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는 1964년 미국에서 태어난 비교문학 박사로, 동아시아 고전문학, 국제관계, 환경 문제, 과학기술 정책 등을 연구했다. 예일대학교에서 중국 문학을 전공하고 도쿄 대학교에서 비교문학 석사 학위를, 하버드 대학교에서 동아시아 언어문명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일리노이 대학교 어배너-섐페인, 조지 워싱턴 대학교, 우송대학교, 경희대학교 등에서 교수로 재직했으며, 아시아인스티튜트 이사장을 역임했다. 한국과의 인연으로 주미 한국 대사관에서 근무하며 외교부 잡지 편집장을 맡았고, 충청남도 도지사 보좌관을 지냈다. 2020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 무소속으로 출마했으며, 다양한 저서와 논문을 발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4년 미국 대통령 후보 - 카멀라 해리스
    카멀라 해리스는 미국의 정치인으로, 2021년부터 제49대 부통령으로 재임 중이며, 캘리포니아주 검찰총장과 상원의원을 거쳐 미국 역사상 최초의 여성 부통령, 아프리카계 미국인, 아시아계 미국인 부통령이라는 역사적 의미를 지닌다.
  • 2024년 미국 대통령 후보 - 조 바이든
    조 바이든은 1942년생으로, 델라웨어주 연방 상원의원, 버락 오바마 행정부 부통령을 거쳐 2020년 대선에서 당선되어 제46대 미국 대통령을 역임했다.
  • 국립 대만 대학 동문 - 리덩후이
    리덩후이는 중화민국의 정치인으로, 장징궈 총통에 의해 발탁되어 총통직을 승계한 후 대만의 민주화 개혁을 주도하며 '대만 민주주의의 아버지'로 불리지만, 양안 관계에서는 양국론을 제시하여 중화인민공화국과 긴장 관계를 형성하기도 하고 퇴임 후에는 대만 독립 운동을 지지했다.
  • 국립 대만 대학 동문 - 리위안저
    리위안저는 대만의 화학자로서 교차 분자 빔 기법을 활용한 화학 반응 동역학 연구에 기여하여 1986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으며, 중앙연구원 원장과 국제과학회의 회장을 역임했다.
  • 경희대학교 교수 - 도정일
    도정일은 영문학자이자 사회운동가로, 경희대학교 교수, 도서관장,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문화개혁시민연대 공동대표 등을 역임했으나, 2016년 학력 위조 논란 이후 이를 인정했고, 저서로는 《시인은 숲으로 가지 못한다》 등이 있다.
  • 경희대학교 교수 - 박일경
    박일경은 일제강점기에 학위를 받고 함평군수, 서울대학교 조교수를 거쳐 법제처장, 문교부 장관 등을 역임했으며,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수여받았다.
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15년 파스트라이쉬
2015년 파스트라이쉬
출생 이름Emanuel Pastreich
출생일1964년 10월 16일 (59세)
출생지테네시주내슈빌
국적미국
거주지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정당녹색당 (2023년–현재)
무소속 (2023년 이전)
학력예일 대학교 (문학사)
도쿄 대학교 (문학 석사)
하버드 대학교 (철학 박사)
직업교수, 의장
웹사이트circlesandsquares.asia
자녀2명
부모피터 파스트라이쉬
친척마이클 파스트라이쉬 (형제)
한자 표기간체자: 贝一明
정체자: 貝一明
병음: Bèi Yī Míng
웨이드-자일스: Pei I Ming
한글 표기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
로마자 표기Immanuel Peseuteulaiswi
가타카나 표기エマニュエル・パストリッチ
로마자 표기Emanyueru Pasutoritchi
경력
주요 활동아시아 연구소 소장
정치 활동
대통령 선거 출마2020년: 무소속
2024년: 녹색당 (후보 사퇴)

2. 생애

페스트라이쉬는 1964년 10월 16일 테네시주 내슈빌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피터 페스트라이쉬(Peter Pastreich, 1938년생)는 샌프란시스코 심포니 오케스트라(1978년~1999년) 등에서 근무한 교향악단 매니저였고, 어머니 마리 루이즈 루프(Marie-Louise Rouff, 1930년생)는 룩셈부르크 출신의 화가였다.[52] 남동생 마이클 페스트라이쉬(Michael Pastreich, 1966년생)가 있다.

한국인 이승은(李承垠, 1968년생)과 결혼했으나, 2022년에 사별했다.[36] 아들 벤자민(Benjamin, 2001년생)과 딸 레이첼(Rachel, 2004년생)이 있다.

