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성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임성한은 대한민국의 드라마 작가로, 1990년 KBS 드라마게임 《미로에 서서》로 데뷔했다. 1997년 MBC 베스트극장 극본 공모에서 우수작으로 당선되었으며, 이후 《보고 또 보고》, 《인어 아가씨》, 《하늘이시여》, 《오로라 공주》 등 여러 인기 드라마를 집필했다. 그의 작품들은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지만, 자극적인 소재와 설정으로 인해 '막장 드라마'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2015년 은퇴 후, 필명 '피비'로 《결혼작사 이혼작곡》 시리즈를 통해 복귀했다.
충주대학교 전자계산학과를 졸업했다. 1990년 KBS 드라마게임 〈미로에 서서〉로 드라마 작가 활동을 시작했다. 1997년에는 MBC 베스트극장 극본 공모에서 〈두 여인〉이 우수작으로 당선되었고,[25] 같은 해 MBC 베스트극장 〈확실하게〉를 집필하여 극본상을 수상했다. 이후 MBC 베스트극장에서 《솔로몬 도둑》, 《웬수》, 《섹스, 거짓말 그리고 성격차》 등을 연달아 집필했으며, 《섹스, 거짓말 그리고 성격차》에서는 '임향란'이라는 다른 필명을 사용하기도 했다.
임성한 작가는 드라마와 도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작품 활동을 이어왔다.
2. 생애
1998년 첫 장편 드라마인 MBC 일일연속극 《보고 또 보고》를 집필했다. 이 드라마는 초기 시청률 15.7%에서 시작하여 최고 57.3%의 시청률을 기록하며 큰 성공을 거두었고, 이는 역대 일일 연속극 최고 시청률로 남아있다.[2] 이 성공으로 MBC 일일연속극이 5년 만에 KBS 일일연속극의 시청률을 앞섰고, MBC 뉴스데스크의 시청률이 KBS 뉴스 9를 넘어서는 데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이후 《온달 왕자들》(2000)은 방영 초반 경쟁작에 비해 낮은 시청률로 시작했으나 점차 시청률이 상승하여 경쟁에서 우위를 점했다. 다만, 이 작품에서는 연출을 맡은 조중현 PD와 집필 방향에 대한 갈등을 겪기도 했다. 《인어 아가씨》(2002)는 장서희가 주연을 맡아 아버지에게 버림받은 딸이 복수하는 과정을 그렸으며,[3] 40%가 넘는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며 여러 차례 연장 방영되었다. 장서희는 이 작품으로 MBC 연기대상에서 대상을 수상했다. 그러나 자극적인 설정과 전개 방식으로 인해 비판을 받으며 작가에 대한 안티 카페가 처음으로 생겨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4][5]
《왕꽃 선녀님》(2004)은 이다해가 무당의 운명을 타고난 여주인공 역을 맡아 주목받았으며, 운명 극복에 대한 질문을 던졌다.[6] 《하늘이시여》(2005-2006)는 한혜숙이 자신이 버린 딸(윤정희)을 의붓아들(이태곤)과 결혼시키려는 파격적인 설정으로[7] 높은 시청률(2006년 전체 5위[8])과 함께 사회적인 논란을 일으켰다. 한혜숙은 이 드라마로 SBS 연기대상에서 대상을 수상했다.
《아현동 마님》(2007)에서는 12살 연하남과의 로맨스를 통해 나이 차이에 대한 사회적 시선을 다루었고,[9] 《보석비빔밥》(2009)은 보석 이름을 가진 네 남매의 이야기를 통해 가족의 희로애락을 그렸다.[10] 《신기생뎐》(2011)은 현대에도 기생이 존재한다는 설정으로 신인 배우 임수향과 성훈을 발탁했으며,[11] 20%가 넘는 시청률을 기록했으나 갑작스러운 초자연적 요소 도입으로 비판을 받았다.[12]
《오로라 공주》(2013)는 전소민과 오창석이 주연을 맡았으나, 극 중 12명의 등장인물이 갑작스럽게 하차하거나 사망하는 전개와 작가의 족벌주의 의혹 등으로 큰 논란을 빚었다.[13][14] 《압구정 백야》(2014-2015) 역시 복수극을 중심으로 한 자극적인 내용으로 인해 방송통신심의위원회로부터 "지나치게 폭력적이고 비윤리적"이라는 지적을 받으며 제재를 받았다.[15]
