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흘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흘레는 레바논 베카 계곡에 위치한 도시로, 어원은 불분명하나 고대 로마의 신과 관련 있다는 설이 있다. 기독교인이 다수를 차지하며,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 신자가 가장 많다. 자흘레는 5천 년의 역사를 가지며, 18세기에는 작은 마을이었으나, 1820년 인구가 5,000명으로 증가하며 베카 계곡의 상업 중심지로 성장했다. 주요 산업은 농업으로, 포도 재배와 와인 생산이 유명하다. 주요 관광 명소로는 브르다우니 강변의 카페 거리, 자흘레와 베카의 성모상 등이 있다. 자흘레는 보르도, 로사리오 등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으며, 샤키라 등 유명 인물들의 출생지이기도 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레바논의 유적 - 티레
티레는 레바논 남부 지중해 연안의 도시로, 페니키아 시대에 주요 도시 국가로 번성했으며 현재는 역사적 유적과 자연 보호 구역을 보유한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관광, 계약 서비스, 건설업이 주요 산업이고 다양한 종교 공동체와 팔레스타인 난민들이 거주한다. - 레바논의 유적 - 비블로스
비블로스는 고대 그리스어로 파피루스를 의미하며, 기원전 8800년경부터 사람이 거주한 레바논의 도시로 페니키아 시대에 이집트와의 교역 중심지였고, 페니키아 문자 발상지 중 하나이며, 현재는 관광 도시이다. - 레바논의 도시 - 트리폴리 (레바논)
트리폴리는 레바논 북부에 위치한 고대 도시로, 페니키아 시대부터 존재했으며 여러 제국과 시대를 거쳐 레바논 내전과 시리아 내전의 영향을 받았고, 현재는 문화 유적과 랜드마크를 보유하고 있다. - 레바논의 도시 - 베이루트
베이루트는 5,000년이 넘는 역사를 가진 레바논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로 지중해 연안의 주요 항구 도시이며, '중동의 파리'로 불릴 만큼 번성했으나 내전과 사고, 침공 등으로 피해를 입었음에도 레바논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자흘레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자흘레 |
별칭 | 베카의 신부 골짜기의 진주 |
위치 | 레바논 베카 주 |
시장 | 아사드 조가이브 |
면적 | 8 제곱킬로미터 |
도시권 면적 | 40 제곱킬로미터 |
고도 | 900 ~ 1150 미터 |
시간대 | 동유럽 표준시 (EET) |
협정 세계시 (UTC) 오프셋 | +2 |
하계 시간 | 동유럽 하계 시간 (EEST) |
하계 시간 협정 세계시 (UTC) 오프셋 | +3 |
우편 번호 | 1801 |
지역 번호 | 8 |
인구 | |
총 인구 | 100,000명 |
도시권 인구 | 300,000명 |
기타 정보 | |
유네스코 창의 도시 네트워크 가입 | 음식 분야 |
추가 정보 | |
1981년, 1982년 레바논 전쟁 당시 | 시리아 군대와 팔랑헤 사이의 충돌 |
2. 어원
도시 이름의 유래는 불분명하며, 일부 역사가들은 고대 로마의 풍요의 신인 조할(Zohal)과 관련이 있다고 본다. 로마의 흔적을 보여주는 유적들이 발견되었다.[9] 다른 사람들은 도시 주변의 산림이 훼손된 언덕에서 가끔 일어나는 산사태가 이름의 기원일 것이라고 주장한다.[9]
자흘레 지역에는 적어도 5천 년 동안 인간의 활동이 있어왔다. 18세기 자흘레는 약 200채의 집이 있는 작은 마을이었다.[8] 이 마을은 레바논 산맥과 시리아의 지역 권력 중심지로부터 상대적으로 지리적으로 고립되어 있었기 때문에, 분쟁이나 공격이 발생할 경우 의지할 만한 지역 내 동맹이 없었다. 자흘레는 1777년과 1791년에 불탔다.[9]
자흘레는 레바논과 중동에서 기독교인이 다수를 차지하는 가장 큰 도시 중 하나이며, 가톨릭 신자의 수가 가장 많다.[15] 다마스쿠스, 카이로, 암만을 포함한 여러 중동 도시들이 자흘레보다 더 큰 기독교 공동체를 가지고 있지만, 이들은 다수를 차지하지 않는다. 베이루트 역시 자흘레보다 더 큰 기독교 인구를 가지고 있지만, 레바논 그리스 정교회 기독교인 신앙을 따르는 인구가 대부분이다. 주니에 역시 자흘레보다 크며, 프랑스 철수 전에는 압도적으로 기독교인이 많았다.
