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궈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궈전은 청나라 말기 중국에서 태어나 미국에서 유학한 정치학 박사로, 중화민국 정부에서 한커우 시장, 충칭 시장, 외교부 차관, 상하이 시장 등을 역임했다. 그는 타이완 성장을 지내며 자유주의적 정책을 추진했으나, 장제스 부자와의 갈등으로 미국으로 망명하여 학자로서 활동했다. 미국에서 중국사 교수로 재직하며 저술 활동을 하였으며, 자유주의적 성향과 반공주의적 신념을 동시에 보여주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베이성 출신 - 구쯔하오
구쯔하오는 6세에 바둑을 시작해 2010년 프로 입단 후 삼성화재배 우승 등 여러 대회에서 우승하며 세계 정상급 기사로 인정받았고, 특히 2023년 구저우란커배 우승과 중국 랭킹 1위를 통해 최정상 기사임을 입증했으며, 공격적인 기풍으로 신진서와 라이벌 구도를 형성하며 주목받는 중국 바둑 기사이다. - 후베이성 출신 - 장거정
장거정은 명나라 만력제 시기의 정치가이자 개혁가로, 수보의 자리에 올라 일련의 개혁을 추진하여 명나라의 재정을 안정시키고 국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했지만, 비판을 받기도 했다. - 미국에 거주한 대만인 - 리덩후이
리덩후이는 중화민국의 정치인으로, 장징궈 총통에 의해 발탁되어 총통직을 승계한 후 대만의 민주화 개혁을 주도하며 '대만 민주주의의 아버지'로 불리지만, 양안 관계에서는 양국론을 제시하여 중화인민공화국과 긴장 관계를 형성하기도 하고 퇴임 후에는 대만 독립 운동을 지지했다. - 미국에 거주한 대만인 - 장쉐량
장쉐량은 만주 군벌 장작림의 아들이자 동북군 지휘관으로서 만주사변 당시 부저항 정책과 시안 사건 주도를 통해 국공합작을 이끌어낸 인물이며, 그의 삶과 행적에 대한 평가는 엇갈린다. - 대만의 정치인 - 후스
후스는 중국의 철학자, 문학가, 정치인이자 외교관으로, 백화문 운동을 주도하여 중국 문학 혁명에 기여하고 실용주의 철학을 바탕으로 학문 연구와 사회 개혁을 추진했으며, 베이징 대학 교수, 중화민국 주미대사, 베이징 대학 총장, 중앙연구원 원장 등을 역임했다. - 대만의 정치인 - 리덩후이
리덩후이는 중화민국의 정치인으로, 장징궈 총통에 의해 발탁되어 총통직을 승계한 후 대만의 민주화 개혁을 주도하며 '대만 민주주의의 아버지'로 불리지만, 양안 관계에서는 양국론을 제시하여 중화인민공화국과 긴장 관계를 형성하기도 하고 퇴임 후에는 대만 독립 운동을 지지했다.
