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윤승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윤승선은 대한제국의 관료 윤치오의 아들로, 경성고등공업학교를 졸업하고 황해도에서 공직 생활을 시작했다. 이후 일본군 관동군사령부에서 대위, 시설장교를 역임했다. 광복 후에는 해사협회, 해방병단 창립에 참여하고 미군정청 건축서 공사과장을 지냈다. 대한민국 해군 창설에 참여하여 백두산함 인수에 관여했고, 6.25 전쟁에 참전하여 해군 소령, 해군 시설감을 역임했다. 휴전 후 해병대 공병감 등을 지냈으며, 응용공업주식회사 취체역 부사장과 민주당 고문을 역임했다. 가족 관계로는 윤영렬의 손자이며, 부인 이을남과의 사이에서 아들 윤광구, 윤원구 등을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성고등공업학교 동문 - 이상 (작가)
    일제강점기 한국의 아방가르드 작가이자 건축기사였던 이상은 '오감도'와 '날개' 등 실험적인 작품으로 한국 문학사에 독보적인 자취를 남겼으며, 초현실주의 기법과 수학·건축적 요소를 결합하여 현대인의 소외와 내면세계를 탐구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 대한민국 해병 대령 - 홍성철
    홍성철은 대한민국 군인 출신 관료로, 해병대 대령 예편 후 주미국 참사관, 공사, 국무총리비서실 실장, 대통령비서실 정무수석비서관, 내무부 장관, 보건사회부 장관, 대통령비서실 실장, 통일원 장관 등을 역임하며 다양한 사회단체에서 활동했다.
  • 대한민국 해병 대령 - 안창관
    해병대 창군 멤버인 안창관은 6.25 전쟁의 주요 전투에서 공을 세워 태극무공훈장을 수훈하고 해병대 제1연대장을 지냈으며, 대한민국 국가보훈처에서 이달의 호국 인물로 두 차례 선정되었다.
  • 군사공학 - 공병
    공병은 군사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건설 및 파괴 임무를 수행하며, 도로 및 교량 건설, 장애물 설치 및 제거, 지뢰 매설 및 제거, 도하 지원 등을 주요 임무로 하며, 전투 공병과 시설 공병으로 구분된다.
  • 군사공학 - 수중폭파대
    수중폭파대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 해군에서 창설되어 상륙 작전 전 해안 정찰 및 수중 장애물 제거 임무를 수행한 특수 부대로, 주요 작전에 투입되어 활약했으며 NASA의 유인 우주 캡슐 회수 작전을 지원하기도 했고 냉전 시대에는 일부가 네이비 씰로 재편성되었다.
윤승선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윤승선
현지어 표기尹昇善
본관해평(海平)
정당무소속
종교개신교(침례회)
출생지조선 한성부
사망지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생애1904년 8월 7일 ~ 1966년 7월 20일 (63세)
군사 경력
복무일본 제국 육군
대한민국 해군
대한민국 해병대
복무 기간1939년 ~ 1960년
최종 계급일본 제국 육군 대위
대한민국 해병대 대령
근무대한민국 해병대사령부
지휘관동군사령부 시설장교
대한민국 해군본부 공병참모부 공병과장
대한민국 해군본부 시설감
대한민국 해병대사령부 공병감
주요 참전 전투/전쟁태평양 전쟁
한국 전쟁
기타 이력
기타 이력민주당 고문 겸 당무위원(1963년)

2. 생애

1904년 경성부에서 대한제국의 관료 윤치오와 그의 첫 부인 이숙경(李淑卿)의 아들로 태어났다. 한국의 초기 해부학, 병리학자이자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이며 부총장과 총장을 지낸 윤일선은 그의 형이다. 상공부장관과 서울특별시장, 대한민국의 4대 대통령을 역임한 윤보선은 그의 사촌 형이다. 조선의 계몽사상가이자 사회운동가 좌옹 윤치호는 그의 5촌 당숙이 된다.

그는 키가 컸다고 한다. 경성고등공업학교를 졸업하고, 1928년 황해도 내무부 토목과 토목기수로 부임하였다. 1929년 황해도 내무부 토목과 건축기수가 되었다. 1928년 12월 28일 이만구의 딸 이을남과 혼인하였고[1], 1929년 1월 13일 이을남과 다시 결혼식이 보도되었다.[2] 이을남은 용인군 출신으로, 당시 용인군 동남면 천이리(泉二里) 신부 집에서 결혼식을 올렸다 한다.[2] 1931년 7월 14일 황해도청 토목기수, 회계과 계원으로 발령받아[3] 1939년까지 재직했다. 그 뒤 일본군에 입대, 관동군사령부 대위[4], 일본군 관동군사령부 시설장교를 역임하였다.