3. 역사
전설에 따르면 많은 기독교인들이 18세기에 하르푸시 왕조의 압제와 탐욕 때문에 바알벡 지역에서 이주했지만, 더 비판적인 연구에서는 왕조가 자흘레의 정교회 마알루프 가문과 긴밀히 연계되어 있었고, 약탈 행위와 자흘레의 상업적 매력 증가가 바알벡의 쇠퇴를 설명한다고 지적하며 이견을 제시했다. 억압이 항상 기독교 공동체를 직접적으로 겨냥한 것은 아니었는데, 시아파 이슬람의 '우사이란 가문' 역시 하르푸시 가문의 수용을 피해 바알벡을 떠나 시돈의 주요 상업 가문 중 하나로 자리 잡았으며, 이란의 영사로도 활동했다고 전해진다.[10]
18세기 말 자흘레에는 1,000명의 주민과 200채의 집이 있었다. 1820년까지 인구는 5,000명으로 증가했고, 1850년에는 7,000~8,000명으로 증가하여 베카 계곡의 상업 중심지이자 지역 곡물 수확을 위한 주요 창고가 되었다. 이러한 확장은 이집트 점령(1831–41)으로 인한 국가의 유럽과의 무역 개방, 크림 전쟁으로 인한 유럽의 곡물 부족, 레바논 산맥에서 비단 생산 확대 등이 요인이었다.[11] 자흘레는 곡물 무역 외에도 시리아 (지역) 지역 가축의 중심지가 되었고, 알레포, 다마스쿠스, 베이루트와 거래하며 가죽, 직물, 염색 상품을 생산했다. 1860년대와 1870년대 지역 상인들은 번성했지만, 베이루트 은행에 신용을 의존했다.[12]
1975년 9월 7일, 레바논 내전 중 레바논 군대 민병대는 엘리 호베이카의 지휘 하에 100명의 시리아군 군인과 20명의 정보 장교가 이 마을의 전략적 위치를 점거하는 데 동의했다.[13]
현재 인구는 1932년 이후 레바논에서 인구 조사가 실시되지 않아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2017년 추산에 따르면 마을 자체의 인구는 386,362명으로, 레바논에서 4번째로 큰 도시이다.[14] 도시 지역은 남서쪽의 사드나일, 타알라바야, 크타우라, 지디타, 1990년대 후반부터 계획되지 않은 성장으로 인해 단일 도시 실체를 형성하게 된 인접 마을을 포함한다. 수도권은 자흘레 구의 상당 부분을 넘어 남서쪽의 카브 엘리아스 마을, 남쪽의 바르 엘리아스 마을, 북동쪽의 푸르졸, 아블라 및 니하 마을, 동쪽의 리야크, 하우시 할라 및 알리 엔 나흐리 마을을 포함하며 총 인구는 약 20만 명이다.
