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헤브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헤브론은 고대 가나안의 수도였으며, 현재 요르단강 서안 지구에 위치한 도시이다. 성경에는 '키럇아르바'로 등장하며, 이스라엘의 조상 아브라함이 거주했던 곳이자, 다윗 왕이 예루살렘으로 수도를 옮기기 전까지 약 7년 동안 수도로 삼았던 곳이다. 이후 이슬람 세력의 지배를 받다가 십자군, 오스만 제국, 영국의 지배를 거쳐, 1967년 제3차 중동 전쟁 이후 이스라엘에 점령되었다. 현재는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와 이스라엘 군이 분할 통치하고 있으며, 족장들의 무덤, 아브라함 아비누 시나고그 등 다양한 종교 유적과 2017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헤브론 구시가지가 있다. 헤브론은 팔레스타인의 주요 상업 및 산업 중심지이며, 석재, 대리석, 신발, 유리 제품 생산으로 유명하다.

2. 역사

비잔티움 제국의 지배를 받았지만 638년 정통 칼리파가 이끄는 군대에게 정복되면서 이슬람 세력의 통치를 받게 되었고, 교회는 모스크로 바뀌었다. 1099년 십자군에게 정복되었지만 1187년 살라딘이 이끄는 군대가 탈환했다. 16세기 오스만 제국에 편입되었고, 1917년 영국의 위임통치령에 편입되었다. 1929년 아랍인들이 유대인 67명을 학살한 사건이 일어나면서 많은 유대인들이 헤브론을 떠났다. 1948년 이스라엘 건국 이후 요르단의 영토가 되었지만, 1967년 제3차 중동 전쟁(6일 전쟁) 때 이스라엘에 점령되어 병합되었고, 키리아트아르바 정착촌이 건설되면서 유대인들이 이주하기 시작했다.

1980년 5월 2일 정통파 유대교 학생 6명이 사망하고 16명이 부상을 입은 사건이 발생했고, 1994년 2월 25일에는 과격파 유대인 청년이 일으킨 막벨라 동굴 총기 난사 사건으로 29명이 사망하고 125명이 부상을 입었다. 1995년 9월 28일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가 관할하는 도시가 되었고, 1997년 1월 17일 헤브론 협정에 따라 시 전체 면적의 80%는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 소속 치안부대가, 나머지 20%는 이스라엘군이 관할하게 되었다.

헤브론은 7세기 이슬람 침략 당시 팔레스타인에서 마지막으로 함락된 도시 중 하나였으며, 아랍 정복 전승에는 헤브론이 언급되지 않았다.[56] 638년 라시둔 칼리파국이 헤브론을 지배하면서 무슬림들은 아브라함의 무덤 자리에 있던 비잔틴 교회를 모스크로 개조했다.[54] 헤브론은 이집트에서 출발하는 대상 무역로의 중요한 중계지이자, 다마스쿠스에서 매년 하즈 순례를 하는 순례자들을 위한 중간 기착지였다.[57] 우마르 칼리프는 유대인들이 돌아와 헤로데 왕궁 안에 작은 회당을 건설하는 것을 허락했다.[58]

움마이야 칼리파국 시대, 가톨릭 주교 아르쿨프는 헤브론을 요새가 없고 가난한 도시로 묘사했다. 그의 글에는 헤브론에서 예루살렘으로 땔나무를 운반하는 낙타 대상에 대한 언급이 있는데, 이는 당시 그 지역에 아랍 유목민들이 거주했음을 보여준다.[59] 특히 네게브의 베두인들과 사해 동쪽 지역과의 무역이 크게 확장되었다. 안톤 키사에 따르면, 헤브론과 티레 출신 유대인들이 9세기에 베네치아 유리 산업을 창업했다.[60]

헤브론은 10세기 이전 무슬림 문헌에서 거의 언급되지 않았다.[61] 985년, 알-무카다시는 헤브론을 아브라함 알-할릴의 마을로 묘사하며, 강력한 요새와 아브라함의 무덤 위에 있는 석조 돔을 언급했다.[62] 모스크에는 이삭야곱, 그리고 그들의 아내들의 무덤이 있었다.[62] 그 지역 주변에는 포도와 사과를 생산하는 포도원이 있는 마을들이 있었다.[62] 헤브론에는 가난한 사람과 부유한 사람 모두에게 렌틸콩과 올리브 오일을 제공하는 공공 숙박 시설이 있었는데, 이는 무함마드의 동료 타밈 알-다리의 유산을 통해 설립되었고, 후원금을 풍족하게 받았다.[62] 이 숙박 시설은 이슬람 세계에서 뛰어난 환대와 자선의 집으로 높이 평가받았다.[62] '아브라함의 식탁'으로 알려진 이 관습은 파티마 왕조의 관습과 유사했다.[63] 1047년, 나시르 쿠스로우는 『사파르나마』에서 헤브론을 경건한 목적으로 수입을 제공하는 많은 마을을 가진 곳으로 묘사했다.[64][63] 그는 돌 아래에서 솟아나는 샘과, 그 물이 마을 밖의 지붕이 있는 탱크로 흘러가는 것을 언급했다.[63] 성역은 마을 남쪽 경계에 있으며, 네 벽으로 둘러싸여 있었다.[64] 보리는 주요 작물이었고, 올리브도 풍부했다. 방문객들에게는 빵, 올리브, 올리브 오일에 조린 렌틸콩, 건포도가 제공되었다.[64] 헤브론에는 소와 노새가 운영하는 제분소와 빵을 굽는 여성들이 있었다.[64] 환대는 약 1.5kg의 빵과 모든 도착하는 사람들을 위한 식사를 포함했으며, 특정 날에는 최대 500명의 순례자에게 제공되었다.[63][64]

이러한 전통은 오늘날 타키아트 이브라힘이라는 무료급식소 형태로 남아 있으며, 2024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당시 식량 부족과 겹친 라마단 기간 동안 수천 명에게 식량을 제공했다. 이 시대의 카이로 게니자 문서에는 "족장들의 무덤"이 언급되어 있으며, 헤브론에 조직적인 유대인 공동체가 존재했음을 보여준다. 유대인들은 무덤 근처에 회당을 유지했고, 유대인 순례자와 상인들을 수용하여 생계를 유지했다. 셀주크 제국 시대에, 이 공동체는 "족장들의 무덤의 하베르"로 알려진 사아디아 벤 아브라함 벤 네이선이 이끌었다.[65]

아브라함의 무덤(이브라힘 모스크)이 있는 곳으로, 구약성서에 따르면 이 땅은 아브라함고대 이집트에서 도망쳐 은 400세겔로 처음 얻은 땅이라고 한다. 이 무덤이 있는 막벨라 동굴은 유대교와 이슬람 모두에게 성지로 여겨지며, 건물 내부에서 양분되어 있다.

1948년 이스라엘 건국 이후 요르단의 지배를 받았으나, 1967년 제3차 중동 전쟁에서 이스라엘에 점령되었다. 점령 후, 1929년 아랍인에 의해 추방되었던 유대인 원주민들이 돌아와 교외에 키리야트 아르바 정착지를 건설하였다. 이후 유대인 정착이 계속되었다. 그러나 1980년 6명의 정착민이 팔레스타인인에게 총격을 당한 것을 계기로, 당시 이스라엘 정부는 이브라힘 성전 근처에 사는 팔레스타인인을 추방하고 대신 유대인 정착민을 거주시키는 것으로 보복했다.

1997년 헤브론 협정에 따라 헤브론의 80%는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치안부대가, 20%의 유대인 정착지는 이스라엘군이 관리하기로 합의했다. 최근 유대교 우파 정착민과 팔레스타인 아랍인 주민 사이에 심각한 갈등이 발생하고 있다. 1994년 2월 25일 발생한 막벨라 동굴 학살 사건에서는 유대인 정착민의 테러로 29명의 팔레스타인인이 사망했다. 범인은 현장에서 사살되었지만, 이스라엘 군인의 발포도 있었고(이스라엘 측은 부인), 총 사망자는 50명 또는 60명으로 알려져 있다.

이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권고를 받아 노르웨이 등이 헤브론 임시 국제 감시단(TIPH)을 설립하였다. 국제 사회의 개입을 꺼리는 이스라엘도 이를 수용하여 5월 8일 헤브론에 진출하였다. 헤브론에서는 유대인 정착민에 의한 팔레스타인인을 몰아내려는 폭력과 괴롭힘이 끊이지 않기 때문에, 국제 감시단은 이를 감시하고 억제하는 것이 임무이다. 국제 감시단은 비무장이며 강제력은 없지만, 외부의 눈을 비춤으로써 억제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노르웨이 외에 스웨덴, 덴마크, 스위스, 이탈리아, 터키에서 감시원을 파견하고 있다. 2002년 3월 27일에는 감시원 2명이 살해되었고, 유엔 사무총장은 비난 성명을 발표했다(이스라엘군은 팔레스타인 극단주의자의 소행이라고 주장하지만, 팔레스타인 측은 부인. 로이터 통신이 전하는 병원 관계자의 말에 따르면, 감시원을 살해한 총탄은 이스라엘군의 것이었다고 한다). 2006년에는 무함마드 풍자 만화 게재 문제의 여파로 사무소에 팔레스타인인들의 투석을 받고 일시 피난했다. 2019년 1월 28일, 벤자민 네타냐후 총리는 감시단이 유대인 정착민과 팔레스타인인의 갈등을 선동하고 있다며 임무 연장을 거부하여 감시단은 활동을 중단했다.[313]

2. 1. 고대

가나안의 수도였던 곳이며 성경 창세기에서는 "키럇아르바"(Kiryat Arba, קִרְיַת־אַרְבַּע||he "4개의 도시"라는 뜻)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헤브론은 이스라엘의 조상 아브라함이 살던 곳이다. 아브라함이 가족과 함께 메소포타미아를 떠나 가나안 땅으로 이주한 후, 주로 거주한 곳이 헤브론이다. 연합 이스라엘 왕국의 왕인 다윗예루살렘으로 수도를 옮길 때까지 약 7년 동안 연합 이스라엘 왕국의 수도였던 곳이다. 압살롬(다윗의 넷째아들)은 자신의 아버지인 다윗에 대항하여 반란(압살롬의 난)을 일으켰지만 실패로 끝나고 만다.

기원전 587년 에돔의 지배를 받았지만 기원전 167년 유다 마카베오가 이끄는 군대에게 파괴되었고 제1차 유대-로마 전쟁로마 제국에 정복되었다. 135년 시몬 바르 코크바가 반란을 일으켰지만 실패로 끝났고 이로 인해 많은 유대인들이 노예로 팔려나갔다.

