지 않고 조용히 산다. 휘파람도 불지 않는다. 풀잎을 말아 피리를 부는 자가 있으면 죄를 정하여 곤장형에 처한다. |
| 31 | 수확 후에는 작은 관 모양의 피리를 불지만 그 소리는 매우 미세하다. |
| 32 | 수확한 벼는 줄기를 묶어 창고에 둔다. 대나무로 만든 탈곡 도구를 사용하여 쌀알로 만들고, 현미로 만들 때는 절구로 찧는다. |
| 33 | 풀이나 벼를 벨 때는 낫을 사용하고, 두들겨서 벨 때는 도끼나 손도끼를 사용한다. 작은 칼은 있지만 활이나 창은 없다. 사람들은 작은 창을 가지고 다니며 항상 몸에서 떼어놓지 않는다. |
| 34 | 사람이 죽으면 관에 안치하여 가파른 절벽 가장자리의 암혈에 둔다. 암혈이 넓으면 관을 5, 6개 나란히 놓는다. 흙에 묻지 않는다. |
| 35 | 기후는 온난하고 겨울에도 눈이나 서리가 없고, 따라서 초목도 시들거나 쇠퇴하는 일이 없다. 또한 얼음도 얼지 않는다. 섬 주민은 홑옷 2벌만 입는다. 여름에는 겨우 1벌만 입을 뿐이다. 그것은 남녀가 같다. |
| 36 | 蔬(푸성귀, 채소)에는 마늘, 가지, 참외, 토란, 생강이 있다. 가지 줄기의 높이는 3, 4척이다. 한 번 씨를 뿌리면 자손을 남기지만 열매를 맺는 상태는 처음과 같다. 고목이 되면 중간에서 그것을 자르지만, 그러면 곁가지가 생겨 열매를 맺는다. |
| 37 | 나무에는 매화(흑단?), 뽕나무, 대나무가 있다. |
| 38 | 과수에는 푸른 귤(시콰사?), 작은 밤이 있다. 귤은 일 년 내내 꽃이 핀다. |
| 39 | 양초는 없다. 밤이 되면 대나무를 묶어 여기에 불을 켜서 빛을 내고 방을 비춘다. |
| 40 | 집에는 변소가 없다. 대소변은 들판에 본다. |
| 41 | 천을 짜는 데는 씨실(씨)과 북(북)을 사용하는데, 그 모양은 조선과 같다. 그 외의 기구에도 다른 것이 있지만, 크기 등은 조선과 같다. |
| 42 | 땅을 파서 작은 우물을 만든다. 물을 긷는 데는 표주박을 사용한다. |
| 43 | 배에는 키와 노가 있지만 노는 없다. 다만 순풍에 돛을 단다. |
| 44 | 도둑이 없고, 길에 잃어버린 물건을 줍지 않는다. 욕하거나 싸우는 일이 없다. 어린이를 귀여워한다. 아무리 울어도 내버려둔다. |
| 45 | 추장은 없다. 섬 주민은 문자를 해독하지 못했고, 우리와 말이 통하지 않았다. 그러나 오랫동안 머무르는 동안 거의 말하는 것을 이해하게 되었다. 우리는 고향을 그리워하며 흐느껴 울었다. |
| 46 | 섬 주민들은 우리에게 새로운 벼 줄기를 뽑아 오래된 벼와 비교했다. 그리고 오래된 벼를 동쪽으로 불었다. 그것에는 이 벼처럼 시간이 지나면 당신들도 반드시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습니다라는 의미가 담겨 있다고 느꼈다. |
| 47 | 대략 6개월간 머물렀고, 7월 마지막 날에 남풍을 기다려 섬 주민 13명과 함께 식량, 술(탁주)을 가져와 배를 타고 항해한 지 1일 반 만에 다른 섬에 도착했다. 섬의 이름은 "소노코레마"(소네시마, 이리오모테섬의 소나)[74][75]。 |
| 48 | 호송해 준 섬 주민들은 소노코레마(이리오모테 섬 소나)에 8, 9일 머문 뒤 윤이세마(요나구니 섬)로 돌아갔다. 소노코레마는 좁고 길다. 섬을 일주하는 데 4, 5일이 걸린다. 언어, 음식, 의복, 주거, 풍속은 윤이세마(요나구니 섬)와 대체로 같다. 우리에게 식사를 제공하는 것도 윤이세마(요나구니 섬)와 같다[76][77][78]。 |
"후가누투 전승"(1477년의 제주도 표류민의 전승)이 현재도 요나구니 섬에 전해지고 있다고 한다.[79]
2. 2. 일본 통치 시대
1879년 류큐 처분으로 류큐 왕국이 일본 제국에 합병되면서 요나구니섬도 일본에 속하게 되었다.[57] 1895년 시모노세키 조약으로 타이완이 일본령이 되면서, 대만 주민과의 설탕, 쌀 밀무역이 활발해져 인구가 2만 명까지 증가하기도 했다.1908년에는 야에야마 제도를 포함하는 야에야마촌의 일부가 되었다가, 1914년에 요나구니촌으로 분리되었다.[64]
1941년 태평양 전쟁이 발발하고, 1944년 10월 13일에는 미군의 폭격으로 쿠부라 지역이 피해를 입었다. 이 과정에서 지룽 항에서 승선한 조선인종군 위안부 53명 중 46명이 희생되었다.[65][66]
2. 3. 전후
1945년 미군정이 실시되고 대만이 일본에 해방되면서 무역이 끊기고 주민 수가 줄어들었다.[4][5] 1948년에는 요나구니정으로 승격되었다. 1972년 류큐 열도가 일본으로 반환되면서, 요나구니섬은 일본에 속하게 되어 오키나와현의 일부가 되었다.1986년에는 잠수부가 해저 유적으로 추정되는 지형(요나구니 해저지형)을 발견했다고 하여 주목을 끌었다.