4. 인구
자흘레의 기독교 인구는 대략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내전 동안 자흘레에는 힌디와 제린 두 가족만 남았다. 자흘레의 이슬람교 소수 민족(인구의 약 27%)은 카라크 누흐와 하우시 알-우마라 지역, 특히 도시 북동쪽과 남서쪽 가장자리에 있는 "하야 알-와타니"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이 지역 무슬림의 62%는 레바논 시아파 무슬림이며, 나머지 38%는 수니파이다. 과거에는 드루즈 소수 민족과 유대인 인구도 있었지만, 대부분 레바논 내전 동안 이주했다.
자흘레는 20세기 초부터 이민이 많았으며, 대부분 콜롬비아, 베네수엘라, 브라질, 아르헨티나 등 남아메리카로 이주했다. 1970년대와 1980년대 내전 동안에는 미국, 캐나다, 호주, 브라질로 이주했다. 최근에는 캐나다와 아랍 에미리트 연합이 주요 이주 목적지이다. 현재 약 25만 명의 현지 출신 사람들이 해외에 거주하고 있으며, 대부분 콜롬비아와 브라질에 있다.
5. 경제
베카 계곡의 주요 도시인 자흘레의 경제는 오랫동안 농업에 기반을 두고 발전해 왔다. 포도는 이 지역의 주요 생산품이며, 포도원은 주변 경관의 두드러진 특징을 형성한다.[16] 덩굴은 또한 많은 오래된 주택의 테라스에서 격자 형태로 개별적으로 재배된다. 지역 농산물의 상당 부분은 마을 안팎에 있는 세 개의 와이너리와 자흘레가 유명한 지역 술인 아라크를 생산하는 수많은 증류소에 공급된다.[16]
자흘레는 한때 베이루트와 다마스쿠스 중간에 위치하여 번창한 상업 활동을 보였다.[17] 역설적이게도, 베이루트의 불안정성이 증가하여 경제가 분산되면서 내전 기간 동안 이러한 활동의 일부를 되찾았다. 또한, 국가 권위의 붕괴로 인해 과세가 존재하지 않았고, 자흘레는 이를 이용하여 산업 및 상업 부문을 확장했다.
레바논 중앙은행과 레바논 상공회의소를 포함하여 많은 회사와 국가 기관이 자흘레에 베카 지역 본부를 두고 있다.
6. 교육
자흘레는 최근 여러 대학이 분교를 개설하면서 지역 고등 교육의 중심지로 발전하고 있다. 현재 자흘레에 분교가 있는 고등 교육 기관은 다음과 같다.
- 레바논 대학교
- 생 조셉 대학교(Université Saint-Joseph)
- 카슬릭 성령 대학교(Holy Spirit University of Kaslik)
- 안토닌 대학교(Antonine University)
- 미국 과학 기술 대학교(America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국립 기술 연구소
7. 교통
자흘레는 베이루트(서쪽으로 55km)와 연결되어 있으며, 베이루트-다마스쿠스 도로를 통해 모든 해안 도시로 연결된다.[18] 이 도로는 도시 지역의 남서쪽을 통과하며, 교통 상황에 따라 이동 시간은 45분에서 2시간까지 걸릴 수 있다.[18] 다마스쿠스는 남동쪽으로 73km 떨어져 있으며, 국경 대기 시간을 제외하고 1시간 30분 안에 도착할 수 있다.[18] 베이루트-다마스쿠스 도로는 열악한 상태로, 새로운 고속도로로 교체될 예정이지만 완공 날짜는 불확실하다.[18]
자흘레는 트랜스-베카아 도로를 통해 바알베크(북동쪽으로 36km)와 연결되며, 이 도로는 북쪽으로 시리아의 홈스까지 이어진다.
자동차 소유가 광범위하여 대중 교통은 개발되지 않았다. 중앙 가도를 운행하는 단일 버스 노선이 있지만, 운행 시간은 불규칙하다. 도시 간 운송은 마나라 로터리에서 정차하는 미니밴으로 이루어진다. 자흘레의 철도역은 무알라카에 있었지만, 레바논 내전 중 철도 운송이 중단된 후 폐쇄되었다.
