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란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은 제1차 세계 대전과 러시아 혁명 이후 이란 북부 길란 지역에서 수립된 소비에트 공화국이다. 카자르 왕조의 쇠퇴와 영국의 간섭 속에서 미르자 쿠체크 칸을 중심으로 한 장갈 운동이 일어났고, 러시아 볼셰비키의 지원을 받아 공화국을 선포했다. 그러나 내부 이념 갈등과 소련의 정책 변화로 인해 붕괴되었으며, 이란 내에서는 다양한 평가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란 - 이란국방산업기구
이란국방산업기구는 이란의 군수 산업을 총괄하는 기관으로, 전차, 장갑차, 미사일, 잠수함, 전투기 등을 생산하며, 무기 수출과 관련된 불법 거래 및 제재 논란이 있었다. - 소련-이란 관계 - 테헤란 회담
테헤란 회담은 1943년 11월에 미국의 루즈벨트 대통령, 영국의 처칠 수상, 소련의 스탈린 총서기가 모여 제2차 세계 대전 중 연합국의 협력 강화 및 전후 세계 질서 구축을 논의한 회담으로, 오버로드 작전 개시 결정, 소련의 대일전 참전 약속, 국제연합 설립 기반 마련 등의 결과를 낳았으나 폴란드 국경 문제, 독일 암살 계획설 등의 논란도 있었다. - 소련-이란 관계 - 이란 인민무자헤딘기구
1965년 이란에서 설립된 이란 인민무자헤딘기구는 초기 이슬람 사회주의를 표방하며 팔레비 정권에 대한 무장 반란을 목표로 했으나, 이후 이란 이슬람 공화국과의 갈등, 테러 단체 지정, 이라크와 알바니아로의 이전 등 논란 속에서 이란 정부 전복을 추구하고 있다. - 공산주의 국가 - 라오스
라오스는 동남아시아의 내륙 국가로, 1353년 란쌍 왕국 건국 이후 프랑스 식민 지배, 내전 등을 거쳐 1975년 공산 정권 수립 후 라오 인민민주주의 공화국이 되었으며, 현재 라오스 인민혁명당의 일당 독재 체제 하에 농업 중심의 혼합 경제 체제를 운영한다. - 공산주의 국가 - 소련
소련은 1922년 결성되어 15개의 공화국으로 구성된 사회주의 연방 국가였으며, 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과 함께 초강대국으로 부상했으나, 1991년 해체되었다.
이란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공식 명칭 | 이란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페르시아어 (로마자 표기) | Jomhuri-ye Šurâ-ye Sosiyâlisti-ye Irân |
일반 명칭 | 이란 소비에트 공화국 |
지위 | 미승인 국가 |
수도 | 라슈트 |
공용어 | 미지정 |
사용 언어 | 길라키어 탈리시어 |
국가 | 인터내셔널가 |
건국 | 1920년 5월 |
멸망 | 1921년 9월 |
![]() | |
정치 | |
정치 체제 | 사회주의 공화국 |
지도자 직책 | 인민위원회 의장 |
지도자 | 미르자 쿠체크 칸 (1920–21) |
역사 | |
시대 | 전간기 |
사회주의 공화국 선포 | 1920년 5월 |
러시아-페르시아 조약 | 1921년 2월 |
기타 | |
현재 국가 | 이란 |
2. 역사적 배경
제1차 세계 대전과 러시아 혁명을 거치면서 이란은 혼란스러운 상황에 놓였다. 이란은 영국과 러시아 제국에 의해 반식민지 상태가 되었으며, 1919년 영-페르시아 협정으로 영국의 보호국화가 진행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길란 주에서는 장갈 운동이 일어나 반영국, 반테헤란 정부 노선을 추구했다. 한편, 볼셰비키는 장갈 운동을 지원하고자 했다.
