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문호 (천주교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문호는 1801년 충청도 임천에서 태어난 천주교 신자이다. 그는 한때 현감을 지냈으나 세례를 받은 후 관직을 사임하고 교리를 가르치며 존경을 받았다. 1866년 병인박해 때 전주에서 체포되어 순교했는데, 1984년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01년 출생 - 윌리엄 H. 수어드
윌리엄 H. 수어드는 뉴욕 주지사, 연방 상원의원, 국무장관을 역임하며 노예제 폐지를 주장하고 알래스카 매입에 기여한 미국의 정치인이다. - 1801년 출생 - 존 헨리 뉴먼
존 헨리 뉴먼은 19세기에 활동하며 옥스퍼드 운동을 이끌고 가톨릭교회로 개종하여 추기경이 되었으며, 종교, 교육, 철학 분야에 기여하고 1991년 존경받는 인물로, 2019년 시성되었다. - 부여군 출신 - 김종필
5·16 군사정변 주역이자 초대 중앙정보부장, 두 차례 국무총리를 지낸 김종필은 한일 국교 정상화 기여와 '김-오히라 메모' 논란, 9선 국회의원, DJP 연합을 통한 총리 재임 등 한국 현대사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권위주의 시대의 어두운 면과 지역주의 정치의 상징으로도 평가받는 정치인이다. - 부여군 출신 - 정한모
정한모는 1955년 등단한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문학평론가,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문화공보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다수의 시집과 학술서 저술, 남북 문학 통합 기여, 여러 문학상 수상 등의 활동을 했다. - 1866년 사망 - 김정호
김정호는 조선 후기의 지리학자이자 지도 제작자로, 대동여지도를 비롯한 여러 지도와 지리지를 제작하여 조선 시대 지리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그의 업적을 기려 소행성 95016 김정호가 명명되었다. - 1866년 사망 - 마리니콜라앙투안 다블뤼
프랑스 출신 로마 가톨릭 주교이자 조선교구 사도대목구장이었던 안토니 다블뤼는 1845년 한국에 입국하여 선교 및 문서 선교에 기여, 주교 서품 후 사도대목구장을 이어받았으나 병인박해 때 순교, 1984년 시성되었고 그의 순교는 한국 천주교회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정문호 (천주교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정문호 바르톨로메오 |
출생일 | 1801년 |
사망일 | 1866년 12월 13일 |
축일 | 9월 20일 |
교파 | 로마 가톨릭교회 |
출생지 | 충청도 임천 |
사망지 | 전라도 전주 |
직업 | 순교자 |
시복일 | 1968년 10월 6일 |
시복인 | 교황 바오로 6세 |
시성일 | 1984년 5월 6일 |
시성인 |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
매장지 | 절두산 순교성지 |
2. 생애
정문호는 1801년 충청도 임천에서 태어나 천주교를 접하고 신자가 되었다. 한때 현감을 지내기도 했지만, 세례를 받은 후 관직에서 물러나 신앙생활에 전념하였다. 어진 성품과 교리 교육으로 천주교 신자와 비신자 모두에게 존경받았다.
1866년 병인박해 때 전라도 전주부 대성동 신리골(현재 완주군 소양면 신원리)에서 체포되었다. 그는 고문과 고통 속에서도 신앙을 굽히지 않았고, 순교를 과거 시험에 비유하며 1866년 12월 13일 전주 숲정이에서 참수되었다.[1]
2. 1. 초기 생애와 입교
정문호는 1801년 충청도 임천에서 양반으로 태어났다. 임천에서 천주교를 접하고 바로 입교하여 독실한 신자로 살았다. 천주교 세례를 받기 전, 한때 한 고을의 현감을 지내기도 하였지만, 세례를 받고 난 후 모든 관직에서 사임하였다. 정문호는 성품이 어질었으므로 천주교인들뿐만 아니라 비천주교인들까지도 그를 존경하고 사랑하였다. 그는 사람들에게 교리를 가르쳤는데, 이는 그가 높이 존경받는 또 다른 이유였다.2. 2. 병인박해와 체포
