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픽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픽어는 시베리아와 알래스카 지역에서 사용되는 에스키모-알류트어족에 속하는 언어군이다. 주요 방언으로는 나우칸 유픽어, 중앙 시베리아 유픽어, 중앙 알래스카 유픽어, 알루티크어, 시레니크어가 있다. 유픽어는 교착어이며, 어근에 다양한 접미사를 결합하여 단어를 구성하는 다합성어의 특징을 보인다. 19세기 초까지 문자가 없었으나, 선교사들의 노력으로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한 표기 체계가 개발되었고, 이후 알래스카 대학교에서 영어 키보드로 입력 가능한 새로운 문자가 개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픽 문화 - 아쿠탁
    아쿠탁은 알래스카 원주민의 전통 음식이며, 언어에 따라 다양한 명칭으로 불린다.
  • 북극의 언어 - 알류트어
    알류트어는 알래스카와 러시아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에스키모-알류트족의 언어로, 동부, 아트카, 아투 섬, 코퍼 섬 방언으로 나뉘며, SOV 어순을 따르고 언어 활성화 노력이 진행 중이다.
  • 에스키모알류트어족 - 그린란드어
    그린란드어는 에스키모-알류트어족에 속하며 그린란드의 공식 언어로, 1200년대 툴레인의 이주로 전래되어 서그린란드어, 동그린란드어, 북그린란드어 등의 방언이 있고, 덴마크어의 영향을 받았으나 자치정부 수립 후 강화 정책으로 지위를 확보했음에도 유네스코는 "취약한" 언어로 분류하며, 복잡한 형태론적 특징을 가진 능격-대격어이지만 주격-대격어로의 변화 가능성도 있다.
  • 에스키모알류트어족 - 이누크티투트어
    이누크티투트어는 캐나다 북부 이누이트족의 언어로, 문자 체계가 개발되었고 노스웨스트 준주에서 공용어로 지정되었으며, 현재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유픽어
언어 정보
언어 이름유픽어
사용 민족유픽족
사용 지역알래스카, 추코트카
어족
어족에스키모-알류트어족
하위 어족에스키모어족
하위 언어알루티크어
중앙 알래스카 유픽어
중앙 시베리아 유픽어
나우칸 유픽어
시레니크어? (사멸)
언어 코드
ISO 639-2ypk
글롯토로그yupi1267
글롯토로그 이름유픽
기타
유픽어 분포 지도
유픽어 분포 지도

2. 언어 또는 방언 목록

유픽어 방언 분포도


유픽어는 크게 5가지 언어 또는 방언으로 나뉜다.

  • 나우칸 유픽어: 시베리아 동부 축치반도 일부 지역에서 약 100명이 사용한다.
  • 중앙 시베리아 유픽어: 러시아 극동부 유픽족 대부분과 세인트로렌스섬 원주민이 사용한다. 러시아에서는 약 300명, 세인트로렌스 섬에서는 대부분의 원주민이 사용한다.
  • 중앙 알래스카 유픽어: 알래스카 남서부 본토와 누니바크섬 등에서 사용되며, 가장 널리 쓰이는 유픽 언어이다. 약 2만 명이 사용한다.
  • 알루티크어: 알래스카반도, 코디액섬, 프린스 윌리엄 해협에서 사용되며, 약 500~1,000명이 사용한다.
  • 시레니크어: 축치반도 시레니키 지역에서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사멸했다.

2. 1. 나우칸 유픽어



나우칸 유픽어(Naukan Yupik)는 동시베리아 축치반도의 라브렌티야, 로리노, 우엘렌 주변에서 약 100명이 사용하는 언어이다.[2]

2. 2. 중앙 시베리아 유픽어 (차플린스키어)

'''중앙 시베리아 유픽어''' ('''유피게스툰''', '''아쿠지피게스툰''', '''아쿠지픽''', '''시베리아 유픽어''', '''시베리아 유픽 에스키모어''', '''중앙 시베리아 유픽 에스키모어''', '''세인트로렌스섬 유픽어''', '''유이트''', '''아시아 에스키모어''', '''주피지트''', '''유피히트''', '''베링 해협 유픽어''')는 러시아 극동 대부분의 유픽족과 알래스카주 세인트로렌스섬 사람들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세인트로렌스섬의 약 1,100명의 유픽족 대부분은 이 언어의 세인트로렌스 방언을 사용하며, 러시아의 약 1,200명의 시베리아 유픽족 중 약 200명이 이 언어의 차플리노 방언을 사용한다.[2] 그러나 ''모스크바 타임스''는 2023년 러시아에는 단 한 명의 중앙 시베리아 유픽어 사용자가 남아 있다고 주장한다.[3]

