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알바니아 문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바니아 문학은 알바니아어로 쓰인 문학 작품을 포괄하며, 오스만 제국의 지배와 르네상스 인문주의의 영향을 받아 15세기에 시작되었다. 16세기에는 종교 개혁의 영향으로 알바니아어 문학이 발전했으며, 17세기에는 정교회 및 이슬람교 문화권에서 종교 문학이 번역되었다. 19세기에는 민족 부흥 운동으로 낭만주의 학파가 등장하여 시가 발전했으며, 20세기에는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영향을 받았다. 민주화 이후 현대 알바니아 문학은 다양한 주제와 스타일로 발전하고 있으며, 이스마일 카다레와 같은 작가들이 국제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럽의 문학 - 아일랜드 문학
    아일랜드 문학은 5세기 아일랜드어 문학으로 시작하여 중세 시대 라틴어와 고대 아일랜드어 작품, 근세 시대 영어 문학을 거쳐 켈트 문학 부흥과 게일 부흥 운동을 통해 발전했으며, 연극 분야 또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 유럽의 문학 - 낭만주의
    낭만주의는 18세기 후반부터 19세기 중반 유럽을 중심으로 계몽주의와 신고전주의에 반발하여 나타난 예술 운동으로, 감정, 상상력, 개인주의, 자연 숭배, 과거에 대한 향수를 강조하며 정치, 사회 변화에 다양한 영향을 미쳤다.
알바니아 문학
개요
언어알바니아어
문자알바니아 문자
유형문학
역사
기원초기 알바니아어 기록은 15세기로 거슬러 올라감
가장 오래된 기록은 1497년의 세례 공식임
발전민족 부흥 시대에 크게 발전함
20세기에 들어와 알바니아 문학은 새로운 방향으로 나아감
특징
주제알바니아 문학은 주로 알바니아인들의 삶과 문화를 반영함
애국심, 자유, 정의 등의 주제를 다룸
스타일다양한 스타일을 보임
민족 서사시, 로맨스, 사회 비평 등 다양한 장르가 존재함
주요 작품
서사시게오르그 카스트리오티 스칸데르베그의 역사 - 마린 바를레티
산의 꽃 - 제르지 피슈타
소설죽은 자들의 군대 장군 - 이스마일 카다레
부서진 사월 - 이스마일 카다레
오, 알바니아 - 니임 프라셰리
무덤 - 미제니
주요 작가
작가마린 바를레티
니임 프라셰리
이스마일 카다레
미제니
제르지 피슈타
판 놀리
에프렘 카라노리
안톤 파슈쿠
줄리아니 베크사리
디미테르 추포
안드레아 알레치
피에테르 보그다니
영향
알바니아 문학알바니아 문화와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
추가 정보
관련 문서알바니아
알바니아어
알바니아 문화

2. 중세 시대

오스만 제국의 확산으로 르네상스 인문주의 시대에 많은 알바니아인들이 고향을 떠났다. 이 시기 인문주의 세계에 알려진 알바니아 망명자들로는 마린 바를레티 (1460–1513)가 있는데, 그는 1510년 로마에서 스칸데르베그의 역사를 다룬 《알바니아 공작 스칸데르베그의 생애와 업적》을 출판하여 다른 많은 유럽 언어로 번역되었다.[4] 이 외에도 마리노 베키체미, 존 가줄리, 레오니쿠스 토메우스, 미켈레 마룰리, 미켈레 아르티오티 등 다양한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낸 알바니아인들이 있었다.[4]

2. 1. 15세기

오스만 제국의 확장은 르네상스 인문주의 시대에 많은 알바니아인들을 고향에서 밀어냈다. 이 시기 인문주의 세계에 알려진 알바니아 망명자들로는 1510년 로마에서 스칸데르베그의 역사를 출판하여 다른 많은 유럽 언어로 번역된 《알바니아 공작 스칸데르베그의 생애와 업적》의 저자 마린 바를레티 (1460–1513)를 비롯하여, 마리노 베키체미 (1468–1526), 존 가줄리 (1400–1455), 레오니쿠스 토메우스 (1456–1531), 미켈레 마룰리 (15세기), 미켈레 아르티오티 (1480–1556) 등 과학, 예술, 철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낸 많은 사람들이 있다.[4]
마린 바를레티의 《알바니아 공작 스칸데르베그의 생애와 업적》 표지

2. 2. 16세기

종교 개혁가톨릭, 동방 정교회의 영향으로 알바니아어 문학이 발전하기 시작했다. 존 부주쿠(Gjon Buzuku)는 가톨릭 전례를 알바니아어로 번역하여, 마르틴 루터(Martin Luther)가 독일어를 위해 했던 것을 알바니아어를 위해 하려고 했다.



