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국사회주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국사회주의는 1920년대 소련의 이오시프 스탈린이 제시한 마르크스-레닌주의 이론으로, 한 국가 내에서 사회주의를 건설할 수 있다는 주장을 담고 있다.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유럽 각지에서 프롤레타리아 혁명이 실패하고, 프리드리히 엥겔스의 한 국가에서만의 혁명은 불가능하다는 주장과 달리, 스탈린은 레닌의 주장을 계승하여 소련에서 사회주의를 발전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레프 트로츠키를 비롯한 반대 세력은 일국사회주의를 마르크스주의에 위배된다고 비판했지만, 스탈린의 권력 투쟁 승리로 이 이론은 볼셰비키의 공식 입장이 되었다. 스탈린은 소련 내 사회주의 건설을 '불완전한 승리', 세계 공산화를 '완전한 승리'로 구분하며, 일국사회주의가 '불완전한 승리'를 위한 방편이라고 설명했다. 일국사회주의는 트로츠키주의자들의 비판과 스탈린주의자들의 옹호를 받았으며, 한국 사회주의 운동과 주체사상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회주의 국가 - 라오스
라오스는 동남아시아의 내륙 국가로, 1353년 란쌍 왕국 건국 이후 프랑스 식민 지배, 내전 등을 거쳐 1975년 공산 정권 수립 후 라오 인민민주주의 공화국이 되었으며, 현재 라오스 인민혁명당의 일당 독재 체제 하에 농업 중심의 혼합 경제 체제를 운영한다. - 사회주의 국가 - 조선인민공화국
조선인민공화국은 1945년 건국준비위원회가 선포한 대한민국의 임시정부로, 자주 독립과 사회주의적 경제, 진보적 사회 정책을 지향했으나 미군정의 부정과 탄압, 임시정부 인사들의 거부로 해체되어 남북 분단에 영향을 미쳤다. - 국가 - 세계 언론 자유 지수
세계 언론 자유 지수는 국경 없는 기자회에서 발표하는 보고서로, 각국의 언론 자유 수준을 평가하고 순위를 매기며, 설문 조사와 데이터 결합을 통해 산출되고 정치, 법 등 5가지 범주를 기준으로 평가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언론 자유도가 높다. - 국가 - 북캅카스 산악공화국
북캅카스 산악 공화국은 러시아 혁명 후 북캅카스 여러 민족이 연합하여 수립, 7개 주로 구성되어 독립을 선포했으나 러시아 백군과 적군의 침공으로 소비에트 자치 공화국으로 편입되었으며, 현재도 북캅카스 분리주의 운동에서 상징성을 가진다. - 경제 이론 - 합리적 선택 이론
합리적 선택 이론은 경제 주체, 정치 행위자, 사회 구성원 등이 자신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합리적인 선택을 한다고 가정하며, 경제학, 정치학, 사회학, 국제관계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경제 이론 - 낙수 경제
낙수 경제는 부유층의 경제적 번영이 사회 전체로 확산된다는 이론으로, 부유층 감세가 불평등을 심화시키고 경제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비판과 논란이 있는 경제 정책이다.