2. 1. 유년 시절 및 교육

페스트라이쉬는 1964년 10월 16일 테네시주 내슈빌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교향악단 매니저였던 피터 페스트라이쉬(Peter Pastreich)이며, 어머니는 화가 마리 루이즈 루프(Marie Louise Rouff)였다. 그는 미국 중서부 세인트루이스에서 성장하여 고등학교 시절 캘리포니아로 이주했고, 1983년에 샌프란시스코의 로웰 고등학교를 졸업했다.

같은 해 예일 대학교(Yale University)에 입학하여 중국 문학을 전공했고, 1987년 중국어 학사 학위를 받았다.[16] 1985년에는 교환학생으로 1년간 국립 대만 대학교에서 유학했다.[17]

예일 대학교 졸업 후 그는 일본으로 유학하여 도쿄 대학 대학원 비교문학 비교문화 전공으로 1991년 석사학위를 취득했다.[18] 석사 논문은 19세기 문인 다노무라 지쿠덴(田能村竹田)의 한시에 대해 썼으며, 지도교수는 히라카와 유히로(平川祐弘)였다.[45]

1992년 미국으로 돌아온 후 하버드 대학교 동아시아 언어문명학과 박사 과정에 편입하여[11] 조선일본의 에도시대 한문소설을 비교하는 논문을 제출하고 1998년 박사 학위를 수료하였다.[19]

2. 2. 학문 및 연구 활동

페스트라이쉬는 예일 대학교에서 중국 문학을 전공하고, 도쿄 대학 대학원에서 비교문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하버드 대학교에서 동아시아 언어문명학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65] 일리노이 대학교 어배너-섐페인 동아시아언어문화학과 조교수, 조지 워싱턴 대학교, 우송대학교를 거쳐 경희대학교 국제대학 부교수로 근무했다.[66]

2000년에는 한미 교육 협력을 추진하며 서울대학교일리노이 대학교 어배너-섐페인 등의 연합을 기획했다. 2002년 이후에는 일리노이 대학교 어배너-섐페인에서 대만 및 북경의 경제 관계, 미중 패권 대립에 대한 논문을 발표했다.[66]

2004년에는 주미한국대사관 문화원에서 근무하며 한국 외교통상부 온라인 공영 잡지 ''Dynamic Korea''의 편집장을 겸임했다.

현재 국제관계, 자연환경 및 과학기술 정책을 연구하는 싱크탱크인 아시아인스티튜트[64]의 이사장이며, 경희대학교 국제대학 부교수 (2011-2017년)를 역임했다.

일리노이 대학교 어배너-섐페인에서 일본 문화를 가르치는 교수로 재직했으며, 군비통제 및 국내외 안보 프로그램[22][23], 조지 워싱턴 대학교[22], 솔브리지 국제경영대학[24], 경희대학교 국제학과[25]에서 연구원으로 활동했다. 또한 충남도지사의 국제 관계 자문관(2007-2008)으로 일했으며 한국 과학 연구소와 수많은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했다.[13]

주요 저서로는 ''The Novels of Park Jiwon: Translations of Overlooked Worlds''[67], ''The Visible Vernacular: Vernacular Chinese and the Emergence of a Literary Discourse on Popular Narrative in Edo Japan'', 《하버드 박사의 한국 표류기, 인생은 속도가 아니라 방향이다》, 《세계 석학들, 한국의 미래를 말하다》 등이 있다.

2. 3. 한국과의 인연

페스트라이쉬 박사는 2007년 한국으로 이주하여 2년 동안 충청남도 이완구 도지사의 특별보좌관으로 근무하며 충청남도의 국제화 및 다문화 정책에 깊이 참여했다.[22] 이후 대덕연구개발특구 본부 자문, 대전광역시 투자유치위원회, 광주시 국제화위원회,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과학기술원(KAIST), 서울대학교 기술융합대학원 등 여러 기관에서 연구 과제를 수행했다.

2007년에는 대전에서 아시아인스티튜트(The Asia Institute)를 설립하여[64] 국제관계, 안전보장, 환경 문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싱크탱크 활동을 펼쳤다. 2012년부터는 경희대학교 부교수로 채용되어 국제대학원에서 강의하고, 조선일보, 중앙일보 등 신문에 8년간 칼럼을 기고했으며, 다수의 저서를 출간했다. 특히, 저서 “한국인만 모르는 다른 대한민국”(2013년)은 박근혜 대통령이 국무회의에서 칭찬하고 한국 국방부 우수도서로 선정되기도 했다.

페스트라이쉬 박사가 한국에서 수행한 주요 연구 과제는 다음과 같다.

