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모 (심리학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정모는 1944년 원주 출생으로, 심리학자이자 인지과학 분야의 권위자였다. 서울대학교에서 심리학을 전공하고, 캐나다 퀸즈 대학교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성심여자대학교, 고려대학교, 성균관대학교 등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후학을 양성했고, 2009년 성균관대학교에서 정년 퇴임 후 명예교수로 활동했다. 그는 한국심리학회, 한국인지과학회 등 여러 학회에서 활동하며 학문 발전에 기여했으며, 2018년 사망했다. 주요 저서로는 《인지심리학: 형성사, 개념적 기초, 조망》, 《인지과학: 학문간 융합의 원리와 응용》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심리학자 - 정원식
정원식은 대한민국의 교육학자, 대학교수, 정무직공무원, 정치인으로,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수, 문교부 장관, 국무총리 서리 및 국무총리를 역임하며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관련 논란과 대학생 계란 투척 사건을 겪었고 서울특별시장 후보로 낙선하기도 했다. - 대한민국의 심리학자 - 표창원
표창원은 경찰대 졸업 후 범죄심리학 박사 학위를 받고 경찰청 및 경찰대학 교수를 지냈으며, 국정원 여론 조작 사건 비판 후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을 거쳐 현재 표창원 범죄과학연구소를 운영하며 방송 활동을 하는 정치인이자 범죄심리학자이다. - 인지심리학자 - 시모어 페퍼트
남아프리카 공화국 출신 수학자이자 MIT 교수인 시모어 페퍼트는 구성주의를 발전시키고 로고(LOGO) 프로그래밍 언어 개발 및 레고 마인드스톰 개발에 기여하는 등 교육 기술 분야에서 선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 인지심리학자 - 허버트 사이먼
허버트 사이먼은 제한된 합리성 개념을 제시하고 조직 내 의사결정 과정을 연구하여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경제학자, 인지심리학자, 컴퓨터 과학자이자 철학자이며, 인공지능 분야 초기 연구에 기여했고 카네기 멜론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인지과학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퀸스 대학교 (캐나다) 동문 - 시어 앤드루스
캐나다 출신 배우이자 스포츠 방송인, 리얼리티 쇼 진행자인 시어 앤드루스는 퀸스 대학교 시절 방송을 시작해 연극, 영화, TV 드라마 출연과 ESPN 등 스포츠 방송 활동, 연예 뉴스 쇼 리포터, 리얼리티 쇼 진행 등을 맡았다. - 퀸스 대학교 (캐나다) 동문 - 웬디 크루슨
웬디 크루슨은 캐나다의 배우로서 영화 《전쟁 신부》로 데뷔하여 《에어 포스 원》, 《산타클로스》 시리즈 등 흥행작과 여러 TV 시리즈에서 활약하며 캐나다 스크린 어워드와 제미니상을 수상하고 캐나다 명예의 거리에 헌액되었다.
이정모 (심리학자)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이정모 |
출생일 | 1944년 3월 26일 |
출생지 | 일제강점기 조선 강원도 원주 |
사망일 | 2018년 8월 8일 |
사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직업 | 심리학자 |
분야 | 심리학 |
하위 분야 | 인지심리학, 인지과학 |
학력 | 캐나다 퀸즈대학교 대학원 심리학과 박사 |
2. 생애
1944년 3월 26일 일제강점기 강원도 원주에서 아버지 이창호와 어머니 조옥자 사이에서 태어났다. 원주중학교와 원주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1962년부터 1966년까지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에서 심리학을 전공하여 문학사 학위를 받았다. 3년간의 군 복무를 마친 뒤, 서울대학교 대학원에 진학하여 실험심리학을 전공하고 1971년 문학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대학원 재학 중에는 우산장학회의 장학금을 받았다.
원주중학교와 원주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1962년 입학)에서 심리학을 전공하여 1966년 학사 학위를, 1971년 동 대학원에서 심리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서울대학교 학생지도센터에서 연구 조교로 근무하다 캐나다 온타리오주 퀸즈 대학교 대학원으로 유학하여 실험 심리학 석사(1976년) 및 박사(1979년) 학위를 취득했다. 박사과정 지도교수는 데이비드 J. 머레이(David J. Murray)였으며, 박사 학위 논문은 '처리 깊이'에 관한 연구로, 제목은 "더 깊은 처리: 확산적 정교화와 통합적 정교화"였다.