| 우궈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우궈전 |
| 원어 이름 | 吳國楨 |
| 로마자 표기 | Wu Guozhen |
| 일본어 이름 | 고 코쿠테이 |
![]() | |
| 직책 | |
| 타이완성 정부 주석 | 3대 임기: 1949년 12월 21일 ~ 1953년 4월 16일 전임: 천청 후임: 위훙춘 |
| 상하이 시장 | 임기: 1945년 8월 ~ 1949년 5월 |
| 충칭 시장 | 임기: 1939년 ~ 1942년 |
| 개인 정보 | |
| 출생 | 1903년 10월 21일 청나라 후베이성 |
| 사망 | 1984년 6월 6일 미국 조지아주 서배너 |
| 국적 | 중화민국 |
| 소속 정당 | |
| 정당 | 중국 국민당 (1954년까지) |
| 학력 | |
| 대학 | 칭화 대학 |
| 대학원 | 그리넬 칼리지 (M. A.) |
| 박사 | 프린스턴 대학교 (철학 박사) |
2. 초기 생애 및 교육
우궈전은 청나라 후베이성에서 태어나 부친이 군 복무를 한 베이징에서 성장했다.[1] 저우언라이와 톈진 난카이 고등학교 동창이었으며, 칭화 대학에서 수학하였다.[1]
2. 1. 어린 시절
우궈전은 청나라 후베이성에서 태어나 부친이 군 복무를 한 베이징에서 성장했다.[1] 어릴 때부터 신동으로 불렸으며, 3세에 서당에 들어가 5세에 베이징의 다싱 양지 초등학교 등에 입학했다.[8][9][10] 1914년(민국 3년) 톈진 난카이 중학교에 진학하여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고, 저우언라이가 회장으로 있던 '경업락군회'에 가입하여 그와 친하게 지냈다.[8][9][10] 1917년(민국 6년) 베이징 칭화 학교(현재의 칭화 대학)에 입학하여 4년 후 졸업하고 미국으로 유학, 아이오와 주그리넬 대학교에서 경제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1][8][9][10]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1926년 "중국 고대 정치 이론"이라는 논문으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1][8][9][10]2. 2. 학창 시절
우궈전은 청나라 후베이성에서 태어나 부친이 군 복무를 한 베이징에서 성장했다. 어릴 때부터 신동으로 불렸으며, 3세에 서당에 들어가 5세에 베이징의 다싱 양지 초등학교 등에 입학했다.[8][9][10] 저우언라이와 톈진 난카이 고등학교 동창이었으며, 칭화 대학에서 수학하였다.[1] 1914년(민국 3년) 톈진 난카이 중학교에 진학하여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고, 저우언라이를 회장으로 하는 '경업락군회'에 가입하여 그와 친밀하게 교류했다.[8][9][10] 1917년(민국 6년) 베이징 칭화 학교(칭화 대학)에 입학하여 4년 후 졸업하고 미국으로 유학했다.[8][9][10] 1923년 그리넬 칼리지에서 경제학 학사 학위를,[1] 1926년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1] 박사 학위 논문은 "중국 고대 정치 이론"이었다.[8][9][10]
1926년 중국으로 귀국한 우궈전은 정부에서 일하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한커우에서 지방 군벌 샤터우윈을 위해 세리로 일했다. 1931년 황진의 딸 에디스 황과 결혼하여 4명의 자녀를 두었다. 1932년 한커우 시장이 되었고, 1936년 장강 범람 시에는 도시를 보호하는 대규모 제방 건설을 감독하였다.
3. 초기 경력
1938년 10월 중일 전쟁 중 한커우가 일본군에게 함락되자, 우궈전과 그의 가족은 충칭으로 피신했다. 1939년 장제스는 그를 충칭 시장으로 임명했고, 1942년까지 그 직을 수행했다. 1943년부터 1945년까지 외교부 차관을 역임하며 저우언라이와 교류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1945년 상하이 시장이 되어 1949년 중국 공산당 군대가 도시를 점령할 때까지 시장직을 수행했다.
3. 1. 중국 귀국 후 활동
1926년 중국으로 귀국한 우궈전은 공직 생활을 시작하여, 처음에는 한커우의 지방 군벌 샤더인을 위해 세무사로 일했다.[11][9][10] 1931년 그는 황진의 딸인 에디스 황과 결혼했다. 그들은 결국 네 명의 자녀, 에일린, 에디스, 궈전, 그리고 셔먼을 두었다. 1932년 그는 한커우 시장이 되었다. 1936년 양쯔강이 범람할 조짐을 보이자, 우궈전은 도시를 구한 거대한 제방 시스템 건설을 감독했다.
