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일본어의 키릴 문자 표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본어의 키릴 문자 표기는 일본어를 키릴 문자로 표기하는 다양한 방식을 의미한다. 1900년 스파리빈에 의해 처음 개발된 이래, 포즈드네예프(1907년)와 폴리바노프(1914년, 1930년 공표)를 거치며 여러 표기법이 등장했다. 폴리바노프 표기법은 현대 러시아에서 표준으로 사용되며, 대한민국에서도 일본어 인명 및 지명 표기에 널리 활용된다. 우크라이나어 표기법은 러시아어 표기법을 기반으로 하며, '시'와 '치'를 'ші', 'чі'로 표기하는 등의 특징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자법 - 속기
    속기는 말이나 연설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기록하는 기술이며, 고대부터 존재해 온 속기법은 17세기 이후 근대적인 이론과 체계를 갖추고, 다양한 속기법과 속기 도구 발전을 통해 실시간 자막 방송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 전자법 - 국제화와 지역화
    국제화는 소프트웨어를 다양한 언어와 지역을 지원하도록 설계하는 과정이며, 지역화는 특정 언어와 지역에 맞춰 조정하는 과정으로, 문자 인코딩, 날짜/시간 형식, 통화, 법적 규제, 문화적 차이 등을 고려하여 제품을 적응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 일본어의 표기 체계 - 이모지
    이모지는 1999년 NTT 도코모에서 처음 도입된 그림 문자로, 유니코드 표준 제정 후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어 다양한 언어적 기능을 수행하며 대중문화에 영향을 미치지만, 플랫폼별 표현 방식 차이와 의미 해석 논란도 존재한다.
  • 일본어의 표기 체계 - 일본어 표기 체계
    일본어 표기 체계는 한자, 히라가나, 가타카나, 로마자, 아라비아 숫자 등 다양한 문자 체계가 상호 작용하는 복합적인 시스템으로, 각 문자 체계는 고유한 기능을 가지며 문장 내에서 혼용되어 사용되고, 역사적 변천과 개혁을 거쳐 현재의 체계가 형성되었다.
  • 키릴 문자 - 초기 키릴 문자
    초기 키릴 문자는 9세기 말 프레슬라프 문학 학교에서 글라골 문자를 기반으로 창작되어 그리스 문자를 참고하여 교회 서적에 더 적합하게 만들어졌으며, 슬라브족 국가로 전파된 후 지역적 변형과 문자 개혁을 거쳐 동유럽과 아시아 전역의 언어 표기에 사용되고 있다.
  • 키릴 문자 - 루마니아어 키릴 문자
    루마니아어 키릴 문자는 루마니아어의 초기 표기에 사용된 문자 체계로, 몰도바어 키릴 문자와 함께 초기 키릴 문자와 유사하며 교회 슬라브어의 전례 언어에 사용되었고, 1830년대 라틴 문자 채택 이전에는 키릴 문자와 라틴 문자가 혼용되었다.
일본어의 키릴 문자 표기
개요
명칭일본어의 키릴 문자 표기
언어일본어
문자키릴 문자
목적일본어 단어와 구문을 키릴 문자로 표현
역사
초기 시도러시아의 일본학자 에브게니 폴리바노프가 개발한 폴리바노프 체계가 가장 널리 알려짐.
우크라이나 학자올렉산드르 코발렌코는 일본어를 우크라이나 키릴 문자로 표기하는 시스템을 개발함.
주요 체계
폴리바노프 체계가장 널리 사용되는 체계이며, 러시아어에서 일본어 음성을 표현하는 데 사용됨.
기타 체계우크라이나어 키릴 문자 표기법: 우크라이나어 사용자들을 위해 개발되었으며, 폴리바노프 체계와 다소 차이가 있음.
특징
발음 일관성키릴 문자는 일본어 발음을 비교적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음.
문자 선택체계에 따라 특정 일본어 음운에 대해 다른 키릴 문자가 사용될 수 있음.
사용 예시
스시러시아어: суши
우크라이나어: суші
일본어 문자し (시)
ち (치)
じ (지)
논쟁 및 비판
정확성 문제키릴 문자로 모든 일본어 음성을 완벽하게 표현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음.
표준화 부족다양한 키릴 문자 표기 시스템으로 인해 혼란이 발생할 수 있음.
같이 보기
관련 항목로마자 표기
폴리바노프 체계
우크라이나어 키릴 문자 표기법
예시
에토로후러시아어: Эторофу
쿠나시리러시아어: Кунасири
시코탄러시아어: Сикотан