| 일국사회주의 | |
|---|---|
| 개요 | |
| 명칭 | 일국사회주의론 (一國社會主義論) |
| 로마자 표기 | Ilguk Sahoejuuiron |
| 러시아어 명칭 | социали́зм в отде́льно взя́той стране́ (sotsializm v otdel'no vzyatoy strane) |
| 영어 명칭 | Socialism in One Country |
| 주요 내용 | |
| 핵심 내용 | 한 나라 안에서 사회주의 건설 가능성을 주장하는 이론 |
| 주창자 | 이오시프 스탈린 |
| 반대자 | 레프 트로츠키, 그리고리 지노비예프 |
| 배경 | 러시아 혁명 이후 사회주의 국가 건설의 어려움 세계 혁명 가능성의 희박 |
| 이론적 근거 | |
| 스탈린의 주장 | 블라디미르 레닌의 저작 인용 러시아 내부의 자원과 역량 활용 가능성 강조 자본주의 국가들의 포위 속에서 사회주의 건설 필요성 |
| 역사적 맥락 | |
| 등장 시기 | 1920년대 중반 |
| 배경 | 레닌 사후 권력 투쟁 과정에서 스탈린의 주도적인 이념으로 부상 |
| 반대 의견 | 트로츠키는 영구혁명론을 주장하며 국제적인 혁명 확산 강조 |
| 영향 | |
| 소련 | 소련의 사회주의 건설 노선 확립에 기여 |
| 국제 공산주의 운동 | 각국 공산당의 독립적인 노선 추구에 영향 |
| 비판 | |
| 트로츠키주의 | 국제 혁명 포기와 민족주의적 경향으로 비판 |
| 이론적 한계 | 자본주의 세계 경제와의 관계, 국제적 고립 문제 등 |
| 관련 개념 | |
| 관련 이념 | 마르크스-레닌주의, 스탈린주의 |
| 관련 정책 | 5개년 계획, 농업 집단화 |
| 관련 인물 | |
| 주요 인물 | 이오시프 스탈린 레프 트로츠키 니콜라이 부하린 그리고리 지노비예프 레프 카메네프 |
2. 역사적 배경
일국사회주의는 블라디미르 레닌이 처음 제기했으며, 그의 문건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1915년 레닌은 '유럽의 슬로건'에서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38]
1918년 레닌은 모스크바 인민위원회 공동회의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39]
1923년 레닌은 『협동조합에 관하여』에서 프롤레타리아 계급이 소농·영세농에 대해 계급 투쟁을 전개할 필요가 없다고 주장하며, 한 나라에서 사회주의 건설이 가능하다고 말했다.[40]
1938년 이오시프 스탈린은 〈이바노프 동지에게 보내는 답장〉에서 소련 사회주의 건설을 '불완전한 승리', 세계 공산화를 '완전한 승리'로 구별하고, 일국사회주의는 '불완전한 승리'를 위한 방편이라고 설명했다.[42]
스탈린은 "사회주의의 완전한 승리"와 "(소련 국내의) 사회주의 건설"을 구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국제 혁명의 도움이 없이는 완전한 승리가 불가능하며, '일국사회주의'는 소련의 사회주의 건설이라는 불완전한 승리를 위한 방편이라고 주장했다.
레프 트로츠키의 영구혁명론은 "국제 혁명의 지원 없이 소련 내 생산력 증강은 불가능하며, 곧바로 국제 혁명을 지원하여 사회주의의 승리를 얻어야 한다"는 주장이었다. 스탈린은 이를 극좌모험주의라고 비판하며, 소련이 혁명의 병기창이 되려면 자력으로 생산력 증강을 통해 사회주의를 달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44]
2. 1.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초기 구상
카를 마르크스와 프리드리히 엥겔스는 원래 공산주의 혁명이 유럽의 여러 선진국에서 동시에 발생하여 다른 지역으로 퍼져나갈 것이라고 예상했다. 엥겔스는 1847년에 쓰인 『공산주의의 원리』라는 초고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그러나 1882년에 쓰인 『공산당 선언』의 러시아어판 서문에서,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러시아는 유럽의 혁명적 활동의 전위가 되고 있다"라는 인식을 보이며, "러시아 혁명이 서유럽에서의 프롤레타리아 혁명의 신호가 되고, 그 결과 양자가 서로 돕는다"[31]는 가능성을 언급했다.
