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롱 황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롱 황제는 베트남 응우옌 왕조의 초대 황제이다. 그는 1762년 응우옌 주 왕족으로 태어나 떠이선 왕조의 침략을 피해 망명 생활을 했다. 이후 프랑스의 지원을 받아 세력을 키워 1802년 떠이선 왕조를 멸망시키고 응우옌 왕조를 건국, 후에를 수도로 정했다. 자롱은 유교적 통치 체제를 확립하고, 프랑스 기술을 도입하여 군사력을 강화했으며, 캄보디아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했다. 그는 1820년에 사망했으며, 아들 민망 황제가 즉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응우옌 왕조의 황제 - 민망 황제
민망 황제는 응우옌 왕조의 제2대 황제로 즉위 후 국호를 변경하고 쇄국정책을 고수하며 중앙집권화를 강화했으나, 기독교 탄압과 반란 야기로 국제적 고립과 프랑스 식민지화의 길을 열었다는 비판도 받는 인물이다. - 응우옌 왕조의 황제 - 뜨득 황제
뜨득 황제는 1847년부터 1883년까지 베트남을 통치한 응우옌 왕조의 황제로, 기독교 탄압, 쇄국 정책, 프랑스와의 전쟁 패배, 사이공 조약 체결 등을 겪었으며, 그의 사후 응우옌 왕조는 프랑스의 보호국이 되었다. - 1762년 출생 - 래클런 매쿼리
래클런 매쿼리는 스코틀랜드 출신으로 뉴사우스웨일스 주지사를 역임하며 시드니 도시 계획과 식민지 발전에 기여했으나, 원주민 정책 논란과 비지 조사위원회의 비판도 함께 받는 인물이다. - 1762년 출생 - 정약용
정약용은 조선 후기의 실학자로, 실학 사상 집대성, 과학 기술 분야 업적, 500여 권의 저술을 통한 사회 개혁 주장 등으로 유네스코 세계기념인물에 선정되었다. - 1820년 사망 - 방우정
방우정은 조선 후기 무신으로 홍경래의 난 진압에 참여하여 서정군의 좌초관으로 활약했으며, 난에 대한 경험을 바탕으로 《서정일기》를 저술하여 홍경래의 난 연구에 중요한 사료를 남겼다. - 1820년 사망 - 조지 3세
조지 3세는 1738년에 태어나 1760년부터 1820년까지 대영 제국과 아일랜드의 국왕으로 재위했으며, 미국 독립 혁명, 프랑스 혁명, 나폴레옹 전쟁 등 격동의 시대를 겪었고 말년에 정신 질환을 앓았다.
자롱 황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휘 | 응우옌푹아인(Nguyễn Phúc Ánh, 阮福暎) |
묘호 | 세조(世祖, Thế Tổ) |
시호 | 개천홍도립기수총신문성무준덕융공지인대효고황제(Khai thiên Hoằng đạo Lập kỷ Thùy thống Thần văn Thánh võ Tuấn đức Long công Chí nhân Đại hiếu Cao Hoàng Đế, 開天弘道立紀垂統神文聖武俊德隆功至仁大孝高皇帝) |
능호 | 천수릉(Thiên Thọ Lăng) |
출생일 | 경흥(Cảnh Hưng) 23년 1월 15일 (음력, 1762년 2월 8일) |
사망일 | 자롱(Gia Long) 18년 12월 19일 (음력, 1820년 2월 3일) |
부친 | 흥조(興祖) 응우옌푹루언(阮福㫻) |
모친 | 효강황후(孝康皇后) 응우옌티호안(阮氏環) |
통치 정보 | |
왕조 | 응우옌 왕조 |
군주 칭호 | 황제 |
재위 기간 | 1802년 ~ 1820년 |
선대 군주 | (초대) |
후대 군주 | 민망 황제(明命帝) |
연호 | 자롱(嘉隆) |
생애 | |
출생지 | 푸쑤언, 당 trong, 대월 |
사망지 | 후에 황궁, 베트남 |
안장지 | 천수릉 |
배우자 | 승천고황후 송씨란 순천고황후 쩐티당 100명 이상의 후궁 |
자녀 | 응우옌푹까인 응우옌푹담 13명의 아들과 18명의 딸 |
왕가 | |
가문 | 응우옌푹 |
칭호 | |
추존 칭호 | 대원수 섭국정 (大元帥 攝國政 "총사령관 및 섭정", 1778–1780) |
왕 | 응우옌 왕 (阮王 "응우옌 왕", 1780–1802) |
종교 | |
종교 | 유교 |
2. 어린 시절
까인흥 23년 1월 15일(1762년 2월 8일), 후 레 왕조 응우옌 주의 왕족 응우옌 푹 루언(Nguyễn Phúc Luân / 阮福㫻)의 3남으로 태어났다.[3] 어린 시절에는 '''응우옌푹중'''(阮福種)과 '''응우옌푹노안'''(阮福暖)이라는 두 가지 이름을 더 가지고 있었다.[4] 아버지 응우옌 푹 루언은 응우옌 주의 군주 응우옌 푹 코앗(Nguyễn Phúc Khoát / 阮福濶)의 차남이자 차기 계승자였으나, 1765년 권신 쯔엉 푹 로안(Trương Phúc Loan / 張福巒)의 계략으로 왕위를 빼앗기고 병사하였다.[5][6][7][8]
1777년 떠이선 왕조(西山朝)가 응우옌 주를 멸망시켰을 때 응우옌 푹 아인(阮福映)은 가까스로 살아남아 도망쳤다. 이후 피에르 조제프 조르주 피뇨 신부를 만나 기독교 선교의 자유를 약속하며 지원을 받았다. 두 사람은 떠이선 세력을 피해 토주(土珠) 섬으로 피신하기도 했다.[60]
응우옌 푹 투언(Nguyễn Phúc Thuần / 阮福淳) 집권기에 정치를 멀리하고 유흥을 즐기며 쯔엉 푹 로안에게 국정을 일임하여, 1771년 떠이선 봉기와 1774년 2차 찐-응우옌 분쟁을 초래하였다.
