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드라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드라섬은 그리스의 사로니코스 만에 위치한 섬으로, 이드라(Hydra)라는 이름은 고대 그리스어로 "물"을 의미하는 단어에서 유래되었다. 고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비잔틴 제국 시대에는 해적의 약탈로 인구가 감소하기도 했다. 15세기 이후 알바니아인들이 정착하면서 상업과 해운업이 발전했고, 18세기에는 오스만 제국과의 교역을 통해 번성했다. 그리스 독립 전쟁 당시에는 중요한 해군 기지 역할을 했으며, 19세기에는 해운업의 쇠퇴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다. 현재는 관광 산업이 발달했으며, 자동차 통행이 금지되어 당나귀나 자전거를 주요 교통 수단으로 사용한다. 이 섬은 레너드 코헨 등 예술가들의 거주지였으며, 미아울리아 축제 등 다양한 문화 행사가 열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티키의 지리 - 코린토스만
코린토스만은 그리스에 위치하며, 이오니아해의 만입부로 리오 해협 안쪽에 위치하고, 에게해 판과 유라시아 판의 경계에 있어 지진이 활발하며, 코린토스 운하를 통해 사로니코스만과 연결된다. - 아티키의 지리 - 사로니코스만
사로니코스만은 그리스의 여러 섬으로 둘러싸인 만으로, 아테네의 항구인 피레아스 항구가 위치하고 역사적 사건의 무대이자 고고학 유적지가 있어 관광지로 중요하며, 해양 레저 활동이 활발하고 여름철에는 계절풍의 피난처를 제공한다. - 사로니코스 제도 - 에기나
에기나는 사로니코스 만에 위치한 살로니카 제도에서 가장 큰 섬으로, 기원전 2000년경부터 미노스 문명의 영향을 받았으며, 해상 무역의 중심지로 번성하다 아테네와의 경쟁에서 패배했고, 현재는 포도, 올리브, 피스타치오를 생산하며 관광객들에게 인기가 높은 섬이다. - 사로니코스 제도 - 살라미나섬
살라미나섬은 그리스 아티카 지방의 도서 지방 자치 단체로, 아이아스와 에우리피데스의 고향이자 살라미스 해전의 격전지이며, 현재는 해군 기지와 아테네 시민들의 휴양지로 활용되고, 살라미나 시와 암펠라키아로 나뉘어 아르바니테스인의 역사와 문화를 간직한 섬이다. - 그리스의 섬 - 칼림노스섬
칼림노스섬은 도데카니소스 제도 북부에 있는 그리스 섬으로, 과거 해면 채취업으로 유명했으나 현재는 암벽 등반을 중심으로 관광 산업이 발달했으며, 동방 정교회 성인 사바스 신부와 관련 있고 밥 코스타스 등 여러 인물을 배출했다. - 그리스의 섬 - 도코스섬
도코스섬은 청동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알바니아 정착민의 피난처였던 전략적 요충지로, 인근 해역에서 기원전 2150년경의 난파선이 발견된 곳이다.
이드라섬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현지 이름 | Ύδρα (이드라) |
지리 | 사로니카 제도의 일부 |
면적 | 64.443 제곱킬로미터 |
행정 구역 | |
국가 | 그리스 |
행정 구역 | 아티카 |
현 | 제도 |
자치체 | 이드라 |
인구 통계 | |
인구 (2021년 기준) | 2070명 |
인구 (2001년 기준) | 2719명 |
추가 정보 | |
우편 번호 | 180 40 |
지역 번호 | 22980 |
자동차 번호판 코드 | Z |
정치 | |
시장 | 게오르기오스 쿠쿠다키스 |
소속 정당 | (정보 없음) |
임기 시작 | 2014년 |
2. 명칭
이드라(Hydra)라는 이름은 고대 그리스어 ὕδρα(히드라)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섬의 자연 샘을 언급하는 "물"을 뜻하는 그리스어에서 파생되었다.[3] 현지 아르바니테스 이름은 ''Nύδρα/Nidhra''와 ''Nidhriza'' 또는 ''Hydriza''의 두 가지 변형으로 확인된다.[2]
이드라섬은 헬라 시대에 그리스 반도 왕국을 위한 해상 기지 역할을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코리사 산에서는 화병 조각, 도구, 우상 머리 등이 발견되었고, 미케네 문명 시대의 수로 흔적도 발견되어 당시 물을 공급했음을 알 수 있다. 기원전 12세기경 도리아인 침공으로 인구가 감소했다가, 기원전 8세기 에르미오니에서 온 농부와 목축업자들에 의해 다시 인구가 증가했다.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기원전 6세기경 이 섬은 에르미오니에 속했다가 사모스에 팔렸고, 이후 트로이젠에 양도되었다. 이처럼 이드라섬은 고대 시대에 인구가 매우 적었고, 헤로도토스와 파우사니아스의 짧은 언급 외에는 역사적 기록이 거의 남아 있지 않다.