2. 러시아어 키릴 문자 표기법

일본어 발음을 러시아어 키릴 문자로 표기하기 위한 여러 방법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표기법들은 시간이 흐르면서 다양한 학자들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각각의 시스템은 일본어 음운을 키릴 문자로 옮기는 데 있어 고유한 특징과 규칙을 가지고 있다. 다양한 표기법이 존재하며, 대표적인 예시 중 하나인 폴리바노프 시스템을 사용한 표기는 아래와 같다.

일본어 텍스트로마자폴리바노프로마자 표기법
すべての人間は、生まれながらにして自由であり、かつ、尊厳と権利と について平等である。人間は、理性と良心とを授けられており、互いに同 胞の精神をもって行動しなければならない。일본어Subete no ningen wa, umarenagara ni shite jiyū de ari, katsu, songen to kenri to ni tsuite byōdō de aru. Ningen wa, risei to ryōshin to o sazukerarete ori, tagai ni dōhō no seishin o motte kōdō shinakereba naranai.Субэтэ но нингэн ва, умарэнагара ни ситэ дзию: дэ ари, кацу, сонгэн то кэнри то ни цуитэ бё:до: дэ ару. Нингэн ва, рисэй то рё:син то о садзукэрарэтэ ори, тагаи ни до:хо: но сэйсин о моттэ ко:до: синакэрэба наранай.ruSubete no ningen va, umarenagara ni site dziyu: de ari, katsu, songen to kenri to ni tsuite byo:do: de aru. Ningen va, risey to ryo:sin to o sadzukerarete ori, tagai ni do:kho: no seysin o motte ko:do: sinakereba naranay.


2. 1. 스팔빈 (1900년)

1900년 블라디보스토크의 동양학 연구소(동양 대학교)에서 일본어를 가르치기 시작한 러시아의 언어학자 스팔빈에 의해 만들어진 최초의 키릴 문자 표기법이다. 이 표기법은 당시 러시아의 일본어 학자들 사이에서 인기가 있었다.[1] え 음에 эru 대신 еru, 음에 ёru 대신 йru와 оru의 두 글자, 음의 자음에 тru 대신 цru가 사용되었다.