연도기관연구 과제
2018년태재미래전략연구원전 세계 주요 싱크탱크 조사
2018년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KOFST)과학 외교의 미래
2012년한국국립과학기술전문여성지원센터한국에 국제 과학기술 전문 여성 지원센터 설립 제안
2011년서울대학교 기술융합대학원기술융합에 있어 공동 연구 개발 전략
2011년아시아연구소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에 대한 장기적 대응[49]
2010년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기술융합 관련 전 지구적 연구 개발 조사
2009년 ~ 2010년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동남아시아 원자력 및 원자력 안전 정책에 대한 조사
2008년 ~ 2009년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소각 처리 폐기물 재활용 방법
2009년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생명공학 연구에 있어 효과적인 국제 공동 연구에 대한 분석
2008년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생명공학 국제화 재활성화 전략


2. 4. 정치 활동

2019년 워싱턴으로 돌아가 한미경제연구소 연구원으로 근무를 시작했다.[1] 2020년 2월,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한 미국의 심각한 정치 갈등 상황에서 미국 정치의 부패를 청산하고자 워싱턴에서 무소속 대통령 후보 출마를 선언하며 정치 활동을 시작했다.[1] 그러나 어려운 상황에 직면하여 2월 말 한국으로 출국했고, 가족 없이 한국에 체류하며 2년 반 동안 정치 관련 활동을 이어갔다.[1]

2021년에는 최성년과 함께 국제혁명당을 설립하여 미국과 한국에서 활동을 전개했다.[1] 최성년과의 공저 "코로나 사기를 혁명으로 끝내자"(2021년 출판)는 많은 주목을 받았다.[1] 이후 기업이 아닌 시민 중심의 통일을 묘사한 책 "사기통일 그만! 재벌의 북한 개발말고, 희망을 주는 건국으로"(2022년)도 출간했다.[1]

2022년부터 미국 녹색당 내 좌파 및 우파 협력을 추구하는 정치 단체인 "Green Liberty Caucus"에서 페스트라이쉬 박사를 대통령 후보로 지지하는 세력이 모였다.[1] 이에 힘입어 미국으로 돌아간 페스트라이쉬 박사는 2023년 9월부터 미국 녹색당 대통령 후보로 출마했다.[1] 2024년 녹색당 총회에서 정당 후보로 선출되기 위한 경쟁에 돌입했다.[1]

3. 한국 활동

페스트라이쉬 박사는 2007년 대전에서 아시아인스티튜트(The Asia Institute)를 설립하고 국제관계, 안전보장, 환경 문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싱크탱크 활동을 전개했다.[64] 2012년부터 경희대학교 국제대학원 부교수로 재직하며 조선일보, 중앙일보 등에 칼럼을 기고하고 여러 권의 책을 출간했다. 특히 2013년에 출간한 《한국인만 모르는 다른 대한민국》은 박근혜 전 대통령이 국무회의에서 언급하여 화제가 되었고, 국방부 우수도서로 선정되었다.

3. 1. 정부 및 기관 자문

페스트라이쉬 박사는 2007년 한국으로 이주하여 2년 동안 충청남도 이완구 도지사의 특별보좌관으로 근무하면서 충청남도의 국제화 및 다문화 정책에 깊이 참여했다.[64] 이후 대덕연구개발특구 본부 자문, 대전광역시 투자유치위원회, 광주시 국제화위원회 등에서 활동했다. 또한,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 등 정부 기관 및 연구소에서 자문 역할을 수행했다. 박원순 서울시장 국제화 자문을 역임하기도 했다.[64]

페스트라이쉬가 한국의 싱크탱크 및 국립 연구소에서 수행한 주요 연구 과제는 다음과 같다.

연도기관연구 과제
2018태재미래전략연구원전 세계 주요 싱크탱크 조사
2018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KOFST)과학 외교의 미래
2012한국국립과학기술전문여성지원센터한국에 국제 과학기술 전문 여성 지원센터 설립 제안
2011서울대학교 기술융합대학원기술융합에 있어 공동 연구 개발 전략
2011아시아연구소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에 대한 장기적 대응[49]
2010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기술융합 관련 전 지구적 연구 개발 조사
2009~2010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동남아시아 원자력 및 원자력 안전 정책에 대한 조사
2008~2009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소각 처리 폐기물 재활용 방법
2009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생명공학 연구에 있어 효과적인 국제 공동 연구에 대한 분석
2008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생명공학 국제화 재활성화 전략


3. 2. 연구 프로젝트 참여

페스트라이쉬는 충청남도 이완구 도지사 특별보좌관을 시작으로, 대덕연구개발특구 본부 자문, 대전광역시 투자유치위원회, 광주시 국제화위원회 등 여러 기관에서 연구 과제를 수행했다. 서울대학교 기술융합대학원,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KOFST), 한국국립과학기술전문여성지원센터,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등 한국의 주요 연구기관과 협력했다. 특히 2014년에는 서울대학교 기술융합대학원 원장이었던 안철수와 함께 기술 융합 관련 공동 연구를 수행했다.[64]

페스트라이쉬가 한국의 싱크탱크 및 국립 연구소에서 수행한 주요 연구 과제는 다음과 같다.