3. 역사
비잔티움 제국 시대에는 에피스코피 지역에서 화병과 동전이 발견되어 인구가 있었음을 알 수 있지만, 라틴 제국 시대에 해적의 약탈을 피해 주민들이 도망가면서 다시 인구가 감소했다.
15세기 말에서 16세기 초, 오스만 제국과 베네치아 공화국 간의 지역 분쟁으로 인해 펠로폰네소스 (에르미오니다)에서 아르바니트인들이 이주해 와 정착했다.[13] 이들은 현대적인 항구를 건설했으며, 20세기 중반까지 섬 인구의 다수를 차지했다.[13] 16세기에는 오스만 제국과 베네치아 간의 전쟁으로 인한 난민들도 섬에 정착했다.[14] 18세기 초에는 인근 지역에서 마지막 아르바니트인들이 이주해왔다. 19세기까지 남성들은 그리스어를 배웠지만, 여성과 아이들은 아르바니티카어를 사용했다. 20세기에도 쿤두리오티스 가문과 같은 지역 거물들은 아르바니티카어를 사용했으며, 교회 전례도 아르바니티카어로 열리는 경우가 많았다.[15]
오스만 제국 통치 초기, 이드라섬은 16세기 말 헬레닉 및 소아시아 지역의 대가족들이 이주해 오면서[16] 17세기에 해군 및 상업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1645년에는 최초의 해양 학교가 설립되었고,[17] 1657년에는 최초의 이드라섬 선박이 진수되었다. 1718년 파사로비츠 조약 체결 전까지는 베네치아 공화국과 오스만 제국 간의 갈등으로 해양 발달이 제한되었으나, 이후 무역 강세로 중요해졌다. 18세기 전반에는 15~20톤의 sahtouri|사흐투리tr와 40~50톤의 latinadiko|라티나디코tr를 건조하여 콘스탄티노플까지 무역했다. 1757년 250톤 선박 진수 이후, 이드라섬은 중요한 상업 항구가 되었다. 1771년에는 그리스 전역에서 최대 50척, 10년 후에는 100척의 선박을 보유했다.[18] 퀴취크 카이나르자 조약 이후 러시아 국기를 달고 흑해까지 자유롭게 통행하며 상업 시대를 맞이했다. 1785년부터는 운송뿐만 아니라 상업에도 종사하며 레반트 무역을 주도했다. 1792년 역병으로 인구가 감소했으나, 18세기 말에는 프랑스, 스페인, 아메리카까지 무역을 확장하며 번성했다.
19세기, 히드라는 약 125척의 배와 10,000명의 선원을 보유했으며, 그리스 혁명 당시 인구는 16,000명이었다. 그리스 독립 전쟁 초기에는 참여에 대한 의견이 분분했으나, 1821년 4월 안토니스 이코노무가 독립 투쟁 참여를 선포했다. 섬 지도자들의 반대로 이코노무는 암살되었지만,[19] 히드라는 결국 150척의 배와 물자를 지원하며 독립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안드레아스 미아울리스 제독은 히드리옷의 화공선을 이용해 오스만 함대에 큰 피해를 입혔고, 프사라, 스페체스와 함께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동부 에게 해의 지배권을 빼앗았다.[19]
그리스 혁명 이후, 이드라섬은 쿠추크 카이나르자 조약을 통해 얻었던 특권을 잃고, 증기선 혁명에 뒤처지면서 경제 위기를 맞았다. 해면 어업이 주요 버팀목이 되었으나, 1932년 이집트가 어업을 금지하면서 다시 어려움을 겪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기근으로 인구의 약 8%가 굶어 죽었다. 전쟁 이후 많은 주민들이 섬을 떠났다.
2024년 6월 21일, 요트에서 발사된 불꽃놀이로 인해 섬의 유일한 소나무 숲이 불타는 사건이 발생했다. 그리스 당국은 요트 승무원 13명을 체포했다.[20][21]
3. 1. 고대 및 중세
3천 년 전 후반기에 농부와 목축업자들이 바다에서 보이지 않는 작고 평평한 지역에 거주했다는 증거가 있다. 밀로스산 흑요석도 발견되었다. 헬라 시대 동안 히드라는 아마도 그리스 반도의 왕국을 위한 해상 기지 역할을 했을 것이다. 화병 조각, 도구, 우상 머리 등이 코리사 산에서 발견되었다. 또한 배에 물을 공급했던 미케네 시대의 수로의 증거도 있다.
기원전 12세기경에 일어난 그리스의 대규모 도리아인 침공으로 인해 섬의 인구가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히드라는 기원전 8세기에 본토 항구인 에르미오니에서 온 농부와 목축업자들에 의해 다시 인구가 채워졌다. 헤로도토스는 기원전 6세기경에 섬이 에르미오니에 속했고, 에르미오니가 이 섬을 사모스에 팔았다고 기록한다. 사모스는 다시 트로이젠에 양도했다.
히드라는 역사적으로 오랫동안 변방에 머물렀다. 고대 시대에 인구는 매우 적었고, 헤로도토스와 파우사니아스의 짧은 언급을 제외하고는 당시의 역사에 기록이 거의 또는 전혀 남아 있지 않다.