2. 1. 카자르 왕조의 쇠퇴와 열강의 개입
제1차 세계 대전 시기, 카자르 왕조의 권위 약화로 이란은 영국과 러시아 제국의 각축장이 되었다. 이란은 사실상 양국의 반식민지 상태에 놓였다.[11] 1919년 영-페르시아 협정은 이란을 영국의 보호국으로 만들려는 시도였으며, 이는 이란 내 민족주의 정서를 더욱 자극했다.[11]2. 2. 장갸리 운동의 대두
제1차 세계 대전 시기, 카자르 왕조의 쇠퇴에 따라 이란은 영국과 러시아 제국에 의해 반식민지 상태가 되었다.[11]。 이 무렵 이란 북부 카스피해 남서쪽에 위치한 길란 주에서는 영국과 러시아 양국의 간섭에 게릴라로 저항을 계속하며 테헤란 중앙 정부와 거리를 두는 독자적인 세력이 존재했다.[12]。 일찍이 좌절된 입헌 혁명의 부활을 호소하며 길란의 숲(장갈) 속에서 이란의 독립 회복과 변혁을 요구하는 그들의 투쟁은 "장갈 운동"으로 불렸고, 이 지도자인 میرزا کوچک خان جنگلی|미르자 쿠체크 한fa에게도 많은 지지가 모였다.[12]。이후 러시아 혁명의 발발로 러시아군이 이란 북부에서 철수하자, 이란에서의 영국의 지배력은 크게 증대되었다.[11]。 1919년 8월에는 قرارداد ۱۹۱۹|영-페르시아 협정fa에 의해 이란의 실질적인 영국에 의한 보호국화가 시작되었고,[11], 이에 따라 장갈 운동도 초기의 범이슬람주의에서 반영국·반테헤란 정부로 노선을 전환했다.[13]。 한편 새로운 러시아의 지배자가 된 볼셰비키 사이에서도 이란 인민의 계급 의식의 담당자로 여겨진 장갈 운동에 대한 지원이 검토되었다.[13]。

2. 3. 러시아 혁명과 볼셰비키의 영향
러시아 혁명은 장갈리 운동에 새로운 동력을 제공했다. 볼셰비키는 장갈리 운동을 이란 민중의 계급 의식을 대변하는 세력으로 간주하고 지원을 모색했다.[13]3. 공화국 성립 과정
1920년 5월 18일, 소련 볼셰비키의 적군 제11군과 카스피 적색 함대는 영국 주둔군에 보호받던 백군 함대 (ru)를 나포한다는 명목으로 이란 기란의 안잘리 항을 공격했다.(ru)[14] 적군은 영국군을 패퇴시킨 후 현지 주민들로부터 어느 정도 지지를 받으며 안잘리에 주둔했다.[14] 같은 달 23일, 미르자 쿠체크 칸 등 장갈리 대표단은 적군의 세르고 오르조니키제와 협상하여 반영, 반테헤란 정부 방침에 의견 일치를 보았다.[14]
1920년 6월 4일, 미르자 쿠체크 칸은 적군과 함께 기란의 주도 라슈트로 입성하여 칼고자리 광장에서 "이란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수립을 선언했다.[15] 혁명 정부는 기존 지방 관청을 해체하고 관리들을 기란에서 추방했으며,[19] 경찰청장이 혁명 측으로 돌아서면서 치안 조직도 장악했다.[19] 한편, 당시 기란에 주둔하던 페르시아 코사크 여단은 혁명 정부의 무장 해제를 거부하고 테헤란 정부에 충성을 맹세했다.[19] 그러나 6월 15일 장갈리와 적군 합동 군대의 포위 공격으로 450명의 코사크 병사들은 100명 이상의 전사자를 낸 끝에 무장 해제되었다.[16] 이후 이란 전역의 "혁명적 해방"은 인접한 잔잔 주에서의 시도가 실패하여 단념되었다.[17]
안잘리에서는 같은 달 20일부터 25일에 걸쳐 이란 공산당 창립 대회가 개최되었다.(fa)[18] 이란 공산당과 장갈리의 통일 전선으로 발족한 혁명 정부의 구성원은 다음과 같다.[18]
3. 1. 소비에트의 개입
1920년 5월 18일, 볼셰비키 적군 제11군과 카스피 적색 함대는 영국 주둔군에 보호받던 백군 함대(ru)를 나포한다는 명목으로 기란의 안잘리 항을 공격했다(ru).[14] 적군은 영국군을 패퇴시킨 후, 현지 주민들의 지지를 받으며 안잘리에 주둔했다.[14] 같은 달 23일, 쿠체크 등 장갈리 대표단은 적군의 세르고 오르조니키제와 협상하여 반영・반테헤란 정부 방침에 대한 의견 일치를 확인했다.[14]

