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국 방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국 방안은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해결을 위한 제안으로, 모든 주민에게 동등한 시민권을 부여하는 단일 국가를 수립하자는 주장이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의 역사적 갈등은 영국 위임 통치 시기, 이스라엘 건국, 그리고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을 거치며 복잡하게 얽혀 있다. 양국가 해법이 지지받았지만, 팔레스타인 정착촌 확장 등으로 인해 일국 해법에 대한 논의가 다시 활발해졌다. 일국 해법 지지자들은 모든 주민의 평등을 강조하며, 현실적으로 단일 국가와 유사한 상황임을 지적한다. 반면, 반대자들은 유대 국가 정체성 상실, 안보 위협, 민주주의 훼손, 역사적 갈등 심화, 경제적 붕괴 등을 우려한다. 여론 조사 결과는 일국 해법과 양국가 해법에 대한 지지가 변동하며, 현재 상황에 대해 '아파르트헤이트와 유사한 일국 현실'이라는 인식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유 - 셰어리즘
셰어리즘은 아이작 마오가 제시한 용어로, 온라인 정보 공개 모델과 인간 두뇌 신경 네트워크의 공개 배포 모델을 비교 분석하여 공유를 통한 자율권 부여를 강조하며, 중국의 개방형 웹 활성화와 인터넷 검열 방지에 집중되어 있다. - 이스라엘-팔레스타인 평화 협상 - 오슬로 협정
오슬로 협정은 1993년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해방 기구(PLO)가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해결을 위해 체결한 합의로, 상호 승인 및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 수립에 합의했으나 현재는 중단되었다. - 이스라엘-팔레스타인 평화 협상 - 가자-예리코 협정
가자-예리코 협정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해방기구 간에 체결되어 이스라엘이 가자 지구 일부와 예리코 주변 지역에서 철수하고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를 설립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경제 관계에 관한 의정서를 통해 경제 관계를 규정했으나 1995년 제2 오슬로 협정으로 대체되었다.
2. 역사적 배경
2. 1. 고대부터 제1차 세계 대전 이전
지중해와 요르단강 사이의 지역은 역사를 통틀어 다양한 민족 집단에 의해 통치되어 왔다. 가나안인, 이스라엘인(후에 유대인이 됨),[12] 바빌로니아인, 페르시아인, 그리스인, 유대인, 로마인, 비잔틴인, 우마이야 왕조, 아바스 왕조, 셀주크 투르크인, 십자군, 맘루크, 오스만 투르크인 등 여러 집단이 이 지역을 한 번 이상 통치했다. 1516년부터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날 때까지 이 지역은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13]2. 2. 오스만 제국과 영국의 위임 통치