비잔틴 제국 시대에 히드라에 인구가 있었다는 것이 분명하며, 에피스코피 지역에서 화병과 동전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섬의 주민들이 해적의 약탈을 피해 도망가면서 라틴 제국 시대에 다시 인구가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다른 섬에서는 주민들이 내륙으로 이동했지만, 히드라에서는 그것이 근본적으로 불가능했다.
3. 2. 아르바니트인 정착
현지 아르바니트인들 사이에서 그들의 정착에 관한 최초의 기록은 그리스 독립 전쟁 (1830년)이 끝난 후 안드레아스 미아울리스 제독의 아들인 안토니스 미아울리스에 의해 작성되었다. 이 지역의 이야기에 따르면, 아르바니트인 이드라섬 주민들은 1460년대 오스만 제국 메흐메트 2세 술탄의 박해를 피해 알바니아를 직접 떠난 알바니아인들의 후손이다. 그러나 역사적 연구에 따르면 알바니아인들은 15세기에 알바니아에서 직접 이드라섬에 정착한 것이 아니라, 베네치아인과 오스만 제국 간의 지역 분쟁으로 인해 펠로폰네소스 (에르미오니다)에서 이주했다.[13]
이러한 첫 번째 알바니아인 정착은 16세기 초에 이루어졌으며, 1~2개의 동일한 씨족 구성원들이 포함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그들은 현대적인 항구를 건설했으며, T. 요찰라스에 따르면 20세기 중반까지 그들의 존재가 분명했는데, 당시 섬 인구의 대다수는 펠로폰네소스 외부에서 온 이민자들로 구성되었다.[13] 16세기에는 오스만 제국과 베네치아 간의 전쟁으로 인한 난민들도 섬에 정착하기 시작했다.[14] 18세기 초에는 인근 지역에서 마지막 아르바니트인들이 섬으로 이주했다.
아르바니티카는 모든 이드라섬 주민들이 사용하던 언어였다. 19세기까지 남성들은 그리스어를 배우게 되었지만, 여성과 아이들은 종종 그리스어를 하지 못했다. 아르바니티카가 아르바니트인이 정착한 다른 에게해 섬들과 달리 이드라섬에서 그렇게 오랫동안 지속될 수 있었던 이유 중 하나는 새롭게 부상하는 이드라섬 도시 상인 계급이 이 언어를 사용하고 선호했기 때문이다. 20세기에도 쿤두리오티스와 같은 지역 거물 가문들은 이드라섬에서 아르바니티카를 사용했다. 이드라섬은 또한 교회 전례가 지역 아르바니티카로 자주 열렸던 섬이기도 한데, 대부분의 정교 알바니아 공동체에서는 20세기 초까지 그리스어가 전례 언어였으므로 이는 드문 경우이다. 아르바니트 공동체는 여전히 섬에서 찾아볼 수 있다.[15] 오늘날 그들은 완전히 동화되었다.
3. 3. 오스만 제국 시대: 상업과 해운의 발전
이드라섬은 오스만 제국 통치 기간 대부분 동안 비교적 중요하지 않았다. 16세기 말, 헬레닉 및 소아시아 지역의 대가족들이 이 섬으로 이주하는 물결이 있었다. 토지가 비옥하지 않아 주민들은 바다로 눈을 돌렸다.[16] 이 섬의 해군 및 상업적 발전은 17세기에 시작되었으며, 1645년에 최초의 해양 학교가 설립되었다.[17] 실제로 최초의 진정한 이드라섬 선박은 1657년에 진수되었다. 그러나 베네치아 공화국과 오스만 제국 간의 갈등으로 인해 1718년 파사로비츠 조약까지 섬의 해양 발달이 제한되었다. 17세기부터 이드라섬은 무역 강세로 인해 점점 더 중요해지기 시작했다.
18세기 전반 동안 이드라섬은 다른 에게해 섬에서 건조된 것과 동일한 종류의 선박을 건조했다. 즉, 15~20톤의 sahtouri|사흐투리tr와 40~50톤의 latinadiko|라티나디코tr였다. 이드라섬 사람들은 콘스탄티노플까지 진출하며 에게해에서 무역하는 것에 만족했다. 1757년에 250톤 선박을 진수하면서 큰 변화가 일어났다. 더 큰 배를 통해 이드라섬은 중요한 상업 항구가 될 수 있었다. 1771년까지 그리스 전역에서 최대 50척의 선박이 선착장에 있었다. 10년 후, 이 섬은 100척의 선박을 갖추었다.[18]
그러나 오스만 제국과 그 정책은 이드라섬의 경제적 성공을 제약했다. 높은 관세와 세금은 개발 속도를 제한했다. 오스만 행정부는 자유 무역을 제한하여 오직 오스만 선박만 다르다넬스 해협과 보스포러스 해협을 항해하고, 따라서 흑해, 그 항구 및 그 배후지의 곡물 무역에 접근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퀴취크 카이나르자 조약은 이 모든 것을 바꾸었다. 러시아는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제국의 정교회 기독교인을 보호할 권리를 얻었다. 종교적 보호는 상업적 결과와 관련이 있었다. 이드라섬 사람들은 러시아 국기를 달고 항해하기 시작했다. 이 조약은 또한 에게해와 흑해 사이의 자유로운 통행을 규정했다. 이드라섬은 상업 시대로 진입했다. 이드라섬 선박은 동쪽의 남부 러시아와 서쪽의 안코나 및 리보르노의 이탈리아 항구 사이에서 상품을 운송했다. 1785년부터 이드라섬 선적업자들은 운송뿐만 아니라 상업에도 종사하기 시작했다. 각 선박은 자체 소규모 상업 기업이 되었고, 레반트와의 무역은 스페체스 및 프사라의 선박과의 경쟁에도 불구하고 이드라섬 선박에 빠르게 의존하게 되었다.