1555년 존 부주쿠가 출판한 ''메샤리(Meshari)'' (미사서)는 알바니아어로 출판된 최초의 문학 작품이다.[5][6] 세련된 언어 수준과 안정된 정자법은 알바니아어 저술의 더 오래된 전통의 결과임에 틀림없지만, 그 전통은 알려져 있지 않다.[6] 부주쿠보다 앞선 시기의 단편적인 증거는 알바니아어가 적어도 14세기부터 쓰였음을 시사한다. 최초의 알려진 증거는 1332년에 나타났으며, 안티바리의 대주교인 프랑스 도미니크회 수도사 기옐루무스 아다에(Guillelmus Adae)가 라틴어로 작성한 보고서에서, 알바니아인들이 라틴어와 매우 다른 언어임에도 불구하고 책에 라틴 문자를 사용한다고 언급했다.

이 시기 알바니아어 저술은 종교적 텍스트뿐만 아니라 역사 연대기이기도 했을 것이다. 인문주의자 마린 바를레티(Marin Barleti)는 저서 ''슈코드라 공성전'' (''De Obsidione Scodrensi'') (1504)에서 사람들이 사용하는 언어(''in vernacula lingua'')로 쓰인 그러한 연대기를 훑어보았다고 말했다.

2. 3. 17세기

17세기와 18세기 동안 정교회 및 이슬람교 문화권에서 알바니아 문학은 더욱 발전했다. 엘바산 출신의 익명의 작가는 성경의 여러 부분을 알바니아어로 번역했고, 역시 엘바산 출신의 T. H. 필리피는 ''Dhiata e Vjetër dhe e Re'' (구약성경신약성경)를 번역했다.[1] 1827년 G. 지로카스트리티가 ''Dhiata e Re'' (신약성경)의 완전한 텍스트를 출판하고, 코스탄딘 크리스토포리디(1830–1895)가 알바니아어의 두 주요 방언으로 대규모의 (기독교) 종교 번역물을 출판하면서 이러한 노력은 다음 세기에 더욱 확대되었다.[1] 이 출판물들은 두 방언을 통합하여 통일된 문학 언어로 만드는 과정과, 알바니아인의 자국어 예배를 통해 알바니아 국민 교회를 설립하는 기반을 마련하는 데 기여했다.[1]

신약성경, 그리스 문자를 사용하여 출판된 알바니아어 번역본, 1827년


이러한 경향과 반대되지만, 보스코포야의 문화 역시 언급할 가치가 있다.[1] 이 도시는 17세기 동안 아카데미, 인쇄소를 갖춘 문명의 중심지이자 발칸 반도의 대도시로 성장했으며, T. 카발요티, Dh. 하지우, G. 보스코포야리 등 지식, 언어학, 신학 및 철학 분야의 저술가들이 알바니아 문학의 발전과 인정을 객관적으로 도왔다.[1] 보스코포야에서 발전한 문학은 주로 그리스어로 이루어졌지만, 이슬람화에 대한 저항의 필요성은 자국어 사용을 촉진하여 민족 문화의 발전을 장려했다.[1] 발라키아어와 알바니아어는 보스코포야 학교에서 그리스어를 가르치는 데 사용되었으며, 발라키아어로 된 책도 인쇄소에서 출판되었다.[1] 보스코포야 작가와 학자들의 작품은 유럽 계몽주의 사상 일부를 도입했다.[1] 그들 중 가장 뛰어난 인물은 테오도르 카발요티였다.[1] H.E. 툰만(H.E. Thunman)의 기록에 따르면, 카발요티의 미출판된 작품은 거의 모든 철학 분야의 문제들을 다루고 있으며, 플라톤, 데카르트, 니콜라 말브랑슈,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의 영향을 보여준다.[1]

