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지리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연지리학은 지구 표면의 다양한 현상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고지리학, 기후학, 생물지리학, 수문학, 지형학, 측지학, 경관 생태학, 해안 지리학, 토양 지리학, 해양학, 빙하학, 제4기 과학, 지오매틱스, 환경 지리학 등 다양한 하위 분야로 구성된다. 이들 분야는 지질 시대를 통한 대륙 분포, 기후, 종 분포, 물의 양과 질, 지구 표면과 지형, 지리 정보, 인간과 자연의 상호 작용 등을 연구하며, 19세기 산업혁명과 식민지 확장을 거치며 학문적으로 발전해왔다. 에라토스테네스, 알렉산더 폰 훔볼트, 윌리엄 모리스 데이비스 등 여러 학자들이 자연지리학 발전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연지리학 - 생물지리학
생물지리학은 생물의 지리적 분포와 분포 패턴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탐험과 선구자들의 연구를 거쳐 대륙 이동설, 분자생물학 발전, 섬 생물지리학 이론 등으로 발전했으며, 현재는 다양한 기술을 활용하여 여러 분야에 적용되고 고생물지리학 등 하위 분야를 포함하지만, 지역 구분에 대한 국제 표준화는 미완료 상태이다. - 자연지리학 - 영구동토
영구동토는 북반구 고위도와 고산지대에 주로 분포하며 2년 이상 0℃ 이하의 온도를 유지하는 토양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해 해빙될 경우 온실가스 배출 증가 및 지반 불안정 등의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
| 자연지리학 |
|---|
2. 분야
자연지리학은 지구 표면의 다양한 현상을 연구하기 위해 여러 하위 분야로 나뉜다.
- 고지리학[1]은 지층 기록에 보존된 자료를 조사하여 지질 시대를 통한 대륙의 분포를 결정하는 학제 간 연구이다. 대륙의 위치에 대한 증거는 거의 모두 화석 또는 고지자기 형태의 지질학에서 나온다. 이러한 데이터의 사용은 대륙 이동, 판구조론 및 초대륙에 대한 증거를 가져왔다. 이것은 차례로 윌슨 순환과 같은 고지리학 이론을 뒷받침했다.
- 기후학[1][8]은 장기간에 걸쳐 평균화된 기상 조건으로 과학적으로 정의된 기후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기후학은 미시적(지역적) 및 거시적(전 지구적) 기후의 본질과 자연적 및 인위적 영향을 모두 조사한다. 이 분야는 또한 주로 다양한 지역의 기후와 특정 현상 또는 기간의 연구로 세분화된다(예: 열대성 사이클론 강우 기후학 및 고기후학).
- 생물지리학[1][8]은 종 분포의 지리적 패턴과 이러한 패턴을 초래하는 과정을 다루는 과학이다. 생물지리학은 알프레드 러셀 월리스의 연구 결과로 연구 분야로 등장했지만, 20세기 후반 이전에는 주로 역사적 관점과 기술적 접근 방식으로 여겨졌다. 창립 이후 이 분야의 주요 자극은 진화, 판구조론 및 섬 생물지리학 이론이었다. 이 분야는 크게 다섯 가지 하위 분야로 나눌 수 있다. 섬 생물지리학, 고생물지리학, 계통지리학, 동물지리학 및 식물지리학.
- 수문학[1][8]은 주로 지표면과 지표면 근처 토양 및 암석에서 이동하고 축적되는 물의 양과 질에 관심이 있으며, 수문 순환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 분야는 하천, 호수, 대수층 및 어느 정도 빙하의 물을 포함하며, 이러한 물체에 관여하는 과정과 역학을 조사한다. 수문학은 역사적으로 공학과 중요한 관련이 있었으며, 따라서 연구에서 주로 정량적인 방법을 개발해 왔다. 그러나 시스템 접근 방식을 포용하는 지구과학 측면도 가지고 있다. 대부분의 자연지리학 분야와 마찬가지로 특정 수역이나 다른 구와의 상호 작용을 조사하는 하위 분야를 가지고 있다(예: 호소학 및 생태수문학).
- 지형학[7][8]은 지구의 표면과 그것을 형성하는 과정(현재와 과거 모두)을 이해하는 것을 다룬다. 지형학은 다양한 환경의 특정 지형을 다루는 여러 하위 분야를 가지고 있다(예: 사막 지형학 및 하천 지형학). 그러나 이러한 하위 분야는 주로 지각 작용이나 기후 작용과 같은 핵심 과정에 의해 통합된다. 지형학은 현장 관찰, 물리적 실험 및 수치 모델링(지형측량학)의 결합을 통해 지형의 역사와 역학을 이해하고 미래의 변화를 예측하려고 한다. 지형학의 초기 연구는 토양학의 두 가지 주요 분야 중 하나인 토양학의 기초가 된다.
- 측지학
- 경관 생태학은 생태학과 지리학의 하위 분야로, 경관의 공간적 변화가 환경에서 에너지, 물질 및 개체의 분포와 흐름과 같은 생태 과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이것은 차례로 생울타리와 같은 경관 "요소" 자체의 분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를 다룬다. 이 분야는 주로 독일 지리학자 칼 트롤에 의해 지원되었다. 경관 생태학은 일반적으로 응용 및 전체론적 맥락에서 문제를 다룬다. 생물지리학과 경관 생태학의 주요 차이점은 후자는 에너지와 물질의 흐름이나 변화와 경관에 미치는 영향에 관심이 있는 반면, 전자는 종과 화학 순환의 공간 패턴에 관심이 있다는 것이다.
