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근형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1940년 전라북도 정읍에서 태어나 휘문고등학교 연극반에서 활동했으며, 중앙대학교 연극영화과를 졸업했다. 1963년 KBS 공채 탤런트로 데뷔하여 국립극단 주역 배우로 활동했으며, 영화와 드라마, 연극, 예능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연기 경력을 쌓았다. 1968년 동아연극상, 1974년 대종상 남우주연상, 2016년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남우주연상 등을 수상했으며, 2017년에는 은관문화훈장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라벌예술초급대학 동문 - 김복희 (배우)
김복희는 1953년 연극배우로 데뷔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한 대한민국의 배우이며, 현재는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에 거주하고 있다. - 서라벌예술초급대학 동문 - 전양자
전양자는 1962년 연극 배우로 데뷔하여 1965년 TBC 공채 탤런트로 정식 입문, 1966년 영화 데뷔 후 드라마와 영화, 연극에서 활동했으나, 구원파 논란과 세월호 침몰 사고 연루 의혹으로 어려움을 겪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대종상 남우조연상 수상자 - 김주혁
김주혁은 1998년 SBS 공채 탤런트로 데뷔하여 영화, 드라마, 예능 등 다방면에서 활동했으며, 《1박 2일》 출연으로 대중적인 사랑을 받았으나 2017년 교통사고로 사망했다. - 대종상 남우조연상 수상자 - 허준호
허준호는 서울예술대학교 출신으로 1986년 데뷔하여 영화, 드라마, 뮤지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연기력을 인정받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대종상 남우주연상 수상자 - 이병헌
1991년 KBS 공채 탤런트로 데뷔한 대한민국의 배우 이병헌(1970년 ~ )은 드라마와 영화에서 흥행과 비평 모두 성공하고 할리우드에도 진출했으며, BH 엔터테인먼트 설립과 사회 공헌 활동도 이어오고 있다. - 대종상 남우주연상 수상자 - 송강호
송강호는 1990년 연극 배우로 데뷔하여 영화 《돼지가 우물에 빠진 날》로 스크린에 데뷔, 다수의 흥행작에 출연하며 국민 배우로 자리매김하고, 《기생충》으로 칸 영화제 남우주연상을 수상한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박근형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박근형 |
출생일 | 1940년 6월 7일 |
출생지 | 일제강점기 전라북도 정읍군 정주읍 수성리 |
직업 | 배우 |
활동 기간 | 1963년–현재 |
다른 이름 | 박근형 (Park Keun-hyong) |
배우자 | 알려진 정보 없음 |
소속사 | SB 엔터테인먼트 |
학력 | 중앙대학교 - 연극영화학과 |
자녀 | 박상훈 (아들), 윤상훈 (아들) |
종교 | 천주교(세례명: 베드로) |
수상 | [[File:ROK_Order_of_Cultural_Merit_Eun-gwan_(2nd_Class)_ribbon.PNG|border|23px]] 은관문화훈장 (2017) |
한국어 이름 정보 | |
한글 | 박근형 |
로마자 표기 | Bak Geun-hyeong |
매큔-라이샤워 표기 | Pak Kŭn-hyŏng |
2. 학력
3. 경력
박근형은 1963년 KBS 3기 공채 탤런트로 데뷔했다.[5] 1960년대 국립극단의 주역 배우 중 한 명으로, 1964년부터 1967년까지 국립극단 단원으로 활동했다. 1968년에는 민중극장에서 공연된 연극 '실과 바늘의 운동'에서 금오봉 역을 맡아 동아연극상 남자연기상을 수상했다. 1969년에는 이성구 감독의 영화 '지하실의 7인'으로 스크린에 데뷔했으며, 1974년에는 영화 '화가 이중섭'으로 대종상 남우주연상을 수상했다.
3. 1. 초기 활동 (1960년대 ~ 1970년대)
그는 일제강점기인 1940년 전라북도 정읍군 정주읍 수성리(현재 정읍시 수성동)에서 태어났다. 중학교 졸업 후 휘문고등학교에서 수학했다. 휘문고등학교 연극반에서 활동했다. 이후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의 전신인 서라벌예술대학 연극영화과를 졸업하고, 졸업 후 국립극단 단원이 되었다. 박근형은 1963년 KBS 3기 공채 탤런트로 데뷔했다.[5]1964년 국립극단에 입단하여 1967년까지 활동했다. 1968년 민중극장에서 공연된 연극 '실과 바늘의 운동'에서 금오봉 역을 맡아 동아연극상 남자연기상을 수상했다.
