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공용버스터미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용인공용버스터미널은 경기도 용인시에 위치한 종합버스터미널이다. 1970년대 시외버스터미널로 시작하여, 1972년 동부고속의 서울-용인 고속버스 노선 운행을 계기로 고속버스터미널이 건립되었다. 1992년 시외버스터미널을 통합하여 현재의 종합터미널 형태를 갖추었으며, 2017년부터 경남여객이 터미널 운영을 담당하고 있다. 서울, 광주, 군산, 김해, 동대구, 부산, 진주, 창원 등 여러 지역으로 운행하는 고속버스와 수도권, 강원권, 충청권, 호남권, 영남권 방면의 시외버스를 운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용인시의 건축물 - 경희대학교 혜정박물관
경희대학교 부설 박물관인 혜정박물관은 1991년 개관하여 동아시아 역사 및 미술 유물을 소장하며 한국 문화의 우수성을 알리는 데 기여하고 있다. - 용인시의 건축물 - 신갈시외버스정류장
신갈시외버스정류장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신갈동에 위치하며 고속버스와 시외버스가 모두 정차하는 곳으로, 용인공용버스터미널 출발 노선 대부분이 경유하며 경남여객에서 운영하고 터미널 번호는 111번이다. - 처인구 - 오대양 집단 자살 사건
오대양 집단 자살 사건은 1987년 8월 29일 경기도 용인군에서 사이비 종교 오대양의 교주 박순자를 포함한 신도 32명이 집단으로 사망한 사건으로, 경찰은 집단 자살로 결론지었으나 타살 의혹이 제기되었으며, 이들은 사채 문제와 신경안정제 복용, 그리고 경부 압박에 의한 교살로 사망했다. - 처인구 - 양지면
양지면은 본래 고구려의 사복홀현이었으나 신라 경덕왕 때 양지현으로 개명된 지역으로, 조선시대에 용구현과 합쳐졌다 분리되는 변화를 겪었고 일제강점기에는 용인군에 병합되어 내사면으로 개칭되었다가 광복 50주년을 맞아 양지면으로 환원되었으며, 현재는 영동고속도로와 국도 제42호선, 양지 나들목, 그리고 여러 레저 시설이 위치한 용인시 처인구의 면이다. - 1972년 설립 - 립푸
- 1972년 설립 - 통일주체국민회의
통일주체국민회의는 유신헌법에 의해 대통령 선출, 국회의원 추천, 헌법 개정안 의결 등의 기능을 수행한 헌법기관이었으나, 박정희 대통령의 장기 집권 도구로 활용되었다는 비판을 받으며 1972년부터 1980년까지 존속했다.
용인공용버스터미널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용인공용버스터미널 |
종류 | 터미널 |
주소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486 (중앙동) |
개장 | 1972년 |
이전 | 1992년 8월 |
운영 기관 | 경남여객 |
터미널 코드 | 150 |
표기 | 용인 |
고속버스 운행 여부 | 운행 |
시외버스 운행 여부 | 운행 |
시내버스 운행 여부 | 운행 |
웹사이트 | 용인공용버스터미널 웹사이트 |
![]() |
2. 역사
1992년 8월 시외버스터미널과 통합하여 고속버스와 경남여객, 대원고속이 운행하는 시외버스가 모두 운행하는 종합버스터미널이 되었다.[2] 2017년 1월 1일부터 경남여객이 터미널을 운영하고 있다.[3]
2. 1. 초기 역사 (1970년대 ~ 1992년)
용인터미널은 처음에 시외버스터미널이 1970년대에 먼저 생겼고, 당시에는 수원에서 출발해 용인을 경유하는 형식으로 운행하였다. 고속버스터미널은 1972년 8월에 동부고속이 서울~용인 고속버스 노선을 운행하기 시작하면서 건립되었다. 1991년 동부고속에서 터미널 확장을 위해 사업 승인을 신청했고, 용인시청에서 기부채납 조건으로 12302m2의 현 부지를 제공하여 연면적 32680m2의 2층 규모 터미널 건물을 신축하였다.[2]2. 2. 통합 및 확장 (1992년 ~ 현재)