3. 근대 초기

이슬람의 영향, 특히 수피교 교단과 침략자의 문화의 결과 중 하나는 18세기 동안 베이텍시 학교로 알려진 시 학교, 또는 아랍 문자를 사용하여 알바니아어로 쓰인 문학의 등장이었다.[8] 네짐 프라쿨라, 술레이만 나이비, 하산 지코 캄베리, 샤힌, 달리프 프라셰리와 같은 작가들은 동양 문학에서 차용한 주제를 다루었고, 오리엔탈리즘에 의해 억눌린 언어로 종교적인 텍스트와 시를 썼으며 종교적인 서정시서사시를 발전시켰다. 베이텍시의 시는 당시 이스탄불과 중동에서 유행하던 터키, 페르시아, 아랍 문학 모델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터키와 페르시아 구절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대부분의 장르와 형식이 알바니아어에서도 발견된다. 즉, 무라바(4행시), 콰트레인(4행시), 일라히(종교 찬송가), 카시데(아랍인들이 선호하는 더 긴 찬양 시), 가잘(터키와 페르시아인들이 선호하는 짧은 시, 종종 사랑 서정시)과 같이 고립된 시나 디반 내에서 존재한다.[8] 주제는 종종 종교적이며, 사색적이고 친밀하거나 공개적으로 교훈적이어서 신앙을 전파하는 역할을 했다. 이 구절의 투기적인 성격은 순니 영성에서 시아 수피즘의 강렬한 신비주의적 영역, 그리고 나중에는 베크타시 범신론의 더 자유로우면서도 똑같이 신비주의적인 성찰에 이르기까지 이슬람의 흐름에서 영감을 얻었다. 세속적인 구절도 등장한다. 사랑 서정시, 자연 시, 역사 및 철학 시.[8]

베이텍시의 첫 번째 주요 시인은 네짐 프라쿨라 (1680–1760)였으며, 터키어, 페르시아어, 아랍어로 두 개의 디반을 포함한 첫 시를 썼다. 1731년과 1735년 사이에 그는 알바니아어로 디반과 다양한 시를 썼으며, 시 형식의 알바니아-터키어 사전을 썼다. 그의 디반에는 지방 파샤와 군사 작전에 대한 찬가, 친구와 후원자에 대한 송시, 친구와 연인과의 이별과 갈망에 대한 시, 봄의 자연 묘사, 종교 시, 특히 사랑 서정시가 포함되어 있다.[8]

또 다른 유명한 베이텍시는 하산 지코 캄베리로, 주요 작품인 200페이지 분량의 mexhmua|메흐무아sq(시집)을 통해 알바니아 문학에서 무슬림 전통의 가장 지휘적인 대표자 중 한 명이었다. 캄베리의 세속적인 시는 광범위한 주제를 다룬다.[8]

4. 19세기

발칸 반도에서 민족 운동이 일어난 19세기에 알바니아인들은 주권 국가 발전 전통, 언어와 문화가 부족했지만, 개인주의적이고 지역주의적인 사고 방식을 물려받아 민족 의식은 부족했음에도 자발적인 반란 정신이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릴린자 콤베타레''(Rilindja Kombëtare, 민족 부흥)라는 이데올로기적, 군사적, 문학 운동이 등장했다. 이는 국민 낭만주의와 계몽주의 사상에서 영감을 받았으며, 주로 이탈리아의 오래된 정착지와 이스탄불, 부쿠레슈티, 미국, 소피아, 카이로에 망명한 알바니아 지식인들 사이에서 숭상되었다.

민족 부흥은 알바니아어를 문화어로 육성하고, 민족 교육을 조직하며, 문화적 수준에서 국민 문학을 수립하고, 독립 국가를 창설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 운동은 알바니아 낭만주의 학파를 낳았으며, 민족 해방 정신, 망명자의 향수, 과거 영웅적인 전쟁의 수사학적 비애로 가득 차 있었다. 이 문학 학파는 시를 가장 발전시켰으며, 영웅은 윤리적인 인간, 싸우는 알바니아인이었고, 비극적인 인간은 덜했다. 이는 민속 전통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전통을 추구하고 알바니아인들의 민족적, 문화적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한 국민 부흥의 문화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Jeronim De Rada의 1866년 작품 ''Rapsodi të një poeme arbëreshe''(아르베레시 시의 랩소디), Zef Jubani의 1871년 작품 ''Përmbledhje të këngëve popullore dhe rapsodi të poemave shqiptare''(알바니아 민요와 알바니아 시의 랩소디 모음), Thimi Mitko의 1878년 작품 ''Bleta shqiptare''(알바니아 벌) 등이 출판되었다.