1777년, 떠이선 왕조가 응우옌 주를 멸망시킬 때 응우옌 푹 아인은 가까스로 살아남아 도망쳤으며, 가톨릭 선교사와 피에르 조르주 피뇨(Pierre Joseph Georges Pigneau) 신부의 도움을 받았다.[17][18][19][20][21]
3. 완왕(阮王) 치세 및 부흥 운동
10년 이상의 분쟁 끝에 응우옌 푹 아인은 사이공(Saigon)을 장악하고 자딘(Gia Định) 지역을 정치적 기반으로 삼았다. 1788년에는 고위 관리 평의회를 설립하고 조세 체계를 마련했으며, 군사 식민지 시스템을 시행하여 지지 기반을 강화했다.[61]
피뇨 주교가 고용한 프랑스 장교들은 응우옌 푹 아인의 군대 훈련을 지원하고 서구 기술을 도입했다. 장 마리 다요(Jean-Marie Dayot)는 해군을 훈련하고 청동 도금 군함을 건조했으며, 올리비에 드 푸이마넬(Olivier de Puymanel)은 육군 훈련과 요새 건설을 담당했다.[58] 피뇨 주교는 1799년 사망할 때까지 고문이자 사실상의 외무장관으로 활동했다.[62][63]
3. 1. 섭정 완왕 즉위
1778년, 떠이선 정권이 자딘(嘉定, 현재의 호찌민시)에서 철수하자, 응우옌 푹 아인(阮福映)은 응우옌 주의 잔존 세력을 모아 떠이선 세력에 저항하였다. 자딘 성을 탈환하고 대원수섭국정(大元帥攝國政)으로 추대되었다.[60] 피뇨 주교의 도움으로 서양의 신식 무기 제조 기술을 습득하고 군대를 양성하였다.[43][62]
1780년 정월, 응우옌 푹 아인은 완왕(阮王)으로 칭하고, 연호는 후 레 왕조의 연호인 까인흥(景興)을 사용하였다.
3. 2. 내분과 연속 패배
1781년, 응우옌 푹 아인은 도 타인 년(Đỗ Thanh Nhơn / 杜淸仁)을 의심하여 똥 푹 티엠(Tống Phúc Thiêm / 宋福添)에게 그를 살해하도록 지시했고, 도 타인 년이 이끌던 군대도 응우옌 세력에서 이탈했다. 이러한 내분을 틈타 시암 국왕 딱신이 캄보디아를 공격했으나, 시암에서도 내란이 일어나 딱신이 살해되고 짜끄리 왕조가 들어섰다.
1782년 10월, 떠이선 황제 응우옌냑은 응우옌 푹 아인 세력의 내분을 파악하고 동생인 응우옌후에에게 군사 3천 명과 함께 자딘 성을 공격하도록 했다. 응우옌 부흥군과 떠이선 군대는 칠기강(七岐江)에서 전투를 벌였고, 응우옌 부흥군은 대패하여 부국도(富國島)로 피신했다. 이후 응우옌 푹 아인이 후퇴하고 남은 세력들은 계속 저항했다. 짜우 반 띠엡(Châu Văn Tiếp / 朱文接)의 군대와 동생 응우옌 푹 만(Nguyễn Phúc Mân / 阮福旻)의 군대가 거병하여 자딘을 다시 점령했고, 응우옌 푹 아인은 다시 자딘으로 돌아왔다.
그러나 이듬해(1783년) 2월, 떠이선 군대가 다시 공격했다. 사기강(四岐江)에서 전투가 벌어졌지만, 응우옌 부흥군은 다시 패배했고 응우옌 푹 만은 전사했으며, 일부 장수들은 포로로 잡혔다. 응우옌 푹 아인은 부국도로 다시 피신했지만, 떠이선 세력의 추격과 공격에 각골도(閣骨島)로 피신하기도 했다. 이때 떠이선 군대는 각골도도 공격했지만, 천재지변으로 인해 내륙으로 후퇴했다. 응우옌 푹 아인은 다시 부국도로 피신했다.
이후 부국도에서 와신상담하던 중, 피뇨 주교가 시암에서 선교하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 팜 반 년(Phạm Văn Nhơn / 范文仁)과 응우옌 반 리엠(Nguyễn Văn Liêm / 阮文廉)을 보내 장남 응우옌 푹 까인(Nguyễn Phúc Cảnh / 阮福景)을 호송하게 하여 프랑스에 사절로 구조 요청을 하게 했다. 한편, 시암에는 짜우 반 띠엡을 보내 시암 국왕 풋타엿파쭐라록(라마 1세)을 알현하게 하여, 응우옌 푹 아인의 방문을 수락받았다. 이후 각 수장 간의 면담을 통해 지원군을 약속받고 귀국을 돕겠다는 약속을 받았다.
1784년, 시암의 지원군을 얻은 응우옌 부흥군은 다시 자딘 성을 공격했다. 자딘 근처 영토들을 복속시킬 때, 떠이선 군대는 제대로 싸우지 못하고 자딘을 빠져나가 귀인으로 달려가 구원군을 요청했으며, 이를 안 응우옌냑은 군대를 보내 미추(美湫)에 주둔시켰다.
그러나 시암군은 응우옌 푹 아인과 부흥군을 홀대했으며, 금은보화와 노비들을 약탈하여 시암으로 보내는 데만 집중했다. 지원군인 시암군에 의해 패배할 것을 우려한 장수 막 뜨 사인(Mạc Tử Sanh / 鄚子泩)이 진강(鎮江)에 전선을 구축하여 퇴로를 확보했다.
이듬해(1785년) 4월, 응우옌후에가 사람을 보내 시암군과 응우옌 부흥군의 신의가 부족하다는 점을 이용하여 서로를 의심하게 하여 분열을 일으켰고, 연합군을 유인하여 크게 격파했다. 이후 응우옌 부흥군은 미리 만들어둔 퇴각로를 통해 퇴각했으며, 시암으로 다시 망명했다. 그리고 응우옌 후에는 귀인으로 철수했다.