일본이 통제하는 무인도인 센카쿠/댜오위다오/댜오유타이 열도의 영유권 분쟁을 놓고 일본, 중국, 대만 간의 긴장이 고조되면서, 일본은 2014년부터 요나구니섬에 중국군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레이더 및 기타 센서가 장착된 해안 감시/조기 경보 기지 건설을 시작했다.[8][9][10] 초기 계획된 150명의 병력에는 요나구니 마을 외곽에 주둔하는 병력이 포함된다.[11] 기지의 레이더는 2016년 3월 28일에 가동되었다.[12] 별도로, 합동(육상자위대/항공자위대) "이동식 항공 통제 및 경고 비행대"가 기지에 함께 편성될 예정이다.
2024년, 일본군은 미야코지마시, 이시가키시, 아마미오시마섬을 커버하는 7개 지대지 미사일 부대를 배치했다. 또한, 전자전 부대가 구마모토현에서 요나구니섬으로 파견되어 "적대 세력의 신호 및 레이더 기지를 교란하거나 방해"했다.[13][14]
요나구니섬이 대만과 지리적으로 가깝다는 점(이란에서 동쪽으로 불과 110km)을 고려하여, 대만 및 일본 관광객을 위해 대만의 이란현 (쑤아오진)에서 요나구니섬까지 정기적인 직항 페리 서비스를 개발하려는 논의가 있어왔다. 2023년 7월, 대만 입법원 입법원장 유시쿤은 쑤아오에서 요나구니섬까지 시험 페리 서비스를 주도했다. 왕복 약 2시간이 소요되었다. 정기 페리 서비스가 구축되면 인구 1,700명에 불과한 요나구니섬으로 대만 관광객과 이란을 방문하는 일본 관광객을 유치할 수 있다고 한다. 이러한 유대를 통해 일본과 대만의 우정을 돈독히 할 수 있다고 표현되었다.[15][16] 그러나 요나구니섬의 기반 시설과 관광 자원(호텔, 레스토랑, 교통 등) 부족으로 관광 진흥에 여전히 과제가 남아있다.[17]
2. 4. 최근
2016년 3월 28일, 육상자위대의 요나구니 주둔지가 설립됨과 동시에 연안 감시대가 발족했다.[12] 이는 영유권 분쟁을 놓고 일본, 중국, 대만 간의 긴장이 고조되면서, 일본이 중국군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레이더 및 기타 센서가 장착된 해안 감시/조기 경보 기지 건설을 시작한 데 따른 것이다.[8][9][10]2018년 3월 28일, 천황상황후 미치코 (당시)가 처음으로 요나구니 섬을 방문했다.[68] 섬에서는 전통 예능 "봉춤"을 감상하고, 어항에서 황새치의 물량을 시찰했으며,[69] 목장에서 재래마인 요나구니마와 교감하고, 공공 시설에서 세계 최대급의 나방 "요나구니산"의 표본을 관찰했다. 전 요나구니 정장 토마 모리요시는, 섬을 떠나는 비행기에 탑승하기 직전의 천황으로부터 "요나구니를 지켜주세요"라는 말을 들었다고 한다.[70]
3. 지리


요나구니섬은 일본 최서단의 섬으로, 대만에서 직선 거리로 약 110km 떨어져 있어 맑은 날에는 대만 산맥을 조망할 수 있다. 섬 전체가 기복이 심하고, 남쪽 해안은 파도로 침식되어 단애절벽이 많다. 섬의 동쪽 끝에는 히가시자키, 서쪽 끝에는 이리자키 곶이 있다.
섬의 면적은 28.88km2이고 인구는 약 1,700명이다. 섬의 기원은 산호초 융기가 아닌, 주로 제3기 퇴적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면적은 작지만, 200m급 산이 있는 등 기복이 크다. 남쪽 태평양에서는 일년 내내 강한 바람이 불지만, 중앙 산지에 의해 차단되어 고지대까지는 영향이 있지만, 섬 북쪽은 바람이 그다지 강하지 않다.
주요 취락은 소나, 쿠부라, 히가와이며, 정사무소는 소나에 있다.[33] 주요 산업은 어업, 사탕수수 농업, 축산, 관광으로, 섬 남쪽 절반 및 히가시자키에서는 소와 말을 방목하고 있다. 히가와 근처에는 새우 양식장도 있다.
4. 기후
요나구니섬은 류큐 열도 남부의 섬 대부분과 같이 열대 우림 기후이다. 최저 기온은 17도이고 최고 기온은 32도로 연평균 기온은 24도이다.[134] 요나구니는 열대 우림 기후(쾨펜 기후 구분 ''Af'')를 보인다. 연평균 기온은 23.8°C이며, 월평균 기온은 1월 18.4°C에서 7월 28.8°C까지 분포한다. 9월이 강수량이 가장 많고 7월이 가장 건조하다.[46]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 평균 최고 기온 (℃) | 20.7°C | 21.3°C | 23°C | 25.5°C | 28°C | 30.3°C | 31.7°C | 31.4°C | 30°C | 27.8°C | 25.3°C | 22.2°C | 26.4°C |
| 평균 최저 기온 (℃) | 16.6°C | 17°C | 18.3°C | 20.9°C | 23.4°C | 26°C | 26.8°C | 26.4°C | 25.3°C | 23.6°C | 21.3°C | 18.2°C | 22°C |
| 평균 강수량 (mm) | 187.2mm | 163.6mm | 163.7mm | 153mm | 207.3mm | 162.3mm | 125.3mm | 213mm | 285.7mm | 238.5mm | 222.6mm | 200.8mm | 2323mm |
| 평균 상대 습도 (%) | 75 | 76 | 77 | 79 | 81 | 83 | 80 | 81 | 79 | 75 | 76 | 74 | 78 |
| 평균 일조 시간 | 52.8 | 60.3 | 88.1 | 104.7 | 142.3 | 182.3 | 257.9 | 227.4 | 180.9 | 132.2 | 86.0 | 59.0 | 1568.6 |
5. 자연


요나구니섬은 절벽이 많은 지형으로 섬 곳곳에서 군청색 바다가 내려다보이지만, 투명도가 높다.[52] 섬 북쪽에는 통칭 "6畳 해변", "우부두마이 해변"이 있고, 곶 전체가 목장으로 되어 있는 "아카바나자키" 등이 있다. "이리자키"는 일본 최서단 곶이자, 일본 최서단 지점이다.