제1차 세계 대전 중 영국은 후세인-맥마흔 서신을 통해 오스만 제국 영토 내 아랍인들의 독립을 약속했다.[14] 그러나 1916년 영국과 프랑스는 사이크스-피코 협정을 체결하여 오스만 제국의 식민지를 분할, 팔레스타인 지역을 영국의 통제하에 두기로 했다.[16] 1917년 아서 제임스 벨푸어는 벨푸어 선언을 통해 "팔레스타인에 유대 민족을 위한 국가적 보금자리를 건설하는 것"을 약속했지만, 동시에 "팔레스타인에 거주하는 유대인이 아닌 공동체의 시민적 및 종교적 권리를 해치는 어떠한 조치도 취하지 않아야 한다"고 명시했다.[17]1922년 국제 연맹은 국제 연맹 규약 제22조에 따라 영국에 팔레스타인 위임 통치를 부여했다.[18] 이는 오스만 제국의 옛 식민지의 자결을 요구하는 동시에, 벨푸어 선언을 인정하고 유대인 이민을 장려하며, "인구의 다른 구성원의 권리와 지위가 침해되지 않도록 보장"해야 했다.[19]
시온주의 계획에 대한 반발은 1920년 팔레스타인 폭동, 야파 폭동, 1929년 팔레스타인 폭동 등 아랍-유대인 간 폭력 사태를 야기했다.[20][21] 영국은 헤이크래프트 조사 위원회와 월터 쇼 경의 쇼 위원회를 통해 폭력 사태의 원인을 조사했다. 쇼 위원회는 폭력 사태의 원인을 "유대인 이민과 토지 매입으로 인해 아랍인들이 생계를 빼앗기고, 결국 유대인의 정치적 지배하에 놓일 수 있다는 아랍인들의 이중적인 두려움"으로 규정했다.[21]
1936-1939년 아랍 팔레스타인 봉기가 발발하자, 영국은 1936-1937년 필 위원회를 설치하고 필 분할 계획을 제안했다. 유대인 공동체는 분할 개념을 수용했지만, 아랍 공동체는 아랍인의 인구 이동을 이유로 반대하여 분할 계획은 무산되었다. 1939년 영국은 1939년 백서를 발표, "팔레스타인이 유대 국가가 되는 것은 [영국의] 정책의 일부가 아니"며, "아랍인과 유대인이 각 공동체의 본질적인 이익이 보장되도록 정부를 공유하는 독립적인 [팔레스타인] 국가"가 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1939년 백서는 유대인 이민을 제한하고, 추가 이민에는 아랍인의 동의를 요구했다.[22]

지속적인 폭력과 제2차 세계 대전의 비용으로 영국은 1947년 팔레스타인 문제를 국제 연합에 이관했다. UN 총회 결의안 181에 따라 팔레스타인 위임 통치 영토를 유대 국가와 아랍 국가로 분할하는 안이 제시되었으나, 아랍 공동체는 이를 거부하고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이 발발했다.[23]
2. 3. 이스라엘 건국과 팔레스타인 문제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의 결과, 이스라엘이 건국되었고, 70만 명이 넘는 팔레스타인인들이 도주 또는 추방되었다.[24] 이후 몇 년 동안 아랍 국가에 거주하던 약 80만 명의 유대인들도 현대 유대인 엑소더스를 통해 이스라엘로 재정착했다.[24]1948년까지, 홀로코스트의 여파로 유대인들은 분할과 유대인 국가 건설에 압도적인 지지를 보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유대인들은 통일을 주장했다. 국제 유대 노동 번드는 팔레스타인 분할에 대한 유엔 투표에 반대했으며, 유대인과 아랍인에게 동등한 국가적 권리를 보장하고 강대국과 유엔의 통제를 받는 단일의 양국가 체제를 지지한다고 재확인했다. 1948년 뉴욕에서 열린 국제 유대 노동 번드의 두 번째 세계 회의는 유대인 국가의 선포를 비난했는데, 그 결정이 팔레스타인의 유대인들을 위험에 노출시켰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 회의는 민족적 평등과 민주적 연방주의를 기반으로 하는 양국가 체제를 지지했다.[24]
아랍어를 사용하는 팔레스타인인들이 히브리어를 사용하는 이스라엘 정체성을 채택하는(반드시 유대교를 믿는 것은 아님) 단일 국가, 단일 민족 해결책은 1940년대와 1950년대의 가나안 운동과 최근 츠비 미시나이가 이끄는 인게이지먼트 운동에서 이스라엘 내에서 옹호되었다.