/ ア   аru / イ   иru / ウ   уruえ / エ   еru / オ   оru 
/ カ   каru / キ   киru / ク   куru / ケ   кеru / コ   коruきゃ / キャ   кяruきゅ / キュ   кюruきょ / キョ   кйоru
/ サ   саru / シ   сиru / ス   суru / セ   сеru / ソ   соruしゃ / シャ   сяruしゅ / シュ   сюruしょ / ショ   сйоru
/ タ   таru / チ   циru / ツ   цуru / テ   теru / ト   тоruちゃ / チャ   цяruちゅ / チュ   цюruちょ / チョ   цйоru
/ ナ   наru / ニ   ниru / ヌ   нуru / ネ   неru / ノ   ноruにゃ / ニャ   няruにゅ / ニュ   нюruにょ / ニョ   нйоru
/ ハ   хаru / ヒ   хиru / フ   фуru / ヘ   хеru / ホ   хоruひゃ / ヒャ   хяruひゅ / ヒュ   хюruひょ / ヒョ   хйоru
/ マ   маru / ミ   миru / ム   муru / メ   меru / モ   моruみゃ / ミャ   мяruみゅ / ミュ   мюruみょ / ミョ   мйоru
/ ヤ   яru  / ユ   юru  / ヨ   йо (iо)ru 
/ ラ   раru / リ   риru / ル   руru / レ   реru / ロ   роruりゃ / リャ   ряruりゅ / リュ   рюruりょ / リョ   рйоru
/ ワ   ваru  / ヲ   воru 
/ ン   нru  
colspan=8|
が / ガ   гаruぎ / ギ   гиruぐ / グ   гуruげ / ゲ   геruご / ゴ   гоruぎゃ / ギャ   гяruぎゅ / ギュ   гюruぎょ / ギョ   гйоru
ざ / ザ   дзаruじ / ジ   дзиruず / ズ   дзуruぜ / ゼ   дзеruぞ / ゾ   дзоruじゃ / ジャ   дзяruじゅ / ジュ   дзюruじょ / ジョ   дзйоru
だ / ダ   даruぢ / ヂ   цзиruづ / ヅ   цзуruで / デ   деruど / ド   доruぢゃ / ヂャ   цзяruぢゅ / ヂュ   цзюruぢょ / ヂョ   цзйоru
ば / バ   баruび / ビ   биruぶ / ブ   буruべ / ベ   беruぼ / ボ   боruびゃ / ビャ   бяruびゅ / ビュ   бюruびょ / ビョ   бйоru
ぱ / パ   паruぴ / ピ   пиruぷ / プ   пуruぺ / ペ   пеruぽ / ポ   поruぴゃ / ピャ   пяruぴゅ / ピュ   пюruぴょ / ピョ   пйоru


2. 2. 포즈드네예프 (1907년)

1907년 러시아의 언어학자 포즈드네예프(Позднеев)가 개발한 일본어 키릴 문자 표기법이다. 이 표기법은 당시 도쿄 방언을 기준으로 하여 실제 일본어 발음에 최대한 가깝게 음역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포즈드네예프 표기법의 특징 중 하나는 '자'행(ザ행)을 표기할 때 'з'만을 사용한다는 점이다. 또한 '지'(ぢ, じ)와 '즈'(づ, ず)를 표기할 때는 'ц'와 'з'를 모두 사용했다.

2. 3. 폴리바노프 (1930년)

1914년 러시아의 언어학자 예브게니 폴리바노프가 개발하고 1930년에 발표한 일본어키릴 문자 표기법이다. 현대 러시아에서 표준적으로 사용되는 방식으로, 도쿄 방언의 발음을 비교적 정확하게 전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대한민국에서 일본어 인명이나 지명 등을 표기할 때 주로 참고하는 방식이기도 하다.

아래는 폴리바노프 시스템을 사용한 표기 예시이다.

일본어 텍스트로마자폴리바노프로마자 표기법
すべての人間は、生まれながらにして自由であり、かつ、尊厳と権利と について平等である。人間は、理性と良心とを授けられており、互いに同 胞の精神をもって行動しなければならない。일본어Subete no ningen wa, umarenagara ni shite jiyū de ari, katsu, songen to kenri to ni tsuite byōdō de aru. Ningen wa, risei to ryōshin to o sazukerarete ori, tagai ni dōhō no seishin o motte kōdō shinakereba naranai.Субэтэ но нингэн ва, умарэнагара ни ситэ дзию: дэ ари, кацу, сонгэн то кэнри то ни цуитэ бё:до: дэ ару. Нингэн ва, рисэй то рё:син то о садзукэрарэтэ ори, тагаи ни до:хо: но сэйсин о моттэ ко:до: синакэрэба наранай.Subete no ningen va, umarenagara ni site dziyu: de ari, katsu, songen to kenri to ni tsuite byo:do: de aru. Ningen va, risey to ryo:sin to o sadzukerarete ori, tagai ni do:kho: no seysin o motte ko:do: sinakereba naranay.


3. 우크라이나어 키릴 문자 표기법

우크라이나어에서의 일본어 표기에서는 러시아어에서의 иru, эru, ёru, гru의 부분을 іuk, еuk, ьоuk (ь과 о), ґuk로 옮겨놓는다. 따라서 우크라이나어에서도 쓰이는 иuk, гuk는 사용되지 않는다.

