욧카이치 아스나로 철도 우쓰베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욧카이치 아스나로 철도 우쓰베선은 미에현 욧카이치시에 위치한 욧카이치 아스나로 철도의 철도 노선이다. 노선 거리는 5.7km이며, 궤간은 762mm로 일본에서 운행 중인 762mm 궤간 철도 노선 중 하나이다. 8개의 역이 있으며 전 구간이 단선으로 운행된다. 1911년 미에 궤도로 시작하여 미에 철도, 긴키 닛폰 철도를 거쳐 2015년부터 욧카이치 아스나로 철도가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욧카이치 아스나로 철도 - 욧카이치 아스나로 철도 하치오지선
미에현 욧카이치 시의 히나가 역과 니시히노 역을 잇는 1.3km의 욧카이치 아스나로 철도 하치오지선은 762mm 궤간의 단선 철도로, 일본 내 몇 안 남은 협궤 노선 중 가장 오래되고 짧은 노선이다. - 욧카이치시의 교통 - 긴테쓰 유노야마선
긴테쓰 유노야마선은 긴키 닛폰 철도의 노선으로, 욧카이치시의 긴테쓰 욧카이치역과 고모노정의 유노야마온센역을 연결하며, 과거 요카이치 철도로 개통되어 미에 철도를 거쳐 긴테쓰에 합병되었고, 특급 열차는 폐지되고 현재는 보통 열차가 운행 중이다. - 욧카이치시의 교통 - 욧카이치항
욧카이치항은 일본 미에현 욧카이치시에 위치한 항구로, 무로마치 시대에 기원을 두고 에도 시대에 수륙 교통의 중심지로 발전했으며, 메이지 시대 국제 무역항 지정 후 면화 수입항으로 번성, 쇼와 시대에는 석유 화학 콤비나트가 들어서며 공업항으로 자리매김하여 현재까지 활발한 무역을 이어오고 있다. - 1912년 개통한 철도 노선 - 경원선
경원선은 일제강점기에 개통된 서울과 원산을 잇는 철도 간선으로, 광복 후 남북 분단으로 인해 현재는 남한 구간만 운행 중이며, 남북 관계 개선에 따라 북한 구간 운행 재개 가능성이 논의되고 있다. - 1912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우에쓰 본선
우에쓰 본선은 니가타현 니쓰역에서 아키타현 아키타역까지 총 274.4km를 운행하는 동일본 여객철도 노선으로, 특급 열차 등을 포함한 다양한 열차가 운행하며, 1912년부터 1924년 사이에 개통되어 1972년에 전철화되었다.
욧카이치 아스나로 철도 우쓰베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이름 | 욧카이치 아스나로 철도 우쓰베 선 |
원어 이름 | 四日市あすなろう鉄道内部線 (일본어) |
로마자 표기 | Yokkaichi Asunarō Tetsudō Utsube-sen |
노선 종류 | 통근 열차 |
노선 상태 | 운영 중 |
지역 | 미에현 |
기점 | 아스나로욧카이치 역 |
종점 | 우쓰베 역 |
역 수 | 8 |
개업일 | 1912년 10월 6일 |
운영 주체 | 욧카이치 아스나로 철도 |
노선 길이 | 5.7 km |
선로 수 | 1 |
궤간 | 762 mm |
전철화 방식 | 직류 750 V 가공 전차선 방식 |
최고 속도 | 45 km/h |
![]() | |
이전 이름 | |
일본어 이름 | 内部・八王子線 (Utsube-Hachiōji-sen) |
2. 노선 정보
욧카이치 아스나로 철도 우쓰베선의 노선 정보는 다음과 같다. 노선 거리(영업 거리)는 5.7km, 궤간은 762mm이다.[3] 역 수는 기종점역을 포함하여 8개 역이며, 전 구간이 단선이다.[3] 전 구간이 직류 750V로 전철화되어 있으며, 폐색 방식은 자동 폐색식을 사용한다.[3] 최고 속도는 45km/h이다.[3] 전 구간에서 ICOCA를 사용할 수 있다.