낭만주의 시인 지롤라모 데 라다(Girolamo de Rada)


범신론자이자 낭만주의 작가 나임 프라셰리(Naim Frashëri)


19세기의 알바니아 낭만주의를 대표하는 두 명의 가장 위대한 인물은 Jeronim De Rada(1814–1903)와 Naim Frashëri(1846–1900)이다. 데 라다는 유럽 낭만주의의 분위기에서 성장한 알바니아 낭만시 시인이고, 프라셰리는 동방 시, 특히 페르시아 시의 영향을 서양 낭만주의 시의 정신과 결합한 알바니아 낭만주의자이자 범신론자이다.

데 라다는 알바니아 랩소디 스타일의 서사시-서정시 주기를 썼다. ''Këngët e Milosaos''(밀로사오의 노래, 1836), ''Serafina Topia''(1839), ''Skënderbeu i pafat''(불운한 스칸데르베그, 1872–1874) 등 스칸데르베그 시대를 위한 국민 서사시를 창작하려는 야망을 품었다. 요한 고트프리트 헤르더의 발자취를 따라 데 라다는 그의 시에서 민요에 대한 사랑을 고취하고 민족지학적인 색채로 그렸다. 그의 작품은 알바니아의 삶과 특유의 관습과 사고방식, 그리고 알바니아가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게 된 15세기의 알바니아 드라마를 반영한다.

Naim Frashëri는 목가시 ''Bagëti e bujqësia''(양치기와 농부, 1886), 철학적, 애국적, 사랑 서정시 모음 ''Lulet e verës''(여름의 꽃, 1890), 스칸데르베그에 대한 서사시 ''Histori e Skënderbeut''(스칸데르베그의 역사, 1898), 종교 서사시 ''Qerbelaja''(1898), 그리스어로 된 두 편의 시 ''O Eros''(오 사랑)와 O alithis pothos ton skipetaronsq(알바니아인들의 진정한 갈망), 페르시아어로 된 몇 편의 서정시 ''Tehajylat''(꿈)과 알바니아어로 된 많은 학술 작품을 썼다. 그는 알바니아인들의 가장 위대한 국민 시인으로 인정받고 있다. 프라셰리는 알바니아 시에 현대 서정시를 확립했다. 베르길리우스의 ''목가''와 ''농경시''의 정신으로, 그의 Bagëti e bujqësiasq(양치기와 농부)에서 그는 그의 조국의 아름다움을 찬양하고 알바니아 시인의 향수와 알바니아인이라는 자부심을 표현하면서 농부와 양치기의 노동을 노래했다.

국민 낭만주의 시인 네드르 미에다(Ndre Mjeda)


낭만주의 작가 도라 다이스트리아(Dora d'Istria)


낭만적 영웅의 격렬한 감정이 담긴 세계는 제프 세렘베(Zef Serembe)의 시를 통해 알바니아 낭만주의에 도입되었다. 네드르 미에다(Ndre Mjeda)와 안돈 자코 차유피(Andon Zako Çajupi)의 시는 르네상스 시대 말에 살았으며, 알바니아 문학의 낭만주의 예술 체계의 해체 징후를 담고 있다.

차유피(1866–1930)는 알바니아의 미스트랄이라고 불리는 향토 시인이자 민속 음유 시인이며, 그는 알바니아 문학에 관습의 희극과 역사적 주제의 비극을 가져왔다. 알렉산드리아의 프랑스 대학과 제네바 대학교를 졸업하고 프랑스 문학에 정통했던 차유피는 라 퐁텐의 우화를 알바니아어로 번역하여 세계 문학 작품을 알바니아어로 번역하고 채택하는 길을 열었다.