- 해안 지리학은 물리적 지리학(즉, 해안 지형학, 지질학 및 해양학)과 해안의 인간 지리학을 모두 통합하여 해양과 육지 사이의 역동적인 경계면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해안 풍화 과정, 특히 파도 작용, 퇴적물 이동 및 풍화, 그리고 인간이 해안과 상호 작용하는 방식에 대한 이해가 포함된다. 해안 지리학은 주로 지형학적 연구이지만 해안 지형뿐만 아니라 해수면 변화의 원인과 영향에도 관심이 있다.
- 토양 지리학은 지형에 걸친 토양의 분포를 다룬다. 지리학과 토양학 사이의 이 학문은 자연지리학과 토양학 모두에 기본적이다.[9][10][11] 토양학은 자연 환경에서 토양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토양 생성, 토양 형태, 토양 분류를 다룬다. 토양 지리학은 지형, 기후(물, 공기, 온도), 토양 생물(미생물, 식물, 동물) 및 토양 내 무기물( 생지화학적 순환)과 관련된 토양의 공간 분포를 연구한다.
- 해양학[1]은 지구의 해양과 바다를 연구하는 자연지리학의 한 분야이다. 해양 생물과 생태계 역학(생물 해양학); 해류, 파도 및 지구물리 유체 역학(물리 해양학); 판구조론과 해저 지질학(지질 해양학); 해양 내부와 경계를 가로지르는 다양한 화학 물질과 물리적 특성의 플럭스(화학 해양학)를 포함한 광범위한 주제를 다룬다. 이러한 다양한 주제는 해양학자들이 세계 해양에 대한 지식과 그 안의 과정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해 융합하는 다양한 학문을 반영한다.
- 빙하학은 빙하와 빙상 또는 더 일반적으로 빙권 또는 얼음과 얼음을 포함하는 현상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빙하학은 후자(빙상)를 대륙 빙하로, 전자(빙하)를 알파인 빙하로 분류한다. 이 분야의 연구는 빙상과 빙하의 역학에 대한 연구와 유사하지만, 전자는 빙상과 현재 기후의 상호 작용에 관심이 있는 경향이 있고, 후자는 빙하가 지형에 미치는 영향에 관심이 있다. 빙하학은 또한 빙상과 빙하에 관여하는 요인과 과정을 조사하는 광범위한 하위 분야를 가지고 있다(예: 눈 수문학 및 빙하 지질학).
- 제4기 과학[8]은 지난 260만 년을 포함하는 제4기를 중심으로 연구하는 학제 간 연구 분야이다. 이 분야는 마지막 빙하기와 최근의 간빙기인 홀로세를 연구하고, 이 기간 동안의 과거 환경을 재구성하기 위해 대리 증거를 사용하여 발생한 기후 및 환경 변화를 추론한다.
- 지오매틱스는 지리 정보 또는 공간 참조 정보를 수집, 저장, 처리 및 전달하는 분야이다. 지오매틱스에는 측지학(지구, 그 중력장 및 지각 운동, 해양 조수 및 극 운동과 같은 다른 지구 역학 현상의 측정 및 표현을 다루는 과학적 학문), 지도학, 지리 정보 과학 (GIS) 및 원격 탐사(개체 또는 현상에 대한 정보의 단기 또는 대규모 획득, 개체와 물리적 또는 밀접한 접촉을 하지 않는 기록 또는 실시간 감지 장치 사용)가 포함된다.
- 환경 지리학은 인간과 자연 세계 사이의 상호 작용의 공간적 측면을 분석하는 지리학의 한 분야이다. 이 분야는 인간 지리학과 자연 지리학의 차이를 연결하므로 지질학, 기상학, 수문학, 생물지리학 및 지형학의 역학과 인간 사회가 환경을 개념화하는 방식을 이해해야 한다. 이 분야는 이전에는 환경 결정론과 같은 이론으로 사회와 환경을 연결하여 현재보다 연구에서 더 눈에 띄었지만, 주로 환경 관리 또는 인위적 영향 연구 영역이 되었다.