라야크 공군 기지(자흘레 동쪽 10km)를 민간 공항으로 전환하려는 계획이 있었으나, 2000년대 초 활주로 연장 시작 후 중단되었다.
8. 주요 관광 명소
자흘레와 레바논의 다른 지역 사람들은 오랫동안 브르다우니 강둑에서 교류해왔다.[19] 이 도시에서 가장 인기 있는 명소는 "알 와디"("계곡")라고 불리는 강을 따라 300m 길이의 산책로이다. 협곡의 석회암 절벽 사이에 자리 잡고 있으며, 대형 야외 레스토랑, 카페, 놀이방이 늘어서 있고 나무 그늘이 드리워져 있다. 이 식당들은 전통적인 레바논식 메제를 아라크와 함께 제공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산에서 불어오는 찬 바람이 협곡을 휩쓸고 지나가는 늦가을과 겨울에는 산책로가 폐쇄된다.[19]
자흘레 남서쪽 언덕에 위치한 자흘레와 베카의 성모상은 54m 높이의 콘크리트 탑으로, 전체가 흰색 대리석으로 덮여 있으며, 이탈리아 예술가가 제작한 10m 높이의 청동 성모 마리아 조각상이 꼭대기에 있다. 이 탑은 자흘레에서 가장 눈에 띄는 구조물로, 도시 대부분과 베카 계곡 중심부의 여러 마일 떨어진 곳에서도 보인다. 탑 기단부에는 100명 넘게 수용 가능한 예배당이 있다. 탑 꼭대기에서는 자흘레와 베카 계곡의 탁 트인 전망을 감상할 수 있다.[20][21]
1850년에 도시의 세라이로 사용하기 위해 건설된 오스만 제국 건물인 구 세라이는 현재 시청으로 사용되고 있다. 자흘레와 베카의 성모 마리아 성당 바로 아래에 위치해 있으며, 현지 건축 양식과 오스만 건축 양식이 혼합되어 있으며, 내부 정원이 있는 아트리움과 아케이드로 둘러싸여 있다. 과거에는 1층에 지역 감옥이 있었는데, 2009년에 무알라카의 새로운 위치로 이전되었다.
1720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사이데트 잘잘레(Our Lady of Zalzale) 성당은 넓은 안뜰을 중심으로 석조 건물들이 늘어서 있다. 여기에는 교회 자체, 대주교의 관저, 성 루가가 그린 성모 마리아 초상화의 복사본이라고 전해지는 성상이 있는 작은 예배당이 포함된다. 또한 웅장한 입구, 지하 묘지, 그리고 1993년에 대리석 시계가 설치된 40m 높이 종탑이 있다. 이 단지의 일부는 1987년 4월 폭탄 공격으로 파괴되었으며, 이후 재건되었다.
그랜드 호텔 카드리는 자흘레의 전통적인 석조 건축물의 대표적인 사례로,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오스만 제국에 의해 병원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레바논 내전 동안에는 시리아군이 점령하여 막대한 피해를 입었으나,[22] 1990년대 중반 복원되어 이전의 영광을 되찾았다. 2011년 2월에 폐쇄되었으나, 2013년 후반에 다시 문을 열었다.
멤시에 공원은 자흘레에서 가장 오래되고 그늘이 많은 공원이다. 공원에는 레바논의 여러 지역을 묘사한 모자이크가 있는 대리석 테이블, 수련이 있는 작은 연못, 반원형 대리석 톨로스, 유명한 지역 주민들을 묘사한 여러 조각상이 있다.