2. 3. 중앙 알래스카 유픽어

'''중앙 알래스카 유픽어'''(''유그툰'', '''중앙 유픽어''', '''유픽어''', '''서부 알래스카 에스키모어'''라고도 함)는 노턴 사운드에서 알래스카 반도까지의 알래스카 본토와 누니바크 섬과 같은 일부 섬에서 사용되는 언어이다. 이 언어의 이름은 ''Yup'ik''로 표기되며, 'Yupik'의 발음 방식에서 'p'를 길게 발음하는 것을 나타내는 작은따옴표가 사용된다.[4] 2013년 기준 약 21,000명의 중앙 알래스카 유픽족 중에서 약 20,000명이 여전히 이 언어를 집에서 사용했다.

중앙 알래스카 유픽어에는 여러 방언이 있는데, 가장 큰 방언은 일반 중앙 유픽어 또는 ''유그툰''이며 유콘강, 넬슨 섬, 쿠스코윔강, 브리스톨 만 지역에서 사용된다. 이 외에도 노턴 사운드, 호퍼 베이/체바크, 누니바크 섬 (''컵'익'' 또는 ''컵'익''이라고 불림) 방언이 있으며, 이들은 발음과 어휘에서 차이를 보인다. 일반 중앙 유픽 방언 내에도 주로 단어 선택에서 차이가 나는 지리적 하위 방언이 존재한다.

2. 3. 1. 일반 중앙 유픽어 (유그툰)



일반 중앙 알래스카 유픽어(Yugtun)는 알래스카 남서부 본토의 방언군으로, 노튼 해협에서부터 남쪽으로 알래스카반도가 시작하는 곳까지, 그리고 누니바크섬 등 도서 지역에서 사용되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유픽 언어이다. 2013년 기준으로 21,000명의 중앙 알래스카 유픽족 중 약 2만 명이 여전히 집에서 유픽어를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위 방언에도 여러 가지가 있으며 최대 방언은 Yugtun이라고 불린다.[1]

2. 3. 2. 기타 방언


  • 나우칸 유픽어(Naukan Yupik): 시베리아 동부 축치반도의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 화자 수는 약 100명이다.
  • 중앙 시베리아 유픽어(Central Siberian Yupik): 러시아 극동부의 유픽족 대부분과 세인트로렌스섬 원주민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러시아에서는 시베리아 유픽족 1,000명 중 약 300명이 사용하며, 세인트로렌스 섬에서는 원주민 약 1,100명 대부분이 구사한다.
  • 중앙 알래스카 유픽어(Central Alaskan Yupik, Yup'ik): 알래스카 남서부 본토의 방언군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유픽 언어이다. 대략 노튼 해협에서 남쪽으로 알래스카반도가 시작하는 곳까지 분포하며, 누니바크섬 등 도서 지역에서도 사용된다. 2013년 기준으로 중앙 알래스카 유픽족 21,000명 중 약 20,000명이 여전히 집에서 유픽어를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위 방언에도 여러 가지가 있으며, 가장 큰 방언은 Yugtun이라고 불린다.
  • 알루티크어(Alutiiq, Supik): 알래스카반도, 코디액섬, 프린스 윌리엄 해협에서 사용되는 언어. 현재 알루티크족 약 3,000명 중 500~1,000명만이 알루티크어를 사용한다.
  • 시레니크어(Sirenik): 축치반도의 시레니키(Sireniki) 지역에서 사용되었던 언어. 현재는 사멸했다.

2. 4. 알루티크어 (수피아크어)

알루티크어는 알래스카반도, 코디액섬, 프린스 윌리엄 해협에서 사용되는 언어이다.[5] 알루티크족 약 3,000명 중 500~1,000명 정도만이 이 언어를 사용한다. 알루티크어는 '''알루티잇'스툰''', '''수그트'스툰''', '''수픽''',[5] '''수그피악''', '''태평양 만 유픽어''', '''태평양 유픽어''', '''추가치'''라고도 불린다.

알루티크어에는 코니아그 방언과 추가치 방언이 있다. 코니아그 방언은 알래스카 반도 남쪽과 코디액 섬에서 사용되며, 추가치 방언은 케나이 반도와 프린스 윌리엄 해협에서 사용된다.

2. 4. 1. 코니아그 방언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코니아그 방언'에 대한 정보가 없으므로, 해당 섹션은 작성할 수 없습니다. 이전 답변과 동일합니다.