이후 캐나다 퀸즈 대학교 대학원에서 심리학을 전공했으며, 귀국 후 성심여자대학교 (현 가톨릭대학교 성심교정), 고려대학교, 성균관대학교에서 심리학과 인지과학 등을 가르쳤다. 2009년 성균관대학교에서 정년 퇴임하였고, 같은 대학교의 명예교수로 활동했다.
수학자이자 이화여자대학교 수학과 교수인 이혜숙과 결혼하여 슬하에 아들 한 명을 두었다.
2018년 8월 8일 숙환으로 별세하였다.
3. 경력
1979년 귀국 후, 가톨릭대학교 성심 캠퍼스(당시 성심여자대학교) 심리학과 조교수(1979-1980년)를 거쳐 고려대학교 심리학과에서 부교수 및 교수(1980-1984년)로 재직했다. 이후 미국 콜로라도 대학교 볼더 캠퍼스 인지과학 연구소(Institute of Cognitive Science) 연구원(1984-1985년), 시카고 대학교 과학의 개념적 기초 분과(Committee on the Conceptual Foundation of Science) 방문학자(1985년)를 지냈다. 1986년부터 성균관대학교 심리학과 교수로 부임하여 2009년 8월 정년퇴임하였으며, 퇴임 후 동 대학 심리학과 및 인지과학협동과정 명예교수로 위촉되었다. 재직 중이던 1995년에는 성균관대학교에 융합학문인 인지과학 대학원 프로그램을 설립했으며,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디에이고 인지과학과 방문 학자를 지내기도 했다.
다양한 학회 활동을 통해 한국 심리학 및 인지과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주요 학회에서 회장직을 역임하는 등 활발히 활동했다. (상세 내용은 하위 문단 참고)
3. 1. 학회 활동
다음은 이정모 교수가 가입하여 활동했거나 현재 활동 중인 주요 학회 목록이다.
학회명 | 가입 기간 |
---|---|
한국심리학회 | 1969년-현재 |
한국실험 및 인지심리학회 (현 한국 인지 및 생물심리학회) | 1979년-현재 |
한국인지과학회 | 1987년-현재 |
한국마음두뇌교육협회 | 2005년-현재 |
한국뇌학회 | 2003년-현재 |
한국과학사학회 | 1994년-현재 |
한국과학철학회 | 1994년-현재 |
담화인지언어학회 | 1997년-현재 |
한국과학사상연구회 | 2002년-현재 |
한국제도경제학회 | 20--년-현재 |
한국노년학회 | 1994년-현재 |
한국심리언어학회 | 20--년-현재 |
한국분석철학회 | 1983년-현재 |
학회명 | 가입 기간 | ||||||||||||||||||||||||||||||||||||||||||||||||||||||||||||||||||||||||||||||||||||||||||||||||||||||||||||||||||||||||||||||||||||||||||||
---|---|---|---|---|---|---|---|---|---|---|---|---|---|---|---|---|---|---|---|---|---|---|---|---|---|---|---|---|---|---|---|---|---|---|---|---|---|---|---|---|---|---|---|---|---|---|---|---|---|---|---|---|---|---|---|---|---|---|---|---|---|---|---|---|---|---|---|---|---|---|---|---|---|---|---|---|---|---|---|---|---|---|---|---|---|---|---|---|---|---|---|---|---|---|---|---|---|---|---|---|---|---|---|---|---|---|---|---|---|---|---|---|---|---|---|---|---|---|---|---|---|---|---|---|---|---|---|---|---|---|---|---|---|---|---|---|---|---|---|---|---|
{{lang|eng|Association for Psychological Science|} | } (APS) || 1993년-현재
학회명 | 활동 기간 | |||||||||||||||||||||||||||||||||||||||||||||||||||||||||||||||||||||||||||||||||||||||||||||||||||||||||||||||||||||||||||||||||||||
---|---|---|---|---|---|---|---|---|---|---|---|---|---|---|---|---|---|---|---|---|---|---|---|---|---|---|---|---|---|---|---|---|---|---|---|---|---|---|---|---|---|---|---|---|---|---|---|---|---|---|---|---|---|---|---|---|---|---|---|---|---|---|---|---|---|---|---|---|---|---|---|---|---|---|---|---|---|---|---|---|---|---|---|---|---|---|---|---|---|---|---|---|---|---|---|---|---|---|---|---|---|---|---|---|---|---|---|---|---|---|---|---|---|---|---|---|---|---|---|---|---|---|---|---|---|---|---|---|---|---|---|---|---|---|
철학연구회 | 1983년-?? | |||||||||||||||||||||||||||||||||||||||||||||||||||||||||||||||||||||||||||||||||||||||||||||||||||||||||||||||||||||||||||||||||||||
한국언어학회 | 1981년-2003년 | |||||||||||||||||||||||||||||||||||||||||||||||||||||||||||||||||||||||||||||||||||||||||||||||||||||||||||||||||||||||||||||||||||||
{{lang|eng|New York Academy of Science|} | } (NYAS) || 2003년-??