2. 1. 지형학
'''지형학'''[7][8]은 지구의 표면과 그것을 형성하는 과정(현재와 과거 모두)을 이해하는 것을 다룬다. 지형학은 다양한 환경의 특정 지형을 다루는 여러 하위 분야를 가지고 있다(예: 사막 지형학 및 하천 지형학). 그러나 이러한 하위 분야는 주로 지각 작용이나 기후 작용과 같은 핵심 과정에 의해 통합된다. 지형학은 현장 관찰, 물리적 실험 및 수치 모델링(지형측량학)의 결합을 통해 지형의 역사와 역학을 이해하고 미래의 변화를 예측하려고 한다. 지형학의 초기 연구는 토양학의 두 가지 주요 분야 중 하나인 토양학의 기초가 된다.'''지형학'''(ちけいがく, geomorphology영어)에서는 지구 표면을 구성하는 모든 지형의 기재, 분류, 기원 등을 연구한다 지형학은 화산지형학, 변동지형학, 하천지형학, 해안지형학, 빙하지형학 등의 분야를 갖는다。
2. 1. 1. 하위 분야
- '''지형학'''[7][8]은 지구의 표면과 그것을 형성하는 과정(현재와 과거 모두)을 이해하는 것을 다룬다. 지형학은 다양한 환경의 특정 지형을 다루는 여러 하위 분야를 가지고 있다(예: 사막 지형학 및 하천 지형학). 그러나 이러한 하위 분야는 주로 지각 작용이나 기후 작용과 같은 핵심 과정에 의해 통합된다. 지형학은 현장 관찰, 물리적 실험 및 수치 모델링(지형측량학)의 결합을 통해 지형의 역사와 역학을 이해하고 미래의 변화를 예측하려고 한다. 지형학의 초기 연구는 토양학의 두 가지 주요 분야 중 하나인 토양학의 기초가 된다.
- '''수문학'''[1][8]은 주로 지표면과 지표면 근처 토양 및 암석에서 이동하고 축적되는 물의 양과 질에 관심이 있으며, 수문 순환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 분야는 하천, 호수, 대수층 및 어느 정도 빙하의 물을 포함하며, 이러한 물체에 관여하는 과정과 역학을 조사한다. 수문학은 역사적으로 공학과 중요한 관련이 있었으며, 따라서 연구에서 주로 정량적인 방법을 개발해 왔다. 그러나 시스템 접근 방식을 포용하는 지구과학 측면도 가지고 있다. 대부분의 자연지리학 분야와 마찬가지로 특정 수역이나 다른 구와의 상호 작용을 조사하는 하위 분야를 가지고 있다(예: 호소학 및 생태수문학).
- '''빙하학'''은 빙하와 빙상 또는 더 일반적으로 빙권 또는 얼음과 얼음을 포함하는 현상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빙하학은 후자(빙상)를 대륙 빙하로, 전자(빙하)를 알파인 빙하로 분류한다. 이 분야의 연구는 빙상과 빙하의 역학에 대한 연구와 유사하지만, 전자는 빙상과 현재 기후의 상호 작용에 관심이 있는 경향이 있고, 후자는 빙하가 지형에 미치는 영향에 관심이 있다. 빙하학은 또한 빙상과 빙하에 관여하는 요인과 과정을 조사하는 광범위한 하위 분야를 가지고 있다(예: 눈 수문학 및 빙하 지질학).
- '''생물지리학'''[1][8]은 종 분포의 지리적 패턴과 이러한 패턴을 초래하는 과정을 다루는 과학이다. 생물지리학은 알프레드 러셀 월리스의 연구 결과로 연구 분야로 등장했지만, 20세기 후반 이전에는 주로 역사적 관점과 기술적 접근 방식으로 여겨졌다. 창립 이후 이 분야의 주요 자극은 진화, 판구조론 및 섬 생물지리학 이론이었다. 이 분야는 크게 다섯 가지 하위 분야로 나눌 수 있다. 섬 생물지리학, 고생물지리학, 계통지리학, 동물지리학 및 식물지리학.
- '''기후학'''[1][8]은 장기간에 걸쳐 평균화된 기상 조건으로 과학적으로 정의된 기후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기후학은 미시적(지역적) 및 거시적(전 지구적) 기후의 본질과 자연적 및 인위적 영향을 모두 조사한다. 이 분야는 또한 주로 다양한 지역의 기후와 특정 현상 또는 기간의 연구로 세분화된다(예: 열대성 사이클론 강우 기후학 및 고기후학).
- '''토양 지리학'''은 지형에 걸친 토양의 분포를 다룬다. 지리학과 토양학 사이의 이 학문은 자연지리학과 토양학 모두에 기본적이다.[9][10][11] 토양학은 자연 환경에서 토양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토양 생성, 토양 형태, 토양 분류를 다룬다. 토양 지리학은 지형, 기후(물, 공기, 온도), 토양 생물(미생물, 식물, 동물) 및 토양 내 무기물( 생지화학적 순환)과 관련된 토양의 공간 분포를 연구한다.
- '''고지리학'''[1]은 지층 기록에 보존된 자료를 조사하여 지질 시대를 통한 대륙의 분포를 결정하는 학제 간 연구이다. 대륙의 위치에 대한 증거는 거의 모두 화석 또는 고자기 형태의 지질학에서 나온다. 이러한 데이터의 사용은 대륙 이동, 판구조론 및 초대륙에 대한 증거를 가져왔다. 이것은 차례로 윌슨 순환과 같은 고지리학 이론을 뒷받침했다.
- '''해안 지리학'''은 물리적 지리학(즉, 해안 지형학, 지질학 및 해양학)과 해안의 인간 지리학을 모두 통합하여 해양과 육지 사이의 역동적인 경계면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해안 풍화 과정, 특히 파도 작용, 퇴적물 이동 및 풍화, 그리고 인간이 해안과 상호 작용하는 방식에 대한 이해가 포함된다. 해안 지리학은 주로 지형학적 연구이지만 해안 지형뿐만 아니라 해수면 변화의 원인과 영향에도 관심이 있다.
