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황금의 자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황금의 자유는 16세기부터 18세기까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에서 시행된 독특한 정치 체제이다. 이 체제는 귀족인 슐라흐타가 강력한 권력을 행사하고 국왕의 권한은 제한적인 특징을 보였다. 황금의 자유는 국왕 자유 선거, 세임(하원 의회), 팍타 콘벤타(국왕과의 계약), 로코슈(저항권), 리베룸 베토(자유 거부권), 콘페데라치아(정치 연맹) 등의 원칙을 기반으로 했다. 긍정적으로는 민주주의, 입헌 군주제, 연방제의 선구로 평가받았지만, 부정적으로는 귀족 중심의 정치로 소작농과 도시민을 배제하고 국가의 쇠퇴를 초래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벨라루스의 법제사 - 1791년 5월 3일 헌법
    1791년 5월 3일 헌법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위기 극복을 위해 제정된 헌법으로, 계몽주의 사상을 반영하여 국민 주권, 삼권 분립, 양원제 의회를 확립하고 사회 개혁을 지향했으며, 폴란드 민족에게 큰 영향을 미친 세계사적으로 두 번째 근대적인 성문 헌법으로 평가받는다.
  • 폴란드의 법제사 - 마그데부르크법
    마그데부르크법은 중세 마그데부르크에서 발전하여 중앙 유럽 도시 운영 및 상업 활동에 영향을 미친 도시법으로, 특히 폴란드와 리투아니아에서 널리 시행되어 도시 귀족 형성에 기여하고 일부 지역에서는 다른 법 체계로 전환되기도 했다.
  • 폴란드의 법제사 - 1791년 5월 3일 헌법
    1791년 5월 3일 헌법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위기 극복을 위해 제정된 헌법으로, 계몽주의 사상을 반영하여 국민 주권, 삼권 분립, 양원제 의회를 확립하고 사회 개혁을 지향했으며, 폴란드 민족에게 큰 영향을 미친 세계사적으로 두 번째 근대적인 성문 헌법으로 평가받는다.
  • 리투아니아의 법제사 - 1791년 5월 3일 헌법
    1791년 5월 3일 헌법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위기 극복을 위해 제정된 헌법으로, 계몽주의 사상을 반영하여 국민 주권, 삼권 분립, 양원제 의회를 확립하고 사회 개혁을 지향했으며, 폴란드 민족에게 큰 영향을 미친 세계사적으로 두 번째 근대적인 성문 헌법으로 평가받는다.
  • 리투아니아의 법제사 - 헨리크 조항
    헨리크 조항은 1573년 폴란드-리투아니아 귀족이 왕권 견제를 위해 제정한 문서로, 왕의 권한을 제한하고 귀족의 권리를 보장하며 국왕 선출 방식, 원로원의 역할, 종교적 자유 등을 규정했다.
황금의 자유
지도
기본 정보
명칭황금의 자유
로마자 표기Hwanggeum-ui Jayu
원어 명칭Aurea Libertas (라틴어), Złota Wolność (폴란드어), Auksinė laisvė (리투아니아어)
관련 명칭제1공화국
별칭슐라흐타 공화국
개요
유형정치 체제
국가폴란드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역사
시기16세기 ~ 18세기
관련 사건니힐리 오브스타트 원칙 등장
특징
주요 특징왕의 선출 권한을 슐라흐타에게 부여
세임 (의회)를 통한 법률 제정
니힐리 오브스타트를 통한 소수 의견 존중 (사실상 마비 초래)
긍정적 평가귀족 민주주의의 발전
부정적 평가정치적 불안정 야기
국력 약화 초래
주변국의 간섭 심화

2. 발전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정치 체제는 유럽의 다른 국가들과는 다른 독특한 체제였다. 이 체제는 단순하게 정의하기 어려우며, 다음과 같은 여러 정치 모델이 혼합된 형태로 볼 수 있다.


  • 국가 연합과 연방: 자치 지역이 넓게 퍼져 있었기 때문에 국가 연합과 연방의 성격을 모두 가지고 있었다.
  • 과두제: 참정권을 가진 슐라흐타 계층은 인구의 약 10%에 불과했기 때문에 소수 지배 체제라는 특징이 있었다.[34]
  • 민주주의: 모든 슐라흐타는 동등한 권리와 특권을 누렸으며, 세임은 입법, 외교, 전쟁 선포, 과세 등 중요한 문제에 대해 국왕에게 반대 의사를 표현할 수 있었다. 당시 유럽 다른 국가들과 비교했을 때, 연방은 상대적으로 높은 참정권 비율(약 10%)을 보였다.
  • 선거 군주제: 슐라흐타에 의해 선출된 국왕이 국가 원수였기 때문에 세습 군주제가 아닌 선거 군주제의 특징을 보였다.
  • 입헌 군주제: 군주는 페크타 콘벤타와 기타 법률에 의해 제약을 받았으며, 슐라흐타는 국왕의 부당한 행위에 대해 저항할 권리를 가졌다.