3. 3. 프랑스와 포르투갈의 지원
1785년, 응우옌 푹 아인은 프랑스의 지원을 받기 위해 피뇨 주교와 장남 응우옌 푹 까인(Nguyễn Phúc Cảnh, 阮福景, 완복경)을 프랑스로 보냈다.[195] 1786년에는 포르투갈 령 마카오에 지원을 요청하여 동맹 조약을 맺고 서양 함선 50여 척을 지원받기로 약속했다.[195] 1787년에는 포르투갈이 시암에 병사와 함선을 지원했지만, 시암 국왕과 정부는 응우옌 푹 아인에게 불만을 품게 되었고, 시암의 지원은 더 이상 없었다.[195]
1787년 2월, 응우옌 푹 아인의 사절단은 프랑스에 도착하여 국왕 루이 16세를 알현하고, 해군대신 및 외교대신과의 회담을 통해 지원을 요청했다.[195] 11월 21일, 베르사유 조약을 체결하여 군함 4척과 병사 1900명의 지원을 약속받았다. 그 대가로 타낭(沱㶞)과 곤산도(昆山島)를 할양하고 프랑스에 무역 특권을 부여하는 조건이었다.[195] 그러나 12월 27일, 프랑스의 재정 파탄으로 인해 군사 지원은 거부되었다.[195] 결국 피뇨 주교는 사재를 털어 프랑스 군인을 고용하고 탄약과 군함을 구입했다.[195]
1787년 7월, 응우옌 푹 아인은 떠이선 왕조의 내분을 틈타 시암을 떠나 베트남으로 돌아왔다.[195]
피뇨에 의해 영입된 프랑스 장교들은 응우옌 푹 아인의 군대 훈련에 기여했고, 서양식 전투 기술을 도입했다. 해군은 장 마리 다요(Jean-Marie Dayot)가 훈련시켰고,[183] 청동 도금 함선 건조를 감독했다.[193] 올리비에 드 푸이마넬(Olivier de Puymanel)은 군대 훈련과 요새 건설을 담당했다.[180][183][197] 올리비에는 유럽식 보병 훈련, 진형, 전술을 도입하는 한편, 유럽식 대포 제조 및 사용 방법을 장려하여 대포와 투척포를 군대의 중심적인 부분으로 만들었다.[193] 피뇨를 비롯한 선교사들은 응우옌 푹 아인의 대리인으로 군수품 및 기타 군사 물자를 구매했다.[177] 피뇨는 1799년 사망할 때까지 고문이자 사실상의 외무장관 역할도 수행했다.[197][198] 피뇨의 사망에 대해,[180] 잘롱제의 장례식 연설에서는 이 프랑스인을 "코친차이나 궁정에 나타난 가장 유명한 외국인"이라고 표현했다.[199] 피뇨는 황태자, 궁정 전체 관리, 12,000명의 근위병, 40,000명의 조문객 앞에서 매장되었다.[199][200]
3. 4. 정책과 군비 재정비
응우옌 푹 아인은 자딘을 함락한 후 행정 구역, 세금, 농법을 재정비하고, 농민과 군인을 함께 징발하는 우병어농(寓兵於農) 정책을 시행했다.[60] 대외 무역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관세를 낮춰 무역 활동을 증가시켰다. 이는 훗날 응우옌 부흥군이 다이비엣(大越)을 되찾는 기반이 되었다.[60]
1789년, 프랑스에서 온 사절단의 도움으로 무기와 탄약을 확보하고, 프랑스에서 배운 군사 기술과 무기 제조 기술을 활용하여 군대를 강화하였다.[60] 1790년에는 유럽식 신식 군인 5만 명을 양성했고, 2년 후에는 신식 군함 2척과 호위함 15척을 보유하여 떠이선 군대보다 우위를 점하게 되었다.[60]
역사학자 키스 테일러(Keith Taylor)에 따르면, 이는 베트남 남부 3분의 1 지역이 "베트남어 사용자 간의 전쟁과 정치에 성공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지역"으로 통합된 최초의 사례였으며, "베트남어 사용자들이 거주하는 다른 모든 지역과의 패권 경쟁"이 가능해졌다.[60] 1788년에는 군사 및 민간 관리들로 구성된 고위 관리 평의회가 설립되었고, 조세 체계도 마련되었다. 같은 해, 자딘의 남성 인구 절반을 징집병으로 복무하도록 하는 규정이 통과되었고, 2년 후에는 여러 민족, 특히 크메르족과 중국계를 포함한 모든 인종 집단에 걸쳐 응우옌 정권의 지지 기반을 강화하기 위한 군사 식민지 시스템이 시행되었다.[61]
피냐오(Pigneau)가 고용한 프랑스 장교들은 응우옌 아인의 군대 훈련을 지원하고, 서구 기술 전문성을 전쟁 노력에 도입했다. 해군은 장 마리 다요(Jean-Marie Dayot)[55]가 감독한 청동으로 도금된 군함 건조를 통해 훈련을 받았다.[58] 올리비에 드 푸이마넬(Olivier de Puymanel)은 육군 훈련과 요새 건설을 담당했다.[46][55][62] 그는 유럽식 보병 훈련, 편제 및 전술을 도입했을 뿐만 아니라, 유럽식 포병 제조 및 사용 방법을 다양하게 제공하여, 포병과 포탄을 군사의 중심적인 부분으로 만들었다.[58] 피냐오와 다른 선교사들은 응우옌 아인을 위해 무기와 기타 군수품을 구매하는 사업 대리인 역할을 했다.[43]
3. 5. 반격 그리고 북벌
1790년 4월, 응우옌 부흥군은 레 반 꾸언(Lê Văn Quân / 黎文勻 여문균)을 선봉장으로 하여 평순부(平順府, 지금의 빈투언 성)를 공격하였다. 그러나 내부 불화로 떠이선 군에게 다시 빼앗겼다가, 응우옌 반 타인(Nguyễn Văn Thành / 阮文誠 완문성)이 재탈환하였다. 1792년 3월에는 시내항(施耐港, 지금의 티나이항)을 기습하여 떠이선 수군을 크게 격파하였다.[60]
1793년 3월, 장남 응우옌 푹 까인을 동궁(東宮)으로 책봉하고 원수직을 주어 자딘(가정)을 지키게 하였다. 그해 5월, 연경(延慶), 평강(平康), 부안(富安)을 차례로 정벌하고 연경에 서양식 성벽을 쌓아 중요 거점으로 삼았다.[61] 1794년 떠이선 왕조가 연경부를 공격했으나, 응우옌 부흥군은 가졍(자딘)성의 지원을 받아 이를 막아냈다.