고고학 발굴 조사 결과, 기원전 17세기~18세기에 걸쳐 번영했던 초기 청동기 시대의 텔 루메이다(Tel Rumeida)를 중심으로 약 24~30두남(dunam)에 달하는 강력한 요새의 흔적이 발견되었다.[17][18] 이 도시는 불에 타 파괴되기 전까지 번영했으며, 중기 청동기 시대 후기에 재정착되었다.[17][18] 초기 헤브론은 원래 가나안 왕족 도시였다.[19] 아브라함의 전설은 이 도시를 히타이트(Hittites)와 관련짓는다. 헤브론이 가드(Gath)의 수왈다타(Šuwardata)의 수도였을 것이라는 추측이 있지만, 이는 예루살렘의 섭정 아브디-헤바(Abdi-Ḫeba)와 동시대 인물인 인도유럽인(Proto-Indo-Europeans)과 관련된 주장이다.[20] 하지만 후기 청동기 시대에는 헤브론 언덕에 거의 정착지가 없었다.[21] 헤브론과 관련된 아브라함계 종교(Abrahamic traditions)는 유목적이다. 이는 켄족(Kenite) 요소를 반영할 수도 있는데, 유목민 켄족이 오랫동안 이 도시를 점령했다고 전해지며,[22] "헤베르(Heber)"는 켄족 씨족의 이름이기 때문이다.[23] 후대 히브리 정복 이야기에서 헤브론은 가나안인의 지배 아래 있던 두 중심지 중 하나였다. 그들은 아낙(Anak)의 세 아들(benê/yelîdê hāʿănaq)이 다스렸다.[24] 또는 네게브(Negev)에서 헤브론으로의 켄족(Kenite)과 케니스족(Kenizzite)의 이동을 반영할 수도 있는데, 케니스족과 관련된 용어가 후리어(Hurrian language)와 가까운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이는 아낙족(Anakim) 전설의 배후에 초기 후리인(Hurrian) 인구가 있었음을 시사한다.[25] 성경에는 그들이 네피림(Nephilim)의 후손으로 묘사되어 있다.[26] 창세기는 이 도시가 예전에 키럍 아르바(Kiryat Arba)(Kirjath-arba), 즉 "네 도시"라고 불렸다고 언급하는데, 이는 거기에 묻힌 네 쌍의 부부, 네 부족, 네 구역,[27] 네 개의 언덕,[28] 또는 네 가족의 연합 정착촌을 가리키는 것일 수 있다.[29]

아브라함이 히타이트(Biblical Hittites)로부터 족장들의 무덤(Cave of the Patriarchs)을 구입한 이야기는 이후 유대인들의 땅에 대한 애착의 중요한 요소를 구성한다.[30] 이는 여호수아의 정복 이전 오랜 시간 전에 이스라엘의 최초의 "부동산"을 의미하기 때문이다.[31] 아브라함은 이곳에 정착하면서 최초의 계약(covenant)을 맺었다고 묘사되는데, 이는 그의 바알레 브릿(ba'alei brit) 또는 계약의 주인이 된 두 지역 아모리(Amorite) 씨족과의 동맹이다.[32]



220x220px


이스라엘 사람들의 헤브론은 현재 텔 루메이다(Tel Rumeida)로 알려진 곳을 중심으로 하였고, 그 의식 중심지는 맘레(Mamre)(엘로네이 맘레, Elonei Mamre)에 있었다.[33] 히브리어 성경(Hebrew Bible)에도 이 도시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가나안인들로부터 이 도시를 빼앗은 사람은 여호수아였다고 하는데, 그는 이전의 모든 주민들을 몰살하고 "이스라엘의 하나님 여호와께서 명령하신 대로 숨 쉬는 모든 것을 멸망시켰다"고 한다.[34] 또는 유다 지파(Tribe of Judah) 전체 또는 특히 유다인인 갈렙(Caleb)이었다고 한다.[35] 그러고 나서 도시 자체와 인접한 목초지는 고핫 족(Kohathites) 씨족의 레위 사람들(Levites)에게 주어졌고, 도시의 들판과 주변 마을은 갈렙에게 할당되었다고 한다.[36] 갈렙은 도시를 다스리던 세 거인, 세사이(Sheshai), 아히만(Ahiman), 탈마이(Talmai)를 몰아낸다. 후에 성경 이야기는 다윗 왕(King David)이 하나님의 부름을 받아 헤브론으로 이주하여 약 7년 동안 통치했다고 한다.[37] 거기서 이스라엘 장로들은 하나님 앞에서 그와 계약을 맺고 그를 이스라엘 왕(Kingdom of Israel (united monarchy))으로 기름부었다.[38] 또한 헤브론에서 압살롬(Absalom)이 자신을 왕으로 선포하고 아버지 다윗(David)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다.[39] 헤브론은 유다 지파(Tribe of Judah)의 주요 중심지 중 하나가 되었고, 여섯 개의 전통적인 피난 도시(Cities of Refuge) 중 하나로 분류되었다.

예루살렘 다음으로 유다 왕국(Kingdom of Judah)에서 두 번째로 중요한 도시였던 라기스(Lachish)에서[40] "lmlk Hebron" (헤브론 왕에게)이라는 비문이 새겨진 인장(LMLK seal)이 발견되었는데,[16] 이는 헤브론이 동쪽의 사해(Dead Sea), 북쪽의 예루살렘, 남쪽의 네게브(Negev)와 이집트, 서쪽의 세펠라(Shfela)와 해안 평야(Israeli coastal plain) 사이의 교차로에 위치한 전략적 요충지였기 때문에 중요한 지역 경제 중심지로 계속해서 기능했음을 보여준다.[41] 족장들의 길(Way of the Patriarchs)을 따라 위치한 헤브론은 이 시대에 행정적, 정치적으로 예루살렘에 의존했다.[42]

첫 번째 성전이 파괴된 후, 헤브론(Hebron)의 유대인 주민 대부분은 추방되었고, 일반적인 견해에 따르면,[43] 일부 연구자들은 기원전 5세기~4세기 이후 에돔(Edom)의 흔적을 발견했는데, 이 지역이 아케메네스 제국(Achaemenid Empire)의 속주가 되었기 때문이다.[44] 그리고 알렉산더 대왕(Alexander the Great)의 정복 이후, 헤브론은 헬레니즘 시대(Hellenistic period) 내내 이두메아(Idumea)(페르시아(Persian), 헬레니즘(Hellenistic), 로마(Roman) 시대에 에돔인들이 거주했던 새로운 지역을 부르는 이름)의 영향 아래 있었다. 이는 그 시대의 비문에 에돔 신인 코스(Qōs)를 가진 이름들이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된다.[45] 바빌론 유수(Babylonian exile)에서 돌아온 후에도 유대인들이 그곳에 살았던 것으로 보인다 (느헤미야 11:25). 마카비 혁명(Maccabean revolt) 기간 동안 헤브론은 기원전 167년 에돔인들과 싸운 유다 마카베우스(Judas Maccabee)에 의해 불타고 약탈당했다.[46][47] 그러나 이 도시는 하스모네아 왕조(Hasmoneans)의 지배에 오랫동안 저항했던 것으로 보이며, 실제로 제1차 유대-로마 전쟁(First Jewish–Roman War)까지도 이두메아(Idumean)로 간주되었다.[48]



현재 헤브론 도시는 늦어도 로마 시대까지 텔 루메이다(Tel Rumeida) 언덕 아래 계곡에 정착했다.[49] 유대의 왕 헤롯 대왕(Herod the Great)은 현재까지 족장들의 무덤(Cave of the Patriarchs)을 둘러싸고 있는 성벽을 건설했다. 제1차 유대-로마 전쟁(First Jewish–Roman War) 동안 헤브론은 열심당(Zealots)의 지도자 시몬 바르 기오라(Simon Bar Giora)에 의해 무혈로 점령되고 약탈당했다. "작은 마을"은 나중에 베스파시아누스(Vespasian)의 장교 섹스투스 베툴레누스 세리아리스(Sextus Vettulenus Cerialis)에 의해 황폐화되었다.[50] 요세푸스(Josephus)는 그가 "거기서 발견한 모든 사람, 젊은이와 노인을 모두 죽이고 마을을 불태웠다"고 썼다. 135년 기원후 바르 코크바의 난(Bar Kokhba revolt) 진압 후, 헤브론의 마므레(Mamre) 노예 시장에서 수많은 유대인 포로들이 노예로 팔렸다.[51][52]

이 도시는 팔레스티나 프리마(Palaestina Prima) 주 동부 교구(Diocese of the East)에 있는 비잔티움 제국(Byzantine Empire)의 일부였다. 비잔티움 제국 황제 유스티니아누스 1세(Justinian I)는 6세기 기원후 마켈라의 동굴(Cave of Machpelah) 위에 기독교 교회를 세웠는데, 이후 614년 코스로 2세(Khosrau II)의 군대가 예루살렘을 포위하고 점령했을 때 사산 왕조(Sassanid) 장군 샤르바라즈(Shahrbaraz)에 의해 파괴되었다.[53] 비잔티움 제국 지배하에서는 유대인들이 헤브론에 거주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았다.[54] 그러나 사산 왕조(Sassanid) 군대에 많은 유대인들이 있었기에 신전 자체는 페르시아인들에 의해 유대인들을 배려하여 보존되었다.[55]

2. 2. 중세 및 근세

1099년 십자군에게 정복되었지만 1187년 살라딘이 이끄는 군대가 탈환했다. 16세기 오스만 제국에 편입되었고 1917년 영국의 위임통치령에 편입되었다.

헤브론은 7세기 이슬람 침략 당시 팔레스타인에서 마지막으로 함락된 도시 중 하나였으며, 아랍 정복 전승에는 헤브론이 언급되지 않았다.[56] 638년 라시둔 칼리파국이 헤브론을 지배하면서 무슬림들은 아브라함의 무덤 자리에 있던 비잔틴 교회를 모스크로 개조했다.[54] 헤브론은 이집트에서 출발하는 대상 무역로의 중요한 중계지이자, 다마스쿠스에서 매년 하즈 순례를 하는 순례자들을 위한 중간 기착지였다.[57] 도시 함락 후, 우마르 칼리프는 유대인들이 돌아와 헤로데 왕궁 안에 작은 회당을 건설하는 것을 허락했다.[58]

움마이야 칼리파국 시대, 가톨릭 주교 아르쿨프는 헤브론을 요새가 없고 가난한 도시로 묘사했다. 그의 글에는 헤브론에서 예루살렘으로 땔나무를 운반하는 낙타 대상에 대한 언급이 있는데, 이는 당시 그 지역에 아랍 유목민들이 거주했음을 보여준다.[59] 특히 네게브의 베두인들과 사해 동쪽 지역과의 무역이 크게 확장되었다. 안톤 키사에 따르면, 헤브론과 티레 출신 유대인들이 9세기에 베네치아 유리 산업을 창업했다.[60]

헤브론은 10세기 이전 무슬림 문헌에서 거의 언급되지 않았다.[61] 985년, 알-무카다시는 헤브론을 아브라함 알-할릴의 마을로 묘사하며, 강력한 요새와 아브라함의 무덤 위에 있는 석조 돔을 언급했다.[62] 모스크에는 이삭야곱, 그리고 그들의 아내들의 무덤이 있었다.[62] 그 지역 주변에는 포도와 사과를 생산하는 포도원이 있는 마을들이 있었다.[62] 헤브론에는 가난한 사람과 부유한 사람 모두에게 렌틸콩과 올리브 오일을 제공하는 공공 숙박 시설이 있었는데, 이는 무함마드의 동료 타밈 알-다리의 유산을 통해 설립되었고, 후원금을 풍족하게 받았다.[62] 이 숙박 시설은 이슬람 세계에서 뛰어난 환대와 자선의 집으로 높이 평가받았다.[62] '아브라함의 식탁'으로 알려진 이 관습은 파티마 왕조의 관습과 유사했다.[63] 1047년, 나시르 쿠스로우는 『사파르나마』에서 헤브론을 경건한 목적으로 수입을 제공하는 많은 마을을 가진 곳으로 묘사했다.[64][63] 그는 돌 아래에서 솟아나는 샘과, 그 물이 마을 밖의 지붕이 있는 탱크로 흘러가는 것을 언급했다.[63] 성역은 마을 남쪽 경계에 있으며, 네 벽으로 둘러싸여 있었다.[64] 보리가 주요 작물이었고, 올리브도 풍부했다. 방문객들에게는 빵, 올리브, 올리브 오일에 조린 렌틸콩, 건포도가 제공되었다.[64] 헤브론에는 소와 노새가 운영하는 제분소와 빵을 굽는 여성들이 있었다.[64] 환대는 약 1.5kg의 빵과 모든 도착하는 사람들을 위한 식사를 포함했으며, 특정 날에는 최대 500명의 순례자에게 제공되었다.[63][64]