2. 1. 핵심 원칙

이 정치 체제는 귀족 신분인 슐라흐타가 도시민, 상공업자인 부르주아지 및 법조인 등 기타 여러 신분계층과 국왕을 정치에서 배제시킬 수 있을 정도로 강력했다. 슐라흐타는 미하일 노비 법령(Nihil novi, 1505년), 헨리크왕의 조항(1573년)과 이후 맺어진 수많은 페크타 콘벤타(Pacta conventa, 선출 시에 이루어진 국왕과 귀족 간의 계약)를 통해 여러 특권을 얻었고, 군주가 그들의 특권에 손대는 일은 결코 용서하지 않았다. 이 연합 공화국의 정치 원칙은 "우리들 국가는 국왕의 감독하에 있는 공화국이다"라는 것이었다. 재상 얀 자모이스키는 이 원칙을 "국왕은 군림하지만, 통치하지 않는다"(Rex regnat et non gubernat)라고 요약하였다.[1]

국가의 정점에는 선거를 통해 선택된 국왕, 상원, 그리고 막강한 권력을 갖추고 있던 세임의 3자가 있었다. 국왕에게는 헨리크 조항과 선출 시에 맺어지는 페크타 콘벤타에 의해, 시민(슐라흐타)의 권리를 존중하는 것이 의무였다. 국왕은 거대 세력인 귀족층의 의향에 따라 그 권력을 매우 제한받았다. 역대 국왕은 폴란드 정치 시스템의 근간(그리고 대략 확립된 것이라고는 말하기 어려운 종교적 관용의 근간)을 보더라도, 헨리크 조항을 승인하는 것은 어쩔 수 없었다. 이후 헨리크 조항은 페크타 콘벤타의 내용과 합쳐져, 국왕 선출 시 중요한 맹약 중 하나가 되었다.

"황금의 자유"(Złota Wolność|즈워타 볼노시치pl, 1573년부터 사용되기 시작했다)의 정치 시스템은 이하의 원칙을 기초로 하고 있다.

  • 국왕 자유선거(free election) – 국왕은 투표를 희망하는 모든 슐라흐타에 의한 자유 선거에 의해 선택된다.
  • 세임(Sejm;하원의회) – 의회인 세임은 국왕에 의해 2년에 한 번 소집된다.
  • 페크타 콘벤타(pacta conventa(라틴어), 의회에 관련된 계약) – 즉위 시 국왕과 귀족(국정참가자) 사이에서 맺어진 계약. 여러 권리의 청원도 이루어진다. 국왕의 정치 행동을 속박하고, 헨리크 조항에 기원을 두고 있다.
  • 로코슈(rokosz, 저항권(insurrection))-슐라흐타는 그들이 보장받은 여러 특권이 국왕에 의해 위협받는 상황에서는 반란을 일으키는 것을 법적으로 인정받는다.
  • 리베룸 베토(liberum veto(라틴어), 자유거부권) – 여러 개의 지방 대표가 세임의 결의에 대해 다수파의 의견에 반대할 수 있는 권리. 세임의 회기 중 모든 법안을 폐기할 수 있는 무제한 거부권이라는 뉘앙스로 이야기되는 일이 많다. 17세기 후반 위기의 시대에 들어서 리베룸 베토는 지방 의회에 있던 세이미크(sejmiks)에게도 적용되었다.
  • 콘페데라치아(konfederacja, 라틴어 confederatio에서 유래, 정치 연맹) – 공통의 정치 목적을 위해 단체(정당 및 회파)를 결성할 수 있는 권리.