2. 4. 양국가 해법의 대두와 한계
1960년대 이전에는 팔레스타인인들 사이에서 아랍인과 유대인이 함께하는 이중 국가(binational state)를 공유하는 분쟁 해결책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팔레스타인 입장에서 유일하게 실행 가능한 해결책은 유럽 이민자들이 차별받는 지위를 갖는 아랍 국가를 세우는 것이었다.[25] 6일 전쟁에서 이스라엘이 승리한 후, 군사적으로 강력하고 인구가 밀집된 유대 국가가 사라질 것이라고 기대하는 것이 더 이상 현실적이지 않게 되면서 팔레스타인 측의 입장은 변화하였다.[25] 결국, 팔레스타인 지도부는 두 국가 해법(two-state solution)에 대한 아이디어를 시도하기 시작했다.[25] 2020년 팔레스타인 여론 센터에서 실시한 여론 조사에 따르면, 서안 지구와 가자 지구의 팔레스타인인 중 약 10%가 향후 5년 동안 이중 국가를 향해 노력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가 되어야 한다고 믿고 있다.[26]3. 일국 해법 논쟁 (2009년 이후)
2000년대 후반부터 일국 해법에 대한 논의가 다시 활발해졌다. 2010년 이스라엘 민주주의 연구소의 여론 조사에 따르면, 우익 유대인 이스라엘인의 15%와 좌익 유대인 이스라엘인의 16%가 1967년 경계선을 기준으로 한 두 국가 해법보다 양국가 해법을 지지했다. 같은 조사에서 유대인 이스라엘인의 66%는 두 국가 해법을 선호했다.[27]
일부 이스라엘 정부 대변인들은 움 엘-파흠 주변 지역과 같이 이스라엘 내 팔레스타인 인구가 많은 지역을 새로운 팔레스타인 국가에 합병하는 것을 제안했다. 그러나 팔레스타인 사람들은 이 조치가 해안 도시와 다른 팔레스타인 마을을 포함하여 이스라엘 영토의 나머지 지역과 이 지역을 영구적으로 분리하기 때문에 우려하고 있다. 따라서 이스라엘의 많은 팔레스타인 시민들은 이스라엘 시민권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일국가 해법을 선호한다.[28]
일국가 해법에 반대하는 일부 이스라엘 유대인과 팔레스타인 사람들도 그것이 실현될 수 있다고 믿게 되었다.[11] 에후드 올메르트 이스라엘 총리는 2007년 이스라엘 일간지 ''하아레츠''와의 인터뷰에서 두 국가 합의가 없으면 이스라엘은 "남아프리카 공화국 스타일의 동등한 투표권 투쟁"에 직면하게 될 것이며, 그 경우 "이스라엘은 끝날 것"이라고 주장했다.[29] 이는 2004년 팔레스타인 총리 아흐메드 쿠레이가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과의 합의를 체결하지 못하면 팔레스타인 사람들이 단일 양국가 해법을 추구할 것이라고 말한 것과 같은 맥락이다.[30] 2009년 11월, 팔레스타인 협상가 사에브 에레카트는 이스라엘이 정착촌 건설을 중단하지 않으면 일국가 해법을 채택할 것을 제안하며, "팔레스타인 사람들은 무슬림, 기독교인, 유대인이 동등하게 살 수 있는 일국가 해법에 다시 집중해야 한다. ... 매우 심각하다. 우리에게 진실의 순간이다."라고 말했다.[31]
두 국가 해법을 수립하기 위한 협상의 진전이 없음에 좌절한 팔레스타인 사람들이 일국가 해법을 대안으로 점점 더 인식함에 따라 일국가 해법에 대한 지지가 증가하고 있다.[32][33] 2016년 당시 미국 부통령 조 바이든은 정착촌 확대로 인해 궁극적인 "일국가 현실"이 가장 가능성이 높은 결과라고 말했다.[34]
2021년 중동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에서 59%가 현재 상황을 "아파르트헤이트와 유사한 일국가 현실"로 묘사했고, 추가로 7%는 "불평등이 있지만 아파르트헤이트와 유사하지 않은 일국가 현실"로 묘사했다. 두 국가 해법이 달성되지 않으면 77%가 "아파르트헤이트와 유사한 일국가 현실"을 예측하고 17%는 "불평등이 증가하지만 아파르트헤이트와 유사하지 않은 일국가 현실"을 예측한다. 모든 주민에게 동등한 권리를 부여하는 양국가 해법이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1%에 불과하다. 52%는 두 국가 해법이 더 이상 불가능하다고 말한다.[35]