2. 2. 1917-1923년 유럽 혁명의 실패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볼셰비키는 유럽 전역에서 혁명이 연쇄적으로 일어날 것을 기대했다. 실제로 독일과 헝가리 등 유럽 각지에서 프롤레타리아 혁명 운동이 일어났다. 그러나 이러한 혁명들은 모두 실패로 돌아갔다.[17] 1917년 10월 25일, 페트로그라드 노동자·병사 대표 소비에트는 "서유럽 제국의 프롤레타리아트가 사회주의의 대업을 완전하고 굳건하게 승리할 때까지 도울 것을 확신한다"는 블라디미르 레닌의 결의문을 채택했지만,[34] 현실은 그렇지 못했다.1917-1923년 혁명이 러시아를 제외하고 모두 실패하면서, 세계 혁명에 대한 볼셰비키의 희망은 꺾였다.[17] 특히 레닌은 다른 국가들이 혁명을 달성하기 위한 미리 정해진 날짜를 기대하지 않는다고 밝혔다.[17]
이러한 상황은 이오시프 스탈린이 주장한 대로, 소련에서만 사회주의를 발전시켜야 한다는 주장에 힘을 실어주었다.[6] 1924년 레닌이 사망한 후, 스탈린은 레닌주의의 기초 초판에서 혁명이 한 국가에서만 일어나는 것은 불충분하다는 정통 마르크스주의 사상을 따랐지만, 그해 말 책의 두 번째 판에서는 "프롤레타리아는 한 국가에서 사회주의 사회를 건설할 수 있고, 또 건설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입장을 바꾸기 시작했다.[6]
2. 3. 레닌의 입장 변화
1915년 블라디미르 레닌은 〈사회민주주의자〉 44호에 실린 '유럽의 슬로건'이라는 글에서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38]이는 초기 레닌이 정통 마르크스주의 사상에 따라 한 국가에서의 혁명만으로는 불충분하다고 생각했던 것에서 변화한 것이다.[9] 레닌은 프롤레타리아의 승리가 고르지 않게 이루어질 것이며, 개별 자본주의 국가가 사회주의로 전환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1918년 5월 14일 레닌은 모스크바 인민위원회 공동회의에서 다음과 같이 말하며 일국 혁명의 불가피성을 역설했다.[39]
1923년 1월 6일 레닌은 『협동조합에 관하여』(О кооперации)에서 한 나라에서 사회주의 건설이 가능하다고 주장하였다.[40]
2. 4. 스탈린과 트로츠키의 대립
1917년 볼셰비키 혁명 성공 이후, 블라디미르 레닌이 사망한 1924년 시점에서 유럽에서의 혁명 전망은 불투명해졌다. 레닌 사후 권력 투쟁 과정에서 이오시프 스탈린은 레프 트로츠키의 영구혁명론을 비판하며 일국사회주의론을 발전시켰다.[35]스탈린은 "한 국가만의 힘으로 사회주의를 건설할 수 있는가"라는 문제와 "프롤레타리아 독재를 쟁취한 국가가 다른 국가에서 혁명이 승리하지 않아도 외국의 간섭으로부터 안전한가"라는 문제를 분리했다. 그는 전자는 긍정했지만, 후자는 부정했다.[36] 스탈린은 한 국가에서 사회주의 승리를 "프롤레타리아와 농민 간의 모순을 해결하는 것"과 같은 국내 문제로 간주했다.[37]
스탈린은 1924년 초판 ''레닌주의의 기초''에서 혁명이 한 국가에서만 일어나는 것은 불충분하다는 정통 마르크스주의 사상을 따랐지만, 레닌 사후 그해 말 두 번째 판에서 "프롤레타리아는 한 국가에서 사회주의 사회를 건설할 수 있고, 또 건설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입장을 바꾸어 한 국가에서 사회주의 건설이 가능하다는 점을 강조했다.[6]
반면 트로츠키는 스탈린의 주장이 마르크스주의와 레닌주의의 기본 원칙에 어긋난다고 비판했다.[12] 트로츠키주의자들은 한 국가에서 사회주의가 최종적으로 성공하려면 서유럽의 더 선진적인 국가에서 프롤레타리아 혁명이 성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3]
트로츠키는 스탈린이 "영구 혁명" 이론을 왜곡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유럽에서 혁명을 장려했지만, 자본주의 세계와의 무모한 대결을 주장한 적은 없다고 반박했다.[22]
하지만 권력 투쟁에서 승리한 스탈린의 이론은 볼셰비키의 공식 견해가 되었고, 각국의 공산당으로 퍼져나갔다.