이 시대의 뛰어난 작가로는 나움 베킬하르지, 사미 프라셰리, 바소 파샤, 예로님 데 라다, 가브릴 다라 더 영거, 제프 세렘베, 나임 프라셰리, 도라 다이스트리아, 안돈 자코 차유피, 네드르 미에다, 루이지 구라쿠키, 필립 시로카, 미할 그라메노, 리스토 실리키, 알렉산데르 스타브레 드레노바 등이 있다.

5. 현대

이스마일 카다레


알바니아의 대표적인 현대 작가로는 이스마일 카다레(1936–2024)가 있으며, 그의 소설은 45개 언어로 번역되었다.[18] 카다레는 《죽은 군대의 장군(1963)》, 《포위(1970)》, 《돌의 연대기(1971)》, 《세 개의 아치 다리(1978)》, 《깨진 4월(1980)》, 《H에 관한 파일(1981)》, 《꿈의 궁전(1981)》, 《피라미드(1992)》, 《계승자(2002)》 등을 통해 알바니아 문학을 현대 유럽 문학의 주류로 이끌었다.

카다레 작품의 주요 주제는 전체주의와 그 메커니즘이다.[19] 그의 작품은 알바니아인의 삶에 대한 예술적 백과사전과 같다. 알바니아의 철학, 신념, 비극, 역사 및 문화 전통은 작가의 예술성을 통해 걸러져 작품에서 알바니아 국민 정신 문화의 활력을 보여준다. 카다레는 역사적 유추, 우화와 연관성, 알바니아 전설과 신화를 폭넓게 활용하여 현대적인 산문을 창조한다. 중세 전설과 발라드의 서사시에서 시작하여, 카다레의 산문은 고대 민속 전통을 현대 세계와 연결하여 '최신화'한다.

카다레는 시노 델 두카 세계 문학상(1992), 헤르더 상(1998), 초대 맨 부커 국제상(2005), 아스투리아스 공작 문학상(2009), 예루살렘 상(2015), 박경리 문학상(2019), 노이슈타트 국제 문학상(2020)을 수상했다.[20] 1996년 프랑스 도덕 및 정치 과학 아카데미의 외국인 준회원으로 임명되었고, 2016년에는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받았다. 노벨 문학상 후보로 15번 지명되었으며, 1990년대 이후 알바니아 주요 정당들로부터 중립적인 알바니아 대통령이 되어 달라는 요청을 받았으나 거절했다.

리드반 디브라는 현대 알바니아 문학의 선구자로, 여러 혁신적인 작품을 썼다.[24] 소설 《"레지데아 베트미시" (고독의 전설)》로 2012년 알바니아 최고 소설에 수여되는 렉사히 수로이 상을 비롯한 여러 국내외 상을 받았다.[25]

룰리에타 레샤나쿠는 오늘날 가장 중요하고 호평받는 알바니아 시인 중 한 명이다. 7권의 시집을 썼으며, 그중 몇 권은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다.[26] 2009년 유럽 시인을 위한 크리스탈 빌레니카 상을 받았다.

1944년 엘바산에서 태어난 파토스 콘골리는 현대 알바니아 문학의 가장 "강력하고 설득력 있는" 대표자 중 한 명으로 꼽힌다.[27] 알바니아의 스탈린주의 독재 기간 동안 중요한 작품을 쓰거나 발표하지 않았으나, 정권 몰락 후 소설 《패자》(1992)로 명성을 얻었다. 그의 소설은 알바니아 사회가 과거의 악마를 떨쳐내지 못한 채 민주주의로 전환되면서 호자 정권 시대와 그 여파를 다룬다.[27]

벤 블루시는 알바니아의 주요 작가 중 한 명이며, 소설 《오텔로, 브로라의 무어인》(2009)으로 유럽 연합 문학상을 수상했다.[28]

아그 아폴로니 (1982년 6월 13일 출생)는 알바니아 작가, 시인, 극작가, 학자, 에세이 작가이다. 코소보 프리슈티나 대학교의 교수이며, 2020년 알바니아 시민권을 받았다.

