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진 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진 박은 미국에서 태어나 3세에 바이올린을 시작하여 줄리아드 예비 학교에 최연소 입학하며 신동으로 주목받았다. 1996년 국내 활동을 시작하여 클래식, 재즈 등 다양한 장르를 넘나드는 연주를 선보이며 유진박 신드롬을 일으켰고, 앨범 판매와 공연으로 전성기를 누렸다. 그러나 소속사와의 갈등과 착취 논란, 정신 질환 등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며, 최근에는 재기를 위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바이올린 연주자 - 쳇 앳킨스
미스터 기타라는 별명으로 알려진 미국의 컨트리 음악 기타리스트이자 프로듀서인 쳇 앳킨스는 독창적인 기타 연주 스타일과 수많은 히트곡 제작, 그래미상 14회 수상, 컨트리 음악 명예의 전당 헌액 등으로 컨트리 음악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미국의 바이올린 연주자 - 잭 베니
잭 베니는 "잭 베니 프로그램"으로 전국적인 인기를 얻은 미국의 배우이자 코미디언으로, 구두쇠 캐릭터와 코미디 타이밍으로 유명하며 라디오, 텔레비전, 영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방송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뉴욕주 출신 음악가 - 릭 루빈
릭 루빈은 데프 잼 레코딩스의 공동 설립자이자 컬럼비아 레코드의 공동 대표를 역임한 미국의 음악 프로듀서로, 힙합, 록, 메탈, 컨트리, 팝 등 다양한 장르의 아티스트와 협업하며 폭넓은 음악적 스펙트럼을 보여주었고 조니 캐시의 음악 인생 후반기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그래미 어워드를 수차례 수상하고 창작에 관한 저서를 출간하는 등 음악 산업에 큰 발자취를 남겼다. - 뉴욕주 출신 음악가 - 앨릭 존 서치
본 조비의 초기 베이시스트였던 앨릭 존 서치는 리치 샘보라와 함께 밴드 활동을 하다가 본 조비에 합류, 베스트 앨범 발매 후 탈퇴하여 다른 사업을 하였고, 이후 본 조비 공연에 참여하거나 록큰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기도 했다. - 한국계 미국인 음악가 - 죠앤 (가수)
2001년 '제2의 보아'로 데뷔하여 'First Love' 등의 곡으로 활동했던 가수 죠앤(본명 이연지)은 소속사 분쟁과 슈퍼스타K4 출연 실패 후 미국에서 회사원으로 생활하던 중 2014년 교통사고로 사망했다. - 한국계 미국인 음악가 - 프니엘
프니엘은 보이 그룹 BTOB의 멤버이자 래퍼, 싱어송라이터, 사진 작가, 방송인이며, JYP 엔터테인먼트 연습생 출신으로 BTOB의 리드 래퍼로 데뷔하여 그룹 활동, 솔로 활동, 방송 활동, 사진 전시회 등 다방면에서 활동하고 있다.
유진 박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유진 박 |
원어 이름 | Eugene Park |
본명 | 박유진 (Park Yu-jin) |
출생일 | 1975년 9월 14일 |
출생지 | 미국 뉴욕주 올버니 |
직업 | 바이올리니스트, 작곡가, 작사가, 래퍼 |
장르 | 클래식, 얼터너티브 록, 크로스오버 |
활동 시기 | 1996년 ~ 현재 |
가족 | 아버지 박성유 (Park Seong-yu, 1936~2004) |
종교 | 천주교 (세례명: 요셉) |
웹사이트 | 유진박 갤러리 인스타그램 |
2. 생애
유진 박은 의사였던 한국인 부모에게서 뉴욕에서 태어났다. 세 살 때 바이올린을 시작했고, 여덟 살에 줄리아드 예비학교에 입학했으며, 13세에 링컨 센터에서 공연했다.[1]
그는 줄리아드 콩쿠르, 아스펜 음악학교 콩쿠르, ISO 콩쿠르에서 수상했다.[1] 박이 협연한 오케스트라 중에는 10세 때 웨인 심포니 오케스트라,[2] 2004년 경희대학교에서 뉴욕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서울시립교향악단이 있다.
2004년, 그는 링컨 센터와 UCLA를 포함한 미국 10개 도시를 순회했다.[1] 1996년 줄리아드 졸업 후에는 소니 뮤직과 함께 'The Bridge'(1997)와 'Peace'(1998)라는 두 개의 앨범을 발매했다. 마이클 잭슨과 함께 한국에서 열린 "마이클 잭슨 & 프렌즈" 자선 콘서트 (1999년)와 김대중 대통령 취임식에서 공연했다. 여명의 곡 "Sugar in the Marmalade"에서 바이올린을 연주했으며, 가사에서도 잠시 언급되었다.