2015년 4월, MBC는 더 이상 임성한 작가와 작업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발표했고, 임성한 작가 역시 《압구정 백야》를 마지막으로 10편의 드라마 집필을 마무리하며 은퇴를 선언했다.[15] 은퇴 후 2019년 1월에는 자신의 건강 문제와 경험을 담은 책 《암세포도 생명》을 출간했다.[16]
2020년 8월, 매니지먼트사 지담Inc.와 계약을 맺고[1] 2021년 '피비'(Phoebe)라는 새로운 필명으로 TV조선 드라마 《결혼작사 이혼작곡》 시리즈를 집필하며 복귀했다.[17]
개인사로는 드라마 《하늘이시여》 촬영 중 만난 조감독 손문권과 2007년 1월 결혼했다.[18] 두 사람은 12살의 나이 차이가 있었으며, 이후 《아현동 마님》, 《보석비빔밥》, 《신기생뎐》을 함께 작업했다.[19] 그러나 2012년 1월 21일, 남편 손문권이 경기도 일산 자택에서 스스로 목숨을 끊는 사건이 발생했다.[19] 임성한 작가가 이를 발견했으며, 당시 남편의 죽음을 외부에 알리지 말아 달라고 요청하여 사망 소식은 약 한 달 뒤인 2월 13일에야 알려졌다.[20][21]
이후 2012년 3월, 손문권의 유족은 임성한 작가가 사망 사실을 늦게 알리고 장례를 비밀리에 치러 조문 기회를 박탈했다며 정신적 피해에 대한 5000만원 상당의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다.[22] 손문권의 누나는 인터뷰를 통해 두 사람의 결혼이 형식적이었으며 별거 상태였다고 주장하기도 했다.[22] 유족 측은 임성한 작가가 남편의 사인을 심장마비로 알렸다는 점과 유언장의 진정성에 의문을 제기하며 경찰에 재수사를 요청했다.[23] 2012년 10월, 검찰은 남편의 사망과 관련하여 임성한 작가에게 혐의가 없다고 결론 내렸고, 손문권의 사망 원인은 자살로 공식 확인되었다.[24]
3. 작품 목록
3. 1. 드라마
충주대학교 전자계산학과를 졸업했다. 1990년 KBS 드라마게임 〈미로에 서서〉로 드라마 작가 활동을 시작했다. 1997년 MBC 베스트극장 극본 공모에서 〈두 여인〉이 우수작으로 당선되었고,[25] 이후 MBC 베스트극장에서 〈솔로몬 도둑〉, 〈웬수〉, 〈섹스, 거짓말 그리고 성격차〉 등을 연달아 집필했다. 이 시기 〈섹스, 거짓말 그리고 성격차〉에서는 '''임향란'''이라는 다른 필명을 사용하기도 했다. 단막극에서의 성공을 바탕으로 1998년 첫 장편 드라마인 MBC 일일연속극 《보고 또 보고》를 집필하게 되었다.
임성한 작가는 집필하는 드라마마다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며 큰 인기를 얻었지만, 동시에 파격적인 소재와 전개 방식으로 인해 많은 논란을 낳기도 했다.
시청률첫 장편 드라마 《보고 또 보고》는 첫 방송 시청률 15.7%로 시작했으나, 최고 시청률 57.3%를 기록하며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이는 역대 일일 연속극 최고 시청률 기록으로 남아있다.[2] 이 드라마의 성공으로 MBC 일일연속극은 5년 만에 KBS 일일연속극의 시청률을 앞질렀으며, 《MBC 뉴스데스크》의 시청률이 《KBS 뉴스 9》를 넘어서는 데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후속작 《온달 왕자들》 역시 초기에는 경쟁작 KBS 《좋은걸 어떡해》(37.5%)에 비해 낮은 시청률(13.4%)로 시작했지만, 점차 시청률이 상승하여 경쟁작을 역전하고 인기를 얻었다. 이후 《인어 아가씨》, 《왕꽃 선녀님》, 《하늘이시여》 등도 방영 초반에는 비교적 낮은 시청률을 보였으나, 회차가 진행되면서 시청률이 꾸준히 상승하여 30% 이상의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였다.