1911년 12월 28일 미에 궤도가 설립되었다.[7] 1912년 10월 6일 미에 궤도는 미나미하마다역(현재 폐지) - 히나가 구간을 개통했고,[7] 1913년 5월 16일에는 스와마에역(폐역) - 미나미하마다 구간을 개통했다.[7] 1915년 12월 25일에는 욧카이치시역 - 스와마에 구간이 개통되었다.[7]
이 노선은 원래 762mm 궤간을 사용하는 노면 전차로 건설되었다. 이후 법적으로는 경전철로 변경되었지만, 대부분의 다른 762mm 궤간 노선과 달리 궤간은 확장되지 않았다. 현재 일본에서 운행 중인 762mm 궤간 철도 노선은 4개뿐이다. 전 구간은 나고야 수송 총괄부의 관할이다.
3. 역사
1916년 7월 19일 미에 철도가 설립되면서 노선 관리권이 이전되었다.[8] 같은 해 12월 1일, 궤도 조례에 의거한 미에 궤도의 노선은 폐지되고, 미에 철도가 경편철도법에 의거한 경편철도로 욧카이치시역 - 히나가 구간을 다시 개업했다.[8]
1922년에는 히나가 - 오고소 구간(1월 10일)[10] 및 오고소 - 우쓰베 구간(6월 21일)[11]이 개통되어 우쓰베가 노선의 종착역이 되었다.
1927년 11월 29일 욧카이치 - 스와 구간이 폐지되면서, 해당 노선 부지는 이세 전기 철도에 양도되었다. 1928년에는 증기 기관차 운행이 종료되고 가솔린 동차가 도입되었다.[8] 1931년 3월 1일 미에 철도가 욧카이치 철도와 현재의 긴테쓰 유노야마선을 인수하여 유노야마선과 직결 운행을 시작했다.[12] 1943년 12월 25일 전 노선이 전철화되었다.
1944년 2월 11일, 미에 철도를 포함한 6개 회사가 합병하여 미에 교통(산코)이 설립되었고, 우쓰베선은 유노야마선, 하치오지선과 함께 미에선이 되었다. 1956년 9월 23일, 긴테쓰 나고야선 욧카이치역 부근 경로 변경에 따라 스와 - 아카호리 구간이 폐지되고, 긴키 닛폰 욧카이치(현재의 긴테쓰 욧카이치역) - 아카호리 간 신선이 개업했다.
1965년 4월 1일 : 긴테쓰가 미에 전기 철도를 합병하면서 욧카이치 아스나로 철도 우쓰베선은 긴테쓰 소속이 되었다.[11][12]
긴테쓰는 1989년 3월 17일에 전 노선에 ATS 시스템을 도입하고, [12] 같은 해 6월 1일부터는 ''원맨'' 운전사 단독 운전을 시작하였다.[12]
2012년 8월 21일, 긴테쓰는 지역 주민 간담회에서 우쓰베선과 하치오지선을 폐지하고 BRT로 전환할 것을 발표했다.[14] 두 노선은 연간 약 3억 엔의 손실을 보고 있었다. 2013년 9월 27일, 긴테쓰와 욧카이치시는 노선 존속에 합의했다.[15][16]
2014년 3월 27일, 욧카이치 아스나로 철도가 설립되었다.[4] 2015년 4월 1일, 욧카이치 아스나로 철도는 긴테쓰로부터 우쓰베선 운영을 이관받았다.[4][17] 이 새로운 계획에서 철도 선로와 차량은 시 정부가 소유하고, 욧카이치 아스나로 철도가 열차를 운행한다.[2]
3. 1. 초기 역사 (미에 궤도, 미에 철도 시대)
1911년 12월 28일 미에 궤도가 설립되었다.[7] 1912년 10월 6일 미에 궤도는 미나미하마다역(현재 폐지) - 히나가 구간을 개통했고,[7] 1913년 5월 16일에는 스와마에역(폐역) - 미나미하마다 구간을 개통했다.[7] 1915년 12월 25일에는 욧카이치시역 - 스와마에 구간이 개통되었다.[7]
1916년 7월 19일 미에 철도가 설립되면서 노선 관리권이 이전되었다.[8] 같은 해 12월 1일, 궤도 조례에 의거한 미에 궤도의 노선은 폐지되고, 미에 철도가 경편철도법에 의거한 경편철도로 욧카이치시역 - 히나가 구간을 다시 개업했다.[8] 1917년 4월 15일에는 욧카이치시역 - 스와마에 구간의 시청앞역(폐역)과 스와마에역 - 미나미하마다 구간의 우노모리역(폐역)이 폐지되었다.[9]
1922년에는 히나가 - 오고소 구간(1월 10일)[10] 및 오고소 - 우쓰베 구간(6월 21일)[11]이 개통되어 우쓰베가 노선의 종착역이 되었다.