2. 1. 어린 시절
미국 뉴욕에서 태어난 유진 박은 3세에 바이올린을 잡기 시작했고, 8세에 전액 장학금을 받으며 역사상 최연소로 줄리아드 예비 학교에 입학했다. 10세 때 웨인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협연했고,[2] 13세에 링컨 센터에서 데뷔하면서 신동 바이올리니스트로 주목받았다.[1] 16세에는 본격적으로 전기 바이올린을 시작하였고, 뉴욕 라디오 시티 뮤직 홀 공연, 슈퍼볼 전야 축제 공연, 아스팬 재즈 앙상블과 협연했다. 또한 뉴욕의 명소이자 유명 라이브 클럽인 《화Wha》, 《블루노트Blue Note》에서 윈튼 마설리스 등 세계 최고의 재즈 뮤지션들과 수많은 협연을 했다.유진 박은 의사였던 한국인 부모에게서 뉴욕에서 태어났다. 그는 줄리아드 콩쿠르, 아스펜 음악학교 콩쿠르, ISO 콩쿠르에서 수상했다.[1]
2. 2. 초기 활동
1996년 줄리어드 음악 대학교를 졸업한 후, 당시 뉴욕 최고 매니지먼트사였던 스카시 스켓과의 계약을 거절하고 열린음악회 초청을 받아 국내 활동을 본격적으로 시작하였다. 유진 박은 대한민국이 낳은 세계적인 천재 바이올리니스트로 소개되면서 팬들에게 뜨거운 성원을 받았다. 클래식, 국악, 재즈, 얼터너티브 록 등 장르를 넘나드는, 당시로서는 격식을 깨는 전기 바이올린 연주를 선보이며 혜성같이 등장한 유진 박은 열정 넘치는 무대 매너와 활발하고 힘찬 연주로 '유진박 신드롬'을 일으킬 만큼 많은 사랑을 받았다. 첫 번째 앨범 《The Bridge》는 백만 장이 팔려 플래티넘을 기록하였다. 폭발적인 연주로 호평을 받아 TV 드라마 출연과 광고도 찍었으며, 1999년 6월에는 자서전 《질주》를 발간하였다. 1998년에는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김대중 취임식 축하 공연과, 1999년 마이클 잭슨의 방한 평화 콘서트에서 《마이클 잭슨과 친구들》로 크고 화려한 무대를 장식했다.[5] 그 후에도 대규모 행사와 콘서트에 주요 연주자로서 초대받으면서 전성기를 구가하였다.유진 박은 의사였던 한국인 부모에게서 뉴욕에서 태어났다. 세 살 때 바이올린을 시작했고, 여덟 살에 줄리아드 예비 학교에 입학했으며, 13세에 링컨 센터에서 공연했다.[1] 1996년 줄리아드 졸업 후, 소니 뮤직과 함께 《The Bridge》(1997)와 《Peace》(1998)라는 두 개의 앨범을 발매했다.
그는 줄리아드 콩쿠르, 아스펜 음악학교 콩쿠르, ISO 콩쿠르에서 수상했다.[1]
박이 협연한 오케스트라 중에는 웨인 심포니 오케스트라 (10세),[2] 2004년 경희대학교에서 뉴욕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그리고 서울시립교향악단이 있다.
2004년에는 링컨 센터와 UCLA를 포함한 미국 10개 도시를 순회했다.[1]
박은 마이클 잭슨과 함께 한국에서 열린 "마이클 잭슨 & 프렌즈" 자선 콘서트 (1999년)와 김대중 대통령 취임식에서 공연했다.
박은 여명의 곡 "Sugar in the Marmalade"에서 바이올린을 연주했으며, 가사에서도 잠시 언급되었다.
2. 3. 최근 활동
2010년 4월 《미라클 오브 스프링(봄의 기적)》 콘서트를 시작으로 국내 귀국과 함께 재기 무대를 가졌다.[1] 2011년 5월에는 새로운 소속사 《스마프 프로덕션》과 전속 계약을 맺고 약 1년 간 함께 음악 작업을 하면서 미니 앨범 《Nostalgia》를 발매했다. 2014년 유진 박의 가능성을 보고 한국에 데뷔시켰던 매니저 김상철 씨와 재회하면서 심리적 안정을 되찾았다. 2017년에는 데뷔 20주년 기념 콘서트를 성황리에 마쳤고, 2018년 아람극장(1800여 석 규모)에서 단독 콘서트를 개최하였다.3. 논란 및 사건
2000년대 들어 유진 박은 대중의 관심에서 멀어졌지만, 2009년과 2013년에 소속사와의 갈등 및 착취 논란으로 다시금 주목받게 되었다.