3. 정치 체제의 성격

이 정치 체제는 귀족 신분인 슐라흐타가 도시민, 상공업자인 부르주아 및 법조인 등 기타 여러 신분계층과 국왕을 정치에서 배제시킬 수 있을 정도로 강력했다. 슐라흐타는 미하일 노비 법령(Nihil novi, 1505년), 헨리크 조항(1573년), 그리고 그 후에 맺어진 수많은 페크타 콘벤타(선출 시에 이루어진 국왕과 귀족 간의 계약)를 통해 여러 가지 특권을 계속 얻어냈고, 군주가 그들의 특권에 손대는 일은 결코 용서하지 않았다. 이 연합 공화국의 정치 원칙은 "우리들 국가는 국왕의 감독하에 있는 공화국이다"라는 것이다. 재상 얀 자모이스키는 이 원칙을 "국왕은 군림하지만, 통치하지 않는다"(Rex regnat et non gubernat)라고 요약하였다.[1]

국가의 정점에 있는 것은 선거를 통해 선택된 국왕, 상원, 그리고 막강한 권력을 갖추고 있던 세임의 3자였다. 국왕에게는 헨리크 조항과 선출 시에 맺어지는 페크타 콘벤타에 의해, 시민(슐라흐타)의 권리를 존중하는 것이 의무가 되었다. 국왕은 거대 세력인 귀족층의 의향에 따라 그 권력을 매우 제한받았다. 역대 국왕은 폴란드 정치 시스템의 근간(그리고 대략 확립된 것이라고는 말하기 어려운 종교적 관용)을 이루는 헨리크 조항을 승인해야 했다. 이후 헨리크 조항은 페크타 콘벤타의 내용과 합쳐져, 국왕 선출 시 중요한 맹약 중 하나가 되었다.

"황금의 자유"(이 말은 야기에우워 왕조 단절 직후 1573년부터 사용되기 시작했다)의 정치 시스템은 이하의 원칙을 기초로 하고 있다.


  • 국왕 자유선거 – 국왕은 투표를 희망하는 모든 슐라흐타에 의한 자유 선거로 선택된다.
  • 세임(하원 의회) – 의회인 세임은 국왕에 의해 2년에 한 번 소집된다.
  • 페크타 콘벤타 – 즉위 시 국왕과 귀족(국정 참가자) 사이에서 맺어진 계약. 여러 권리의 청원도 이루어진다. 국왕의 정치 행동을 속박하고, 헨리크 조항에 기원을 두고 있다.
  • 로코슈(저항권) - 슐라흐타는 그들이 보장받은 여러 특권이 국왕에 의해 위협받는 상황에서는 반란을 일으키는 것을 법적으로 인정받는다.
  • 리베룸 베토(자유 거부권) – 여러 개의 지방 대표가 세임의 결의에 대해 다수파의 의견에 반대할 수 있는 권리. 세임 회기 중 모든 법안을 폐기할 수 있는 무제한 거부권이라는 뉘앙스로 이야기되는 일이 많다. 17세기 후반 위기의 시대에 들어서 리베룸 베토는 지방 의회에 있던 세이미크에게도 적용되었다.
  • 콘페데라치아(정치 연맹) – 공통의 정치적 목적을 위해 단체(정당 및 회파)를 결성할 수 있는 권리.


공화국의 정치 시스템에는 단순한 범위를 적용하기 어렵고, 여러 가지 모델을 당시 상황에 맞춰 설명했기 때문에 통일적인 견해는 없다.

  • 공화국의 성격에 관련해 국가 연합, 연방, 2국가 각자의 자치 체제(말하자면 양국의 지위는 대등) 중 어떤 것이었는가 문제였다. 공화국을 3개 중 어느 하나로 판단하기는 매우 어렵다.
  • 과두제[34]: 슐라흐타들이 참정권을 갖고 있더라도 그들의 계층은 인구의 약 10%만을 점유하고 있기 때문에 소수에 의한 지배라는 이미지가 있다.
  • 모든 슐라흐타에게 대등한 권리와 특권이 내려진 민주 정치: 그들의 뿌리인 세임이 입법, 외교, 선전 포고, 과세(기존의 세제 변경, 새로운 세제의 제정)라는 중요한 사항에 대해 국왕에게 반대 의사를 내비칠 수 있다. 연방은 당시 유럽 여러 나라 중에 가장 높은 약 10% 참정권자를 갖고 있었다. 프랑스에서는 1831년 시점에서 인구의 약 1%, 1867년의 영국에서는 약 3%에게만 참정권이 주어진 것에 지나지 않았던 것과 비교해 매우 대조적이다.
  • 선거 군주제: 슐라흐타에 의해 선출된 국왕, 말하자면 세습 군주가 아닌 국왕이 국가의 수장이라는 점.
  • 입헌 군주제: 군주가 페크타 콘벤타 및 기타 법률에 의해 계약되어, 슐라흐타는 국왕이 법적으로 부정한 행위를 한 경우 따를 의무가 없다고 한다.

