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손원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손원일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 손정도의 아들로, 대한민국 해군 창설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 인물이다. 해방 후 해군 모체인 해방병단을 창설하고, 해군사관학교 설립 및 해병대 창설을 주도했다. 한국 전쟁에서는 백두산함 격침, 인천 상륙 작전 참여 등 해상 작전에서 큰 공을 세웠으며, 국방부 장관을 역임하며 휴전 협정 체결, 한미 군사 원조 협상 등 굵직한 현안을 처리했다. 이후 서독 대사, 반공 활동, 민주화 운동 참여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으며, 대한민국 해군에 끼친 공헌을 인정받아 '대한민국 해군의 아버지'로 불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해병대사령관 직무대리 - 김석범 (군인)
    김석범은 만주국군 장교로 간도특설대에서 항일 세력을 탄압한 친일반민족행위자로, 해방 후 대한민국 해군 해병대 사령관을 역임했으나 친일 행적으로 인해 논란이 되고 있으며, 그의 친일 행적과 국립현충원 안장 문제는 현재까지도 논쟁의 대상이다.
  • 대한민국의 해병대사령관 직무대리 - 공정식
    공정식은 해군 소위로 임관하여 해병대 사령관을 역임하고 국회의원, 해경상사 사장, 해군사관학교 및 한국해양대학교 교수를 지낸 군인이다.
  • 국립 중앙 대학 동문 - 쩡롄쑹
    쩡롄쑹은 오성홍기 디자인을 제안한 인물로, 중국 공산 혁명에 헌신하고 국기 디자인 공모에 참여했으며 문화 대혁명 시기 박해를 받기도 했으나 사회 활동을 이어갔다.
  • 국립 중앙 대학 동문 - 정바오칭
    정바오칭은 민주진보당과 타이완 민중당에서 활동하며 세 차례 입법위원에 당선되었으나, 타오위안 현장 및 시장 선거에서는 낙선했다.
  • 대한민국 임시정부 시대 해군 장교 - 신성모
    신성모는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정치인, 군인으로, 임시정부 군사위원, 국방부 장관, 국무총리 서리 등을 역임했으며, 블라디보스토크 망명 후 독립운동, 중국 해군 복무, 광복군 활동, 해방 후 대한청년단, 내무부 및 국방부 장관 등을 지냈다.
  • 대한민국 임시정부 시대 해군 장교 - 최재형 (독립운동가)
    최재형은 러시아로 이주하여 재산을 축적한 후 연해주 동포의 자립과 교육을 지원하고 동의회를 조직하여 항일 투쟁을 지원했으며, 안중근 의사의 하얼빈 의거를 지원하고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초대 재무총장을 역임한 독립운동가이다.
손원일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49년 해군 소장 시절의 손원일
1949년, 해군 소장 재임 시절 손원일
한글 이름손원일
한자 이름孫元一
로마자 표기Son Won-il, Sohn Won-yil
별칭'대한민국 해군의 아버지'
수향(水鄕), 고산(古山)
출생일1909년 6월 22일
출생지대한제국 평안남도 강서군
사망일1980년 2월 15일
사망지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마포구 공덕동
묘소국립서울현충원 장군 제2묘역 5호
본관밀양(密陽)
종교개신교(감리회)
배우자홍은혜
자녀슬하 4남 (손명원, 손동원, 손창원, 손경원)
형제손진실(누나), 손성실(누나), 손원태(아우), 손인실(여동생)
친인척윤치창(자형)
군사 경력
소속중화민국 해군
대한민국 해군
최종 계급중장
임관상선사관
복무 기간1930년 ~ 1934년 (중화민국 해군)
1945년 8월 21일 ~ 1953년 8월 28일 (대한민국 해군)
지휘해군참모총장
참전한국 전쟁
주요 경력
주요 활동독립운동가
국방부 장관
서독 주재 대한민국 대사
대한민국 국방부 장관임기: 1953년 6월 30일 ~ 1956년 5월 26일
대통령: 이승만
국무총리: 변영태, 백한성 (국무총리 임시서리)
국방부 차관: 김일환, 강영훈, 이호, 장건식 (직무대리), 김용우
부통령: 함태영
전임: 신태영
후임: 김용우
서독 주재 대한민국 대사임기: 1958년 8월 1일 ~ 1960년 8월 30일
대통령: 이승만, 허정 (대통령 권한대행), 곽상훈 (대통령 권한대행), 백낙준 (대통령 권한대행), 윤보선
부통령: 장면, 송요찬 (부통령 권한대행 서리)
총리: 허정, 김도연 (국무총리 서리), 장면
서독 대통령: 테오도어 호이스, 하인리히 뤼프케
외무부 장관: 조정환, 최규하 (외무부 장관 직무대리), 허정, 이수영 (외무부 장관 직무대리), 정일형
외무부 차관: 김동조, 최규하, 이수영, 우희창
서독 총리: 오토 그로테볼
대학교 경력마산대학교 석좌교수, 경남대학교 석좌교수
서훈
훈장미국 은성훈장
프랑스 레종 도뇌르 훈장
금성 태극무공훈장
금성 을지무공훈장
공비토벌기장
덴마크 적십자 훈장
6.25 종군기장
국제연합 종군기장
미국 자유훈장
독일 십자훈장