1969년 이성구 감독의 걸작으로 꼽히는 영화 '지하실의 7인'으로 스크린에 데뷔했다. 1974년 영화 '화가 이중섭'으로 대종상 남우주연상을 수상했다.
3. 2. 전성기 (1980년대 ~ 2000년대)
박근형은 1960년대 국립극단의 주역 배우 중 한 명이었다. 1964년 국립극단에 입단하여 1967년까지 활동했다. 1968년 민중극장에서 공연된 연극 '실과 바늘의 운동'에서 금오봉 역을 맡아 동아연극상 남자연기상을 수상했다.[5]1969년 이성구 감독의 영화 '지하실의 7인'으로 스크린에 데뷔했다. 1974년 영화 '화가 이중섭'으로 대종상 남우주연상을 수상했다.[5]
3. 3. 최근 활동 (2010년대 ~ 현재)
박근형은 1969년 이성구 감독의 영화 '지하실의 7인'으로 스크린에 데뷔했다.[5] 1974년에는 영화 '화가 이중섭'으로 대종상 남우주연상을 수상했다.4. 출연 작품
박근형은 1963년 KBS 3기 공채 탤런트로 데뷔했으며,[5] 1969년 영화 《지하실의 7인》으로 스크린에 데뷔했다.[5]
4. 1. 드라마
연도 | 제목 | 배역 | 비고 |
---|---|---|---|
1969 | TBC 사극 《춘하추동》 | ||
1969 | MBC 개국특집극 《사랑하는 갈대》 | ||
1969 | MBC 일일연속극 《언젠가 한 번쯤은》 | ||
1969 | MBC 일일연속극 《태평천하》 | ||
1969 | MBC 자유무대 《망향초》 | ||
1969 | MBC 일일연속극 《개구리 남편》 | ||
1969 | MBC 화요연속극 《유랑극단》 | ||
1969 | MBC 토요연속극 《회심곡》 | ||
1970 | MBC 일일연속극 《어명》 | ||
1970 | MBC 목요 연속 사극 《석양의 나그네》 | ||
1971 | MBC 목요연속극 《돌개바람》 | ||
1972 | KBS 금요드라마 《임진왜란》 | ||
KBS 일일연속극 《여로》 | |||
MBC 일일연속극 《갈대의 노래》 | |||
1973 | KBS 실화극장 《구룡반도》 | ||
KBS 일요사극 《어사》 | |||
KBS 주간연속극 《세종대왕》 | 양녕대군 이제 역 | ||
1974 | KBS KBS무대 《전화》, 《어떤 부부》, 《계집 하인》, 《날개》 | ||
KBS 일일연속극 《꽃피는 팔도강산》 | |||
KBS 일일연속극 《에루야》 | |||
MBC 일일연속극 《수선화》 | |||
1975 | MBC 일일연속극 《안녕》 | ||
KBS KBS무대 《무정》 | |||
1975 | TBC 주간연속극 《셋방살이》 | ||
1976 | TBC 일일연속극 《풍운백년》 | ||
1976 | TBC 주말연속극 《결혼행진곡》 | ||
1977 | MBC 주말연속극 《후회합니다》 | 이준우 역 | |
1978 | MBC 주말연속극 《청춘의 덫》 | 노영국 역 | |
MBC 일일연속극 《미소》 | |||
MBC 일일연속극 《행복을 팝니다》 | |||
MBC 주말연속극 《바람은 불어도》 | |||
1979 | MBC 3.1절 특집극 《대한문》 | ||
MBC 일일연속극 《하얀 민들레》 | |||
MBC 일일연속극 《당신은 누구시길래》 | |||
MBC 주말연속극 《산이 되고 강이 되고》 | |||
MBC 수사실화극 《수사반장 - 70년대 결산 시리즈 제2편 내리막길》 | 이종대 역 | ||
1980 | MBC 주말연속극 《종점》 | 기대훈 역 | |
MBC 주간연속극 《홍변호사》 | 홍변호사 역 | ||
MBC 창사특집극 《흥부전》 | |||
1981 | MBC 특별기획드라마 《제1공화국》 | 고하 송진우 역 | |
MBC 일일연속극 《나리집》 | |||
KBS2 미니시리즈 《천과 지》 | |||
KBS1 주간연속극 《시효인간》 | |||
MBC 특집극 《가장 긴 여름》 | |||
KBS1 TV 문학관 《무진기행》 | |||