- '''해양학'''[1]은 지구의 해양과 바다를 연구하는 자연지리학의 한 분야이다. 해양 생물과 생태계 역학(생물 해양학); 해류, 파도 및 지구물리 유체 역학(물리 해양학); 판구조론과 해저 지질학(지질 해양학); 해양 내부와 경계를 가로지르는 다양한 화학 물질과 물리적 특성의 플럭스(화학 해양학)를 포함한 광범위한 주제를 다룬다. 이러한 다양한 주제는 해양학자들이 세계 해양에 대한 지식과 그 안의 과정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해 융합하는 다양한 학문을 반영한다.
- '''제4기 과학'''[8]은 지난 260만 년을 포함하는 제4기를 중심으로 연구하는 학제 간 연구 분야이다. 이 분야는 마지막 빙하기와 최근의 간빙기인 홀로세를 연구하고, 이 기간 동안의 과거 환경을 재구성하기 위해 대리 증거를 사용하여 발생한 기후 및 환경 변화를 추론한다.
- '''경관 생태학'''은 생태학과 지리학의 하위 분야로, 경관의 공간적 변화가 환경에서 에너지, 물질 및 개체의 분포와 흐름과 같은 생태 과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이것은 차례로 생울타리와 같은 경관 "요소" 자체의 분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를 다룬다. 이 분야는 주로 독일 지리학자 칼 트롤에 의해 지원되었다. 경관 생태학은 일반적으로 응용 및 전체론적 맥락에서 문제를 다룬다. 생물지리학과 경관 생태학의 주요 차이점은 후자는 에너지와 물질의 흐름이나 변화와 경관에 미치는 영향에 관심이 있는 반면, 전자는 종과 화학 순환의 공간 패턴에 관심이 있다는 것이다.
- '''지오매틱스'''는 지리 정보 또는 공간 참조 정보를 수집, 저장, 처리 및 전달하는 분야이다. 지오매틱스에는 측지학(지구, 그 중력장 및 지각 운동, 해양 조수 및 극 운동과 같은 다른 지구 역학 현상의 측정 및 표현을 다루는 과학적 학문), 지도학, 지리 정보 과학 (GIS) 및 원격 탐사(개체 또는 현상에 대한 정보의 단기 또는 대규모 획득, 개체와 물리적 또는 밀접한 접촉을 하지 않는 기록 또는 실시간 감지 장치 사용)가 포함된다.
- '''환경 지리학'''은 인간과 자연 세계 사이의 상호 작용의 공간적 측면을 분석하는 지리학의 한 분야이다. 이 분야는 인간 지리학과 자연 지리학의 차이를 연결하므로 지질학, 기상학, 수문학, 생물지리학 및 지형학의 역학과 인간 사회가 환경을 개념화하는 방식을 이해해야 한다. 이 분야는 이전에는 환경 결정론과 같은 이론으로 사회와 환경을 연결하여 현재보다 연구에서 더 눈에 띄었지만, 주로 환경 관리 또는 인위적 영향 연구 영역이 되었다.
2. 2. 수문학
수문학은 주로 지표면과 지표면 근처 토양 및 암석에서 이동하고 축적되는 물의 양과 질에 관심이 있으며, 수문 순환을 특징으로 한다.[1][8] 이 분야는 하천, 호수, 대수층 및 어느 정도 빙하의 물을 포함하며, 이러한 물체에 관여하는 과정과 역학을 조사한다. 수문학은 역사적으로 공학과 중요한 관련이 있었으며, 따라서 연구에서 주로 정량적인 방법을 개발해 왔다. 그러나 시스템 접근 방식을 포용하는 지구과학 측면도 가지고 있다. 대부분의 자연지리학 분야와 마찬가지로 특정 수역이나 다른 구와의 상호 작용을 조사하는 하위 분야를 가지고 있다(예: 호소학 및 생태수문학).대한민국은 강수량의 변동이 크고 수자원 관리가 중요하여 수문학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2. 2. 1. 하위 분야
- '''수문학'''은 주로 지표면과 지표면 근처 토양 및 암석에서 이동하고 축적되는 물의 양과 질에 관심이 있으며, 수문 순환을 특징으로 한다.[1][8] 이 분야는 하천, 호수, 대수층 및 어느 정도 빙하의 물을 포함하며, 이러한 물체에 관여하는 과정과 역학을 조사한다. 대부분의 자연지리학 분야와 마찬가지로 특정 수역이나 다른 구와의 상호 작용을 조사하는 하위 분야를 가지고 있다(예: 호소학 및 생태수문학).
2. 3. 빙하학
빙하와 빙상, 또는 더 일반적으로 빙권이나 얼음과 얼음을 포함하는 현상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빙하학은 빙상과 빙하의 역학에 대한 연구와 유사하지만, 전자는 빙상과 현재 기후의 상호 작용에, 후자는 빙하가 지형에 미치는 영향에 더 관심을 둔다. 빙하학은 또한 눈 수문학 및 빙하 지질학과 같이 빙상과 빙하에 관여하는 요인과 과정을 조사하는 광범위한 하위 분야를 가지고 있다.2. 3. 1. 하위 분야
- '''빙하학'''은 빙하와 빙상, 또는 더 일반적으로 빙권이나 얼음과 얼음을 포함하는 현상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빙하학은 빙상과 빙하의 역학에 대한 연구와 유사하지만, 전자는 빙상과 현재 기후의 상호 작용에, 후자는 빙하가 지형에 미치는 영향에 더 관심을 둔다. 빙하학은 또한 눈 수문학 및 빙하 지질학과 같이 빙상과 빙하에 관여하는 요인과 과정을 조사하는 광범위한 하위 분야를 가지고 있다.