3. 1. 찬성 측 주장
일국 방안을 지지하는 측은 모든 주민에게 동등한 시민권을 보장하는 민주적인 국가 수립을 주장한다.[49] 이들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이 이미 동일한 수자원, 도로망, 전력망 등을 공유하며 단일 국가처럼 기능하고 있다는 현실을 인정해야 한다고 본다.[41] 또한, 서안 지구 정착촌 확대로 인해 양국가 해법이 불가능해졌다고 주장한다.[50][51][52]토니 주트, 버지니아 틸리, 에드워드 사이드[49] 등 좌파 진영 인사들은 양국가 해법의 실패를 지적하며 일국 해법의 필요성을 강조했다.[50] 팔레스타인 작가 알리 아부니마, 정치학자 압달하지 알릴라 등도 일국가 해법을 지지한다.[36]
이스라엘 우파의 일부는 서안 지구 합병과 팔레스타인 주민에게 이스라엘 시민권을 부여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레우벤 리블린,[58] 모셰 아렌스[57] 등이 이러한 주장을 펼쳤다.[60] 이들은 가자 지구는 제외하고, 서안 지구의 C구역 합병을 주장한다.[56][62] 치피 호토벨리는 요르단이 원래 팔레스타인 위임 통치령의 일부였다는 점을 들어 서안 지구 합병을 주장하기도 했다.[61]
하마스나 팔레스타인 이슬람 지하드는 때때로 양국가 해법을 배제하며 일국 해법의 가능성을 언급하기도 한다.[43][44] 마무드 알-자하르는 이슬람 국가의 주권 아래 유대인, 무슬림, 기독교인이 함께 살 수 있다고 언급했다.[45]
캐롤라인 글릭은 팔레스타인 중앙 통계청의 인구 통계에 이의를 제기하며, 서안 지구 합병이 이스라엘의 유대인 다수 지위를 위협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한다.[64]
3. 2. 반대 측 주장
일국 방안에 대한 반대 주장은 다음과 같다.- 유대 국가 정체성 상실 우려: 이스라엘 인구 통계학자 세르지오 델라페르골라는 팔레스타인인의 높은 총 출산율과 팔레스타인 난민의 귀환이 결합되어 유대인이 빠르게 소수 민족이 될 것이라고 주장한다.[68] 비판론자들은 유대인도 다른 민족과 마찬가지로 민족 자결권을 가질 권리가 있으며, 여전히 존재하는 반유대주의 때문에 유대 민족의 고향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69][70] 레우트 연구소는 많은 이스라엘 유대인들의 이러한 우려에 대해, 어떠한 제도적 안전 장치도 없는 단일 국가 시나리오는 유대 민족의 고향으로서의 이스라엘의 지위를 무효화할 것이라고 말한다.[11]
- 안보 위협: 비판론자들은 통합 국가에서 유대인 소수 집단이 박해받을 가능성을 제기한다.[11] 새로운 역사가 베니 모리스는 일국 방안이 유대인 소수 민족을 박해할 권위주의적이고 근본주의적인 국가로 이어질 것이라고 주장한다.[73] 그는 아랍과 무슬림 세계 전반에 걸쳐 소수 민족이 직면한 인종차별과 박해를 언급하며, 서구 자유주의자들이 역사적, 문화적, 사회적 이유로 사람들이 다르게 행동한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으려 한다고 지적했다.[74] ''아루츠 셰바''에 글을 쓴 스티븐 플라우트는 일국 방안을 "르완다 해결책"이라고 칭하며, 팔레스타인 다수가 유대인 소수를 지배하는 일국 방안의 실행은 결국 "새로운 홀로코스트"로 이어질 것이라고 주장했다.[75]
- 민주주의 훼손: 일부 비평가들은 통합이 이스라엘의 민주주의를 훼손하거나 파괴하지 않고는 일어날 수 없다고 주장한다.[76] 이스라엘 유대인 대다수뿐만 아니라 이스라엘 드루즈, 일부 이스라엘 베두인, 많은 이스라엘 기독교 아랍인, 심지어 일부 비베두인 이스라엘 무슬림 아랍인들조차 점령 지역의 대부분의 무슬림 팔레스타인 인구와의 통합을 두려워한다.[77]