3. 일국사회주의의 내용
일국사회주의는 선진 유럽의 혁명 없이도 소련 국내의 생산력 증강을 통해 사회주의를 이룰 수 있다는 이론이다. 그러나 이는 "순수 소련 자력만으로도 사회주의의 항구적인 승리를 이룰 수 있다"는 주장과는 다르므로 혼동해서는 안 된다.[44]
1915년 블라디미르 레닌은 〈유럽의 슬로건〉에서 "정치·경제적 불균등한 발전은 자본주의의 절대 법칙"이라며, "사회주의가 몇몇 나라에서 심지어 한 나라에서 먼저 승리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승리한 나라의 프롤레타리아트는 자본가를 수탈하고 사회주의 생산을 조직한 후, 다른 나라의 피억압계급과 함께 자본가에 대항하고 필요하다면 무력을 사용할 것이라고 말했다.[38]
1918년 레닌은 인민위원회 공동회의에서 "모든 국가에서 사회주의혁명이 일어나기 전까지는 권력을 장악해서는 안 된다"는 주장은 혁명에서 멀어지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국제 혁명을 기다리기만 하면 결국 어느 나라도 혁명을 이룰 수 없다고 주장했다.[39]
1923년 레닌은 『협동조합에 관하여』에서 프롤레타리아 계급이 소농·영세농에 대해 계급 투쟁을 전개할 필요 없이 협동조합을 통해 사회주의를 건설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모든 대량 생산수단을 지배하는 국가 권력, 프롤레타리아트의 수중에 있는 국가 권력, 프롤레타리아트와 수백만 소농 및 영세농과의 동맹, 프롤레타리아트의 농민에 대한 확실한 지도력"이 협동조합으로부터 완전한 사회주의를 건설하는 데 필요한 전부라고 말했다.[40][41]
1924년 이오시프 스탈린은 『레닌주의의 기초와 레닌주의의 제문제』에서 "제국주의 조건하에서는 다양한 자본주의 나라들의 발전이 불균등하고 산발적인 성격을 띤다"며, "개별적인 나라에서 프롤레타리아트의 승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필연적"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그는 "부르주아 권력을 전복하고 프롤레타리아 권력을 한 나라에서 성립하는 것이 사회주의의 완전한 승리를 뜻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한 국가의 사회주의 건설은 가능하지만, 외국의 개입으로부터 자강할 수 있음을 완전히 보장하는 것은 아니며, 이를 위해서는 최소한 몇몇 국가에서의 혁명 승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43]
3. 1. 스탈린의 정식화
1938년 2월 14일 이오시프 스탈린은 〈이바노프 동지에게 보내는 답장〉에서 이 문제를 두 가지로 나누어 설명했다.[23] 첫째는 소련 내부 관계에 관한 것으로, 지역 부르주아지를 물리치고 노동자와 농민의 연합을 통해 사회주의 사회를 건설할 수 있는지에 대한 것이었다. 스탈린은 레닌의 말을 인용하며 "우리는 완전한 사회주의 사회 건설에 필요한 모든 것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며, 사회주의 사회가 대체로 건설되었다고 말했다.[40][41]둘째는 외부 관계에 관한 것으로, 사회주의의 승리가 "최종적"인지, 즉 자본주의가 다시 회복될 수 없는지에 대한 것이었다. 스탈린은 최종적인 승리는 국제적 규모에서만, 다른 나라 노동자들의 도움을 받아야만 가능하다고 레닌의 말을 인용했다.[24]
스탈린은 혁명 수출을 "헛소리"라고 비판하며, "우리는 그런 계획과 의도를 가진 적이 없다"고 밝혔다.[26][27][28] 그는 1924년에 출판된 ''레닌주의의 기초''에서 영구 혁명 정책에 반대하며 고립주의와 경제 발전을 강조했다.[25]
스탈린은 "한 국가만의 힘으로 사회주의를 건설할 수 있는가"와 "프롤레타리아트 독재를 쟁취한 국가는 다른 국가에서 혁명이 승리하지 않아도 외국의 간섭과 옛 제도의 부활로부터 안전할 수 있는가"라는 문제를 분리했다.[36] 그는 전자는 긍정했지만, 후자는 부정했다. 한 국가에서의 사회주의 승리를 "우리나라 내부의 힘으로, 프롤레타리아트와 농민 간의 모순을 해결하는 것"이라는 국내 문제로 보았기 때문이다.[37]
이오시프 스탈린은 자신의 일국사회주의 이론을 블라디미르 레닌이 이전에 언급한 내용들을 기반으로 레닌주의를 발전시킨 것이라고 주장했다.[38]
3. 2. '불완전한 승리'와 '완전한 승리'
1938년 2월 14일 이오시프 스탈린이 작성한 〈이바노프 동지에게 보내는 답장〉에서 스탈린은 소련 사회주의 건설이라는 '불완전한 승리'와 세계 공산화(사회주의화)라는 '완전한 승리'를 구별했으며, 일국사회주의는 '불완전한 승리'를 쟁취하기 위한 방편이라고 서술했다.[42]스탈린은 "한 국가만의 힘으로 사회주의를 건설할 수 있는가"라는 문제와 "프롤레타리아트의 독재를 쟁취한 국가는, 다른 국가에서 혁명이 승리하지 않아도, 외국의 간섭과 옛 제도의 부활로부터 완전히 안전하다고 생각할 수 있는가"라는 문제를 분리했다. 전자는 긍정했지만, 후자는 부정했다.[36] 그는 한 국가에서의 사회주의 승리를 "프롤레타리아트와 농민 간의 모순을 해결하는 것"[37]이라는 국내 문제로 간주했다.