이러한 전통은 오늘날 타키아트 이브라힘이라는 무료급식소 형태로 남아 있으며, 2024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당시 식량 부족과 겹친 라마단 기간 동안 수천 명에게 식량을 제공했다. 이 시대의 카이로 게니자 문서에는 "족장들의 무덤"이 언급되어 있으며, 헤브론에 조직적인 유대인 공동체가 존재했음을 보여준다. 유대인들은 무덤 근처에 회당을 유지했고, 유대인 순례자와 상인들을 수용하여 생계를 유지했다. 셀주크 제국 시대에, 이 공동체는 "족장들의 무덤의 하베르"로 알려진 사아디아 벤 아브라함 벤 네이선이 이끌었다.[65]

2. 3. 현대

1948년 이스라엘 건국 이후 요르단의 지배를 받았으나, 1967년 제3차 중동 전쟁에서 이스라엘이 점령하였다. 점령 이후, 1929년 아랍인에 의해 추방되었던 유대인 원주민들이 돌아오기 시작하여 교외에 키리야트 아르바 (קִרְיַת־אַרְבַּע) 정착지를 건설하였다. 이후 유대인 정착이 계속되었다. 그러나 1980년 6명의 정착민이 팔레스타인인에게 총격을 당한 것을 계기로, 당시 이스라엘 정부는 이브라힘 성전 근처에 사는 팔레스타인인을 추방하고 대신 유대인 정착민을 거주시키는 것으로 보복했다.[312]

1997년 헤브론 협정에 따라 헤브론의 80%는 팔레스타인 자치정부의 치안부대가, 20%는 유대인 정착지는 이스라엘군이 관리하기로 합의했다.

최근 유대교 우파 정착민과 팔레스타인 아랍인 주민 사이에 심각한 주민 갈등이 발생하고 있다. 1994년 2월 25일, 유대인 정착민에 의한 팔레스타인인 예배자에 대한 테러 사건이 발생하여 29명이 사망했다(막벨라 동굴 학살 사건). 범인은 현장에서 사살되었지만, 이스라엘 군인의 발포도 있었고(이스라엘 측은 부인), 총 사망자는 50명 또는 60명으로 알려져 있다.

이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권고를 받아 노르웨이 등이 헤브론 임시 국제 감시단(TIPH)을 설립하였다. 국제 사회의 개입을 꺼리는 이스라엘도 이를 수용하였다. 5월 8일 헤브론에 진출하였다. 헤브론에서는 유대인 정착민에 의한 팔레스타인인을 몰아내려는 폭력과 괴롭힘이 끊이지 않기 때문에, 국제 감시단은 이를 감시하고 억제하는 것이 임무이다. 국제 감시단은 비무장이며 강제력은 없지만, 외부의 눈을 비춤으로써 억제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노르웨이 외에 스웨덴, 덴마크, 스위스, 이탈리아, 터키에서 감시원을 파견하고 있다. 2002년 3월 27일에는 누군가에 의해 감시원 2명이 살해되었고, 유엔 사무총장은 비난 성명을 발표했다(이스라엘군은 팔레스타인 극단주의자의 소행이라고 주장하지만, 팔레스타인 측은 이를 부인. 로이터 통신이 전하는 병원 관계자의 말에 따르면, 감시원을 살해한 총탄은 이스라엘군의 것이었다고 한다). 2006년에는 무함마드 풍자 만화 게재 문제의 여파로 사무소에 팔레스타인인들의 투석을 받고 일시 피난했다. 2019년 1월 28일, 벤자민 네타냐후 총리는 감시단이 유대인 정착민과 팔레스타인인의 갈등을 선동하고 있다며 임무 연장을 거부 발표하여 감시단은 활동을 중단했다.[313]

3. 어원

"헤브론"이라는 이름은 북서 세미티크어족 언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이며, 히브리어와 아모리트어에서 '결합하다'라는 뜻을 가진 ''ḥbr''에서 파생되었다. 이는 "동료" 또는 "친구"를 의미하며, 고유 명사로는 '동맹'을 뜻했을 것으로 추정된다.[11]

아랍어로는 헤브론을 ''al-Khalīl''(알 칼릴)이라고 부르는데, 이는 13세기에 등장한 이름이다.[12] 초기 이슬람 자료에는 ''Ḥabra'' 또는 ''Ḥabrūn''(하브라 또는 하브룬)이라고 표기되었다.[12] ''al-Khalīl''은 코란에서 아브라함을 칭하는 ''Khalil al-Rahman''(إبراهيم خليل الرحمنar)에서 유래했으며, "자비로운 자의 사랑받는 자" 또는 "하나님의 친구"라는 뜻이다.[13][14][15] 즉, 아랍어 ''Al-Khalil''은 '친구'를 의미하는 히브리어 지명 ''Ḥebron''(헤브론)(''ḥaḇer'')을 정확하게 번역한 것이다.[16]

4. 인구

1820년 헤브론에는 약 1,000명의 유대인이 거주하고 있었다고 전해진다.[227] 1838년에는 헤브론에 약 1,500세대의 과세 대상 무슬림 가구와 41명의 유대인 납세자가 있었으며, 여기서 납세자는 아주 작은 상점이나 토지를 소유한 남성 가장을 의미한다. 당시 200명의 유대인과 1개의 기독교 가구는 '유럽의 보호'를 받았다. 당시 총 인구는 약 10,000명으로 추산되었다.[109] 1842년에는 약 400가구의 아랍인 가구와 120가구의 유대인 가구가 거주하고 있었는데, 유대인 가구 수는 1834년 파괴 사건 이후 감소했다고 추산된다.[228]

2017년 헤브론의 인구는 201,063명의 팔레스타인인이었고,[3] 700명의 이스라엘 정착민(유대인 정착민)들이 옛 도시 헤브론(Old City of Hebron) 외곽에 집중되어 있었다. 이스라엘 군사 행정 하에 있는 헤브론 H2 지역에는 약 35,000명의 팔레스타인인을 포함하여 도시의 약 20%가 거주하고 있다. 헤브론은 헤브론 주의 주도이다. 인접 주와 함께 헤브론 대도시권을 형성하며, 2021년 기준으로 약 782,227명의 인구를 가진 것으로 추산된다.[229] 가자 지구예루살렘에 이어 팔레스타인에서 세 번째로 큰 대도시권이다.[229]

헤브론에는 여러 소수 민족과 외국 이주민 공동체도 거주하고 있다.[230] 쿠르드족살라딘의 팔레스타인 정복 이후부터 이 도시에 거주해 왔다.[230] 예루살렘과 가자 지구와 함께 팔레스타인 쿠르드계 팔레스타인인들이 거주하고 있다.[230] 헤브론 인구의 약 3분의 1이 쿠르드족 출신으로 여겨진다.[230] '하라트 알 아크라드(Harat al-Akrad)'로 알려진 쿠르드인 거리는 오늘날에도 존재한다.[230] 나블루스 다음으로 헤브론에는 소규모 사마리아인 공동체도 있다.[231]

헤브론의 인구 변화는 다음과 같다.

연도인구
1997년 12월 10일119,401명
2007년 12월 1일163,146명
2014년 7월 1일202,200명
2017년 12월 1일201,063명


5. 지리

헤브론은 요르단강 서안 남부, 유대 산맥 해발 930m에 자리 잡고 있다.[232] 예루살렘에서 남쪽으로 30km, 가자시에서 동쪽으로 60.1km, 베르셰바에서 남동쪽으로 43km, 텔아비브 및 이스라엘 내 다른 지역에서 북동쪽으로 68.4km, 요르단 암만에서 북동쪽으로 89.8km 떨어져 있다.[232] 동쪽으로는 바니 나임과 두라, 북쪽으로는 할훌, 서쪽으로는 타푸, 남쪽으로는 야타에 둘러싸여 있으며,[233][232] 이스라엘이 통제하는 H2 지역은 도시 동부에 위치한다.[232]

헤브론은 이 지역에서 가장 높은 도시 중 하나이며, 19세기까지는 중동에서 가장 높은 도시로 여겨졌다.[232] 주지사 관할구역과 대도시 지역을 포함하면 요르단강 서안 전체 면적의 약 19%를 차지한다.[234] 나비 유니스 산을 포함한 여러 산과 언덕으로 둘러싸여 있는데,[232][235] 도시 북쪽에 위치한 나비 유니스 산은 해발 1,030m로 팔레스타인에서 가장 높은 지점이다.[236] 헤브론 언덕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전역에 걸쳐 있는 유대 산맥의 남쪽 부분으로 해발 1,026m이다.[237] 인구 7,000명이 넘는 키리야트 아르바와 기밧 하르시나는 헤브론 동부 지역을 내려다보는 언덕에 위치해 있다.[238] 헤브론 근처의 와디 알-쿠프는 팔레스타인에서 가장 큰 자연 보호 구역 중 하나로,[239] 도시 북동쪽에 위치하며 타르쿠미야, 할훌, 베이트 카힐, 베이트 울라 등 인근 마을들로 둘러싸여 있다.[239] 이 자연 보호 구역은 3.73km²(약 920 에이커)의 면적을 차지하며, 희귀한 동식물 종들이 서식하고 있다.[239]

헤브론은 비옥한 산악 지대에 위치하여 농업이 풍부하고 전략적 중요성을 가지며,[232] 과일과 포도 재배의 중심지이다.[240] 대체 수원은 저수조이며,[233] 도시에는 샘이 10개, 우물이 3개 있지만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다.[233][232] 히브리어로 나할 헤브론으로 알려진 헤브론 강(Wadi al–Khalil)은 유대네게브 지역에 위치하며 도시의 수원 중 하나이나,[241][232] 현재는 도시 동부와 남부에 위치한 공업 지역에서 발생하는 폐기물로 인해 오염되어 있다.[241][232]

헤브론의 기후는 온화하며 연평균 기온은 15~16°C(겨울 평균 7°C, 여름 평균 21°C)이다.[242] 연평균 강수량은 약 502mm이며,[242] 지중해성 기후, 즉 덥고 건조한 여름 기후(분류: Csa)를 보인다.[242] 도시의 연평균 기온은 22.74°C로 팔레스타인 평균보다 0.14% 높으며,[242] 1월과 2월에 연간 약 15.72mm의 강수량이 있고 강우일수는 39.47일이다.[242][243]

헤브론의 기후 (2007-2018)[244]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C)11.413.216.520.725.027.529.229.427.824.420.014.9
평균 기온 (°C)8.310.012.315.819.622.023.723.922.119.514.810.7
평균 최저 기온 (°C)5.46.68.611.415.317.519.219.617.815.911.37.0
최고 기온 기록 (°C)24.525.031.034.036.037.636.839.036.034.529.526.6
최저 기온 기록 (°C)-3.8-2.0-1.03.06.611.014.015.012.09.64.0-2.5
평균 강수량 (mm)138.2108.649.915.44.70.00.00.01.418.840.195.1
평균 강우일수10.09.05.23.51.30.00.00.00.72.65.47.7
평균 상대 습도 (%)73.069.563.956.352.455.056.560.668.066.667.871.2
평균 일조 시간164.3156.7214.5261.3313.1337.9363.8346.9279.3243.2186.5165.7
평균 일조율 (%)525159687480858577706053



역사적으로 이 도시는 인구 밀도가 높은 네 개의 지역, 즉 이브라히미 모스크 인근의 시장(''수크'')과 ''하라트 알-마샤르카(Harat al-Masharqa)'', 남쪽의 실크 상인 지역(''하레트 케이툰(Haret Kheitun)'') 그리고 북쪽의 셰이크 지역(''하레트 알-셰이크(Haret al-Sheikh)'')으로 구성되었다.[245] 도시의 기본적인 도시 구조는 맘루크 시대에 확립된 것으로 여겨지며, 당시에는 유대인, 기독교인, 쿠르드인 지역도 있었다.[246]