요나구니라는 이름을 가진 가장 유명한 동물은 일본 최대의 나방인 요나구니산(아야미하빌)이다. 이 종은 요나구니섬의 고유종은 아니며, 인근의 이시가키섬이나 이리오모테섬에서도 발견된다. 세계적으로는 중국, 타이완을 비롯한 아시아 각지에 분포하고 있다.
북목장 및 동목장 등에서는 일본 재래마의 요나구니마가 사육되고 있다. 요나구니마는 1969년 3월 25일에 요나구니정의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2010년 11월 1일, 약 1040ha의 지역이 국가지정 요나구니 조수 보호구역 (희귀 조수 생식지)으로 신규 지정되었다.[53] 특별 보호 지구는 63ha이다. 이는 국가의 천연기념물 및 희귀 야생 동식물 종으로 지정된 요나구니 검은비둘기 및 금비둘기의 보전을 목적으로 한다. 이전까지 지정되어 있던 조수 보호구역은 섬 중앙부의 약 187ha뿐이었으며, 이번 지정에서는 지역 변경 및 대폭적인 확충이 이루어졌다.[54]
6. 요나구니 구조물에 대한 논란
1987년 다이버들이 요나구니 섬 인근 해저에서 인공석조물처럼 보이는 해저구조물을 발견해 화제가 되었다. 류큐 대학교의 기무라 마사키가 이끄는 연구진은 이 구조물을 연구하고, 해저구조물이 인공적으로 만들어졌다고 주장하였으나 이에는 많은 논란이 있다.
구조물은 사암(砂岩)과 이암(泥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대다수의 주요 구조물은 독립적인 암석들의 조합이 아니라 지반의 암석 덩어리와 연결되어 있는 형태이다. 암석을 이동하여 건설된 것이 아니라 지층과 같은 암석으로 되어있다는 점은 많은 논란을 불러왔다.
해양고고학자 션 킹슬리는 이 구조물 중, 도랑 내부에 90도 각도와 직각 형태의 모서리가 있는 두 개의 거석이 존재한다는 점을 들어, 건설 시기가 알려지지 않은 오키나와 무덤들에서도 흔히 발견되는 구조와 흡사한 인공물이라 주장하였다. 그러나 이 거석의 직각 모서리는 기존의 자연 구조물을 인공적으로 다듬은 것에 지나지 않는다는 의견도 많다.
일본의 고고학자 기무라 마사키는 암석 표면에 동물과 사람 형상의 그림을 발견하였고, 한 건조물은 이스터 섬의 모아이 석상과 흡사하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일부에서는 요나구니 구조물이 세계 다른 고대 유적의 구조물과 흡사하며, 이처럼 독특한 구조물이 한 곳에만 대량으로 자연 생성되기 어렵다는 점을 들어 이 구조물이 인공으로 제작되었다고 주장한다.
만약 이 구조물이 인간의 손에 의해 건설되었다면, 해수면이 지금보다 39미터 정도 낮아 이 지역이 해수면 위에 있었던 시기인 빙하기 말기(약 BC 10,000년) 이전이어야 한다. 기무라는 초기에는 이 구조물이 최소한 1만 년 전에 건설되었다고 주장하였으나, 2007년 태평양 과학연차회의에서는 이 시기를 해수면이 지금과 비슷한 2,000~3,000년 전으로 조정하였다.
반면 보스턴 대학교의 지질학자 로버트 쇼크는 과거 인간에 의해 일부 지역이 다듬어졌을 가능성은 있으나, 요나구니 구조물은 자연적으로 생성되었다고 주장하였다. 로버트 쇼크의 조사에 의하면 요나구니섬은 쉽게 단층이 갈라지는 평행한 성층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진에 의해 날카롭고 직각 형태로 암석이 갈라지는 경우가 흔히 있다고 한다. 그는 실제 요나구니섬의 북동해안에서 건조물과 비슷한 자연구조물이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남태평양대학의 해양지구과학자 패트릭 넌도 "이 구조물은 자연적으로 생성"되었으며 "인공이라는 믿을 만한 근거가 없다."고 주장하였다.
요나구니 구조물과 비슷하게 평면과 날카로운 모서리를 지닌 자연구조물로는 북아일랜드의 자이언트 코즈웨이 해안의 돌기둥과 미국의 올드 랙 마운틴 등이 있다.
7. 신화
요나구니섬의 주민들은 전통적으로 자신들의 섬이 한때 미루쿠라는 여신에 의해 통치되었으며, 그녀가 땅에 풍요를 가져다주었다고 믿었다. 미루쿠는 섬을 지배하기 위한 꽃 재배 경쟁에서 사쿠라는 신에게 쫓겨났는데, 사쿠는 미루쿠가 잠든 사이에 그녀의 꽃을 훔쳤다. 미루쿠는 사라졌고, 섬의 원초적인 번영은 그녀가 떠나자 가난으로 무너졌다. 그래서 섬 주민들은 언젠가 그녀가 돌아오기를 바라며 여신을 기리는 의식을 거행했다. 1980년대까지, 요나구니 수확 축제의 하이라이트는 미루쿠 가면을 쓴 사람이 여신을 재현하는 행렬이었다. 거의 동일한 신화가 한국의 창조 신화에도 널리 퍼져 있다.[24]
요나구니섬에는 다음과 같은 창조 신화가 전해 내려온다.