1792년의 역병으로 인구의 상당 부분이 사망했고 많은 사람들이 이주했다. 그 결과, 마을은 한동안 거의 완전히 버려졌다. 18세기 말까지 이드라섬은 다시 매우 번창하여 프랑스, 스페인, 심지어 아메리카까지 선박으로 무역을 했다. 나폴레옹은 이드라섬 사람들이 영국 봉쇄를 피해 프랑스에 식량을 가져오는 데 기여한 것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대성당에 거대한 은 샹들리에를 선물했다.
3. 4. 그리스 독립 전쟁
19세기 히드라는 약 125척의 배와 10,000명의 선원을 보유했다. 항구를 둘러싼 해상 선장들의 저택은 해운업이 섬에 가져다준 번영을 보여주는 증거이며, 그리스 혁명 당시 인구는 16,000명이었다.
처음에는 히드라 사람들은 그리스 독립 전쟁에 참여하는 것에 대해 만장일치로 동의하지 않았다. 1821년 4월, 안토니스 이코노무가 오스만 제국의 니콜라오 코코빌라 총독을 몰아내고 히드라가 독립 투쟁에 참여한다고 선포했을 때, 그는 오스만 제국 치하에서 누렸던 상대적으로 특권적인 지위를 잃는 것을 꺼리는 섬 지도자들로부터 강력한 반대에 직면했다. 이코노무는 투옥되었고, 섬에서 쫓겨났으며, 결국 그의 반대자들은 암살자를 보내 1821년 12월에 그를 쫓아가 살해했다.[19]
하지만 히드라는 결국 독립의 대의에 동참했고, 튀르키예에 맞서 싸우기 위해 150척의 배와 물자를 지원한 히드라의 기여는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그리스 제독 안드레아스 미아울리스는 히드라에 정착한 사람이었는데, 히드리옷의 화공선을 사용하여 오스만 함대에 큰 피해를 입혔다. 결국 히드라의 함대는 프사라와 스페체스의 다른 두 해군 섬의 함대와 함께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동부 에게 해의 지배권을 빼앗을 수 있었다.[19]
히드라와 스페체스의 알바니아어를 사용하는 선원들은 그리스 함대의 핵심을 이루었고, 그중에는 전쟁 시기의 대통령도 있었다. 그들은 때때로 서로 알바니아어를 사용하여 다른 사람들이 자신들의 서신을 읽는 것을 막았다.[19]
3. 5. 현대
그리스 혁명이 끝나고 그리스 국가가 수립되면서 이드라섬은 동지중해에서의 해상 지위를 점차 잃게 되었고, 이는 경제 위기를 촉발하여 고난과 실업의 시기를 낳았다. 주요 원인은 그리스 국가 수립으로 이드라섬의 함대가 쿠추크 카이나르자 조약과 러시아 국기 사용을 통해 얻었던 특권을 잃었기 때문이다. 또 다른 이유는 함대의 대다수를 소유한 전통 가문들이 증기선 혁명에 참여하는 이점을 간과했기 때문인데, 증기선 혁명은 선원 수를 줄이고 바람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되어 해운 운영 비용을 크게 절감시켰고, 이로 인해 이들은 피레아스, 파트라스, 시로스의 새로운 해운 회사에 비해 불리한 입장에 놓였다. 세 번째 이유는 새로운 조건으로 인해 해적 행위와 같은 불법 활동이 불가능해졌기 때문이다. 다시 한 번 많은 주민들이 이드라섬을 떠나 거대한 저택과 아름다운 주택을 버려두었고, 이들은 폐허가 되었다. 이 섬 경제의 주된 버팀목은 해면 어업이 되었다. 이는 1932년 이집트가 해안에서의 어업을 금지할 때까지 다시 번영을 가져왔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추축국 점령 하 그리스 기간인 1941년에서 1943년 사이에 이드라섬에는 기근이 있었다. 인구의 약 8%가 굶어 죽은 것으로 추정된다. 제2차 세계 대전 말 무렵에 이드라 주민들은 다시 섬을 떠났고, 많은 사람들이 해외로 나갔다.