4. 평가

"황금의 자유"는 평가에 있어 많은 논쟁거리가 있는 독특한 정치 시스템이다. 유럽 주요 국가에서 절대 왕정이 지배적이던 시대에, 강력한 귀족의 지배와 약화된 왕권이라는 예외적인 특징을 보였으며, 어떤 면에서는 근대적 가치와 유사한 요소를 갖추고 있었다.[28] 중앙 집권화, 절대주의, 종교 전쟁, 왕조 간 다툼이 유럽을 휩쓸 때,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은 지방 분권[34], 국가 연합연방제, 민주주의, 종교적 관용, 심지어 평화주의까지 경험했다. 슐라흐타가 국왕의 전쟁 계획을 번번이 무산시킨 것은 민주적 평화론[29]과 관련하여 주목할 만하다.

타르고비차 연맹의 수령 스타니스와프 슈체스니 포토츠키의 초상화를 화형하는 모습 (바르샤바, 1794년). 얀 표트르 노르블린 그림


"황금의 자유"는 민주제[30], 입헌 군주제[31][32][33], 연방제[34]의 선구적 존재로 평가받기도 한다. 슐라흐타는 저항권, 사회 계약, 개인의 자유, 합의에 기초한 정치, 독립심을 중시했는데, 이는 근대 자유주의 민주 정치[28]의 개념과 유사하다. 19-20세기 자유 민주주의자들처럼, 슐라흐타는 국가 권력에 대한 불안감을 가졌고, 권위주의[36]에 강하게 반대했다.[36]

폴란드 "귀족 민주주의자"와 가장 유사한 사례는 미국 남부의 노예 소유 "귀족"들이다. 조지 워싱턴, 토머스 제퍼슨 등 미국 독립의 아버지들은 폴란드 개혁파 슐라흐타들과 많은 가치관을 공유했다.[37]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이 1791년 세계에서 두 번째 성문 헌법인 5월 3일 헌법을 제정한 것은 우연이 아니다.[38]

그러나 "황금의 자유"는 귀족에게만 혜택이 돌아가고 소작농과 도시민은 배제되었다는 비판도 있다.[39] 인구 대다수는 법적 자유를 보장받지 못하고 귀족의 횡포에서 보호받지 못해 도시 발전이 정체되고 농노제가 일반화되었다.[40] 후대에는 "귀족의 천국, 유대인의 낙원, 농민의 지옥"[41]이라는 비판도 있었으나, 이에 대한 검증은 충분하지 않다. 슐라흐타 자신도 대귀족(마그나트)에게 종속되어 자유를 빼앗기기도 했다.[39][42]

"황금의 자유"는 극단적인 경우 "내전과 침략, 국가 약화와 우유부단, 애국심 결여"를 초래했다는 비난을 받는다.[43] 절대주의국민 국가라는 "근대적" 정치 시스템을 구축하지 못하고 리베룸 베토[42]를 반복하며 쇠퇴, 무정부 상태에 빠졌다. 슐라흐타 대다수는 자신들이 완벽한 체제에 산다고 믿었고, 일부만이 "황금의 자유"와 사르마티즘에 의문을 제기했으나 너무 늦었다.[44] 슐라흐타는 상비군 강화와 세금 납부를 거부했고,[45][46] 마그나트는 외세와 결탁해 정치 시스템을 마비시켰다.[47] 결국, 군사력과 효율성(관료제)을 갖춘 주변 절대주의 국가들에 의해 분할되어 병합되었다.[33][48]

4. 1. 긍정적 평가

"황금의 자유"는 유럽 주요 국가들에서 절대 왕정이 지배적이었던 시대에, 강력한 귀족의 지배와 약화된 왕권이라는 특징을 가진 독특한 정치 시스템이었다. 이는 몇 가지 근대적 가치와 유사한 요소를 갖추고 있었다.[28] 유럽이 중앙 집권화, 절대주의, 종교 전쟁 및 왕조 간 다툼에 직면했을 때,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은 지방 분권[34], 국가 연합연방제, 민주주의, 종교적 관용, 심지어 평화주의까지 경험했다. 슐라흐타가 국왕의 전쟁 계획을 자주 폐기한 것은 민주적 평화론과 관련된 논의로도 이어진다.[29]