| 제목 | 내용 |
|---|---|
| 티단・두글 | 아주 옛날, 남쪽 섬에서 온 남자가 망망대해 속에서 솟아오른 "두니"를 발견하고, 육상 소라게를 날려 보내 인간이 살 수 있는지 확인했다. 소라게가 번식한 것을 확인한 남자는 가족과 함께 "두니"에 정착했다. 신에게 부탁하여 "두니"를 넓히고 초목을 받아 섬은 녹음으로 뒤덮였다. 4개월 동안 폭우가 계속되자, 한 노인이 나타나 생 대나무가 잘 탄다고 가르쳐주어 사람들은 추위와 굶주림을 견딜 수 있었다. 폭우 덕분에 계곡과 강이 생겨 섬의 모습이 아름다워졌다. 비가 그치고 처음으로 햇빛이 비친 곳을 "티단·두글"이라 하며, 배소가 되었다.[56] |
| 나가마・스니 | 옛날, 대 쓰나미로 인해 인간과 가축이 모두 죽었으나, 한 어머니와 두 남자아이가 살아남았다. 어머니는 파도 속에서 아이와 형의 아이를 안고 신에게 구원을 요청하며 "나가마·스니"에 표착했다. 결국 아이를 한 명 버릴 수밖에 없게 되자, 어머니는 혈통을 지키기 위해 자신의 친아들을 버렸다. 그 후 쓰나미가 잠잠해져 어머니와 형의 아이(조카)는 살아남았고, 섬은 그 두 사람의 자손으로부터 다시 번성했다. |
| 두나다・아부 | 옛날, 섬 사람들은 자유로운 삶을 살았다. 어느 날, 하늘이 주황색에서 붉은색으로 변하고 불의 비가 내렸다. 사람들은 통곡하며 하늘에 기도했지만, 불의 비를 피할 수 없었다. 섬은 잿더미가 되었고, 살아있는 모든 것들이 불에 타 죽었다. 그러나 신의 마음에 든 한 가족만이 "두나다・아부"에 숨어 살아남았다. 그 자손들은 경작하는 것과 남는 것을 축적하는 것을 알게 되어 섬은 번성했다. |
| 이누간 | 과거, 구메섬에서 류큐 왕국의 류큐 국왕에게 바치는 공물을 실은 배가 악천후로 요나구니섬에 표류했다. 상륙해 보니 살기 좋아 보이는 무인도였고, 일행에는 여자 1명과 개 1마리가 있었다. 남자들은 개에게 물려 죽고 여자와 개만 살아남아 "이누간"에서 함께 살았다. 코하마섬에서 조개잡이를 하다 표류한 어부가 요나구니섬에 도착하여 구메섬 여자를 만났다. 여자는 개가 없는 틈을 타 도망치라고 했지만, 코하마 남자는 용기를 내어 개를 퇴치했다. 코하마 남자는 구메섬 여자와 부부가 되어 오남 이녀를 낳고 부유하게 살았다. 그러나 코하마 남자가 고향으로 돌아가면서 불행이 시작되었다. 화가 난 늙은 아내는 코하마섬과 요나구니섬의 인연을 끊어버렸다. 다시 요나구니섬으로 돌아온 남자는 가족에게 개의 시체가 묻힌 장소를 말했고, 그날 밤 여자는 가출하여 개의 뼈를 껴안고 죽었다. 이 이야기에서 "아이 7명을 낳아도 아직 아내에게 방심해서는 안 된다"라는 속담이 생겼다.[56] |
8. 산업
요나구니섬의 주요 산업은 농업, 축산업, 어업, 관광업이다. 농업에서는 사탕수수와 벼를 재배하고, 축산업에서는 육우를 사육한다. 어업에서는 황새치 어업[82]과 보리새우 양식[83]이 이루어진다.[42]
요나구니섬은 하나자케라는 특산 술로 유명하다. 하나자케는 쌀을 기반으로 한 증류주(아와모리)로, 알코올 도수가 60도나 되는 매우 강한 술이다. 일반적인 아와모리는 알코올 도수가 45도 이하로 단식 증류 소주로 분류되지만, 하나자케는 원료용 알코올로 분류된다. 섬 내에서는 다음 3가지 브랜드의 하나자케가 제조되며, 모두 쿠바(비로우) 잎으로 감싼 독특한 병에 담겨 출하된다.[87]
- 요나구니(사키모토 양조장)
- 도난(국천 아와모리)
- 마이후나(이리하페이 양조장)
요나구니섬에서 생산된 "요나구니 직물"은 지역 단체 상표로 등록되어 있다.[84]
요나구니섬 해저 지형을 비롯한 스쿠버 다이빙 명소가 많아[85] 관광지로서의 인지도는 높지만, 여행객 수는 많지 않다.[86] 겨울철에는 주변 해역에 대량의 귀상어가 모여들어 다이버들의 목적지가 되기도 한다.

9. 교통
요나구니 공항은 류큐 에어 커뮤터가 나하 공항(1일 1왕복), 신이시가키 공항(1일 3왕복) 노선을 운항한다.

구부라항은 섬 서부 구부라 지구에 있는 어항으로, 후쿠야마 해운의 페리 '페리 요나쿠니'가 주 2회 이시가키항과 연결된다. 소나항은 북부 소나 지구에 있는 지방항만으로, 날씨가 좋을 때 '페리 요나쿠니'가 이용하기도 한다.
오키나와현도 제216호 요나구니지마선이 섬 내부를 일주한다.
최서단 관광에 위탁 운영되는 요나구니정영 버스가 일주 노선 등을 운행한다.
요나구니섬과 화롄시를 고속선으로 연결하는 구상이 있다. 2005년 3월에 수립된 "요나구니 자립을 위한 비전"에서의 국경 교류 특구 구상에 포함되었고[110], 2020년도에 추진 사업을 시작했다[111]. 2021년도에 실증 실험으로 고속선을 운항하여 정기 항로를 개설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112].
요나구니섬과 대만 사이에는 정기편은 없지만, 과거에 다음과 같이 전세편이 운항된 적이 있다.
| 연도 | 항공사 | 출발지 | 도착지 | 비고 |
|---|---|---|---|---|
| 2007년 | 립영 항공 | 요나구니 공항 | 타이베이 쑹산 공항 | 요나구니정 우호 친선 교류단 128명 탑승[106] |
| 2008년 | 복흥 항공 | 화롄시 | 요나구니 공항 | 양측 합계 91명 탑승[107][108] |
| 2009년 | 복흥 항공 | 화롄시 | 요나구니 공항 | 화롄시에서 61명, 요나구니정에서 30명 탑승[109] |
10. 방송
요나구니 중계국에 대한 내용이 요나구니정 문서에 있기 때문에 해당 문서로 링크를 건다.