2024년 6월 21일, 이 섬의 유일한 소나무 숲이 불탔다. 불은 요트에서 발사된 불꽃놀이로 인해 발생했다. 그리스 당국은 이 사건과 관련하여 13명을 체포했으며, 이들은 모두 요트 승무원이었다.[20][21]
4. 지리 및 생태
이드라섬의 지배적인 지형적 특징은 바위투성이의 언덕으로, 드문드문 농가가 있는 소나무가 우거진 계곡이 있다. 이 섬은 1955년 렌츠에 의해 현대 지질학 연구를 받았다. 후기 페름기 석회암 지층 중 일부는 보존이 잘 된 화석이 풍부하다.
희귀한 ''스펜체스'' 또는 시클라멘과 양귀비를 포함한 많은 종류의 야생화가 있다. 소나무 외에도 사이프러스와 올리브 나무가 있다. 조류 종에는 자고새, 메추라기 및 많은 철새가 있으며, 이는 지역 사냥의 대상이 된다. 포유류에는 토끼, 들고양이, 염소가 있다.
섬의 이름은 고대 그리스인에게 알려진 고대 샘에서 유래했지만, 현재는 거의 말라있다. 이드라섬은 이전에 우물을 가지고 있었고, 세 개의 새로운 우물이 발견되었다. 오늘날 이 섬은 그리스 본토에서 배로 물을 수입한다. 새로운 담수화 공장이 2014년에 개장했다.[22] 많은 지역 주민들은 겨울 강우량을 집 아래의 저수조에 저장하여 나중에 식수로 사용한다.
2007년 유럽 폭염 동안 발생한 화재로 인해 이드라 항구 동쪽의 소나무 숲 대부분이 파괴되었다. 그러나 이 화재로 인해 카미니 위의 숲과 이드라 서쪽 끝의 숲은 일부 손상되지 않았다. 몰로스, 비스티, 아기오스 니콜라오스 주변의 숲도 영향을 받지 않았다.
5. 기후
이드라섬의 기후는 지중해성 기후로, 여름에는 사하라 사막에 영향을 받은 아열대 고압대에 의해 전형적으로 덥고 건조한 반면 겨울에는 따뜻하고 강수량이 가장 많다. 이드라섬은 연평균 기온 약 20.4°C, 연평균 강수량 약 390mm의 아열대 사막 기후(쾨펜 기후 구분: BSh)를 보인다. 이드라는 11a 내한성 구역에 속한다.[23][24]
6. 교통
이드라섬에서는 자동차, 오토바이 등의 통행이 불가능하며, 자전거나 당나귀를 이용해야 한다. 관광객이 당나귀를 탈 경우 당나귀에게 제공될 채소를 구매하는 비용을 지불해야 하며, 자전거는 유로센트 주화를 내고 이용할 수 있다.
이드라섬은 관광 산업에 크게 의존하고 있으며, 방문객의 상당수는 아테네인들이다. 아테네에서 37nmi 떨어진 피레아스에서는 이드라섬으로 향하는 고속 수중익선과 쌍동선이 운항하며, 포로스를 경유하여 스페체스로 이동한다. 이드라 항구와 펠로폰네소스 해안의 메토치 사이에는 수중익선을 대체하는 여객 페리 서비스가 제공된다. 많은 아테네인들은 메토치까지 자가용을 이용한 후, 안전한 주차장에 차를 세우고 20분 정도 소요되는 여객 페리를 이용하여 이드라섬으로 이동한다.
섬에서는 쓰레기 트럭만이 유일하게 허용되는 자동차이며, 법률에 따라 자동차와 오토바이는 금지된다. 대중교통 수단으로는 말, 노새, 당나귀, 수상 택시가 이용된다.[6] 그러나, 사람이 거주하는 지역이 좁아 대부분 도보로 이동한다.
7. 문화
이드라섬은 풍부한 문화 유산과 예술적 분위기로 유명하다. 1950년대와 1960년대에는 악셀 옌센, 조지 존스턴, 레너드 코헨 등 해외 예술가들의 공동체가 형성되어 창작 활동을 펼쳤다. 특히 코헨은 마리안느 일렌과 함께 살면서 "와이어 위의 새", "안녕, 마리안느" 등 대표곡을 이곳에서 썼다. 이들의 이야기는 다큐멘터리 영화와 소설로도 제작되었다. 킹 기저드 앤 더 리저드 위저드는 이 섬에서 "Ice V"의 뮤직 비디오를 촬영했다.