1982 | KBS1 신춘드라마 《봄에는 개나리》 | ||
1982 | KBS2 주간연속극 《사랑의 조건》 | ||
KBS2 일일연속극 《세 자매》 | |||
1983 | KBS1 아침드라마 《은하의 꿈》 | ||
1983 | KBS2 주간연속극 《산유화》 | ||
KBS2 주간연속극 《청춘일기》 | |||
KBS1 일일연속극 《금남의 집》 | 교장 역 | ||
1984 | KBS1 TV 문학관 《절벽》 | ||
1984 | KBS1 특집드라마 《전쟁 6.25》 | ||
KBS1 7.27 휴전특집극 《휴전 6.25》 | 백선엽 역 | ||
KBS2 수목드라마 《불꽃놀이》 | 지훈 역 | ||
1985 | KBS1 일일연속극 《은빛 여울》 | ||
1985 | KBS2 주간연속극 《형사기동대》 | ||
KBS1 특집드라마 《오성장군 김홍일》 | |||
1986 | KBS2 수목드라마 《이별 그리고 사랑》 | ||
1987 | KBS2 주말연속극 《애정의 조건》 | ||
KBS1 석가탄신일특집드라마 《이차돈》 | |||
MBC 단막극 《MBC 베스트셀러극장 - 피아노 살인》 | |||
1987 | MBC 미니시리즈 《막차로 온 손님들》 | ||
MBC 미니시리즈 《유혹》 | 장씨 역 | ||
MBC 주말연속극 《사랑과 야망》 | 한 사장 역 | ||
1988 | KBS1 특집드라마 《서울에서 제일 비싼 미소》 | ||
1988 | KBS2 수목드라마 《황금의 탑》 | ||
KBS1 특집극 《바라밀》 | |||
MBC 미니시리즈 《인간시장》 | 박 회장 역 | ||
MBC 미니시리즈 《모래성》 | 김진현 역 | ||
1989 | KBS1 특집극 《지포리에서 생긴 일》 | ||
MBC 정치드라마 《제2공화국》 | 육군참모총장 이종찬 역 | ||
MBC 미니시리즈 《제5열》 | 정보국장 역 | ||
KBS1 8.15특집극 《영주의 증명》 | |||
KBS2 미니시리즈 《절반의 실패 - 제7화 이혼녀》 | |||
1990 | KBS1 제1회 KBS단막극공모 당선작 《밤기차》 | 노 감독 역 | |
KBS2 아침드라마 《아내의 뜰》 | |||
KBS2 주말연속극 《야망의 세월》 | 신호그룹 최두익 회장 역 | ||
1991 | MBC 미니시리즈 《장미빛 인생》 | 태성 역 | |
MBC 미니시리즈 《내 마음은 호수》 | 이영설 역 | ||
MBC 창사 30주년 특별기획드라마 《여명의 눈동자》 | 고등계 형사 스즈끼(최두일) 역 | ||
SBS 개국특집극 《미늘》 | |||
1992 | SBS 일요드라마 《금잔화》 | 조자경 변호사 역 | |
MBC 6.25특집극 《나목》 | 미군 PX 화가 옥희도 역 | ||
MBC 주말연속극 《마포 무지개》 | 황대일 역 | ||
SBS 소설극장 《관촌수필》 | 민구 부친 역 | ||
1993 | MBC 정치드라마 《제3공화국》 | 대통령 경호실장 박종규 역 | |
1993 | KBS2 미니시리즈 《굿모닝 영동》 | 주근엄 역 | |
SBS 아침연속극 《여자의 거울》 | 서태일 역 | ||
SBS 창사 3주년 특별기획드라마 《머나먼 쏭바강》 | 주월한국대사관 무관부 박광우 대령 역 | ||
MBC 주말연속극 《엄마의 바다》 | 김영서, 김경서의 아버지 김대봉 역 | ||
KBS2 미스테리 멜로 《금요일의 여인 - 제1화 최명길의 벼랑 끝에 선 여자》 | |||
SBS 드라마스페셜 《친애하는 기타 여러분》 | 이문정 역 | ||
1994 | KBS2 미니시리즈 《폴리스》 | 한일 조폭두목 카네스기 지로 (푸른용 아오류) 역 | |
1994 | MBC 미니시리즈 《아담의 도시》 | 장국철 회장 역 | |
MBC 미니시리즈 《마지막 연인》 | |||
1995 | KBS2 주말연속극 《젊은이의 양지》 | 하일태 역 | |
1995 | MBC 정치드라마 《제4공화국》 | 제8대 중앙정보부장 김재규 역 | |