19세기 중반, 헤브론은 여전히 네 개의 지역으로 나뉘었지만, 기독교 지역은 사라졌다.[246] 이 지역에는 마므벨라 동굴 주변의 고대 지역, ''하레트 케이툰(Haret Kheitun)''(''유대인 지역, ''하레트 엘-야후드(Haret el-Yahud)'') , ''하레트 엘-셰이크(Haret el-Sheikh)'' 그리고 드루즈 지역이 포함되었다.[247] 인구가 점차 증가함에 따라 주민들은 이웃의 안전을 떠나기보다는 위쪽으로 건물을 짓는 것을 선호했다.[245] 1880년대에 오스만 당국의 더 나은 치안으로 도시가 확장되었고, 새로운 상업 중심지인 ''밥 엘-자위예(Bab el-Zawiye)''가 등장했다.[248] 개발이 계속됨에 따라 북서쪽에 새롭고 넓고 높은 건물들이 건설되었다.[249] 1918년, 도시는 계곡을 따라 밀집된 주거지들이 위쪽의 비탈까지 이어져 있었다.[250] 1920년대에는 서쪽의 ''엘-셰이크(el-Sheikh)''와 ''밥 엘-자위예(Bab el-Zawiye)'', 중앙의 ''엘-카자진(el-Kazzazin)'', ''엘-아카비(el-Akkabi)'', ''엘-하람(el-Haram)'', 남쪽의 ''엘-무샤리카(el-Musharika)'', 동쪽의 ''엘-케이툰(el-Kheitun)'' 등 일곱 개의 지역으로 구성되었다.[251] 1945년에는 도시 확장이 주변 언덕까지 퍼져 나갔다.[250]

요르단 통치하에서 인구가 크게 증가하면서 약 1,800채의 새로운 주택이 건설되었는데, 대부분은 예루살렘 도로 21을 따라 북쪽으로 약 4.83km 이상 뻗어 있으며, 양쪽으로 약 182.88m 깊이였다. 약 500채의 주택이 주변 농촌 지역에 건설되었다. 남동쪽에는 주택 단위가 계곡을 따라 약 약 1.61km 뻗어 있었지만, 개발은 적었다.[163] 1971년 이스라엘과 요르단 정부의 지원을 받아 이슬람 대학교인 헤브론 대학교가 설립되었다.[252][253] 이브라히미 모스크의 전망을 개선하기 위해 요르단은 입구 맞은편의 고대 주택 블록 전체를 철거했는데, 이는 역사 유적지에 대한 접근성을 개선하는 결과도 가져왔다.[254] 요르단은 또한 엘-카자진 지역에 있던 오래된 회당을 철거했다. 1976년 이스라엘은 동물 우리로 개조된 그 부지를 회수했고, 1989년까지 이곳에 정착민 마당이 조성되었다.[255]

오늘날, 동쪽의 남북 축을 따라 있는 지역은 헤브론의 현대 도시(상부 헤브론, ''칼릴 포크(Khalil Foq)''라고도 함)를 구성한다.[256] 오스만 시대 말기에 건설되었으며, 거주자는 혼잡한 구시가지인 ''발데 알-카디메(Balde al-Qadime)''(하부 헤브론, ''칼릴 타흐트(Khalil Takht)''라고도 함)에서 이주한 헤브론의 상류층과 중산층이었다.[257] 상부 헤브론의 북부 지역에는 고급 주거 지역, 헤브론 대학교, 사립 병원, 그리고 도시의 유일한 두 개의 고급 호텔이 있다.[256] 도시의 주요 상업 중심지는 예루살렘 도로 20을 따라 위치해 있으며, 현대적인 여러 층의 쇼핑몰이 있다.[256] 이 지역에는 요르단 초기 시대까지 여름철 휴양 지역으로 기능했던 ''크룸(krum)'', 농촌 지역 및 포도원에 지어진 빌라와 아파트 단지도 있다.[257] 남부 지역은 노동 계층의 이웃과 대규모 산업 지대, 그리고 팔레스타인 공과대학교가 위치해 있다.[257] 주요 시립 및 정부 건물은 도시 중심부에 위치해 있으며,[256] 고층 콘크리트 및 유리 건물과 아치형 입구, 장식 모티프 및 철제품으로 장식된 독특한 오스만 시대 1층 가옥이 있다. 헤브론의 가전제품 및 섬유 시장은 구시가지 입구로 이어지는 두 개의 평행 도로를 따라 위치해 있다.[257] 이들 중 상당수는 1990년대 이스라엘 군에 의해 폐쇄된 채소 시장(''헤스베(hesbe)'')으로 알려진 도시의 오래된 상업 중심지에서 이전되었으며,[256] 채소 시장은 현재 ''밥 엘-자위예(Bab el-Zawiye)'' 광장에 위치해 있다.[257]

6. 경제

헤브론은 레반트 지역의 주요 상업 및 산업 중심지 중 하나이다.[261] 주변 지역의 광물 및 자원은 이 도시의 가치를 높였으며, 서안 지구의 중요한 무역 중심지로 성장했다.[261] 헤브론은 예루살렘-베들레헴-람알라 지역 다음으로 팔레스타인에서 가장 생산적인 지역이며, 팔레스타인 자치정부의 통제하에 있는 H1 지역은 도시 경제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261]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은 긴장 관계 속에서도 헤브론에서 활발한 무역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261]

19세기 중반, 이브라힘 파샤의 통치는 지역 유리 산업의 쇠퇴를 가져왔다. 지중해 함대 건설로 헤브론의 숲이 벌채되어 땔나무가 부족해졌고, 이집트가 값싼 유럽산 유리를 수입했기 때문이다. 수에즈 운하 개통(1869년)은 카라반 무역의 감소를 초래하여 지역 경제는 더욱 악화되었다.[118] 19세기 후반, 수입 유럽산 유리 제품과의 경쟁으로 헤브론 유리 생산은 감소했지만, 여전히 사치품을 살 여유가 없는 사람들에게 인기가 있었고 유대인 상인들이 판매했다.[127] 1886년 프랑스 영사 보고서에 따르면, 유리 제조는 네 개의 공장이 연간 6만 프랑을 벌어들일 정도로 헤브론의 중요한 수입원이었다.[128]

시장의 헤브론 유리


팔레스타인의 다른 도시들이 무역에만 의존했던 반면, 헤브론은 농업과 가축 사육을 포함한 다양한 경제 활동을 했다. 이는 도시 경계 내에 비옥한 땅이 있었기 때문이다.[129] 그럼에도 불구하고 헤브론은 비생산적이고 "가난하고 영적인 사람들의 피난처"라는 이미지를 가지고 있었다.[130]

오늘날 헤브론은 도자기와 유리 산업으로 유명하며,[258] 서안 지구 석재 및 대리석 자원의 60%를 공급한다.[261] 팔레스타인 GNP의 33%는 헤브론에서 나오며, 이는 보석 산업 및 보석 생산의 60%, 농업 부문 생산량의 28%, 가죽 및 신발 산업의 75%를 포함한다.[261] 팔레스타인이 통제하는 헤브론의 대부분의 농산물은 이스라엘로 수출된다.[261]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의 무역량은 연간 300억 달러에 달하며, 이 도시는 중국과도 무역을 한다.[261] 헤브론의 최저임금은 하루 50 NIS로, 다른 팔레스타인 지역의 평균 일일 임금 30 NIS보다 높다.[261]

1970년대부터 1990년대 초까지, 도시 거주자의 3분의 1이 신발 산업에 종사했다. 한때 1,000개가 넘는 작업장이 있었고 4만 명이 고용되었으나,[259][260] 1993년 오슬로 협정과 1994년 파리 의정서 이후 중국산 상품의 대량 수입이 가능해지면서 어려움을 겪었다. 팔레스타인 자치정부는 수입세를 부과했지만, 팔레스타인 가죽 산업 연합 회장은 더 많은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259] 팔레스타인 정부는 2013년 4월부터 중국산 제품에 35%의 추가 세금을 부과하기로 결정했다.[260]

현재 팔레스타인 신발의 90%는 중국산으로 추정되며, 팔레스타인 산업 노동자들은 중국산 신발이 품질은 떨어지지만 가격이 저렴하고 미적으로 더 낫다고 말한다.[259]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수출 제한도 지역 산업 쇠퇴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260] 오늘날 신발 산업에는 300개 미만의 작업장이 있으며, 약 3,000~4,000명을 고용한다. 신발의 50% 이상이 이스라엘로 수출되고, 25% 미만이 팔레스타인 시장으로 가며, 일부는 요르단, 사우디아라비아 및 기타 아랍 국가로 수출된다.[259]

밤의 헤브론 중심상업지구, 아인 사라 거리


헤브론 시티 센터 쇼핑몰 내부


헤브론에는 중동에서 가장 발전된 인쇄기가 있으며,[261] 이스라엘로 수입되는 상품의 주요 공급원이다.[261] 헤브론에서 제조된 매트리스는 텔아비브, 베르세바, 하이파의 이스라엘 시장으로 수출된다.[261] 약 1만 7천 개의 공장과 작업장이 H1 지역 전역에 위치해 있다.[261] 타르쿠미야에는 140개 이상의 공장이 들어선 새로운 산업 도시가 건설되었다. Royal Industrial Trading은 헤브론에 40,000 m² 면적에 걸쳐 650명 이상을 고용하는 파이프 제조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262] 2021년 이드나에 전자 재활용 공장이 문을 열었다.[263] 유럽 연합과 세계 은행은 도시 하수의 80%를 처리할 지역 정수장 건설을 제안했다.[264] 헤브론은 보석 산업의 중심지이며 약 70개의 보석 공장이 있으며 1,500명 이상의 근로자를 고용하고 있다.[265]

Super Nimer사는 30,000 m²에서 45,000 m²에 이르는 공장에서 위생 도자기 및 수도망 제품을 생산한다.[266] 2004년에 문을 연 Super Tiger는 28,328 m² 면적에 걸쳐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266] 팔레스타인의 코로나19 범유행 기간 동안 헤브론은 많은 공장들이 제품 생산 라인을 설치하고 가동하면서 의료 용품 제조 허브로 빠르게 변모했으며, 경제부의 승인을 받았다.[267]

6. 1. 팔레스타인 마지막 쿠피야 직물 공장 "힐바위"

1940년 7월 헤브론에서 열린 영국 충성 집회


알할릴/헤브론에는 팔레스타인인의 정체성과 저항의 상징이 된 검정과 흰색의 독특한 직조 무늬가 들어간 쿠피야를 팔레스타인에서 유일하게 생산하는 가족 경영 직물 공장 "힐바위"가 남아 있다.[315][316][317] 1961년 창업한 힐바위는 1970년대 일본에서 수입한 히라노 룸(Hirano Loom)사의 "시대에 뒤떨어진" 직기 15대를 사용하고 있다.[315][318][319][320]

1990년대에 저렴한 중국산 대량 생산품이 유입되면서 많은 팔레스타인 직물 공장이 문을 닫았고, 마지막 공장이 된 힐바위도 경영난을 겪었다. 하지만 2000년대 후반 공동 소유주 중 한 명의 막내아들이 온라인 페이지를 개설하여 해외 판로를 개척하자, 소셜 미디어를 통해 해외 팔레스타인인들의 눈에 띄었고, "마지막 쿠피야"라는 이름으로 지원하는 그룹이 생겨나면서 해외 팔레스타인인이 아닌 사용자들에게도 그 존재와 진정성이 널리 알려졌다.[315][316][319]

2023년 10월 팔레스타인-이스라엘 전쟁이 시작되자, 쿠피야는 이스라엘의 점령강제 대피에 직면한 팔레스타인 사람들에 대한 연대를 표명하는 의식이 확산되면서, 특히 가자 지구에서 많은 민간인의 살해 소식이 전해지자 요르단강 서안 지구에 위치한 힐바위에 전 세계에서 주문이 쇄도하여 재고 부족 상태가 계속되고 있다.[317][320]

복잡한 무늬를 만들어내고, 도 손으로 달기 때문에 대량 생산품에 비해 작업 속도는 느리지만, 현지에서는 하타(ḥaṭṭa, حَطّة)라고 불리는 힐바위의 쿠피야는 흑백 이외의 색상 제품을 포함하여 "팔레스타인산"이라는 라벨이 붙여져 국내외 주문 고객에게 발송되고 있다.[320][321] 2024년 2월 현재 힐바위의 인스타그램 계정은 30만 명 이상의 팔로워를 보유하고 있다.[317]

7. 문화

헤브론은 오랜 역사를 지닌 도시로, 다양한 문화적, 종교적 전통이 얽혀 있다. 1948년 제1차 중동전쟁 이후 요르단의 통치를 받으며 경제적으로 발전하고 인구가 증가했다. 그러나 1967년 6일 전쟁 이후 이스라엘 군정 통치를 받게 되면서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의 중심지가 되었다.