1797년, 타낭(沱㶞, 지금의 다낭)을 공격했으나, 화남 해적의 수장 진첨보(陳添保)에게 패하여 철수하였다. 이후 시암과 청나라에 지원을 요청하여 떠이선 세력을 견제하려 하였다.
3. 6. 떠이선 왕조의 몰락
1798년, 떠이선 왕조에서 불만을 품은 효공 응우옌 반 바오(Nguyễn Văn Bảo / 阮文寶 완문보)가 귀인(歸仁)에서 반란을 일으켰으나, 중앙군에 의해 진압되었다. 이를 베트남 역사에서는 소조(小朝)의 변(變)이라고 한다. 이 사건 이후, 떠이선 왕조의 황제 응우옌 꽝또안(Nguyễn Quang Toản / 阮光纘 완광찬)은 신하들을 의심하고 죽이기 시작하여, 일부 신하들은 배신하고 충신들마저 등을 돌리게 되었다. 이 틈을 타 응우옌 부흥군은 대대적인 북벌을 감행했다. 떠이선 군대도 이에 대비해 군사를 파견했으나, 동요된 군사들은 싸우지 않고 도망치기 시작하여 쉽게 무너졌다. 이후 응우옌 부흥군은 화남(華南)의 해적과 해적 소굴을 소탕하고, 귀인성을 평정성(平定城)으로 개칭한 후 장군 보 타인(Võ Tánh / 武性 무성)에게 수성하게 하였다.[60] 이듬해(1799년), 캄보디아와 시암에 지원군을 요청하여 떠이선 왕조를 공격하게 했다.
1800년 정월, 떠이선 왕조는 평정성을 탈환하기 위해 군사를 남하시켰고, 화남 해적들도 전선을 지원하며 합세했다. 응우옌 푹 아인(Nguyễn Phúc Ánh / 阮福暎 완복영)은 직접 응우옌 부흥군을 이끌고 귀인성으로 향하여 떠이선 장군 부 반 중(Vũ Văn Dũng|무문용|武文勇vi)을 격퇴시키고, 화남 해적의 물자 탈취를 저지하며 광남(廣南)과 광의(廣義) 2부(府)를 빼앗았다. 그러나 캄보디아의 지원군을 받고도 평정성 포위망을 뚫지 못하자, 보 타인은 평정성을 포기하고 떠이선 왕조의 수도인 부춘성(富春城)으로 우회할 것을 제안했고, 응우옌 푹 아인은 이를 수락하여 부춘성으로 진격했다.
1801년 5월, 응우옌 부흥군은 응우옌 반 찌(Nguyễn Văn Trị / 阮文治 완문치)가 이끄는 떠이선 군을 격파하며 승승장구했다. 응우옌 꽝또안은 계속 저항했으나, 부춘성 전투에서 떠이선 군대는 패배하고 일부 장수들은 포로로 잡혔다. 응우옌 꽝또안은 부춘에서 벗어나 영강(𤅷江, 현재의 자인강)을 건너 북하(北河, 현재의 박하현)로 피신했으며, 도주 중 부흥군은 황후 레 티 응옥빈(Lê Thị Ngọc Bình|여씨옥평|黎氏玉評vi)을 포로로 잡아 응우옌 푹 아인의 후궁으로 삼았다. 그 해 5월 3일(1801년 6월 13일), 응우옌 부흥군은 떠이선 군대를 추격했으나 실패했고, 떠이선 군대는 북하로 피신하여 승룡(昇龍, 현재의 하노이)에 영접되었다. 한편, 평정성의 떠이선 군대는 부춘성 함락 소식을 듣고 회군하려 했으나, 포위당하여 전략을 바꿔 전력적으로 평정성을 함락시켰다. 평정성을 기점으로 응우옌 부흥군을 공격했으나 성공하지는 못했다.
1802년 정월, 북하로 피신한 응우옌 꽝또안은 떠이선 군대와 화남 해적을 집결시켜 마지막 전투를 준비했다. 그러나 장수 진첨보(陳添保)는 청나라로 도망가 투항했다. 이후 떠이선 군대는 영강을 건너 일려강(日麗江)의 해구로 진격했고, 응우옌 부흥군은 우선 동해(洞海, 현재의 동허이)로 철수했다. 응우옌 푹 아인은 직접 군대를 이끌고 북상하여 일려강의 수로를 지키라고 지시했다. 응우옌 꽝또안은 진영루(鎭寧壘, 현재의 꽝빈성 근처)를 포위했으나 함락시키지 못했고, 같은 시기에 떠이선 수군과 화남 해적들이 응우옌 부흥군에 대패하자 승룡으로 피신했다. 평정성에서도 떠이선의 패배를 듣고 북상하려 했으나, 적들의 습격을 받아 포로가 되었다. 이로써 떠이선 정권은 실질적으로 몰락했다.