11. 주요 관광지
아가리자키(東崎)는 요나구니섬의 동쪽 끝에 있는 곶으로, 아가리자키 등대가 서 있다. 관광객들은 이곳에서 일출을 감상하고 해안 경치를 보기 위해 찾으며, 100m 높이의 곶에서 바다의 절경을 감상한다. 그 외에 등대와 요나구니말도 볼거리이다.[52]
이리자키(西崎)는 요나구니섬의 서쪽 끝에 있는 곶으로, 이리자키 등대(西埼灯台)가 있고, 최서단(最西端)의 비석이 있다. 이곳은 일본에서 마지막 일몰을 볼 수 있는 곳이다.[52]
우라부다케(宇良部岳)는 요나구니섬의 최고봉(해발 231.3m)으로, 시마야마 100선에 선정되었다. 산 정상 부근까지 차도가 연결되어 있다.[114]
구부라 바리(久部良バリ)는 국가 지정 명승이다. 구부라 지구에 있는 암반에 있는 갈라진 틈으로, 길이 약 15m, 폭 3.5m, 깊이 7m이다. 과거 임산부를 모아 이것을 뛰어넘게 하여, 뛰어넘은 사람만이 살아 아이를 낳을 수 있었다는 슬픈 전승이 있다.[60] 무사히 뛰어넘어도 배를 강타하거나 극도의 긴장으로 유산하는 사람도 많았다고 한다.[61][62][63] 구부라 후리시(久部良フリシ)는 구부라 바리와 함께 국가 명승으로 지정되어 있다.[60]
진다바나(ティンダバナ)는 국가 지정 명승이다.[115][116]
산니누다이(サンニヌ台)에서는 군함바위(군칸이와)[118][119]와 타치가미 이와(立神岩)(돈세키(톤간))[118]를 볼 수 있다.
요나구니섬 해저 지형(与那国島海底地形)은 자연 지형이라는 설 외에도, 해저 유적이라는 설도 있다.
인면암(人面岩)은 사람 얼굴처럼 보이는 돌이다.
아야미하비루 관(アヤミハビル館)은 요나구니산(방언으로 아야미하비루) 등에 관한 전시를 하는 박물관이다.
12. 대외 관계 및 안보
요나구니섬은 일본 최서단에 위치하며 타이완, 중국과 인접해 있어 일본의 국가안전보장 및 대외 관계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일본국 정부는 2016년 4월에 요나구니섬을 포함한 야에야마 열도 등 29개 지역을 "유인 국경 섬 지역"으로 지정하고[94], 자위대 부대 증강 등을 추진하고 있다.[95] 2010년 12월 17일 각의 결정된 방위 계획의 대강 및 중기 방위력 정비 계획에는 100명 규모의 해안 감시대 배치가 포함되었다.[96] 2013년 6월 20일 정 의회는 방위성에 대한 정유지 임대를 승인했고[97], 2014년 3월 31일 정식 계약 체결, 4월 19일 기공식을 거쳐[98][99][100], 2016년 3월 28일에 요나구니 주둔지가 개설됨과 동시에 해안 감시대가 발족했다.[101][102] 2015년 2월 22일 실시된 주민 투표에서는 배치 찬성이 다수를 차지했다.[103]
원자력 규제 위원회는 원자력 발전소 사고 발생을 감지하기 위해 방사선 감시 장치(모니터링 포스트)를 요나구니섬 및 쓰시마섬에 설치하여 2018년 2월 15일에 운용을 시작했다.[104][105]
1982년 타이완의 화롄시와 자매 도시를 체결했다.[67] 2005년 3월에 수립된 "요나구니 자립을 위한 비전"에서 화롄시 간 고속선 연결 구상이 포함되었고,[110] 2020년도에 추진 사업을 시작했다.[111] 2021년도에 실증 실험으로 고속선을 운항하여 정기 항로를 개설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112]
13. 요나구니섬 관련 작품
- 노인과 바다 - 1990년에 공개된 기록 영화이다.[125]
- 류큐의 바람 - 1993년에 방송된 NHK 대하드라마이다.[119]
- 소리톤의 악마 - 요나구니섬 앞바다의 해상 도시를 무대로 한 우메하라 카츠후미의 SF 소설이다.[126]
- 바치라눈 - 2022년에 공개된 영화이다.[127] ‘바치라눈’은 요나구니섬의 언어로 "잊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요나구니섬의 일상과 제사를 취재한 다큐멘터리와 환상적으로 그려지는 픽션의 세계가 교차하는 이야기이다. 감독은 히가시모리 아이카이다.
- GAMERA -Rebirth- - 2023년 넷플릭스에서 공개된 작품이다. 요나구니섬 근해에서 가메라가 기론과 바이러스와 싸웠다.[128]
- 요나구니 ~여행을 떠나는 섬 - 2022년에 공개된 기록 영화이다. 감독은 아누슈 함제히안, 비토리오 몰타로티이다.[129]
- Dr.코토 진료소 - 텔레비전 드라마 버전 및 영화 버전에서 무대가 되는 가상의 섬, 시키나 섬의 로케이션 촬영이 이루어졌다.[130] 참고로, 야마다 타카토시의 원작 만화에서 시키나 섬의 모델이 된 곳은 가고시마현의 시모코시키 섬이다.[131][132]
- 피안화가 피는 섬 - 요나구니 섬이 착상 원천 중 하나인 가상의 섬을 무대로 한 리 칭펑의 소설이다. 제165회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상 수상작이다.[133]

요나구니섬은 2003년 여름에 방영된 후지 TV 계열 드라마 "Dr.코토 진료소"의 촬영지가 되었다. 히카와에는 촬영에 사용된 진료소 세트가 남아 있으며, 유료로 내부를 견학할 수 있다.[123] 2004년 및 2006년에 방영된 속편과 2022년에 공개된 "극장판 Dr.코토 진료소"에서도 요나구니섬에서 촬영이 이루어졌다.[124]
참조
[1]
서적
Korea-Japonica: A Re-Evaluation of a Common Genetic Origi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
웹사이트
Yonaguni Island
https://www.japan-gu[...]
