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수성 (생물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수성은 세포가 정상적인 염색체 수보다 많거나 적은 상태를 의미한다. 인체 세포는 일반적으로 46개의 염색체를 가지며, 생식 세포는 23개의 염색체를 갖는다. 이수성은 염색체 분리 과정의 오류로 인해 발생하며, 비분리, 메로텔릭 부착, 다극 방추, 단극 방추, 사배체 중간체 등의 기전이 관련된다. 이수성은 다운 증후군, 터너 증후군, 클라인펠터 증후군 등 다양한 질환을 유발하며, 암 발생과도 연관이 있다. 진단은 핵형 분석, 형광 현미경 검사법, PCR 기반 기술 등을 통해 이루어지며, 산전 검사를 통해 태아의 이수성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수성을 유발하는 물질을 아네우젠이라고 하며, 방사선, 콜히친, 흡연, 벤젠, 살충제, 과불화 화합물 등이 이에 해당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이수성 (생물학) | |
---|---|
개요 | |
정의 | 세포 내 염색체 수가 비정상적인 상태 |
분야 | 의학유전학 |
증상 | |
증상 | (정보 없음) |
합병증 | |
합병증 | (정보 없음) |
발병 시기 | |
발병 시기 | (정보 없음) |
지속 기간 | |
지속 기간 | (정보 없음) |
종류 | |
종류 | (정보 없음) |
원인 | |
원인 | (정보 없음) |
위험 요인 | |
위험 요인 | (정보 없음) |
진단 | |
진단 | (정보 없음) |
감별 진단 | |
감별 진단 | (정보 없음) |
예방 | |
예방 | (정보 없음) |
치료 | |
치료 | (정보 없음) |
약물 | |
약물 | (정보 없음) |
예후 | |
예후 | (정보 없음) |
빈도 | |
빈도 | (정보 없음) |
사망 | |
사망 | (정보 없음) |
추가 정보 | |
관련 질병 | 다운 증후군 (가장 흔한 인간 질환 중 하나) |
추가 설명 | 염색체 분리 오류 및 이수성의 단기적/장기적 영향 |
참고 문헌 | Griffiths AJ, Miller JH, Suzuki DT, Lewontin R, Gelbart WM (2000). An Introduction to Genetic Analysis (7th ed.). New York: W. H. Freeman and Company. Chapter 18. ISBN 978-071673520-5. Sen S (January 2000). "Aneuploidy and cancer". Current Opinion in Oncology. 12 (1): 82–8. doi:10.1097/00001622-200001000-00014. PMID 10687734. S2CID 24886651. Duijf, P.H.G.; Schultz, N.; Benezra, R. (2013). "Cancer cells preferentially lose small chromosomes". Int J Cancer. 132 (10): 2316–2326. doi:10.1002/ijc.27924. PMC 3587043. PMID 23124507. Driscoll DA, Gross S (June 2009). "Clinical practice. Prenatal screening for aneuploidy".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60 (24): 2556–62. doi:10.1056/NEJMcp0900134. PMID 19516035. Quenby S, Gallos ID, Dhillon-Smith RK, et al. (2021). "Miscarriage matters: the epidemiological, physical, psychological, and economic costs of early pregnancy loss". Lancet. 397 (10285): 1658–1667. doi:10.1016/S0140-6736(21)00682-6. PMID 33915094. Seifer DB, Feinberg EC, Hsu AL (October 29, 2024). "Ovarian Aging and Fertility". JAMA. 332: 1750–1751. doi:10.1001/jama.2024.18207. PMID 39470648. |
![]() |
2. 염색체
인체의 대부분의 세포는 23쌍, 즉 총 46개의 염색체를 가지고 있다. 정자와 난자는 각각 23개의 짝을 이루지 않는 염색체를 가지며, 골수의 적혈구는 핵이 없어 염색체도 없다.[8]
각 쌍의 염색체 중 하나는 어머니로부터, 다른 하나는 아버지로부터 물려받는다. 처음 22쌍의 염색체(상염색체)는 크기 순서대로 1번부터 22번까지 번호가 매겨진다. 23번째 쌍의 염색체는 성 염색체이다. 일반적인 여성은 두 개의 X 염색체를, 일반적인 남성은 하나의 X 염색체와 하나의 Y 염색체를 가진다.