1938년 10월 중일 전쟁 중 한커우가 일본군에게 함락되자, 우궈전과 그의 가족은 충칭으로 피신했다. 1939년 장제스는 그를 충칭 시장으로 임명했고, 그는 1942년까지 그 직을 수행했다. 그는 1943년부터 1945년까지 외교부 차관을 역임하며, 일본에 맞선 연합 전선의 일환으로 저우언라이와 교류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1945년에 종전된 후, 우궈전은 상하이 시장이 되었고, 1949년 중국 공산당이 그 도시를 점령할 때까지 그 직을 수행했다. 상하이 시장으로 재직하는 동안, 우궈전은 시카고 트리뷴의 로버트 R. 매코믹과 그의 아내 메릴랜드를 만났다. 상하이의 상황이 불안정해지자, 우궈전은 두 딸을 일리노이에 있는 매코믹 부부와 함께 살도록 보냈다.
3. 2. 재정 및 세제 개혁
1928년(민국 17년) 난징으로 옮겨 외교부 제1사 부사장 겸 조약위원회 위원이 되었다. 그 후 한커우에 친척을 방문했을 때, 우한 정치분회 주석 리쭝런에게 재무·세제 전면 개혁안을 제출했다. 리쭝런은 이 제안을 높이 평가하여 오궈정을 후베이 연초·주류 납세무국장으로 발탁했고, 세수는 개혁 집행 전의 5배까지 늘어났다.[11][9][10] 1929년(민국 18년) 6월, 한커우 특별시 정부의 참사, 토지국장, 재정국장을 역임했으며, 1931년(민국 20년) 5월에는 후베이성 정부 위원 겸 재정청장으로 승진했다.[11][9][10]
4. 중일 전쟁과 국공 내전 시기 활동
우궈전은 1932년부터 1949년까지 중일 전쟁과 국공 내전 기간 동안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1932년 한커우(현 우한시) 시장으로 부임하여 치수 사업과 공원 건설에 힘썼으며, 1935년 여름 수해와 1936년 장강 범람 위기에서 도시를 지켜냈다.[12][9][10] 중일 전쟁 발발 후에도 한커우 시장으로서 군의 후방 근무를 지원하고, 1938년 10월 한커우 함락 때까지 전선 지원과 민중 철수를 위해 현지에 남았다.
1939년부터 1942년까지 충칭 시장을 역임하며 전시 행정을 담당했다.[12][9][10] 일본군의 공습에도 불구하고 방공호와 지하 벙커 정비를 통해 인명 피해를 줄였다. 그러나 1941년 6월 5일, 공습으로 인한 대규모 질식사 사건의 책임을 지고 사표를 제출했으나 유임되었다.[13][9][10]
1942년 12월부터 1945년까지 외교부 정무 차관으로 재직하며, 쑹쯔원을 보좌하여 전시 외교를 수행했다.[13][9][10] 저우언라이와 교류하며 일본에 대항하는 연합 전선에 참여했다.[12]
1946년부터 1949년 중국공산당이 상하이를 점령할 때까지 상하이 시장을 역임했다. 전후 복구에 힘썼으나, 국공 내전으로 인한 재정난을 겪었다. 금원권 발행 등에 대해 장제스에게 간언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여러 차례 사표를 제출했지만 1949년 5월 5일까지 유임되었다. 이후 가족과 함께 타이완으로 피신했다.[14][9][10]
4. 1. 한커우 시장 시절
1932년 우궈전은 한커우(현 우한시) 시장이 되었다.[12][9][10] 그는 특히 치수 사업과 공원 건설에 주력했으며, 1935년 여름 수해 당시 직접 지휘하여 피해 확대를 방지했다. 1936년 장강이 범람할 조짐을 보이자, 우궈전은 도시를 구한 거대한 제방 시스템 건설을 감독했다. 중일 전쟁 발발 후에도 우궈전은 계속해서 한커우 시장을 맡아 군의 후방 근무에 정력적으로 종사했으며, 우한 함락까지 전선 지원과 민중 철수를 위해 현지에 잔류했다.4. 2. 충칭 시장 시절
1938년 10월 중일 전쟁 중 한커우가 일본군에게 함락되자, 우궈전과 그의 가족은 충칭으로 피신했다. 1939년 장제스는 그를 충칭 시장으로 임명했고, 그는 1942년까지 그 직을 수행했다.[12][9][10] 그는 전시 동시 행정을 도맡았으며, 충칭은 여러 차례 일본군의 공습을 받았지만, 우궈전이 시장 취임 후에 급속히 정비한 방공호 및 지하 벙커 덕분에 사상자는 경감되었다. 그러나 1941년 6월 5일, 일본군의 공습을 받아, 부실한 방공호로 피신한 충칭 시민 다수가 질식사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 사건에 대한 책임을 지고 우궈전은 사표를 제출했지만, 잠시 유임되었다.[13][9][10]4. 3. 외교부 차관 시절