2. 4. 생물지리학
생물지리학[1][8]은 종 분포의 지리적 패턴과 이러한 패턴을 초래하는 과정을 다루는 과학이다. 알프레드 러셀 월리스의 연구 결과로 연구 분야로 등장했지만, 20세기 후반 이전에는 주로 역사적 관점과 기술적 접근 방식으로 여겨졌다. 창립 이후 이 분야의 주요 자극은 진화, 판구조론 및 섬 생물지리학 이론이었다. 이 분야는 크게 다섯 가지 하위 분야로 나눌 수 있다. 섬 생물지리학, 고생물지리학, 계통지리학, 동물지리학 및 식물지리학.2. 4. 1. 하위 분야
2. 5. 기후학
기후학(climatology영어)은 장기간에 걸쳐 평균화된 기상 조건으로 과학적으로 정의된 기후를 연구하는 학문이다.[1][8] 기후학은 미시적(지역적) 및 거시적(전 지구적) 기후의 본질과 자연적 및 인위적 영향을 모두 조사한다. 이 분야는 또한 주로 다양한 지역의 기후와 특정 현상 또는 기간의 연구로 세분화된다(예: 열대성 사이클론 강우 기후학 및 고기후학).2. 5. 1. 하위 분야
- '''기후학'''은 장기간에 걸쳐 평균화된 기상 조건으로 과학적으로 정의된 기후를 연구하는 학문이다.[1][8] 기후학은 미시적(지역적) 및 거시적(전 지구적) 기후의 본질과 자연적 및 인위적인 영향을 모두 조사한다. 이 분야는 또한 주로 다양한 지역의 기후와 특정 현상 또는 기간의 연구로 세분화되는데, 열대성 사이클론 강우 기후학 및 고기후학 등이 이에 해당된다.
- '''고지리학'''은 지층 기록에 보존된 자료를 조사하여 지질 시대를 통한 대륙의 분포를 결정하는 학제 간 연구이다.[1] 대륙의 위치에 대한 증거는 거의 모두 화석 또는 고지자기 형태의 지질학에서 나온다. 이러한 데이터의 사용은 대륙 이동, 판구조론 및 초대륙에 대한 증거를 가져왔다.
2. 6. 토양지리학
토양지리학은 지형에 따른 토양의 분포를 연구하는 학문이다.[9][10][11] 지리학과 토양학의 학문적 교차점에 위치하며, 자연지리학과 토양학 모두에 기본적이다.[9][10][11]토양학은 자연 환경에서 토양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토양 생성, 토양 형태, 토양 분류를 다룬다. 토양지리학은 지형, 기후(물, 공기, 온도), 토양 생물(미생물, 식물, 동물) 및 토양 내 무기물(생지화학적 순환)과 관련된 토양의 공간 분포를 연구한다.
2. 7. 고지리학
고지리학은 지층 기록에 보존된 자료를 조사하여 지질 시대를 통한 대륙의 분포를 결정하는 학제 간 연구이다.[1] 대륙의 위치에 대한 증거는 거의 모두 화석이나 고지자기 형태의 지질학에서 나온다.[1] 이러한 데이터의 사용은 대륙 이동, 판구조론 및 초대륙에 대한 증거를 가져왔다.[1] 이것은 차례로 윌슨 순환과 같은 고지리학 이론을 뒷받침했다.[1]2. 8. 해안지리학
해안 지리학은 해양과 육지 사이의 역동적인 경계면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물리적 지리학(해안 지형학, 지질학, 해양학)과 해안의 인간 지리학을 모두 통합한다. 해안 풍화 과정, 특히 파도 작용, 퇴적물 이동 및 풍화, 그리고 인간이 해안과 상호 작용하는 방식을 이해하는 것이 포함된다. 해안 지리학은 주로 지형학적 연구이지만 해안 지형뿐만 아니라 해수면 변화의 원인과 영향에도 관심이 있다.2. 9. 해양학
해양학[1]은 지구의 해양과 바다를 연구하는 자연지리학의 한 분야이다. 해양 생물과 생태계 역학(생물 해양학), 해류, 파도 및 지구물리 유체 역학(물리 해양학), 판구조론과 해저 지질학(지질 해양학), 해양 내부와 경계를 가로지르는 다양한 화학 물질과 물리적 특성의 플럭스(화학 해양학)를 포함한 광범위한 주제를 다룬다. 이러한 다양한 주제는 해양학자들이 세계 해양에 대한 지식과 그 안의 과정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해 융합하는 다양한 학문을 반영한다.2. 9. 1. 하위 분야
자연지리학은 다음과 같이 여러 분야 또는 관련 분야로 나눌 수 있다.