7. 1. 문화 예술
미아울리아 축제는 6월 마지막 주에 열리며, 그리스 독립 전쟁 당시 미아울리 제독이 이끈 해전의 승리를 기념하는 다양한 문화 행사를 제공한다. 이 축제는 오스만 제국 함대의 소각을 재현한 가상의 해상 재연과 화려한 불꽃놀이로 절정에 달한다.[27][http://www.hydrama.gr/ 하이드라마 극장 및 예술 센터]는 매년 여름 하이드라 공연 예술 축제 기간 동안 무료 연극 및 무용 공연을 선보인다.[28][29] 하이드라마는 2001년부터 지역 사회와 국제 방문객을 위한 드라마 및 무용 활동을 주최해 왔다.[30]
2009년 6월, 미술품 수집가 다키스 요안누는 신진 작가들의 작품을 전시하기 위해 사립 미술관인 데스테 재단의 하이드라 지점을 열었다.[31]
1950년대와 1960년대에 하이드라는 노르웨이 소설가 악셀 옌센, 오스트레일리아 작가 참미안 클리프트와 조지 존스턴, 캐나다 싱어송라이터 레너드 코헨을 포함한 해외 예술가 공동체의 정착지였다. 코헨은 옌센의 전 부인인 마리안느 일렌과 함께 살면서 "와이어 위의 새"와 "안녕, 마리안느"를 포함한 그의 잘 알려진 몇몇 곡을 하이드라에서 썼다. 이 시기는 2019년 다큐멘터리 영화 ''마리안느와 레너드: 사랑의 말''과 폴리 샘슨의 2020년 소설 몽상가를 위한 극장에 묘사되었다.
만드라키의 빌헬미나 미술관은 토구오와 베아 보나피니와 같은 예술가의 작품을 포함한 현대 미술 전시회를 개최한다.
레너드 코헨의 집 근처에는 현재 박물관으로 운영되는 파나요티스 테시스의 집이 있다.[32] --
이 섬은 10월 중순에 그리스 도시 민속 음악의 일종인 레베티코에 대한 연례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문학'''
- ''마루시의 거상'', 헨리 밀러 (1941)
- ''나에게 연꽃을 꺾어주세요'', 참미안 클리프트 (1959)
- ''바다의 변화'', 엘리자베스 제인 하워드 (1959)
- ''의사들은 스칼렛을 입는다'', 사이먼 레이븐 (1960)
- ''포도 덩굴의 밧줄: 그리스 섬에서의 일기'', 브렌다 체임벌린 (1965)
- ''몽유병자'', 마가리타 카라파누 (1985)
- ''이드라섬 위의 구름'', 찰스 영 (1996)
- ''도망자 조각'', 앤 마이클스 (1996)
- ''기수'', 팀 윈턴 (1996)
- ''이드라섬과 레너드 코헨의 바나나'', 로저 그린 (2003)
- ''바위에서 온 루바브'', 데이비드 페이건 (2003)
- ''히드라'', 캐서린 반더풀 (1980)
- ''첫날'', 마크 레비 (2009)
- ''에피쿠로스와의 여행'', 다니엘 클라인 (2012)
- ''히드라 비유 프라이베이트/ 개인적인 모습'', 캐서린 펀초, 에디션 구르쿠프 그래디네고 (2015)
- ''고양이 섬 - 이드라'', 가브리엘라 스테블러, 에디션 로이스 (2015)
- ''아름다운 동물들'', 로렌스 오스본 (2017)
- ''안녕, 마리안: 러브 스토리'', 카리 헤스타마르 (2017)
- ''히드라. 섬과 그 건축'', 마이클 라우든 (2018)
- ''빛 속으로'', 고든 메릭 (1974)
- ''몽상가를 위한 극장'', 폴리 샘슨 (2020)
- ''거의 완벽한 세상의 절반 (작가,몽상가 그리고 방랑자)'', 폴 제노니와 타냐 달지엘 (2018)
- ''우리가 거의 젊었을 때: 전쟁과 보헤미안을 통한 이드라'', 헬레 골드만 (편집자, 편찬자) (2018)
- Δε λες κουβέντα ("아테네 무단자"),[35] 마키스 말라페카스 (2018)
- ''시간의 왜곡'', 예카테리나 유스코프스키 (2024)[36]
'''영화'''
- ''검은 옷을 입은 소녀''(A Girl in Black) (그리스, 1956)
- ''돌고래를 탄 소년''(Boy on a Dolphin) (1957)
- ''파이드라''(Phaedra) (1962)
- ''사랑의 섬''(Island of Love) (1963)
- ''저주받은 자들을 위한 향''(Incense for the Damned) (1970)
- ''푸른 빌라''(The Blue Villa) (''Un Bruit Qui Rend Fou'') (1995)
- ''보트 트립''(Boat Trip) (2002)
- ''도망자 조각들''(Fugitive Pieces) (2007)
- ''캡슐''(The Capsule) (2012)
- ''마리안 앤 레너드: 사랑의 말들''(Marianne & Leonard: Words of Love) (2019)
- ''그리스로의 여행''(The Trip to Greece) (2020)
7. 2. 주요 축제
6월 마지막 주에는 그리스 독립 전쟁 당시 안드레아스 미아울리스 제독이 이끈 해전의 승리를 기념하는 미아울리아 축제가 열린다. 이 축제에서는 다양한 문화 행사가 열리며, 오스만 제국 함대 소각을 재현한 가상의 해상 재연과 화려한 불꽃놀이로 절정에 달한다.[27]하이드라마 극장 및 예술 센터는 매년 여름 하이드라 공연 예술 축제 기간 동안 무료 연극 및 무용 공연을 선보인다.[28][29] 하이드라마는 2001년부터 지역 사회와 국제 방문객을 위한 드라마 및 무용 활동을 주최해 왔다.[30]
2009년 6월, 미술품 수집가 다키스 요안누는 신진 작가들의 작품을 전시하기 위해 사립 미술관인 데스테 재단의 하이드라 지점을 열었다.[31]
만드라키의 빌헬미나 미술관은 토구오와 베아 보나피니와 같은 예술가의 작품을 포함한 현대 미술 전시회를 개최한다.