2. 4. 2. 추가치 방언


  • 나우칸 유픽어(Naukan Yupik): 시베리아 동부 축치반도 일부 지역에서 사용된다. 화자는 약 100명이다.
  • 중앙 시베리아 유픽어(Central Siberian Yupik): 러시아 극동부의 유픽족 대부분과 세인트로렌스섬 원주민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러시아에서는 시베리아 유픽족 1,000명 중 약 300명이 사용하며, 세인트로렌스 섬에서는 원주민 1,100여 명 대부분이 사용한다.
  • 중앙 알래스카 유픽어(Central Alaskan Yupik, Yup'ik): 알래스카 남서부 본토의 방언군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유픽 언어이다. 대략 노튼 해협(Norton Sound)에서부터 남쪽으로는 알래스카반도가 시작하는 곳까지 분포하며, 누니바크섬 등 도서 지역에서도 사용된다. 2013년 기준으로 중앙 알래스카 유픽족 21,000명 중 약 2만 명이 여전히 집에서 유픽어를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위 방언에도 여러 가지가 있으며 최대 방언은 Yugtun이라고 불린다.
  • 알루티크어(Alutiiq, Supik): 알래스카반도, 코디액섬, 프린스 윌리엄 해협에서 사용된다. 오늘날에는 알루티크족 약 3,000명 중 500 - 1,000명만이 알루티크어를 사용한다.
  • 시레니크어(Sirenik): 축치반도의 시레니키(Sireniki) 지역에서 사용되었었다. 현재 사멸.

2. 5. 시레니크어

축치반도의 시레니키(Sireniki) 지역에서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사멸되었다.[2] 일부 연구자들은 이 언어가 에스키모어의 별개의 분기로 분류할 만큼 다른 특성을 지닌다고 본다.

3. 음운론

/i/|/i/영어는 구개수 자음 'q', 'r', 'rr' 근처에서 [e]|[e]영어로 발음되고, /u/|/u/영어는 [o]|[o]영어로 발음된다. 중앙 시베리아 유픽어와 중앙 알래스카 유픽어의 강세 패턴은 일반적으로 각 이음절 운율 발의 두 번째 음절에 강세가 오는 약강격이다. 경음절(L)로 구성된 단어에서 음절을 발로 구문 분석하는 것은 괄호로 표시된다.

(L''L''')Lqayáni(qa.yá).ni"그 자신의 카약"



유픽어 단어의 발은 단어의 왼쪽 가장자리에서 시작한다. 음절 수가 홀수인 단어에서 발로 구문 분석할 수 없는 음절은 강세를 받지 않는다. 중음절(H) (두 개의 모라로 구성됨)은 의무적으로 강세를 받는다.

(L''H''')Lqayá:ni(qa.yá:).ni"다른 사람의 카약에"



구의 마지막 음절에 강세가 오는 것에 대한 제한이 있다.

: (L''''L''')(L''''L''') (구 내부)

: (L''''L''')LL (구 마지막)

강세가 있는 음절은 유픽어에서 음성적 장음화를 겪지만 세부 사항은 방언마다 다르다. 일반적으로 가벼운 CV 음절로 구성된 발은 강세 모음이 강세가 없는 모음보다 더 긴 길이를 갖는다. 이는 강세 하에서 경음절이 중음절로 변하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L''L''')L (qayá:)ni(L''H''')L [qayá:ni] [(qa.yá:).ni]"다른 사람의 카약에"
(L''L)()L saguyá:ni(L''H)()L [sagú:yá:ni] [(sa.gú:).(yá:).ni]"다른 사람의 드럼에"



중앙 시베리아 유픽어와 중앙 알래스카 유픽어 모두 이러한 약강격 경음절의 장음화를 보인다. 강세 음절이 근본적으로 중음절일 때(예: ''LHL)''), 방언적 변이가 존재한다. 중앙 시베리아 유픽어의 차플린스키 변종은 이미 긴 모음에 추가적인 장음화를 보이지 않는다. 중음절은 중음절로 유지된다(변화 없음). 중앙 시베리아 유픽어의 세인트 로렌스 변종은 추가적인 약강격 과장음화를 보이며, 이는 근본적인 중음절에서 음성학적으로 초중음절(S)로의 변화를 초래한다. 이러한 경우, 중앙 알래스카 유픽어는 (LH) 발이 될 첫 번째 경음절을 중음절로 바꾸고, 그 다음 강세를 받는다. 경음절에서 중음절로의 이동은 CV 음절에서는 자음 중복(onset)으로, CVC 음절에서는 coda의 자음 장음화로 실현된다.