2. 생애



손원일은 평안남도 강서 출생으로 호는 수향(水鄕), 고산(古山)이며 본관은 밀양(密陽)이다. 임시의정원 의장을 지낸 독립운동가 겸 기독교 목사 손정도의 2남 3녀 중 장남으로, 평안남도 평양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후 일제강점기 조선에서 일제에 고문을 받았다. 이후 상해로 건너가 의사가 되기 위한 공부를 하였으며, 아버지는 상해임시정부에서 근무하였다.

1945년 광복이 되자, '우리의 바다는 우리의 손으로 지켜야 한다.'는 일념으로 11월 11일 해군의 모체인 '해방병단'을 창설하였다. 이후 초대 해군참모총장, 제5대 국방부장관, 초대 서독대사 등을 역임하였다. 해군참모총장 재임 중 한국 전쟁 시기 인천 상륙 작전9·28 서울 수복 작전에 참전하였으며, 한국 최초의 전투함인 백두산함을 미국에서 도입하는데 공헌하였다. 해군병학교(現 해군사관학교), 대한민국 해병대 등을 창설하고, 전사편찬실 및 해군음악대를 발족하여 군 사기 진작과 조직 체계 개선에도 앞장섰다. 1953년 8월 28일 대한민국 해군 중장으로 예편하였으며, 1980년 2월 15일 서울특별시 마포구 공덕동 자택에서 서거하여 서울 국립현충원에 안장되었다.

상해 시절 각국 해군들의 모습에 감명을 받아 해방된 한국에도 해군을 건설하고자 하는 마음을 가졌다. 해방 후 민간인 신분으로 해방병단을 만들었고, 이는 미군정에 의해 해안경비대로 발전했다. 미국에 직접 편지를 보내 해군 양성을 위한 미 해군 교관 15명을 초빙하기도 했다.[35] 성금과 사재를 털어 최초의 해군 전투함인 백두산함을 미국에서 구입했으며, 해군병학교를 건설하고 해병대를 창설하였다. 해병대 창설식에 해병대 사령관을 빛내기 위해 해군참모총장이던 본인이 참가하지 않은 일화는 유명하다.

백두산함은 도입 후 3달 만에 부산에 침투하던 북한 특수부대 600명을 실은 북한 함정을 격침시켜(6.25 발발) 부산이 최후까지 북한에 점령되지 않는데 공을 세웠다. 해병대맥아더인천 상륙 작전에 최선봉으로 참가해 중앙청에 태극기를 게양했다. 손원일 제독은 부인과 함께 일본 군가를 사용하던 해군 군가를 전부 새로 만들었으며, 한국 최초의 항공기 해취호[36]를 제작하기도 하였다.