[3]
웹사이트
https://okimu.jp/use[...]
[4]
뉴스
Team successfully replicates imagined ancient sea migration from Taiwan to Okinawa
https://www.japantim[...]
The Japan Times
2019-07-09
[5]
뉴스
Crew sets out in canoe to test theory ancient Taiwanese migrated to Japan
https://www.taiwanne[...]
Taiwan News
2019-07-08
[6]
서적
The languages of Japan and Korea
Routledge
[7]
문서
Okinawa: the History of an Island People
Tuttle Publishing
[8]
뉴스
The quiet Japanese island paradise on the frontline of growing Taiwan-China tensions
https://www.theguard[...]
2024-05-17
[9]
뉴스
Japan to Station Troops on Yonaguni, Near Disputed Islands
https://thediplomat.[...]
The Diplomat
2014-04-18
[10]
뉴스
Japan wary of China military threat.
http://english.aljaz[...]
Al Jazeera
2010-12-17
[11]
뉴스
Yonaguni votes in favor of GSDF deployment on island
http://the-japan-new[...]
The Yomiuri Shimbun
2015-02-23
[12]
뉴스
Japan opens radar station close to disputed isles, drawing angry China response
https://www.reuters.[...]
Reuters News Service
2016-03-28
[13]
웹사이트
Japan to deploy new missile company to Okinawa – Taipei Times
https://www.taipeiti[...]
2024-03-23
[14]
웹사이트
Japan Stands Up Amphibious Rapid Deployment Brigade, Electronic Warfare Unit for Defense of Southwest Islands
https://news.usni.or[...]
2024-04-01
[15]
웹사이트
Japan's westernmost island Yonaguni and Taiwan dream of renewed bonds
https://asianews.net[...]
Asia News Network
[16]
웹사이트
Taiwan legislator leads trial of ferry service to Yonaguni island in Japan
https://www.japantim[...]
The Japan Times Ltd.
2023-07-04
[17]
웹사이트
Top Taiwan travel agent pessimistic about tourism plans for Japan island
https://www.taiwanne[...]
2023-07-08
[18]
서적
Chinsetsu yumiharizuki, Vol 60 Nihon koten bungaku taikei (日本古典文学大系 60 椿説弓張月 上)
Iwanami Shoten
[19]
서적
Eye of the Storm: A Collection of Poems on Ocean (Gufū no me kaiyō shishū 颶風の眼 海洋詩集)
Arusu
[20]
서적
An expedition to the Southern Islands (Nantō tanken 南島探験)
Self-pub
[21]
서적
A Taste of the Southern Islands (Nantō jōshu 南島情趣)
Shūeikaku
[22]
서적
A Collection of Satire Essays (Hiniku bunshu 皮肉文集)
Kōyō
[23]
서적
An Account of the South Sea (Kainan shōki 海南小記)
Sōgensha
[24]
간행물
The Flower Contest between Two Divine Rivals. A Study in Central and East Asian Mythology
[25]
간행물
Observations of Kuroshio flow variations in the East China Sea
https://digitalcommo[...]
2008-05-10
[26]
뉴스
Japanese may be Taiwanese migrants
https://www.taipeiti[...]
2019-07-13
[27]
웹사이트
Yonagunijima Climate Normals 1981-2010
http://www.data.jma.[...]
Japan Meteorological Agency
[28]
웹사이트
観測史上1~10位の値(年間を通じての値)
http://www.data.jma.[...]
Japan Meteorological Agency
[29]
간행물
Yonaguni, Japan
https://www.newscien[...]
2009-11-25
[30]
웹사이트
The truth behind Japan's mysterious 'Atlantis'
https://www.bbc.com/[...]
[31]
웹사이트
Yonaguni Monument {{!}} Definition, Theories, & Fact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32]
웹사이트
令和6年全国都道府県市区町村別面積調(7月1日時点)
https://www.gsi.go.j[...]
국토지리원
2024-12-06
[33]
웹사이트
与那国島について
https://www.town.yon[...]
与那国町
2018-04-05
[34]
웹사이트
宇良部岳頂上付近に設置されている三等三角点の標高値
https://maps.gsi.go.[...]
국토지리원
[35]
웹사이트
日本全図
https://www.gsi.go.j[...]
국토지리원
[36]
뉴스
陸自配備から5年、国境の島は今 切迫感と「要塞化」のはざまで
https://mainichi.jp/[...]
2021-04-05
[37]
웹사이트
都道府県の東西南北端点と重心の経度緯度
http://www.gsi.go.jp[...]
国土地理院
2018-12-26
[38]
뉴스
日本最西端、260メートル先へ 与那国島の岩を地形図に
https://www.yaeyama-[...]
2019-06-11
[39]
뉴스
日本最西端、260m北北西へ 沖縄県・与那国島の岩を地形図に
https://web.archive.[...]
2019-06-10
[40]
웹사이트
日本の東西南北端点の経度緯度
http://www.gsi.go.jp[...]
国土地理院
2018-09-08
[41]
뉴스
与那国町、町制施行70周年を祝う 町民と協働の島づくりへ
http://www.y-mainich[...]
2017-12-03
[42]
웹사이트
沖縄体験滞在交流促進事業 与那国町
https://www8.cao.go.[...]
内閣府沖縄振興局
2018-09-04
[43]
뉴스
与那国島への陸自配備から1年余 島民に溶け込む自衛隊 国境の砦に「活気」と「安心」もたらす「地域のために 地域とともに」
http://www.sankei.co[...]
2017-07-03
[44]
뉴스
与那国陸自配備から1年、迷彩服往来で島の風景一変
https://ryukyushimpo[...]
2017-03-29
[45]
웹사이트
人口と世帯数
https://www.town.yon[...]
与那国町
2023-05-02
[46]
웹사이트
Yonagunijima Climate Normals 1991-2020
https://www.data.jma[...]