2009년 7월, 네티즌들은 유진 박이 지방 소규모 행사, 유흥업소 등을 전전하며 소속사로부터 부당한 대우를 받고 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이들은 유진 박이 출연한 행사 내역과 말을 잘 이해하지 못하는 듯한 영상을 증거로 제시했다. 특히, 2009년 6월 말 소속사 여가수를 성폭행한 혐의로 구속된 김 모씨가 유진 박의 전 매니저였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논란은 더욱 커졌다.[1]
이에 언론은 유진 박 측과 접촉했고, 유진 박의 현재 매니저는 유진 박이 최소 10개월 이상 여관에 갇힌 채 연주할 때만 나올 수 있었고, 각종 행사 출연료를 빼앗겼으며, 계약이 끝난 후에도 전 소속사 대표 김 모씨가 바이올린을 돌려주지 않겠다고 협박하며 연주를 강요했다고 주장했다. 유진 박은 인터뷰에서 이러한 주장이 모두 사실이라고 밝혔다.[1]
2008년 12월, 유진 박의 현재 매니저와 어머니는 유진 박과 연락이 닿지 않자 군포경찰서에 신고했다. 그러나 조사 과정에서 유진 박이 감금 사실을 부인하여 경찰은 전 소속사 대표를 무혐의 처리했다. 최근 인터뷰에서 유진 박은 허름한 여관에서 전 소속사 로드 매니저와 장기 투숙하며 자장면과 볶음밥으로 끼니를 때운 적이 많았고, 폭력을 싫어하는데도 사람들이 얼굴에서 피가 날 정도로 때렸으며, 바이올린을 주지 않겠다고 협박하여 큰 상처를 받았다고 밝혔다.[1]
2013년 4월, 한 누리꾼이 부산 소재 곱창집에서 바이올린을 연주하는 남루한 행색의 유진 박 동영상을 인터넷에 올리면서 소속사 착취 논란이 다시 불거졌다. 네티즌들은 서명 운동을 시작했고, 당시 소속사가 없던 유진 박의 스케줄을 관리하던 우 모씨는 언론에 해명해야 했다.[1]
네티즌들은 유진 박이 우울증과 양극성 장애(조울증)를 앓아 왔는데도 무리하게 지방 소규모 행사를 위주로 활동하게 하는 현재 매니저에게도 의혹을 제기했다. 이들은 포털 사이트 다음의 유진 박 공식 팬카페 ‘유진박을 응원하는 시민들의 연합’ 회원들을 중심으로 진실 규명을 위한 서명 운동을 벌이고, 각 방송사에 취재를 요청하거나 국민인권위원회 국민 신문고에 사건을 의뢰하기도 하였다. 2009년 8월 12일, SBS의 시사 고발 프로그램 《뉴스추적》 ‘유진 박의 진실’ 편이 방송되어 유진 박 사건은 전국민의 관심사로 다시 떠올랐다. 그러나 유진 박 전 소속사 대표의 폭행·감금 혐의는 유진 박의 출국으로 조사가 중단되었다. 2011년 1월,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는 소속사 연예인에게 성상납을 강요하고 성폭행한 혐의로 기소된 모 연예기획사 대표 김모 씨에게 징역 1년을 선고했다.
3. 1. 소속사와의 갈등 및 착취 논란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유진 박은 대중의 관심에서 멀어져 갔다. 그러던 2009년 7월 말, 네티즌들은 유진 박이 지방의 소규모 행사, 유흥업소, 무료 행사장을 전전하며 소속사로부터 부당한 대우를 받고 정신적 고통을 겪는다는 주장을 제기했다. 이들은 유진 박이 출연한 행사 내역과 말을 잘 이해하지 못하는 듯한 영상을 근거로 제시했다. 특히, 2009년 6월 말 소속사 여가수를 성폭행한 혐의로 구속된 김 모씨가 유진 박의 전 매니저였다는 사실이 폭로되면서 논란은 더욱 커졌다.[1]네티즌들의 문제 제기가 이어지자 언론이 유진 박 측과 접촉했다. 유진 박의 현재 매니저는 유진 박이 최소 10개월 이상 여관에 갇힌 채 연주할 때만 나올 수 있었고, 각종 행사 출연료를 빼앗겼으며, 계약이 끝난 후에도 전 소속사 대표 김 모씨가 바이올린을 돌려주지 않겠다고 협박하며 연주를 강요했다고 주장했다. 유진 박은 인터뷰에서 이러한 주장이 모두 사실이라고 밝혔다.[1]
2008년 12월, 유진 박의 현재 매니저와 어머니는 유진 박과 열흘 정도 연락이 닿지 않자 군포경찰서에 신고했다. 그러나 조사 과정에서 유진 박이 감금 사실을 부인하여 경찰은 전 소속사 대표를 무혐의로 처리했다. 최근 인터뷰에서 유진 박은 허름한 여관에 전 소속사 로드 매니저와 장기 투숙하며 자장면과 볶음밥으로 끼니를 때운 적이 많았고, 폭력을 싫어하는데도 사람들이 얼굴에서 피가 날 정도로 때렸으며, 바이올린을 주지 않겠다고 협박하여 큰 상처를 받았다고 밝혔다.[1]
2013년 4월, 한 누리꾼이 부산 소재 곱창집에서 바이올린을 연주하는 남루한 행색의 유진 박 동영상을 인터넷에 올리면서 소속사 착취 논란이 다시 불거졌다. 네티즌들은 서명 운동을 시작했고, 당시 소속사가 없던 유진 박의 스케줄을 관리하는 우 모씨는 언론에 해명해야 했다.[1]
3. 2. 네티즌 구명 운동
한편 네티즌들은 유진 박이 그동안 심한 우울증과 양극성 장애(조울증)를 앓아 왔는데도 충분한 휴식과 요양 없이 무리하게 지방 소규모 행사를 위주로 소모성을 띠는 활동하게 하는 현재 매니저를 대상으로도 의혹을 꾸준히 제기한다. 특히 이 사건이 알려진 직후 개설된 포털 사이트 다음의 유진 박 공식 팬카페 ‘유진박을 응원하는 시민들의 연합’ 회원들을 중심으로 각종 커뮤니티를 이용해 진실을 규명하자는 취지로 서명 운동을 벌이고 각 방송사에 취재를 요청하였으며, 국민인권위원회 국민 신문고에 사건을 의뢰하기도 하였다. 이 사람들은 전 소속사에서 있었던 폭행·감금 가해자들을 뚜렷하게 처벌해야 하고 현재 유진 박 매니지먼트를 맡는 회사와 관계도 정리하여야 한다는 의견을 피력한다. 현재의 영세한 시스템 안에서 소모성을 띤 연주를 많이 하기보다는 장기에 걸친 전망이 있는 매니지먼트가 필요하다고 주장하는 이 사람들은 인권 단체와 변호사를 이용한 방법을 모색하면서 유진 박이 공연하는 장소를 방문하여 '우리가 당신을 돕겠다', '당신은 혼자가 아니다'라는 내용이 적힌 영문 피켓을 들기도 하였다. 특히 2009년 8월 12일에 SBS의 시사 고발 프로그램인 《뉴스추적》 ‘유진 박의 진실’ 편이 방송되어 많은 이들을 슬프게 하고 충격스럽게 하였으며, 유진 박 사건은 전국민의 관심사로 다시 한 번 더 떠올라 구명 운동에 불을 당기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유진 박의 전소속사 대표의 폭행·감금혐의는 유진 박의 출국으로 조사가 중단되었다. 소속 연예인 유진박에게 정신적, 신체적 학대를 하고 행사비 갈취한 것에 대한 처벌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채 그 이후, 2011년 1월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는 소속사 연예인에게 성상납을 강요하고 성폭행한 혐의로 기소된 모 연예기획사 대표 김모 씨에게 징역 1년을 선고했다.4. 수상 경력
5. 음반 목록
유진 박의 음반 목록은 다음과 같다.