이후 인간성이 높이 평가되어 유럽에 대사로 임명되어 활동하였다. 1945년 8월 15일 광복 직후, 독립운동가 손정도의 아들이자 전 상선 선원이었던 손원일은 해운협회를 이끌었다.[2] 해운협회는 1945년 11월 11일 해방병단(이후 해군 창설기념일)으로 발전했고, 이후 진해에서 대한민국 해안경비대가 되었다.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해안경비대는 공식적으로 대한민국 해군으로 바뀌었고, 손원일은 9월 5일 초대 해군참모총장이 되었다.[3]

이승만은 해군을 중요시하여 “해육공”이라 부르며 손원일을 대장으로 진급시키려 했으나, “배 한 척도 없는 데 대장이 된다면 전 세계 해군이 웃을 것입니다. 장래 해군이 군함을 갖게 된다면 대장 계급을 받겠습니다.”라고 거절했다.[10][11]

1953년 6월, 신익희 국회의장, 백두진 재무부 장관과 엘리자베스 여왕 대관식에 참석 후 플리머스에서 귀국, 이승만으로부터 국방부 장관을 맡아달라는 말을 들었다.[12] 당시 이승만의 포로 석방으로 세계가 떠들썩했던 터라, 이를 진정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국방부 장관이 되었지만, 3년 동안 재직하며 전쟁의 후유증을 맡았다.[12]

국방부 장관으로서 첫 과제는 휴전 협정이었다.[13] 이승만은 반대했지만, 손원일은 휴전 반대가 한국의 의지만으로 달성할 수 없음을 설명하고, 대표가 아닌 참관인만 보내는 것을 제안했다.[13] 1954년 5월 제네바 회담에 이승만은 “공산당과는 말이 통하지 않는다”며 반대했지만, 미국은 북한도 대표를 보내는데 한국이 불참하면 국제적 입장이 나빠질 것이라 압박했다.[13] 손원일은 이승만을 설득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대표단 파견 대신 미국에 한국군 장비 강화를 요구하는 방안을 제안했다.[13]

1955년 초, 이승만에게 알링턴 국립묘지 같은 무명용사 국군 묘지 건설을 제안했다.[14] 이승만은 좋은 안이라며 받아들였지만, 유족 대표 설득이 문제였다.[14] 손원일은 유족 대표들에게 알링턴 국립묘지를 설명하며 설득했고, 이승만은 6월 6일을 현충일로 하고 공휴일로 결정했다.[14]

1955년 한미 수뇌 회담에서 합의한 군사 원조 내용을 협의하기 위해 미국에 방문, 윌슨 국방장관에게 합의된 원조 금액 실현을 여러 번 요구했고, 윌슨은 최선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14] 미국이 약속한 7억달러 원조에 대해 못 박기 위해 귀국 직후 비행장에서 “군사 원조 감액은 없다”고 기자들에게 선언했지만, 귀국 후 얼마 지나지 않아 6000만달러가 의회에서 감액되었다는 통고를 받았다.[14]

미국 방문의 성과가 없고 기자들에게 한 공약도 어기게 되어 국무회의에서 이승만에게 사표를 제출했지만, 이승만은 “원조 감액은 미국 의회가 하는 일인데, 손 장관이 무슨 책임을 져야 하는가”라며 만류했다.[14] 손원일은 “아무리 소국이라도 약속을 어기고 그냥 받아들일 수는 없을 것입니다. 외국에 우리의 결심을 보여주는 의미에서도 사표를 받아주십시오.”라고 설명했고, 이승만은 “그렇다면 사표는 보관하겠지만, 각 장관도 이 정신을 본받도록 하시오.”라고 답했다.[14] 다음 날, 렘니처 사령관에게 항의했고, 렘니처는 “1주일만 기다려 달라”고 말했으며, 5일 후 본국 정부가 감액된 부분을 복구하기로 했다고 전했다.[14]

1965년 7월 14일, 김홍일, 김재춘 (1927년), 박병권, 박원빈, 백선진, 송요찬, 장덕창, 이호, 조흥만, 최경록 등 예비역 장성들과 한일기본조약 반대 성명을 발표했다.[15] 학생과 군의 충돌 속에서 8월 27일 “국군 장병에게 보내는 호소문”을 발표, 집권자들을 반민족 행위자이자 민주주의에 거역하는 반국가 행위자라고 규탄했다.[16] 국군 장병에게 애국 국민에게 총을 겨누지 말 것을 호소했다.[16] 8월 29일, 김홍일, 김재춘 (1927년), 박병권, 박원빈 4명이 박정희 대통령 명예훼손 혐의로 체포되었고, 손원일도 최경록, 백선진, 조흥만과 함께 같은 혐의로 조사를 받았다.[17]

