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수 (기독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수(기독교)는 "고요함", "휴식", "침묵"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단어에서 유래된 것으로, 초기 기독교 수도원 전통에서 시작되어 내면의 기도와 영적 수행을 강조하는 기독교의 한 형태이다. 헤시카즘은 고독한 생활, 내면의 기도, 예수 기도, 심신 의학적 기술, 그레고리오스 팔라마스의 신학 등 다양한 의미를 포함하며, 4세기부터 이집트를 중심으로 발전했다. 헤시카즘의 실천은 정화, 조명, 신화의 세 단계를 거치며, 예수 기도를 통해 마음의 고요함과 하느님과의 합일을 추구한다. 헤시카즘은 영적 망상에 대한 경고와 함께 동방 정교회의 교리로 확립되었으며, 팔라마스의 신학은 서방 신학자들과의 논쟁을 거쳤다.
ἡσυχασμός|헤시카스모스|grc은 "고요함, 휴식, 침묵, 정적"을 의미하는 헤시키아(ἡσυχία|헤시키아|grc)와 "고요함을 지키다"라는 뜻의 ἡσυχάζω|헤시카조|grc에서 파생되었다.[1]
칼리스토스 와레는 헤시카즘을 다섯 가지 의미로 정의했다.
칼리스토스 와레는 헤시카주의를 다섯 가지 의미로 정의했다. 헤시카즘의 목표는 내적 고요함(헤시키아)을 통해 하느님과의 합일, 즉 신화(테오시스)를 이루는 것이다.
2. 어원
3. 역사적 기원과 발전
1. "독방의 삶" (4세기부터 사용, "예언적인 삶"과 같은 의미)
2. 형상, 개념, 언어를 초월한 차원에서 하느님과의 일치를 목표로 하는 내적인 기도의 실현
3. 주님의 기도를 통한 그러한 결합을 위한 탐구
4. 주님의 기도와 결합된 특정한 정신적인 기술 (최소 13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감)
5. 그레고리오스 팔라마스의 신학 (팔라미즘)
기독교 수도원은 4세기에 기독교가 공인되면서 시작되었다. "헤시카스트"라는 용어는 4세기부터 이집트의 기독교 금욕주의 저술에서 드물게 사용되었지만, 폰토스의 에바그리우스의 저술과 "사막 교부들의 어록"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집트에서는 "은둔주의"와 "은수자"라는 용어가 더 자주 사용되었다.
"헤시카스트"라는 용어는 6세기에 팔레스타인의 스키토폴리스의 키릴의 "생애"에서 사용되었다. 키릴이 묘사한 헤시카스트 중 다수는 그와 동시대 사람들이었고, 키릴이 글을 쓴 성인 중 몇몇은 카파도키아 출신이었다. 유스티니아누스 1세 황제(재위 527–565)의 법률은 "헤시카스트"와 "은수자"를 동의어로 취급하여 상호 교환 가능한 용어로 만들었다.
3. 1. 초기 기독교 수도원
4세기에 기독교가 공인되면서 기독교 수도원이 시작되었다. "헤시카스트"라는 용어는 4세기부터 이집트의 기독교 금욕주의 저술에서 드물게 사용되었지만, 폰토스의 에바그리우스의 저술과 "사막 교부들의 어록"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집트에서는 "은둔주의"(그리스어: ἀναχώρησις|아나코레시스grc, "철수, 후퇴")와 "은수자"(그리스어: ἀναχωρητής|아나코레테스grc, "철수하거나 후퇴하는 자, 즉 은둔자")라는 용어가 더 자주 사용되었다.
내면 기도, 즉 "마음의 내적 고요함 또는 침묵"을 목표로 하는 수행은 적어도 4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폰토스의 에바그리우스(345–399), 시나이의 요한 (6-7세기), 고백자 막시무스(c. 580–662), 신학자 시므온(949–1022)은 이러한 헤시카스트 영성의 대표자들이다. 요한 클리마쿠스는 그의 영향력 있는 저서인 ''신적 등반의 사다리''에서 관상 또는 헤시카스트 수행의 여러 단계를 묘사하며, ''아가페''로 절정에 이른다고 설명한다.
3. 2. 예수 기도의 발전
예수 기도에 대한 최초의 언급은 포티케의 디아도코스(450년경)에게서 발견된다. 폰토스의 에바그리우스, 막시무스 참회자, 신학자 시므온은 예수 기도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다.[26] 13세기 성 니케포로스 헤시카스트는 수도사들에게 머리를 가슴 쪽으로 숙이고 호흡의 리듬을 조절하면서 "기도를 호흡에 연결"하고, "기도하는 동안 눈을 '몸의 중앙'에 고정"하여 마음을 마음속에 집중하여 ''넵시스''(경계)를 실천하도록 권고했다. 칼리스토스 웨어에 따르면, 이는 헤시카스트 기도에서 심신 기법이 처음으로 증명된 것이지만, "그 기원은 훨씬 더 오래되었을 수도 있으며", 수피교의 ''지크르''(하느님의 이름을 기억하고 부르기) 수행의 영향을 받았고, 이는 다시 요가 수행의 영향을 받았을 수 있다.[7]
14세기 초, 그레고리 시나이타 (1260년대~1346)는 요한 클리마쿠스의 전통에 뿌리를 둔 크레테의 아르세니우스로부터 규율 있는 정신 기도의 한 형태를 배웠다. 1310년, 그는 아토스 산으로 가서 필로테우 수도원 근처의 마굴라 스케테에서 수도사로 1335년까지 머물며 그곳에 헤시카스트 수행을 도입했다. 아토스 산의 수도사들은 ''헤시카즘''과 ''헤시카스트''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특정 심신 기법의 도움을 받아 예수 기도를 사용하는 정신적 고행 방법을 실천하는 수행과 수행자를 지칭했다.