5. 1. 독립과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게르지 피쉬타(1871–1940)는 알바니아 역사 및 전설을 담은 민족 서사시 '고지대의 류트'를 17,000구절로 썼다. 이 작품은 슬라브족의 공격에 맞선 북부 고지대 사람들의 투쟁을 묘사하며, 알바니아인의 삶과 정신, 역사적, 전설적 업적, 고지대의 전통과 관습을 담고 있다. 피쉬타는 프란체스코회 사제이자 이탈리아 아카데미 회원이였으며, 서사시 및 서정 시인, 저널리스트, 풍자 시인, 극작가 및 번역가로서 알바니아 문화 및 정치 생활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그의 시는 고지대 언어의 풍부함, 생생한 어구, 뚜렷한 구문 구조의 다양성을 담아 시적 표현에 활력과 힘을 부여한다.

게르지 피쉬타


밀로쉬 게르지 니콜라, 미제니(1913–1938)는 문학적 사실주의의 대표적인 인물이다. 그의 시 '자유시'(1936)와 산문은 사회주의적 사실주의를 통해 당시 사회의 비참함과 개인의 비극적 상황을 그려냈다. 그의 작품 속 등장인물들은 알바니아 사회 최하층 사람들이며, 개인과 제도, 가부장적이고 보수적인 도덕 간의 갈등을 나타낸다. 미제니는 알바니아 문학의 개혁가이자 최초의 현대 알바니아 작가로 평가받는다.

미제니


라스구쉬 포라데치(1899–1987)는 부드럽고 따뜻한 서정시를 썼으며, 깊은 사색과 매력적인 음악성을 담았다. 주요 작품으로는 '별의 춤'(1933), '마음의 별'(1937)이 있다.

라스구쉬 포라데치


판 스틸리안 놀리(1882–1965)는 시인, 역사가, 극작가, 미학자, 음악학자, 저널리스트, 번역가 등 다재다능한 인물이었다. 그는 번역을 통해 현대 알바니아어 발전에 큰 역할을 했으며, 세계 문학 번역에 대한 그의 서문은 그를 알바니아 최고의 문학 평론가로 만들었다.[10]

파이크 코니차는 알바니아 산문에 현대적 이미지를 부여한 작가이다. 그는 민족 운동에 헌신하면서도 비판 정신을 불어넣었으며, '알바니아' 잡지(브뤼셀 1897–1900, 런던 1902–1909)를 창간하여 르네상스 시대의 가장 중요한 알바니아 언론 기관으로 만들었다.[10]

파이크 코니차


미트루쉬 쿠텔리는 민속적 이야기 방식을 매력적인 산문으로 승화시킨 작가였다. 주요 작품으로는 '알바니아의 밤'(1938), 'Ago Jakupi'(1943), '샤반 스파타의 카플란 아가'(1944) 등이 있다.

미트루쉬 쿠텔리


이 시기에는 감상주의 (문학)(포키온 포스톨리, 미할 그라메노)와 고전주의(에트헴 하지아데미)가 나타났으며, 인상주의, 상징주의 등 현대적 경향은 일부 작가(미제니, 포라데치, 아스드레니)의 작품에서 고립된 현상으로 나타났다. 산문(미제니, F. S. 놀리, 파이크 코니차, 에르네스트 콜리퀴, 미트루쉬 쿠텔리 등), 드라마, 풍자(게르지 피쉬타, 크리스토 플로치)는 시와 함께 발전했다.

5. 2. 사회주의 시대

공산주의 정권은 알바니아를 장악한 후, 이전의 문학적 전통과의 연결을 끊었다. 새 정권은 지식인과 작가를 "구 체제"의 대표로 여겨 의심했다. 이 시기에는 작가들을 상대로 한 마녀사냥이 만연했다.[12] 스탈린이 1930년대 소련에서 시행했던 정책이 알바니아 공산주의 통치 46년 동안 적용되었다.[13]

페트로 마르코


공산주의 알바니아에서 작가들은 정권에 완전히 복종하거나, 알바니아 작가 연맹과 타협하거나, 작품 출판을 중단해야 했다. 작품을 숨길 수 있는 작가는 거의 없었고, 불법 유통도 불가능했기에 알바니아 공산주의 시대에는 사미즈다트가 존재하지 않았다. 당국에 의해 의심받는 작가는 재판 여부와 관계없이 체포, 투옥 또는 처형되었다.[13]