'''디브로바, 오디네이트(1944년)에 의한 키릴 문자 표기'''

, 의 자음 표기에 сuk, тuk 대신 шuk, чuk가 사용된다.

/ ア / イ / ウ / エ / オcolspan="3" style="background:#F7F7F7" |
аukіukуukеukоukcolspan="3" style="background:#F7F7F7" |
/ カ / キ / クけ / ケ / コ캬 / キャ큐 / キュ쿄 / キョ
каukкіukкуukкеukкоukкяukкюukкьоuk
/ サ / シ / ス / セ / ソ샤 / シャ슈 / シュ쇼 / ショ
саukшіukсуukсеukсоukшяukшюukшоuk
/ タ / チつ / ツて / テ / ト차 / チャ추 / チュ초 / チョ
таukчіukцуukтеukтоukчяukчюukчоuk
/ ナ / ニ / ヌ / ネ / ノ냐 / ニャ뉴 / ニュ뇨 / ニョ
наukніukнуukнеukноukняukнюukньоuk
/ ハひ / ヒ / フへ / ヘ / ホ햐 / ヒャ휴 / ヒュ효 / ヒョ
хаukхіukфуukхеukхоukхяukхюukхьоuk
/ マ / ミ / ム / メ / モ먀 / ミャ뮤 / ミュ묘 / ミョ
маukміukмуukмеukмоukмяukмюukмьоuk
/ ヤstyle="background:#F7F7F7" | / ユstyle="background:#F7F7F7" | / ヨcolspan="3" style="background:#F7F7F7" |
яukstyle="background:#F7F7F7" |юukstyle="background:#F7F7F7" |ьоukcolspan="3" style="background:#F7F7F7" |
/ ラ / リ / ル / レ / ロ랴 / リャ류 / リュ료 / リョ
раukріukруukреukроukряukрюukрьоuk
/ ワcolspan="3" style="background:#F7F7F7" | / ヲcolspan="3" style="background:#F7F7F7" |
ваukcolspan="3" style="background:#F7F7F7" |оukcolspan="3" style="background:#F7F7F7" |
/ ンcolspan="4" style="background:#F7F7F7" |colspan="3" style="background:#F7F7F7" |
нukcolspan="4" style="background:#F7F7F7" |colspan="3" style="background:#F7F7F7" |
탁음/반탁음
가 / ガ기 / ギ구 / グ게 / ゲ고 / ゴ갸 / ギャ규 / ギュ교 / ギョ
ґаukґіukґуukґеukґоukґяukґюukґьоuk
자 / ザ지 / ジ즈 / ズ제 / ゼ조 / ゾ자 / ジャ주 / ジュ조 / ジョ
дзаukдзіukдзуukдзеukдзоukдзяukдзюukдзьоuk
다 / ダ지 / ヂ즈 / ヅ데 / デ도 / ド자 / ヂャ주 / ヂュ조 / ヂョ
даukдзіukдзуukдеukдоukдзяukдзюukдзьоuk
바 / バ비 / ビ부 / ブ베 / ベ보 / ボ뱌 / ビャ뷰 / ビュ뵤 / ビョ
баukбіukбуukбеukбоukбяukбюukбьоuk
파 / パ피 / ピ푸 / プ페 / ペ포 / ポ퍄 / ピャ퓨 / ピュ표 / ピョ
паukпіukпуukпеukпоukпяukпюukпьоuk



'''본다렌코 (1997년) 에 의한 키릴 문자 표기'''

현대 우크라이나의 표준적인 표기법이다.