스탈린은 사회주의의 완전한 승리는 국제 혁명의 도움이 없이는 불가능하다고 인정했다. '일국사회주의'는 '소비에트 연방의 사회주의 건설'이라는 불완전한 승리를 달성하기 위한 방편이었다. 따라서 일국사회주의론은 "순수 소련 자력만으로도 세계 공산주의를 이룰 수 있다"라는 주장과는 다르다. 레프 트로츠키의 영구혁명론은 "국제 혁명의 지원 없이는 소련 내 생산력 증강이 불가능하며, 곧바로 국제 혁명을 지원하여 사회주의 승리를 얻어야 한다"고 주장했는데, 스탈린은 이를 극좌모험주의라고 비판했다. 스탈린은 소련이 혁명의 병기창이 되기 위해서는 자력으로 생산력 증강을 꾀하여 사회주의를 달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44]
3. 3. 영구혁명론 비판
이오시프 스탈린은 레프 트로츠키의 영구혁명론을 극좌모험주의라고 비판했다. 그는 소련이 혁명의 병기창이 되려면, 국제 혁명 지원에 의존하지 않고 자력으로 생산력을 증강하여 사회주의를 달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44]10월 혁명 직후, 볼셰비키는 러시아 혁명이 유럽 혁명을 촉발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1917년 10월 25일, 페트로그라드 노동자·병사 대표 소비에트는 블라디미르 레닌의 결의문을 채택했는데, 이 결의문은 "서유럽 제국의 프롤레타리아트가 사회주의 대업의 완전하고 굳건한 승리를 도울 것"이라고 확신했다.[34]
그러나 유럽의 혁명 운동은 연이어 실패했고, 1924년 레닌 사망 시점에는 혁명의 전망이 거의 사라졌다. 레닌 사후 권력 투쟁 과정에서, 스탈린은 트로츠키의 영구 혁명론을 비판하며 러시아 한 국가에서의 사회주의 건설, 즉 일국사회주의론을 제시했다.
스탈린은 "한 국가만의 힘으로 사회주의를 건설할 수 있는가"와 "프롤레타리아트 독재를 쟁취한 국가가 다른 국가에서 혁명이 승리하지 않아도 외국의 간섭, 즉 옛 제도의 부활로부터 안전할 수 있는가"라는 두 가지 문제를 분리했다. 그는 전자는 긍정했지만, 후자는 부정했다.[36] 그는 한 국가에서의 사회주의 승리를 "국내의 힘으로 프롤레타리아트와 농민 간의 모순을 해결하는 것"[37]이라는 국내 문제로 한정했기 때문이다.
트로츠키는 스탈린의 이론을 세계 혁명의 포기라고 맹렬히 비판했다. 그러나 권력 투쟁에서 승리한 스탈린의 이론은 볼셰비키의 공식 견해가 되었고, 각국의 공산당으로 확산되었다.