연도기관연구 과제
2018년태재미래전략연구원전 세계 주요 싱크탱크 조사
2018년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KOFST)과학 외교의 미래
2012년한국국립과학기술전문여성지원센터한국에 국제 과학기술 전문 여성 지원센터 설립 제안
2011년서울대학교 기술융합대학원기술융합에 있어 공동 연구 개발 전략
2011년아시아연구소후쿠시마 원전 사고에 대한 장기적 대응[49]
2010년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기술융합 관련 전 지구적 연구 개발 조사
2009년 ~ 2010년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동남아시아 원자력 및 원자력 안전 정책에 대한 조사
2008년 ~ 2009년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소각 처리 폐기물 재활용 방법
2009년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생명공학 연구에 있어 효과적인 국제 공동 연구에 대한 분석
2008년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생명공학 국제화 재활성화 전략


3. 3. 저술 및 강연

페스트라이쉬 박사는 경희대학교 부교수로 재직하며 조선일보, 중앙일보 등 주요 언론에 칼럼을 기고하고 다수의 저서를 출간했다. 특히, 2013년에 출간된 ''한국인만 모르는 다른 대한민국''은 박근혜 전 대통령이 국무회의에서 언급하며 화제가 되었고, 국방부 우수도서로 선정되기도 했다.[64]

페스트라이쉬가 한국에서 출간한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 ''한국인만이 모르는 또 다른 대한민국: 하버드대학교 박사가 본 한국의 가능성'' (2013)


이 외에도, 페스트라이쉬 박사는 아시아인스티튜트(The Asia Institute)를 설립하여 국제관계, 안전보장, 환경 문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싱크탱크 활동을 펼쳤으며,[64] 서울대학교 기술융합대학원에서 안철수와 함께 기술융합 관련 연구를 수행하기도 했다. 또한, 태재미래전략연구원,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KOFST), 한국국립과학기술전문여성지원센터,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등 다양한 기관에서 연구 과제를 수행했다.[49]

4. 학문 세계

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는 동아시아 고전문학 연구에서부터 국제관계, 환경, 과학기술 정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학문적 업적을 쌓았다.

명나라청나라의 통속소설, 조선 박지원의 한문소설을 연구했으며, 일본 우에다 아키나리와 교쿠테이 바킨 등의 독본(読本)과 한문소설에 관한 논문도 발표했다. 이토 지사이와 오규 소라이의 정치 사상에도 관심을 가졌으며, 특히 오규 소라이의 「역문전제」 영역은 높은 평가를 받았다.[41]

저서로는 한국 근대 이전 작가의 소설을 모은 ''박지원의 소설: 간과된 세계의 번역(The Novels of Park Jiwon: Translations of Overlooked Worlds)''[30], 일본에서 중국 구어 문학의 수용에 대한 연구인 ''보이는 구어: 구어체 중국어와 에도 일본의 대중 서사에 대한 문학적 담론의 출현(The Visible Vernacular: Vernacular Chinese and the Emergence of a Literary Discourse on Popular Narrative in Edo Japan)'' 등이 있다.

2020년 대선 출마 연설을 모은 ''악에 두려워하지 않으리라(I Shall Fear No Evil)''(2020)에서는 미국의 역사적 발전이라는 맥락에서 경제적, 안보적, 사회적 문제들을 다루며, 서구와 동양의 정치철학에서 얻은 지혜를 바탕으로 현재의 사회적 모순에 대처한다.[29]

한국어 저서로는 ''인생은 속도가 아니라 방향의 문제다: 한국의 로빈슨 크루소(Life is a Matter of Direction, not Speed: A Robinson Crusoe in Korea)'', ''세계의 학자들이 한국의 미래에 대해 말하다(Scholars of the World Speak out About Korea's Future)''[33], ''한국인이 이해하지 못하는 대한민국(A Republic of Korea that Koreans do not understand)'', ''가짜 통일 없다(No Fake Unification)'', ''지구 관리: 홍익 전통에서 해답 찾기(Earth Management: Finding the Answer in the Hongik Tradition)''[34] 등이 있다.

일본어 저서로는 ''무기를 놓다(A Farewell to Arms)''와 ''코로나19에 저주받은 일본(Japan jinxed by COVID-19)''[35]가 있다.

4. 1. 동아시아 고전문학 연구

페스트라이쉬의 초기 학술 저서로는 다음이 있다.