1942년 12월, 우궈전은 외교부 정무 차관으로 임명되어 부장 쑹쯔원의 전시 외교를 보좌했다. 당시 쑹쯔원은 미국에 머무르고 있었기 때문에, 국내에 있던 우궈전이 사실상 국내외 외무 관료를 통솔하며 방대한 외교 활동을 차질 없이 수행하는 능력을 발휘했다.[13][9][10] 1943년부터 1945년까지 외교부 차관을 역임하며, 일본에 대항하는 연합 전선의 일환으로 저우언라이와 교류했다.[12]4. 4. 상하이 시장 시절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우궈전은 중국 국민당 중앙 선전부장을 거쳐 1946년부터 상하이 시장을 역임했다. 그는 1949년 중국공산당이 상하이를 점령할 때까지 시장직을 수행했다. 상하이 시장 재임 동안 우궈전은 시카고 트리뷴의 로버트 매코믹과 그의 부인 메릴랜드를 만났으며, 상하이의 상황이 불안정해지자 자신의 두 딸을 일리노이주의 매코믹 부부와 함께 살도록 보냈다.[14][9][10]우궈전은 상하이의 전후 복구에 힘썼지만, 국공 내전 발발로 전비 조달에 분주해야 했다. 그의 수완에도 불구하고 시 재정 붕괴는 막을 수 없었다. 금원권 발행 등과 관련하여 장제스에게 여러 차례 간언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우궈전은 수시로 사표를 제출했지만, 함락 직전인 1949년 5월 5일까지 시장직에 유임되었다. 이는 다른 사람으로 대체하기 어려웠기 때문으로 보인다. 사임 후, 우궈전은 가족과 함께 타이완으로 피신했다.[14][9][10]
5. 타이완 시기 활동
1949년부터 1953년까지 타이완성 성장으로 재임한 우궈전은 타이완인들에게 더 많은 자치를 보장하고 경찰의 만행을 줄이고자 노력했다. 그러나 그의 자유주의적 민주주의 사상은 중국 공산당의 침입 위협에 직면한 당시 상황과 맞지 않았고, 장징궈를 비롯한 국민당 내 보수파의 반발을 샀다.[5]
1954년 타이완에서 우궈전의 부패를 비난하는 여론이 일자, 장제스 부자는 우궈전의 측근들을 정부 요직에서 해임하고 국민당에서 제명했다. 이에 우궈전은 ''룩'' 잡지에 국민당 정부를 비판하는 기사를 기고했고, 중화민국 국회는 그에 대한 결의안을 채택하며 맞섰다. 당시 미국은 타이완 정부와의 동맹을 우선시했기에, 우궈전의 주장은 미국의 지지를 얻지 못했다. 결국 우궈전은 미국으로 건너가 중국사 교수로 재직하며 저술 활동에 전념했다.[6]
우궈전은 자유주의적인 현대 타이완 형성에 기여하고 반공주의 신념을 견지했지만, 국민당에 대한 비판적인 입장과 장징궈와의 갈등으로도 기억된다. 타이완 천도 이후 국민당 내에는 친미적 자유주의 세력이 존재했으나, 장징궈가 권력을 장악하면서 우궈전과 같은 인물들은 축출되었다.[7]
5. 1. 타이완성 성장 임명
중국국민당 정부가 타이베이로 이전한 후, 우궈전은 1949년부터 1953년까지 타이완 성장을 역임했다. 우궈전은 타이완 사람들에게 더 많은 자치권을 부여하려 노력하여, 일부 지방 관료를 민선으로 선출하도록 했다. 또한 천이를 비판하는 사람들을 정부에 참여시켰고, 경찰의 잔혹 행위를 줄이려 노력했다.[5] 우궈전은 장징궈와 천청을 포함한 국민당 내 많은 보수파의 반대에 직면했다.우궈전과 장징궈 간의 갈등은 악화되었다. 우궈전은 장제스에게 사임서를 제출했지만 거부당했다. 1952년 4월, 우궈전을 겨냥한 암살 시도가 있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1953년 4월, 그는 성장직에서 사임했으며, 5월 24일 "강연 투어"를 핑계로 급히 타이완을 떠났다. 우궈전의 가족은 미국으로 떠났지만, 아들 한 명은 장제스 부자에 의해 떠나는 것이 허락되지 않았다.