- 1997년: The Bridge
- 1998년: Peace
- 2000년: Live
- 2006년: Gust
- 2011년: 미니 앨범 Nostalgia
5. 1. 정규 음반
발매 연도 | 음반명 |
---|---|
1997년 | The Bridge |
1998년 | Peace |
2001년 | 유진박 LIVE |
2006년 | Gust |
2011년 | Nostalgia |
5. 2. 참여 음반
연도 | 음반명 | 비고 |
---|---|---|
1997 | 《The Bridge》 | |
1997 | 김덕수 미스터 장고 | 돛단배 |
1998 | 《Peace》 | |
1998 | 컨추리 꼬꼬 1집 | 그대에게 가는 길 |
1999 | 마법의 성 OST | 작은섬2, Snow Hill |
1999 | 써니 1집 | Damage |
1999 | 여명 Leon Now | Sugar in the Marmalade |
1999 | Now N New(하나 되어) | [6] |
2000 | 《Live》 | |
2000 | 행복한 장의사 OST | |
2000 | MBC 드라마 허준 OST | 지요일선도, 사향思鄕 |
2001 | 크라잉 넛 3집 | 웃기지도 않는 이야기 |
2002 | 샤크라 3집 | 돌아와 |
2002 | 반야 - Pump it Up | 무혼(Solitary) |
2002 | 크라잉 넛 4집 | 개가 말하네 |
2006 | 《The 3rd - Gust》 | |
2007 | 니나노 1집 | |
2008 | Time After Time 1 | Imaginary Pictures |
2011 | 미니 앨범 《Nostalgia》 | |
2019 | 마미손 정규 1집 | My sadness |
6. 음악 활동
유진 박은 뉴욕에서 태어나 세 살 때 바이올린을 시작했다. 여덟 살에 줄리아드 예비학교에 입학했고, 13세에 링컨 센터에서 공연했다.[1] 1996년 KBS 열린음악회의 초청을 받아 국내 활동을 시작했다. 클래식, 국악, 재즈, 얼터너티브 록 등 다양한 장르를 넘나드는 전기 바이올린 연주를 선보이며 큰 사랑을 받았다.
줄리아드 졸업 후 소니 뮤직과 함께 두 개의 앨범을 발매했으며, 1998년 김대중 대통령 취임식 축하 공연과 1999년 마이클 잭슨 방한 평화 콘서트 《마이클 잭슨과 친구들》에서 공연했다. 줄리아드 콩쿠르, 아스펜 음악학교 콩쿠르, ISO 콩쿠르에서 수상했고,[1] 웨인 심포니 오케스트라,[2] 뉴욕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서울시립교향악단과 협연했다. 2004년에는 링컨 센터와 UCLA를 포함한 미국 10개 도시를 순회했다.[1]
여명의 곡 "Sugar in the Marmalade"에서 바이올린을 연주했다.
6. 1. 미국
유진 박은 의사였던 한국인 부모에게서 뉴욕에서 태어났다. 3세에 바이올린을 시작했고, 8세에 전액 장학금을 받으며 역사상 최연소로 줄리아드 예비학교에 입학했다.[1] 10세 때 웨인 심포니 오케스트라(Wayne Symphony Orchestra)와 협연했고,[2] 13세에 링컨 센터에서 데뷔하면서 신동 바이올리니스트로 주목받았다.[1] 16세에 본격적으로 전기바이올린을 시작하였고 뉴욕 라디오 시티 뮤직 홀 공연, 슈퍼볼 전야 축제 공연, 아스팬 재즈앙상블 협연을 했다. 뉴욕의 명소이자 유명 라이브 클럽 《화Wha》, 《블루노트Blue Note》에서 윈튼 마설리스 등 세계 최고의 재즈뮤지션과 수많은 협연을 했다.그는 줄리아드 콩쿠르, 아스펜 음악학교 콩쿠르, ISO 콩쿠르에서 수상했다.[1]
연도 | 내용 |
---|---|
3세 | 바이올린 시작 |
8세 | 줄리어드 예비 학교 전액 장학생으로 입학 |
10세 | 웨인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협연 |
13세 | 링컨 센터 무대 데뷔 |
줄리어드 스쿨 콩쿨 우승 | |
ISO 컴피티션 대상 | |
아스팬 뮤직 스쿨 컴피티션 우승을 비롯해 콩쿨 6개에서 우승 | |
미국 슈퍼볼 전야제 오프닝 공연 |
박이 협연한 오케스트라 중에는 웨인 심포니 오케스트라 (10세),[2] 뉴욕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서울시립교향악단이 있다.