감수 분열 동안 생식 세포가 분열할 때, 염색체의 전체 쌍이 하나의 생식 세포에 들어가고, 다른 생식 세포는 그 염색체를 전혀 얻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대부분의 배아는 누락되거나 추가된 상염색체로 인해 유산된다. 인간에게 가장 빈번한 이수성(aneuploidy)은 16번 삼염색체증이며, 이 염색체 이상이 완전히 나타난 태아는 만삭까지 생존하지 못한다. 하지만 일부 세포에서만 16번 삼염색체증이 나타나는 모자이크 형태의 생존 개체는 존재할 수 있다. 유아가 생존할 수 있는 가장 흔한 이수성은 다운 증후군에서 발견되는 21번 삼염색체증으로, 출생 800명 중 1명에게 영향을 미친다. 18번 삼염색체증 (에드워드 증후군)은 출생 6,000명 중 1명에게, 13번 삼염색체증 (파타우 증후군)은 출생 10,000명 중 1명에게 영향을 미친다. 18번 또는 13번 삼염색체증을 가진 유아의 10%가 1세까지 생존한다.[9]
염색체 수의 변화가 개인의 모든 세포에서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개인의 세포 일부에서 이수성이 감지되면, 이를 염색체 모자이시즘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염색체 이수성에 대해 모자이크인 개인은 완전한 삼염색체증을 가진 사람들보다 덜 심각한 형태의 증후군을 보이는 경향이 있다. 많은 상염색체 삼염색체증의 경우, 모자이크 사례만이 만삭까지 생존한다. 그러나 유사 분열 이수성은 이전보다 체세포 조직에서 더 흔할 수 있으며, 이수성은 많은 유형의 종양 형성의 특징이다.
2. 1. 핵형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한 세포 내 염색체의 특징을 핵형이라고 한다.[8]
3. 이수성 발생 기전
염색체 분리 과정의 오류로 인해 이수성이 발생하며, 이는 여러 가지 방식으로 잘못될 수 있다.[10]
분열 체크포인트가 완전히 비활성화되면 여러 염색체, 어쩌면 모든 염색체에서 비분리가 유발될 수 있다. 이러한 시나리오에서는 각 딸세포가 분리된 유전 물질을 가질 수 있다.
3. 1. 비분리
'''비분리'''는 일반적으로 약화된 분열 체크포인트의 결과로 발생한다. 이러한 체크포인트는 세포의 모든 구성 요소가 다음 단계로 진입할 준비가 될 때까지 세포 분열을 중지하거나 지연시키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체크포인트가 약화되면 세포는 염색체 쌍이 방추사와 정렬되지 않았다는 것을 '인지'하지 못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대부분의 염색체는 정상적으로 분리되어 (각 세포에 하나의 염색 분체가 남음) 다른 염색체는 전혀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이로 인해 복사본이 없는 딸세포와 여분의 복사본이 있는 딸세포가 생성된다.[11]3. 2. 기타 기전
이수성은 메로텔릭 부착, 다극 방추, 단극 방추, 사배체 중간체 등 다양한 기전으로 발생할 수 있다.- '''메로텔릭 부착'''은 하나의 동원체가 두 개의 분열 방추 극에 모두 부착될 때 발생한다.[10] 이 경우 하나의 딸세포는 정상적인 염색체를 갖게 되지만, 두 번째 딸세포는 염색체 하나가 부족하게 된다. 세 번째 딸세포는 '누락된' 염색체를 갖게 될 수 있다.