1960년대 요르단 통치하의 헤브론


1893년에 건설된 헤브론 중심부에 위치한 이전 유대인 병원은 현재 이스라엘 정착촌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


2018년 유엔 지도. 이스라엘 점령 상황을 보여준다.


이스라엘 군인들이 야외 시장을 순찰하고 있다.


히브리어로 "아랍인들에게 죽음을"이라는 뜻의 "מוות לערבים"이라는 글귀가 적힌 도로 차단 시설과 함께 도시의 인종 차별을 보여주는 사진


헤브론 구시가지


270x270px


1994년 바룩 골드슈타인의 마키펠라 동굴 학살 사건은 헤브론 내 긴장을 더욱 고조시켰다. 이스라엘 정부는 이 사건을 규탄하고 극우 정당을 금지했지만, 헤브론 내 폭력은 계속되었다. 1997년 헤브론 협정에 따라 도시는 H1과 H2로 분리되었지만, 이스라엘 군의 통제하에 있는 H2 지역에서는 팔레스타인 주민들에 대한 인권 침해가 지속되고 있다.

헤브론에는 족장의 무덤을 비롯한 다양한 종교 유적지가 있으며, 유대교, 이슬람교, 기독교 모두에게 중요한 성지로 여겨진다. 족장의 무덤은 아브라함, 이삭, 야곱과 그들의 아내들이 묻힌 곳으로 알려져 있어, 종교 간 갈등의 중심지가 되기도 한다.

헤브론 구시가지는 2017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지만,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의 분쟁으로 인해 '위기에 처한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

헤브론은 또한 여러 가지 종교적 전승을 가지고 있다. 유대교 전승에서는 아담이 에덴동산에서 쫓겨난 후 헤브론에 거주했으며, 카인이 아벨을 죽인 곳이라고도 전해진다. 이슬람 전승에서는 무함마드가 밤 여행 중 헤브론에 들렀다고 전해진다.

7. 1. 관광

헤브론에서 가장 유명한 곳은 족장의 무덤이다.[292] 헤로디아 시대의 건축물로 성경에 나오는 족장들과 조상들의 무덤을 둘러싸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292] 이곳은 아브라함, 이삭, 야곱과 그들의 아내 사라, 리브가, 레아의 매장지로 알려져 있다.[292] 이삭의 홀은 현재 이브라히미 모스크로 사용되고 있으며, 아브라함과 야곱의 홀은 시나고그로 사용되고 있다.[292]

아브넬 벤 네르, 옷니엘 벤 케나즈, , 이새 등 다른 성경 인물들의 무덤도 이 도시에 위치해 있다.[292] 기독교, 이슬람교, 유대교 신자들에게 모두 존경받는 곳이다.[292] 이 유적지는 이스라엘 당국이 통제하는 H2 지역에 위치해 있다.

도시의 유서 깊은 유대인 거리에 있는 초기 오스만 시대의 아브라함 아비누 시나고그는 1540년에 건립되었고 1738년에 복원되었다.[292] 이 시대의 모스크로는 셰이크 알리 알-바카 모스크와 알-자왈리 모스크가 있다.

헤브론에는 여러 교회가 도시 주변에 위치해 있으며, 기독교 예배를 위한 여러 장소가 있다.[292] 시브타의 상수리나무(아브라함의 상수리나무)는 유대교가 아닌 전통에서[293] 아브라함이 천막을 쳤던 곳을 표시하는 나무로 알려져 있다.[292] 러시아 정교회는 이곳과 1925년에 봉헌된 인근 아브라함의 상수리나무 성 삼위일체 수도원을 소유하고 있다.[292] 헤브론은 마므루크 건축 양식을 보존한 몇 안 되는 도시 중 하나이다.[292] 특히 수피 자위야가 이 시대에 많이 건설되었다.[294] [292]

다른 유적지는 다음과 같다.

  • 도시 북동쪽에 위치한 와디 알-쿠프 자연보호구역은 주로 주말에 2,000명의 사람들이 방문한다.[239] 현재 팔레스타인 정부의 관리하에 있다.[239]
  • 헤브론 남쪽의 지프 마을 근처에 있는 아리스토볼리아 (히르벳 이스탄불)에는 이슬람 시대 초기에 건립된 비잔틴 시대의 바실리카가 있다.[295]
  • 히르벳 알-카르밀에는 십자군 시대의 수영장, 폐허가 된 비잔틴 교회, 십자군 시대의 요새가 있다.[295]
  • 아스-사무는 고대 성경 마을로 현재는 현대적인 도시이다.[295] 4세기 시나고그, 수많은 오스만 시대 건축물, 아이유브 왕조의 살라딘 시대에 지어진 이슬람 건물이 있다.[295]


헤브론/알 할릴 구시가지는 2017년 제41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311] 정규 절차를 거치지 않은 긴급 등재 추천으로 등재되었으며, 자문 기구인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는 구시가지를 점령 중인 이스라엘로부터 허가를 받지 못해 현지 조사를 할 수 없었기 때문에[322], 권고 없이 판단을 보류했지만, 위원회 심의와 비밀 투표 결과 등재되었고, 동시에 위기에 처한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되었다.[310][323] 팔레스타인의 세계유산은 이것으로 3건째이지만, 긴급 등재 추천 사례로의 등재와 위기 유산 동시 등재는 3건 연속이다.

7. 2. 종교적 전통

אַבְרָהָם|아브라함he(이브라힘)의 무덤이 있는 곳이다. 구약성서에 따르면, 이 땅은 아브라함이 이집트에서 도망쳐 은 400세겔로 처음 얻은 땅이라고 한다. 이 무덤이 있는 막벨라 동굴은 유대교뿐만 아니라 이슬람에서도 이브라힘 모스크로서 성지로 여겨지며, 건물 내부에서 양분되어 있다.

1929년 폭도가 된 아랍인에 의한 1929년 헤브론 학살(당시 유대인 67명 사망, 그중 55명은 유럽인이며, 435명의 생존한 유대교도는 현지 무슬림에 의해 숨겨졌다)과 1994년 유대교 극단주의자 카하네주의 의사에 의한 이브라힘 모스크에서 발생한 막벨라 동굴 총격 사건(29명의 팔레스타인인이 사망)은 종교·민족 갈등의 비극적인 사건이다.

헤브론은 이스라엘 건국 이후 요르단의 지배하에 있었으나, 1967년 제3차 중동 전쟁에서 이스라엘에 점령되었다. 점령 후, 1929년 아랍인에 의해 추방되었던 유대인 원주민들이 돌아오기 시작하여 교외에 (קִרְיַת־אַרְבַּע) 정착촌을 건설하였다. 이후 유대인 정착이 계속되었다. 그러나 1980년 6명의 정착민이 팔레스타인인에게 총격을 당한 것을 계기로 당시 이스라엘 정부는 이브라힘의 성전 근처에 사는 팔레스타인인을 추방하고 대신 유대인 정착민을 거주시키는 것으로 보복했다.

1997년의 헤브론 협정에 따라 80%는 팔레스타인 자치정부의 치안부대가, 20%의 유대인 정착촌은 이스라엘군이 관리하기로 합의했다.

최근 유대교 우파 정착민과 팔레스타인 아랍인 주민 사이에 심각한 주민 갈등이 발생하고 있다. 1994년 2월 25일, 유대인 정착민에 의한 팔레스타인인 예배자에 대한 테러 사건이 발생하여 29명이 사망했다(막벨라 동굴 학살 사건). 범인은 현장에서 사살되었지만, 이스라엘 군인의 발포도 있었고(이스라엘 측은 부인), 총 사망자는 50명 또는 60명으로 알려져 있다.

이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권고를 받아 노르웨이 등은 헤브론 임시 국제 감시단(Temporary International Presence in Hebron, TIPH)[312]을 설립하였다. 국제 사회의 개입을 꺼리는 이스라엘도 이를 수용하였다. 5월 8일 헤브론에 진출하였다. 헤브론에서는 유대인 정착민에 의한 팔레스타인인을 몰아내려는 폭력과 괴롭힘이 끊이지 않기 때문에, 국제 감시단은 이를 감시하고 억제하는 것이 임무이다. 국제 감시단은 비무장이며 강제력은 없지만, 외부의 눈을 비춤으로써 억제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노르웨이 외에 스웨덴, 덴마크, 스위스, 이탈리아, 터키에서 감시원을 파견하고 있다. 2002년 3월 27일에는 누군가에 의해 감시원 2명이 살해되었고, 유엔 사무총장은 비난 성명을 발표했다(이스라엘군은 팔레스타인 극단주의자의 소행이라고 주장하지만, 팔레스타인 측은 이를 부인. 로이터 통신이 전하는 병원 관계자의 말에 따르면, 감시원을 살해한 총탄은 이스라엘군의 것이었다고 한다). 2006년에는 무함마드 풍자 만화 게재 문제의 여파로 사무소에 팔레스타인인들의 투석을 받고 일시 피난했다. 2019년 1월 28일, 벤자민 네타냐후 총리는 감시단이 유대인 정착민과 팔레스타인인의 갈등을 선동하고 있다며 임무 연장을 거부 발표하여 감시단은 활동을 중단했다[313].

헤브론/알 할릴 구시가지는 2017년 제41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311] 정규 절차를 거치지 않은 긴급 등재 추천으로 등재되었으며, 자문 기구인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는 구시가지를 점령 중인 이스라엘로부터 허가를 받지 못해 현지 조사를 할 수 없었기 때문에[322], 권고 없이 판단을 보류했지만, 위원회 심의와 비밀 투표 결과 등재되었고, 동시에 위기 유산 목록에 등재되었다.[310][323]. 팔레스타인의 세계유산은 이것으로 3건째이지만, 긴급 등재 추천 사례로의 등재와 위기 유산 동시 등재는 3건 연속이다.