2004년, 그는 링컨 센터와 UCLA를 포함한 미국 10개 도시를 순회했다.[1]
6. 2. 대한민국
1996년 줄리어드 음악 대학교를 졸업한 후, 당시 뉴욕 최고 매니지먼트사였던 스카시 스켓과의 계약을 거절하고 KBS 열린음악회의 초청을 받아 국내 활동을 본격적으로 시작하였다.[5] 클래식, 국악, 재즈, 얼터너티브 록 등 다양한 장르를 넘나드는 전기 바이올린 연주를 선보이며 혜성같이 등장한 유진 박은, 열정적인 무대 매너와 힘찬 연주로 '유진 박 신드롬'을 일으킬 만큼 큰 사랑을 받았다. 첫 앨범 《The Bridge》는 백만 장 이상 판매되어 플래티넘을 기록하였고,[7] TV 드라마 출연과 광고 촬영, 1999년 6월 자서전 《질주》 발간으로 이어졌다.[11] 1998년 김대중 대통령 취임식 축하 공연과 1999년 마이클 잭슨 방한 평화 콘서트 《마이클 잭슨과 친구들》에서 화려한 무대를 장식하며 전성기를 누렸다.[5]연도 | 내용 |
---|---|
1996년 12월 | KBS 열린음악회에서 국내 활동 시작 |
1997년 | 야누스, 버드랜드, 천년 동안도를 비롯해 국내 라이브 클럽 무대에서 활동 |
3월 12일 예술의 전당 《'97 신춘 음악회 판놀음》 | |
7월 17일 잠실 올림픽 주경기장 《우리생애 최고의 메가콘서트》 | |
7월 27일 세종문화회관 《Summer Jazz Festival》 | |
8월 29일 《Sony Music Entertainment Japan Tokyo Meeting & Show Case》 | |
8월 1집 앨범《The Bridge》 발매[7] | |
9월 2일 | 서울 신라호텔 첫 솔로 앨범 《The Bridge》 발매 기념 쇼케이스·기자회견 |
11월 8일 | 프로농구 개막식 연주 |
12월 10일~11일 | 서울 사물놀이 김덕수 40주년 기념음반 《미스터 장고》콘서트 |
1998년 | 1월 2일 중국 《상하이 뮤직 페스티벌》 한국 대표로 참가 |
1월 10일 COOCOO의 모임[8]및 작은 공연[국제전자상가 이벤트홀] | |
1월 16일 "문화사랑회" 발족 기념 첫 음악회 출연[신라호텔 다이너스티홀][9] | |
2월 25일 대한민국 《제 15대 대통령 김대중 취임식》 축하 공연 | |
5월 30일 올림픽 체조경기장 《'98 자유공연》 | |
8월 스피드 012 부산, 전남, 대전 콘서트 참가 | |
8월 17일 《ACE OF BASE》 협연 공연 | |
11월 | 2집 앨범 《Peace》 발표 |
12월 | 「유진 박장학회」[10]설립. |
12월 25일 | 서울 Hyatt 호텔 Grand Ballroom 공연 |
1999년 | 2월 2일 《유진박과 함께하는 주연테크PC 대축제》 |
2월 9일 《한국 미술 독일 순회전 귀국전》 | |
2월 24일 《국민의 정부 출범 1주년 기념 문화잔치》 서울 청와대 특별공연 | |
5월 《'99 서울 모터쇼》 삼성 코엑스 | |
6월 1일 자서전 《춤추는 바이올린 유진박 질주》발간[11] | |
8월 22일 《북경 한·중수교 7주년 한국가요의 밤》 | |
10월 14일 《제 4회 부산 국제 영화제(PIFF)》 개막식 공연 | |
12월 25일 | 《Joy Of Christmas》 예술의 전당 콘서트 |
12월 31일 | 대한민국 새천년준비위원회 주최 《새천년맞이 국민대축제》 |
2000년 | 1월 1일 새천년맞이 《난계 국악단 신년 음악회》 |
8월 25일 《국제 동경 모터쇼》 축하 공연 | |
10월 《다임러 크라이슬러 코리아》, 《유네스코 2000》 | |
12월 《한국 국악 선교회 창립 16주년 기념 음악회》 | |
2001년 | 3월 《유진박 라이브 앨범》 발매 |
4월 베이징 《한중 슈퍼콘서트》 | |
2002년 | 4월 《한일 월드컵 성공기원 음악회》 |
5월~6월 월드컵 홍보대사 위촉 및 全경기 응원단 축하 공연 | |
9월 부산 아시안 게임 《36억 아시아 우정의 축제》 | |
11월 《한미 친선회》 | |
2003년 | 5월 5일 《어린이 날 올림픽 공원 대축제》 |
8월 《광주 국제 영화제》 | |
9월 《유진박 리사이틀-클래식과 재즈의 만남》 | |
11월 《2003 국제 F3 코리아 슈퍼프리》 | |
12월 세종 문화회관《유진박 송년 음악회》 | |
2004년 | 4월 4일 《평화 국제 마라톤 대회》 |
6월 APEC 개최 축하 공연 | |
7월 12일 베이징 《CCTV 한류 중심》 참가 | |
7월 16일 베이징 《앙드레 김 패션쇼》축하 공연 | |
2005년 | 4월 《서울 심포니 오케스트라 협연》 |
8월 21일 중화 세기단 《CKCG 2005》 | |
9월 2일 《광주 국제 영화제》 축하 공연 | |
9월 30일 《세계 아리랑 축제》 | |
2006년 | 4월 9일부천 《진달래꽃 축제》 |
5월 22일 《소리꾼 신영희의 소리인생 50주년 기념》 예술의 전당 | |
6월 25일 유진박과 진보라의 《원두막 콘서트》 | |