4. 신경계에서의 체세포 모자이시즘
체내 염색체 수 이상에 대한 모자이크 현상은 포유류 뇌의 정상적인 구성 성분일 수 있다.[12][13] 2~86세의 6명의 개인에게서 얻은 정상적인 인간 뇌 샘플에서는 염색체 21 수 이상에 대한 모자이크 현상이 나타났다(분석된 뉴런의 평균 4%).[14] 이러한 낮은 수준의 수 이상은 신경 전구 세포의 세포 분열 동안 염색체 분리 결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보이며,[15] 이러한 수 이상 염색체를 포함하는 뉴런은 정상적인 회로에 통합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16] 그러나 최근의 단일 세포 시퀀싱 연구는 이러한 발견에 의문을 제기했으며, 뇌의 수 이상은 실제로 매우 드물다고 시사했다.[17][18]
5. 암에서의 체세포 모자이시즘
거의 모든 암세포에서 염색체 수 이상(비정상 염색체수)이 발견되며, 이는 암 발생 및 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4][19] 독일 생물학자 테오도어 보베리는 비정상 염색체수가 암의 원인이라고 최초로 제안했으나, 분자 생물학자 피터 듀스버그가 재평가하기 전까지 보베리의 이론은 잊혀졌다.[20] 비정상 염색체수가 종양 진화에 어떤 메커니즘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하는 것은 현재 암 연구의 중요한 주제이다.[21]
체세포 모자이시즘은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CLL)의 삼염색체 12와 급성 골수성 백혈병 (AML)의 삼염색체 8을 포함하여 거의 모든 암 세포에서 발생한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모자이크 비정상 염색체수는 염색체 불안정성과 같은, 전체 또는 모자이크 비정상 염색체수를 포함하는 유전 증후군과 일반적으로 관련된 것과는 다른 메커니즘을 통해 발생한다.[22]
정상적인 유사 분열 체크포인트의 변화 또한 중요한 종양 발생 사건이며, 이는 비정상 염색체수를 직접적으로 유발할 수 있다.[24] 종양 억제 유전자 p53의 소실은 종종 게놈 불안정성을 초래하여 비정상 염색체수 유전형을 유발할 수 있다.[25] 또한, 개인이 염색체 파괴에 취약한 유전 증후군 (염색체 불안정 증후군)은 다양한 유형의 암 위험 증가와 자주 관련되어, 발암 과정에서 체세포 비정상 염색체수의 역할을 강조한다.[26]
2008년에 발표된 한 연구는 비정상 염색체수 형성에 관련된 메커니즘, 특히 비정상 염색체 세포의 후성 유전 기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DNA 메틸화와 히스톤 변형은 암을 포함한 많은 생리학적 및 병리학적 조건에 중요한 두 가지 주요 후성 유전적 변형이다. 비정상적인 DNA 메틸화는 유전자 돌연변이보다 더 빈번하게 암세포에서 가장 흔한 분자 병변이다. CpG 섬 프로모터 과메틸화에 의한 종양 억제 유전자 침묵은 암세포에서 가장 빈번한 후성 유전적 변형으로 추정된다.[27]
5. 1. 암 치료와의 연관성
거의 모든 암에서 비정상 염색체 수가 발견된다.[4][19] 이수성을 유발하는 분자 과정을 표적으로 삼는 항암 치료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레스베라트롤과 아스피린은 ''생체 내''(마우스에서) 이수성 세포의 전구체가 될 수 있는 사배수체 세포를 선택적으로 파괴하고, 이 과정에 관여하는 AMPK를 활성화하는 것으로 밝혀졌다.[23]면역 체계를 회피하는 능력은 강력한 이수성을 가진 종양 세포에서 향상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수성의 존재는 정밀 면역 요법에 대한 반응을 예측하는 효과적인 생체 표지자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흑색종 환자의 경우, 높은 체세포 복제수 변이는 면역 관문 차단 항–CTLA4 (세포 독성 T 림프구 관련 단백질 4) 치료에 대한 반응이 좋지 않은 것과 관련이 있다.[21]
6. 부분 이수성
"부분적 단염색체성"과 "부분적 삼염색체성"이라는 용어는 염색체의 일부 손실 또는 획득으로 인한 유전 물질의 불균형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특히 이러한 용어는 불균형 전좌의 상황에서 사용되는데, 이는 개인이 두 개의 다른 염색체의 파괴와 융합을 통해 형성된 파생 염색체를 가지고 있을 때 발생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개인은 한 염색체의 일부 (정상 사본 2개와 파생 염색체에 존재하는 부분)를 세 개 가지고 있고, 파생 염색체와 관련된 다른 염색체의 일부는 한 개만 갖게 된다. 예를 들어, 로버트슨 전좌는 다운 증후군 사례의 극히 소수 (5% 미만)를 차지한다. 하나의 아이소염색체 형성은 아이소염색체에 존재하는 유전자의 부분적 삼염색체성과 손실된 팔에 있는 유전자의 부분적 단염색체성을 초래한다.
7. 이수성 유발 물질 (Aneugens)
이수성을 유발할 수 있는 물질을 아네우젠(Aneugens)이라고 한다. 많은 돌연변이성 발암 물질이 아네우젠이다.