2. 1. 광복 이후

1945년 8월 15일 광복 후 귀국하여 8월 21일 손원일의 해사협회(海事協會, Marine Affairs Association) 창립과 11월 21일 손원일, 정긍모(鄭兢謨) 등이 서울 안동교회에서 창설한 해방병단 창립에 참여하였다.[4]

1945년 9월 2일 미군정 주둔 후 9월 15일 미군정청 건축서 공사과장이 되었다. 1947년 4월 28일 서울 종로구 관훈동 112번지에 토목, 건축, 수로 공사를 감독하는 회사 응용공업주식회사(應用工營株式會社)를 창립하고 취체역 부사장을 역임했다.[5]

1948년 4월 다시 군에 입대하여 국군 해군 창설에 참여하였으며, 백두산함 인수에 관여하였다. 1948년 9월 해군 창설 후 해군 장교가 되었다. 6.25 전쟁 발발 당시 해군 소위로, 해병대 제1전투단의 11중대 1소대장으로 39고지에 참전, 중국 인민군과 교전했다. 1950년 11월 23일 정찰을 마치고 돌아온 함재기가 진해와 거제도 사이 해상에서 추락하자, 당시 와병 중이었음에도 직접 바닷물에 입수하여 함재기를 찾아내 화제가 되었다.[6] 이후 해군 소령으로 승진, 1951년 8월 3대 해군 시설감으로 임명되었다.

2. 2. 군 복무 및 기업 활동

휴전 후 해병대 중령으로 진급, 해병대 제1상륙사단 공병참모를 거쳐 대령으로 진급하였다. 해군본부 시설감[6], 해병대본부 공병감 등을 지냈다. 해병대 공병감으로 재직 중, 인천 서구 금곡동에 해병대 교육단 부지를 마련하고 해병교육단의 설계와 시공을 감독하였다.

제2공화국 당시 해병대 대령으로 재직 중이었다. 1963년 민주당 고문 겸 당무위원을 역임했다.

3. 가족 관계

관계이름출생 - 사망비고
할아버지윤영렬(尹英烈)1854년 음력 4월 15일 - 1939년 양력 11월 4일
아버지윤치오(尹致旿)1869년 음력 8월 5일 - 1949년 양력 12월 2일
어머니이숙경(李淑卿)1869년 - 1909년
윤일선(尹日善)1896년 10월 5일 - 1987년 6월 22일
형수조마구례(趙瑪玖禮)1901년 12월 14일 ~ 2003년 8월 9일조영숙(趙榮淑) 또는 Margaret Young Sook Cho
조카윤탁구(尹鐸求)의사, 원자력 병원장 역임
윤명선(尹明善)1900년 9월 1일 - 1946년 2월 11일
윤왕선(尹旺善)1902년 1월 - 1926년 8월 20일
누나윤시선(尹時善)1898년 5월 30일 ~ ?화가, 1950년 8월 30일 납북
자형민원식(閔瑗植)1898년 - ?독립운동가, 민영환의 6촌인 민영철의 셋째 아들, 독립운동가 김규식의 보좌진, 1950년 8월 30일 납북
여동생윤정선(尹晶善)1908년 7월 8일 - ?
계모윤고려(尹高麗)1891년 4월 14일 ~ 1913년 12월 28일김윤정(金潤晶)의 딸[7] 윤고려는 본래 김씨이나 남편을 따라 성을 바꾸었다.[8][9]
여동생윤융희[10]
동생윤욱선
동생윤창선[10]
계모현송자(玄松子)1899년 5월 16일 ~ 1978년
동생윤영선(尹暎善)1922년 11월 11일 -
동생윤대선(尹大善)1929년 2월 23일 - 1939년 11월 30일
여동생윤효선(尹曉善)1925년 4월 7일 -
부인이을남(李乙南)1911년 8월 3일 - ?우봉이씨, 이병도의 6촌 여동생, 이만구(李萬九)의 딸
아들윤광구(尹光求)1932년 - 1996년 8월 24일해군 대령으로 예편, 영풍산업 감사
며느리이강옥(李崗玉)1938년 ~전주이씨, 이두철(李斗喆)의 딸
손녀윤선영
손자윤보영
손자윤호영
아들윤원구(尹元求)1934년 -기업인, 금호석유 상무, 화승 전무
며느리박원준(朴元濬[11])상공부 차관 박상운(朴商雲)의 3녀
손자윤원영
윤순구
사위이정춘
윤환구
사위이흥종
외손녀이윤진
외손이상우
외손이상엽
외손녀이수진
숙부윤치소(尹致昭)1871년 음력 8월 25일 - 1944년 양력 2월 20일


참조

[1] 신문기사 新郞新婦 매일신보 1928-12-29
[2] 신문기사 新郞新婦 매일신보 1929-01-13
[3] 신문기사 地方辭令 매일신보사 1931-07-14
[4] 서적 미군정과 교육정책 민영사 1992
[5] 신문기사 會社登記公吿 공업신문 1947-05-08
[6] 신문기사 씩씩한 바다의 健兒들 墜落된 艦載機를 引揚 부산일보 1950-11-23
[7] 웹인용 이경찬의 국사교실 http://leekcp.new21.[...] 2010-03-03
[8] 문서 다른 이름으로 윤고라 라는 이름도 있다.
[9] 뉴스 20세기 한국의 풍물 풍속사⑫ 옷 - '미니스커트 단속' 그 때를 아시나요 http://www.donga.com[...] 뉴스플러스 1999-04-01
[10] 간행물 국민보 제41호 기사 국민보 1914-01-07
[11] 신문기사 結婚 조선일보 1964-1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