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장희 (시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장희는 1900년 대구에서 출생하여 1929년 자살한 시인이다. 부유한 집안에서 태어났으나, 아버지와의 불화와 가난으로 인해 고통받았다. 대구보통학교와 교토 중학교를 졸업했으며, 이상화, 현진건 등과 교류했다. 1924년 《금성》에 시를 발표하며 등단했고, 이후 여러 잡지에 작품을 게재했으나, 생전에 시집을 출간하지 못했다. 박종화와 이상화는 그의 시에 대해 상반된 평가를 내렸으며, 조연현은 그를 감각적인 경향을 대표하는 유일한 시인으로, 정우택은 미적 근대성을 추구한 시인으로 평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초등학교 (대구) 동문 - 김부겸
    김부겸은 1987년 정치에 입문하여 제16·17·18·20대 국회의원, 문재인 정부의 행정안전부 장관 및 국무총리를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민주화 운동으로 투옥되기도 했으며 지역주의 타파를 위해 대구에서 당선되기도 했으나 2022년 정계 은퇴를 선언하였다.
  • 대구초등학교 (대구) 동문 - 안택수
    안택수는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제15대, 16대, 17대 국회의원을 지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중구 (대구광역시) 출신 - 현진건
    현진건은 일제강점기의 사실주의 소설가로, 대표작으로는 「빈처」, 「술 권하는 사회」, 「운수 좋은 날」 등이 있으며, 일제강점기 언론 탄압을 받기도 했다.
  • 중구 (대구광역시) 출신 - 이상화 (시인)
    이상화는 일제강점기의 저항 시인으로,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와 같은 작품을 통해 민족의 저항 의지를 표현했으며, 민족 시인으로서의 고뇌와 헌신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며, 그의 작품과 정신은 현재에도 재평가되고 있다.
  • 자살한 작가 - 미시마 유키오
    미시마 유키오는 1925년 도쿄에서 태어나 소설, 희곡, 평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일본의 전통과 현대 사이의 갈등을 작품에 담아낸 20세기 일본 문학의 중요한 인물이며, 1970년 자위대에서 쿠데타를 시도하다 실패하고 할복 자살했다.
  • 자살한 작가 - 마광수
    마광수는 대한민국의 국문학자이자 작가, 대학교수로, 시인과 소설가로 활동하며 성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문학관으로 기성 문단과 갈등을 빚었고, 소설 《즐거운 사라》로 외설 논란에 휩싸인 인물이다.
이장희 (시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장희
이장희
이름이장희
원어이름李章熙
출생일1900년 11월 9일
출생지경상북도 대구 중구
사망일1929년 11월 3일
사망지경상북도 대구 (음독 자살)
본명이장희(李樟熙)
아명이양희(李樑熙)
아호고월(古月)
활동 정보
장르시문학, 번역
활동 기간1924년 3월 ~ 1928년 8월
직업시인, 번역문학가
언어한국어, 중국어, 일본어
학력
학력일본 교토 중학교 졸업
경력
경력금성 편집위원
가족
부모이병학(부), 박금련(모)
형제이복 남동생 10명, 이복 누이동생 8명
종교
종교유교(성리학)

2. 생애

1900년 경상북도 대구 중구에서 아버지 이병학의 11남 8녀 중 삼남으로 태어났다.[1] 아버지는 대구의 부호이며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지낸 이병학이며, 어머니는 박금련이다.[1] 다섯 살때, 어머니를 잃고 이후 계모 밑에서 크며 아버지와 불화했다.[1] 아버지 이병학은 두 번째 부인과 5남 6녀를 두었고, 이장희가 죽기 5년 전에 세 번째 결혼을 하였으며 그 외에 측실도 1명을 거느렸다.[1] 이장희 자결 당시 형제는 모두 10남 8녀로 매우 복잡한 가계였다.[1]

경상북도 대구보통학교를 거쳐 일본 교토 중학교를 졸업하였다.[1] 교우관계는 양주동, 유엽, 김영진, 오상순, 백기만, 이상화, 현진건 등 극히 제한되어 있었다.[1] 부친이 중추원 참의로서 일본인들과의 교제가 빈번하여 아들 이장희 시인에게 중간 통역을 맡기려 했으나, 이장희 시인은 한 번도 복종하지 않았고, 총독부 관리로 취직하라는 지시도 거역하여 부친은 이장희 시인을 버린 자식으로 아주 단념하였다 한다.[1] 그래서 극도로 빈궁한 삶을 벗어나지 못하였다.[1] 1929년 11월 3일 대구 자택에서 음독 자살하였다.[1]

2. 1. 출생과 성장

1900년 경상북도 대구 중구에서 아버지 이병학의 11남 8녀 중 삼남으로 태어났다.[1] 아버지는 대구의 부호이며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지낸 이병학이며, 어머니는 박금련이다.[1] 다섯 살때, 어머니를 잃고 이후 계모 밑에서 크며 아버지와 불화했다.[1] 아버지 이병학은 두 번째 부인과 5남 6녀를 두었고, 이장희가 죽기 5년 전에 세 번째 결혼을 하였으며 그 외에 측실도 1명을 거느렸다.[1] 이장희 자결 당시 형제는 모두 10남 8녀로 매우 복잡한 가계였다.[1]