{| class="wikitable" width=90%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95%"

|-

! style="background:#FFFDDD" | / ア !! style="background:#FFFDDD" | / イ !! style="background:#FFFDDD" | / ウ !! style="background:#FFFDDD" | / エ !! style="background:#FFFDDD" | / オ !! colspan="3" style="background:#F7F7F7" |

|-

| style="background:#FFFDDD" | аuk || style="background:#FFFDDD" | іuk || style="background:#FFFDDD" | уuk || style="background:#FFFDDD" | еuk || style="background:#FFFDDD" | оuk || colspan="3" style="background:#F7F7F7" |

|-

! style="background:#FFFDDD" | / カ !! style="background:#FFFDDD" | / キ !! style="background:#FFFDDD" | / ク !! style="background:#FFFDDD" | け / ケ !! style="background:#FFFDDD" | / コ !! style="background:#DDEBFF" | 캬 / キャ !! style="background:#DDEBFF" | 큐 / キュ !! style="background:#DDEBFF" | 쿄 / キョ

|-

| style="background:#FFFDDD" | каuk || style="background:#FFFDDD" | кіuk || style="background:#FFFDDD" | куuk || style="background:#FFFDDD" | кеuk || style="background:#FFFDDD" | коuk || style="background:#DDEBFF" | кяuk || style="background:#DDEBFF" | кюuk || style="background:#DDEBFF" | кьоuk

|-

! style="background:#FFFDDD" | / サ !! style="background:#FFFDDD" | / シ !! style="background:#FFFDDD" | / ス !! style="background:#FFFDDD" | / セ !! style="background:#FFFDDD" | / ソ !! style="background:#DDEBFF" | 샤 / シャ !! style="background:#DDEBFF" | 슈 / シュ !! style="background:#DDEBFF" | 쇼 / ショ

|-

| style="background:#FFFDDD" | саuk || style="background:#FFFDDD" | сіuk || style="background:#FFFDDD" | суuk || style="background:#FFFDDD" | сеuk || style="background:#FFFDDD" | соuk || style="background:#DDEBFF" | сяuk || style="background:#DDEBFF" | сюuk || style="background:#DDEBFF" | сьоuk|-

! style="background:#FFFDDD" | / タ !! style="background:#FFFDDD" | / チ !! style="background:#FFFDDD" | つ / ツ !! style="background:#FFFDDD" | て / テ !! style="background:#FFFDDD" | / ト !! style="background:#DDEBFF" | 차 / チャ !! style="background:#DDEBFF" | 추 / チュ !! style="background:#DDEBFF" | 초 / チョ

|-

| style="background:#FFFDDD" | таuk || style="background:#FFFDDD" | тіuk || style="background:#FFFDDD" | цуuk || style="background:#FFFDDD" | теuk || style="background:#FFFDDD" | тоuk || style="background:#DDEBFF" | тяuk || style="background:#DDEBFF" | тюuk || style="background:#DDEBFF" | тьоuk|-

! style="background:#FFFDDD" | / ナ !! style="background:#FFFDDD" | / ニ !! style="background:#FFFDDD" | / ヌ !! style="background:#FFFDDD" | / ネ !! style="background:#FFFDDD" | / ノ !! style="background:#DDEBFF" | 냐 / ニャ !! style="background:#DDEBFF" | 뉴 / ニュ !! style="background:#DDEBFF" | 뇨 / ニョ

|-

| style="background:#FFFDDD" | наuk || style="background:#FFFDDD" | ніuk || style="background:#FFFDDD" | нуuk || style="background:#FFFDDD" | неuk || style="background:#FFFDDD" | ноuk || style="background:#DDEBFF" | няuk || style="background:#DDEBFF" | нюuk || style="background:#DDEBFF" | ньоuk

|-

! style="background:#FFFDDD" | / ハ !! style="background:#FFFDDD" | ひ / ヒ !! style="background:#FFFDDD" | / フ !! style="background:#FFFDDD" | へ / ヘ !! style="background:#FFFDDD" | / ホ !! style="background:#DDEBFF" | 햐 / ヒャ !! style="background:#DDEBFF" | 휴 / ヒュ !! style="background:#DDEBFF" | 효 / ヒョ