자흘레 자체는 고고학적으로 크게 흥미로운 곳은 아니지만, 샤토 크사라 와이너리는 고대 로마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묘한 지하 저장고를 둘러볼 가치가 있다. 카라크 누 교외에는 지역 모스크 안에 40m 길이의 석조 구조물이 있는데, 현지에서는 이를 노아의 무덤으로 믿고 있지만, 아마도 로마 시대의 수로의 일부일 것이다.[22]
인근 지역에도 여러 고대 유적지가 있다. 카브 일리아스에는 로마 시대의 것으로 보이는 세 신의 암석 조각이,[23] 안자르에는 세계 유산으로 지정된 독특한 우마이야 왕조 시대의 궁전 유적이 있다. 푸르졸 마을 위에는 석회암 절벽에 있는 일련의 암석으로 깎은 로마 시대 무덤이,[22] 니하 베카에는 페니키아 건축 요소가 있는 두 개의 정교한 로마 사원이 있다. 카미드 알 로즈는 레바논에서 가장 중요한 청동기 시대 정착지이며, 바알베크의 로마 고고학 단지는 또 다른 세계 유산이다.
9. 문화
자흘레의 문화는 오랫동안 이 지역의 대표적인 작물인 포도와 그 제품인 와인, 아라크를 중심으로 발전해 왔다. 특히 아라크는 전통적으로 하루 중 거의 언제든지 카페에서 제공되었다. 이 도시는 "와인과 시의 도시"로 알려져 있다.
자흘레의 가장 중요한 문화 행사는 매년 9월에 열리는 "포도 축제"로, 2주에서 3주에 걸쳐 콘서트, 연극, 시 낭송회, 미술 전시회가 매일 개최된다. 마지막 토요일 저녁에는 지역 미인(beauty queen)인 "포도의 소녀"를 선발하고, 다음 날 오후에는 이 축제의 가장 인기 있는 행사로 꼽히는 시가 행진이 열린다.
지역 문화의 또 다른 중심적인 측면은 종교적 헌신이다. 자흘레는 여전히 매우 가톨릭적이고 보수적인 도시이며, 많은 주민들이 그들의 종교적 정체성에 대한 자부심을 보여준다.
예언자 엘리아스(Prophet Elias)는 이 도시의 수호성인이며, 7월 20일 그의 축일은 전통적으로 불꽃놀이와 함께 기념된다. 또 다른 주목할 만한 휴일은 6월 첫 번째 목요일에 열리는 성체 축일로, 대규모 행렬과 전날 저녁 횃불 행진이 진행된다. 성체 축일 축하는 1825년, 도시가 흑사병의 피해를 면하면서 시작되었다.
10. 기후
자흘레는 대륙성 기후의 영향을 받는 지중해성 기후(쾨펜 기후 구분: Csa)를 보인다.[29]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평균 최고 기온 (°C) | 10.9 | 11.8 | 15.0 | 20.1 | 25.0 | 29.2 | 31.8 | 32.5 | 29.3 | 25.0 | 18.5 | 12.9 |
평균 기온 (°C) | 6.2 | 6.9 | 9.5 | 13.7 | 17.7 | 21.3 | 23.5 | 24.1 | 21.2 | 17.7 | 12.5 | 8.0 |
평균 최저 기온 (°C) | 1.5 | 2.0 | 4.0 | 7.3 | 10.5 | 13.4 | 15.3 | 15.7 | 13.2 | 10.4 | 6.6 | 3.1 |
강수량 (mm) | 160 | 127 | 102 | 45 | 18 | 1 | 0 | 0 | 2 | 25 | 71 | 135 |
11. 자매 도시
자흘레는 다음 도시들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12. 인물
- 샤키라/شاكيراar, 콜롬비아-레바논 출신 가수
- 사이드 아클, 시인, 철학자, 정치가
- 푸아드 엘 터크, 시인, 전 유엔 주재 레바논 대사, 레바논 대사 포럼 회장
- 찰스 엘라치(인근 리아크 출신), NASA 제트 추진 연구소 소장
- 엘리아스 흐라위, 레바논 대통령 (1989–1998)
- 조셉 라야, 멜키트 가톨릭 대주교, 시민 운동가
- 루이스 칼릴, 마론파 교회 소속 레바논 사제
- 나즈와 카람, 레바논 출신 가수, 배우
- 와엘 카푸리, 레바논 출신 가수, 배우
- 이사벨 바이락다리안, 아르메니아계 캐나다 출신 오페라 소프라노
- 칼 샤로/Karl Sharro영어, 런던에 거주하는 레바논-이라크 출신 건축가, 작가[27]
- 마리오 자갈루, 브라질 축구 선수이자 감독, 자흘레 출신 레바논계 후손
참조
[1]
웹사이트
Zahlé {{!}} Creative Cities Network
https://en.unesco.or[...]