10월 중순에는 그리스 도시 민속 음악의 일종인 레베티코에 대한 연례 컨퍼런스가 이 섬에서 개최되었다.

7. 3. 박물관 및 미술관
다키스 요안누(Dakis Joannou)가 설립한 데스테 재단(Deste Foundation)의 하이드라 지점은 신진 작가들의 작품을 전시하는 사립 미술관이다.[31] 만드라키의 빌헬미나 미술관에서는 토구오와 베아 보나피니와 같은 예술가의 작품을 포함한 현대 미술 전시회가 열린다.파나요티스 테시스(Panayiotis Tetsis)의 집은 현재 박물관으로 운영되고 있다.[32]
8. 행정 구역
이름 | 면적 | 인구 |
---|---|---|
도코스 섬 | 13.5km2 | 15 |
아기오스 게오르기오스 섬 | 4.3km2 | 0 |
이드라 섬 | 52km2 | 2,055 |
트리케리 섬 외 여러 섬 | 2.2km2 | 0 |
이드라 시 전체 면적은 72km2이며, 인구는 2,070명(2021년 기준)으로 대부분 이드라 타운에 거주한다.
9. 자매 도시
이드라는 다음 도시들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10. 저명한 출신 인물
- 라스카리나 부불리나 (1771–1825): 상인, 선주, 제독
- 브렌다 체임벌린 (예술가) (1912–1971): 웨일스 출신 예술가이자 작가
- 샤미언 클리프트 (1923–1969): 호주 소설가이자 작가
- 레너드 코헨 (1934–2016): 캐나다 싱어송라이터, 시인, 소설가. 여자친구 마리안느 일렌과 함께 이드라에서 초기 작곡가 경력을 보냈다.
- 안드레아 디미트리 (1775–1852): 그리스계 미국인 전쟁 영웅. 1812년 전쟁에 참전했다.
- 도로테오스 (1888–1957): 아테네 및 그리스 대주교
- 포티우스 피스크 (1809–1890): 그리스계 미국인 노예 폐지론자이자 미국 해군 군목
- 악셀 옌센 (1932–2003): 노르웨이 작가
- 조지 존스턴 (1912–1970): 호주 언론인, 소설가이자 작가
- 게오르기오스 쿤투리오티스 (1789–1858): 상인, 선주, 정치인, 그리스 총리
- 라자로스 쿤투리오티스 (1769–1852): 상인, 선주. 그리스 독립 전쟁의 가장 큰 자금 제공자.
- 파블로스 쿤투리오티스 (1855–1935): 제독이자 그리스 대통령
- 파나요티스 쿠피토리스 (1821–1881): 작가
- 안토니오스 크리에지스 (1796–1865): 상인, 선주, 제독, 그리스 총리
- 마리오스 로이치데스 (1928–1988): 그리스 시각 예술가
- 안드레아스 미아울리스 (1768–1835): 상인, 선주, 제독
- 아타나시오스 미아울리스 (1815–1867): 그리스 총리
- 니코스 니콜라우 (1909–1986): 예술가
- 게오르기오스 사크투리스: 그리스 독립 전쟁 당시의 선주, 제독
- 파나요티스 테티스 (1925–2016): 화가
- 엠마누일 톰바지스: 상인, 선주, 제독
- 이아코보스 톰바지스 (1782–1829): 상인, 선주, 제독
- 랄루 마누: 안무가
- 아나스타시오스 차마도스 (1774–1825): 선주, 제독, 아리스의 그리스 선장. 스파크테리아 전투 (1825년)에서 영웅적으로 사망하며 이집트-터키 상륙군을 막아냈다.
- 고란 툰스트룀 (1937–2000): 스웨덴 작가
- 릴리 베니젤로스 (1933년 출생): 환경 운동가
- 니콜라오스 보코스 (1854–1902): 화가
- 엘레나 보치 (1964년 출생): 보석 디자이너
- 니콜라오스 보치스 (1877–1931): 제독
- 디미트리오스 불가리스 (1802–1878): 상인, 선주, 그리스 총리
- 고든 메릭 (1916–1988): 작가
- 크리스티나 콜로레도-만스펠드 (1940년 출생): 예술가
- 인게보르 베우겔 (1960년 출생): 저널리스트
- 스테판 콜로레도 – 만스펠드 (1976년 출생): 프로듀서 및 작가
- 디미트리오스 안토니치스 (1966년 출생): 예술가이자 큐레이터

참조
[1]
웹사이트
Municipality of Ydra, Municipal elections – October 2023
https://ekloges.ypes[...]