- '''지형학'''[7][8]은 지구의 표면과 그것을 형성하는 과정(현재와 과거 모두)을 이해하는 것을 다룬다. 지형학은 사막 지형학 및 하천 지형학과 같이 다양한 환경의 특정 지형을 다루는 여러 하위 분야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하위 분야는 주로 지각 작용이나 기후 작용과 같은 핵심 과정에 의해 통합된다. 지형학은 현장 관찰, 물리적 실험 및 수치 모델링(지형측량학)을 통해 지형의 역사와 역학을 이해하고, 미래의 변화를 예측하려고 한다. 지형학의 초기 연구는 토양학의 두 가지 주요 분야 중 하나인 토양학의 기초가 된다.
- '''수문학'''[1][8]은 주로 지표면과 지표면 근처 토양 및 암석에서 이동하고 축적되는 물의 양과 질에 관심이 있으며, 수문 순환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 분야는 하천, 호수, 대수층 및 어느 정도 빙하의 물을 포함하며, 이러한 물체에 관여하는 과정과 역학을 조사한다. 수문학은 역사적으로 공학과 중요한 관련이 있었으며, 따라서 연구에서 주로 정량적인 방법을 개발해 왔다. 그러나 시스템 접근 방식을 포용하는 지구과학 측면도 가지고 있다. 대부분의 자연지리학 분야와 마찬가지로 특정 수역이나 다른 구와의 상호 작용을 조사하는 하위 분야를 가지고 있다(예: 호소학 및 생태수문학).
- '''빙하학'''은 빙하와 빙상 또는 더 일반적으로 빙권 또는 얼음과 얼음을 포함하는 현상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빙하학은 빙상과 빙하의 역학에 대한 연구와 유사하지만, 전자는 빙상과 현재 기후의 상호 작용에, 후자는 빙하가 지형에 미치는 영향에 관심이 있다. 빙하학은 또한 눈 수문학 및 빙하 지질학과 같이 빙상과 빙하에 관여하는 요인과 과정을 조사하는 광범위한 하위 분야를 가지고 있다.
- '''생물지리학'''[1][8]은 종 분포의 지리적 패턴과 이러한 패턴을 초래하는 과정을 다루는 과학이다. 알프레드 러셀 월리스의 연구 결과로 연구 분야로 등장했지만, 20세기 후반 이전에는 주로 역사적 관점과 기술적 접근 방식으로 여겨졌다. 창립 이후 이 분야의 주요 자극은 진화, 판구조론 및 섬 생물지리학 이론이었다. 이 분야는 크게 섬 생물지리학, 고생물지리학, 계통지리학, 동물지리학 및 식물지리학의 다섯 가지 하위 분야로 나눌 수 있다.
- '''기후학'''[1][8]은 장기간에 걸쳐 평균화된 기상 조건으로 과학적으로 정의된 기후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기후학은 미시적(지역적) 및 거시적(전 지구적) 기후의 본질과 자연적 및 인위적 영향을 모두 조사한다. 이 분야는 또한 주로 다양한 지역의 기후와 특정 현상 또는 기간의 연구로 세분화된다(예: 열대성 사이클론 강우 기후학 및 고기후학).
- '''토양 지리학'''은 지형에 걸친 토양의 분포를 다룬다. 지리학과 토양학 사이의 이 학문은 자연지리학과 토양학 모두에 기본적이다.[9][10][11] 토양학은 자연 환경에서 토양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토양 생성, 토양 형태, 토양 분류를 다룬다. 토양 지리학은 지형, 기후(물, 공기, 온도), 토양 생물(미생물, 식물, 동물) 및 토양 내 무기물(생지화학적 순환)과 관련된 토양의 공간 분포를 연구한다.
- '''고지리학'''[1]은 지층 기록에 보존된 자료를 조사하여 지질 시대를 통한 대륙의 분포를 결정하는 학제 간 연구이다. 대륙의 위치에 대한 증거는 거의 모두 화석 또는 고지자기 형태의 지질학에서 나온다. 이러한 데이터의 사용은 대륙 이동, 판구조론 및 초대륙에 대한 증거를 가져왔다. 이것은 차례로 윌슨 순환과 같은 고지리학 이론을 뒷받침했다.
- '''해안 지리학'''은 물리적 지리학(해안 지형학, 지질학 및 해양학)과 해안의 인간 지리학을 모두 통합하여 해양과 육지 사이의 역동적인 경계면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해안 풍화 과정, 특히 파도 작용, 퇴적물 이동 및 풍화, 그리고 인간이 해안과 상호 작용하는 방식에 대한 이해가 포함된다. 해안 지리학은 주로 지형학적 연구이지만 해안 지형뿐만 아니라 해수면 변화의 원인과 영향에도 관심이 있다.
- '''해양학'''[1]은 지구의 해양과 바다를 연구하는 자연지리학의 한 분야이다. 해양 생물과 생태계 역학(생물 해양학); 해류, 파도 및 지구물리 유체 역학(물리 해양학); 판구조론과 해저 지질학(지질 해양학); 해양 내부와 경계를 가로지르는 다양한 화학 물질과 물리적 특성의 플럭스(화학 해양학)를 포함한 광범위한 주제를 다룬다.