7. 1. 주요 아네우젠
X선은 염색체를 파편화하여 아네우플로이디를 유발할 수 있으며, 방추사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28] 콜히친과 같은 다른 화학 물질도 미세소관 중합에 영향을 미쳐 아네우플로이디를 생성할 수 있다.[28]7. 2. 환경적 요인
흡연, 벤젠, 살충제, 과불화 화합물(PFC) 등은 정자 이수성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29]담배 연기에는 DNA 손상을 유발하는 화학 물질이 포함되어 있으며,[30] 흡연은 정자에서 염색체 13 이염색체성을 3배,[31] YY 이염색체성을 2배 증가시킨다.[32] 벤젠에 대한 직업적 노출은 정자에서 XX 이염색체성이 2.8배, YY 이염색체성이 2.6배 증가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33]
살충제인 펜발러레이트와 카바릴은 정자 이수성을 증가시킨다. 펜발러레이트에 노출되면 성 염색체 이염색체성이 1.9배, 염색체 18 이염색체성이 2.6배 증가했다.[35] 카바릴 노출은 정자에서 DNA 단편화를 증가시켰으며, 성 염색체 이염색체성을 1.7배, 염색체 18 이염색체성을 2.2배 증가시켰다.[36]
과불화 화합물(PFC)에 오염된 남성은 DNA 단편화 및 염색체 이수성 수준이 증가한 정자를 가지고 있다.[37]
8. 진단
이수성은 핵형 분석을 통해 진단할 수 있다. 핵형 분석은 세포 샘플을 고정하고 염색하여 염색체의 밝고 어두운 띠 패턴을 만들고 염색체 사진을 분석하는 과정이다. 이 외에도 형광 현미경 검사법, 단일체 반복의 정량적 PCR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된다.
8. 1. 산전 검사

생식 세포 이수성(배수성)은 핵형 분석을 통해 검출할 수 있다. 이외에도 형광 현미경 검사법, 단일체 반복의 정량적 PCR, 정량적 형광 PCR(QF-PCR), 정량적 PCR 용량 분석, 단일 염기 다형성의 정량적 질량 분석법, 비교 유전체 잡종화(CGH) 등의 기술이 이용된다.
이러한 검사는 양수 천자 또는 융모막 융모 검사를 통해 임신 중 이수성을 감지하기 위해 산전에도 수행될 수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35세 이상의 임산부에게 산전 검사가 제공되는데, 이는 산모의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염색체 이수성의 위험이 증가하기 때문이다.[1]
최근에는 산모 혈액 내 태아 유전 물질을 기반으로 덜 침습적인 검사 방법이 가능해졌다. 트리플 검사 및 무세포 태아 DNA 검사 등이 이에 해당한다.
9. 이수성의 종류
이수성은 염색체 수가 정상적인 이배체 상태에서 벗어난 경우를 말한다. 감수 분열 과정에서 염색체 비분리 현상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이수성은 염색체의 종류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단염색체성 (Monosomy): 특정 염색체가 하나만 존재하는 경우이다.
- 삼염색체성 (Trisomy): 특정 염색체가 세 개 존재하는 경우이다.
- 사염색체성 (Tetrasomy): 특정 염색체가 네 개 존재하는 경우이다.
일반적으로, 염색체 이수성에 대해 모자이크(여러 종류의 세포가 섞여 있는 상태)인 개인은 완전한 삼염색체증을 가진 사람들보다 덜 심각한 형태의 증후군을 보이는 경향이 있다.
9. 1. 성염색체 이수성
일반적인 여성은 두 개의 X 염색체를 가지는 반면, 일반적인 남성은 하나의 X 염색체와 하나의 Y 염색체를 가진다.[8] 이러한 성 염색체의 수적 변이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을 성염색체 이수성이라고 한다. 대표적인 성염색체 이수성 질환은 다음과 같다.scope="col" | | 0 | X | XX | XXX | XXXX | XXXXX |
---|---|---|---|---|---|---|
Y | Y | XY | XXY | XXXY | XXXXY | XXXXXY |
YY | YY | XYY | XXYY | XXXYY | XXXXYY | XXXXXYY |
0 | 0 | X | XX | XXX | XXXX | XXXXX |
YYY | YYY | XYYY | XXYYY | XXXYYY | XXXXYYY | XXXXXYYY |
YYYY | YYYY | XYYYY | XXYYYY | XXXYYYY | XXXXYYYY | XXXXXYYYY |
YYYYY | YYYYY | XYYYYY | XXYYYYY | XXXYYYYY | XXXXYYYYY | XXXXXYYYYY |
- 터너 증후군 (X): X 염색체가 하나뿐인 여성에게 나타나며, 저신장, 난소 기능 부전 등의 증상을 보인다.
- 클라인펠터 증후군 (XXY): X 염색체가 두 개 이상인 남성에게 나타나며, 고환 발육 부전, 여성형 유방 등의 증상을 보인다.