《보고 또 보고》와 《인어 아가씨》의 연이은 성공으로 임성한 작가는 인기 작가 반열에 올랐으며, 방송사에서 별도의 시놉시스 없이 편성을 내줄 정도의 영향력을 갖게 되었다. 임성한 작가는 방송 직후 분당 시청률표를 분석하여 시청자 반응이 좋은 부분을 다음 회차 집필에 반영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논란임성한 작가의 드라마는 높은 시청률에도 불구하고 자극적인 소재와 비현실적인 전개, 등장인물의 갑작스러운 죽음 등으로 인해 방영 내내 논란의 중심에 서는 경우가 많았다. 초기 작품에서는 독특한 설정과 흥미로운 복선 등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기도 했으나, 점차 자극적인 설정과 대사에 의존하는 경향이 강해졌다는 비판을 받았다. 특히 《아현동 마님》 이후 작품부터는 스토리의 개연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제기되었다.[26][27]
은퇴 선언과 복귀《압구정 백야》 종영 후인 2015년 4월, MBC가 더 이상 임성한 작가와 작업하지 않겠다고 발표하자, 임성한 작가는 10편의 드라마를 끝으로 은퇴하겠다는 입장을 밝히며 드라마 업계를 떠났다.[15]
그러나 2021년, '''피비'''(Phoebe)라는 새로운 필명으로 TV조선 주말 미니시리즈 《결혼작사 이혼작곡》 시리즈를 집필하며 6년 만에 복귀했다.[1][17] 이후 《아씨두리안》 등을 연이어 집필하며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작품 목록연도 방송사 제목 비고 1990년 KBS2 드라마게임 - 미로에 서서 데뷔작 1994년 KBS2 드라마게임 - 이브의 반란 1997년 MBC 베스트극장 - 두 여인 극본 공모 우수작[25] 베스트극장 - 솔로몬 도둑 베스트극장 - 웬수 베스트극장 - 섹스, 거짓말 그리고 성격차 임향란 필명 사용 베스트극장 - 가시버시 1998년 ~ 1999년 MBC 보고 또 보고 첫 장편 드라마, 역대 일일극 최고 시청률 (57.3%) 1999년 MBC 베스트극장 - 남몰래 흐르는 눈물 (원문: 비밀의 눈물) 2000년 ~ 2001년 MBC 온달 왕자들 (원문: 어리석은 왕자들) 2002년 ~ 2003년 MBC 인어 아가씨 2004년 ~ 2005년 MBC 왕꽃 선녀님 (원문: 하늘이시여 (MBC)) 2005년 ~ 2006년 SBS 하늘이시여 2007년 ~ 2008년 MBC 아현동 마님 (원문: 반전 드라마, 애정의 조건) 2009년 ~ 2010년 MBC 보석비빔밥 2011년 SBS 신기생뎐 2013년 MBC 오로라 공주 2014년 ~ 2015년 MBC 압구정 백야 은퇴 선언 전 마지막 작품 2021년 ~ 2022년 TV조선 결혼작사 이혼작곡 피비(Phoebe) 필명 사용, 복귀작 결혼작사 이혼작곡 2 결혼작사 이혼작곡 3 2023년 TV조선 아씨두리안
3. 2. 도서
4. 작가적 특징
충주대학교 전자계산학과를 졸업하고 1990년 KBS 드라마게임 〈미로에 서서〉를 통해 드라마 작가로 데뷔했다. 1997년 MBC 베스트극장 극본 공모에서 〈두 여인〉이 우수작으로 당선되었고,[25] 이후 단막극 《솔로몬 도둑》, 《웬수》, 《섹스, 거짓말 그리고 성격차》 등을 연달아 집필하며 활동을 시작했다. 이 시기 '임향란'이라는 다른 필명을 사용하기도 했다.
첫 장편 드라마 보고 또 보고(1998)가 최고 시청률 57.3%를 기록하며 역대 일일 연속극 최고 시청률 기록을 세우는 등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이후 《온달 왕자들》, 《인어 아가씨》, 《왕꽃 선녀님》, 《하늘이시여》 등 집필하는 작품 대부분이 평균 20~30%대의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며 대중적인 인기와 영향력을 지닌 흥행 작가로 자리매김했다. 특별한 시놉시스 없이도 방송사 편성을 받을 정도였으며, 방송 후 분당 시청률 표를 면밀히 분석하여 다음 회차 구성에 반영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그러나 동시에 파격적이고 자극적인 소재, 비현실적이거나 개연성이 부족한 전개 방식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논란의 중심에 서기도 했다. 작품 대부분이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지만, 불륜, 복수, 출생의 비밀, 근친상간 등 소위 '막장'으로 불리는 자극적인 요소를 반복적으로 사용한다는 비판을 시청자와 언론으로부터 꾸준히 받는다.[7] 초기에는 독특한 설정과 흥미로운 이야기 전개로 긍정적인 평가도 있었으나, 점차 자극적인 설정과 대사에만 의존하며 이야기의 완성도가 떨어진다는 평가도 제기되었으며, 특히 《아현동 마님》 이후 작품부터는 이야기 구성이 빈약해졌다는 지적도 있다.[26][27]
2015년 《압구정 백야》를 끝으로 은퇴를 선언했으나, 2021년 '피비(Phoebe)'라는 새 필명으로 《결혼작사 이혼작곡》 시리즈를 집필하며 복귀했다.