7월 7일 3집 《GUST》 발매 | |
8월 17일 《부천 국제 만화 축제》 개막식 | |
9월 14일 《노스텔지아 : Fall Story》 KAIST | |
10월 30일 | 《동아시아 한·중·일 방송PD 포럼》 축하 공연 |
2007년 | 2월 14일 LPGA투어 《SBS오픈 하와이 대회》축하 공연 |
9월 1일 《북한 장애인 돕기 자선 음악회》올림픽 공원 | |
9월 13일 《제주 영화제》 | |
10월 18일 《서울 국제 영화제》 | |
10월 21일 《SBS 한류 패션 페스티벌》 오프닝 공연 | |
10월 28일 KBS특집 《2012 세계 여수 엑스포 유치 성공 기원-바다의 꿈》 | |
11월 23일 | 《한·중 문화교류 베이징 올림픽 성공 기원》 |
2008년 | 4월 16일 《유니베라 수요 음악회》 |
5월 서울 코엑스 《제 2회 국제 브레인HSP 올림피아드》 | |
6월 3일 《희망·사랑 나눔 콘서트》 | |
7월 24일 《2008 동아시아 어린이 공연 예술제》 | |
8월 22일 《2008 국제 재즈 축제》 | |
9월 25일 《유진박 인순이 장흥 파워콘서트》 | |
12월 12일 | 《백지영 박상민의 아름다운 동행 콘서트》 |
2009년 | 3월 《The Again 유진박 콘서트》 |
7월 17일 《2009 구미 YesRock 페스티벌》 | |
8월 2일 《2009 어린이 대공원 여름 축제》 | |
9월 26일 뉴욕 시티필드 《뉴욕 추석 대잔치》 | |
10월 3일 뉴욕 《2009 코리안 퍼레이드 페스티벌》 | |
11월 7일 성프란치스코 성당 《탈북 난민·노숙자 돕기》 | |
12월 10일 《가든 스테이트 오페라단·FBI 송년 음악회》 | |
12월 18일 | 서든 인라인먼트 시어터 후원 갈라 |
12월 24일 | 《유진박·이치현과 벗님들》 KRB 한국 라디오 방송주최 |
2010 | 4월 10일 《유진박&위 투어 콘서트》 |
4월 24일 시카고 맥코믹 플레이스 《2010 NRA 국제 외식산업 박람회》 | |
5월 30일 뉴욕 《New York American Youth Annual Gala》 | |
6월 13일 예술의 전당 《콘서트 홀'코리아 타악기 오케스트라》 | |
7월 8일 《제 12회 IYF 서울 국제 청소년 영화제》 개막식 | |
7월 10일 《2010 부산 IYF 월드 캠프》공연 | |
10월 10일 | 맨해튼 랜달파크 추석 공연 |
12월 | 《유진박 리턴 오리지날 WITH 고릴라 크루》 |
2011 | 1월 26일 《KBS 찾아가는 음악회》 |
3월 18일 《KAFFNY 뉴욕 한인 영화제》 | |
6월 24일 미국 《한인 체전 개막식》 | |
7월 15일 울산 단독 초청 《유진박 부활 콘서트》 | |
10월 21일 미니 앨범 《EP Nostalgia 노스텔지어》 발매 | |
12월 16일 | 미국 《미·한국 상공회의소》 초청 공연 |
12월 30일 | 《유진박 Propose, Adieu 2011》 청담동 비하이브 갤러리 |
2012 | 3월 10일 《화이트데이 콘서트》청담동 비하이브 갤러리 |
3월 23일 《JUMP 콘서트》 성균관대 새천년홀 | |
5월 19일 《2012 과천 토요예술 무대》 개막식 공연 | |
7월 12일 《씨앤앰(C&M) 행복나눔 착한 콘서트》 용산 | |
12월 6일 《2012 필리핀 한인 총연합회 정기 총회》 | |
12월 19일 | 《씨앤앰(C&M) 행복나눔 착한 콘서트》 관악구 |
12월 24일 | 《제주 롯데 호텔 X-MAS 이브파티》 |
2013 | 4월 13일 부산 센텀시티역 《힐링 콘서트》 |
4월 21일 《2013 청도 유등제》 | |
5월 4일 충북 청주 《이은미·유진박 힐링 콘서트》 | |
6월 11일 《제 8회 울산 대공원 장미축제》 | |
6월 14일 부산 영화의 전당 하늘연극장 양욱진, 정성흡 & 프렌즈2 - 유진박, Back to Classic[12] | |
6월 28일 경산 《2013 열린 음악회》 | |
6월 29일 《씨앤앰(C&M) 착한 콘서트 시즌2》 마포 | |
7월 13일 군산 《이은미·유진박 힐링 콘서트》 | |
7월 20일 《씨앤앰(C&M) 콘서트 시즌2》 일산 | |
7월 26일 | 《유진박, Back To Classic》 김해 박물관 15주년 개관 기념 |
7월 31일~8월 6일 | 《씨앤앰(C&M) 행복나눔 캄보디아 자선 착한 콘서트》 |
7. 방송 출연
방송사 | 프로그램명 | 날짜 | 비고 |
---|---|---|---|
KBS | 《일요 스페셜》 | 1995년 | 줄리어드 |
KBS | 《열린 음악회》 | 1996년 12월 14일 | |
MBC | 《문화특급》 | 1997년 1월 6일 | |
MBC | 《일요 음악회》 | 1997년 5월 13일 | |
MBC | 《생방송 좋은 밤입니다》 | 1997년 6월 9일 | |
KBS1 | 《체험 삶의 현장》 | 1997년 6월 9일 | |