Japan Meteorological Agency
2023-09-18
[47]
웹사이트
与那国町役場
https://www.town.yon[...]
与那国町
2018-04-05
[48]
간행물
海上浮標式の覚え方
https://nippon.zaida[...]
中川久
1998-05-25
[49]
웹사이트
"「ドゥナン」(与那国)語源考"
https://okimu.jp/use[...]
沖縄県立博物館
1989-01-01
[50]
웹사이트
平年値ダウンロード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3-09-01
[51]
웹사이트
観測史上1〜10位の値(年間を通じての値)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3-09-01
[52]
웹사이트
最高の海の色を見に行こう!与那国島の5つの崖上ポイントで絶景を楽しむ
https://www.ritou.co[...]
沖縄離島ドットコム
2022-11-04
[53]
웹사이트
那覇自然環境事務所_管内の国指定鳥獣保護区
http://kyushu.env.go[...]
那覇自然環境事務所
2018-12-26
[54]
PDF
国指定鳥獣保護区一覧(平成22年11月1日現在)
https://www.env.go.j[...]
[55]
서적
与那国島 町史 第3巻 歴史編 〜黒潮の衝撃波 西の国境 どぅなんの足跡〜
与那国町役場
2013-07-01
[56]
서적
与那国島 町史 第3巻 歴史編 〜黒潮の衝撃波 西の国境 どぅなんの足跡〜
与那国町役場
2013-07-01
[57]
웹사이트
与那国島に関する主要歴史年表
https://okimu.jp/use[...]
沖縄県立博物館・美術館
2009-01-01
[58]
뉴스
移動と漂流史料における民族の接触と文化類縁関係 -与那国島と台湾-
https://hdl.handle.n[...]
琉球大学法文学部
2010-03-01
[59]
간행물
仲宗根豊見親と鬼虎(うんとら)~与那国攻入りの年代について~
https://www.city.miy[...]
宮古島市総合博物館
2010-03-01
[60]
문화유산
久部良バリ及び久部良フリシ
[61]
웹사이트
クブラバリ
http://welcome-yonag[...]
与那国町観光協会
2021-01-17
[62]
웹사이트
久部良割とは
https://kotobank.jp/[...]
2021-01-17
[63]
서적
"ダークツーリズム入門 {{small|日本と世界の「負の遺産」を巡礼する旅}}"
イースト・プレス
[64]
웹사이트
与那国島びする会議
http://www.donan-bet[...]
2018-12-26
[65]
웹사이트
竹富町における戦災の状況(沖縄県)
https://www.soumu.go[...]
総務省
2021-07-15
[66]
웹사이트
沖縄与那国で従軍慰安婦慰霊祭
http://japan.hani.co[...]
2015-10-24
[67]
뉴스
台湾と新たな交流促進へ
http://www.y-mainich[...]
2014-07-17
[68]
웹사이트
両陛下 与那国島入り
https://www.qab.co.j[...]
QAB 琉球朝日放送
2018-03-28
[69]
웹사이트
両陛下、最西端の碑が建つ岬に 与那国島訪問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8-03-28
[70]
웹사이트
"「与那国を守ってね」 天皇陛下、外間町長に声掛ける"
https://yaeyama-nipp[...]
八重山日報
2019-04-28
[71]
웹사이트
제주도 표류인 김비의 등으로부터 유구국 풍속과 일본국 사정을 듣다
https://sillok.histo[...]
2024-04-14
[72]
웹사이트
与那国島のクバの葉餅作り体験
https://www.town.yon[...]
与那国町
2024-04-15
[73]
웹사이트
与那国島の豊年祭とクバ餅
https://www.town.yon[...]
与那国町
2024-04-15
[74]
웹사이트
祖納の概要
https://chikuiza.com[...]
2024-04-15
[75]
웹사이트
祖納の歴史
https://chikuiza.com[...]
2024-04-15
[76]
서적
与那国島 町史 第3巻 歴史編 〜黒潮の衝撃波 西の国境 どぅなんの足跡〜
与那国町役場
2013-07
[77]
서적
与那国島おもしろ小事典
沖縄殖産社
2017-05-18
[78]
서적
アカハチ 沖縄・八重山の英雄オヤケ赤蜂を探して
ハガツサブックス
2020-12-25
[79]
웹사이트
島からのことづて)530年前の記憶を生きる――済州島民と与那国島民の交流
https://ankei.jp/yuj[...]
安渓遊地
2024-04-15
[80]
웹사이트
제주도 표류인 김비의 등으로부터 유구국 풍속과 일본국 사정을 듣다
https://sillok.histo[...]
2024-04-30
[81]
서적
アカハチ 沖縄・八重山の英雄オヤケ赤蜂を探して
ハガツサブックス
2020-12-25
[82]
뉴스
カジキの売り上げ増加 与那国町漁協
http://www.y-mainich[...]
2018-09-08
[83]
뉴스
与那国漁協、防衛予算でエビ養殖場 年間20億円を計画
https://ryukyushimpo[...]
2018-09-08
[84]
웹사이트
商標登録第6099728号 与那国織(よなぐにおり)
https://www.jpo.go.j[...]
2020-09-14
[85]
뉴스
与那国に陸自駐屯地 発足半年、変わる島の暮らし
https://www.nikkei.c[...]
2017-12-03
[86]
뉴스
離島未体験でも「関心」76% 県外観光客 沖縄公庫調査
https://ryukyushimpo[...]
2017-12-03
[87]
웹사이트
泡盛コラム vol.24 花酒
https://www.churashi[...]
日本トランスオーシャン航空
2018-09-08
[88]
간행물
沖縄県与那国島の宗教的職能者「オガミのひと」の役割:洗骨改葬2事例の比較から
https://cir.nii.ac.j[...]
南山大学人類学研究所
[89]
웹사이트
特別展「琉球弧の葬墓制」のずばり!見どころ
https://okimu.jp/mus[...]
沖縄県立博物館・美術館
2021-04-17
[90]
간행물
多良間島における「龕」の使用について
https://okimu.jp/sp/[...]