아담에 관한 일부 유대 전승에서는 그가 에덴동산에서 쫓겨난 후 헤브론에 거주했다고 전한다. 다른 전승에서는 카인이 아벨을 그곳에서 죽였다고 한다. 또 다른 전승에서는 아담이브가 마므레의 굴에 묻혔다고 한다. 유대교-기독교 전승에 따르면 아담은 헤브론 근처 다마스쿠스 들판의 붉은 진흙으로 만들어졌다고 한다.[296][297] 중세 유대교 문헌에는 족장들의 굴 자체가 에덴동산의 입구였다는 전승이 생겨났다.[298] 중세 시대에는 순례자들과 헤브론 주민들이 불행을 막기 위해 붉은 흙을 먹었다고 한다.[299][300] 다른 기록에 따르면 그 흙은 귀중한 약재로 이집트, 아라비아, 에티오피아, 인도로 수출되었고, 파낸 후에도 다시 채워졌다고 한다.[296] 전설에 따르면 노아가 헤브론 산에 포도원을 심었다고 한다.[301] 중세 기독교 전승에서는 헤브론이 엘리사벳이 살았다고 전해지는 세 도시 중 하나였으며, 이 전설은 헤브론이 세례자 요한의 출생지였을 가능성을 시사한다.[302][303]

한 이슬람 전승에 따르면 무함마드는 메카에서 예루살렘으로 가는 밤 여행 중 헤브론에 내렸으며, 도시의 모스크에는 그의 신발 한 짝이 보관되어 있다고 한다.[304] 또 다른 전승에서는 무함마드가 헤브론과 그 주변 마을을 타밈 알-다리의 영지로 편입시켰다고 하며, 이는 우마르 칼리프 시대에 시행되었다고 한다. 이러한 합의에 따라 알-다리는 그의 후손들과 함께 주민들의 토지에 대해서만 세금을 부과할 수 있었고, 이브라히미 모스크의 와크프는 그들에게 위탁되었다.[305] 11세기 페르시아 여행가 나시르-이 쿠스라우의 저술에는 "아브라함의 탁자"인 시마트 알-할릴이 언급되어 있다.[292] 이 기록에 따르면, 오스만 제국의 이마레트보다 앞선 초기 이슬람 시대의 식량 배급소에서는 헤브론을 방문하는 모든 사람에게 빵 한 덩이, 올리브 오일에 넣은 렌틸콩 한 그릇, 건포도를 제공했다.[306]

타마라 노이만에 따르면, 유대교 종교 근본주의자 공동체의 정착은 성경적 이미지와 기원의 관점에서 팔레스타인 지역을 재설계함으로써 세 가지 주요 변화를 가져왔다. 그녀는 이러한 개편된 종교 유적지를 재구성하여 유대교 예배에 대한 혁신적인 중심성을 부여하는 것, 유대 전통의 디아스포라적 추진력을 효과적으로 지우는 것,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의 중복되는 측면을 세 가지 얽히고설킨 전통 간의 타협 가능성을 없애는 방식으로 서술하는 것, 그리고 팔레스타인인들의 존재 자체를 폭력적인 방법으로 지우는 것이라고 주장한다.[307]

8. 정치적 상황

헤브론은 고대 가나안의 수도였으며, 성경 창세기에는 "키럇아르바"(히브리어로 "4개의 도시")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연합 이스라엘 왕국의 왕 다윗예루살렘으로 수도를 옮기기 전까지 약 7년 동안 수도였다. 압살롬다윗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지만 실패했다.

기원전 587년 에돔의 지배를 받았지만, 기원전 167년 유다 마카베오가 이끄는 군대에 파괴되었고, 제1차 유대-로마 전쟁로마 제국에 정복되었다. 135년 시몬 바르 코크바의 반란 실패 후 많은 유대인들이 노예로 팔려나갔다. 비잔틴 제국의 지배를 받다가 638년 정통 칼리파 군대에 정복되면서 이슬람 세력의 통치를 받게 되었고, 교회는 모스크로 바뀌었다.

1099년 십자군에 정복되었지만 1187년 살라딘 군대가 탈환했다. 16세기 오스만 제국에 편입되었고, 1917년 영국의 위임통치령에 편입되었다. 1929년 아랍인들이 유대인 67명을 학살한 사건으로 많은 유대인들이 헤브론을 떠났다. 1948년 이스라엘 건국 후 요르단 영토가 되었지만, 1967년 제3차 중동 전쟁(6일 전쟁) 때 이스라엘에 점령되어 병합되었고, 키리아트아르바 정착촌 건설과 함께 유대인들이 이주하기 시작했다.

1980년 5월 2일 정통파 유대교 학생 6명이 사망하고 16명이 부상당한 사건, 1994년 2월 25일 과격파 유대인 청년의 막벨라 동굴 총기 난사 사건으로 29명이 사망하고 125명이 부상당했다. 1995년 9월 28일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 관할 도시가 되었고, 1997년 1월 17일 헤브론 협정에 따라 시 면적의 80%는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 소속 치안부대가, 나머지 20%는 이스라엘군이 관할하게 되었다.

1947년 유엔 팔레스타인 분할 계획에 따라 헤브론은 아랍 국가의 일부가 될 예정이었다. 유대 지도자들은 분할 계획을 수용했지만, 아랍 고등위원회와 아랍 연맹을 포함한 아랍 지도자들은 분할에 반대하며 거부했다.[268][269]

아브라함 (이브라힘)의 무덤이 있는 막벨라 동굴은 유대교와 이슬람교 모두에게 성지로 여겨지며, 건물 내부에서 양분되어 있다. 헤브론은 1929년 1929년 헤브론 학살과 1994년 막벨라 동굴 학살 사건 등 종교·민족 갈등의 비극적인 무대이기도 하다.

최근 유대교 우파 정착민과 팔레스타인 아랍인 주민 사이에 심각한 갈등이 발생하고 있다. 1994년 2월 25일, 유대인 정착민의 테러로 29명의 팔레스타인인이 사망했다. 범인은 현장에서 사살되었지만, 이스라엘 군인의 발포도 있었고(이스라엘 측은 부인), 총 사망자는 50명 또는 60명으로 알려져 있다.

이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권고를 받아 노르웨이 등은 헤브론 임시 국제 감시단(TIPH)을 설립했다.[312] 2019년 1월 28일, 벤자민 네타냐후 총리는 감시단이 유대인 정착민과 팔레스타인인의 갈등을 선동하고 있다며 임무 연장을 거부하여 감시단은 활동을 중단했다.[313]

8. 1. 이스라엘 점령 및 정착촌

1948년 전쟁 이후 헤브론은 요르단 왕국에 의해 점령되었고, 이후 헤브론 지역 관리들의 지지 하에 일방적으로 합병되었다. 1967년 6일 전쟁 이후 이스라엘은 헤브론을 점령했다. 1997년 헤브론 협정에 따라 이스라엘은 헤브론의 80%에서 철군했고, 이 지역은 팔레스타인 자치정부에 인계되었다. 팔레스타인 경찰은 H1 지역에서 책임을 맡게 되었고, 이스라엘은 H2 지역을 계속 통제하게 되었다.[268][269]

이후 상황 정상화와 도시의 팔레스타인 아랍 주민과 구시가지에 있는 유대인 거주지 사이의 완충 지역 유지를 위해 국제 무장 해제 감시단인 헤브론 임시 국제 주둔군(TIPH)이 설립되었다. TIPH는 이스라엘 정부의 허가를 받아 운영되며, 이스라엘군과 이스라엘 민정청과 정기적으로 회의를 하고 도시 전체를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다. 2018년, TIPH는 이스라엘 경찰에 따르면 한 직원이 이스라엘 정착민의 차량 타이어를 펑크 낸 장면이 촬영되었고, 또 다른 직원이 정착민 소년을 때린 후 추방된 사건으로 이스라엘 내에서 비판을 받았다.[226]

1967년 이후 헤브론 정착은 메르카츠 하라브 쿠크의 신학적 교리에 의해 주도되었는데, 이 교리는 이스라엘 땅과 그 백성을 신성시하고 구원의 메시아 시대가 도래했다고 믿는다. 헤브론은 이러한 서사에서 특별한 의미를 지니는데, 아브라함, 다윗 왕, 그리고 에덴동산의 입구와 관련된 전통이 있다.[270] 헤브론에 정착하는 것은 권리이자 의무이며, 세계에 대한 은혜이며, "만국의 빛" (''오르 라고임'')이 되는 본보기로 여겨진다.[270] 이러한 관점은 팔레스타인인들과의 수많은 폭력적인 충돌을 초래했는데, 일부 정착민들은 이것이 메시아 과정에 기여한다고 본다.

1968년, 모세 레빈거(Moshe Levinger) 랍비와 이스라엘인들로 구성된 한 무리는 관광객으로 위장하여 헤브론의 주요 호텔을 임대하고 떠나기를 거부했다.[271][272] 정부는 처음에는 정착민들을 철수시키려 했지만 결국 인근 군 기지로의 이주를 허용했고, 이곳은 키리야트 아르바(Kiryat Arba) 정착촌이 되었다.[273] 로비 활동 끝에 이 정착촌은 일부 이스라엘 지도자들의 지지를 얻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 정착촌은 기밧 하아보트(Givat Ha'avot)라는 이스라엘 전초기지(전초기지)를 포함하여 확장되었다.[274] 이 작전은 대이스라엘 운동(Movement for Greater Israel)에 의해 계획되고 자금이 조달되었다.[275]

원래 헤세드 라브라함(Hesed l'Avraham)이라고 불렸던 베이트 하다사(Beit Hadassah)는 1893년 바그다드 유대인 가족들의 기부금으로 건설되었으며 헤브론에서 유일한 현대 의료 시설이었다. 1909년, 미국 하다사 여성 시온주의 조직의 이름을 따서 개명되었으며, 의료진을 책임지고 모든 사람에게 무료 의료 서비스를 제공했다.[276] 1979년, 15명의 정착민 어머니와 35명의 아이들로 구성된 한 무리가 이집트와의 협상 기간 동안 정부의 우유부단함을 이용하여 헤브론의 다부이아(Dabouia) 건물에 무단 점거했다. 미리암 레빈거가 이끄는 그들은 유대인 재정착을 위한 교두보를 마련했고 아랍 상인들과 갈등을 일으켰다.[277] 팔레스타인 단체의 보복 공격으로 예시바 학생 6명이 사망했다.[277] 이스라엘 대법원의 항소에도 불구하고 정착민들은 남아 있었다.[278] 그 이듬해, 정부는 헤브론 거주를 합법화하고 선출된 시장을 축출했다.[279] 이러한 정착과 팔레스타인인들과의 적대 행위 패턴은 텔 루메이다(Tel Rumeida)에서 반복되었다.[280][281]

1925년 아브라함 아비누 회당


아브라함 아비누 회당(Abraham Avinu Synagogue)은 이웃의 물리적, 영적 중심지였으며 팔레스타인에서 가장 아름다운 회당 중 하나로 여겨졌다. 1929년 헤브론 학살 당시 소실될 때까지 헤브론에서 유대인 예배의 중심지였다. 1948년 요르단 통치하에 남은 폐허는 파괴되었다.[282] 아브라함 아비누 지구는 구시가지 남쪽 알-슈하다 거리에 있는 채소 및 도매 시장 옆에 세워졌다. 채소 시장은 이스라엘 군에 의해 폐쇄되었고 인근 주택 일부는 정착민과 군인들이 점거했다. 이스라엘 대법원의 정착민들이 이 상점들을 비우고 팔레스타인인들이 돌아올 수 있도록 명령에도 불구하고, 정착민들은 폐쇄된 팔레스타인 상점들을 점거하기 시작했다.[273]

콘스탄티노플 출신 이스라엘 아브라함 로마노가 건설하고 소유한 베이트 로마노(Beit Romano)는 터키 유대인 역사에서 터키 출신 세파르디 유대인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했다. 1901년, 12명의 교사와 최대 60명의 학생이 있는 예시바가 설립되었다.[276] 1982년, 이스라엘 당국은 팔레스타인 교육 사무소(오사마 벤 문케즈 학교)와 인접한 버스 정류장을 접수했다. 이스라엘 대법원의 명령에 반하여 학교는 정착촌으로, 버스 정류장은 군 기지로 바뀌었다.[273]