KBS2 미니시리즈 《갈채》 | |||
MBC 광복 50주년 특별기획드라마 《전쟁과 사랑》 | |||
SBS 아침연속극 《그대 목소리》 | 홍익균 역 | ||
KBS2 수목드라마 《바람의 아들》 | |||
SBS 광복 50주년 특별기획드라마 《모래시계》 | 윤재용 회장 역 | ||
1996 | KBS2 특집드라마 《아버지》 | ||
1996 | SBS 3.1절 특집드라마 《안중근》 | 이토 히로부미 역 | |
KBS1 일일연속극 《사랑할때까지》 | 봉섭 역 | ||
MBC 주간연속극 《강력반》 | 수사반장 고동석 역 | ||
SBS 수목드라마 《형제의 강》 | 서준수, 서준식, 서준호, 서정자 부친 서복만 역 | ||
SBS 대하드라마 《임꺽정》 | 윤원형 역 | ||
1997 | MBC 주말연속극 《예스터데이》 | 윤명규 역 | |
SBS 일일연속극 《지평선 너머》 | 송만호 역 | ||
1998 | KBS2 시트콤 《행복을 만들어 드립니다》 | ||
KBS2 특별기획 미니시리즈 《진달래꽃 필 때까지》 | |||
KBS2 미니시리즈 《맨발의 청춘》 | 서울지방검찰청 특수부장 기성재 검사 역 | ||
SBS 일일연속극 《7인의 신부》 | 장군 할아버지 역 | ||
MBC 수목드라마 《대왕의 길》 | 영조 역 | ||
MBC 특별기획 미니시리즈 《애드버킷》 | 신화로펌 대표변호사 서승권 역 | ||
1998 | MBC 주말연속극 《사랑과 성공》 | 김한조 역 | |
1999 | SBS 아침연속극 《지금은 사랑할 때》 | 장호기 역 | |
MBC 미니시리즈 《흐르는 것이 세월뿐이랴》 | 박민식 역 | ||
MBC 6.25특집드라마 《오른손과 왼손》 | 김재규 역 | ||
MBC 수목드라마 《눈물이 보일까봐》 | 조두식 역 | ||
MBC 일일연속극 《날마다 행복해》 | 나 사장 역 | ||
MBC 미니시리즈 《햇빛속으로》 | 강인하 부친 강경환 회장 역 | ||
2000 | KBS 설특집드라마 《오천씨의 비밀번호》 | 오천 역[55] | |
KBS2 주말연속극 《꼭지》 | 송만호 역 | ||
SBS 드라마 스페셜 《불꽃》 | 최창순 역 | ||
MBC 일일연속극 《온달 왕자들》 | 주창균 역 | ||
SBS 창사 10주년 드라마스페셜 《경찰특공대》 | 오 사범 역 | ||
MBC 미니시리즈 《비밀》 | 지은 부 역 | ||
MBC 창사 39주년 특집드라마 《가시고기》 | 박 화백 역 | ||
2001 | MBC 미니시리즈 《맛있는 청혼》 | 김효동 양부친 김갑수 역 | |
KBS2 미니시리즈 《비단향꽃무》 | 강우혁 부친 역 | ||
MBC 주말연속극 《그 여자네 집》 | 김영욱 부 역 | ||
SBS 아침연속극 《이별 없는 아침》 | 권기섭 역 | ||
KBS2 미니시리즈 《순정》 | 이찬석 부 역 | ||
SBS 주말극장 《화려한 시절》 | 박근천 역 | ||
2001 | KBS 특별기획드라마 《명성황후》 | 이노우에 가오루 역 | |
2002 | MBC 아침연속극 《내 이름은 공주》 | 한춘식 역 | |
KBS2 미니시리즈 《러빙유》 | 이창완 역 | ||
MBC 일일연속극 《인어 아가씨》 | 은아리영, 은예영 부친 태양일보 문화부국장 은진섭 역 | ||
2002 | SBS 드라마 스페셜 《정》 | 태봉 역 | |
SBS 아침연속극 《얼음꽃》 | 강인철 역 | ||
SBS 오픈드라마 남과 여 《초록색 카드》 | 수진 부, 조상균 역 | ||
2003 | SBS 드라마 스페셜 《선녀와 사기꾼》 | 심춘식 역 | |
2003 | SBS 주말극장 《태양의 남쪽》 | 차 회장 역 | |
KBS 대하드라마 《무인시대》 | 천조제 역 | ||
2004 | MBC 월화 미니시리즈 《불새》 | 서문수 회장 역 | |
2004 | KBS2 아침연속극 《아름다운 유혹》 | 신성필 역 | |