4. 1. 작품 경향
임성한 작가는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는 인기 작가로 평가받는 동시에, 파격적인 전개와 소재로 인해 '막장' 논란이 끊이지 않는 작가이기도 하다.1997년 MBC 베스트극장 극본 공모 당선 후 《솔로몬 도둑》, 《웬수》 등을 연달아 집필했으며, 《섹스, 거짓말 그리고 성격차》에서는 '임향란'이라는 다른 필명을 사용하기도 했다. 첫 장편 드라마인 보고 또 보고(1998)는 첫 방송 시청률 15.7%로 시작했으나 최고 57.3%라는 기록적인 시청률을 달성했는데, 이는 역대 일일 연속극 최고 시청률 기록이다.[2] 이 성공으로 MBC 뉴스데스크 시청률이 KBS 뉴스 9를 앞서는 등 큰 영향을 미쳤다. 이후 온달 왕자들, 인어 아가씨, 왕꽃 선녀님, 하늘이시여 등 다수의 작품이 초반의 부진을 딛고 30% 이상의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며 흥행에 성공했다. 이러한 성공 덕분에 방송사에서 특별한 시놉시스 없이 편성을 받을 정도로 영향력 있는 작가로 자리매김했으며, 방송 후 시청률 표를 분석하여 다음 회차에 반영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높은 시청률만큼이나 작품 내용과 전개 방식에 대한 비판 역시 꾸준히 제기되었다. 초기 작품부터 자극적인 소재와 설정으로 논란이 있었으며, 인어 아가씨(2002) 방영 당시에는 내용상의 비현실성(딸기를 칫솔로 닦는 장면, 자폐증 발병 원인 묘사 등)과 개연성 부족 등을 이유로 한국 드라마 작가 최초의 안티 카페인 '안티 임성한 카페'가 개설되기도 했다.[4][5] 하늘이시여(2005-2006)에서는 자신이 버린 친딸을 현재 의붓아들과 맺어준다는 설정으로 '근친' 논란[7]이 일었으며, 신기생뎐(2011)에서는 갑작스러운 초자연적 요소의 등장으로 비판받았다.[12] 특히 오로라 공주(2013)에서는 등장인물 12명을 갑자기 사망시키는 전개와 족벌주의 논란[14]으로 큰 파장을 일으켰고, 압구정 백야(2014-2015)는 복수 중심의 전개가 지나치게 폭력적이고 비윤리적이라는 이유로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제재를 받기도 했다.[15] 이러한 논란은 주로 불륜, 복수, 출생의 비밀, 비현실적인 설정 등 소위 '막장' 요소의 과도한 사용에서 비롯된다는 지적이 많다.[7]
초기에는 독특한 설정과 복선, 흥미로운 이야기 전개로 장점이 많은 작가라는 평가도 있었으나, 점차 자극적인 설정과 대사에만 의존하는 경향이 강해졌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특히 아현동 마님(2007) 이후 작품부터는 이야기 구성이 빈약해졌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26][27]
2015년 압구정 백야를 끝으로 은퇴를 선언했으나, 2021년 '피비(Phoebe)'라는 필명으로 결혼작사 이혼작곡 시리즈를 집필하며 복귀했다.
4. 2. 제목의 특징
《신기생뎐》과 《결혼작사 이혼작곡》을 제외한 대부분의 작품 제목은 다섯 글자이다. 《아씨 두리안》, 《압구정 백야》, 《오로라 공주》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4. 3. 등장인물의 특징
- 작중 등장하는 가정부 자녀의 이름에는 '동'자가 들어가는 경우가 많다. (예: 인어 아가씨 - 동진엄마, 하늘이시여 - 동철엄마, 압구정 백야 - 동민엄마)
- '라'로 끝나는 이름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예: 아씨두리안 - 아일라, 신기생뎐 - 금라라, 아현동 마님 - 부길라, 인어 아가씨 - 금실라)
- 최씨 성을 가진 인물은 잘 등장하지 않는다.
- 자주 사용하는 등장인물의 성씨는 다음과 같다.