1807년 이민 온 세파르디 랍비 하임 예슈아 하미츠리(하임 더 이집트 유대인)는 도시 외곽에 5두남을 구입했고 1811년 텔 루메이다에 있는 4개의 구획을 포함한 800두남의 토지에 대한 99년 임대 계약을 체결했다. 유대인들이 헤브론을 떠난 후 그의 후손인 하임 바자이오가 이 구획들을 관리했다. 정착민들의 이 토지에 대한 주장은 이러한 선례에 근거하지만 랍비의 상속인은 이를 기각한다.[283] 1984년, 정착민들은 라마트 예샤이(Ramat Yeshai)라는 카라반 전초기지를 설립했다. 1998년, 정부는 이를 정착촌으로 인정했고, 2001년 국방부 장관은 최초의 주택 단위 건설을 승인했다.[273]

2012년, 이스라엘 방위군은 새로운 정착촌이 도발로 여겨졌기 때문에 즉각 철거할 것을 요구했다.[284] 이스라엘 방위군은 정착민들의 요구에 따라 정착촌과 인접한 헤브론 주민의 지붕에 있는 팔레스타인 깃발을 제거할 것을 요청했지만 이러한 행위를 금지하는 규칙은 없다. 팔레스타인인들에 따르면, 이스라엘 방위군은 헤브론 주민 한 명을 법적 구금에서 석방하는 대가로 깃발 제거를 협상했다.[285] 2016년 8월, 이스라엘은 1990년대 군사 목적으로 몰수된 헤브론의 플루가트 하미트카님 군사 기지에 정착촌 건설을 허용할 의향이 있다고 발표했다.[286]

2019년 말, 나프탈리 베네트 이스라엘 국방부 장관은 이스라엘 민정청에 유대인 지역을 설립하기 위해 헤브론의 오래된 과일 및 채소 시장에 인프라를 재건할 정부의 의도를 팔레스타인 시정부에 알리라고 지시했다. 이는 도시의 정착민 인구를 두 배로 늘릴 수 있게 할 것이다. 조상들의 무덤 학살 후에 보호 임대권을 가지고 있던 이 지역의 원래 주민들은 그 지역을 비워야 했다. 원래 부지는 1948년 이전에 유대인 소유였다. 이 계획은 빈 상점은 팔레스타인인들이 소유하고 그 위에 지어진 단위는 유대인 이스라엘인들이 거주하는 것을 제안한다.[287][288][289]

9. 자매 도시

도시국가
암만عمان|암만ar (요르단)
베이올루Beyoğlu|베이올루tr (터키)
부르사Bursa|부르사tr (터키)
카사블랑카الدار البيضاء|알다르 알바이다ar (모로코)
더비Derby|더비영어 (영국)[308]
페즈فاس|파스ar (모로코)
자자우जजऊ|자자우hi (인도)
케치외렌Keçiören|케치외렌tr (터키)
크랄레보Краљево|크랄레보sr (세르비아)[309]
메디나المدينة المنورة|알마디나 알무나와라ar (사우디아라비아)
생피에르데코르Saint-Pierre-des-Corps|생피에르데코르프랑스어 (프랑스)
샨르우르파Şanlıurfa|샨르우르파tr (터키)
의우义乌|이우중국어 (중국)