Ministry of Interior
[2]
서적
Ύδρα: λησμονημένη γλώσσα
https://books.google[...]
Ekdoseis Patakē
2006
[3]
웹사이트
Water supply for Hydra Island Greece
http://www.hydradire[...]
2017-03-15
[4]
웹사이트
Population & housing census 2001 (incl. area and average elevation)
http://dlib.statisti[...]
National Statistical Service of Greece
[5]
웹사이트
Detailed census results 1991
http://dlib.statisti[...]
[6]
뉴스
Hydra: The Cosmopolitan Greek Island Where No Cars Are Allowed {{!}} GreekReporter.com
http://greece.greekr[...]
2014-09-09
[7]
웹사이트
Travel
http://traveler.nati[...]
2014-01-08
[8]
웹사이트
Hydra National Merchant Marine Academy
http://www.hydra.com[...]
2017-03-15
[9]
서적
Hydra. An Island and Its Architecture
[10]
뉴스
Athens School of Fine Arts
http://www.grect.com[...]
2017-03-15
[11]
웹사이트
Tombazis Mansion | Hydra's Historic Mansions | Hydra Greece
http://www.hydraisla[...]
2018-09-25
[12]
뉴스
Cathedral of Hydra
http://www.hydraisla[...]
2010-11-06
[13]
문서
Über die Einwanderung der Albaner in Griechenland: Eine zusammenfassene Betrachtung ["On the immigration of Albanians to Greece: A summary"]
München: Trofenik
1971
[14]
문서
Hydra
Athens Lycabettus Press
1980
[15]
서적
Modern Greece
https://www.worldcat[...]
2022
[16]
서적
Culture and Tourism in a Smart, Globalized, and Sustainable World: 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IACuDiT, Hydra, Greece, 2020
https://books.google[...]
Springer Nature
2021-06-21
[17]
문서
Iles grecques
Guide Bleu, Hachette
1998
[18]
문서
Le Golfe Saronique
[19]
서적
The Greek Revolution and the Making of Modern Europe
https://books.google[...]
Penguin Press
[20]
뉴스
Thirteen arrested after fireworks from yacht spark forest fire on Greek island
https://www.theguard[...]
2024-06-23
[21]
뉴스
Crew arrested after yacht fireworks spark Greece blaze
https://www.bbc.com/[...]
2024-06-23
[22]
웹사이트
https://www.hydradir[...]
[23]
웹사이트
Monthly Bulletins
https://www.meteo.gr[...]
[24]
웹사이트
Latest Conditions in Hydra
https://penteli.mete[...]
[25]
웹사이트
https://penteli.mete[...]
[26]
웹사이트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https://oscar.wmo.in[...]
2023-07-14
[27]
웹사이트
Miaoulia Festival in Hydra – Hydra Events | Greeka
https://www.greeka.c[...]
[28]
웹사이트
Το πρόγραμμα των παραστάσεων του Φεστιβάλ Θεάτρου Hydrama Theatre στον Βλυχό - Η Φωνή της Ύδρας
https://fonitisydras[...]
[29]
웹사이트
Hydrama Theatre & Arts in Vlychos on Hydra Island Greece
https://www.hydradir[...]
[30]
문서
Green Tea Girl in Orange Pekoe Country
[31]
웹사이트
In Pictures: See Jeff Koons's Luxurious Art Offerings to Apollo, God of the Sun, on the Greek Island of Hydra
https://news.artnet.[...]
2022-08-05
[32]
웹사이트
Tetsis Home & Studio on Hydra Island
https://www.nhmuseum[...]
2022-07-13
[33]
웹사이트
Twinnings
http://www.kedke.gr/[...]
2013-08-25
[34]
웹사이트
National Commission for Decentralised cooperation
http://www.cncd.fr/f[...]
2013-12-26
[35]
웹사이트
Malafekas: pulp is the genuine product of a country in crisis
https://www.balcanic[...]
2020-10-06
[36]
웹사이트
The Warp of Time (Helen Marden Cover Edition)
https://gagosianshop[...]
2024-08-29
[37]
웹사이트
National Merchant Marine Academy of Hydra
https://www.hydra.gr[...]
[38]
문서
῾Υδρέα이며, "물"을 의미하게 되어 있는 그리스어에서 유래하고 있다.
[39]
웹인용
Water supply for Hydra Island Greece
http://www.hydradire[...]
2017-03-15
[40]
웹인용
Population & housing census 2001 (incl. area and average elevation)
http://dlib.statisti[...]
National Statistical Service of Greece
[41]
웹인용
National Commission for Decentralised cooperation
http://www.cncd.fr/f[...]
2013-12-26
[42]
웹인용
Twinnings
http://www.kedke.gr/[...]
2013-08-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