정문호는 1866년 병인박해 때 전라도 전주부의 대성동 신리골(현재 완주군 소양면 신원리)의 한 교우촌에 살았다. 12월 초, 정문호는 전라도에서의 박해 소식을 듣고 확인하고자 전주로 전령을 보냈다. 전령은 비신자였는데, 그가 돌아오기 전에 포졸들이 정문호가 사는 마을을 급습했고, 1866년 12월 3일 정문호는 한원서 베드로, 손선지 베드로 등 여섯 명의 교우와 함께 체포되었다.[1]일곱 명의 천주교인은 고을 관아에 끌려가면서도 매우 행복해 하였다. 그들은 광에 갇혔다. 정문호는 배교 유혹을 받았지만, 조화서 베드로가 그를 격려하였다. 정문호는 회개하고 신앙을 굽히지 않았다. 그는 기도하며 고문과 고통을 견뎠다. 그는 형리에게 배교하느니 죽겠다고 말했다. 12월 13일, 사형장으로 압송되는 동안에도 행복한 미소를 지었다. 형리들은 그의 기도 소리를 듣고 경악하였다. 숲정이로 가는 중에 조화서에게 "오늘 저희는 천국의 과거 시험을 치르고 있습니다. 참으로 행복한 날입니다."라며 순교를 급제에 비유하였다. 정문호는 1866년 12월 13일 65세의 나이로 전주 숲정이에서 참수되었다.[1]
2. 3. 투옥과 순교
정문호는 1801년 충청도 임천에서 양반으로 태어났다. 임천에서 천주교를 접하고 바로 입교하여 독실한 신자로 살았다. 천주교 세례를 받기 전, 한때 한 고을의 현감을 지내기도 하였지만, 세례를 받고 난 후 모든 관직에서 사임하였다. 어진 성품으로 천주교인들뿐만 아니라 비천주교인들에게도 존경과 사랑을 받았다. 사람들에게 교리를 가르쳤는데, 이는 그가 높이 존경받는 또 다른 이유였다.박해를 피해 여러 지방을 떠돌다가, 1866년 병인박해 때에는 전라도 전주부의 대성동 신리골(현재 완주군 소양면 신원리)의 한 교우촌에 살았다. 12월 초, 전라도에서의 박해 소식을 듣고 확인하고자 전주로 전령을 보냈다. 전령은 비신자였는데, 그가 돌아오기 전에 한 무리의 포졸들이 정문호가 사는 마을을 급습했고, 1866년 12월 3일 한원서 베드로, 손선지 베드로 등 여섯 명의 교우와 함께 체포되었다.
일곱 명의 천주교인은 고을 관아에 끌려가면서도 매우 행복해 하였다. 광에 갇혔으나, 배교 유혹에도 조화서 베드로의 격려로 회개하고 신앙을 굽히지 않았다. 열심히 기도하며 고문과 고통을 견뎠고, 형리에게 배교하느니 죽겠다고 말했다. 12월 13일, 사형장으로 압송되는 동안에도 행복한 미소를 지었으며, 중얼거리는 기도 소리에 형리들은 경악하였다. 순교를 위해 숲정이로 가는 중에 조화서에게 "오늘 저희는 천국의 과거 시험을 치르고 있습니다. 참으로 행복한 날입니다."라며 순교를 급제에 비유하였다. 1866년 12월 13일 65세의 나이로 전주 숲정이에서 참수되었다.
3. 시복 · 시성
1968년 10월 6일 성 베드로 대성당에서 교황 바오로 6세가 집전한 24위[3] 시복식을 통해 복자 품에 올랐고,[4] 1984년 5월 6일 서울특별시 여의도에서 한국 천주교 창립 200주년을 기념하여 방한한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집전한 미사 중에 이뤄진 103위 시성식을 통해 성인 품에 올랐다.
4. 평가
정문호는 조선 후기 천주교 박해 속에서도 신앙을 굳건히 지킨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의 순교는 당시 천주교 신자들이 겪었던 고난과 희생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이다.
4. 1. 역사적 관점
정문호의 생애는 조선 후기 사회의 종교적 갈등과 박해의 역사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이다. 그의 순교는 당시 천주교 신자들이 겪었던 고난과 희생을 상징한다.정문호는 1801년 충청도 임천의 양반 가문에서 태어나 천주교에 입교한 후, 독실한 신앙생활을 하였다.[1] 한때 현감을 지내기도 했으나, 세례를 받은 후 관직을 사임하고 사람들에게 교리를 가르치며 존경받는 삶을 살았다.[1]
1866년 병인박해 당시 전라도 전주부 대성동 신리골(현재 완주군 소양면 신원리)의 교우촌에 살던 정문호는, 박해 소식을 확인하려 전령을 보냈으나, 전령이 돌아오기 전 포졸들에게 체포되었다.[1] 1866년 12월 3일 체포된 정문호는 다른 여섯 명의 교우들과 함께 고을 관아에 끌려가면서도 행복해했으며, 광에 갇힌 후 배교의 유혹을 받았지만, 동료 조화서 베드로의 격려로 신앙을 굳건히 지켰다.[1]
정문호는 혹독한 고문과 고통 속에서도 굴하지 않고 배교를 거부하며, 1866년 12월 13일 전주 숲정이에서 참수되어 65세의 나이로 순교하였다.[1] 그는 순교를 천국의 과거 시험에 비유하며, 죽음 앞에서도 행복한 미소를 잃지 않았다.[1]
참조
[1]
웹사이트
http://newsaints.fai[...]
[2]
웹사이트
절두산 순교성지 성인유해실
http://www.jeoldusan[...]
[3]
백과사전
103위 성인 (百三位聖人)
http://preview.brita[...]
2015-03-01
[4]
뉴스
"[교황 방한] 1925년·1968년·2014년…로마에서 서울까지 3번의 시복식"
http://news1.kr/arti[...]
뉴스1
2014-08-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