3. 2. 미르자 쿠체크 칸과 볼셰비키의 협력
표도르 라스콜니코프가 이끄는 소비에트 카스피 함대는 세르고 오르조니키제와 함께 카스피 해의 항구 반다르-에 안잘리에 진입했다. 이 임무는 영국군이 안잘리에 망명시킨 백군의 반혁명가 장군 데니킨이 안잘리로 가져간 러시아 선박과 탄약을 추적하기 위한 것이라고 발표되었다. 안잘리의 영국 수비대는 곧 저항 없이 도시를 떠나 만질로 후퇴했다.자신의 운동과 영국군 및 중앙 정부군의 갈등에 직면한 이란 혁명가 미르자 쿠치크 칸은 여러 선택지를 고려했다. 미르자는 1년 전 볼셰비키의 지원을 구하기 위해 란카란까지 걸어가 그들을 만날 생각을 했지만, 그가 그 도시에 도착했을 때 적군은 이미 철수해야 했다.
장갈리 중에는 볼셰비키가 러시아와 이란이 공유하는 문제, 즉 상류층과 제국 궁정의 지배에 대한 진정한 해결책을 제시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았다. 쿠치크 칸의 부사령관 에산올라 칸 도스트다르는 공산주의자가 되었고 볼셰비키와의 동맹을 적극적으로 옹호했다. 쿠치크 칸은 종교적 배경과 이란 민족주의적 배경 때문에 이러한 생각에 대해 주저하고 조심스러웠지만 이를 받아들였고 장갈리는 볼셰비키와 합의를 맺었다.
소비에트 혁명가와의 이러한 협력은 자신의 지도하에 페르시아 사회주의 소비에트 공화국을 선포하고 소비에트가 공화국의 내정에 직접 개입하지 않는다는 조건을 포함했다. 소비에트는 그를 탄약과 병사로 지원하기로 합의했다. 미르자는 탄약에 대한 대가를 지불하겠다고 제안했지만 소비에트는 어떤 지불도 거부했다.[14]
1920년 5월 18일, 볼셰비키의 적군제11군과 카스피 적색 함대는 영국 주둔군에 보호받던 백군 함대 (ru)의 나포를 명목으로 기란의 안잘리 항을 일제 공격했다(ru).[14] 그리고 적군은 영국군을 패퇴시킨 후, 현지 주민들로부터 어느 정도 지지를 받으며 안잘리에 주둔하기 시작했다.[14] 같은 달 23일, 쿠체크 등 장갈리 대표단은 적군의 세르고 오르조니키제, 표도르 라스콜니코프와 협상하여 반영・반테헤란 정부의 방침으로 의견 일치를 확인했다.[14]
3. 3. 이란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선포
1920년 5월 18일, 볼셰비키의 적군 제11군과 카스피 적색 함대는 영국 주둔군의 보호를 받던 백군 함대를 나포한다는 명목으로 이란 기란의 안잘리 항을 공격했다.(ru)[14]。적군은 영국군을 패퇴시킨 후 현지 주민들의 지지를 받으며 안잘리에 주둔했다.[14]。같은 달 23일, 미르자 쿠체크 칸 등 장갈리 대표단은 적군의 세르고 오르조니키제와 협상하여 반영・반테헤란 정부 방침에 의견 일치를 보았다.[14]。6월 4일, 미르자 쿠체크 칸은 적군과 함께 기란의 주도 라슈트로 입성하여 칼고자리 광장에서 "이란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수립을 선언했다.[15]。혁명 정부는 기존 지방 관청을 해체하고 관리들을 기란에서 추방했으며,[19]。경찰청장이 혁명 측으로 돌아서면서 치안 조직도 장악했다.[19]。반면, 기란에 주둔하던 페르시아 코사크 여단은 혁명 정부의 무장 해제를 거부하고 테헤란 정부에 충성을 맹세했다.[19]。6월 15일 장갈리와 적군 합동 군대의 포위 공격으로 450명의 코사크 병사들은 100명 이상의 전사자를 낸 끝에 무장 해제되었다.[16]。이란 전역의 "혁명적 해방"은 인접한 잔잔 주에서의 시도가 실패하여 단념되었다.[17]。
안잘리에서는 같은 달 20일부터 25일에 걸쳐 이란 공산당 창립 대회가 개최되었다. (fa)[18]。이란 공산당과 장갈리의 통일 전선은 다음 구성원으로 혁명 정부를 발족했다.[18]。
새 공화국은 빈곤한 농민들에게 토지 재분배를 하지 않아 장갈리 운동의 급진적인 세력들을 실망시켰다.