성씨 | 등장 예시 (작품명 - 인물명) |
---|---|
이 | 아씨두리안 - 이은성, 결혼작사 이혼작곡 - 이시은, 오로라공주 - 이안나, 보석비빔밥 - 이강지, 아현동 마님 - 이연지, 하늘이시여 - 이자경, 인어 아가씨 - 이주왕, 온달 왕자들 - 이일인, 보고 또 보고 - 이승미 |
백 | 아씨두리안 - 백도이, 압구정 백야 - 백야, 신기생뎐 - 백수정, 보석비빔밥 - 백조, 아현동 마님 - 백시향, 인어 아가씨 - 백수림 |
오 | 결혼작사 이혼작곡 - 오들희, 오로라공주 - 오로라, 압구정 백야 - 오달란, 신기생뎐 - 오화란, 아현동 마님 - 오미라, 보고 또 보고 - 오선남 |
서 | 결혼작사 이혼작곡 - 서반, 압구정 백야 - 서은하, 보석비빔밥 - 서영국, 신기생뎐 - 서생강, 아현동 마님 - 서마담 |
사 | 결혼작사 이혼작곡 - 사피영, 압구정 백야 - 사진홍, 오로라공주 - 사임당, 아현동 마님 - 사비나, 온달 왕자들 - 사비나 |
노 | 결혼작사 이혼작곡 - 노필재, 압구정 백야 - 노마주, 오로라공주 - 노다지, 신기생뎐 - 노은자, 왕꽃 선녀님 - 노방림 |
지 | 하늘이시여 - 지영선, 결혼작사 이혼작곡 - 지수희, 신기생뎐 - 지화자, 보고 또 보고 - 지경옥 |
마 | 인어 아가씨 - 마마준, 신기생뎐 - 마이준, 보석비빔밥 - 마예순, 보고 또 보고 - 마송자 |
장 | 아씨두리안 - 장세미, 압구정 백야 - 장화엄, 오로라공주 - 장푸르메, 신기생뎐 - 장주희, 아현동 마님 - 장여사, 왕꽃 선녀님 - 장시애 |
모 | 결혼작사 이혼작곡 - 모서리, 하늘이시여 - 모란실, 왕꽃 선녀님 - 모여주 |
부 | 결혼작사 이혼작곡 - 부혜령, 왕꽃 선녀님 - 부용화, 아현동 마님 - 부길라 |
신 | 결혼작사 이혼작곡 - 신유신, 신기생뎐 - 신효리, 아현동 마님 - 신숙영 |
조 | 결혼작사 이혼작곡 - 조웅, 압구정 백야 - 조지아, 아현동 마님 - 조석기 |
황 | 오로라공주 - 황마마, 압구정 백야 - 황유라, 신기생뎐 - 황예린, 온달 왕자들 - 황금철 |
유 | 압구정 백야 - 유레카, 보석비빔밥 - 유병훈, 온달 왕자들 - 유상수 |
박 | 결혼작사 이혼작곡 - 박해륜, 보고 또 보고 - 박기정, 오로라 공주 - 박지영 |
김 | 결혼작사 이혼작곡 - 김동미, 아씨두리안 - 김소저, 오로라공주 - 김선미, 아현동 마님 - 김혜나, 하늘이시여 - 김청하 |
강 | 하늘이시여 - 강예리, 온달 왕자들 - 강현주, 보고 또 보고 - 강시희 |
윤 | 결혼작사 이혼작곡 - 윤변, 오로라공주 - 윤해기, 인어 아가씨 - 윤진경 |
성 | 오로라공주 - 성종, 신기생뎐 - 성아미 |
단 | 아씨두리안 - 단치감, 신기생뎐 - 단사란 |
판 | 결혼작사 이혼작곡 - 판사현, 왕꽃 선녀님 - 판정수 |
아 | 신기생뎐 - 아다모, 아씨두리안 - 아일라 |
금 | 신기생뎐 - 금라라, 인어 아가씨 - 금실라 |
은 | 인어 아가씨 - 은아리영, 오로라공주 - 은단표 |
도 | 압구정 백야 - 도미솔, 아현동 마님 - 도담 |
옥 | 압구정 백야 - 옥단실, 보석비빔밥 - 옥동자 |
왕 | 오로라공주 - 왕여옥, 하늘이시여 - 왕마리아 |
주 | 온달 왕자들 - 주장미, 왕꽃 선녀님 - 주행자 |
설 | 오로라공주 - 설설희, 보석비빔밥 - 설황도 |
문 | 왕꽃 선녀님 - 문희강, 압구정 백야 - 문정애 |
한 | 오로라공주 - 한수다, 신기생뎐 - 한순덕 |
안 | 압구정 백야 - 안수산나, 인어 아가씨 - 안형선 |
- 작가는 선역으로, 아나운서는 악역으로 등장하는 경우가 많다.
- 극중 인물이 갑자기 배우가 되는 설정도 자주 사용된다.
- 등장인물의 직업군으로는 다음과 같은 예시가 있다.