차플린스키:LHL /qaya:ni/(L''H''')L [qayá:ni] [(qa.yá:).ni]"다른 사람의 카약에"(변화 없음)
세인트 로렌스:LHL /qaya:ni/(L''S''')L [qayá::ni] [(qa.yá::).ni]"다른 사람의 카약에"(과장음화)
중앙 알래스카:LHL /qaya:ni/(''H)()L [qayyá:ni] [(qay.yá:).ni]"다른 사람의 카약에"(자음 중복)
LLLHL(L''H)()(''H''')L [qayá:píx:ká:ni] [(qa.yá:).(píx:).(ká:).ni]"다른 사람의 미래 정통 카약에"(자음 장음화)



차플린스키 변종에서 약강격 장음화로 인해 비말 강세 음절의 모음 길이 대조가 중화된다.

3. 1. 자음

c (ts~), g (ɣ), gg (x), k, l (l), ll (ɬ), m, ḿ (무성음 m), n (치경음), ń (무성음 n), ng (ŋ), ńg (무성음 ŋ), p, q (q), r (ʁ), rr (χ), s (z), ss (s), t (치경음), û (w), v (v~w), vv (f), w (χʷ), y (j), (앞선 자음의 중복)

colspan="2" rowspan="2" |순음치경음후치경음연구개음구개수음
중앙설측평음순음화평음순음화
비음무성음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
유성음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
파열음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
파찰음|align="center" |align="center" |
마찰음무성음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
유성음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
접근음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


3. 2. 모음

유픽어에는 'a', 'i', 'u', 슈와(ə) 4개의 모음이 있다.

중앙 유픽어 모음은 다음과 같다.

'''a''', '''aa''', '''e''' (ə) (''슈와''), '''i''', '''ii''', '''u''', '''uu'''

(구개수 자음 'q', 'r' 또는 'rr' 근처에서는 모음 /i/|/i/영어는 [e]|[e]영어로 발음되고, /u/|/u/영어는 [o]|[o]영어로 발음된다.)

3. 3. 운율

중앙 시베리아 유픽어와 중앙 알래스카 유픽어의 강세 패턴은 일반적으로 각 이음절 운율 발의 두 번째 음절에 강세가 오는 약강격이다. 이는 경음절(L)로 구성된 단어에서 볼 수 있다. 여기서 음절을 발로 구문 분석하는 것은 괄호로 표시된다.

(L''L''')Lqayáni(qa.yá).ni"그 자신의 카약"



위에서 볼 수 있듯이, 유픽어 단어의 발은 단어의 왼쪽 가장자리에서 시작한다. 따라서 ''L(L''''L''')(L''''L''')''의 발 구문 분석은 허용되지 않는다. 음절 수가 홀수인 단어에서 발로 구문 분석할 수 없는 음절은 강세를 받지 않는다. 따라서 ''(L''''L''')(''''L''')''의 구문 분석은 불가능하다.

또한, 중음절(H) (두 개의 모라로 구성됨)은 의무적으로 강세를 받는다.

(L''H''')Lqayá:ni(qa.yá:).ni"다른 사람의 카약에"



그러나 구의 마지막 음절에 강세가 오는 것에 대한 제한이 있다.

: (L''''L''')(L''''L''') (구 내부)

: (L''''L''')LL (구 마지막)

강세가 있는 음절은 유픽어에서 음성적 장음화를 겪지만 세부 사항은 방언마다 다르다. 일반적으로 가벼운 CV 음절로 구성된 발은 강세 모음이 강세가 없는 모음보다 더 긴 길이를 갖는다. 이는 강세 하에서 경음절이 중음절로 변하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L''L''')L
(L''L)()L



중앙 시베리아 유픽어와 중앙 알래스카 유픽어 모두 이러한 약강격 경음절의 장음화를 보인다.

강세 음절이 근본적으로 중음절일 때(예: ''LHL)''), 방언적 변이가 존재한다. 중앙 시베리아 유픽어의 차플린스키 변종은 이미 긴 모음에 추가적인 장음화를 보이지 않는다. 중음절은 중음절로 유지된다(변화 없음). 중앙 시베리아 유픽어의 세인트 로렌스 변종은 추가적인 약강격 과장음화를 보이며, 이는 근본적인 중음절에서 음성학적으로 초중음절(S)로의 변화를 초래한다. 이러한 경우, 중앙 알래스카 유픽어는 (LH) 발이 될 첫 번째 경음절을 중음절로 바꾸고, 그 다음 강세를 받는다. 경음절에서 중음절로의 이동은 CV 음절에서는 자음 중복(onset)으로, CVC 음절에서는 coda의 자음 장음화로 실현된다.