5. 2. 자유주의적 정책 추진
중국국민당 정부가 타이베이로 이전한 후, 우궈전은 1949년부터 1953년까지 타이완 성장을 역임했다. 우궈전은 타이완 사람들에게 더 많은 자치권을 부여하려 노력하여, 일부 지방 관료를 민선으로 선출하도록 했다. 또한, 그는 천이를 비판하는 사람들을 정부에 참여시켰고, 경찰의 잔혹 행위를 줄이려 노력했다.[5] 우궈전은 장징궈와 천청을 포함한 국민당 내 많은 보수파의 반대에 직면했다.우궈전과 장징궈 간의 갈등은 악화되었다. 우궈전은 장제스에게 사임서를 제출했지만 거부당했다. 1952년 4월, 우궈전을 겨냥한 암살 시도가 있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1953년 4월, 그는 성장직에서 사임했으며, 5월 24일 "강연 투어"를 핑계로 급히 타이완을 떠났다. 우궈전의 가족은 미국으로 떠났지만, 아들 한 명은 장제스 부자에 의해 떠나는 것이 허락되지 않았다. 1954년, 타이완에서 우궈전의 부패를 주장하는 일련의 비난이 제기되었다. 동시에, 장제스 부자는 우궈전의 측근들을 정부에서 해임하려 했다. 그들은 또한 공식적으로 우궈전을 국민당에서 제명했다.[5] 아들이 타이완을 떠난 후, 우궈전은 그가 보기에 국민당 정부에 심각한 문제가 있다고 비판하기 시작했다. 같은 해, 우궈전은 ''룩'' 잡지에 "당신의 돈은 타이완에 경찰 국가를 건설하고 있다"는 제목의 기사를 썼다.[6] 우궈전과 장제스 정권 사이의 설전은 더욱 격화되었으며, 중화민국 국민대회에서 그에 대한 결의안이 통과되기도 했다. 1954년 후반, 미국에 있던 후스와 우궈전 사이에서도 설전이 벌어졌다.
당시 미국은 타이완 정부와 동맹을 맺으려 시도하고 있었다. 따라서 경찰 국가에 맞서 싸운다는 생각은 미국의 주요 의제에서 벗어나 있었다. 그의 글에 대한 미국의 반응이 없자, 우궈전은 미국에서 조지아주 사바나에 있는 암스트롱 애틀랜틱 주립 대학교에서 중국사 교수로 재직했다. 미국에 머무는 동안, 그는 그의 저서 ''중국의 유산''에서 신화와 초기 역사의 맥락에서 중국 문화를 상세하게 분석하는 등 다양한 저술 활동을 했다.