이러한 "황금의 자유" 시스템은 민주제[30], 입헌 군주제[31][32][33], 연방제[34]의 선구적 존재로 평가받기도 한다. 공화국의 시민이었던 슐라흐타는 저항권, 사회 계약, 개인의 자유, 합의에 기초한 정치 운영, 독립심 존중과 같은 가치를 칭송했다. 이는 근대에 널리 보급된 자유주의 민주 정치[28]의 개념과 유사했다. 19-20세기의 자유 민주주의자들처럼, 슐라흐타는 국가 권력에 대해 강한 불안감을 느꼈고, 폴란드 귀족은 국가의 권위주의[36]에 강하게 반대했다.

폴란드의 "귀족 민주주의자"와 가장 비슷한 사람들은 유럽이 아닌 미국 남부의 노예 소유 "귀족"들 사이에서 찾을 수 있다. 조지 워싱턴, 토머스 제퍼슨 등 미국 독립의 아버지들은 귀족 공화국의 개혁파 슐라흐타들과 많은 가치관을 공유했다.[37] 근대사에서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이 1791년 세계에서 두 번째 성문 헌법인 5월 3일 헌법을 제정한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었다.[38]

4. 2. 부정적 평가

"황금의 자유"는 그 수혜자가 귀족 (슐라흐타)에 한정되어 소작농과 도시민은 배제되었다는 비판을 받는다.[39] 인구 대다수를 차지하는 이들은 법적 자유를 보장받지 못했고, 귀족의 횡포로부터 보호받지도 못해 도시 발전은 정체되고 지방에서는 농노제가 일반화되었다.[40] 후대 사람들은 당시 폴란드를 "귀족의 천국, 유대인의 낙원, 농민의 지옥"[41]이었다고 비판적으로 평가하기도 한다. 이러한 평가는 충분히 검증되지 않았지만, 슐라흐타 자신도 대귀족(마그나트)에게 종속되어 자유를 빼앗기는 경우가 있었다.[39][42]

"황금의 자유"는 극단적인 상황에서 "내전과 침략, 국가의 약체화와 우유부단함, 애국심 결여"를 초래했다는 비난을 받기도 한다.[43] 절대주의국민 국가라는 "근대적" 정치 시스템을 구축하지 못하고, 리베룸 베토[42]를 반복하며 쇠퇴하여 무정부 상태에 빠졌다. 슐라흐타 대다수는 자신들이 완벽한 체제에 살고 있다고 믿었고, 일부만이 "황금의 자유"와 사르마티즘에 의문을 제기했지만, 너무 늦은 시기였다.[44] 슐라흐타는 근대적인 상비군과 그 강화를 위한 세금 납부를 거부했고,[45][46] 마그나트는 여러 나라와 결탁하여 공화국 정치 시스템을 마비시켰다.[47] 결국, 공화국은 군사력과 효율성(관료제)을 갖춘 주변 국가들에 대항하지 못하고,[47] 18세기 후반 주변 절대주의 국가들에 의해 분할되어 병합되었다.[33][48]

5. 유사한 시스템

황금의 자유는 동시대 세계에서 유래를 찾을 수 없는 국가 체제를 출현시켰으나, 베네치아 공화국[49]과 같은 도시국가의 정치 시스템과 몇 가지 비슷한 부분이 있었다. 흥미로운 것은 양쪽 모두 "가장 고귀한 공화국"(Most Serene Republic)[50]을 자칭했던 것이다. 폴란드의 정치 제도에서 가장 큰 (그리고 당시로서는 유일하다고 할 수 있는) 결함이었던 리베룸 베토를 채택하지 않았던 이탈리아의 도시 국가들은 폴란드와 같은 운명을 겪지 않았다. 프랑스와 스페인, 그리고 로마 교황은 이탈리아를 분할하려는 논의에 들어갈 수 없었다. 이들 국가들은 합스부르크 가문의 지배에 대항하여 사르데냐 왕국1861년 이탈리아를 통일해 국민 국가를 창설할 때까지 위태로운 존재였다.[25] [26]

이탈리아는 비슷한 운명을 피했다. 처음에는 프랑스와 스페인 국왕, 그리고 교황청이 이탈리아를 분할하는 문제에 합의하지 못했고, 그 다음에는 합스부르크 지배에 대한 반발이 일어났기 때문이다. 1861년까지 이탈리아의 대부분의 국가들은 사보이 왕가의 사르데냐 국왕이었던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를 국왕으로 하는 국민 군주제를 지지하게 되었다.