SBS 일일연속극 《소풍가는 여자》 | 진풍길 역 | ||
MBC 석가탄신일 특집극 《연화도》 | 청죽 역 | ||
2005 | SBS 드라마 스페셜 《홍콩 익스프레스》 | 최 회장 역 | |
2005 | MBC 주말연속극 《사랑찬가》 | 강동파 역 | |
SBS 금요드라마 《사랑공감》 | 윤지숙 부친 역 | ||
KBS2 방송 78주년 특집드라마 《유행가가 되리》 | 정수근 역 | ||
SBS 주말 특별기획 《백만장자와 결혼하기》 | 영훈 부친 김영대 역 | ||
2006 | MBC 창사 45주년 특별기획드라마 《주몽》 | 해부루 역 | (특별출연) |
2006 | KBS 대하드라마 《대조영》 | 대하아복고 역 | |
MBC 주말 특별기획드라마 《불꽃놀이》 | 나라 부친 신호섭 역 | ||
MBC 주말연속극 《누나》 | 건우 부친 역 | ||
SBS 추석특집드라마 《내 사랑 달자씨》 | 강정길 역 | ||
KBS2 4부작드라마 《특수수사일지 - 1호관 사건》 | 장현석 역 | ||
2007 | MBC 아침드라마 《내 곁에 있어》 | (특별출연) | |
SBS 월화드라마 《사랑하는 사람아》 | 이성철 역 | ||
SBS 드라마 스페셜 《외과의사 봉달희》 | 한국대학교병원 일반외과 과장 이현탁 박사 역 | ||
KBS2 월화 미니시리즈 《못된 사랑》 | 강용기의 아버지, 강우택 회장 역 | ||
2008 | MBC 주말연속극 《천하일색 박정금》 | 박봉필 역 | |
KBS2 단막극 《HD TV문학관 - 봄, 봄봄》 | 목장주인 덕배 역 | ||
KBS2 아침연속극 《난 네게 반했어》 | 배덕배 역 | ||
MBC 창사 47주년 특별기획드라마 《에덴의 동쪽》 | 민 회장 역 | ||
SBS 주말극장 《유리의 성》 | 김두형 역 | ||
2009 | KBS1 일일연속극 《집으로 가는 길》 | 유건영 역 | |
MBC 수목 미니시리즈 《돌아온 일지매》 | 김자점 역 | ||
MBC 주말 특별기획드라마 《보석비빔밥》 | 서로마 회장 역 | ||
2010 | SBS 주말극장 《이웃집 웬수》 | 윤인수 역 | |
SBS 드라마 스페셜 《대물》 | 민우당 전 대표 조배호 역 | ||
SBS 월화드라마 《괜찮아, 아빠딸》 | 정필석 역 | ||
2011 | MBC 아침연속극 《당신 참 예쁘다》 | 서진명 회장 역 | (특별출연) |
SBS 미니시리즈 《더 뮤지컬》 | 유 회장 역 | ||
채널A 미니시리즈 《컬러 오브 우먼》 | 윤 회장 역 | ||
2012 | SBS 주말극장 《맛있는 인생》 | 최인구 역 | |
SBS 월화 미니시리즈 《추적자 THE CHASER》 | 한오그룹 서동환 회장 역 | ||
채널A 미니시리즈 《판다양과 고슴도치》 | 박병무 역 | ||
tvN 수목드라마 《제3병원》 | 김하윤 역 | ||
MBC 기획특집극 《못난이 송편》 | 교장 역 | (특별출연) | |
SBS 미니시리즈 《드라마의 제왕》 | 남국현 회장 역 | (특별출연) | |
2013 | MBC 아침드라마 《잘났어 정말》 | 이대관 역 | |
SBS 월화대기획 《황금의 제국》 | 최동성 역 | ||
SBS 미니시리즈 《수상한 가정부》 | 우금치 역 | ||
MBC 주말드라마 《사랑해서 남주나》 | 정현수 역 | ||
2014 | MBC 일일연속극 《엄마의 정원》 | 차동수 역 | |
MBN 특별기획드라마 《천국의 눈물》 | 진만봉 역 | ||
MBC 주말연속극 《전설의 마녀》 | 마태산 역 | ||
2015 | MBC 수목드라마 《앵그리맘》 | 강수찬 역 | |
JTBC 금토드라마 《라스트》 | 왕 회장 역 | ||
MBC 일일특별기획 《아름다운 당신》 | 조윤재 역 | ||
2016 | SBS 아침드라마 《사랑이 오네요》 | 나대기 회장 역 | |
2017 | tvN 수목드라마 《크리미널 마인드》 | 권청장 역 | (특별출연) |