1970년대에 먼저 생긴 용인 시외버스터미널은 당시 수원에서 출발해 용인을 경유하는 형식으로 운행하였다. 1972년 8월 동부고속이 서울 ~ 용인 고속버스 노선을 운행하기 시작하면서 고속버스터미널이 건립되었다.[2] 1991년 동부고속은 터미널 확장을 위해 사업 승인을 신청했고, 용인시청은 기부채납 조건으로 12302m2의 현 부지를 제공하여 연면적 32680m2의 2층 규모 터미널 건물을 신축하였다.[2] 1992년 8월 시외버스터미널을 통합하여 지금과 같이 고속버스와 경남여객, 대원고속에서 운행하는 시외버스가 모두 운행하는 종합버스터미널이 되었다.[2]2017년 1월 1일부터 경남여객이 터미널을 운영하기 시작했다.[3]
3. 운행 노선
용인공용버스터미널에서는 서울, 광주, 경남, 대구, 부산 등 다양한 방면으로 고속버스와 시외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2015년 12월 11일에는 군산행 고속버스 노선이 신설되었다.[4] 2015년 12월 22일부터 동대구행 노선이 고속 노선으로 승격되었으며, 2019년 10월 22일부터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을 경유한다.
3. 1. 고속버스
운행 노선 | 운행 업체 | 운행 구간 | 경유지 | 배차 간격 (분) | 시간표 |
---|---|---|---|---|---|
용인 ↔ 서울경부[5] | 동부고속 | 용인 ↔ 서울경부 | 유림동(방축)[6] | 20~40 | 첫차: 06:30 (용인 기준) 막차: 22:10 (용인 기준) |
용인 ↔ 광주 | 대원고속 중앙고속 | 용인 ↔ 광주 | 신갈, 정안휴게소 | 60~90 | 첫차: 06:50 (용인 기준) 막차: 20:00 (용인 기준) |
용인 ↔ 군산[7] | 경남여객 | 용인 ↔ 군산 | 신갈, 정안휴게소 | 8회 | 06:40, 08:05, 10:45, 12:05, 14:45, 16:05, 18:50, 20:05 |
용인 ↔ 김해[8] | 천일고속 한일고속 | 용인 ↔ 김해 | 신갈, 선산휴게소, 장유 | 4회 | 08:10, 11:30, 14:50, 18:20 |
용인 ↔ 동대구 | 코리아와이드경북 | 용인 ↔ 동대구 | 신갈, 서대구 | 6회[9] 9회[10] | 07:40[10], 09:10, 10:40, 12:10[10], 13:40, 15:10, 16:40[10], 18:10, 19:10 |
용인 ↔ 부산 | 경남여객 대원고속 | 용인 ↔ 부산 | 신갈, 낙동강휴게소[11] | 9회 | 07:00, 08:30, 10:00, 11:30, 13:00, 14:30, 16:00, 17:30, 18:40 |
용인 ↔ 부산서부[12] | 경남여객 대원고속 | 용인 ↔ 부산서부 | 신갈, 선산휴게소 | 4회 | 07:40, 10:45, 15:20, 18:30 |
용인 ↔ 진주[13][14] | 중앙고속 대원고속 | 용인 ↔ 진주 | 신갈, 인삼랜드휴게소, 개양 | 3회 | 10:10, 13:10, 16:00 |
신갈, 인삼랜드휴게소, 진주혁신도시 | 2회 | 07:00, 18:40 | |||
용인 ↔ 창원 | 동양고속 중앙고속 | 용인 ↔ 창원 | 신갈, 선산휴게소, 마산 | 5회 | 07:10, 10:10, 13:10, 16:10, 19:00 |
2015년 12월 11일에 군산행 노선이 신설되었다.[4] 2015년 12월 22일부터 동대구행 노선이 고속 노선으로 승격되었으며, 2019년 10월 22일부터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을 경유한다.