드리테로 아골리


이 시기 문학은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틀 안에서 발전했다. 알바니아 작가들은 빨치산 전쟁과 사회주의 건설 노력을 집중해야 했고, "퇴폐적인" 서구 문화의 영향을 막아야 했다. 공산주의 이데올로기에 기여하지 않는 주제는 금기시되었다.[14] 금기 주제를 순응적으로 다루는 것조차 반대에 해당했다.[15]

윤리적, 역사적 성격을 가진 사회주의 리얼리즘 소설은 선형적인 주제를 가졌다. (야코프 조자, 스테르요 스파세, 파트미르 자타) 그러나 거친 구성, 열린 시학, 철학적 토대를 가진 소설(이스마일 카다레, 페트로 마르코)과 풍자 소설도 있었다. 풍자 소설로는 드리테로 아골리의 ''코마레드 질로의 흥망성쇠''가 있다.[16]

단편 소설과 소설은 드미테르 슈테리치, 테오도르 라초, 드미테르 주바니, 페트라크 조토 등이 발전시켰고,[17] 시는 이스마일 카다레, 드리테로 아골리, 파토스 아라피, 제바히르 스파히우, 미모자 아흐메티 등이 발전시켰다. 드라마와 코미디는 스피로 초모라의 ''코르차의 카니발'' (Karnavalet e Korçës, 1961) 등이 있으나 덜 발전했다.

5. 3. 현대 문학



알바니아에서 가장 잘 알려진 현대 작가는 소설이 45개 언어로 번역된 이스마일 카다레(1936–2024)이다.[18] 그는 《죽은 군대의 장군(1963), 《포위(1970), 《돌의 연대기(1971), 《세 개의 아치 다리(1978), 《깨진 4월(1980), 《H에 관한 파일(1981), 《꿈의 궁전(1981), 《피라미드(1992), 《계승자(2002)를 통해 알바니아 문학을 현대 유럽 문학의 주류로 끌어올렸다.

카다레 작품의 중심 주제는 전체주의와 그 메커니즘이다.[19] 그의 작품은 알바니아 삶의 예술적 백과사전을 나타낸다. 알바니아의 철학, 신념, 드라마, 역사적, 문화적 전통은 작가의 예술성을 통해 걸러져 카다레의 작품에서 알바니아 국민의 정신 문화의 활력을 표현한다. 카다레는 역사적 유추, 우화와 연관성, 알바니아 전설과 신화를 광범위하게 활용하여 현대적인 산문을 창조한다. 중세 전설과 발라드의 서사시 세계에서 시작하여, 카다레의 산문은 고대 민속 전통을 현대 세계와 관련성을 보여줌으로써 '최신화'한다.

카다레는 1992년 시노 델 두카 세계 문학상, 1998년 헤르더 상, 2005년 초대 맨 부커 국제상, 2009년 아스투리아스 공작 문학상, 2015년 예루살렘 상, 2019년 박경리 문학상, 2020년 노이슈타트 국제 문학상을 수상했다.[20] 1996년 프랑스는 그를 프랑스 도덕 및 정치 과학 아카데미의 외국인 준회원으로 임명했고, 2016년에는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수여받았다. 그는 노벨 문학상 후보로 15번 지명되었다. 1990년대 이후 카다레는 알바니아의 주요 정당 양쪽으로부터 중립적인 알바니아 대통령이 되어 달라는 요청을 받았지만 거절했다.

리드반 디브라는 현대 알바니아 문학의 선구자이며 여러 혁신적인 작품을 썼다.[24] 그는 소설 《"레지데아 베트미시" (고독의 전설)》로 2012년 올해의 알바니아 최고 소설에 수여되는 렉사히 수로이 상을 포함한 여러 국내외 상을 받았다.[25]

룰리에타 레샤나쿠는 오늘날 가장 중요하고 호평받는 알바니아 시인 중 한 명이다. 그녀는 7권의 시집을 썼으며, 그중 몇 권은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다.[26] 그녀는 2009년 유럽 시인을 위한 크리스탈 빌레니카 상을 받았다.