沖縄県立博物館・美術館
2013-03
[91]
뉴스
墓地群内の町道整備へ 与那国
https://www.y-mainic[...]
2015-04-23
[92]
뉴스
浦野墓地、驚きの景観
https://www.y-mainic[...]
2015-04-23
[93]
웹사이트
浦野墓地群
http://yaenavi.com/i[...]
南山舎
2021-04-17
[94]
웹사이트
有人国境離島地域の保全に関する状況(平成29年4月)
http://www.kantei.go[...]
内閣府総合海洋政策推進事務局
2017-07-27
[95]
웹사이트
有人国境離島地域の保全及び特定有人国境離島地域に係る地域社会の維持に関する基本的な方針
http://www.kantei.go[...]
内閣府総合海洋政策推進事務局
2017-08-19
[96]
웹사이트
新防衛大綱 南西諸島を重視 先島に監視、実戦部隊
https://ryukyushimpo[...]
20170819102656
[97]
뉴스
町有地賃貸議案を可決 町、月内にも防衛省と仮契約
http://www.y-mainich[...]
2013-06-21
[98]
뉴스
与那国町、防衛省と賃貸契約 陸自配備予定の町有地
https://ryukyushimpo[...]
2014-04-01
[99]
뉴스
陸自基地 与那国で起工式 新設は復帰以降初
http://www.okinawati[...]
2014-04-20
[100]
뉴스
与那国の陸自拠点で起工式 防衛省
http://www.y-mainich[...]
2014-04-20
[101]
뉴스
与那国に陸自部隊発足 隊員160人、レーダー監視
https://ryukyushimpo[...]
2015-03-29
[102]
뉴스
与那国 陸自沿岸監視隊が発足 施設新設は復帰後初
http://www.y-mainich[...]
2015-03-29
[103]
뉴스
陸自配備賛成が多数 反対に187票差
http://www.y-mainich[...]
2015-02-23
[104]
뉴스
韓国など海外原発事故の検知強化へ規制委、長崎や沖縄に装置
https://web.archive.[...]
2017-07-24
[105]
간행물
対馬、与那国島へのモニタリングポストの設置について
http://www.nsr.go.jp[...]
原子力規制庁
2018-02-15
[106]
뉴스
花蓮訪問団チャーター便で台北入り
http://www.y-mainich[...]
2010-02-10
[107]
뉴스
与那国―花蓮 来月、初チャーター便
http://ryukyushimpo.[...]
2008-06-14
[108]
뉴스
与那国―花蓮、初のチャーター便飛ぶ
http://www.y-mainich[...]
2010-02-10
[109]
뉴스
花蓮市から61人来島 与那国―台湾にチャーター便
http://ryukyushimpo.[...]
2009-02-28
[110]
뉴스
与那国ー台湾、高速船就航目指す
https://www.y-mainic[...]
2019-06-21
[111]
뉴스
与那国ー台湾 高速船事業 来月始動へ
https://www.y-mainic[...]
2020-08-30
[112]
뉴스
沖縄・与那国~台湾に高速船構想、コロナ後の観光期待
https://www.nikkei.c[...]
2020-12-04
[113]
웹사이트
日本最後の夕日が見える丘
http://yaenavi.com/i[...]
南山舎
2021-04-17
[114]
웹사이트
宇良部岳
http://www.nijinet.o[...]
日本離島センター
2018-09-03
[115]
문화유산
ティンダバナ
[116]
뉴스
「ティンダバナ」国の名勝に 与那国町
http://www.y-mainich[...]
2014-06-21
[117]
문화유산
先島諸島火番盛
[118]
서적
与那国島総合調査報告書
沖縄県立博物館・美術館
0209
[119]
웹사이트
与那国紀行
http://www.churashim[...]
日本トランスオーシャン航空
2018-09-08
[120]
웹사이트
人面岩
http://yaenavi.com/i[...]
南山舎
2021-04-17
[121]
웹사이트
与那国島基本情報
https://www.town.yon[...]
与那国町
2021-04-17
[122]
웹사이트
アヤミハビル館
http://yaenavi.com/i[...]
与那国町観光協会
2021-04-17
[123]
웹사이트
Dr.コトー診療所
http://welcome-yonag[...]
与那国町観光協会
2021-04-17
[124]
웹사이트
映画舞台を旅する|与那国島 – 映画「Drコトー診療所」のロケ地、与那国島。
https://coto.welcome[...]
与那国町観光協会
2023-04-01
[125]
웹사이트
老人と海(1990) - 作品情報・映画レビュー -
https://www.kinejun.[...]
キネマ旬報WEB
2024-02-11
[126]
웹사이트
日本推理作家協会賞受賞作全集 84 ソリトンの悪魔 上 - 梅原克文 (文庫)
https://www.futabash[...]
双葉社
2024-02-11
[127]
웹사이트
ばちらぬん
https://yonaguni-fil[...]
東盛あいか
2024-08-24
[128]
간행물
GAMERA -Rebirth- 公式設定資料集
KADOKAWA
2024-01-29
[129]
웹사이트
ヨナグニ 旅立ちの島 - 作品情報・映画レビュー -
https://www.kinejun.[...]
キネマ旬報WEB
2024-02-11
[130]
웹사이트
Dr.コトー診療所 与那国島ロケ地マップ
https://welcome-yona[...]
与那国町観光協会
2024-02-11
[131]
뉴스
Dr.コトー診療所:医でつなぐ信頼 離島医療の現実を描く(まんたんウェブ)
http://mainichi.jp/e[...]
毎日新聞社
2020-06-27
[132]
뉴스
「Dr.コトー」のモデルが退任へ…離島医療37年 (読売新聞(ヨミドクター))
http://headlines.yah[...]
2020-06-27
[133]
뉴스
【BOOK】第165回芥川賞・李琴峰さん 日本流「世界から隔絶された楽園」 『彼岸花が咲く島』(文藝春秋)
https://www.zakzak.c[...]
2021-09-25
[134]
웹인용
Yonagunijima Climate Normals 1981-2010
http://www.data.jma.[...]
일본 기상청
2014-02-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