4. 내부 갈등과 분열
이란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은 적군의 비호 아래 이란 공산당과 민족주의 성향의 장갸리 운동의 연립으로 성립되었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좌익 쿠데타에 의해 연립이 무너지고 공산주의 혁명으로 노선이 변경되었다.[15][20]
1920년 5월, 길란 소비에트 공화국이 수립되었다. 그러나 이 공화국은 농민들에게 토지 재분배를 하지 않아 장갈 운동의 급진적인 세력들을 실망시켰다. 미르자와 그의 고문단, 소비에트 및 페르시아 공산당 사이에는 곧 의견 불일치가 발생했다.
쿠체크가 라슈트를 떠난 9일 후인 7월 28일, 아나스타스 미코얀이 이끄는 800명의 병사가 안잘리에서 라슈트로 진입하여 볼셰비키 이란국에 의한 무혈 쿠데타가 실행되었다.[24]
정변 후, 미코얀은 보고를 통해 쿠체크가 "볼셰비키에 대한 진정한 진격을 시작했고", "적군 자산을 가지고 도주하여 자신의 정예 부대를 철병시켰다"고 주장했다.[25] 반면 쿠체크는 내전을 피하기 위해 라슈트를 떠났고, 자산은 이란 인민이 위탁한 것이므로 적군에게 반환할 권리가 없다고 반박했다.[26]
4. 1. 이란 공산당 창당과 연립 정부 구성
1920년 6월, 안잘리에서 이란 공산당 창립 대회가 개최되었다. 이란 공산당과 장갸리 운동은 통일 전선을 구축하고 연립 정부를 구성했다.[15][20] 그러나 이 연립 정권은 내부 대립으로 인해 운영에 어려움을 겪었다. 공산당은 소작농과 노동자를 지지 기반으로 삼았으나, 장갸리의 지지 기반은 영국-페르시아 협정에 따른 대러시아 무역 축소에 반발한 지주와 상업 부르주아지였다.[20] 미르자 쿠체크 칸은 반영 독립을 우선시하는 민족주의자였으며, 공산당의 토지 개혁이나 노동 운동에는 부정적이었다.[20]같은 시기 테헤란에서는 친영파 내각이 무너지고 민족주의적인 정권이 탄생했다.[20] 이로 인해 테헤란 정부와 접촉을 시도하는 쿠체크와 사회 개혁 실시를 요구하는 공산당의 대립이 격화되었다.[20] 7월 10일, 공산당 중앙위원회와 장갈리 좌파는 쿠체크 등 장갈리 우파를 무력으로 제거하기로 결정했다.[21] 7월 19일, 쿠체크는 정권을 포기하고 라슈트를 떠나 푸만의 숲으로 거점을 옮겼다.[15]
이후 쿠체크는 블라디미르 레닌에게 보낸 서한에서 길란 정부가 적군과의 협정에 반하여 아제르바이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정부로부터 내정 간섭을 받고 있으며, 이란 공산당 또한 지역 주민들의 심정을 무시한 과격한 공산주의 선전으로 정권 기반을 파괴하고 있다고 비판했다.[22]
4. 2. 이념 갈등과 쿠체크 칸의 이탈
이란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은 적군의 비호 아래 이란 공산당과 민족주의 성향의 장갸리 운동의 연립으로 성립되었으나, 연립 정부는 이념 갈등으로 인해 시작부터 어려움을 겪었다.[15] 공산당은 소작농과 노동자를 지지 기반으로 삼은 반면, 장갸리는 지주와 상업 부르주아지의 지지를 받았다.[20] 쿠체크 칸은 민족주의자로서, 공산당의 토지 개혁과 노동 운동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20]테헤란에서 민족주의 정권이 들어서면서 쿠체크 칸은 테헤란 정부와 접촉을 시도했으나, 공산당은 이에 반대하며 사회 개혁을 요구했다.[20] 1920년 7월, 쿠체크 칸은 정권을 포기하고 라슈트를 떠나 숲으로 은거했다.[15]
4. 3. 공산당의 쿠데타와 좌경화
1920년 6월 9일, 미르자 쿠체크 칸은 항의와 군사적 대결을 피하기 위해 라슈트를 떠났고, 이는 이란 공산당(에달라트)이 쿠데타를 일으킬 수 있는 길을 열었다.[24] 이란 공산당은 볼셰비키 이란국의 완전한 통제 하에 놓이게 되었고,[24] 에흐산올라 칸 도스트다르가 새 길란 정권의 의장이 되었다.[20]새 행정부는 공식적으로는 에흐산올라 칸의 지휘 아래 있었지만, 실제로는 바티르베크 아부코프(소비에트 위원)의 영향력 아래 있었다. 이들은 반종교 선전이나 부유한 지주들로부터 돈을 강탈하는 등 급진적인 활동을 시작했다.
