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일은 1538년에 태어나 1601년에 사망한 조선 시대의 무신으로, 1558년 무과에 급제하여 전라좌수사를 역임했다. 그는 니탕개의 난과 임진왜란에 참전했으며, 특히 임진왜란 초기 상주 전투에서 패배하여 논란이 되기도 했다. 군사 전략서인 『제승방략』을 저술했고, 사후 선무원종공신에 추록되었다. 그러나 이순신을 모함한 행적으로 인해 부정적인 평가도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용인 이씨 - 이한빈 (1926년)
    대한민국의 관료, 교육자, 학자 이한빈은 서울대 영문과 졸업 후 하버드 MBA를 취득하고 재무부 예산국장, 차관, 주스위스 대사, 숭전대학교 총장, 아주공과대학 학장,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 장관 등을 역임하며 경희대학교 평화복지대학원 교수, 인간개발연구원 회장으로 활동했고, 「행정학원론」, 「사회변동과 행정」 등의 저서를 남겼다.
  • 용인 이씨 - 이종석 (배우)
    이종석은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모델로, 서울 컬렉션 최연소 남자 모델 데뷔 후 드라마 《검사 프린세스》를 통해 배우 활동을 시작하여 《학교 2013》, 《너의 목소리가 들려》, 《W》, 《빅마우스》 등 다양한 작품에서 주연을 맡으며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다.
  • 1601년 사망 - 모리 히데카네
    모리 히데카네는 모리 모토나리의 아홉 번째 아들로 태어나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가신으로 임진왜란에 참전하여 공을 세웠으나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패배한 인물이다.
  • 1601년 사망 - 튀코 브라헤
    튀코 브라헤는 덴마크의 귀족이자 천문학자로, 정밀한 천체 관측과 1572년 초신성 및 1577년 혜성 관측을 통해 코페르니쿠스 혁명에 기여했으며, 그의 관측 자료는 케플러의 행성 운동 법칙 발견에 토대가 되었다.
  • 1538년 출생 - 김성일 (1538년)
    김성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학자로 이황의 제자이며, 조선통신사 부사로 일본에 다녀온 후 일본의 침략 가능성이 낮다고 보고하여 임진왜란에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를 받고, 임진왜란 당시 경상우병사, 경상도 초유사, 경상도관찰사를 역임했다.
  • 1538년 출생 - 이마가와 우지자네
    센고쿠 시대의 무장이자 스루가 이마가와 씨의 마지막 당주인 이마가와 우지자네는 오케하자마 전투 이후 가문의 쇠퇴를 막지 못했으나, 문화적 재능으로 후손들이 에도 막부에서 고케로 활약하는 데 영향을 주었다.
이일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출생일1538년
사망일1601년 1월 30일 (64세)
출생지조선 경기도 용인
사망지조선 함경도 정평
별명자(字)는 중경(重卿)
시호장양(壯襄)
본관용인(龍仁)
종교유교(성리학)
군사 경력
소속조선 군사
복무 기간1558년 ~ 1601년
최종 계급함경도 병마절도사
주요 지휘순변사
주요 참전 전투/전쟁
기타 정보
로마자 표기I Il
자 (이름)중경(重卿), 로마자 표기: Junggyeong
시호장양(壯襄), 로마자 표기: Jangyang

2. 생애

1538년에 태어난 이일은 1558년 무과에 급제하여 전라좌수사 등을 역임하였다. 1583년 니탕개경원종성에서 반란을 일으키자, 경원 현감으로 부임하여 반군을 진압하였다.[2] 1586년 니탕개가 회령에서 다시 반란을 일으키자, 회령 현감으로서 반군의 근거지를 소탕하였고, 그 공으로 함경병사가 되었다. 이일은 조선 시대 군사 전략서인 『제승방략』을 저술하기도 하였다.

1587년 함경병사 재직 중, 경흥 현감 이경록과 조산만호 이순신이 노근도에서 여진족의 매복 공격을 받고 패전하자 이들을 체포하였다.[3] 이후 이일은 여진족을 공격하여[1] 약 380명을 사살하고 주택 약 200채를 불태웠다. 1588년1589년에는 전라병사로서 신립, 정언신과 함께 국방 문제를 논의하였다.[4][5]

1592년 임진왜란 발발 후, 이일은 첨사가 되었다.[6] 상주에서 일본군과 싸웠으나 병력 조직이 부실하여 패배하고 충주로 도망쳐 신립을 만났다.[4][7] 신립은 이일을 죽이려 하였으나, 김여물이 제지하여 목숨을 건졌다.[8] 충주 전투에 신립과 함께 참전했으나 패하고 평안도로 후퇴하였다. 1593년 평양성 전투에서 승리하여 명나라 군대와 함께 평양성을 탈환하는 데 기여하였다.