4. 일국사회주의 논쟁에 대한 평가
독일과 헝가리 등 유럽에서의 프롤레타리아 혁명이 실패하면서, 볼셰비키는 당면한 세계 혁명에 대한 희망을 접고 이오시프 스탈린이 옹호한 대로 소련에서만 사회주의를 발전시키는 데 집중하게 되었다.[6] 1925년 4월, 니콜라이 부하린은 자신의 팸플릿 ''서유럽 프롤레타리아의 승리가 없는 상황에서 한 국가에서 사회주의를 건설할 수 있는가?''에서 이 문제를 자세히 설명했고, 소련은 스탈린의 1926년 1월 기사 ''레닌주의의 문제에 관하여'' 이후 일국사회주의를 국가 정책으로 채택했다.[7]
일국사회주의는 당시 소련이 처한 현실적인 제약 속에서 나온 선택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러나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를 포기하고 스탈린 체제를 정당화하는 데 이용되었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그리 고리 지노비예프와 레프 트로츠키는 일국사회주의 이론을 격렬하게 비판했다. 특히 트로츠키주의자들은 일국사회주의가 마르크스주의와 레닌의 기본 원칙에 모두 반한다고 주장했다.[12] 반면 스탈린주의자들은 블라디미르 레닌의 저작들을 인용하며 일국사회주의가 레닌의 사상과 일치한다고 주장했다.[9] 이들은 초기 소련이 자본주의 국가들에 둘러싸인 상황에서 살아남기 위해 내부를 강화하는 것을 우선시해야 했다고 옹호했다.
4. 1. 트로츠키주의자들의 비판
트로츠키주의자들은 일국사회주의가 마르크스주의와 레닌의 신념에 어긋난다고 비판했다.[12] 이들은 한 국가에서 사회주의가 최종적으로 성공하려면 서유럽의 선진국에서 프롤레타리아 혁명이 성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3] 특히, 1918년 3월 제7차 회의에서 레닌이 소련 혁명의 성공이 다른 나라의 사회주의 혁명에 달려 있다고 한 말을 인용했다.[14] 다만, 레닌은 이 연설에서 현실적인 태도를 강조하며 세계 혁명이 즉각 성공할 것이라는 희망적인 사고방식은 경계해야 한다고 말했다.[15]프리드리히 엥겔스는 "이 혁명이 한 국가에서만 일어나는 것이 가능할까?"라는 질문에 대해 세계 시장의 경제적, 역사적 중요성을 근거로 부정적인 주장을 펼쳤다. 그는 세계 시장이 "이미 지구의 모든 민족을 [...] 서로 밀접한 관계 속에 묶어 놓았기 때문에 어느 나라도 다른 나라에서 일어나는 일에 독립적일 수 없다"고 주장했다.[16]
1917-1923년 유럽 혁명이 러시아를 제외하고 모두 실패하면서, 레닌은 1918년 ''미국 노동자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다른 나라들이 같은 혁명을 달성하기 위한 미리 정해진 날짜를 기대하지 않는다고 밝혔다.[17]
트로츠키는 레닌의 말이 문맥에서 벗어났다고 주장했다. 1915년 기사 ''유럽 합중국을 위한 슬로건에 관하여''에서 "사회주의의 승리 [...] 단일 자본주의 국가에서 가능하다"라는 표현은 완전한 사회주의 사회의 최종적인 건설이 아니라 프롤레타리아 정치 및 경제 체제의 초기 설립만을 의미하며, 이 완성에는 여러 세대가 걸릴 것이라고 주장했다. 1923년 기사 ''협동조합에 관하여''의 인용문에 관해서는 사회주의로의 전환에 필요한 "필수적이고 충분한" 전제 조건은 "사회-조직적" 및 정치적 전제 조건에만 관련된 것이며, 러시아에 부족했던 "물질-생산적" 및 문화적 전제 조건은 아니라고 주장한다.[20]
역사학자 아이작 도이처는 1920년대 마르크스주의 이론가들이 스탈린의 "한 국가의 사회주의" 공식에 냉소적이었다고 언급했다. 다비드 리아자노프는 스탈린에게 "그만해, 코바, 바보 같은 짓 하지 마. 모두가 이론이 네 전문 분야가 아니라는 것을 알고 있어"라고 비웃었다고 한다.[21]
정치학자 바루크 크네이-파즈에 따르면 트로츠키의 "영구 혁명" 이론은 스탈린에 의해 왜곡되었다. 크네이-파즈는 트로츠키가 유럽에서 혁명을 장려했지만 자본주의 세계와의 "무모한 대결"을 제안한 적은 없다고 주장했다.[22]