  • 연암(燕巖) 박지원(朴趾源)의 소설: 간과된 세상의 변신한국어,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1년[51][67]
  • 에도 시대 일본 통속 문학 담론의 대두 및 중국백화소설의 수용한국어,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1년[50]


그는 그 외에도 국제 관계와 문화에 관한 많은 책을 일본어, 영어, 한국어, 중국어 등으로 출판했다.

4. 2. 국제관계 및 안보 연구

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는 국제관계, 자연환경 및 과학기술 정책을 연구하는 싱크탱크인 아시아인스티튜트[64]의 이사장이다. 그는 국제 관계, 환경[20][21] 및 기술의 상호 작용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다.[12]

경희대학교 국제대학 부교수(2011-2017년)를 역임했다.[64] 일리노이대학교 어바나-샴페인캠퍼스에서 일본 문화를 가르쳤으며, 군비통제 및 국내외 안보 프로그램[22][23], 조지워싱턴대학교[22], 솔브리지국제경영대학원[24], 경희대학교 국제학과[25]에서 연구원으로 활동했다.

2020년 이후 미국의 정치 불안을 우려하며 동아시아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기사 등을 쓰고, 미국이 일본, 한국, 중국과 하나의 공동체를 형성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의 사상은 2000년 6월 15일에 작성한 「국제대학으로서의 도쿄대학」에 잘 나타나 있다.[43]

안보, 과학기술 관련 논문을 많이 발표했으며, 특히 한일 교류에 힘썼다. 2016년 1월 주한 일본 대사였던 베쇼 코로(別所浩郎)와 함께 대담했을 때 발표한 연설 「앞으로의 한일 관계에 대한 나의 꿈」[44]은 한일 관계 개선을 바라는 그의 외교적 이상을 잘 보여준다.

4. 3. 환경 및 과학기술 정책 연구

페스트라이쉬는 국제관계, 자연환경 및 과학기술 정책을 연구하는 싱크탱크인 아시아인스티튜트[64]의 이사장이다. 그는 국제 관계, 환경[20][21] 및 기술의 상호 작용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다.[12]

경희대학교 국제대학 부교수(2011-2017)를 역임[25]했으며, 일리노이대학교 어바나-샴페인캠퍼스에서 일본 문화를 가르치고, 군비통제 및 국내외 안보 프로그램[22][23], 조지워싱턴대학교[22], 솔브리지국제경영대학원[24]에서 연구원으로 활동했다. 충남도지사의 국제 관계 자문관(2007-2008)으로 일하며 한국 과학 연구소와 수많은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했다.[13]

안보, 과학기술 관련 논문을 많이 냈으며, 특히 한일 교류에 힘썼다. 2016년 1월 주한 일본 대사였던 베쇼 코로와 함께 대담했을 때 발표한 연설 「앞으로의 한일 관계에 대한 나의 꿈」[44]은 한일의 가교가 되고자 하는 그의 외교적 이상을 잘 보여준다.

5. 저서

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는 한국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로 다양한 저술 활동을 펼쳤다. 학술적인 저서로는 「에도 시대 일본 통속 문화 담론의 대두 및 중국 백화소설의 수용」, 「연암(燕巖) 박지원(朴趾源)의 소설: 간과된 세상의 변신」 등이 있다.[50][51]

페스트라이쉬는 국제 관계와 문화에 대한 폭넓은 관심을 바탕으로 여러 언어로 저서를 출간했다.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언어저서
한국어사기통일 그만! 재벌의 북한 개발말고, 희망을 주는 건국으로한국어, 코로나 사기를 혁명으로 끝내자한국어, 지구경영, 홍익에서 답을 찾다한국어, 한국인만 몰랐던 더 큰 대한민국한국어, 한국인만 모르는 다른 대한민국: 하버드대 박사가 본 한국의 가능성한국어, 세계의 석학들 한국의 미래를 말하다한국어, 인생은 속도가 아니라 방향이다: 하버드 박사의 한국 표류기한국어
영어How to take down the Billionaires, Wrestling with Shadows, I Shall Fear No Evil: Why we need a truly independent Candidate for President, Earth Management: A Dialogue on Ancient Korean Wisdom and Its Lessons for a New Earth, The Novels of Park Jiwon: Translations of Overlooked Worlds, The Visible Mundane: Vernacular Chinese and the Emergence of a Literary Discourse on Popular Narrative in Edo Japan
일본어コロナ祟りに惑う日本|코로나 타타리니 마도우 니혼일본어, 私は悪を恐れない:なぜアメリカには本当の意味の無所属大統領候補が必要なのか|와타시와 아쿠오 오소레나이:나제 아메리카니와 혼토노 이미노 무쇼조쿠 다이토료코호가 히쓰요나노카일본어, 武器よさらば:地球温暖化の危機と憲法九条|부키요 사라바:지큐온단카노 키키토 켄포큐조일본어
중국어如何推翻富有阶层|어떻게 억만장자를 끌어내릴까?중국어, 我绝不畏惧邪恶:美国的总统大选为何一定要有真正的独立参选人参与|악(惡)을 두려워하지 않을 것: 왜 미국이 진짜 독립적인 대통령 후보자가 필요한가?중국어, 未来中国:关于人类与地球命运|미래중국: 인류와 지구의 운명에 대하여중국어, 跨海求真:哈佛博士论中美未来|바다를 넘어서 진실을 추구하는 하버드 박사가 말하는 미중의 미래중국어