3. 2. 시외버스
방면 | 행선지 |
---|---|
수도권 방면 | 강남대, 광교[15], 광명[15], 기흥역, 김포공항, 명지대, 부천, 성남, 수원, 신갈, 아주대, 안산, 안성, 안양(범계), 에버랜드[16], 여주, 영통입구, 오산, 용인대, 이천, 인천, 인천국제공항 |
강원권 방면 | 고한사북, 낙산, 문막, 속초[17], 영월, 원주, 태백[18] |
충청권 방면 | 대전, 아산, 천안, 청주, 충주 |
호남권 방면 | 전주 |
영남권 방면 | 경주, 상주, 점촌, 포항 |
4. 시설
현재 주어진 정보만으로는 "시설" 섹션에 대한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원본 소스(`source`)가 비어있어 터미널 건물의 구조, 규모, 층별 안내 등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하위 섹션인 "승차홈" 정보는 "시설" 섹션의 하위 내용이므로, "시설" 섹션에는 포함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이전 결과와 동일하게 빈 내용을 출력합니다.
4. 1. 승차홈
승차홈 | 행선지 |
---|---|
1번홈 | 구미, 울산, 경주, 포항, 창원, 동대구 (서대구 경유) |
2번홈 | 서울경부 |
3번홈 | 부산, 서부산, 광주, 진주 |
4번홈 | 인천, 이천 (직행), 여주 (직행), 영월, 고한, 태백 |
5번홈 | 안산, 안양, 강릉, 원주, 아산, 천안, 춘천, 속초 |
6번홈 | 김포공항, 인천국제공항, 부천, 고양 |
7번홈 | 대전, 전주, 청주, 충주, 상주, 점촌 |
8번홈 | 신갈, 수원 방면 (민속촌 경유) |
9번홈 | 모현, 광주 방면 |
10번홈 | 죽산, 백암, 양지 방면 |
11번홈 | 천리, 송전, 오산, 안성, 백암, 양지, 좌전 |
12번홈 | 원삼, 이천 운학리 방면 |
13번홈 | 용인 시내버스 |
14번홈 | 용인 시내버스 |
15번홈 | 용인 시내버스 |
5. 사진
참조
[1]
웹사이트
버스터미널 현황
https://www.gg.go.kr[...]
경기도청
2019-02-19
[2]
웹사이트
용인공용버스터미널
http://yongin.grandc[...]
2014-07-14
[3]
웹사이트
용인터미널 홈페이지이전 안내
http://knbus.co.kr/E[...]
경남여객 공지사항
2017-02-10
[4]
뉴스
중앙·동양고속, 군산~용인 운행 시작
http://www.jjan.kr/n[...]
전북일보
2015-12-08
[5]
문서
고속 노선으로 운행했다가 시외 노선으로 전환되었다.
[6]
문서
보평역 서쪽에 있다.
[7]
문서
2015년 12월 11일 신설.
2015-12-11
[8]
문서
2014년 12월 23일 신설.
2014-12-23
[9]
문서
월,화,수,목만 해당.
[10]
문서
금,토,일만 해당.
[11]
문서
본래 선산휴게소에서 정차했으나 상주영천고속도로 개통 후 선산 정차가 중지됐으며, 2019년 4월 10일부터 낙동강휴게소 정차로 변경되었다.
2019-04-10
[12]
문서
2014년 5월 1일 신설.
2014-05-01
[13]
문서
2014년 4월 9일 신설.
2014-04-09
[14]
문서
2018년 7월 1일부터 진주혁신도시 경유 노선 신설.
2018-07-01
[15]
문서
2014년 2월 24일 신설.
2014-02-24
[16]
문서
터미널 밖에서 승차.
[17]
문서
낙산사 입구를 경유한다.
[18]
문서
고한사북을 경유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