- 역사적 갈등 심화: 단일 국가 모델의 일부 비판론자들은 아랍-이스라엘 분쟁이 종식되기보다는 대규모 민족 폭력과 내전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믿는다.[85] 1920년, 1921년, 1929년, 1936–39년과 같은 영국의 위임 통치 시대의 폭력을 예로 든다. 유고슬라비아, 레바논, 보스니아, 키프로스, 파키스탄에서 실패하고 추가적인 내부 분쟁을 초래한 이중 국가적 합의를 인용하기도 한다.[87]
- 학계 및 언론의 비판: 슐로모 벤-아미는 단일 국가 해법을 "상아탑 헛소리"라고 일축했다.[71] 제프리 골드버그는 단일 국가주의의 "지적 아버지 중 한 명"이라고 묘사하는 에드워드 사이드와의 2000년 ''하레츠'' 인터뷰에서, 이중 국가에서 유대인 소수가 공정하게 대우받을 것이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사이드는 "그것이 매우 걱정됩니다. 유대인의 운명이 어떻게 될 것인가에 대한 질문은 저에게 매우 어렵습니다. 정말 모르겠습니다."라고 답했다.[90] 좌파 이스라엘 언론인 아모스 엘론은 이스라엘의 정착촌 정책이 단일 국가 해법으로 상황을 몰아가고 있지만, 만약 그러한 일이 실제로 일어난다면, "결과는 아파르트헤이트 이후의 남아프리카보다는 짐바브웨를 더 닮을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88]
4. 여론
팔레스타인 여론은 일국 해법과 양국가 해법 사이에서 분열되어 있으며, 시기에 따라 지지율이 변동한다. 2007년 11월 Near East Consulting(NEC)의 다중 선택 설문 조사에서 양국가 해법은 응답자의 13.4%만이 지지했다.[91] 그러나 2007년 2월, NEC는 팔레스타인 응답자의 약 70%가 "무슬림, 기독교인, 유대인이 동등한 권리와 책임을 갖는 역사적 팔레스타인 내의 일국 해법"을 지지한다고 답했다.[92]
2010년 3월, 팔레스타인 정책 및 설문 조사 연구 센터와 예루살렘 히브리 대학교의 평화 증진을 위한 해리 S. 트루먼 연구소의 설문 조사에서 팔레스타인 지지율이 29%로 증가했다.[93] 2010년 4월, 예루살렘 미디어 및 커뮤니케이션 센터의 설문 조사에서는 "양국가" 해법에 대한 팔레스타인 지지율이 2009년 6월 20.6%에서 33.8%로 급증했다.[94]
2011년, 스탠리 그린버그와 팔레스타인 여론 센터가 이스라엘 프로젝트의 후원을 받아 실시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팔레스타인인의 61%가 두 국가 해법을 거부하고, 34%는 수용한다고 답했다.[95] 66%는 팔레스타인의 진정한 목표는 두 국가 해법으로 시작하여 모든 것을 하나의 팔레스타인 국가로 전환하는 것이어야 한다고 답했다.[95]
5. 현재 상황에 대한 인식
2021년 중동 전문가 설문 조사에서 59%가 현재 상황을 "아파르트헤이트와 유사한 일국 현실"이라고 답했다.[35] 이는 이스라엘의 지속적인 정착촌 건설과 팔레스타인 자치 제한으로 인해 실질적으로 일국 현실이 진행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참조
[1]
뉴스
The One-State Solution
https://www.nytimes.[...]
2009-01-22
[2]
웹사이트
One-state or two-state solution
https://www.jpost.co[...]
2023-05-21
[3]
간행물
The One-State Reality
https://www.newyorke[...]
2023-05-21
[4]
웹사이트
Resolving the Israeli–Palestinian Conflict: The Viability of One-State Models
https://www.inss.org[...]