2021-01-25
[2]
웹사이트
Summer of shelling
https://frontline.th[...]
2006-08-10
[3]
서적
Israel's Lebanon War
https://books.google[...]
Unwin Paperbacks
1986-01-01
[4]
서적
War and Intervention in Lebanon: The Israeli–Syrian Deterrence Dialogue
https://books.google[...]
Croom Helm
1987
[5]
서적
The Bulletin
https://books.google[...]
J. Haynes and J.F. Archibald
2004-09
[6]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Lebanon
Rowman & Littlefield
2021
[7]
웹사이트
Discover Lebanon
http://www.discoverl[...]
[8]
문서
The Economic History of the Middle East 1800–1914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6
[9]
웹사이트
ZAHLE IN HISTORY
http://edz.com.lb/Ab[...]
Electricité de Zahlé
2024
[10]
문서
The Shiites of Lebanon under Ottoman Rule, 1516–1788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03-11
[11]
문서
Issawi
[12]
문서
Issawi
[13]
간행물
Middle East International
Christopher Mayhew, Dennis Walters, Jim Muir
19
[14]
웹사이트
Zaḥlah (District, Lebanon) - Population Statistics, Charts, Map and Location
https://www.citypopu[...]
2024-07-30
[15]
웹사이트
Is Zahle the "Capital of Catholicism" in the East?
https://monthlymagaz[...]
[16]
웹사이트
Beqaa Wineries
https://www.living-l[...]
2021-01-25
[17]
서적
A social history of Zahlé: the principal market town in nineteenth-century Leban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18]
웹사이트
Pan-Arab Highway Project-OPEC Fund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https://opecfund.org[...]
The OPEC Fund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2024-07-30
[19]
웹사이트
Profile of Berdawni - Berdawni - Zahle Lebanon - Berdawni.com
http://www.berdawni.[...]
2024-07-30
[20]
웹사이트
Explore Zahle (Zahlé): Uncover the Charm of Bekaa Valley in Lebanon {{!}} Egypt Uncovered Travel
https://www.egypt-un[...]
2024-07-30
[21]
웹사이트
Our Lady of Zahle {{!}} BAM By Agenda Culturel
https://www.bamleb.c[...]
2024-07-30
[22]
서적
Syria & Lebanon handbook: the travel guide
https://books.google[...]
Footprint Travel Guides
2001-07-01
[23]
서적
American journal of archaeology
https://books.google[...]
Macmillan Co.
[24]
서적
War Against Islam
https://books.google[...]
Lulu.com
2008-06
[25]
웹사이트
Houche-Al-Oumara Climate : Temperature 1991-2020
https://meteostat.ne[...]
Meteostat
2024-12-19
[26]
웹사이트
HOUCHE-AL-OUMARA Climate: 1991–2020
http://starlingsroos[...]
Starlings Roost Weather
2024-12-19
[27]
magazine
Karl Sharro's Acid-Tinged Satire of the Middle East
https://www.newyorke[...]
2019-02-04
[28]
웹사이트
Bordeaux-Atlas français de la coopération décentralisée et des autres actions extérieures
http://www.cncd.fr/f[...]
[29]
웹인용
Climate: Zahlé
https://en.climate-d[...]
Climate-Data.org
2018-08-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