5. 1. 한국어 저서


  • 사기통일 그만! 재벌의 북한 개발말고, 희망을 주는 건국으로한국어 (나루토출판사, 2023년)
  • 코로나 사기를 혁명으로 끝내자한국어 (나루토출판사, 2022년)
  • 지구경영, 홍익에서 답을 찾다한국어 (이승헌 공저) (한문화출판사, 2016년)
  • 한국인만 몰랐던 더 큰 대한민국한국어 (레드우드북스, 2017년)
  • 한국인만 모르는 다른 대한민국 하버드대 박사가 본 한국의 가능성한국어 (21세기북스, 2013년)
  • 세계의 석학들 한국의 미래를 말하다한국어 (다산북스, 2013년)
  • 인생은 속도가 아니라 방향이다: 하버드 박사의 한국 표류기한국어 (노마드북스, 2011년)

5. 2. 영어 저서


  • ''How to take down the Billionaires'' (어떻게 억만장자를 끌어내릴까?) (아시아인스티튜트, 2020년)
  • ''Wrestling with Shadows''[68] (그림자와 씨름하다) (자전소설) (Book Baby뉴욕, 2022년)
  • ''I Shall Fear No Evil: Why we need a truly independent Candidate for President''[69] (악(惡)을 두려워하지 않을 것: 왜 미국이 진짜 독립적인 대통령 후보자가 필요한가?) (BookBaby, 뉴욕 2020)
  • ''Earth Management: A Dialogue on Ancient Korean Wisdom and Its Lessons for a New Earth'' (지구경영: 고대 한국이 신세대에 전달하는 교훈) (이일지 공저) (Best Life Media, 서울, 2016)
  • ''The Novels of Park Jiwon: Translations of Overlooked Worlds''[67] (연암 박지원의 소설: 간과된 세상의 변신) (서울대학교출판부, 2011)
  • ''The Visible Mundane: Vernacular Chinese and the Emergence of a Literary Discourse on Popular Narrative in Edo Japan'' (에도 시대 일본 통속 문학 담론의 대두 및 중국의 백화소설의 수용) (서울대학교출판부, 2011)

5. 3. 일본어 저서


  • コロナ祟りに惑う日本|코로나 타타리니 마도우 니혼일본어 (데자인출판사, 도쿄, 2023년)
  • 私は悪を恐れない:なぜアメリカには本当の意味の無所属大統領候補が必要なのか|와타시와 아쿠오 오소레나이:나제 아메리카니와 혼토노 이미노 무쇼조쿠 다이토료코호가 히쓰요나노카일본어 (악(惡)을 두려워하지 않을 것:왜 미국에 진짜 독립적인 대통령 후보자가 필요한가?) (데자인출판사, 도쿄, 2020년)
  • 武器よさらば:地球温暖化の危機と憲法九条|부키요 사라바:지큐온단카노 키키토 켄포큐조일본어 (무기여 잘 있거라: 지구온난화의 위기 및 일본 헌법 9조) (동방출판사, 도쿄, 2019년)

5. 4. 중국어 저서


  • 如何推翻富有阶层|어떻게 억만장자를 끌어내릴까?중국어 (아시아인스티튜트, 베이징, 2022년)[70]
  • 我绝不畏惧邪恶:美国的总统大选为何一定要有真正的独立参选人参与|악(惡)을 두려워하지 않을 것: 왜 미국이 진짜 독립적인 대통령 후보자가 필요한가?중국어 (아시아인스티튜트, 베이징, 2020년)[71]
  • 未来中国:关于人类与地球命运|미래중국: 인류와 지구의 운명에 대하여중국어 (문화문화출판사, 홍콩, 2019년 4월)
  • 跨海求真:哈佛博士论中美未来|바다를 넘어서 진실을 추구하는 하버드 박사가 말하는 미중의 미래중국어 (은행출판사, 홍콩, 2016년)