2012년 9월, 대한민국 국가보훈처는 “9월의 6·25 전쟁 영웅”으로, 2013년 11월 한국전쟁기념관은 “11월의 호국 인물”로 선정했다.[18][19] 2017년 4월 19일 부인 홍은혜가 사망, 21일 영결식이 거행되었고 유해는 손원일의 묘 옆에 안장되었다.[20][21]

2. 1. 초기 생애 및 독립운동

손원일은 1909년 5월 5일 평안남도 강서군에서 독립운동가이자 기독교 목사인 손정도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3·1 운동 이후 부모와 함께 길림성으로 이주하여 독립을 위한 선전 운동에 참여하였으며, 조선인 청소년 대상 집회 활동을 전개하였다. 1930년 6월, 상하이 국립중앙대학 항해과를 우등 졸업하고, 중국 해군부에서 해군보관(補官) 양성을 위해 실시한 시험에 합격하여 독일에서 약 3년간 항해학술을 연구하였다.[37] 1935년에는 선장 면허를 취득하였다.[38]

1935년 출옥 후 매부인 윤치창과 합작으로 남계양행이라는 상점을 5년간 공동 운영하였다.[38] 1940년 동화양행 사장의 부탁으로 동화양행에 입사, 상하이 지점장으로 파견되었다.[38]

2. 2. 해방과 대한민국 해군 창설

1945년 8월 15일 광복 직후, 손원일은 '우리의 바다는 우리의 손으로 지켜야 한다'는 신념을 가지고 있었다.[2] 그는 1945년 8월 21일 해사대를 결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조선해사협회로 발전시켰다. 1945년 11월 11일, 손원일은 해군의 모체인 '해방병단'을 창설하였다.(이날은 해군 창설기념일로 지정되었다)[3] 해방병단은 진해에서 대한민국 해안경비대로 개편되었다.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함께 해안경비대는 대한민국 해군으로 정식 출범하였고, 손원일은 1948년 9월 5일 초대 해군참모총장에 취임하였다.[3]

1946년 1월에는 해군병학교(현 해군사관학교)를 설립하고 초대 교장을 역임하였다. 1948년 12월에는 해군 최초 제독으로 승진하였다.

손원일은 여수·순천 사건 진압 과정에서 얻은 교훈을 바탕으로 해병대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1949년 4월 대한민국 해병대를 창설하였다. 또한, 그는 모금 활동을 통해 미국에서 초계정 4척을 구입하여 해군 전력 증강에 힘썼다.

2. 3. 한국 전쟁 참전

손원일은 한국 전쟁 발발 직후 대한해협 해전에서 부산에 침투하던 북한 특수부대 600명을 실은 함정을 격침시키는 데 큰 공을 세웠다.[29][30] 인천 상륙 작전9·28 서울 수복 작전에 참전하여 대한민국 영토 수복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 인천 상륙 작전 당시 손원일은 한국 해병연대의 작전을 감독하기 위해 해병들과 함께 상륙하였으며, 이후 더글러스 맥아더로부터 은성훈장을 수여받았다.[29][30]

2. 4. 국방부 장관 및 외교 활동

1953년 6월 30일부터 1956년 5월 26일까지 제5대 국방부 장관을 역임하였다. 국방부 장관 재임 중이던 1953년 8월 28일을 기하여 대한민국 해군 중장으로 예편하였다. 1958년 8월 1일부터 1960년 8월 30일까지 주서독 한국 대사를 역임하였다. 서독 대사 임무 막바지였던 1960년 7월, 콩고 공화국 독립식전에 참석 후 카메룬, 토고, 기니, 말리, 나이지리아, 모로코 6개국을 친선 방문하고, 상호간의 이해증진과 외교관계 수립에 관하여 원칙적인 합의를 보았다.[42] 1960년 12월 24일, 정일형 외무부장관은 "해임되었음에도 귀국하지 않고 타국에서 직장을 구하여 거주함으로써 국가위신을 추락시키고 있는 해외공관장들에게 강력한 소환명령을 발하였다"고 언명하였는데, 손원일도 소환 대상에 포함되었다.[43]