1927년 11월 29일 욧카이치 - 스와 구간이 폐지되면서, 해당 노선 부지는 이세 전기 철도에 양도되었다. 1928년에는 증기 기관차 운행이 종료되고 가솔린 동차가 도입되었다.[8]
3. 2. 미에 교통 시대
1911년 12월 28일 미에 궤도가 설립되었고, 1912년 10월 6일 미에 궤도가 미나미하마다-히나가 구간을 개통했다.[7] 1913년 5월 16일에는 스와마에-미나미하마다 구간이 개통되었으며,[7] 1915년 12월 25일에는 욧카이치-스와마에 구간이 개통되었다.[7]
1916년 7월 19일 미에 철도가 설립되었고, 12월 1일 궤도 조례에 의거한 미에 궤도의 노선을 폐지하고 미에 철도가 경편철도법에 의거한 경편철도로 욧카이치-히나가 구간을 개업했다.[8] 1922년에는 히나가-오고소 간(1월 10일)[10] 및 오고소-우쓰베 간(6월 21일)[11]이 개통되었다.
1928년 가솔린 동력 열차가 도입되었고, 1931년 3월 1일 미에 철도가 욧카이치 철도와 현재의 긴테쓰 유노야마선을 인수하여 유노야마선과 직결 운행을 시작했다.[12] 1943년 12월 25일 전 노선이 전철화되었다.
1944년 2월 11일, 미에 철도를 포함한 6개 회사가 합병하여 미에 교통(산코)이 설립되었고, 우쓰베선은 유노야마선, 하치오지선과 함께 미에선이 되었다. 1956년 9월 23일, 긴테쓰 나고야선 욧카이치역 부근 경로 변경에 따라 스와 - 아카호리 구간이 폐지되고, 긴키 닛폰 욧카이치(현재의 긴테쓰 욧카이치역) - 아카호리 간 신선이 개업했다.
3. 3. 긴키 닛폰 철도 (긴테쓰) 시대
1965년 4월 1일 : 긴테쓰가 미에 전기 철도를 합병하면서 욧카이치 아스나로 철도 우쓰베선은 긴테쓰 소속이 되었다.[11][12] 1970년 3월 1일에는 긴키 닛폰 욧카이치역을 긴테쓰 욧카이치역으로 개칭하였다.[12]
긴테쓰는 1989년 3월 17일에 전 노선에 ATS 시스템을 도입하고, [12] 같은 해 6월 1일부터는 ''원맨'' 운전사 단독 운전을 시작하였다.[12]
3. 4. 욧카이치 아스나로 철도 시대
2012년 8월 21일, 긴테쓰는 지역 주민 간담회에서 우쓰베선과 하치오지선을 폐지하고 BRT로 전환할 것을 발표했다.[14] 두 노선은 연간 약 3억 엔의 손실을 보고 있었다. 2013년 9월 27일, 긴테쓰와 욧카이치시는 노선 존속에 합의했다.[15][16]
2014년 3월 27일, 욧카이치 아스나로 철도가 설립되었다.[4] 2015년 4월 1일, 욧카이치 아스나로 철도는 긴테쓰로부터 우쓰베선 운영을 이관받았다.[4][17] 이 새로운 계획에서 철도 선로와 차량은 시 정부가 소유하고, 욧카이치 아스나로 철도가 열차를 운행한다.[2]
2021년 8월 21일, 전 노선에서 ICOCA 등의 교통 카드 전국 상호 이용 서비스를 개시했다.[18][19]
4. 역 목록
거리
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