경상북도 대구보통학교를 거쳐 일본 교토 중학교를 졸업하였다.[1] 교우관계는 양주동, 유엽, 김영진, 오상순, 백기만, 이상화, 현진건 등 극히 제한되어 있었다.[1] 부친이 중추원 참의로서 일본인들과의 교제가 빈번하여 아들 이장희 시인에게 중간 통역을 맡기려 했으나, 이장희 시인은 한 번도 복종하지 않았고, 총독부 관리로 취직하라는 지시도 거역하여 부친은 이장희 시인을 버린 자식으로 아주 단념하였다 한다.[1] 그래서 극도로 빈궁한 삶을 벗어나지 못하였다.[1]

2. 2. 문학 활동과 교우 관계

이장희는 소설가 현진건, 시인 이상화, 백기만 등과 교우 관계를 맺었다. 이상화는 1901년 5월 9일에 출생하여 1943년 4월 25일에 사망하였으며, 호는 상화(尙火, 想華), 무량(無量), 백아(白啞)이다. 그는 소설가, 수필가, 번역문학가, 문학평론가로도 활동하였다. 백기만은 1902년 5월 12일에 출생하여 1967년 8월 7일에 사망하였으며, 호는 목우(牧牛)이고, 문학평론가로도 활동하였다. 현진건은 1900년 8월 9일에 출생하여 1943년 4월 25일에 사망하였으며, 호는 빙허(憑虛)이고, 언론인으로도 활동하였다.

2. 3. 죽음

3. 가족 관계

4. 인간 관계

이장희는 소설가 현진건, 시인 이상화, 시인 백기만 등과 교류하였다.

5. 학력

경상북도 대구 대남보통학교를 수료하고, 경상북도 대구보통학교를 졸업하였다. 이후 일본 교토 중학교를 졸업하였다.

6. 작품 활동

1924년금성》 3월호에 〈실바람 지나간 뒤〉, 〈새한마리〉, 〈불놀이〉, 〈무대〉, 〈봄은 고양이로다〉 등 5편의 시 작품과 톨스토이 원작의 번역소설 〈장구한 귀양〉을 발표하면서 등단했다. 이후 《신민》,《생장》,《여명》,《신여성》,《조선문단》등 잡지에 〈동경〉, 〈석양구〉, 〈청천의 유방〉, 〈하일소경〉,〈봄철의 바다〉등 30여 편의 작품을 발표하였다. 요절하였기에 생전에 출간된 시집은 없으며, 사후 1951년 백기만이 6.25 한국전쟁중 청구출판사에서 펴낸 《상화와 고월》에 시 11편만 실려 전해지다가 제해만 편 《이장희전집》(문장사, 1982)과 김재홍 편 《이장희전집평전》(문학세계사, 1983)등 두 권의 전집에 유작이 모두 실렸다.

6. 1. 등단

1924년금성》 3월호에 〈실바람 지나간 뒤〉, 〈새한마리〉, 〈불놀이〉, 〈무대〉, 〈봄은 고양이로다〉 등 5편의 시 작품과 톨스토이 원작의 번역소설 〈장구한 귀양〉을 발표하면서 등단했다. 이후 《신민》,《생장》,《여명》,《신여성》,《조선문단》등 잡지에 〈동경〉, 〈석양구〉, 〈청천의 유방〉, 〈하일소경〉,〈봄철의 바다〉등 30여 편의 작품을 발표하였다. 요절하였기에 생전에 출간된 시집은 없으며, 사후 1951년 백기만이 6.25 한국전쟁중 청구출판사에서 펴낸 《상화와 고월》에 시 11편만 실려 전해지다가 제해만 편 《이장희전집》(문장사, 1982)과 김재홍 편 《이장희전집평전》(문학세계사, 1983)등 두 권의 전집에 유작이 모두 실렸다.

6. 2. 작품 세계

이장희는 1924년금성》 3월호에 〈실바람 지나간 뒤〉, 〈새한마리〉, 〈불놀이〉, 〈무대〉, 〈봄은 고양이로다〉 등 5편의 시 작품과 톨스토이 원작의 번역소설 〈장구한 귀양〉을 발표하면서 등단했다. 이후 《신민》,《생장》,《여명》,《신여성》,《조선문단》등 잡지에 〈동경〉, 〈석양구〉, 〈청천의 유방〉, 〈하일소경〉,〈봄철의 바다〉등 30여 편의 작품을 발표하였다. 요절하였기에 생전에 출간된 시집은 없으며, 사후 1951년 백기만이 6.25 한국전쟁중 청구출판사에서 펴낸 《상화와 고월》에 시 11편만 실려 전해지다가 제해만 편 《이장희전집》(문장사, 1982)과 김재홍 편 《이장희전집평전》(문학세계사, 1983)등 두 권의 전집에 유작이 모두 실렸다.