- '''제4기 과학'''[8]은 지난 260만 년을 포함하는 제4기를 중심으로 연구하는 학제 간 연구 분야이다. 이 분야는 마지막 빙하기와 최근의 간빙기인 홀로세를 연구하고, 이 기간 동안의 과거 환경을 재구성하기 위해 대리 증거를 사용하여 발생한 기후 및 환경 변화를 추론한다.
- '''경관 생태학'''은 생태학과 지리학의 하위 분야로, 경관의 공간적 변화가 환경에서 에너지, 물질 및 개체의 분포와 흐름과 같은 생태 과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이것은 차례로 생울타리와 같은 경관 "요소" 자체의 분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를 다룬다. 이 분야는 주로 독일 지리학자 칼 트롤에 의해 지원되었다. 경관 생태학은 일반적으로 응용 및 전체론적 맥락에서 문제를 다룬다. 생물지리학과 경관 생태학의 주요 차이점은 후자는 에너지와 물질의 흐름이나 변화와 경관에 미치는 영향에 관심이 있는 반면, 전자는 종과 화학 순환의 공간 패턴에 관심이 있다는 것이다.
- '''지오매틱스'''는 지리 정보 또는 공간 참조 정보를 수집, 저장, 처리 및 전달하는 분야이다. 지오매틱스에는 측지학(지구, 그 중력장 및 지각 운동, 해양 조수 및 극 운동과 같은 다른 지구 역학 현상의 측정 및 표현을 다루는 과학적 학문), 지도학, 지리 정보 과학 (GIS) 및 원격 탐사(개체 또는 현상에 대한 정보의 단기 또는 대규모 획득, 개체와 물리적 또는 밀접한 접촉을 하지 않는 기록 또는 실시간 감지 장치 사용)가 포함된다.
- '''환경 지리학'''은 인간과 자연 세계 사이의 상호 작용의 공간적 측면을 분석하는 지리학의 한 분야이다. 이 분야는 인간 지리학과 자연 지리학의 차이를 연결하므로 지질학, 기상학, 수문학, 생물지리학 및 지형학의 역학과 인간 사회가 환경을 개념화하는 방식을 이해해야 한다. 이 분야는 이전에는 환경 결정론과 같은 이론으로 사회와 환경을 연결하여 현재보다 연구에서 더 눈에 띄었지만, 주로 환경 관리 또는 인위적 영향 연구 영역이 되었다.
2. 10. 제4기 과학
제4기 과학은 지난 260만 년을 포함하는 제4기를 중심으로 연구하는 학제 간 연구 분야이다.[8] 이 분야는 마지막 빙하기와 최근의 간빙기인 홀로세를 연구하고, 이 기간 동안의 과거 환경을 재구성하기 위해 대리 증거를 사용하여 발생한 기후 및 환경 변화를 추론한다.2. 11. 경관 생태학
경관 생태학은 생태학과 지리학의 하위 분야로, 경관의 공간적 변화가 환경에서 에너지, 물질 및 개체의 분포와 흐름과 같은 생태 과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다룬다.[1][8] 이러한 영향은 생울타리와 같은 경관 "요소" 자체의 분포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1][8] 이 분야는 독일 지리학자 칼 트롤에 의해 주로 지원되었으며, 일반적으로 응용 및 전체론적 맥락에서 문제를 다룬다.[1][8] 생물지리학과의 주요 차이점은 경관 생태학이 에너지와 물질의 흐름이나 변화와 경관에 미치는 영향에 관심이 있는 반면, 생물지리학은 종과 화학 순환의 공간 패턴에 관심이 있다는 것이다.2. 12. 지오매틱스
지오매틱스는 지리 정보 또는 공간 참조 정보를 수집, 저장, 처리 및 전달하는 분야이다. 지오매틱스에는 다음 분야들이 포함된다.- 측지학(지구, 그 중력장 및 지각 운동, 해양 조수 및 극 운동과 같은 다른 지구 역학 현상의 측정 및 표현을 다루는 과학적 학문)
- 지도학
- 지리 정보 과학 (GIS)
- 원격 탐사(개체 또는 현상에 대한 정보의 단기 또는 대규모 획득, 개체와 물리적 또는 밀접한 접촉을 하지 않는 기록 또는 실시간 감지 장치 사용)
2. 12. 1. 하위 분야
- 측지학(지구, 그 중력장 및 지각 운동, 해양 조수 및 극 운동과 같은 다른 지구 역학 현상의 측정 및 표현을 다루는 과학적 학문)
- 지도학
- 지리 정보 과학 (GIS)
- 원격 탐사(개체 또는 현상에 대한 정보의 단기 또는 대규모 획득, 개체와 물리적 또는 밀접한 접촉을 하지 않는 기록 또는 실시간 감지 장치 사용)
2. 13. 환경 지리학
환경 지리학은 인간과 자연 세계 사이의 상호작용의 공간적 측면을 분석하는 지리학의 한 분야이다. 인간 지리학과 자연 지리학의 차이를 연결하며, 지질학, 기상학, 수문학, 생물지리학, 지형학의 역학과 인간 사회가 환경을 개념화하는 방식을 이해해야 한다. 과거에는 환경 결정론과 같은 이론으로 사회와 환경을 연결하여 현재보다 연구에서 더 주목받았지만, 주로 환경 관리 또는 인위적 영향 연구 영역이 되었다.3. 학문적 발전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지리학은 과학으로 인식되었으며, 스트라본, 에라토스테네스, 디오니시우스 등 고대 학자들이 지리학 발전에 기여했다. 19세기 후반까지 지리학은 자연과학의 일부로 여겨졌다. 18세기와 19세기 동안 제임스 허튼의 균일설과 조르주 퀴비에의 격변설 간 논쟁은 지리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19세기 산업혁명과 유럽의 식민지 확장은 지리학의 제도화를 촉진했다. 러시아의 미하일 로모노소프는 빙하학을 창시하고 지리학 연구를 장려했으며, 바실리 도쿠차예프는 토양학을 발견했다. 블라디미르 쾨펜은 기후 분류 체계를 개발하여 고기후학의 아버지로 여겨진다.