참조

[1] 웹사이트 The Asia Institute https://asia-institu[...]
[2] 웹사이트 New Role for the Asia Institute Building Closer Ties Between US, Korea, and Japan https://www.koreaitt[...] 2024-10-01
[3] 웹사이트 Emanuel Pastreich for President "I shall fear no evil" https://emanuelpastr[...] 2020-02-23
[4] 웹사이트 Green Party presidential nomination, 2024 https://ballotpedia.[...] Green Party of the United States 2023-08-22
[5] Youtube Emmanuel Pastreich's declaration of candidacy for president in the Green Party US https://www.youtube.[...] 2023-09-20
[6] 웹사이트 Green Party Candidates for President 2023 https://circlesandsq[...] 2024-10-06
[7] 웹사이트 EMANUEL PASTREICH WITHDRAWS FROM CAMPAIGN FOR THE GREEN PARTY US NOMINATION https://emanuelprez.[...] 2023-09-28
[8] 웹사이트 Why was there a serious presidential candidate for 17 days in the Green Party? https://www.koreaitt[...] 2023-10-13
[9] 웹사이트 Presidential Debate about Real Issues: Libertarian Ter Maat vs. Independent Pastreich https://www.koreaitt[...]
[10] 웹사이트 U.S. scholar explores Asian literature https://nwww.koreahe[...] Korea Herald 2011-07-26
[11] 논문 An alien vernacular: Okajima Kanzan's popularization of the Chinese vernacular novel in eighteenth-century Japan https://www.chinajap[...]
[12] 웹사이트 A new kind of scholar breaks ground in Korea https://circlesandsq[...] Asia Times Online 2012-12-01
[13] 웹사이트 Research, Innovation, Start-up and Employment (RISE) Keynote Speakers https://circlesandsq[...] Korean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2013-05-21
[14] 뉴스 [THE INTERVIEW] "창조경제 해법요? 전통문화를 공부하세요" https://magazine.han[...]
[15] 웹사이트 Call for Sanity on Sixtieth Anniversary of the Russell-Einstein Manifesto https://www.huffpost[...] Huffington Post 2015-07-09
[16] 이미지 B.A. degree at Yale https://pastreich.fi[...] 2012-11-13
[17] 이미지 Study abroad at National Taiwan University https://pastreich.fi[...] 2012-11-15
[18] 이미지 M.A. degree at Tokyo https://pastreich.fi[...] 2012-11-13
[19] 서적 Colonial Modernity in Korea https://books.google[...]
[20] 웹사이트 On Climate, Defense Could Preserve and Protect, Rather Than Kill and Destroy https://truth-out.or[...] Truthout 2013-03-07
[21] 웹사이트 From Pacific Pivot to Green Revolution https://www.huffingt[...] Huffington Post 2013-05-30
[22] 웹사이트 Debate about North Korea reaches students, faculty https://dailyillini.[...] Daily Illini 2006-07-17
[23] 웹사이트 Contact Information: Emanuel Pastreich https://uofi.box.com[...] ACDIS, University of Illinois 2013-05-30
[24] 논문 Plans of Mice and Men: From Bench Science to Science Policy Yale University
[25] 웹사이트 Kyung Hee Faculty (P20) - Emanuel Pastreich https://com.khu.ac.k[...] Kyung Hee University
[26] Ph.D. Changes and Continuities in Second-generation Korean American Families https://books.google[...] City University of New York
[27] 웹사이트 From Hermit Kingdom to Global Hub: Seoul Reinvents its Cultural Identity https://www.koreasoc[...] The Korea Society 2006-03-29
[28] 웹사이트 KOREA Magazine March 2016 https://books.google[...] Korean Culture and Information Service 2016-04-08
[29] 서적 I Shall Fear No Evil https://books.google[...] BookBaby 2020-12-04
[30] 서적 The Novels of Park Jiwon https://books.google[...]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2011
[31] 서적 Earth Management: A Dialogue on Ancient Korean Wisdom and Its Lessons for a New Earth https://books.google[...] Best Life Media 2016
[32] 서적 Wrestling with Shadows https://books.google[...] Primedia eLaunch LLC 2020-10-02
[33] 웹사이트 한국, 춘추전국 周 닮아... 주변국에 '영감' 주는 나라 될 것 https://www.munhwa.c[...] Munhwa Ilbo 2012-11-23
[34] 웹사이트 지구경영, 홍익에서 답을 찾다 http://www.hanmunhwa[...] Hanmun Hwa 2016-03-11