2017 | JTBC 금토드라마 《언터처블》 | 장범호 역 | |
2018 | OCN 월화드라마 《그남자 오수》 | 오만수 역 | |
SBS 아침드라마 《나도 엄마야》 | 신태종 회장 역 | ||
MBC 주말특별기획 《신과의 약속》 | 김상천 회장 역 | ||
2019 | SBS 드라마 스페셜 《닥터 탐정》 | 최곤 역 | |
2020 | tvN 수목드라마 《메모리스트》 | 진재규의 아버지 역 | |
2021 | JTBC 금토드라마 《언더커버》 | 이만호 역 | |
2021 | SBS 금토드라마 《모범택시》 | 회장 역 | (특별출연) |
2022 | iHQ 월화드라마 《스폰서》 | 박 회장 역 | |
JTBC 토일드라마 《모범형사 2》 | 정인범 역 | ||
2024 | KBS2 주말드라마 《미녀와 순정남》 | 김준섭 역 | (특별출연) |
Netflix 오리지널 드라마 《돌풍》 | 강 회장 역 |
4. 2. 영화
박근형은 1969년 영화 《지하실의 칠인》으로 스크린에 데뷔했다.[5] 이후 다양한 영화에 출연하며 연기 경력을 쌓았다.다음은 박근형의 영화 출연 목록이다.
4. 3. 연극
박근형은 1960년대 국립극장의 주역 배우 중 한 명이었다. 1964년 국립극단에 입단하여 1967년까지 활동했다.[5] 1968년 민중극장에서 공연된 연극 '실과 바늘의 운동'에서 금오봉 역을 맡아 동아연극상 남자연기상을 수상했다.출연 연극 목록은 다음과 같다.[35]
연도 | 제목 | 배역 | 극장 | 공연 날짜 | 비고 | |
---|---|---|---|---|---|---|
영어 | 한국어 | |||||
1964 | Desire | 욕망 | 김 중위 | 국립극장 (명동) | 3월 1일–10일 | [36] |
Manseon | 만선 | 성삼 | 7월 1일–7일 | [37] | ||
The Martyred | 순교자 | 목사 | 9월 28일–10월 4일 | [38] | ||
1965 | Not ashamed to cry | 울어도 부끄럽지 않다 | Maury Novak | 4월 2일–8일 | [39] | |
Bakkoji | 바꼬지 | 윤구 | 6월 25일–7월 1일 | [40] | ||
Narcissus | 수선화 | 이창선 | 9월 29일–10월 5일 | [41] | ||
1966 | Yi Sunsin | 이민선 | 송희립 | 1월 1일–7일 | [42] | |
The Emigrant Ship | 이민선 | 수리공 | 6월 2일–8일 | [43] | ||
1967 | Returning to my mossy hometown | 이끼 낀 고향에 돌아오다 | 마이클 신부 | 12월 1일–7일 | [44] | |
1968 | The Movement of Thread and Needle | 실과 바늘의 악장 | 금오봉 | 국립극장 (명동) | 9월 17일–22일 | [45] |
1972 | POWs | 포로들 | 왓 서전 | 국립극장 (명동) | 5월 16일–22일 | [46] |
1983 | 리어왕 | 리어왕 | ||||
1992 | Two Women, Two Men | 두 여자 두 남자 | 교수 | 무역센터 현대백화점 현대아트홀 | 4월 22일–5월 17일 | [47] |
1999 | 후궁 탈출 | 후궁탈출 | 파샤 셀림 | 세종문화회관 | 6월 4일 | [48] |
2012 | Snow in March | 3월의 눈 | 장오 | 국립극장 백성희장민호극장 | 1월 1일–3월 18일 | [49] |
2016 | Father | 아버지 | 앙드레 | 명동예술극장 | 7월 13일–8월 14일 | |
2023 | 세일즈맨의 죽음 | 세일즈맨의 죽음 | 윌리 로먼 | 국립극장 달오름극장 | 5월 21일–6월 7일 | [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