5. 3. 장제스, 장징궈와의 갈등
타이베이로 중국국민당 정부가 이동한 후, 우궈전은 1949년부터 1953년까지 타이완 성장을 역임했다. 우궈전은 타이완 사람들에게 더 많은 자치권을 부여하려 했으며, 일부 지방 관료를 민선으로 선출하도록 했다. 또한 천이를 비판하는 사람들을 정부에 참여시켰고, 경찰의 잔혹 행위를 줄이려 노력했다. 그러나 우궈전은 장징궈와 천청을 포함한 국민당 내 많은 보수파와 갈등을 겪었다. 특히 장징궈와의 갈등은 점차 악화되었다.우궈전은 장제스에게 사임서를 제출했지만 거부되었다. 1952년 4월에는 우궈전을 겨냥한 암살 시도가 있었다는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 1953년 4월, 우궈전은 결국 성장직에서 사임하고, 5월 24일 "강연 투어"를 핑계로 급히 타이완을 떠났다. 우궈전의 가족은 미국으로 떠났지만, 아들 한 명은 장제스 부자에 의해 출국이 허락되지 않았다.
1954년, 타이완에서는 우궈전의 부패를 주장하는 비난이 쏟아졌다. 동시에 장제스 부자는 우궈전의 측근들을 정부에서 해임하고, 우궈전을 국민당에서 제명했다.[5] 아들이 타이완을 떠난 후, 우궈전은 국민당 정부의 문제점을 비판하기 시작했다. 같은 해, ''룩'' 잡지에 "당신의 돈은 타이완에 경찰 국가를 건설하고 있다"는 제목의 기사를 기고했다.[6] 우궈전과 장제스 정권 사이의 갈등은 더욱 심화되었고, 중화민국 국민대회에서는 우궈전에 대한 결의안이 통과되기도 했다. 1954년 후반에는 미국에 있던 후스와 우궈전 사이에서도 논쟁이 벌어졌다.
6. 미국 망명과 학자로서의 삶
우궈전은 미국 망명 후 조지아주 서배너에 있는 암스트롱 애틀랜틱 주립 대학교에서 중국사 교수로 재직했다. 미국에 머무는 동안, 저서 ''중국의 유산''을 통해 신화와 초기 역사의 맥락에서 중국 문화를 상세하게 분석하는 등 다양한 저술 활동을 펼쳤다.
우궈전은 자유주의적인 현대 타이완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국민당 구성원으로서 전형적인 반공주의 신념을 가졌던 인물로 기억된다. 하지만, 그는 과감한 반국민당 수사와 장징궈와의 격렬한 불화로도 잘 알려져 있다. 타이완 철수 이후 국민당 내에는 친미 자유주의자들이 존재했으나, 장징궈가 당, 군, 행정 권력을 장악하면서 우궈전이나 왕스지에와 같은 친미적 요소들은 축출되었다.[7]
6. 1. 미국 망명
1953년 4월, 우궈전은 타이완 성장직에서 사임했으며, 5월 24일 "강연 투어"를 핑계로 급히 타이완을 떠났다. 우궈전의 가족은 미국으로 떠났지만, 아들 한 명은 장제스 부자에 의해 떠나는 것이 허락되지 않았다. 1954년, 타이완에서 우궈전의 부패를 주장하는 일련의 비난이 제기되었다. 동시에, 장제스 부자는 우궈전의 측근들을 정부에서 해임하려 했다. 그들은 또한 공식적으로 우궈전을 국민당에서 제명했다.[5] 아들이 타이완을 떠난 후, 우궈전은 국민당 정부에 심각한 문제가 있다고 비판하기 시작했다. 같은 해, 우궈전은 ''룩'' 잡지에 "당신의 돈은 타이완에 경찰 국가를 건설하고 있다"는 제목의 기사를 썼다.[6] 우궈전과 장제스 정권 사이의 설전은 더욱 격화되었으며, 중화민국 국민대회에서 그에 대한 결의안이 통과되기도 했다. 1954년 후반, 미국에 있던 후스와 우궈전 사이에서도 설전이 벌어졌다.당시 미국은 타이완 정부와 동맹을 맺으려 시도하고 있었다. 따라서 경찰 국가에 맞서 싸운다는 생각은 미국의 주요 의제에서 벗어나 있었다. 그의 글에 대한 미국의 반응이 없자, 우궈전은 미국에서 조지아주 사바나에 있는 암스트롱 애틀랜틱 주립 대학교에서 중국사 교수로 재직했다. 미국에 머무는 동안, 그는 저서 ''중국의 유산''에서 신화와 초기 역사의 맥락에서 중국 문화를 상세하게 분석하는 등 다양한 저술 활동을 했다.