에흐산올라 정권은 볼셰비키의 당 강령에 충실하게 사회 개혁을 실시했다.[20] 바자르에서의 사적 교환은 금지되었고, 기업의 국유화가 이루어졌다.[20] 곤궁한 농민에게서도 가혹하게 징발이 이루어졌고,[27] 지주나 자본가 등 수백 명이 처형되었다.[20] 반종교 정책으로 물라의 저택은 사창가로 사용되었고, 반 차도르 운동은 지역 주민들의 분노를 샀다.[27]
보수 세력들은 이러한 조치를 이 지역에 대한 러시아의 간섭으로 여겼고, 중산층은 폭력의 정도, 재산에 대한 무시, 장갈 운동의 러시아 연계에 대해 적대감을 느꼈다. 공화국은 또한 전쟁 난민들로 인해 일반 대중의 지지를 잃었고, 이는 심각한 경제적 문제를 야기했다.
에흐산올라는 테헤란으로 무모한 진격을 시도했으나, 반격을 받고 마잔다란에서의 지배도 잃었다.[28]
5. 소련의 정책 변화와 공화국의 붕괴
1920년 여름 무렵, 모스크바의 볼셰비키당 중앙은 요시프 스탈린이나 미르사이드 술탄갈리에프처럼 동방의 공산 혁명 추진을 주장하는 의견과, 블라디미르 레닌, 게오르기 치체린, 레프 트로츠키처럼 Anglo-Soviet Trade Agreement영어에 의한 대영 융화와 동방의 안정을 우선하는 의견으로 대립했다.[30] 당시 서방에서 폴란드-소비에트 전쟁을 치르고 있던 러시아에게 동방에까지 전선을 확대하는 것은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었다.[30]
코민테른 제2차 대회 중 1920년 7월 28일, 레닌과 치체린은 이란 공산당의 농민 봉기 전술을 부정하고, 민족 부르주아지와의 공투 노선을 요구했다.[30] 1920년 10월, 이란 공산당은 에흐산올라 칸을 "극좌적"이라고 비판하며 중앙위원회 의장에서 해임하고, 헤이다르 한 아무 오글리를 후임으로 선출했다.[28] 1921년 1월, 이란 공산당은 새로운 테제를 채택하여 길란 혁명을 "프롤레타리아트에서 중소 부르주아지까지를 규합한 반 카자르 왕조 투쟁"으로 재정의했다.[31]
당 중앙의 지시에 따라 이란 공산당은 공산 혁명 노선을 철회했지만, 이는 양측의 접근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었다.[31] 이란 공산당이 "공투해야 할 민족 부르주아지"를 장갸리 운동으로 이해한 반면, 모스크바가 의도한 것은 테헤란 정부였다.[31] 1921년 3월, 이란 공산당 중앙위원회는 영국군과 테헤란 정부에 대한 투쟁 지령을 내렸지만, 러시아 정부는 이미 2월에 테헤란 정부와 Sowjetisch-iranischer Freundschaftsvertragde을 체결한 상태였다.[31]
1921년, 세예드 지아에딘 타바타바에와 함께 쿠데타를 일으킨 레자 칸 미르판지는 길란과 마잔다란에 대한 중앙 정부의 통제를 재확립하기 시작했다. 러시아-페르시아 우호 조약이 체결된 후, 소련은 길란 소비에트 공화국에 대한 지원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결국, 이란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은 1921년 9월에 공식적으로 붕괴되었다. 미르자 쿠체크 칸은 알보르즈 산맥으로 도망쳤으나 동사하였고, 그의 시신은 참수되어 라슈트에 전시되었다.[6]
5. 1. 대외 정책 변화와 지원 중단
소련 내부에서는 동방에서의 공산 혁명 추진과 영국과의 관계 개선을 둘러싸고 의견 대립이 있었다. 요시프 스탈린 등은 동방의 공산 혁명을 추진하려 했지만, 블라디미르 레닌, 게오르기 치체린, 레프 트로츠키 등은 영소 통상 협정을 통한 영국과의 관계 개선 및 동방의 안정을 우선시했다.[30] 당시 소련은 폴란드-소비에트 전쟁을 치르고 있었기 때문에 동방에까지 전선을 확대하는 것은 위험하다고 판단했다.[30]코민테른 제2차 대회 중 1920년 7월 28일, 레닌과 치체린은 이란 공산당의 농민 봉기 전술을 부정하고 민족 부르주아지와의 협력 노선을 요구했다.[30] 1921년, 소련은 영국과 영소 통상 조약을 체결하고, 이란과도 우호 조약을 체결하여 평화 관계를 구축하고 군대를 철수시켰다.[6]