Institute for National Security Studies (Israel)
2022-06-06
[5]
웹사이트
Caroline Glick's one-state solution for Israel-Palestine asks all the wrong questions
https://www.thenatio[...]
2014-04-03
[6]
웹사이트
The Federation Plan: The Founding Document
https://www.federati[...]
2022-06-06
[7]
웹사이트
A Land For All
https://www.alandfor[...]
2019-04-19
[8]
웹사이트
An Israeli–Palestinian Confederation Can Work
https://foreignpolic[...]
2022-06-06
[9]
웹사이트
The Palestine/Israel Pulse, a Joint Poll, 2022
https://www.pcpsr.or[...]
2023-12-11
[10]
뉴스
Has the war in Gaza radicalised young Palestinians?
https://www.economis[...]
2024-10-05
[11]
웹사이트
One state threat
http://www.reut-inst[...]
Reut Institute
2011-01-25
[12]
웹사이트
Jew
https://www.britanni[...]
Encyclopedia Britannica
2019-07-30
[13]
웹사이트
Palestine
http://www.britannic[...]
2016-04-12
[14]
서적
The Jewish National Home in ....
https://books.google[...]
Google Books
2022-05-04
[15]
문서
UK National Archives, PRO CAB 27/24, reprinted in 'Palestine Papers, 1917–1922', by Doreen Ingrams, George Braziller Edition, 1973, page 48.
[16]
웹사이트
The Sykes-Picot Agreement: 1916
http://avalon.law.ya[...]
The Avalon Project: Documents in Law, History and Diplomacy
2016-04-12
[17]
웹사이트
Balfour Declaration 1917
http://avalon.law.ya[...]
The Avalon Project: Documents in Law, History and Diplomacy
2016-04-12
[18]
웹사이트
The Covenant of the League of Nations
http://avalon.law.ya[...]
The Avalon Project: Documents in Law, History and Diplomacy
2016-04-12
[19]
웹사이트
The Palestine Mandate
http://avalon.law.ya[...]
The Avalon Project: Documents in Law, History and Diplomacy
2016-04-12
[20]
서적
Ben-Gurion and the Palestinian Arabs: From Peace to War
Oxford University Press
1985
[21]
웹사이트
Mandate for Palestine - Minutes of the Permanent Mandates Commission/LoN 17th (Extraordinary) session (21 June 1930)
https://domino.un.or[...]
2016-02-09
[22]
웹사이트
British White Paper of 1939
http://avalon.law.ya[...]
The Avalon Project: Documents in Law, History and Diplomacy
2016-04-12
[23]
문서
A/AC. 14/32 and Add. I of 11 November 1947. See full text in Walid Khalidi, From Haven to Conquest: Readings in Zionism and the Palestine Problem until 1948 (Washington: Institute for Palestine Studies, 1987), #63 "Binationalism Not Partition", pp. 645–701.
[24]
웹사이트
The Anti-Zionism of the Bund (1947–1972)
http://www.workersli[...]
Workers' Liberty
2009-11-10
[25]
웹사이트
A history of conflict between opposing ideals - Le Monde diplomatique - English edition
http://mondediplo.co[...]
2016-04-12
[26]
웹사이트
Palestinian Majority Rejects Two-State Solution, But Backs Tactical Compromises.
https://www.washingt[...]
The Washington Institute for Near East Policy
2020-02-25
[27]
웹사이트
The Peace Index: March 2010
http://www.peaceinde[...]
The Israel Democracy Institute
2012-02-04
[28]
웹사이트
Palestinians in Israel
http://reut-institut[...]
Reut Institute
2011-01-25
[29]
웹사이트
Olmert to Haaretz: Two-state solution, or Israel is done for
http://www.haaretz.c[...]
2017-06-06
[30]
뉴스
Palestinian PM's 'one state' call
http://news.bbc.co.u[...]
2010-05-05
[31]
뉴스
Palestinian state may have to be abandoned – Erekat
https://www.reuters.[...]
2009-11-04
[32]
뉴스
The death of the Israel-Palestine two-state solution brings fresh hope
https://www.theguard[...]