이후 병력을 훈련시켰고, 한양이 탈환되고 훈련도감이 설치되자 우포장이 되어 군사 훈련에 전념하였다.[9] 이일은 첨사로서 송유진의 반란을 진압하였다. 1601년 살인 혐의로 호송 중 청평(현재 경기도 포천시 청평면)에서 사망하였고[9][1], 현재 용인에 매장되었다.

2. 1. 초기 활동

1538년 경기도 용인시 포곡읍 신원리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절충장군 행함경북도 병마우후를 지내고 증 의정부좌찬성 겸 판의금부사에 추증된 이민덕이고, 어머니 연안 이씨는 생원 이계수의 딸이다.[2]

1558년 무과에 병과로 급제 후 1560년 선전관이 되었다. 이후 경성판관이 되었으며 1565년 경원은 병마절도사가 체류하는 진이라 문신을 보내 견제해야 한다는 사간원의 상소로 체직되어 돌아왔다. 이후 함종현령, 벽동군수가 되었다가 1572년 부친상을 당해 궐복하였다. 3년 후 다시 복직, 단천군수, 경흥부사, 온성부사, 부산첨사 등을 역임했다. 이후 전라좌수사 등을 역임하여 1583년 함경도 경원 부사로 부임하였다.[2]

경원부사 재직 중 이탕개의 난 진압에 출정하였다. 1586년 이탕개가 다시 회령을 재침입하자 이를 다시 물리쳐 1587년 함경북병사가 되었다. 1588년 1월, 북병사 이일은 400여 명의 군사를 이끌고 여진족의 본거지인 추도를 기습 공격하여, 200여 호를 불태우고, 적 380여 명을 죽였으며, 말 30필, 소 20두를 획득하는 큰 전과를 올렸다.[1] 1589년 다시 전라도병마절도사로 재임명되어 내려갔다. 그해 12월 유생 정암수 등이 이산해, 류성룡 등을 규탄하는 상소를 올릴 때 그도 함께 언급되어 탄핵당했으나 임금이 무마시켰다.

2. 2. 임진왜란 참전과 논란

1592년 4월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경상도순변사 이일은 왜군을 막기 위해 상주로 내려갔다. 장기군관 50명을 이끌고 병력은 현지에서 징집하기로 했으나, 상주에서 징집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고, 따라온 장기군관 50명 중 20명 이상이 도주하여 크게 패했다.[10][11][12] 이일이 징집한 병력은 800명 수준이었으나, 그나마도 전투가 시작되면서 조금씩 도망쳐 실제로는 훨씬 적은 병력이었다. 이후 이일은 갑옷을 벗고 충주에 주둔한 신립(申砬)의 군대로 도망쳤다.[10][11][12] 그러나 신립마저 충주 탄금대 전투에서 패해 자결하자 황해도평안도로 도망쳤다.

1592년 5월 17일~5월 18일 임진강 전투에 참여했으나 패배했다. 이일은 또 도망쳤으며, 그 과정에서 조선 선조의 몽진 어가와 만났다. 류성룡이 부하들에게 시켜 이일이 입을 철릭을 준비하게 했으며, 이를 이일이 입었다.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이일은 첨사가 되었다.[6] 1592년 4월 24일, 상주에서 일본군과 싸웠으나, 800명의 병력을 조직하였으나 부실하였고, 4월 25일부터 나머지 병력을 훈련시키기 시작하였으나, 매복 공격을 받아 패배하였다. 이일은 충주로 도망쳐 신립을 만났다.[4][7] 신립은 패전의 책임을 지고 이일을 죽이려 하였으나, 김여물(金汝穆)이 신립을 제지하여 이일은 죽지 않았다. 이일은 경험 많은 장수였기 때문에 사과가 받아들여졌다.[8] 이일은 신립과 함께 충주 전투에 참여하였으나 패배하고 다시 평안도로 후퇴하였다.