단체 | 직책 | 기간 |
---|---|---|
한국심리학회 | 학회 서기 | 1969-1971년 |
총무 간사 | 1981-1982년 | |
한국심리학회지 편집부위원장 | 1981-1982년 | |
한국심리학회지 편집위원장 | 1982-1984년, 1985-1986년 | |
학술위원 | 1985-1986년, 1987-1990년, 1991-1998년 | |
이사 | 1991-1993년, 1994-1996년, 2000-2001년, 2002-2008년 | |
정보위원회 위원장 | 2000-2001년 | |
한국실험 및 인지심리학회 (현 한국인지 및 생물심리학회, KSCBP) | 이사 | 1984-1991년 |
회장 | 1991-1993년 | |
실험 및 인지심리학회지 편집위원 | 1989-1991년, 1999-2003년 | |
실험 및 인지심리학회지 편집위원장 | 1991-1993년 | |
고문, 기획 및 자문 위원회 위원 | 2010년-, 2013년- | |
한국인지과학회 (KSCS) | 초대 총무이사 | 1987-1988년 |
재무이사 | 1988-1989년 | |
학회지 인지과학 편집위원 | 1987-1990년, 2002-2007년 | |
부회장 | 1990-1991년, 1994-1995년 | |
감사 | 1996-1998년 | |
회장 | 1999년 | |
기획학술자문위원, 기획 및 자문 위원회 위원 | 2002-2006년, 2013년- | |
한국사회과학연구협의회 | 사회과학논평지 및 Korean Social Science Journal 편집위원 | 1990-1993년 |
한국뇌과학회 (KBS) | 고문, 자문위원, 기획 및 자문 위원회 위원 | 2003년-, 2013년- |
한국마음두뇌교육협회 (KSMBE) | 기획자문위원, 자문위원, 기획 및 자문 위원회 위원 | 2005년-, 2013년- |
국제 인지 과학 컨퍼런스 (ICCS) | 운영위원회 위원 | 1996-2007년 |
KAIST 뇌과학연구센터 (BSRC) | 운영위원, 이사 | 1997-2007년 |
사단법인 한국청소년교육연구소 | 연구위원 | 1992-2004년 |
성균관대학교 교수 협의회 | 부회장 | 2002-2004년 |
국제 인지 과학 협회 (IACS) | 위원 | - |
TOINMO (한국 인지 과학 분야 젊은 학자 포럼) | 고문 | - |
4. 인지과학 분야 주요 활동 및 업적
캐나다 유학 중이던 1974년에 인지주의와 인지과학의 개념적, 이론적 바탕을 접한 이후, 과학철학, 과학사 등을 공부하였다. 1985년에는 미국 콜로라도대학교 인지과학연구소(ICS) 연구원으로 재직하며 인지과학 내 여러 학문 분야 간의 학제적 연결 가능성을 탐구하였다. 같은 해 시카고 대학교의 과학의 개념적 기초 위원회(Committee on Conceptual Foundations of Science)에서 객원연구원으로 활동했다.
귀국 후 1986년,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조명한 교수와 함께 국내 최초의 공식적 융합 연구인 대우재단 인지과학 공동연구를 기획하고 조직하였다. 1987년 한국인지과학회가 창립되자 초대 총무이사를 맡아 뉴스레터 ‘인지과학 소식’ 편집을 담당하며 인지과학의 국내 소개와 확산에 힘썼다. 1994년에는 문교부 설득을 통해 국내 대학에 인지과학 협동과정이 설치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였고, 이듬해인 1995년 성균관대학교에 대학원 인지과학 협동과정 설치와 개설을 주도하였다.