4. 응우옌 왕조 건국
1802년 6월 1일(자롱 원년 5월 2일), 떠이선 왕조를 멸망시키고 응우옌 왕조를 개창하였다. 후에를 수도로 정하고 황제로 즉위하였으며, 연호를 자롱으로 정하였다.[92] 청나라에 사신을 보내 국호를 '''남비엣'''(南越)으로 알렸으나, 가경제는 이를 거부하고 '''비엣남(越南)'''으로 정했다.[220][221] 이후 '''다이비엣(大越)'''과 비엣남을 병용하였다.[222]
자롱은 베트남을 세 개의 행정 지역으로 나누었다.[63][92]
지역 | 설명 |
---|---|
제국의 중심부(vùng Kinh Kỳ) | 응우옌 왕조의 옛 영토. 9개 성으로 구성, 5개 성은 자롱과 그의 관리들이 직접 통치.[63][92] |
통킹(Tonkin) | 하노이(Hanoi)에 군사 보호자(quan tổng trấn)의 행정 중심지를 두고 13개 성(tổng trấn Bắc Thành)을 통치.[63][95] |
코친차이나(Cochinchina) | 사이공(Saigon)을 수도로 4개 성(tổng trấn Gia Định)과 군사 보호자를 둠.[63][95] |
각 도시의 성채는 군사 방어 지역을 직접 관리했다. 이 시스템은 자롱이 주요 지지자들에게 강력한 권한을 부여하여, 일반 행정 및 법적 문제에 대해 거의 완전한 자치권을 주었다.[95] 이러한 통치 방식은 그의 아들인 민망(Minh Mạng)이 1831~1832년에 중앙 집권화를 추진할 때까지 지속되었다.[95]
자롱은 중앙 집권화를 서두르지 않고, 레 왕조의 옛 관리들이 통킹(Tonkin)에서 계속 직무를 수행하도록 하는 등 신중한 접근을 했다.[92][94] 그는 혁신보다는 전통적인 행정 체계를 선호하는 인물로 평가받는다.[93][96]
자롱은 중국의 조공 제도에 참여하기로 결정하고, 청나라에 사절을 파견하여 국호를 남월로 변경할 것을 요청했다.[220] 하지만 가경제는 고대 남월국과의 혼동을 우려하여, 베트남(越南)으로 변경하는 것에 동의했다.[220][221]
자롱은 중국의 유교를 본보기로 삼아 중국 제국의 제도를 모방하여 베트남 제국의 조공 제도를 만들려고 했다.[223] 1805년, 자롱은 베트남의 호칭으로 중국을 가리키는 말과 똑같은 “중국(中國)”을 사용했다.[223]
5. 칭제 후 치세
17세기와 18세기에 걸쳐 캄보디아는 쇠퇴했고, 베트남인들은 메콩 삼각주로 남하했다.[97] 캄보디아는 베트남과 시암 양국에 의해 주기적으로 침략을 받았으며, 두 강대국의 내부 분쟁에 따라 지배 세력이 바뀌는 불안정한 상황이었다.[98] 1796년 시암 친화적인 왕 앙 엥이 사망하고 앙 찬이 왕위를 계승했다.[99] 자롱이 베트남을 통일했을 때, 앙 엥은 베트남의 영향력을 견제하기 위해 시암으로부터 봉작을 받았다.[99] 그러나 1803년 캄보디아 사절단은 자롱을 달래기 위해 베트남에 조공을 바쳤고, 이는 매년 반복되는 관례가 되었다.[99] 1807년 앙 찬은 자롱의 봉신으로서 공식적인 봉작을 요청했고,[100] 자롱은 금박을 입힌 은으로 만든 인장과 함께 봉작 문서를 전달하는 사신을 보냈다. 1812년 앙 찬은 그의 형제인 앙 스누온의 권력 분점 요구를 거부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시암은 반란군 왕자를 옹립하고 캄보디아에 대한 자롱의 영향력을 빼앗기를 바라며 군대를 파견했다.[100] 1813년 자롱은 시암군과 앙 스누온을 캄보디아에서 몰아낸 대규모 군대를 파견했다. 그 결과 베트남 주둔군이 캄보디아 수도 프놈펜의 성채에 영구적으로 주둔하게 되었다. 이후 시암은 자롱 통치 기간 동안 캄보디아에 대한 지배권을 회복하려는 시도를 하지 않았다.[100][101]
나폴레옹은 영국 동인도 회사의 지배를 위협하기 위한 거점으로 베트남을 정복하려 했으나, 유럽 본토에서의 군사적 야망 때문에 실현되지 못했다.[102] 프랑스는 자롱 통치 기간 동안 베트남에 상주 대표를 파견한 유일한 유럽 열강이었다.[102]
5. 1. 지방 행정 편제
자롱은 전국을 3개의 행정 구역으로 나누었다.[97]5. 2. 군사, 경제 제도
자롱제는 왕족, 귀족, 고위 관리들의 모든 대토지 소유를 폐지했다. 그는 800년 동안 이어져 온, 관리들에게 봉급을 지급하고 귀족들에게 마을이나 그 집단의 세금 일부를 상으로 주거나 기증하는 관행을 철폐했다.[110] 기존의 고속도로는 수리되었고 새로운 고속도로가 건설되었으며, 사이공에서 랑선까지의 남북 도로가 복구되었다.[111] 그는 고속도로를 따라 운영될 우편 서비스를 조직했고, 가뭄으로 피해를 입은 해의 기근을 완화하기 위해 공공 창고를 건설했다. 자롱제는 통화 개혁을 실시하고 더욱 사회화된 농업 정책을 시행했다.[111] 그러나 인구 증가는 토지 개간 및 경작 증가를 훨씬 능가했다.[112] 농업 기술 혁신에는 거의 중점을 두지 않았기 때문에 생산성 향상은 주로 경작지 면적 증가에서 비롯되었다.[113]내전이 끝났음에도 불구하고, 자롱제는 프랑스 장교들의 감독하에 건설된 두 개의 성채에 추가로 성채를 건설하기로 결정했다. 그는 그 효과에 확신을 가지고 18년간의 통치 기간 동안 전국에 11개의 성채를 더 건설했다.[68] 대부분은 보방식으로 오각형 또는 육각형의 기하학적 형태로 건설되었고, 후에의 성채를 포함한 일부는 4면의 전통적인 중국식 설계로 건설되었다. 