|-

| style="background:#FFFDDD" | хаuk || style="background:#FFFDDD" | хіuk || style="background:#FFFDDD" | фуuk || style="background:#FFFDDD" | хеuk || style="background:#FFFDDD" | хоuk || style="background:#DDEBFF" | хяuk || style="background:#DDEBFF" | хюuk || style="background:#DDEBFF" | хьоuk

|-

! style="background:#FFFDDD" | / マ !! style="background:#FFFDDD" | / ミ !! style="background:#FFFDDD" | / ム !! style="background:#FFFDDD" | / メ !! style="background:#FFFDDD" | / モ !! style="background:#DDEBFF" | 먀 / ミャ !! style="background:#DDEBFF" | 뮤 / ミュ !! style="background:#DDEBFF" | 묘 / ミョ

|-

| style="background:#FFFDDD" | маuk || style="background:#FFFDDD" | міuk || style="background:#FFFDDD" | муuk || style="background:#FFFDDD" | меuk || style="background:#FFFDDD" | моuk || style="background:#DDEBFF" | мяuk || style="background:#DDEBFF" | мюuk || style="background:#DDEBFF" | мьоuk

|-

! style="background:#FFFDDD" | / ヤ !! style="background:#F7F7F7" | !! style="background:#FFFDDD" | / ユ !! style="background:#F7F7F7" | !! style="background:#FFFDDD" | / ヨ !! colspan="3" style="background:#F7F7F7" |

|-

| style="background:#FFFDDD" | яuk || style="background:#F7F7F7" | || style="background:#FFFDDD" | юuk || style="background:#F7F7F7" | || style="background:#FFFDDD" | ьоuk || colspan="3" style="background:#F7F7F7" |

|-

! style="background:#FFFDDD" | / ラ !! style="background:#FFFDDD" | / リ !! style="background:#FFFDDD" | / ル !! style="background:#FFFDDD" | / レ !! style="background:#FFFDDD" | / ロ !! style="background:#DDEBFF" | 랴 / リャ !! style="background:#DDEBFF" | 류 / リュ !! style="background:#DDEBFF" | 료 / リョ

|-

| style="background:#FFFDDD" | раuk || style="background:#FFFDDD" | ріuk || style="background:#FFFDDD" | руuk || style="background:#FFFDDD" | реuk || style="background:#FFFDDD" | роuk || style="background:#DDEBFF" | ряuk || style="background:#DDEBFF" | рюuk || style="background:#DDEBFF" | рьоuk

|-

! style="background:#FFFDDD" | / ワ !! colspan="3" style="background:#F7F7F7" | !! style="background:#FFFDDD" | / ヲ !! colspan="3" style="background:#F7F7F7" |

|-

| style="background:#FFFDDD" | ваuk || colspan="3" style="background:#F7F7F7" | || style="background:#FFFDDD" | оuk || colspan="3" style="background:#F7F7F7" |

|-

! style="background:#FFFDDD" | / ン !! colspan="4" style="background:#F7F7F7" | !! colspan="3" style="background:#F7F7F7" |

|-

| style="background:#FFFDDD" | нuk || colspan="4" style="background:#F7F7F7" | || colspan="3" style="background:#F7F7F7" |

|-

! colspan=8 | 탁음/반탁음

|-

! style="background:#FFDDDD" | 가 / ガ !! style="background:#FFDDDD" | 기 / ギ !! style="background:#FFDDDD" | 구 / グ !! style="background:#FFDDDD" | 게 / ゲ !! style="background:#FFDDDD" | 고 / ゴ !! style="background:#DDEBFF" | 갸 / ギャ !! style="background:#DDEBFF" | 규 / ギュ !! style="background:#DDEBFF" | 교 / ギョ

|-

| style="background:#FFDDDD" | ґаuk || style="background:#FFDDDD" | ґіuk || style="background:#FFDDDD" | ґуuk || style="background:#FFDDDD" | ґеuk || style="background:#FFDDDD" | ґоuk || style="background:#DDEBFF" | ґяuk || style="background:#DDEBFF" | ґюuk || style="background:#DDEBFF" | ґьоuk

|-

! style="background:#FFDDDD" | 자 / ザ !! style="background:#FFDDDD" | 지 / ジ !! style="background:#FFDDDD" | 즈 / ズ !! style="background:#FFDDDD" | 제 / ゼ !! style="background:#FFDDDD" | 조 / ゾ !! style="background:#DDEBFF" | 자 / ジャ !! style="