MBC | 특집 《한마음 음악회》 | 1997년 6월 10일 | |
Mnet | 《프라임 콘서트》 | 1997년 7월 14일 | 실황 방송 |
SBS | 《생방송 금요베스트 10》 | 1997년 9월 12일 | |
SBS | 《특집쇼 가을 대잔치》 | 1997년 10월 10일 | 축하공연 |
SBS | 《생방송 한밤의 TV연예》 | 1997년 10월 30일 | 유진박 콘서트 탐방 |
MBC | 《박상원의 아름다운 TV 얼굴》 | 1997년 11월 5일 | [13] |
Mnet | 《인천 시민음악축제》 | 1997년 11월 19일 | |
KBS1 | 열린 음악회 | 1997년 12월 2일 | 20+21 대합창 |
MBC | 특별 생방송 《새출발을 위한 국민 대합창》 | 1997년 12월 19일 | |
SBS | 신년특집 《98 연예계 스타 대예언》 | 1998년 1월 1일 | 축하공연 |
KBS2 | 《이소라의 프로포즈》 | 1998년 1월 3일 | |
MBC | 신년특집《10시! 임성훈 입니다-1998 당신이 최고!》 | 1998년 1월 6일 | |
MBC | 《쇼 토요특급》 | 1998년 1월 17일 | |
MBC | 《생방송 젊은 그대》 | 1998년 2월 3일 | |
아리랑 TV | 영어 장학퀴즈《퀴즈 챔피언》 | 1998년 2월 17일 | 출연 |
A&C채널 | 《유진박 록콘서트》 | 1998년 3월 1일 | 방영 |
KBS2 | 《가족오락관》 | 1998년 3월 11일 | |
A&C | 《바하에서 비틀즈까지》 | 1998년 4월 1일 | 방영 |
MBC | 《음악캠프》 | 1998년 6월 6일 | [14] |
KBS2 | 드라마 《킬리만자로의 표범》 | 1998년 6월 8일 | 바이올리니스트로 출연 |
SBS | 《생방송 한밤의 TV연예》 | 1998년 10월 8일 | 2집 작업 근황 |
MBC | 시트콤 《남자 셋 여자 셋》 | 1998년 11월 | 서울의 휴일 편 출연 |
iTV | 《불우 청소년을 위한 박찬호 자선 디너쇼》 | 1998년 11월 7일 | 출연 |
KBS2 | 《채시라의 세레나데》 | 1998년 11월 7일 | |
MBC | 《금강산 관광 첫출항 특집 전야제》 | 1998년 11월 17일 | |
국립영상 | 《우리 가락 100회 특별 공연-우리 가락 우리 춤》 | 1998년 12월 17일 | |
SBS | 《생방송 한밤의 TV연예》 | 1998년 12월 31일 | 제야의 타종식 현장 |
MBC | 《음악캠프》 | 1999년 1월 9일 | |
KBS | 《청소년 음악회-록과 우리음악의 어울림》 | 1999년 1월 20일 | |
iTV | 《최화정, 김원희의 3일간의 사랑》 | 1999년 2월 2일 | |
KBS2 | 《체험 삶의 현장》 | 1999년 2월 8일 | 흑염소 농장편 출연 |
SBS | 시트콤 《LA아리랑》 | 1999년 2월 13일 | 특별 출연 |
SBS | 《아주 특별한 사랑》 | 1999년 3월 6일 | |
채널19 | 《무한접속 뮤직파일》 | 1999년 5월 12일 | |
MBC | 《문화 초대석》 | 1999년 9월 17일 | |
MBC | 《수요 예술무대》 | 1999년 11월 17일 | |
SBS | 《기분 좋은 밤》 | 1999년 11월 19일 | |
EBS | 공사 출범 축하공연 | 2000년 4월 19일 | |
KBS | 국악 관현악단 《성탄 음악회》 | 2000년 12월 13일 | 출연 |
EBS | 《춤추는 소녀 와와》 | 2002년 10월 | |
SBS | 《학교전설》 | 2004년 12월 18일 | 받아쓰기 대회 |
SBS | 《금요 컬처클럽》 | 2005년 10월 14일 | 263회 |
KBS | 다큐멘터리《아담의 언어 마임》 | 2006년 7월 15일 | |
KBS | 《정은아 I콘서트》 | 2006년 8월 2일 | 유진박 컴백 특집 |
KBS1 | 《열린 음악회》 | 2006년 8월 20일 | |
KBS | 추석특집 《보이는 라디오》 | 2006년 9월 | |
KBS1 | 《클래식 오딧세이》 | 2007년 4월 12일 | |
울산MBC | 창사 기념 이색 콘서트》 | 2007년 4월 27일 | |
SBS | 《김미화의 U》 | 2007년 5월 7일 | 오프닝 무대에 출연 |
KBS2 | 《생방송 세상의 아침》 | 2007년 6월 21일 | |
KBS2 | 《생방송 세상의 아침》 | 2007년 10월 26일 | |
국회 방송 | 《국회 송년의 밤》 | 2007년 12월 4일 | |
광주MBC | 《문화콘서트 난장》 | 2007년 12월 23일 | |
KBS광주방송총국 | 《콘서트 필》 | 2008년 6월 | |
KBS2 | 《연예가 중계》 | 2009년 8월 3일 | [15] |
SBS | 《배기완 최영아 조형기의 좋은 아침》 | 2009년 8월 3일 | |
SBS | 《한밤의 TV연예》 | 2009년 8월 5일 | 233회 |
SBS | 《뉴스추적》 | 2009년 8월 12일 | 유진박의 진실[16] |