- * 작가: 보고 또 보고 - 정금주, 인어 아가씨 - 은아리영, 보석비빔밥 - 궁비취, 오로라공주 - 황마마, 압구정 백야 - 정삼희, 결혼작사 이혼작곡 - 이시은
- * PD: 결혼작사 이혼작곡 - 사피영, 압구정 백야 - 장화엄, 오로라공주 - 윤해기, 인어 아가씨 - 안형선
- * 배우: 아씨두리안 - 단등명, 결혼작사 이혼작곡 - 남가빈, 압구정 백야 - 조지아, 아현동 마님 - 이연지, 하늘이시여 - 김청하, 오로라공주 - 오로라, 인어 아가씨 - 심수정
- * 기자: 하늘이시여 - 구왕모, 인어 아가씨 - 이주왕
- * 아나운서: 아씨두리안 - 아일라, 결혼작사 이혼작곡 - 부혜령, 하늘이시여 - 강예리
- * 신문사: 태양일보 (인어 아가씨, 압구정 백야)
- * 법조인: 결혼작사 이혼작곡 - 판사현, 아현동 마님 - 백시향, 보고 또 보고 - 박기정
- * 의사: 아씨두리안 - 단치강, 결혼작사 이혼작곡 - 신유신, 오로라공주 - 박사공, 신기생뎐 - 오진암, 보석비빔밥 - 유병훈, 아현동 마님 - 부희라, 하늘이시여 - 강동춘, 온달 왕자들 - 주창균, 보고 또 보고 - 이승미
- * 간호사: 보석비빔밥 - 궁루비, 보고 또 보고 - 정은주
- * 무용수: 신기생뎐 - 단사란, 보고 또 보고 - 박기풍
- * 메이크업 아티스트: 하늘이시여 - 이자경, 오로라공주 - 장푸르메
- * 디자이너: 오로라공주 - 박주리, 신기생뎐 - 단공주, 인어 아가씨 - 조수아
- * 재벌: 아씨두리안 - 단치감, 신기생뎐 - 아다모
- * 교수: 결혼작사 이혼작곡 - 박해륜, 왕꽃 선녀님 - 판정수
- 여러 작품에 걸쳐 동일한 이름을 가진 인물이 등장하기도 한다.
- * 수정: 결혼작사 이혼작곡 - 이수정, 압구정 백야 - 김수정, 오로라공주 - 오수정, 신기생뎐 - 백수정, 인어 아가씨 - 심수정
- * 사현: 결혼작사 이혼작곡 - 판사현, 아현동 마님 - 김사현, 하늘이시여 - 구사현, 보석비빔밥 - 홍사현
- * 선미: 온달 왕자들 - 주선미, 오로라공주 - 김선미, 보석비빔밥 - 명선미
- * 비나: 결혼작사 이혼작곡 - 사비나, 아현동 마님 - 사비나, 온달 왕자들 - 사비나
- * 효경: 압구정 백야 - 김효경, 하늘이시여 - 김효경
- * 지아: 결혼작사 이혼작곡 - 신지아, 압구정 백야 - 조지아
- * 무빈: 오로라공주 - 설무빈, 왕꽃 선녀님 - 김무빈
- * 시몽: 오로라공주 - 황시몽, 왕꽃 선녀님 - 장시몽
- * 영상: 아현동 마님 - 부영상, 왕꽃 선녀님 - 판영상
- * 미녀: 아현동 마님 - 백미녀, 왕꽃 선녀님 - 한미녀
- * 강숙: 오로라공주 - 이강숙, 인어 아가씨 - 강숙
- * 카일: 신기생뎐 - 카일, 보석비빔밥 - 카일
- * 설국: 오로라공주 - 설국, 아현동 마님 - 설국
- * 은성: 아씨두리안 - 이은성, 신기생뎐 - 은성그룹
- * 은아: 인어 아가씨 - 은아, 오로라공주 - 은아
4. 4. 극중 드라마
- 알타이르: 로라가 출연하는 드라마 제목
- 영국 아가씨: 지영이 출연하는 드라마 제목
- 늙은 아씨들: 비취가 집필하는 드라마 제목
- 사랑의 기쁨: 아리영이 집필하는 드라마 제목
5. 임성한 사단
배우 | 출연 작품 |
---|---|
금단비 | 하늘이시여, 아현동 마님, 압구정 백야 |
김병기 | 인어 아가씨, 왕꽃 선녀님, 아현동 마님 |
김보연 | 아현동 마님, 신기생뎐, 오로라 공주, 결혼작사 이혼작곡 시리즈 |
김혜선 | 온달 왕자들, 신기생뎐, 왕꽃 선녀님 |
백옥담 | 아현동 마님, 신기생뎐, 오로라 공주, 압구정 백야 |
박근형 | 온달 왕자들, 인어 아가씨, 보석비빔밥 |
박준면 | 아현동 마님, 신기생뎐, 결혼작사 이혼작곡 시리즈 |
사미자 | 보고 또 보고, 인어 아가씨, 왕꽃 선녀님 |
서우림 | 신기생뎐, 보석비빔밥, 오로라 공주 |
원종례 | 하늘이시여, 신기생뎐, 보석비빔밥, 오로라 공주, 압구정 백야 |
윤해영 | 보고 또 보고, 압구정 백야, 결혼작사 이혼작곡 시리즈, 아씨두리안 |
이가령 | 오로라 공주, 압구정 백야, 결혼작사 이혼작곡 시리즈 |
이대로 | 보고 또 보고, 하늘이시여, 신기생뎐 |
이보희 | 하늘이시여, 아현동 마님, 압구정 백야 |
이숙 | 보고 또 보고, 온달 왕자들, 인어아가씨, 하늘이시여, 신기생뎐, 결혼작사 이혼작곡 시리즈 |
이태곤 | 하늘이시여, 보석비빔밥, 결혼작사 이혼작곡 시리즈 |
정보석 | 보고 또 보고, 온달 왕자들, 인어 아가씨 |
정혜선 | 하늘이시여, 보석비빔밥, 압구정 백야, 왕꽃 선녀님 |
최선자 | 인어 아가씨, 아현동 마님, 신기생뎐 |
최재호 | 보석비빔밥, 인어아가씨, 아현동 마님, 온달왕자들 |
한진희 | 하늘이시여, 보석비빔밥, 신기생뎐, 압구정 백야, 왕꽃 선녀님, 결혼작사 이혼작곡 시리즈 |
한혜숙 | 인어 아가씨, 하늘이시여, 보석비빔밥, 왕꽃 선녀님 |
6. 논란
임성한 작가는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며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지만, 작품의 내용과 전개 방식, 그리고 개인사를 둘러싸고 끊임없이 논란의 중심에 섰다.