6. 2. 반국민당 활동과 언론 기고
타이베이로 중국국민당 정부가 이전한 후, 우궈전은 1949년부터 1953년까지 타이완 성장을 역임했다. 우궈전은 타이완 사람들에게 더 많은 자치권을 부여하려 노력하여, 일부 지방 관료를 민선으로 선출하도록 했다. 또한, 그는 천이를 비판하는 사람들을 정부에 참여시켰고, 경찰의 잔혹 행위를 줄이려 노력했다. 그러나 우궈전은 장징궈와 천청을 포함한 국민당 내 많은 보수파의 반대에 직면했다.우궈전과 장징궈 간의 갈등은 악화되었다. 우궈전은 장제스에게 사임서를 제출했지만 거부당했다. 1952년 4월, 우궈전을 겨냥한 암살 시도가 있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1953년 4월, 그는 성장직에서 사임했으며, 5월 24일 "강연 투어"를 핑계로 급히 타이완을 떠났다. 우궈전의 가족은 미국으로 떠났지만, 아들 한 명은 장제스 부자에 의해 떠나는 것이 허락되지 않았다. 1954년, 타이완에서 우궈전의 부패를 주장하는 일련의 비난이 제기되었다. 동시에, 장제스 부자는 우궈전의 측근들을 정부에서 해임하려 했다. 그들은 또한 공식적으로 우궈전을 국민당에서 제명했다.[5] 아들이 타이완을 떠난 후, 우궈전은 그가 보기에 국민당 정부에 심각한 문제가 있다고 비판하기 시작했다. 같은 해, 우궈전은 ''룩'' 잡지에 "당신의 돈은 타이완에 경찰 국가를 건설하고 있다"는 제목의 기사를 썼다.[6] 우궈전과 장제스 정권 사이의 설전은 더욱 격화되었으며, 중화민국 국민대회에서 그에 대한 결의안이 통과되기도 했다. 1954년 후반, 미국에 있던 후스와 우궈전 사이에서도 설전이 벌어졌다.
당시 미국은 타이완 중앙 정부와 동맹을 맺으려 시도하고 있었다. 따라서 경찰 국가에 맞서 싸운다는 생각은 미국의 주요 의제에서 벗어나 있었다. 그의 글에 대한 미국의 반응이 없자, 우궈전은 미국에서 조지아주 사바나에 있는 암스트롱 애틀랜틱 주립 대학교에서 중국사 교수로 재직했다.
6. 3. 학자로서의 활동
우궈전은 중국국민당 정부가 타이베이로 이전한 후, 1949년부터 1953년까지 타이완성 장관을 역임했다. 그는 타이완 국민들에게 더 큰 자치권을 부여하려 노력하여, 일반 투표를 통해 특정 지방 공무원들을 선출하도록 허용하였다. 또한 천이를 비판하는 사람들을 정부에 참여시켰고, 경찰의 만행을 줄이려고 노력했다. 그러나 우궈전은 장징궈와 천청을 포함한 국민당 정부의 많은 보수파 의원들의 반대에 직면했다. 그의 자유주의적 민주주의 사상은 공산당원들의 침입이라는 중대한 시기와는 맞지 않았다.장징궈와 우궈전의 갈등은 더욱 악화되었다. 그는 장제스에게 사임서를 제출하였으나 거절되었다. 1952년 4월 우궈전을 표적으로 한 암살 혐의가 의심되었다. 1953년 4월 그는 타이완성 장관직에서 사임하였고, 5월 24일 "강의 순회"를 이유로 급히 타이완을 떠났다. 장제스 부자에 의해 출국이 허용되지 않은 아들 한 명을 제외한 우궈전의 가족은 미국으로 떠났다. 1954년 우궈전의 부패를 주장하는 비난이 타이완에서 일어났다. 동시에 장제스 부자는 정부에서 우궈전의 동료들을 해고시켰다. 그들은 또한 공식적으로 우궈전을 국민당에서 제명하였다.[5] 아들이 타이완을 떠난 후, 우궈전은 국민당 정부의 심각한 문제들을 비판하기 시작하였다. 같은 해, 그는 "당신의 돈은 타이완에 경찰 국가를 건설하고 있다."라는 제목의 ''룩'' 잡지에 기사를 썼다.[6] 중화민국 국회에서 그에 대한 결의안이 통과되는 등 우궈전과 장제스 정권 사이의 대립은 더욱 심화되었다. 1954년 후반에는 우궈전과 당시 미국에 있던 후스 사이에도 갈등이 있었다.