요새는 북쪽의 빈, 타인호아, 박닌, 하띤, 타이응우옌, 하이즈엉과 중부의 후에, 꽝응아이, 카인호아, 빈딘 그리고 메콩 삼각주의 빈롱에 건설되었다. 건설은 자롱제 통치 초기 단계에서 가장 집중적으로 이루어졌으며, 11개 성채 중 하나만 그의 통치 마지막 6년 동안 건설되었다.[114] 드 푸이마넬과 르브륀은 전쟁이 끝나기 전에 베트남을 떠났기 때문에 요새는 건설을 감독한 베트남 기술자들에 의해 설계되었다. 성채 감독관의 직책이 전쟁부 산하에 신설되어 이 작업을 담당하게 되었고, 이는 자롱제가 요새화에 얼마나 중요성을 두었는지 강조하고 있다.[115] 자롱제의 요새화 사업은 백성들이 모든 날씨 조건에서 하루 종일 그리고 밤의 일부까지 노동했다는 비난에 시달렸고,[116] 그 직접적인 결과로 농지가 휴경되었다. 관리들의 부패와 압제적인 과세에 대한 불만이 그의 정부에 자주 제기되었다.[108] 즉위 후 자롱제는 해군 함대를 급격히 감축했고, 1810년대에는 유럽식 함선 두 척만이 여전히 운영되었다. 해군 감축은 주로 요새와 도로, 제방, 운하와 같은 교통 인프라에 대한 과다한 지출로 인한 예산 제약 때문이었다. 그러나 1819년 새로운 조선 단계가 시작되었고, 자롱제는 직접 조선소를 감독했다.[76]
5. 3. 관제, 법률 제도
자롱 황제는 떠이선 왕조가 폐지했던 유교식 과거 제도를 부활시켜 관료 양성에 힘썼다. 1803년, 수도 후에에 국립학원을 설립하여 관리 자제들과 유능한 학생들에게 유교 경전을 교육하게 하였다.[95] 1804년에는 지방에도 학교를 설립하고 교육감 제도를 도입하여 교육 과정과 교직원을 규정하는 등 지방 교육 시스템을 감독하도록 하였다.[95] 1807년에는 최초의 지역별 과거 시험을 실시하였고,[95] 이후 관료 선발 및 교육 과정은 사서오경을 중심으로 한 과거 시험 위주로 이루어졌다.[95] 자롱 황제는 과거 시험을 통해 고전 교육을 받고 정치적으로 충성스러운 관리들을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95]자롱 황제는 15세기 레 성종의 홍덕(Hong Duc) 시대 이후 존재했던 법률 체계를 대체하기 위해 새로운 법전을 공포하였다.[117] 1811년부터 응우옌 반 성(Nguyễn Văn Thành)이 이끄는 학자들이 법전 편찬 작업을 시작하여 1815년에 《자롱법전》을 발표하였다.[117] 이 법전은 레 왕조의 법전과 청나라 법전이 혼합된 것이라고 주장되었지만, 대부분의 학자들은 청나라 법전의 거의 완벽한 복제본으로 평가한다.[117] 이 법전은 황제와 관리, 그리고 전통적인 가족 제도의 권력과 권위를 강화하는 데 중점을 두었으며, 국가에 대한 중범죄의 경우 유죄 판결자의 가족에게도 집단 처벌을 가했다.[119]
5. 4. 외교 정책
청나라, 시암(태국), 프랑스, 기타 외교 관계는 다음과 같다.17세기부터 18세기에 걸쳐, 캄보디아(캄보디아 암흑기라고 불림)는 쇠퇴했고, 베트남인들이 그때까지 캄보디아 영토였던 메콩 삼각주로 남하해왔다.[232] 캄보디아는 베트남과 시암 양국으로부터 정기적으로 침략을 받았다.[33] 캄보디아는 두 거대한 이웃 국가의 내분에 좌우되어 지배의 양극 사이에서 불안정하게 흔들렸다.[33] 1796년, 친시암파였던 앙 엥 왕이 사망하고, 1791년생인 앙 찬 2세 왕자가 남았다.[234] 자롱제가 베트남을 통일했을 때, 앙 엥은 응우옌 왕조의 영향력을 억제하기 위해 시암으로부터 봉임을 받았지만,[234] 1803년, 캄보디아 사절단이 자롱제를 달래기 위해 응우옌 왕조에 공물을 바치기 시작했고, 그것이 매년 관례가 되었다.[234] 1807년, 앙 찬 왕자는 자롱제의 신하로 공식적으로 임명될 것을 요청했다.[235] 자롱제는 이에 대해 임명장과 금도금 은인장을 가진 사신을 파견했다. 1812년, 앙 찬 왕자는 형인 체이 체타 5세의 권력 분배 요구를 거부하고 반란을 일으켰다. 시암은 군대를 파견하여 반란을 일으킨 앙 찬 왕자를 지원하고, 왕자를 즉위시켜 자롱제로부터 캄보디아에 대한 영향력을 빼앗으려 했다.[235] 1813년, 자롱제 또한 대규모 군대를 파견하여 시암 군대와 체이 체타 5세를 캄보디아에서 축출했다. 그 결과, 캄보디아 수도 프놈펜의 성채에 베트남군 주둔지가 설치되었다. 그 후, 시암은 자롱제의 통치하에서 캄보디아의 지배권을 되찾으려 하지 않았다.[235][236]
같은 시기에 프랑스의 나폴레옹은 인도에서의 프랑스 동인도 회사에 의한 지배를 위협하는 거점으로 베트남을 정복하는 것을 목표로 했지만,[237] 유럽 본토에서의 거대한 군사적 야망에 사로잡혀 있었기 때문에, 실현되지 못했다.[235] 그러나 프랑스는 나폴레옹 통치 기간 동안 베트남에 대표를 상주시킨 유일한 유럽 열강으로 남아 있었다.[237]
5. 5. 종교 정책
자롱 황제는 건국 공신인 피뇨 주교 등 프랑스 선교사들의 가톨릭 선교 활동을 허용하였다.[271] 그러나 베트남의 전통 신앙과 유교적 가치를 중시하였으며, 전통적인 조상 숭배를 강조하였다. 가톨릭 교회가 조상 숭배를 비판하는 것에 대해 불만을 표시하기도 하였다.[271]6. 말년
1820년, 자롱 황제가 사망하고 명명제가 뒤를 이었다.