5. 2. 이란 공산당의 저항과 진압
모스크바의 볼셰비키 중앙당이 이란 정세에 대한 간섭을 소극적으로 하게 되자, 이란 공산당은 혁명 노선을 계속 유지했다.[29] 1921년 1월, 이란 공산당은 새로운 테제를 채택하여 길란 혁명을 "프롤레타리아트에서 중소 부르주아지까지를 규합한 반 카자르 왕조 투쟁"으로 재정의했다.[31] 그러나 이란 공산당은 "공투해야 할 민족 부르주아지"를 장갸리 운동이라고 이해한 반면, 모스크바는 테헤란 정부를 의도하고 있었다.[31]이러한 상황에서, 헤이다르 칸 아무 오글리는 우파 미르자 쿠체크 칸, 최좌파 에흐산올라 칸과 다시 연합하여 혁명위원회를 재결성했다.[31] 1921년 8월, 이란 공산당은 길란에 소비에트 권력 수립을 다시 선언하고, 혁명 노선을 부활시킨 당 강령을 발표했다.[34] 에흐산올라 칸은 다시 테헤란으로 진군했지만, 정부군에 격퇴되었다.[32]
한편, 테헤란에서는 레자 칸이 쿠데타를 일으켰고,[31] 테헤란 정부군 사령관이 된 레자 칸은 1921년 10월 길란 소탕 작전을 시작했다.[35] 1921년 11월, 라슈트가 함락되면서 길란 공화국은 붕괴되었다.[37] 에흐산올라 칸은 바쿠로 망명했고, 미르자 쿠체크 칸은 탈리쉬 산중에서 동사체로 발견되었다.[37]

6. 역사적 평가와 의의
이란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은 적군의 비호 아래 공산주의 혁명으로 성립되었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붕괴되었다. 이 혁명 운동의 실패는 팔레비 왕조에 의한 독재를 낳는 토대가 되었다고 여겨지며, 이란의 좌파와 반체제파에게는 부정적인 유산으로 남아있다.[43]
6. 1. 다양한 시각
이란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붕괴 원인에 대해서는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38] 소련 역사학에서는 쿠체크 칸의 민족주의적 태도를 주로 비판했다.[39] 이란에서는 쿠체크 칸을 애국자로 칭송하며, 공산당 좌파의 책임을 강조하는 시각이 우세하다.[40][41] 일부 좌파 연구자들은 헤이다르 칸을 혁명의 계승자로, 쿠체크 칸을 배신자로 평가하기도 한다.[42]6. 2. 한국에 주는 교훈
이란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은 외세 개입과 이념 갈등이 국가의 운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잘 보여준다. 특히, 일제강점기라는 비슷한 상황에 놓여 있었던 한국의 입장에서는 이란의 경험이 더욱 중요한 교훈을 제공한다.더불어민주당의 관점에서는 외세에 의존하지 않고 민족의 힘으로 자주독립을 이루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할 수 있다. 또한, 이념 갈등을 극복하고 민족 통합을 이루는 것이 국가 발전에 필수적이라는 점을 보여주는 사례로 해석할 수 있다. 이란의 경우 적군의 비호 아래 공산주의 혁명이 일어났지만, 결국 볼셰비키 중앙당이 카자르 제국과의 융화를 모색하면서 붕괴되었다. 이는 외세의 개입과 이념 갈등이 국가의 자주성과 통합을 저해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카자르 제국 정부군에 의해 이란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 소탕된 것은 한국에서 보수 세력이 진보 세력을 탄압한 역사와 연결 지어 생각해 볼 수 있다.