- XYY 증후군 (XYY): Y 염색체가 두 개인 남성에게 나타나며, 키가 크고 가벼운 학습 장애를 겪을 수 있다.
- XXX 증후군 (XXX): X 염색체가 3개 이상을 가지는 경우를 통칭한다.
9. 2. 상염색체 이수성
대부분의 배아는 누락되거나 추가된 상염색체(번호가 매겨진 염색체)로 생존할 수 없어 유산된다. 인간에게 가장 빈번한 이수성은 16번 삼염색체증이지만, 이 염색체 이상이 완전히 나타난 태아는 만삭까지 생존하지 못한다. 일부 세포에서만 16번 삼염색체증이 나타나는 모자이크 형태의 생존 개체는 존재할 수 있다.[9]유아가 생존할 수 있는 가장 흔한 이수성은 다운 증후군에서 발견되는 21번 삼염색체증으로, 출생 800명 중 1명에게 영향을 미친다. 18번 삼염색체증 (에드워드 증후군)은 출생 6,000명 중 1명에게, 13번 삼염색체증 (파타우 증후군)은 출생 10,000명 중 1명에게 영향을 미친다. 18번 또는 13번 삼염색체증을 가진 유아의 10%가 1세까지 생존한다.[9]
염색체 수의 변화가 반드시 개인의 모든 세포에서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개인의 세포 일부에서 이수성이 감지되면, 이를 염색체 모자이시즘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염색체 이수성에 대해 모자이크인 개인은 완전한 삼염색체증을 가진 사람들보다 덜 심각한 형태의 증후군을 보이는 경향이 있다. 많은 상염색체 삼염색체증의 경우, 모자이크 사례만이 만삭까지 생존한다.[9]
번호 | 단염색체 | 삼염색체 |
---|---|---|
1 | 1p36 결손 증후군, 1q21.1 결손 증후군 | 삼염색체 1 |
2 | 2q37 결손 증후군 | 삼염색체 2 |
3 | 삼염색체 3 | |
4 | 울프-허쉬호른 증후군 | 삼염색체 4 |
5 | 고양이 울음 증후군, 5q 결손 증후군 | 삼염색체 5 |
6 | 삼염색체 6 | |
7 | 윌리엄스 증후군 | 삼염색체 7 |
8 | 단염색체 8p, 단염색체 8q | 삼염색체 8 |
9 | 알피 증후군, 클레프스트라 증후군 | 삼염색체 9 |
10 | 단염색체 10p, 단염색체 10q | 삼염색체 10 |
11 | 제이콥슨 증후군 | 삼염색체 11 |
12 | 삼염색체 12 | |
13 | 파타우 증후군 | |
14 | 삼염색체 14 | |
15 | 젤만 증후군, 프래더-윌리 증후군 | 삼염색체 15 |
16 | 삼염색체 16 | |
17 | 밀러-디에커 증후군, 스미스-마게니스 증후군 | 삼염색체 17 |
18 | 원위 18q-, 근위 18q- | 에드워드 증후군 |
19 | 삼염색체 19 | |
20 | 삼염색체 20 | |
21 | 다운 증후군 | |
22 | 디조지 증후군, 필란-맥더미드 증후군, 22q11.2 원위 결손 증후군 | 고양이 눈 증후군, 삼염색체 22 |
10. 용어
엄밀한 의미에서, 46개(인간의 경우)가 아닌 다른 수의 염색체를 갖는 염색체 보충은 '''이수성'''으로 간주되며, 반수체 염색체 보충의 정확한 배수는 진정배수성으로 간주된다.