4. 2. 스탈린주의자들의 옹호
스탈린주의자들은 블라디미르 레닌의 저작들을 인용하며 일국사회주의가 레닌의 사상과 일치한다고 주장했다.[9] 이들은 초기 소련이 자본주의 국가들에 둘러싸인 상황에서 살아남기 위해 내부를 강화하는 것을 우선시해야 했다고 옹호했다. 레닌은 1915년 기사에서 프롤레타리아의 승리가 고르지 않게 이루어질 것이며, 개별 자본주의 국가가 사회주의로 전환되면서 나타날 것이라고 주장했다.[9] 또한, 노동 계급은 국제적 혁명 연합을 기다리지 않고 가능한 곳에서 국가적으로 사회주의를 시행해야 한다고 설명했다.[10][11]레닌은 초기 소련과 그 선봉대인 러시아 공산당(볼셰비키)이 생존을 위해 내부적으로 강화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이를 위해 첫째, 프롤레타리아와 농민 사이의 긴밀한 계급 동맹을 구축하고, 둘째, 러시아에서 완전한 사회주의 사회를 건설하면서 세계 혁명을 인내심을 가지고 기다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오시프 스탈린은 제국주의 전쟁 중 10월 혁명 직전인 1917년 9월 레닌이 작성한 내용을 인용하며, 러시아가 경제적 생산량과 정치적 진보 모두에서 선진국을 따라잡아야 한다고 주장했다.[19]
4. 3. 중도적 평가
일국사회주의는 당시 소련이 처한 현실적인 제약 속에서 나온 불가피한 선택이었다는 평가가 있다. 독일과 헝가리 등 유럽에서의 프롤레타리아 혁명이 실패하면서, 볼셰비키는 당면한 세계 혁명에 대한 희망을 접고 소련 내에서 사회주의를 건설하는 데 집중해야 했다.[6] 이러한 상황에서 이오시프 스탈린이 옹호한 일국사회주의는 소련의 생존과 발전을 위한 현실적인 대안으로 제시되었다.그러나 일국사회주의는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를 포기하고 스탈린 체제를 정당화하는 데 이용되었다는 비판도 존재한다.[12] 레프 트로츠키를 비롯한 비판자들은 일국사회주의가 마르크스주의와 레닌의 기본 원칙에 어긋난다고 주장했다.[12] 그들은 서유럽의 선진국에서 프롤레타리아 혁명이 성공해야만 사회주의가 최종적으로 승리할 수 있다고 보았다.[13] 또한, 일국사회주의를 지지하기 위해 인용된 레닌의 말은 문맥에서 벗어난 것이라는 주장도 제기되었다.[20] 역사학자 아이작 도이처는 당시 마르크스주의 이론가들이 스탈린의 일국사회주의에 대해 냉소적인 시각을 보였다고 언급했다.[21]
5. 한국 사회에 미친 영향
주어진 결과물이 없으므로, 지시사항에 따라 수정할 수 없습니다. 이전 단계에서 출력된 결과물이 있어야 수정 작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참조
[1]
뉴스
socialism in one country {{!}} Stalinist doctrine
https://www.britanni[...]
2022-08-09
[2]
서적
Was There an Alternative? Trotskyism: a Look Back Through the Years
https://books.google[...]
Mehring Books
2021
[3]
서적
Soviet Marxism-Leninism: The Decline of an Ideology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USA
1993-10-30
[4]
서적
Was There an Alternative? Trotskyism: a Look Back Through the Years
https://books.google[...]
Mehring Books
2021
[5]
서적
Karl Marx: A Reference Guide to His Life and Works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20-12-15
[6]
서적
The Foundations of Leninism
https://www.marxists[...]