차플린스키:LHL
세인트 로렌스:LHL
중앙 알래스카:LHL
LLLHL



차플린스키 변종에서 약강격 장음화로 인해 비말 강세 음절의 모음 길이 대조가 중화된다는 점에 유의하십시오.

4. 형태론

유픽어는 다른 에스키모-알류트어와 마찬가지로 교착어의 한 종류인 "접사적 다합성어"를 나타낸다.

유픽어는 모든 단어의 시작 부분에 단일한 어근을 다양한 문법적 접미사와 합성하여 문장과 같은 의미를 가진 긴 단어를 만든다. 유픽어의 어휘 안에는 대부분의 언어에서 여러 개의 자유 형태소로 표현되는 의미를 생성하기 위해 결합될 수 있는 어휘 어근과 접미사가 있다.

모든 유픽어 단어는 단어의 맨 앞에 위치가 고정된 ''하나의 어근''만을 포함하지만, 뒤따르는 접미사의 순서는 다양한 의미, 주로 재귀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유일한 예외는 명사의 접미사와 동사의 인칭 접미사로, 이들은 해당 단어의 끝에만 위치가 제한된다.

유픽어는 명사 형태론과 동사 형태론 모두에서 절대격-능격 언어이다. 모든 동사에는 주어와 목적어에 대한 필수적인 다중 일치가 있지만, 이동사의 주제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5. 문자 체계

유픽어는 19세기 초 유럽인들이 도착하기 전까지는 문자로 표기되지 않았다. 유픽어를 문자로 표기하려는 초기 시도는 유픽어 사용 조력자들과 함께 성경 및 기타 종교 텍스트를 유픽어로 번역한 선교사들의 노력이었다. 알래스카의 성 인노켄티, 존 힌츠 목사(존 헨리 킬벅 참조), 우야쿠크와 같은 이들의 노력은 종교적 신념을 문자로 전달하는 데 제한적인 목표를 두었다.[7]

알래스카의 이누피아크인 외에도 알래스카와 시베리아 유픽족은 1760년대부터 그린란드에서 모라비안 교회 선교사들이 개발하여 나중에 래브라도로 옮겨온 라틴 문자를 채택했다.

미국이 알래스카 매입 이후, 유픽 어린이들은 공립학교에서 라틴 문자를 사용하여 영어를 쓰는 법을 배웠다. 일부는 힌츠 목사가 개발한 유픽 문자를 배우기도 했는데, 이는 라틴 문자를 사용했으며 유픽어를 쓰는 가장 널리 퍼진 방식이 되었다. 러시아에서는 대부분의 유픽인들이 러시아어만 읽고 쓰는 법을 배웠지만, 소수의 학자들이 키릴 문자를 사용하여 유픽어를 썼다.

1960년대에 알래스카 대학교는 힌츠 문자를 대체할 문자를 개발하기 위해 학자들과 유픽어 원어민으로 구성된 그룹을 소집했다. 이 문자의 목표 중 하나는 분음 부호나 추가 문자 없이 영어 키보드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다. 또 다른 요구 사항은 언어의 각 음소를 고유한 문자로 정확하게 표현하는 것이었다. 이 문자의 몇 가지 특징은 'k'의 뒤쪽 버전에 'q'를 사용하고, 프랑스어 'r'과 유사한 유픽어 소리에 'r'을 사용하며, 자음 + '를 사용하여 쌍자음(길게 발음되는 자음)을 나타낸다는 것이다. 매 두 번째 연속된 열린 음절에서 모음(슈와 제외)의 리듬상 두 배는 단어 끝에 오지 않는 한 표기법에 표시되지 않는다.

참조

[1] 서적 The Linguistic Student's Handbook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07
[2] 간행물 Endangered Languages in Northeast Siberia: Siberian Yupik and other Languages of Chukotka http://www.siberian-[...]
[3] 뉴스 Languages in Russia Disappearing Faster than Data Suggests, Activists Warn https://www.themosco[...] 2023-03-13
[4] 웹사이트 Detailed Languages Spoken at Home and Ability to Speak English https://www.census.g[...]
[5] 서적 Language in the US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1-08-31
[6] 서적 The Languages of Native North Americ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7] 웹사이트 Alaskan Orthodox texts in Alutiiq and Yup'ik http://www.asna.ca/a[...]
[7] 웹사이트 The Alaskan Orthodox Texts Project celebrates its 10th anniversary http://www.archdioce[...] 2015-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