2. 3. 임진왜란 이후 활동

임진왜란이 끝나고 함경도에서 벼슬을 받아 활동하다가 1595년 왕의 특지로 다시 함경북도 병마절도사가 되고, 1597년 상호군이 되었다.[1]

1598년 지중추부사가 되었다가 행 호군이 되고, 1599년 다시 함경북도 병마절도사가 되었다.[1] 1600년 초 행 호군이 되었다가 그해 7월 6일 함경남도 병마절도사로 부임했다.[1] 1601년 부하를 죽인 혐의를 받고 선조의 명으로 한성부로 호송되다가 1월 30일 정평군에서 병으로 죽었다.[1] 의금부 도사 윤천구(尹天衢)가 2월 6일 당도하여 그의 사망 사실을 선조 임금에게 전하였다.[1]

2. 4. 사후

이일은 의정부 좌참찬(議政府左參贊)에 추증되었고, 용인군 모현촌(慕賢村)에 있는 선영(先塋)에 장례되었다. 묘비문은 '유명조선국한성부판윤 삼도순변사무용대장 증의정부참찬 시장양공이일지묘 정부인전주이씨부좌'로 쓰여 있다. 처음 신도비문은 도곡 이의현이 지었고, 나중에 신도비문은 해좌 정범조가 썼다.

1605년(선조 38년) 4월, 이일은 선무원종공신 1등에 추록되었다. '원종'은 후보를 의미하여 정식 공신이 아닌 공신 후보자를 뜻한다. 이는 임금을 호위한 호성공신에는 원종공신이 없는 것과 대조된다. 실제로 선무공신 1등에 추록된 인물은 이순신, 원균처럼 이미 전사했거나, 권율처럼 거의 죽기 직전의 인물들뿐이었다.

숙종 때 최석항이 그의 시호를 청하는 상소문을 올렸고, 경종 때 장양(莊襄)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장양은 여러 번 정벌하여 적을 죽이고(屢征殺伐) 갑옷을 입고 싸워 공로를 세운(甲冑有勞) 두 가지 시법(諡法)을 따른 것이다. 묘소는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면 매산리 산108-1에 있으며, 용인시 향토유적 제21호로 지정되었다.

3. 평가와 비판

이일은 녹둔도 재직 시절 이순신을 모함한 일 때문에 후대의 평가가 매우 나쁘다. 녹둔도 전투에서 조선군이 패배하고 많은 사상자와 포로가 발생하자, 이일은 이순신에게 그 책임을 씌웠다.[1]

3. 1. 부정적 평가 (더불어민주당 및 진보 진영 관점)

이일은 녹둔도 재직 시절 이순신을 모함한 일로 인해 후대의 평가가 매우 나쁘다. 녹둔도 전투에서 책루(柵壘)를 지키던 수장(戍將) 오형(吳享)과 임경번(林景藩) 등 조선군 11명이 죽고, 160여 명이 잡혀갔으며, 말 15필도 약탈당했다.[1] 이순신은 적과 맞서 싸워 납치된 조선 백성 60여 명을 구출하였지만, 이일은 패장의 책임을 물어 이순신에게 죄를 씌웠다.[1]

4. 가계

첫 부인은 전주 이씨효령대군의 후손인 대흥령 이만춘(大興令 李萬春)의 딸이다.[1] 재취 부인 역시 전주 이씨로 이거효(李巨孝)의 딸이다.[1]

5. 저서


  • 증보제승방략

참조

[1] 웹사이트 Yi Il https://terms.naver.[...]
[2] 웹사이트 Veritable Records of Seonjo 16 April 7 http://sillok.histor[...]
[3] 웹사이트 Veritable Records of Seonjo 20 October 10 http://sillok.histor[...]
[4] 웹사이트 Veritable Records of Seonjo 21 November 8 http://sillok.histor[...]
[5] 웹사이트 Veritable Records of Seonjo 22 August 16 http://sillok.histor[...]
[6] 웹사이트 Veritable Records of Seonjo 25 April 17 http://sillok.histor[...]
[7] 웹사이트 Veritable Records of Seonjo 26 November 14 http://sillok.histor[...]
[8] 웹사이트 이일(李鎰) http://encykorea.aks[...] 2022-01-07
[9] 웹사이트 Yi Il https://terms.naver.[...]
[10] Youtube 상주 전투에서 알몸뚱이가 된 이일 장군 https://www.youtube.[...]
[11] 웹사이트 지금 신립의 호언장담과 탄금대 전투가 떠오르는 이유는? http://www.ccsimin.c[...]
[12] 웹사이트 우왕좌왕하는 조정, 파죽지세의 왜군 http://www.gjnews.n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