1944년 엘바산에서 태어난 파토스 콘골리는 현대 알바니아 문학의 가장 "강력하고 설득력 있는" 대표자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27] 그는 알바니아의 스탈린주의 독재 기간 동안 중요한 작품을 쓰거나 발표하지 않았다. 그는 정권이 몰락한 후 소설 《패자》(1992)로 명성을 얻었다. 그의 소설은 알바니아 사회가 과거의 악마를 떨쳐내지 못한 채 민주주의로 전환되면서 호자 정권 시대와 그 여파를 다룬다.[27]

벤 블루시는 알바니아의 주요 작가중 한명이며, 그의 두 번째 소설 《오텔로, 브로라의 무어인》(2009)은 유럽 연합 문학상을 수상했다.[28]

아그 아폴로니 (1982년 6월 13일 출생)는 알바니아 작가, 시인, 극작가, 학자, 에세이 작가이다. 그는 코소보 프리슈티나 대학교의 교수이다. 2020년 그는 알바니아 시민권을 부여받았다.

참조

[1] 웹사이트 Albanian Language https://aab-edu.net/[...] 2018-01-14
[2] 서적 The Albanian National Awakening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5 2015-12-08
[3] 서적 Albanian Literature: A Short History https://books.google[...] I.B.Tauris, 2005 2005-07-29
[4] 웹사이트 Letërsia Shqiptare – A brief history of Albanian literature – Renaissance http://shqiperia.com[...] 2017-09-29
[5] 간행물 1995
[6] 간행물 2002
[7] 웹사이트 Letërsia Shqiptare – A brief history of Albanian literature http://shqiperia.com[...] 2017-09-29
[8] 서적 Albanin Literature: A short History https://books.google[...] I.B Tauris 2005
[9] 웹사이트 Letërsia Shqiptare http://www.letersia.[...] 2017-09-29
[10] 웹사이트 Faik Bey Konica http://www.albanianl[...]
[11] 문서 Shqiptarët midis Perëndimit dhe Lindjes Tirana 1994
[12] 서적 Between(s) and Beyond(s) in Contemporary Albanian Literature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2016
[13] 서적 Between(s) and Beyond(s) in Contemporary Albanian Literature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2016
[14] 서적 Between(s) and Beyond(s) in Contemporary Albanian Literature https://books.google[...]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2016
[15] 서적 Albanian Literature: A Short History https://books.google[...] I.B.Taurus 2005
[16] 웹사이트 ANG – Dritero Agolli – Shkëlqimi dhe Rënia e Shokut Zylo (analizë) – An analysis of the novel http://www.letersia.[...] 2017-09-29
[17] 간행물 Petraq Zoto, ende dëgjojmë rrëfimin tënd! http://gazetadielli.[...] [[Dielli (newspaper)|Dielli]] 2015-09-13
[18] 웹사이트 Kadare feston ditëlindjen, 60 vjet krijimtari e përkthyer në 45 gjuhë të botës – Gazeta Mapo http://www.mapo.al/2[...] 2017-09-29
[19] 웹사이트 Ismaíl Kadare, Prince of Asturias Award Laureate for Literature http://www.fpa.es/en[...] Fundacion Princessa de Asturias 2009-06-24
[20] 웹사이트 Albania's writer Ismail Kadare awarded Neustadt Prize https://apnews.com/a[...] 2020-10-05
[21] 웹사이트 Ismaíl Kadaré - Laureates - Princess of Asturias Awards for Literature 2009 https://www.fpa.es/e[...]
[22] 웹사이트 Ismaíl Kadare, Prince of Asturias Award Laureate for Literature http://www.fpa.es/en[...] Fundacion Princessa de Asturias 2009-06-24
[23] 서적 Ismail Kadare: La grand estratagema Ediciones del Subsuelo 2018
[24] 웹사이트 Ridvan DIBRA http://www.albanianl[...] 2017-11-02
[25] 웹사이트 Ridvan Dibra http://www.albanianb[...] 2017-11-02
[26] 웹사이트 Luljeta Lleshanaku http://www.albanianb[...] 2017-09-29
[27] 웹사이트 Fatos KONGOLI http://www.albanianl[...] 2017-09-29
[28] 웹사이트 Ben Blushi – European Union Prize for Literature http://www.euprizeli[...] 2017-09-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