7. 평가

박종화이상화는 이장희의 시에 대해 서로 다른 평가를 내렸다.[2][3] 박종화는 《조선문단》 1925년 10월호 〈9월의 시단〉에서 이장희의 시 〈청천의 유방〉에 대해 "기괴를 쓰려는 마음, 상징을 위한 상징시"라고 혹평했고, 〈비오는 날〉에 대해서는 "작자에 착각적 정서로부터 나온 작품"이라고 평가했다.[2] 반면, 이장희와 동향 친구였던 이상화는 《개벽》 6월호에서 이장희의 시 〈고양의의 꿈〉과 〈겨울밤〉을 이채 있는 시라고 칭찬하며, 이장희를 정관(靜觀)시인이라고 높이 평가했다. 다만, 생명에서 발현된 열광이 없음을 지적했다.[3]

조연현은 1920년대 시단의 낭만주의적 풍조를 다루면서, 이장희의 감각적인 예민성을 그의 독자적인 특성이자 당시 감각적인 경향을 대표하는 유일한 시인이라고 평가했다.[4]

정우택은 비속한 현실에 맞서 절대 자유, 절대 자아의 순전함을 추구했던 이장희의 삶이 곧 그의 시이며, 그의 미적 태도를 '미적 근대성의 자기 파괴적인 양상'으로 규정했다. 또한, 한국 근대문학사에서 이장희는 근대적 주체의 자율성을 옹호하기 위해 예술의 자율성과 미적 근대성을 절대적인 지점까지 추구했던 시인으로 기록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5]

7. 1. 당대 평가

박종화이상화는 이장희의 시에 대해 서로 다른 평가를 내렸다.[2][3] 박종화는 《조선문단》 1925년 10월호 〈9월의 시단〉에서 이장희의 시 〈청천의 유방〉에 대해 "기괴를 쓰려는 마음, 상징을 위한 상징시"라고 혹평했고, 〈비오는 날〉에 대해서는 "작자에 착각적 정서로부터 나온 작품"이라고 평가했다.[2] 반면, 이장희와 동향 친구였던 이상화는 《개벽》 6월호에서 이장희의 시 〈고양의의 꿈〉과 〈겨울밤〉을 이채 있는 시라고 칭찬하며, 이장희를 정관(靜觀)시인이라고 높이 평가했다. 다만, 생명에서 발현된 열광이 없음을 지적했다.[3]

조연현은 1920년대 시단의 낭만주의적 풍조를 다루면서, 이장희의 감각적인 예민성을 그의 독자적인 특성이자 당시 감각적인 경향을 대표하는 유일한 시인이라고 평가했다.[4]

정우택은 비속한 현실에 맞서 절대 자유, 절대 자아의 순전함을 추구했던 이장희의 삶이 곧 그의 시이며, 그의 미적 태도를 '미적 근대성의 자기 파괴적인 양상'으로 규정했다. 또한, 한국 근대문학사에서 이장희는 근대적 주체의 자율성을 옹호하기 위해 예술의 자율성과 미적 근대성을 절대적인 지점까지 추구했던 시인으로 기록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5]

7. 2. 후대 평가

박종화는 《조선문단》 1925년 10월호 〈9월의 시단〉에서 《여명》에 실린 이장희의 시〈청천의 유방〉과 〈비오는 날〉을 평가하면서 〈청천의 유방〉은 "기괴를 쓰랴는 마음, 상징을 위한 상징시라는 것을 나는 말할 뿐이다. 이외에는 아무것도 없다."하고 말했으며, 〈비오는 날〉은 "작자에 착각적 정서로부터 나온 작품이다. 다만 한 때에 마취된 감흥의 씌운 붓장난이라 할 것이다."하고 혹평했다.[2] 반면, 이장희와 동향 친구였던 이상화는 같은 해, 《개벽》 6월호에서 이장희의 시 〈고양의의 꿈〉과 〈겨울밤〉을 이채 있는 시라고 하면서, 이상화를 정관(靜觀)시인이라고 고평하였다. 다만 생명에서 발현된 열광이 없음을 덧붙였다.[3]

조연현은 1920년대 시단의 낭만주의적 풍조의 전개를 다루면서 감각적인 예민성은 거의 이장희의 독자적인 특성으로서 이 무렵의 감각적인 경향을 대표하는 유일한 시인이라고 평가했다.[4]

정우택은 비속한 현실에 맞서 절대 자유, 절대 자아의 순전함을 추구했던 이장희의 삶은 곧 그의 시라면서 그의 미적 태도를 '미적 근대성의 자기 파괴적인 양상'으로 명명하였다. 또, 한국 근대문학사에서 이장희는 근대적 주체의 자율성을 옹호하기 위해 예술의 자율성과 미적 근대성을 절대적인 지점까지 추구했던 시인으로 기록되어야 한다고 했다.[5]

참조

[1] 논문 고월 이장희시 연구 국어국문학회 1980
[2] 논문 이장희 연구(1)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84
[3] 서적 이상화 전집 문장사 1982-05-30
[4] 서적 한국현대문학사 성문각 1969-09-05
[5] 논문 고월 이장희 시 연구 민족문학사학회 2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