참조

[1] 뉴스 Palestinian terrorist in killing of 6 Jews elected Hebron mayor http://www.timesofis[...] 2017-05-14
[2] 웹사이트 Hebron City Profile – ARIJ http://vprofile.arij[...]
[3] 보고서 Preliminary Results of the Population, Housing and Establishments Census, 2017 https://www.pcbs.gov[...] State of Palestine 2018-02
[4] 웹사이트 Women Led Enterprise: Strategies to Revive Hebron's Economy https://www.menacata[...]
[5] PDF Hebron Urban Area Factsheet https://molg.pna.ps/[...] 2024-08
[6] 서적 Medieval Islamic Civilization: A-K, index
[7] 논문
[8] 논문
[9] 논문
[10] 논문
[11] 논문
[12] 저널 Graves, Relics and Sanctuariese: The Evolution of Syrian Sacred Topography (Eleventh-Thirteenth Centuries) https://poj.peeters-[...] 2007
[13] 웹사이트 source text http://www.geocities[...]
[14] 논문
[15] 서적 Before Their Diaspora : A Photographic History of the Palestinians, 1876-1948 Institute for Palestine Studies
[16] 논문
[17] 논문
[18] 논문
[19] 논문
[20] 논문
[21] 논문
[22] 논문
[23] 논문
[24] 논문
[25] 서적 Gibeon and Israel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6] 성경 Joshua
[27] 논문
[28] 논문
[29] 논문
[30] 논문
[31] 논문
[32] 논문
[33] 논문
[34] 논문
[35] 논문
[36] 논문 1983
[37] 서적 The Origins of the Ancient Israelite States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1996-09-01
[38] 논문 1999
[39] 논문 1993
[40] 논문 2016
[41] 논문 2003
[42] 논문 2003
[43] 논문 1999
[44] 논문 2006
[45] 논문 2003
[46] 서적 Antiquities of the Jews 1860
[47] 논문 2010
[48] 논문 2010
[49] 논문 2003
[50] 서적 The Jewish War 1860
[51] 논문 1973
[52] 논문 2002
[53] 논문 1999
[54] 논문 1994
[55] 논문 1910
[56] 논문 1997
[57] 논문 2011
[58] 논문 1999
[59] 논문 2011
[60] 논문 1965
[61] 논문 1997
[62] 논문 2001
[63] 논문 1890
[64] 논문 2002
[65] 논문 1997
[66] 논문 1856
[67] 서적 Israel tourguide 1979
[68] 논문 2000
[69] 논문 1965
[70] 논문 1965
[71] 서적
[72] 서적
[73] 서적
[74] 서적
[75] 서적
[76] 서적
[77] 서적
[78] 서적
[79] 서적
[80] 서적
[81] 서적
[82] 서적
[83] 서적
[84] 웹사이트 History of Hebron https://www.scribd.c[...] 2012-03-02
[85] 서적
[86] 서적
[87] 서적
[88] 서적
[89] 서적
[90] 서적
[91] 서적
[92] 서적
[93] 서적
[94] 서적
[95] 서적
[96] 서적
[97] 서적
[98] 서적
[99] 서적
[100] 서적
[101] 서적
[102] 서적
[103] 서적
[104] 서적
[105] 서적
[106] 논문
[107] 논문
[108] 논문
[109] 논문
[110] 논문
[111] 논문
[112] 논문
[113] 논문
[114] 논문
[115] 논문
[116] 논문
[117] 논문
[118] 논문
[119] 논문
[120] 논문
[121] 논문
[122] 논문
[123] 논문
[124] 서적 History of the Jews of the Netherlands Antilles, Volume 2 https://books.google[...] American Jewish Archives
[125] 논문
[126] 논문 https://archive.org/[...]
[127] 논문
[128] 논문
[129] 논문
[130] 논문
[131] 논문
[132] 논문
[133] 논문
[134] 논문
[135] 논문
[136] 논문
[137] 논문
[138] 논문
[139] 간행물 J. B. Barron, ed. Palestine, Report and General Abstracts of the Census of 1922. Government of Palestine File:J. B. Barron, e[...]
[140] 서적 E. J. Brill's First Encyclopaedia of Islam, 1913–1936 https://books.google[...] Brill
[141] harvard
[142] harvard
[143] harvard
[144] harvard
[145] 뉴스 Eyeing Nepal, experts warn Israel is unprepared for its own Big One http://www.timesofis[...] The Times of Israel 2015-04-27
[146] harvard
[147] harvard
[148] harvard
[149] harvard
[150] harvard
[151] harvard
[152] 서적 Post-holocaust and anti-semitism – Issues 40–75 – Page 35 https://books.google[...] Merkaz ha-Yerushalmi le-ʻinyene tsibur u-medinah, Temple University. Center for Jewish Community Studies
[153] harvard
[154] 잡지 The Tangled Truth https://newrepublic.[...] The New Republic 2008-05-07
[155] harvard
[156] 뉴스 Israel Supreme Court Rules Hebron Jews Can't Reclaim Lands Lost After 1948 http://www.haaretz.c[...] Haaretz 2011-02-18
[157] 서적 The Road to Jerusalem: Glubb Pasha, Palestine and the Jews https://books.google[...]
[158] 서적 Jerusalem
[159] 서적 Jerusalem: One City, Three Faiths
[160] harvard
[161] 서적 Cities of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A Historical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162] 서적 The Encyclopaedia of Islam https://books.google[...]
[163] harvard
[164] harvard
[165] harvard
[166] harvard
[167] harvard
[168] harvard
[169] harvard
[170] harvard
[171] 뉴스 Hebron Jews' offspring divided over city's fate http://fr.jpost.com/[...] The Jerusalem Post 2006-05-17
[172] 뉴스 Hebron descendants decry actions of current settlers They are kin of the Jews ousted in 1929 https://www.angelfir[...] The Philadelphia Inquirer 1997-03-03
[173] 뉴스 80 years on, massacre victims' kin reclaims Hebron house http://www.haaretz.c[...] Haaretz 2007-12-26
[174] 뉴스 Gov't bans Hebron settlers from winterizing controversial house https://web.archive.[...] Haaretz 2007-09-26
[175] 뉴스 Hebron settlers try to buy more homes https://web.archive.[...] The Jerusalem Post
[176] 웹사이트 Settlers threaten 'Amona'-style riots over Hebron eviction https://web.archive.[...] 2008-11-17
[177] 웹사이트 Hebron settler mob caught on video clashing with IDF troops https://web.archive.[...] 2008-11-20
[178] 웹사이트 High alert in West Bank following Beit Hashalom evacuation https://web.archive.[...] 2008-12-04
[179] 서적 unknown https://books.google[...]
[180] 논문
[181] 논문
[182] 논문
[183] 논문
[184] 논문
[185] 논문
[186] 뉴스
[187] 웹사이트 Jewish presence in Hebron is an indisputable historical fact http://www.israelhay[...] 2011-11-04
[188] 논문
[189] 논문
[190] 논문
[191] 간행물 Without Prejudice: The Eaford International Review of Racial Discrimination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the Elimination of All Forms of Racial Discrimination
[192] 뉴스 IDF: Palestinians offer $2,000 for 'martyrs' https://web.archive.[...] 2000-10-06
[193] 뉴스 In Hebron, Protecting Palestinians is Not an Israeli Soldier's Job https://www.972mag.c[...] 2020-06-22
[194] 뉴스 Jared Kushner Does Not See the Brutal Occupation I Helped Carry Out: As a Former Soldier, I Enforced Two Separate Legal Systems for Israelis and Palestinians--The Trump Plan Wants to Make This Reality Permanent https://www.972mag.c[...] 2020-02-03
[195] 웹사이트 What About The Victims? https://web.archive.[...] 1994-05
[196] 논문
[197] 논문 Commission of Inquiry
[198] 논문
[199] 논문
[200] 논문
[201] 논문
[202] 웹사이트 Protocol Concerning the Redeployment in Hebron https://web.archive.[...] United Nations Information System on the Question of Palestine 1997-01-17
[203] 웹사이트 Chabad.org http://www.chabad.or[...] Chabad
[204] 웹사이트 The Geneva Convention http://news.bbc.co.u[...] BBC News 2009-12-10
[205] 웹사이트 West Bank B&B in Hebron's Old City fully booked https://archive.toda[...] 2011-05-23
[206] 웹사이트 Fatal Terrorist Attacks in Israel Since the DOP (Sep. 1993) http://www.mfa.gov.i[...] Israel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00-09-24
[207] 논문
[208] 웹사이트 Two Norwegian observers killed near Hebron: Israeli TV https://web.archive.[...] 2002-03-27
[209] 뉴스 Two Norwegian observers killed near Hebron https://ghostarchive[...] 2002-03-26
[210] 웹사이트 Two TIPH members killed near Hebron https://web.archive.[...] 2002-03-27
[211] 서적 Making Sense of Suicide Missions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12] 뉴스 Palestinian suicide bomber kills 20 and shatters peace process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03-08-20
[213] 뉴스 Ceasefire illusion just blown away http://www.smh.com.a[...] The Sydney Morning Herald 2003-08-21
[214] 웹사이트 B'Tselem – Press Releases – 31 Dec. 2007: B'Tselem: 131 Palestinians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hostilities killed by Israel's security forces in 2007 http://www.btselem.o[...] B'tselem 2007-12-31
[215] 뉴스 Israeli NGO issues damning report on situation in Hebron http://www.reliefweb[...] 2003-08-19
[216] 웹사이트 Hebron, Area H-2: Settlements Cause Mass Departure of Palestinians http://www.btselem.o[...] B'Tselem 2003-08
[217] 웹사이트 Palestine Refugees: a challenge for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ttp://www2.reliefwe[...] 2006-10-10
[218] 웹사이트 Ghost Town: Israel's Separation Policy and Forced Eviction of Palestinians from the Center of Hebron http://www.btselem.o[...] B'Tselem 2007-05
[219] 뉴스 Letter from the West Bank: In Hebron, renovation of holy site sets off strife https://www.washingt[...] 2010-03-08
[220] 뉴스 Hope in Hebron https://web.archive.[...] New York Review of Books 2013-03-22
[221] 웹사이트 Hebron, Area H-2: Settlements Cause Mass Departure of Palestinians http://www.btselem.o[...]
[222] 웹사이트 Mounting Human Rights Crisis in Hebron http://hrw.org/engli[...]
[223] 웹사이트 Israeli human rights group slams Hebron settlers http://www.haaretz.c[...]
[224] 논문
[225] 웹사이트 History/Mission of CPT http://www.cpt.org/p[...] Christian Peacemaker Teams
[226] 웹사이트 Confidential 20-year monitoring report: Israel regularly breaks int'l law in Hebron https://www.haaretz.[...] 2018-12-17
[227] 논문
[228] 서적 The Union Bible Dictionary https://books.google[...] American Sunday-School Union
[229] 웹사이트 Projected Mid -Year Population for Hebron Governorate by Locality 2017-2021 http://www.pcbs.gov.[...] Palestinian Central Bureau of Statistics 2021
[230] 웹사이트 How Palestinians came to reject Kurdish demands for a homeland https://www.newarab.[...] 2024-08
[231] 웹사이트 Samaritans https://www.worldhis[...]
[232] 웹사이트 History Of Hebron https://www.hrc.ps/e[...]
[233] 간행물 Hebron City Profile http://vprofile.arij[...]
[234] 학술지 Total central bank liabilities http://dx.doi.org/10[...] 2014-04-03
[235] 웹사이트 Radionuclides Measurements in Some Rock Samples Collected from the Environment of Hebron Governorate -Palestine https://www.research[...]
[236] 웹사이트 West Bank High Point, Palestinian Authority http://www.peakbagge[...]
[237] 서적 Encyclopedia of Prehistory: South and Southwest Asia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3-03-31
[238] 웹사이트 The Geopolical situation in Hebron https://hlrn.org/img[...] 2024-08
[239] 웹사이트 A Space for Nature: Wadi Al-Quff Nature Reserve https://www.iucn.org[...] 2018-05-30
[240] 웹사이트 Hebron https://www.britanni[...] 2024-07-31
[241] 간행물 Advancing Sanitation Solutions and Reuse in the Hebron Stream: Shared Waters / Geographic Description https://old.ecopeace[...] EcoPeace Middle East
[242] 웹사이트 Hebron, West Bank, PS Climate Zone, Monthly Averages, Historical Weather Data https://weatherandcl[...]
[243] 학술지 Bioclimate of Hebron city in Palestine http://transylvanian[...] 2022-03-17
[244] 웹사이트 Climate Bulletin https://www.pmd.ps/e[...] Palestinian Meteorological Department
[245] 웹사이트 Hebrón https://academia--la[...]
[246] 논문
[247] 서적 Journal of a deputation sent to the East by the committee of the Malta Protestant college, in 1849: containing an account of the present state of the Oriental nations, including their religion, learning, education, customs, and occupations, Volume 2 https://archive.org/[...] J. Nisbet and co.
[248] 논문
[249] 논문
[250] 논문
[251] 논문
[252] 웹사이트 About Founder of Hebron University http://www.hebron.ed[...]
[253] 서적 A ghetto state of ghettos: Palestinians under Israeli citizenship City University of New York
[254] 논문
[255] 서적 https://books.google[...]
[256] 웹사이트 The Hebron most don't see https://www.jpost.co[...] 2018-08-22
[257] 논문
[258] 웹사이트 Ceramics from Hebron https://palestinecen[...] Palestine Center for Peace
[259] 웹사이트 The decline of Hebron's shoe industry http://www.aljazeera[...] 2015-04-04
[260] 웹사이트 The decline of Hebron's shoe industry http://www.al-monito[...] 2013-03-13
[261] 웹사이트 Hebron, the wealthiest, most high-tech Palestinian Authority City http://hebron.org.il[...] the Jewish Community of Hebron 2016-04-06
[262] 뉴스 visiting Royal Industrial Trading in Hebron https://excellencent[...] The Excellence Center 2018-10-04
[263] 웹사이트 Feature: Palestinian recycling factory commits to ending e-waste http://www.news.cn/e[...]
[264] 웹사이트 Palestine: €36 million to build the Hebron regional waste water treatment plant https://www.preventi[...] 2021-04-14
[265] 서적 Peace Building through Women's Health http://dx.doi.org/10[...] Routledge 2021-04-02
[266] 웹사이트 Successes Stories in Hebron Governorate http://www.pipa.ps/p[...]
[267] 웹사이트 Feature: Palestinian factories turn into medical supplies manufacturers amid coronavirus outbreak http://www.xinhuanet[...] Xinhua
[268] 서적 The Palestinian refugees in Jordan 1948–1957 https://books.google[...] Routledge
[269] 서적 The Jerusalem question, 1917–1968 https://books.google[...] Hoover Institution Press
[270] 논문 Living with Contradiction: Examining the Worldview of the Jewish Settlers in Hebron http://www.ijcv.org/[...]
[271] 서적 Jewish Terrorism in Israel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72] 논문
[273] 문서 Occupation in Hebron http://www.ochaopt.o[...] Alternative Information Center
[274] 논문
[275] 논문
[276] 서적 https://books.google[...]
[277] 논문
[278] 논문 People Tied to Place: Strengthening Cultural Identity in Hebron's Old City
[279] 논문
[280] 논문
[281] 논문
[282] 논문
[283] 논문
[284] 뉴스 IDF brass calls for immediate removal of new Hebron settlement http://www.haaretz.c[...] Haaretz 2012-04-02
[285] 뉴스 Following settlers' demand, IDF removes Palestinian flag from Hebron roof http://www.haaretz.c[...] Haaretz 2014-03-17
[286] 뉴스 Watchdog: Expansion of Hebron settlements amounts to 'right of return for Jews only http://www.maannews.[...] Ma'an News Agency 2016-08-22
[287] 뉴스 Israel Plans New Jewish Neighborhood in Hebron's Arab Market https://www.haaretz.[...] Haaretz 2019-12-01
[288] 뉴스 Bennett plans building Jewish neighborhood in Hebron https://www.ynetnews[...] Ynet 2019-12-01
[289] 뉴스 Israel's plan to build new settlement atop Hebron market evokes painful memories for residents https://mondoweiss.n[...] Mondoweiss 2019-12-04
[290] 뉴스 UNESCO declares Hebron, West Bank, a world heritage site https://www.upi.com/[...] UPI 2017-07-07
[291] 뉴스 Israelis outraged by UNESCO decision on Hebron holy site https://web.archive.[...] ABC News 2017-07-07
[292] 웹사이트 # THE FUNAMBULIST PAPERS 13 /// A Visit to The Old City of Hebron by Raja Shehadeh https://thefunambuli[...] 2024-07-31
[293] 논문
[294] 서적 Pilgrimage, sciences and Sufism: Islamic art in the West Bank and Gaza https://books.google[...] Édisud
[295] 웹사이트 The Undiscovered Archaeological Riches of Hebron https://thisweekinpa[...] 2024-08-03
[296] 논문
[297] 서적 Miscellanies of divinitie: divided into three books https://books.google[...]
[298] 논문
[299] 서적 The Fortress of the Raven: Karak in the Middle Islamic Period (1100 -1650) https://books.google[...] Brill
[300] 서적 Encyclopedia of Religions Or Faiths of Man 1906, Part 2 https://books.google[...] Kessinger Publishing
[301] 서적 The Sacred land https://books.google[...] Jewish Publication Society of America
[302] 논문
[303] 논문
[304] 논문
[305] 논문
[306] 서적 The Ottoman World Routledge 2011-12-15
[307] 논문
[308] 뉴스 History made as Derby becomes 'sister city' of Hebron, Palestine http://www.derbytele[...] Derby Telegraph
[309] 웹사이트 Sister and partner cities and municipalities https://www.kraljevo[...] Kraljevo
[310] 웹사이트 Al-Khalil (Hebron) http://citypopulatio[...] Citypopulation 2023-08-02
[311] 웹사이트 World Heritage Committee inscribes new site and approves extension of existing site on UNESCO’s World Heritage List https://whc.unesco.o[...] 유네스코 2017-07-07
[312] 문서 일본 외무성은 헤브론 잠정 국제 프레젠스와 번역. 젬 외무상의 방일에 관한 일본·터키 공동성명(가역)도 참조. https://www.mofa.go.[...]
[313] 웹사이트 Israel to boot international observers out of Hebron, Netanyahu says https://www.timesofi[...] The Times of Israel 2019-01-28
[314] 웹사이트 What do the keffiyeh, watermelon and other Palestinian symbols mean? https://www.aljazeer[...] 알자지라 2023-11-20
[315] 뉴스 Keffiyeh makers turn to social media https://www.bbc.com/[...] BBC News 2011-08-01
[316] 뉴스 Last kaffiyeh factory in Palestinian territories: 'It's more than a business' http://www.theguardi[...] 2010-08-02
[317] 웹사이트 One-of-a-kind West Bank factory ships the colors of Palestinian resilience worldwide https://www.npr.org/[...] NPR (米国公共ラジオ放送) 2024-02-29
[318] 웹사이트 美しい刺しゅう、実はガザ製 空爆被害地、女性の経済自立支える: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ww.asahi.co[...] 2021-10-22
[319] 웹사이트 クーフィーヤについて https://note.com/pal[...] 駐日パレスチナ常駐総代表部 2021-07-02
[320] 웹사이트 Demand for traditional keffiyehs surges in last remaining Palestinian factory https://www.thenatio[...] 2023-12-17
[321] 웹사이트 From Hebron, Palestinian scarf resists… Chinese competition https://www.timesofi[...] 2015-04-25
[322] 웹사이트 Amendment to 41 COM 8B.1 https://www.unwatch.[...] UN Watch 2017-06-05
[323] 웹사이트 特集: 7月7日(金)クラフク世界遺産委員会リポート 第六回 https://www.tbs.co.j[...] TBS 2017-07-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