3. 대한민국 해군에 끼친 영향

손원일은 광복이 되자 '우리의 바다는 우리의 손으로 지켜야 한다.'는 일념으로 1945년 11월 11일 해군의 모체인 '해방병단'을 창설하였다.[1] 초대 해군참모총장으로서 한국 전쟁 당시 인천 상륙 작전9·28 서울 수복 작전에 참전하였으며, 한국 최초의 전투함인 백두산함을 미국에서 도입하는데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1] 또한 해군병학교대한민국 해병대를 창설하였고, 전사편찬실 및 해군음악대를 발족하여 군 사기 진작과 조직 체계 개선에도 앞장섰다.[1] 이러한 공로로 '대한민국 해군의 아버지'로 불린다.[1]

4. 상훈

수여 년도훈장명
1950년 10월미국 은성훈장
레종도뇌르 훈장 (프랑스)
금성 태극무공훈장
금성 을지무공훈장
공비토벌기장
덴마크 적십자 훈장
6.25 종군기장
국제연합 종군기장
미국 자유훈장
독일 십자훈장


5. 가족 관계

관계이름출생일사망일활동사항 등
부친손정도(孫貞道)1872년 7월 26일1931년 2월 19일개신교 목사이자 독립운동가로 임시의정원 의장이었다.
모친박신일(朴信一)1880년 4월1970년 10월 19일
누나손진실(孫眞實)1901년1990년주영공사 윤치창과 결혼하였다.
누나손성실(孫誠實)신국권과 결혼하였다.
동생손원태(孫元泰)1914년 8월 11일2004년 9월 28일의사
누이손인실(孫仁實)1917년 8월 21일1999년 2월 10일문병기와 결혼하였다.
아내홍은혜(洪恩惠)1917년 8월 11일2017년 4월 19일1939년 결혼
장남손명원(孫明源)1941년 5월 5일-현대미포조선 사장과 쌍용자동차 사장을 역임했다. 김동조의 둘째 딸 김영숙과 결혼하였다.[44] 딸은 손정희(孫貞姬)이고 사위는 홍정욱이다.
차남손동원(孫東源)1943년 7월 8일-
삼남손창원(孫昌源)1953년 7월 15일-
사남손경원(孫京源)1956년 1월 5일-



윤치창은 손원일의 매제이다.[23] 손원일의 아들 손명원(孫明源)은 쌍용자동차 전 회장이며, 전 대한민국 외무부 장관 김동조의 차녀와 결혼하였다. 전 헤럴드미디어 회장 홍정욱은 손원일의 사위이다.[22]