7. 가족 관계
자롱 황제의 가족 관계는 다음과 같다.
- 조부: 광남국 8대 왕 세종(Thế Tông/世宗) 효무황제(Hiếu Vũ Hoàng Đế/孝武皇帝) 응우옌 푹 코앗(Nguyễn Phúc Khoát/阮福濶/완복활)
- 조모: 추존 황후 온성효무황후(Ôn Thành Hiếu Vũ Hoàng Hậu/溫誠孝武皇后) 쯔엉 티 둥(Trương Thị Dung/張氏容/장용)
- 계조모: 정실(正室) 혜정성모원사(Tuệ Tĩnh Thánh Mẫu nguyên sư/慧淨聖母元師) 응우옌 티 응옥까우(Nguyễn Thị Ngọc Cầu/阮氏玉球/완옥구)
- 숙부: 광남국 9대 왕 예종(Duệ Tông/睿宗) 효정황제(Hiếu Định Hoàng Đế/孝定皇帝) 응우옌 푹 투언(Nguyễn Phúc Thuần/阮福淳/완복순), (추존) 선왕(Tuyên Vương/宣王) 응우옌 푹 하오(Nguyễn Phúc Hạo/阮福昊/완복호)
- 사촌: 광남국 10대 왕 목왕(Mục Vương/穆王) 응우옌 푹 뜨엉(Nguyễn Phúc Dương/阮福晹/완복역)
- 부: 추존 황제 흥조(Hưng Tổ/興祖) 효강황제(Hiếu Khang Hoàng Đế/孝康皇帝) 응우옌 푹 루언(Nguyễn Phúc Luân/阮福㫻중국어/완복곤)
- 모: 추존 황후 의정효강황후(Ý Tĩnh Hiếu Khang Hoàng hậu/懿靜孝康皇后) 응우옌 티 호안(Nguyễn Thị Hoàn/阮氏環/완환)
7. 1. 후비
품계 | 성씨 | 이름(한자) | 비고 |
---|---|---|---|
소의(昭儀) | 원씨(阮氏) | 전(田) | |
소용(昭容) | 임씨(林氏) | 식(拭) | |
소용(昭容) | 판씨(范氏) | 록(禄) | |
소용(昭容) | 황씨(黄氏) | 직(職) | |
소용(昭容) | 송씨(宋氏) | 순(順) | |
소용(昭容) | 원씨(阮氏) | 빈(蘋) | |
첩여(婕妤) | 양씨(楊氏) | 사(事) | |
첩여(婕妤) | 양씨(楊氏) | 양(養) | |
미인(美人) | 정씨(鄭氏) | 청(清) | |
미인(美人) | 진씨(陳氏) | 채(彩) | |
미인(美人) | 개씨(蓋氏) | 추(秋) | |
미인(美人) | 원씨(阮氏) | 영(永) | |
미인(美人) | 반씨(潘氏) | 학(鶴) | |
재인(才人) | 진씨(陳氏) | 한(漢) | |
재인(才人) | 원씨(阮氏) | 원(淵) | |
재인(才人) | 덩씨(鄧氏) | 연(縁) | |
좌궁빈(左宮嬪) | 송씨(宋氏) | 누(楼) | |
궁빈(宮嬪) | 원씨(阮氏) | 서(瑞) |
7. 2. 황자와 황녀
아들 | 딸 |
---|---|
참조
[1]
논문
[2]
논문
[3]
서적
Huế Triều Nguyễn một cái nhìn
Thuận Hóa Publishing House
[4]
논문
[5]
서적
Việt sử xứ Đàng Trong
Văn Học Publishing House
[6]
논문
[7]
서적
Quần thể di tích Huế
Tre Publishing House
[8]
논문
[9]
논문
[10]
논문
[11]
논문
[12]
논문
[13]
논문
[14]
논문
[15]
논문
[16]
논문
[17]
논문
[18]
논문
[19]
서적
Indo-China
Routledge
[20]
서적
East Asia: A New History
https://books.google[...]
AuthorHouse
[21]
논문
[22]
논문
[23]
논문
[24]
논문
[25]
논문
[26]
논문
[27]
논문
[28]
논문
[29]
논문
[30]
논문
[31]
논문
[32]
서적
พระราชพงศาวดารกรุงรัตนโกสินทร์ รัชกาลที่ 3
ไทยควอลิตี้บุ๊คส์
[33]
서적
พระราชพงศาวดารกรุงรัตนโกสินทร์ รัชกาลที่ 1
[34]
간행물
Tương quan Xiêm – Việt cuối thế kỷ 18
http://www.vjol.info[...]
[35]
웹사이트
Tương quan Xiêm – Việt cuối thế kỉ XVIII
https://nghiencuulic[...]
[36]
서적
(저자명 필요)
[37]
harvnb
[38]
서적
(저자명 필요)
[39]
harvnb
[40]
harvnb
[41]
harvnb
[42]
harvnb
[43]
서적
(저자명 필요)
[44]
harvnb
[45]
harvnb
[46]
서적
(저자명 필요)
[47]
harvnb
[48]
harvnb
[49]
harvnb
[50]
harvnb
[51]
서적
(저자명 필요)
[52]
서적
พระราชพงศาวดารกรุงรัตนโกสินทร์ รัชกาลที่ 1
[53]
harvnb
[54]
harvnb
[55]
harvnb
[56]
harvnb
[57]
harvnb
[58]
서적
(저자명 필요)
[59]
harvnb
[60]
harvnb
[61]
harvnb
[62]
서적
(저자명 필요)
[63]
harvnb
[64]
harvnb
[65]
서적
(저자명 필요)
[66]
harvnb
[67]
harvnb
[68]
harvnb
[69]
harvnb
[70]
harvnb
[71]
서적
undefined
[72]
harvnb
[73]
harvnb
[74]
harvnb
[75]
harvnb
[76]
harvnb
[77]
서적
undefined
[78]
서적
Beyond the Bronze Pillars: Envoy Poetry and the Sino-Vietnamese Relationship
University of Hawaii Press
[79]
harvnb
[80]
harvnb
[81]
서적
undefined
[82]
harvnb
[83]
harvnb
[84]
harvnb
[85]
서적
undefined
[86]
서적
Việt Nam sử lược
:s:vi:Việt Nam sử lư[...]