2023-05-21
[33]
웹사이트
The threat of a one-state solution
https://www.aljazeer[...]
2023-05-21
[34]
뉴스
Biden: 'Overwhelming frustration' with Israeli gov't
https://apnews.com/u[...]
Associated Press
2016-04-19
[35]
뉴스
Biden says he will listen to experts. Here is what scholars of the Middle East think.
https://www.brooking[...]
2021-02-19
[36]
웹사이트
Two Peoples, One State - Nations & States - Global Policy Forum
https://www.globalpo[...]
2009-10-17
[37]
웹사이트
One state awakening
http://www.zmag.org/[...]
2009-10-17
[38]
뉴스
Forget the two-state solution
http://www.latimes.c[...]
2010-05-05
[39]
뉴스
Who's afraid of a binational state?
http://www.haaretz.c[...]
2014-09-17
[40]
웹사이트
White Book (ISRATIN)
http://www.algathafi[...]
2008-04-16
[41]
뉴스
Two Peoples, One State
https://www.nytimes.[...]
2011-01-25
[42]
웹사이트
Haifa Declaration
http://www.mada-rese[...]
Arab Center for Applied Social Research
2011-01-25
[43]
뉴스
Hamas: We Won't Accept Two-state Solution
https://www.haaretz.[...]
2023-05-21
[44]
뉴스
Haniyeh to UN chief: Hamas accepts Palestinian state in '67 borders
http://www.haaretz.c[...]
2012-02-25
[45]
웹사이트
Hamas leader urges int'l community to respect Palestinian people's choice
http://news.xinhuane[...]
Xinhua
2013-12-17
[46]
문서
Islamic Jihad Leader Rejects Two-State Solution to Israeli-Palestinian Conflict,
http://www.imra.org.[...]
IMRA
2011-05-16
[47]
웹사이트
Iran rejects two-state solution for Palestine
https://www.aljazeer[...]
2011-10-02
[48]
뉴스
Iran opposes two-state solution for Palestine, calls for 'democratic' solution
https://www.middleea[...]
2024-04-14
[49]
뉴스
Truth and Reconciliation
Al-Ahram Weekly
1999-01-14
[50]
뉴스
Israel: The Alternative
https://www.nybooks.[...]
2023-05-21
[51]
간행물
The One-State Solution
http://www.lrb.co.uk[...]
2016-10-16
[52]
서적
The One-State Solution
http://www.press.umi[...]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5
[53]
웹사이트
Dead Peace Process Could be "National Suicide" for Israel - IPS ipsnews.net
http://ipsnews.net/n[...]
2011-02-06
[54]
문서
Leading Palestinian intellectual: We already have a one-state solution
http://www.haaretz.c[...]
Haaretz
2011-12-05
[55]
뉴스
Two-State Illusion
https://www.nytimes.[...]
2023-05-21
[56]
서적
The Israeli solution: a one-state plan for peace in the Middle East
Crown forum
2014
[57]
뉴스
Strenger than Fiction / Israel should consider a one-state solution
http://www.haaretz.c[...]
2014-02-05
[58]
뉴스
The newly confident Israeli proponents of a one-state solution
http://www.timesofis[...]
2014-02-05
[59]
뉴스
New housing minister rejects settlement freeze as 'dreadful' idea
http://www.timesofis[...]
2013-03-19
[60]
간행물
Israel official: Accepting Palestinians into Israel better than two states
http://www.haaretz.c[...]
2011-02-12
[61]
웹사이트
Hotovely laments Likud 'schizophrenia' on two states
http://www.jpost.com[...]
2016-04-12
[62]
뉴스
for Israel Two-State is No Solution
https://www.nytimes.[...]
2016-04-12
[63]
웹사이트
The Million Person Gap: The Arab Population in the West Bank and Gaza
http://www.biu.ac.il[...]