초기 작품부터 논란은 존재했다. 첫 장편 드라마 《보고 또 보고》는 역대 일일극 최고 시청률(57.3%)을 기록하는 큰 성공을 거두었으나, 방영 당시 평론가들 사이에서는 그해 최악의 드라마 중 하나로 꼽히기도 했다.[2] 《온달 왕자들》 집필 당시에는 연출을 맡은 PD와 극 전개를 두고 갈등을 겪기도 했다.
임성한 작가 특유의 자극적인 소재와 파격적인 설정은 《인어 아가씨》 때부터 두드러졌다. 복수를 위해 이복동생의 약혼자를 빼앗는 설정[3] 등은 높은 시청률을 견인했지만, 동시에 비판에 직면했다. 이 시기 한국 드라마 작가 최초로 '안티 임성한 카페'라는 인터넷 커뮤니티가 개설되었고[4], 비현실적인 설정(자폐증 원인 묘사, 딸기 세척 장면 등)은 조롱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5] 이후 《왕꽃 선녀님》에서는 무속신앙을 소재로 삼았으며[6], 《하늘이시여》는 자신이 버린 친딸을 의붓아들과 결혼시킨다는 설정으로 '부도덕', '근친상간' 논란을 일으켰다.[7] 이러한 논란은 높은 관심을 불러일으켜 2006년 한국 TV 프로그램 중 시청률 5위를 기록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8]
후기 작품으로 갈수록 논란은 더욱 심화되었다. 《신기생뎐》에서는 갑작스러운 초자연적 요소의 등장으로 비판받았고[12], 《오로라 공주》에서는 무려 12명의 등장인물을 갑작스럽게 죽음으로 하차시키는 전개와 특정 배우의 가족을 출연시킨다는 족벌주의 의혹으로 큰 파장을 일으켰다.[14] 또한 "암세포도 생명"이라는 대사는 사회적으로 큰 논란을 낳았다.[16] 《압구정 백야》는 복수극의 폭력성과 비윤리성으로 인해 방송통신심의위원회로부터 제재를 받기도 했다.[15] 이러한 일련의 논란 끝에 MBC는 임성한 작가와 더 이상 작업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고, 임성한 작가 역시 은퇴를 선언했다.[15] 이후 필명을 '피비'(Phoebe)로 바꾸고 복귀했다.
개인사와 관련해서도 큰 논란이 있었다. 2007년 결혼한 남편 손문권 PD가 2012년 1월 경기도 고양시 일산 자택에서 스스로 목숨을 끊은 사건[19]과 관련하여, 임성한 작가가 사망 사실을 뒤늦게 알리고 장례를 비밀리에 치렀다는 점[20][21] 등이 문제가 되었다. 손 PD의 유족들은 임성한 작가가 고인의 명예를 훼손하고 조문 기회를 박탈했다며 5000만원의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다.[22] 유족 측은 두 사람의 결혼이 형식적이었으며 별거 상태였다고 주장했고[22], 임성한 작가가 사인을 심장마비로 속였다는 의혹과 유서의 진위 여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며 경찰에 재수사를 요청하기도 했다.[23] 검찰은 재수사 끝에 타살 혐의가 없다고 보고 자살로 결론 내렸으나[24], 유족과의 민사 소송은 계속되었다.