[87]
서적
Chinese History in Geographical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88]
서적
undefined
[89]
harvnb
[90]
harvnb
[91]
harvnb
[92]
서적
undefined
[93]
harvnb
[94]
서적
undefined
[95]
서적
undefined
[96]
harvnb
[97]
서적
undefined
[98]
harvnb
[99]
harvnb
[100]
harvnb
[101]
harvnb
[102]
harvnb
[103]
harvnb
[104]
harvnb
[105]
harvnb
[106]
서적
[107]
서적
[108]
서적
[109]
서적
[110]
서적
[111]
서적
[112]
서적
[113]
서적
[114]
서적
[115]
서적
[116]
서적
[117]
서적
[118]
서적
[119]
서적
[120]
서적
[121]
서적
[122]
서적
[123]
서적
[124]
서적
[125]
서적
[126]
서적
[127]
서적
[128]
서적
[129]
서적
Kể chuyện chín Chúa mười ba Vua triều Nguyễn
Đà Nẵng Publishing House
[130]
서적
Nhà Nguyễn chín Chúa mười ba Vua
Đà Nẵng Publishing House
[131]
서적
[132]
서적
[133]
서적
[134]
서적
[135]
웹사이트
阮福映
https://kotobank.jp/[...]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
2022-09-12
[136]
서적
Huế Triều Nguyễn một cái nhìn
Thuận Hóa Publishing House
[137]
서적
[138]
서적
Việt sử xứ Đàng Trong
Văn Học Publishing House
[139]
서적
[140]
서적
Quần thể di tích Huế
Tre Publishing House
[141]
논문
[142]
논문
[143]
논문
[144]
논문
[145]
논문
[146]
서적
[147]
논문
[148]
논문
[149]
논문
[150]
논문
[151]
서적
[152]
서적
[153]
논문
[154]
서적
Indo-China
Routledge
[155]
서적
East Asia: A New History
https://books.google[...]
AuthorHouse
[156]
논문
[157]
논문
[158]
서적
[159]
논문
[160]
논문
[161]
논문
[162]
서적
[163]
서적
[164]
논문
[165]
논문
[166]
서적
[167]
서적
พระราชพงศาวดารกรุงรัตนโกสินทร์ รัชกาลที่ 3
ไทยควอลิตี้บุ๊คส์
[168]
서적
พระราชพงศาวดารกรุงรัตนโกสินทร์ รัชกาลที่ 1
[169]
웹사이트
Tương quan Xiêm – Việt cuối thế kỷ 18
http://www.vjol.info[...]
[170]
웹사이트
Tương quan Xiêm – Việt cuối thế kỉ XVIII
https://nghiencuulic[...]
[171]
서적
[172]
서적
[173]
논문
[174]
논문
[175]
논문
[176]
harvard
[177]
문서
McLeod
[178]
harvard
[179]
harvard
[180]
문서
Karnow
[181]
harvard
[182]
웹사이트
Tương quan Xiêm – Việt cuối thế kỷ 18
https://web.archive.[...]
2018-12-03
[183]
harvard
[184]
harvard
[185]
harvard
[186]
harvard
[187]
웹사이트
Tương quan Xiêm – Việt cuối thế kỉ XVIII
https://nghiencuulic[...]
2017-09-08
[188]
문서
Dutton
[189]
서적
พระราชพงศาวดารกรุงรัตนโกสินทร์ รัชกาลที่ 1
https://vajirayana.o[...]
[190]
harvard
[191]
harvard
[192]
harvard
[193]
문서
McLeod
[194]
harvard
[195]
harvard
[196]
harvard
[197]
문서
Cady
[198]
harvard
[199]
harvard
[200]
문서
Karnow
[201]
harvard
[202]
harvard
[203]
harvard
[204]
harvard
[205]
harvard
[206]
문서
McLeod
[207]
harvard
[208]
harvard
[209]
harvard
[210]
harvard
[211]
논문
[212]
서적
[213]
서적
Beyond the Bronze Pillars: Envoy Poetry and the Sino-Vietnamese Relationship
University of Hawaii Press
[214]
논문
[215]
논문
[216]
서적
[217]
논문
[218]
논문
[219]
논문
[220]
서적
[221]
문서
Việt Nam sử lược
wikisource:vi:Việt N[...]
[222]
서적
Chinese History in Geographical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23]
서적
[224]
논문
[225]
논문
[226]
논문
[227]
서적
[228]
논문
[229]
서적
[230]
서적
[231]
논문
[232]
서적
[233]
논문
[234]
논문
[235]
논문
[236]
논문
[237]
논문
[238]
논문
[239]
논문
[240]
논문
[241]
논문
[242]
논문
[243]
논문
[244]
서적
[245]
논문
[246]
논문
[247]
논문
[248]
논문
[249]
논문
[250]
논문
[251]
논문
[252]
논문
[253]
논문
[254]
논문
[255]
논문
[256]
논문
[257]
논문
[258]
논문
[259]
논문
[260]
논문
[261]
논문
[262]
논문
[263]
논문
[264]
논문
[265]
서적
Kể chuyện chín Chúa mười ba Vua triều Nguyễn
Đà Nẵng Publishing House
[266]
서적
Nhà Nguyễn chín Chúa mười ba Vua
Đà Nẵng Publishing House
[267]
논문
[268]
서적
Huế Triều Nguyễn một cái nhìn
Thuận Hóa Publishing House
[269]
논문
[270]
논문
[271]
서적
근대중국:개혁과 혁명-중화제국 마지막 왕조의 몰락(上)
대명출판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