6. 기타

대한민국 해군은 손원일 제독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최초의 214급 잠수함인 손원일함(SS 072)을 2007년에 취역하였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Father of the ROK Navy: The Late Admiral Sohn Won-Yil http://www.navy.mil.[...] 2008-10-12
[2] 웹사이트 손원일 중장 https://web.archive.[...] 2007-05-02
[3] 웹사이트 Commander, U.S. Naval Forces Korea: The Early Years (1945 to 1957) http://www.cnfk.navy[...] 2007-03-04
[4] 웹사이트 連続刊行物 東亜日報「十九歲의 朝鮮靑年 中國서 海軍補官, 上海國立大學 航海科 出身 孫元逸氏[肖]」 http://db.history.go[...] 국사편찬위원회 2019-09-08
[5] 뉴스 [6·25전쟁 60주년 특별기획] 백선엽이 만난 6·25전쟁의 영웅들 <下·끝> http://monthly.chosu[...] 2010-06-00
[6] 뉴스 땅은 증명한다 〈5〉 손원일과 한국 해군 창설의 무대를 찾아 http://monthly.chosu[...] 2016-11-00
[7] 웹사이트 連続刊行物 南朝鮮民報「海軍將軍熱狂的歡迎裡 孫元一總參昨日歸國」 http://db.history.go[...] 국사편찬위원회 2019-11-17
[8] 뉴스 6·25때 포항서 해군도 주민 학살…당시 지역사령관 증언 http://www.donga.com[...] 2000-01-11
[9] 뉴스 (167)「6·25」20주년…3천 여의 증인회견·내외 자료로 엮은 「다큐멘터리」 한국전쟁 3년|인천상륙(10) 한국 해병대의 출동(2) https://news.joins.c[...] 1971-04-26
[10] 뉴스 김국헌의 대한민국 장군 評傳〈下〉 군의 ‘정치 중립’ 정립한 이종찬, ‘해군의 아버지’ 손원일, ‘공군의 건설자’ 장지량 http://monthly.chosu[...] 2015-12-00
[11] 뉴스 [최보식이 만난 사람] 대한민국 해군 창설자 고 손원일 제독의 부인… ‘해군의 어머니’ 홍은혜 여사[정정내용 있음] http://news.chosun.c[...] 2013-10-14
[12] 뉴스 (511)<제자 윤석오> - <제26화>내가 아는 이 박사 경무대 4계 여록(138) 손원일 http://news.joins.co[...] 1972-07-15
[13] 뉴스 (512) 내가 아는 이 박사 경무대 4계 어록(139)손원일 https://news.joins.c[...] 1972-07-17
[14] 뉴스 (513)<제자 윤석오> <제26화>내가 아는 이 박사 경무대 4계 어록(140) 손원일 https://www.joongang[...] 1972-07-18
[15] 뉴스 반공 목사들이 박정희에게 정면으로 반기 든 사연 http://www.pressian.[...] 2014-10-25
[16] 뉴스 각하들도 피하지 못한 내란의 추억 http://www.hani.co.k[...] 2014-02-14
[17] 간행물 코리아评论社 1965-10-00
[18] 웹사이트 9月の6・25戦争英雄 孫元一海軍中将 http://mpva.go.kr/op[...] 국가보훈처 2015-11-11
[19] 뉴스 [11月の護国人物]海軍の父 孫元一提督 http://biz.heraldcor[...] 2013-10-31
[20] 뉴스 '해군의 어머니' 홍은혜 여사 작고 http://news.joins.co[...] 2017-04-19
[21] 뉴스 '해군의 어머니'고홍은혜 여사, 지상에서 영원으로 http://news.heraldco[...] 2017-04-21
[22] 웹사이트 [CEO스코어TV] 김동조 전 외무부 장관의 가계도로 본 재계 혼맥 https://www.ceoscore[...] 2019-06-28
[23] 웹사이트 “손정도 목사 신앙은 현실을 반영한 민족 신학에 바탕을 두고 있어” http://www.kmcdaily.[...] 2021-11-29
[24] 웹사이트 連続刊行物 馬山日報「李、孫、白三少將 中將으로 各各昇進」 http://db.history.go[...] 국사편찬위원회 2019-11-17
[25] 뉴스 윤활유 회사설립 사장에 손원일씨 http://news.joins.co[...] 1970-12-29
[26] 뉴스 홍보 협회장에 손원일씨 선출 http://news.joins.co[...] 1972-02-25
[27] 뉴스 반공 연 이사장에 손원일씨 선출 http://news.joins.co[...] 1972-02-29
[28] 웹사이트 連続刊行物 東亜日報「金弘一 劉載興少將等 十二將兵에게 武功勳章授與」 http://db.history.go[...] 국사편찬위원회 2019-08-15
[29] 웹사이트 Shon Won-Yil http://valor.militar[...] Military Times 2015-11-10
[30] 뉴스 榮譽(영예)에 빛나는 我海軍(아해군) http://www.busan.com[...] 1950-12-25
[31] 웹사이트 Presenting the Legion of Merit [개성 휴전회담의 UN군 대표단장 미 해군 C. Turner Joy 중장이 국군 해군 손원일 소장에게 훈공장을 수여하는 모습] http://archive.histo[...] 국사편찬위원회 전자사료관 2020-02-19
[32] 일반텍스트
[33] 일반텍스트
[34] 웹사이트 https://news.naver.c[...]
[35] 일반텍스트
[36] 설명
[37] 뉴스 十九歲의朝鮮靑年 中國서海軍補官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1930-10-10
[38] 서적 해석 손정도의 생애와 사상 연구 도서출판 넥서스 1999
[39] 뉴스 英女王戴冠式參席 韓國特使一行決定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53-05-21
[40] 설명
[41] 뉴스 남한 전임 국방부장 손원일 씨 호놀룰루 방문 https://search.i815.[...] 국민보 1956-08-08
[42] 뉴스 阿洲六國과修交...孫親善特使合意報告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60-07-22
[43] 뉴스 해임된 공관장 조속귀국명령 http://dna.naver.com[...] 경향신문 1960-12-24
[44] 저널 본가보다 처가 혼맥이 더 화려: 국내 주요그룹 가계 / 혼맥도16 - 현대중공업그룹 http://www.ceobank.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