당시 미국은 타이완 중앙 정부와 동맹을 맺으려 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경찰 국가에 맞서 싸운다는 생각은 미국의 우선 순위에서 낮았다. 그의 글에 미국의 응답이 없자, 우궈전은 조지아주 서배너에 있는 암스트롱 애틀랜틱 주립 대학교에서 중국사 교수로 지냈다. 미국에서 그는 ''중국의 유산''에서 초기 역사와 신화의 맥락에서 중국 문화를 상세히 분석하는 등 다양한 저술 활동을 했다.
우궈전은 주로 자유주의적인 현대 타이완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고 국민당원의 전형적인 반공주의 신념으로 기억되지만, 그는 또한 용감한 반국민당 수사와 러시아식 장징궈와의 격렬한 불화로 기억되기도 한다. 대만 철수 이후 국민당에는 친미 자유주의자들이 있었지만, 장징궈가 당, 군, 행정 권력을 장악하면서 우궈전이나 왕스지에와 같은 친미적 요소들은 축출되었다.[7]
7. 유산
우궈전은 자유주의적인 현대 타이완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는 국민당 구성원으로서 전형적인 반공주의 신념을 가지고 있었지만, 동시에 국민당에 대한 과감한 비판과 장징궈와의 격렬한 갈등으로도 기억된다. 대만 철수 이후 국민당 내에는 왕스지에와 같은 친미, 자유주의 인사들이 존재했으나, 장징궈가 당, 군, 행정 권력을 장악하면서 이들은 축출되었다.[7]
우궈전은 미국에서 조지아주 사바나에 있는 암스트롱 애틀랜틱 주립 대학교에서 중국 역사 교수로 재직하며 저술 활동을 했다. 그의 저서 ''중국의 유산''에서는 신화와 초기 역사를 바탕으로 중국 문화를 상세히 분석했다.
참조
[1]
뉴스
GRINNELL BESTOWS DEGREE ON K. C. WU
https://www.nytimes.[...]
1953-06-08
[2]
웹사이트
Lowcountry NOW: Obituaries - Obituaries for August 25, 2002 08/25/02
http://www.lowcountr[...]
Savannah Morning News
2002-08-25
[3]
잡지
Man on the Dike
http://www.time.com/[...]
1950-08-07
[4]
웹사이트
Guest Bedrooms
http://www.cantignyp[...]
[5]
뉴스
Taiwan in Time: War of words across the Pacific
http://www.taipeitim[...]
2017-03-12
[6]
서적
Formosa Betrayed
Houghton Mifflin
[7]
서적
The Nation: Volume 190
Nation Company
1955
[8]
문서
顔(2002)、116頁。
[9]
문서
徐主編(2007)、624頁。
[10]
문서
劉国銘主編(2005)、1043頁。
[11]
문서
顔(2002)、116-117頁。
[12]
문서
顔(2002)、117頁。
[13]
문서
顔(2002)、117-118頁。
[14]
문서
顔(2002)、118-119頁。
[15]
문서
顔(2002)、119-120頁。
[16]
문서
顔(2002)、120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