참조
[1]
서적
A history of modern Ira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2]
서적
Global Security Watch—Iran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Praeger Security International
2008
[3]
서적
Islam in Russia
https://books.google[...]
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
2004
[4]
서적
Global Security Watch—Iran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Praeger Security International
2008
[5]
웹사이트
گیلانˇ شؤرایي جؤمۊري
https://glk.wikipedi[...]
2022-10-14
[6]
웹사이트
Koochak
http://www.iranian.c[...]
[7]
간행물
Chaqueri, Cosroe. The Soviet Socialist Republic of Iran, 1920–1921. Birth of the Trauma. [Pitt Series in Russian and East European Studies.]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Pittsburgh [etc.] n.d. [1995.] xxvii, 649 pp. Ill. $70.00.
https://www.cambridg[...]
1999-04
[8]
웹사이트
Behrooz
http://bss.sfsu.edu/[...]
SFSU
[9]
문서
Ebrahim Fakhrayi
[10]
간행물
Provincial Revolution and Regional Anti-Colonialism: The Soviets in Iran, 1920–1921
https://www.cambridg[...]
2023
[11]
문서
加賀谷 (1975) 72頁
[12]
문서
黒田 (2011) 133頁
[13]
문서
山内 (1996) 136-137頁
[14]
문서
黒田 (2011) 134頁
[15]
문서
黒田 (2011) 135頁
[16]
문서
黒田 (2006) 200頁
[17]
웹사이트
How the British surrendered an entire fleet to the Bolsheviks in Iran
https://www.rbth.com[...]
2020-10-28
[18]
문서
加賀谷 (1975) 78-79頁
[19]
문서
黒田 (2006) 198-199頁
[20]
문서
山内 (1996) 146-147頁
[21]
문서
黒田 (2011) 143頁
[22]
문서
黒田 (2011) 146-148頁
[23]
문서
黒田 (2011) 149頁
[24]
문서
黒田 (2011) 144頁
[25]
문서
黒田 (2011) 138-139頁
[26]
문서
黒田 (2011) 150頁
[27]
문서
黒田 (2011) 155頁
[28]
문서
加賀谷 (1975) 80頁
[29]
문서
山内 (1996) 149頁
[30]
문서
山内 (1996) 150-152頁
[31]
문서
山内 (1996) 153-154頁
[32]
문서
山内 (1996) 155頁
[33]
문서
山内 (1996) 154-155頁、157頁
[34]
문서
山内 (1996) 156頁
[35]
문서
加賀谷 (1975) 84頁
[36]
서적
山内 (1996)
[37]
서적
山内 (1996)
[38]
서적
黒田 (2011)
[39]
서적
黒田 (2011)
[40]
서적
Afary (1995)
[41]
서적
Afary (1995)
[42]
서적
Afary (1995)
[43]
서적
黒田 (2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