1996년에는 KAIST 전산학과 김진형 교수, 서강대학교 전산학과 서정연 교수와 함께 인지과학의 응용을 목표로 하는 '소프트과학' 프로젝트(과학기술부 지원)를 시작하였다. 1997년에는 국회의 정호선 의원이 주도한 '뇌과학촉진법' 제정 과정에 인지과학 분야를 대표하여 참여하였다. 1998년 법안 발효 이후에는 KAIST 전기전자공학과의 뇌공학자 이수영 교수,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정찬섭 교수 등과 협력하여 대전 KAIST에 설치된 뇌과학연구센터(BSRC)의 연구 및 운영 틀 기획에 참여하였으며, 이와 관련하여 과학기술부 뇌과학촉진심의회 위원으로 활동했다(1999-2003년).
1999년부터 2001년까지는 18개 대학 27명의 공동연구자(심리학, 의학, 언어학, 컴퓨터과학, 교육학 분야)를 이끌며 과학기술부 특정연구 뇌과학연구사업인 '뇌인지기능 연구'의 연구책임자를 맡았다. 또한 KAIST 김진형 교수가 한국인지과학회 회장으로 재임하는 동안 과학기술부 지원 '소프트 사이언스'(Soft science) 연구 프로젝트를 주도하였다. 1997년 서울에서 1차 모임을 개최한 '국제인지과학학회'(ICCS,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gnitive Science)의 기획위원으로도 활동하였다(1999-2006년).
인지과학에 관심 있는 젊은 세대를 위한 지식 나눔 활동에도 적극적이었다. 1995년부터 천리안 인지과학동호회를 기획하고 주도했으며, 2002년 다음 카페 인지과학학생회 출범 이후에는 서강대학교 영문학과 조숙환 교수와 함께 온·오프라인에서 모임을 지원했다. 2011년 출범한 젊은 인지과학 연구자 모임 '토인모'의 기획과 지원에도 참여하고 있다.
기구 | 직책 | 기간 |
---|---|---|
대한심리학회 (KPA) | 한국심리학회지 편집인 | 1982–1984, 1985–1986 |
한국인지과학회 (KSCS) | 초대 총무이사 | 1987년~ |
한국실험인지심리학회 (현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 회장 | 1991–1993 |
성균관대학교 | 대학원 인지과학 협동과정 설립 주도 | 1995년 |
KAIST 뇌과학연구센터 (BSRC) | 이사 | 1997–2007 |
국제 인지 과학 컨퍼런스 (ICCS) | 운영 위원회 위원 | 1997–2007 |
한국인지과학회 (KSCS) | 회장 | 1999 |
과학기술부 | 뇌과학촉진심의회 위원 | 1999-2003 |
한국뇌학회 (KBS) | 자문위원 | - |
한국마음뇌교육학회 (KSMBE) | 자문위원 | - |
성균관대학교 | 교수협의회 부회장 | - |
TOINMO (젊은 인지과학 연구자 포럼) | 고문 | 2011년~ |
5. 수상 내역
6. 저서
wikitext
연도 | 제목 | 출판사 | 비고 |
---|---|---|---|
2001 | 인지심리학: 형성사, 개념적 기초, 조망 | 아카넷 | ISBN 9788989103448[3] |
2008 | 인지심리학 (3판) | 학지사 | 공저 |
2009 | 인지과학: 학문간 융합의 원리와 응용 |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 ISBN 9788979867848[2] |
2010 | 인지과학: 과거, 현재, 미래 | 학지사 | ISBN 9788963303796[1] |
2012 | 인간과 우주에 대해 아주 조금밖에 모르는 것들 | 낮은산 | 정재승, 강봉균, 이현숙, 최기운 공저 ISBN 9788989646822 |
참조
[1]
서적
인지과학: 과거,현재 그리고 미래
http://www.kyobobook[...]
학지사
[2]
서적
인지과학: 학문 간 융합의 원리와 응용
http://www.kyobobook[...]
성균관대학교 출판사
[3]
논문
인지심리학: 형성사, 개념적 기초, 조망
http://cogpsy.skku.a[...]
아카넷 출판
[4]
블로그
VITAE of Prof. Jung-Mo Lee
http://blog.naver.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