특히 베네치아 공화국이나 이탈리아에는 제도적으로 ''리베룸 베토''가 존재하지 않았다.

참조

[1] 서적 A History of Western Public Law: Between Nation and State 2014
[2] 학술 논문 The Polish Nobility's "Golden Freedom": On the Ancient Roots of a Political Idea https://zenodo.org/r[...] 2015
[3] 서적 God's Playground. A History of Poland Oxford University Press
[4] 서적 God's Playground: A History of Poland in Two Volumes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5] 서적 The Northern Wars: War, State and Society in northeastern Europe, 1558–1721 Longman's 2000
[6] 서적 Polish Liberal Thought https://books.google[...]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2001
[7] 서적 The Transformation of European Politics 1763–1848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8] 서적 Constitution-Making in the Region of Former Soviet Dominance https://books.google[...] Duke University Press 1997
[9] 서적 Democratic Government in Poland: Constitutional Politics Since 1989 https://books.google[...] Palgrave 2002
[10] 서적 Development of Class Structure in Eastern Europe: Poland and Her Southern Neighbors https://books.google[...] SUNY Press 1998
[11] 서적 God's Playground: A History of Poland in Two Volum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12] 서적 Liberalism After Communism https://books.google[...] Central European University 1995
[13] 서적 God's Playground: A History of Poland in Two Volumes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14] 서적 Monarchies, States Generals and Parliament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15] 웹사이트 The Causes of Slavery or Serfdom: A Hypothesis http://www.j-bradfor[...] 2007-12-15
[16] 서적 God's Playground: A History of Poland in Two Volum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17] 서적 A Concise History of Poland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18] 서적 A History of Russi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9] 서적 Michał Bobrzyński (1849-1935)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06
[20] 서적 God's Playground: A History of Poland in Two Volumes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21] 서적 The Great Globe Itself: A Preface to World Affairs https://books.google[...] Transaction Publishers 2005
[22] 서적 The Political Writings of John Adams https://books.google[...] Regnery Gateway 2001
[23] 서적 The Military Revolution and Political Change: Origins of Democracy and Autocracy in Early Modern Europe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2
[24] 서적 Republicanism: A Shared European Heritag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25] 서적 Najaśniejsza Republika Wenecka Książka i Wiedza 1972
[26] 서적 Notes on Life and Letters: Notes on Life and Letter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27] 서적 A History of Russi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8] 서적 God's Playground: A History of Poland in Two Volumes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29] 서적 The Northern Wars: War, State and Society in northeastern Europe, 1558–1721 Longman's 2000
[30] 서적 Polish Liberal Thought http://books.google.[...]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2001
[31] 서적 The Transformation of European Politics 1763–1848 http://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32] 서적 Constitution-Making in the Region of Former Soviet Dominance http://books.google.[...] Duke University Press 1997
[33] 서적 Democratic Government in Poland: Constitutional Politics Since 1989 http://books.google.[...] Palgrave 2002
[34] 서적 Development of Class Structure in Eastern Europe: Poland and Her Southern Neighbors http://books.google.[...] SUNY Press 1998
[35] 서적 God's Playground: A History of Poland in Two Volumes http://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36] 서적 Liberalism After Communism http://books.google.[...] Central European University
[37] 서적 God's Playground: A History of Poland in Two Volumes Oxford University Press
[38] 서적 Waves of Democracy http://books.google.[...]
[39] 서적 Monarchies, States Generals and Parliaments http://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0] 웹사이트 The Causes of Slavery or Serfdom: A Hypothesis http://www.j-bradfor[...] 2007-12-15
[41] 서적 A History of Russia http://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42] 서적 A Concise History of Poland http://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3] 서적 Michał Bobrzyński (1849-1935) http://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44] 서적 God's Playground: A History of Poland in Two Volumes Oxford University Press
[45] 서적 The Great Globe Itself: A Preface to World Affairs http://books.google.[...] Transaction Publishers
[46] 서적 The Political Writings of John Adams http://books.google.[...] Regnery Gateway
[47] 서적 The Military Revolution and Political Change: Origins of Democracy and Autocracy in Early Modern Europe http://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48] 서적 Republicanism: A Shared European Heritage http://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9] 서적 Najaśniejsza Republika Wenecka Książka i Wiedza
[50] 서적 Notes on Life and Letters: Notes on Life and Letters http://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