MBC | 《기분 좋은 날》 | 2009년 8월 28일 | 유진박 스페셜 |
SBS | 《배기완 최영아 조형기의 좋은 아침》 | 2009년 8월 31일 | |
SBS | 《한밤의 TV연예》 | 2010년 4월 1일 | |
KBS2 | 《여유만만》 | 2010년 4월 5일 | |
SBS | 《생방송 투데이》 | 2010년 4월 14일 | '다시 일어선다! 유진박' |
SBS | 《놀라운 대회 스타킹》 | 2010년 5월 29일 | 166회[17] |
KBS1 | 《도전! 골든벨》 | 2010년 12월 26일 | |
tvN | 《모닝토크쇼 브런치》 | 2011년 3월 1일 | |
MBC | 특선 다큐멘터리 《고려초조대장경》OST | 2011년 4월 29일, 5월 5일 | 참여 |
MBC FM4U | 《두시의 데이트 주영훈입니다》 | 2011년 11월 10일 | |
MBC FM4U | 창사 50주년 《두시의 데이트 주영훈 입니다》 | 2011년 12월 2일 | 공개 방송 |
SBS |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행》 | 2012년 1월 30일 | [18] |
MBC | 《기분 좋은 날》 | 2012년 3월 27일 | |
MBC | 《여유만만》 | 2012년 4월 17일~5월 15일 | [19] |
KBS | 《열린 음악회》 | 2012년 11월 25일 | |
아르떼TV | 2012년 12월 20일 | 출연 | |
아리랑 라디오 | 2012년 12월 26일 | ||
KBS | 《생방송 가는 해 오는 해》 | 2012년 12월 31일 | |
KBS1 | 《아침마당》 | 2013년 1월 26일 | 가족이 부른다 |
tvN | 《Tvn eNews 결정적 한방》 | 2013년 4월 17일 | |
JTBC | 《연예 특종》 | 2013년 4월 19일 | |
MBC | 《기분 좋은 날》 | 2013년 4월 22일 | |
KBS | 《취재파일K》 | 2013년 5월 24일 | |
KBS부산방송총국 | 《TV 문화속으로》 | 2013년 6월 11일 | |
tvN | 《Tvn eNews 결정적 한방》 | 2013년 6월 26일 | |
KBS2 | 《여유만만》 | 2013년 7월 3일 | |
KBS1 | 《인간극장》 | 2017년 5월 15일~5월 19일 | Hey,Eugene |
KBS2 | 《TV는 사랑을 싣고》 | 2021년 2월 24일 |
참조
[1]
간행물
KGA Times
http://kgatimes.or.k[...]
[2]
웹사이트
Interview
http://www.1stopkore[...]
[3]
기타
인간극장 Hey,Eugene 5부 1분 50초 참조
[4]
기타
인간극장 Hey,Eugene 5부 2분 10초 참조
[5]
기타
1999년 6월 서울 올림픽 주 경기장에서 세계전쟁희생자 및 전 세계 불우이웃돕기 자선공연 '마이클과 친구들'
[6]
기타
유진 박의 바이올린 도입부 연주로 시작하는 이곡은 IMF 1999년 당시 국내 최고 실력과 많은 인기를 누리고 있는 뮤지션이 62명이 모여 부른 곡이다.
[7]
기타
앨범 《The Bridge》는 클래식, 재즈, 테크노, 얼터너티브 록, 국악까지 포괄한다. 특정 장르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음악을 표현하고 싶어 제작
[8]
기타
COOCOO의 모임은 천리안, 나우누리, 하이텔, 유니텔을 보롯한 통신상에 있는 팬클럽이다.
[9]
기타
"문화사랑회"는 문화 애호가들이 모여 문화 사업을 후원하는 모임이다.
[10]
기타
「유진 박장학회」는 6개월마다 가정 형편이 어려운 고교생 20명을 선정해 장학금 50만 원씩을 지원하고 해당 학교에는 시가 150만 원에 상당한 전기 바이올린을 1대씩 기증한다. 설립 당일 장학금 수혜 학생과 학부모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기념하는 공연했다.
[11]
서적
유진박의 자서전 질주
http://book.naver.co[...]
[12]
공연
‘천재음악가-클래식에서 재즈로, 그리고 다시 클래식으로’
[13]
기타
소니레코드 사장단 초청으로 해외공연을 마치고 돌아온 유진박을 타이현지 취재했다.
[14]
기타
전쟁영화 음악 'The Longest Day'와 '콰이강의 다리'를 연주했다.
[15]
인터뷰
폭행 및 감금 심경 최초 인터뷰
[16]
뉴스
뉴스추적 다시보기, '유진박의 진실'
http://media.daum.ne[...]
[17]
방송
돌아온 천재 유진박, SBS 놀라운 대회 스타킹 166회
http://vod.sbs.co.kr[...]
[18]
방송
바이올리니스트를 꿈꾸는 시각장애소녀편에 특별출연
[19]
방송
'유진박의 맛있는 콘서트' 총 5회 출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