2015-12-23
[64]
문서
The Israeli Solution: A One-State Plan for Peace in the Middle East
[65]
웹사이트
Right-wing annexation drive fueled by false demographics, experts say
http://www.timesofis[...]
2015-01-05
[66]
문서
Shenhav, 2006, p. 191.
[67]
웹사이트
Harvard hosting confab on one-state solution | JTA - Jewish & Israel News
http://www.jta.org/n[...]
2012-03-18
[68]
웹사이트
Demography in Israel/Palestine: Trends, Prospects, Policy Implications
http://fc.retecivica[...]
Shalom Hartman Institute
2016-04-22
[69]
웹사이트
Mandate For Palestine - The Legal Aspects of Jewish Rights
http://www.mythsandf[...]
Mythsandfacts.com
2016-04-12
[70]
웹사이트
The Right of Jews to Statehood
http://www.jcpa.org/[...]
2016-04-12
[71]
웹사이트
Peter Beinart ignores an inconvenient truth: Israelis and Palestinians haven't given up on a two-state solution
https://www.jta.org/[...]
2020-08-03
[72]
웹사이트
Hussein Ibish on the Fantasy World of One-Staters
https://www.theatlan[...]
2009-11-03
[73]
뉴스
No Common Ground
https://www.nytimes.[...]
2023-05-21
[74]
서적
One State, Two States: Resolving the Israel/Palestine Conflict
[75]
간행물
One State Solution vs Two-State Solution?
http://www.israelnat[...]
Arutz Sheva
2008-03-03
[76]
웹사이트
A Two-State Solution | Israel Policy Forum
http://www.israelpol[...]
2012-03-18
[77]
뉴스
Tales of Tel Aviv
https://www.theguard[...]
2010-05-05
[78]
웹사이트
Palestinian Center for Research & Cultural Dialogue
http://www.pcrd-pal.[...]
2011-01-04
[79]
뉴스
One-state solution a pipedream
http://www.ynetnews.[...]
2016-04-12
[80]
뉴스
Israel-Palestine: the real reason there's still no peace
https://www.theguard[...]
2019-12-22
[81]
뉴스
Look at the figures: Israel's settlement enterprise has failed
https://www.haaretz.[...]
[82]
웹사이트
Some inconvenient facts for one-state advocates
https://blogs.timeso[...]
[83]
웹사이트
The Israeli Settlement Movement Is Failing
https://forward.com/[...]
2018-02-26
[84]
웹사이트
Peter Beinart's Grotesque Utopia
https://en.idi.org.i[...]
2023-05-21
[85]
웹사이트
A Destructive "Solution"
http://hpronline.org[...]
2016-04-12
[86]
뉴스
Partition of Palestine
https://www.theguard[...]
2010-05-05
[87]
논문
The case for peace: how the Arab-Israeli conflict can be resolved
http://dx.doi.org/10[...]
2006-04-01
[88]
간행물
An Alternative Future: An Exchange by Amos Elon
http://www.nybooks.c[...]
2016-04-12
[89]
뉴스
One-state solution a pipedream
https://www.ynetnews[...]
2006-11-19
[90]
뉴스
Anti-Israel One-State Plan Gets Harvard Outlet: Jeffrey Goldberg
https://www.bloomber[...]
2023-05-21
[91]
웹사이트
NEC poll
http://www.neareastc[...]
Near East Consulting
2011-01-25
[92]
웹사이트
NEC poll 2
http://www.neareastc[...]
Near East Consulting
2011-01-25
[93]
뉴스
Palestinians increasingly back 1-state
http://www.jpost.com[...]
2010-03-22
[94]
웹사이트
Jerusalem Media Poll
http://www.jmcc.org/[...]
Jerusalem Media and Communications Centre
2011-01-25
[95]
웹사이트
6 in 10 Palestinians reject 2-state solution, survey finds
http://www.jpost.com[...]
2016-04-12
[96]
뉴스
The One-State Solution
https://www.nytimes.[...]
2009-01-22
[97]
웹인용
One-state or two-state solution
https://www.jpost.co[...]
2023-05-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