Foreign Languages Publishing House
2019-12-05
[7]
서적
Concerning Questions of Leninism
https://www.marxists[...]
Foreign Languages Publishing House
2019-12-05
[8]
서적
The Comintern
https://www.marxists[...]
Haymarket Books
2019-12-05
[9]
서적
On the Slogan for a United States of Europe
https://www.marxists[...]
Progress Publishers
2019-12-05
[10]
서적
Speech at a Joint Session of the All-Russia Central Executive Committee, The Moscow Soviet and All-Russia Trade Union Congress
https://www.marxists[...]
Progress Publishers
2019-12-05
[11]
서적
The Military Programme of the Proletarian Revolution
https://www.marxists[...]
Progress Publishers
2019-12-05
[12]
서적
The Immediate Tasks of the Soviet Government
https://www.marxists[...]
Progress Publishers
2019-12-05
[13]
웹사이트
Stalinism
https://www.newyouth[...]
Youth for International Socialism
2019-12-05
[14]
서적
Extraordinary Seventh Congress of the R.C.P.(B.)
https://www.marxists[...]
Progress Publishers
2019-12-05
[15]
서적
Extraordinary Seventh Congress of the R.C.P.(B.)
https://www.marxists[...]
Progress Publishers
2019-12-05
[16]
서적
Principles of Communism
Progress Publishers
2019-12-05
[17]
서적
Letter To American Workers
https://www.marxists[...]
Progress Publishers
2019-12-05
[18]
서적
The Impending Catastrophe and How to Combat It
https://www.marxists[...]
Progress Publishers
2023-04-19
[19]
서적
Industrialisation of the country and the Right Deviation in the C.P.S.U.(B.): Speech Delivered at the Plenum of the C.P.S.U.(B.)
https://www.marxists[...]
Foreign Languages Publishing House
2023-04-19
[20]
서적
The Third International After Lenin – "The Draft Program of the Communist International: A Criticism of Fundamentals
https://www.marxists[...]
The Militant
2019-12-05
[21]
서적
Stalin a Political Biography
https://books.google[...]
1961
[22]
서적
The Social and Political Thought of Leon Trotsky
https://books.google[...]
Clarendon Press
1978
[23]
서적
On the Final Victory of Socialism in the U.S.S.R.
https://www.marxists[...]
Red Star Press
2019-12-05
[24]
서적
On the Final Victory of Socialism in the U.S.S.R.
https://www.marxists[...]
Red Star Press
2019-12-05
[25]
서적
The Stalinist Legacy
Penguin Books
[26]
서적
Speeches Delivered at the Fifth Session of the General Assembly of the United Nations, September-October, 1950
https://books.google[...]
Information Bulletin of the Embassy of the Union of Soviet Socialist Republics
1950
[27]
서적
Autopsy for an Empire: The Seven Leaders who Built the Soviet Regime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1998
[28]
서적
Stalin. Vol II, Waiting for Hitler, 1928-1941
https://archive.org/[...]
London : Allen Lane
2017
[29]
뉴스
Books of the times
https://www.nytimes.[...]
2019-12-05
[30]
서적
共産党宣言 共産主義の原理
大月書店
[31]
서적
[32]
서적
総括と展望
現代思潮社
[33]
서적
総括と展望
現代思潮社
[34]
서적
レーニン全集
大月書店
[35]
서적
十月革命とロシア共産主義者の戦術
大月書店
[36]
서적
레이닌주의의 여러 문제에 대하여
대월서점
1952
[37]
서적
레이닌주의의 여러 문제에 대하여
대월서점
1952
[38]
웹사이트
유럽의 슬로건
https://www.marxists[...]
[39]
논문
Speech delivered at a joint meeting of the All-Russian Central Executive Committee and the Moscow Soviet
Lenin Collected Works
1918-05-14
[40]
웹인용
On Cooperation
https://www.marxists[...]
2020-04-12
[41]
웹인용
On Cooperation
https://www.marxists[...]
2020-04-12
[42]
웹사이트
Ответ товарищу Иванову, Ивану Филипповичу
https://www.marxists[...]
Правда
1938-02-14
[43]
서적
같은 글
[44]
서적
Собрание сочинений
Политиздат
194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