4. 기타 표기법


  • '요'(よ) 및 개요음 오단 모음을 표기할 때, ёru 대신 иоru 또는 йоru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는 ёru가 강세가 있는 음절에만 주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 * 예시: 도쿄(東京) - Токиоru, 요네자와(米沢) - Йонедзаваru
  • 'ん' 다음에 아행(あ행)이나 야행(や행)이 올 경우, 발음 구분을 위해 ъru(경음 부호) 또는 'ru( 아포스트로피)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 * 예시: 산요(山陽) - Санъёru 또는 Сан'ёru
  • 장음을 표기하기 위해 모음 위에 마크론(¯)을 붙이는 경우가 있다.
  • * 예시: 도쿄(東京) - Тōкиōru
  • '시'(し)를 шиru로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
  • * 예시: 스시(すし) - сушиru
  • '치'(ち)를 чиru로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
  • * 예시: 하마치(はまち) - хамачиru
  • 비교적 오래된 시기에 만들어진 번역어 중에는 하행(ハ행) 소리를 гru로 표기한 예가 있다.
  • * 예시: 요코하마(横浜) - Иокогамаru

5. 예시

일본어를 키릴 문자로 표기하는 구체적인 예시는 다음과 같다. 아래 하위 섹션에서는 몇 가지 단어와 문장의 키릴 문자 표기 예를 살펴볼 수 있다.

5. 1. 단어 예시

5. 2. 문장 예시

Тиёни ятиёни
Садзарэ исино
Иваото наритэ
Кокэно мусумадэ.}}

다음은 세계 인권 선언 제1조의 예시이다.

일본어 텍스트로마자폴리바노프로마자 표기법
すべての人間は、生まれながらにして自由であり、かつ、尊厳と権利と について平等である。人間は、理性と良心とを授けられており、互いに同 胞の精神をもって行動しなければならない。jpnSubete no ningen wa, umarenagara ni shite jiyū de ari, katsu, songen to kenri to ni tsuite byōdō de aru. Ningen wa, risei to ryōshin to o sazukerarete ori, tagai ni dōhō no seishin o motte kōdō shinakereba naranai.Субэтэ но нингэн ва, умарэнагара ни ситэ дзию: дэ ари, кацу, сонгэн то кэнри то ни цуитэ бё:до: дэ ару. Нингэн ва, рисэй то рё:син то о садзукэрарэтэ ори, тагаи ни до:хо: но сэйсин о моттэ ко:до: синакэрэба наранай.Subete no ningen va, umarenagara ni site dziyu: de ari, katsu, songen to kenri to ni tsuite byo:do: de aru. Ningen va, risey to ryo:sin to o sadzukerarete ori, tagai ni do:kho: no seysin o motte ko:do: sinakereba naranay.


6. 관련 인물


  • 피겨 스케이트 선수 가와구치 유코는 2009년에 러시아 국적을 취득했다. 이에 따라 이름의 라틴 문자 표기가 기존의 'Yuko Kawaguchi'에서 러시아어 이름 Юко Кавагути|유코 카바구티ru를 전사한 'Yuko Kavaguti'로 변경되었다.

참조

[1] 서적 "Русская транскрипция для языков зарубежного Востока" "Наука"
[2] 서적 "Русская транскрипция для языков зарубежного Востока" "Наука"
[3] 서적 "Русская транскрипция для языков зарубежного Востока" "Наука"
[4] 서적 "РусскаятранскрипциядляязыковзарубежногоВостока" "Наука"
[5] 서적 "РусскаятранскрипциядляязыковзарубежногоВостока" "Наука"
[6] 서적 "РусскаятранскрипциядляязыковзарубежногоВостока" "Наук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