찰스 다윈의 진화론은 프리드리히 라첼의 연구에 영향을 주어 생물지리학 발전에 중요한 자극이 되었다. 윌리엄 모리스 데이비스는 침식 순환 이론을 개발하여 지형학 발전에 기여했다. 그의 제자 커티스 마르붓, 마크 제퍼슨, 아이제이야 보먼 등도 물리 지리학 발전에 공헌했다. 알렉산더 폰 훔볼트는 16세기 초 마르틴 페르난데스 데 엔시소의 ''Summa de Geografía''를 통해 지리학이 물리적이고 자연과학으로 간주되며, 생물지리학 연구의 기초를 세웠다.
4. 주요 자연지리학자

- 에라토스테네스(Eratosthenes) (기원전 276년–기원전 194년)는 지리학이라는 학문을 창시했다.[12] 그는 지구 크기에 대한 최초의 신뢰할 만한 추정치를 제시했으며,[13] 수학 지리학과 측지학의 아버지로 여겨진다.[13][14]
- 아부 라이한 비루니(Abū Rayhān Bīrūnī) (973년–1048년)는 측지학의 아버지로 여겨진다.[15][16]
- 미하일 로모노소프(Mikhail Lomonosov) (1711년–1765년)는 러시아 지리학의 아버지이며 빙하학 연구의 기초를 세웠다.
- 알렉산더 폰 훔볼트(Alexander von Humboldt) (1769년–1859년)는 현대 지리학의 아버지로 여겨진다. 그는 ''코스모스''를 출판하고 생물지리학 연구의 기초를 세웠다.
- 블라디미르 페터 쾨펜(Wladimir Peter Köppen) (1846년–1940년)은 가장 중요한 기후 분류 체계를 개발하고 고기후학의 창시자이다.
- 윌리엄 모리스 데이비스(William Morris Davis) (1850년–1934년)는 미국 지리학의 아버지이자 지형학의 창시자이며 지리 순환 이론을 개발했다.
- 그 외에도 프톨레마이오스(Ptolemy), 아비켄나(Avicenna, Ibn Sina), 무함마드 알-이드리시(Muhammad al-Idrisi, Dreses), 피리 레이스(Piri Reis), 게라르두스 메르카토르(Gerardus Mercator), 베르나르두스 바레니우스(Bernhardus Varenius), 아널드 헨리 기오(Arnold Henry Guyot), 루이 아가시(Louis Agassiz), 알프레드 러셀 월리스(Alfred Russel Wallace), 바실리 도쿠차예프(Vasily Dokuchaev), 존 프랭컨 윌리엄스(John Francon Williams), 발터 펜크(Walther Penck), 어니스트 섀클턴(Ernest Shackleton), 로버트 E. 호튼(Robert E. Horton), J. 할렌 브레츠(J Harlen Bretz), 루이스 가르시아 사인즈(Luis García Sáinz), 윌리 댄스가드(Willi Dansgaard), 한스 외슈거(Hans Oeschger), 리처드 찰리(Richard Chorley), 니콜라스 섀클턴(Nicholas Shackleton) 등이 자연지리학 발전에 기여했다.
참조
[1]
웹사이트
1(b). Elements of Geography
http://www.physicalg[...]
[2]
웹사이트
Physical Geography
http://www.physicalg[...]
[3]
서적
Physical Geography: Great Systems and Global Environment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서적
Introduction to Geography: People, Places & Environment
https://www.pearson.[...]
Pearson
2022-08-28
[5]
학술지
What is Technical Geography
https://technicalgeo[...]
2022-07-22
[6]
학술지
The Process of Geomorphology Related to Sub Branches of Physical Geography
2022-12
[7]
웹사이트
Physical Geography: Defining Physical Geography
https://researchguid[...]
2019-11-18
[8]
웹사이트
Physical Geography
https://www.unr.edu/[...]
[9]
PNG
Subdisciplines of Geography
https://www.civilser[...]
[10]
학술지
Soil geography: a subject transformed
1981
[11]
학술지
Soil geography as a physical geography discipline
https://www.research[...]
Institute of Geography and Spatial Organization PAS
2004-01
[12]
서적
Eratosthenes' "Geograph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3]
서적
Plotting the globe: stories of meridians, parallels, and the international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4]
서적
The Metric System
https://books.google[...]
The Creative Company
[15]
간행물
Al-Beruni: The First Anthropologist
[16]
간행물
Information in the Arab World
[17]
서적
History of the Moorish Empir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