[35] 서적 Buki yo saraba: chikyu ondanka no kiki to Kenpo kyujo https://books.google[...] TohoShuppan 2019-07-25
[36] 웹사이트 A tribute to my wife Seung Eun (1968-2022) https://circlesandsq[...] 2024-08-26
[37] 서적 私は悪を恐れない:2020年米国大統領選への出馬宣言 Design Egg Co. 2020-08-31
[38] 서적 パストリッチの新作 「コロナ祟りに惑う日本」出版のお知らせ https://circlesandsq[...] 2023-01-14
[39] 웹사이트 The Asia Institute https://asia-institu[...]
[40] 웹사이트 Emanuel Pastreich, Kyung Hee University https://ceas.yale.ed[...] Yale University, Council on East Asian Studies 2023-05-29
[41] 웹사이트 Grappling with Chinese Writing as a Material Language: Ogyū Sorai's Yakubunsentei https://www.jstor.or[...] Harvard Journal of Asiatic Studies 2023-05-29
[42] 뉴스 U.S. scholar explores Asian literature https://www.koreaher[...] The Korea Herald 2011-06-26
[43] 웹사이트 国際大学としての東京大学 (パストリッチの提案) https://circlesandsq[...] Circles and Squares 2014-04-19
[44] 웹사이트 これからの日韓関係に対する私の夢 https://circlesandsq[...] Circles and Squares 2016-01-08
[45] 웹사이트 これからの日韓関係に対する私の夢 https://ronbun.nijl.[...] National Institute of Japanese Literature 1993-06
[46] 웹사이트 Program in Arms Control, Domestic and International Security https://acdis.illino[...] University of Illinois 2023-05-29
[47] 웹사이트 Sovereignty, Wealth, Culture, and Technology: Mainland China and Taiwan Grapple with the Parameters of “Nation State” in the 21st Century https://www.research[...] Kyung Hee University 2023-05-29
[48] 웹사이트 韓国人だけが知らない別の大韓民国! https://kankoku-keiz[...] 韓国経済News 2013-10-04
[49] 웹사이트 福島原発事故への世紀にわたる対応 https://www.huffingt[...] Huffington Post 2013-11-09
[50] 웹사이트 The Observable Mundane: Vernacular Chinese and the Emergence of a Literary Discourse on Popular Narrative in Edo Japan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02-27
[51] 웹사이트 The Novels of Park Jiwon: Translation of Overlooked Worlds https://londonkorea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02-27
[52] 웹사이트 Marie-Louise Rouff https://mlrouff.com 2023-05-29
[53] 웹사이트 How to take down the Billionaires https://emanuelprez.[...] 2023-05-29
[54] 웹사이트 How to take down the Billionaires https://circlesandsq[...] 2023-05-29
[55] 웹사이트 How to take down the Billionaires https://circlesandsq[...] 2023-05-29
[56] 웹사이트 How to take down the Billionaires https://emanuelprez.[...] 2023-05-29
[57] 웹사이트 The Observable Mundane: Vernacular Chinese and the Emergence of a Literary Discourse on Popular Narrative in Edo Japan https://www.cambridg[...] 2023-05-29
[58] 웹사이트 如何推翻富豪阶层:-十一章行动纲要-(国际革命党 https://circlesandsq[...] Circles and Squares 2022-06-20
[59] 웹사이트 我绝不畏惧邪恶 https://emanuelprez.[...] 2023-05-29
[60] 웹사이트 “未来中国:关于人类与地球命运” 贝一明 https://circlesandsq[...] Circles and Squares 2018-11-29
[61] 웹사이트 “跨海求真 哈佛博士论中美未来 https://circlesandsq[...] Circles and Squares 2014-08-07
[62] 웹사이트 http://circlesandsqu[...] 2023-09-30
[63] 웹인용 새로운 리더십으로 아름다운 미국을 꿈꾸는 선비 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 https://circlesandsq[...] 2020-08-27
[64] 웹인용 The Asia Institute https://asia-institu[...] 2020-08-27
[65] 웹인용 세계대학으로서의 서울대학 (페스트라이쉬 의 제안) https://circlesandsq[...] 2014-05-04
[66] 웹인용 중국은 신냉전의 천적인가 https://nautilus.org[...] 2006-03-06
[67] 웹인용 The Novels of Park Jiwon https://www.google.c[...]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2011-10-03
[68] 웹인용 Wrestling with Shadows https://www.google.c[...] Primedia eLaunch LLC 2020-10-02
[69] 웹인용 I Shall Fear No Evil https://www.google.c[...] BookBaby 2020-12-04
[70] 웹인용 如何推翻富豪阶层: 十一章行动纲要 https://circlesandsq[...] 2023-07-25
[71] 웹인용 绝不畏惧邪恶 https://emanuelprez.[...] 2023-07-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