6. 1. 자극적인 소재와 설정
임성한 작가는 대부분의 작품이 평균 20~30%의 시청률을 기록하며 흥행 작가로 평가받는다. 그러나 작품 내용 면에서는 논란이 끊이지 않는데, 이는 소위 '막장 드라마'로 불리는 자극적인 전개를 과도하게 사용한다는 비판 때문이다. 이러한 자극적인 요소로는 불륜, 복수, 강간, 출생의 비밀, 치명적인 질병, 근친상간 등이 자주 언급되며, 이로 인해 시청자와 언론으로부터 지속적인 비판을 받아왔다.[7]6. 2. '막장 드라마' 논란
임성한 작가는 대부분의 작품에서 평균 20~30%대의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며 흥행 작가로 평가받는다. 하지만 자극적인 이야기 전개 방식으로 인해 논란의 중심에 서기도 한다. 특히 불륜, 복수, 강간, 출생의 비밀, 불치병, 근친상간 등 소위 '막장 드라마'로 불리는 선정적인 소재를 과도하게 사용한다는 점에서 시청자와 언론의 비판을 받았다.[7]7. 수상
wikitext
연도 | 시상식/공모 | 수상 내역 |
---|---|---|
1997년 | MBC 베스트극장 극본 공모 | 우수작 당선 - 〈두 여인〉[25] |
1998년 | MBC 연기대상 | 드라마 작가 부문 특별상 |
2002년 | MBC 연기대상 | 드라마 작가 부문 특별상 |
참조
[1]
웹사이트
'절필 선언' 임성한 작가, 드라마 제작사 지담과 계약…'내년 상반기 목표 기획 중'
https://m.sedaily.co[...]
2020-08-05
[2]
웹사이트
Notorious drama writer returns with health book
https://www.koreatim[...]
2019-01-04
[3]
웹사이트
Getting even is never having to say sorry
http://koreajoongang[...]
2003-03-12
[4]
웹사이트
Daum 카페
http://cafe.daum.net[...]
[5]
웹사이트
Viewers Launch Massive Cyber Attack against TV Series ''The Mermaid''
http://english.donga[...]
2003-05-27
[6]
웹사이트
Kim Sung-tak to Play Lead In MBC's ''Fairy of the Flower King''
http://english.donga[...]
2004-05-04
[7]
웹사이트
New SBS Drama Sparks Morality Controversy Even Before Its First Episode Airs
http://english.donga[...]
2005-09-08
[8]
웹사이트
Dramas Sweep the Top 10 Ratings List
http://english.kbs.c[...]
2007-02-05
[9]
웹사이트
Opposites Attract
http://content.mbc.c[...]
[10]
웹사이트
Network to Bring New Sitcom, Dramas
https://www.koreatim[...]
2009-09-01
[11]
웹사이트
Lineup of Korean dramas for the 1st half of 2011
http://www.asiae.co.[...]
2011-11-22
[12]
웹사이트
''New Gisaeng Story'' increases in rate despite issue about ghost appearances
http://www.hancinema[...]
2011-07-10
[13]
웹사이트
TV dramas use similar names for main characters
http://english.donga[...]
2013-09-12
[14]
웹사이트
Hallyu drama ''Princess Aurora'' defamed for vicious cast-kill
https://www.koreatim[...]
2013-07-17
[15]
웹사이트
Censured drama writer to step down
http://koreajoongang[...]
2015-04-24
[16]
웹사이트
Notorious drama writer returns with health book
https://www.koreatim[...]
[17]
웹사이트
[공식] 임성한 작가 신작 '결혼작사 이혼작곡' 성훈→박주미 캐스팅 확정
https://www.chosun.c[...]
2020-10-14
[18]
문서
Also romanized as Son Mun-gwon.
[19]
웹사이트
Drama producer Son committed suicide Jan. 21
https://koreatimes.c[...]
2012-02-13
[20]
웹사이트
''New Tales of Gisaeng'' Producer Committed Suicide in January
http://mwave.interes[...]
2012-02-13
[21]
웹사이트
Suspicions arise over the death of program director Son Moon-kwon
http://koreajoongang[...]
2012-02-14
[22]
웹사이트
Son Moon Kwon and Im Sung Han Were In Contract Marriage?
http://mwave.interes[...]
2012-03-13
[23]
웹사이트
Family of Son Moon-kwon doubts legitimacy of his will, to sue widow
http://koreajoongang[...]
2012-03-13
[24]
웹사이트
Lim Seong-han cleared over husband's death
http://koreajoongang[...]
2012-10-16
[25]
뉴스
베스트극장 극본공모 최우수작에 이한호씨'전등사'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1997-06-18
[26]
뉴스
2003년 최악의 프로그램 MBC ‘인어 아가씨’
https://news.naver.c[...]
경향신문
2003-12-18
[27]
뉴스
임성한 특기, 논란 만들기의 문제는?…끝없는 논란들의 문제
https://news.naver.c[...]
마이데일리
2008-02-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