염색체 수 | 이름 | 설명 |
---|---|---|
1 | 단염색체성 | 단염색체성은 정상 염색체 중 하나가 없는 것을 의미한다. 불균형 전좌 또는 결실에서 염색체의 일부만 단일 사본으로 존재할 수 있다(결실 (유전학) 참조). 성염색체의 단염색체성(45,X)은 터너 증후군을 유발한다. |
2 | 이염색체성 | 이염색체성은 염색체의 두 사본이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각 염색체의 두 사본을 갖는 인간과 같은 유기체(이배체)의 경우, 이는 정상적인 상태이다. 일반적으로 각 염색체의 세 개 이상의 사본을 갖는 유기체(삼배체 이상)의 경우, 이염색체성은 이수성 염색체 보충이다. 단일부모 이염색체성의 경우, 염색체의 두 사본 모두가 동일한 부모에게서 오며(다른 부모의 기여는 없음) 유래한다. |
3 | 삼염색체성 | 삼염색체성은 특정 염색체의 정상적인 두 사본 대신 세 사본이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운 증후군에서 발견되는 추가 21번 염색체의 존재를 삼염색체성 21이라고 한다. 18번 삼염색체성 및 13번 삼염색체성은 각각 에드워드 증후군과 파타우 증후군으로 알려져 있으며, 생존 출생 인간에서 인식되는 두 가지 다른 상염색체 삼염색체성이다. 성염색체의 삼염색체성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47,XXX), (47,XXY), (47,XYY) 등이 있다. |
4/5 | 사염색체성/오염색체성 | 사염색체성 및 오염색체성은 각각 염색체의 네 개 또는 다섯 개의 사본이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염색체에서는 드물게 보이지만, XXXX, XXXY, XXYY, XXXXX, XXXXY, XYYYY를 포함한 인간의 성염색체 사염색체성과 오염색체성이 보고되었다. |
참조
[1]
논문
Short- and long-term effects of chromosome mis-segregation and aneuploidy
2015-08-01
[2]
서적
An Introduction to Genetic Analysis
W. H. Freeman and Company
[3]
논문
Aneuploidy and cancer
2000-01
[4]
논문
Cancer cells preferentially lose small chromosomes
[5]
논문
Clinical practice. Prenatal screening for aneuploidy
2009-06
[6]
논문
Miscarriage matters: the epidemiological, physical, psychological, and economic costs of early pregnancy loss.
https://wrap.warwick[...]
[7]
논문
Ovarian Aging and Fertility
[8]
웹사이트
Whitehead Institute of MIT
https://wi.mit.edu/n[...]
2023-02-22
[9]
서적
An Introduction to Genetic Analysis
W. H. Freeman and Company
[10]
논문
Nuclear chromosome locations dictate segregation error frequencies
2022-07
[11]
웹사이트
Nondisjunction - The Definitive Guide
https://biologydicti[...]
2023-02-22
[12]
논문
Chromosomal variation in neurons of the developing and adult mammalian nervous system
2001-11
[13]
논문
Neuronal DNA content variation (DCV) with regional and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human brain
2010-10
[14]
논문
Constitutional aneuploidy in the normal human brain
2005-03
[15]
논문
Chromosome segregation defects contribute to aneuploidy in normal neural progenitor cells
2003-11
[16]
논문
Aneuploid neurons are functionally active and integrated into brain circuitry
2005-04
[17]
논문
Single cell sequencing reveals low levels of aneuploidy across mammalian tissues
[18]
논문
Single-cell whole genome sequencing reveals no evidence for common aneuploidy in normal and Alzheimer's disease neurons
[19]
논문
Progress Aneuploidy and cancer
2004-11-18
[20]
논문
Debate surges over the origins of genomic defects in cancer
2002-07-26
[21]
논문
Tumor aneuploidy correlates with markers of immune evasion and with reduced response to immunotherapy
2017-01-20
[22]
논문
To err (meiotically) is human: the genesis of human aneuploidy
2001-04
[23]
논문
Aspirin and resveratrol could prevent cancer by killing tetraploid cells, research shows
https://medicalxpres[...]
[24]
논문
On the road to cancer: aneuploidy and the mitotic checkpoint
2005-10
[25]
논문
Dissecting p53 tumor suppressor functions in vivo
2002-04
[26]
서적
An Introduction to Genetic Analysis
W. H. Freeman and Company
[27]
논문
The Epigenetic Origin of Aneuploidy
[28]
논문
Aneuploidy, the somatic mutation that makes cancer a species of its own
[29]
논문
New insights on the origin and relevance of aneuploidy in human spermatozoa
[30]
논문
Smoking, immunity, and DNA damage
2019-05
[31]
논문
Cigarette smoking and aneuploidy in human sperm
[32]
논문
Smoking cigarettes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sperm disomy in teenage men
[33]
논문
Benzene exposure near the U.S. permissible limit is associated with sperm aneuploidy
[34]
논문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occupational fenvalerate exposure and spermatozoa DNA damage of pesticide factory workers
[35]
논문
Genotoxic effects on human spermatozoa among pesticide factory workers exposed to fenvalerate
[36]
논문
Genotoxic effects on spermatozoa of carbaryl-exposed workers
[37]
논문
Chromosomal aneuploidies and DNA fragmentation of human spermatozoa from patients exposed to perfluorinated compounds
[38]
논문
Fetal loss in Down syndrome pregnancies.
[39]
논문
Sex chromosome tetrasomy and pentasomy
1995-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