4. 헤시카즘의 실천
1. "독방의 삶"으로, 4세기부터 사용된 "예언적인 삶"과 같은 의미이다.
2. 형상, 개념 및 언어 이상의 차원에서 하나님과의 일치를 목표로 하는 내적인 기도의 실현이다.
3. 예수 기도를 통한 그러한 결합을 위한 탐구이다.
4. 예수 기도와 결합된 특정한 정신적인 기술이며, 이 기법의 사용은 적어도 13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5. 성 그레고리 팔라마스의 신학, 즉 팔라미즘이다.
기독교 관상에서 은둔 기도를 하는 사람은 마태오 복음서에 나오는 예수의 "골방에 들어가 기도하라"는 가르침을 감각을 무시하고 내면으로 물러나야 한다는 의미로 해석한다. 성 시나이의 요한은 헤시카즘을 "몸이라는 집 안에 몸이 없는 영혼의 주요 인지 능력(누스와 로고스)을 가두는 것"이라고 하였다.[5]
기독교 수도원 생활은 4세기에 기독교 합법화와 함께 시작되었다. '''헤시카스트'''라는 용어는 4세기 이후 이집트에서 발원한 기독교의 금욕적인 저작에서 드물게 사용되었지만, 에바그리우스의 저작과 사막 교부들의 말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집트에서는 앙코레티즘(그리스어: 아나코레시스, "철수, 은퇴") 및 '''앵코라이트'''()(그리스어: 아나코레테스, "철수 또는 은퇴하는 사람, 즉 은자")라는 용어가 더 자주 사용되었다.
'''헤시카스트'''라는 용어는 6세기에 팔레스타인의 스키토폴리스의 키릴의 생애에서 사용되었다. 황제 유스티니아누스 1세(재위 527 - 565년)의 법률에서는 헤시카스트와 앵코라이트가 동의어로 취급되었다.
내면의 기도 실천은 "마음의 내적 고요함 또는 침묵"을 목표로 하며, 적어도 4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에바그리우스 폰티쿠스(345년 - 399년), 요한 클리마쿠스(시나이의 요한)(6세기 - 7세기), 고백자 막시모스(580년경 - 662년), 신학자 시므온 (949년 - 1022년)은 이러한 헤시카즘 영성을 대표한다. 요한 클리마쿠스는 『천국의 사다리』에서 아가페에 이르는 명상적 실천의 여러 단계를 설명하고 있다.
예수 기도에 대한 가장 오래된 언급은 포티케의 디아도코스() (450년경)에 있다. 아토스 산의 수도사가 된 니케포로스() (13세기)는 수도사들에게 머리를 가슴 쪽으로 숙이고, 리듬을 조절하면서 "호흡에 기도를 더하라"고 조언했다. 호흡을 가다듬고, "기도하는 동안 눈을 '몸의 중앙'에 고정"하고, 네프시스(주의 깊음)를 실천하기 위해 마음속에 정신을 집중시켰다. 이는 '''헤시카스트'''의 기도에서 심신 의학적 기법의 가장 초기의 저술이지만, 칼리스토스 웨어에 따르면 "그 기원은 아마 훨씬 더 오래되었으며, 수피의 디크르(:en:dhikr)의 실천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14세기 초, 시나이의 그리고리오스() (1260년대 – 1346년)는 크레타 섬의 아르세니오스에게서 요한 클리마쿠스의 전통에 따른 정신적 기도의 형식을 배웠고, 아토스 산에서 헤시카스트 수행을 도입했다. '''헤시카즘'''과 '''헤시카스트'''라는 용어는 아토스 산의 수도사들에 의해 특정 정신 신체적 기법을 지원하는 예수 기도의 사용을 포함한 정신적 금욕의 실천과 실천자를 지칭하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
헤시카스트가 사용한 책에는 『필로칼리아』, 『낙원으로의 사다리』, 신학자 시메온의 저작집, 시리아의 성 이사악의 작품 등이 포함된다.
정교회 전통은 황홀경 자체를 추구하는 것을 경계한다. 목표는 정화와 은총을 통해 성령과 구원을 얻는 것이다. 이시카즘 수행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어떠한 황홀경 상태나 기타 특이한 현상도 부차적이고 중요하지 않으며, 심지어 매우 위험한 것으로 간주된다. 더욱이, 특이한 "영적" 경험을 추구하는 것 자체가 큰 해를 끼쳐 구도자의 영혼과 정신을 파괴할 수 있다. 그러한 "영적" 경험에 대한 추구는 영적 망상(prelest|프렐레스트ru, plani|플라니el)로 이어질 수 있는데, 이는 사람이 자신을 성인이라고 믿고, 천사, 그리스도 등을 "보는" 환각을 경험하는 것이다. 이러한 영적 망상의 상태는 피상적이고 이기적인 방식으로 즐거울 수 있지만, 광기와 자살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시카즘 교부들에 따르면 구원을 불가능하게 만든다.[1]
4. 1. 카타르시스 (정화)
칼리스토스 와레에 따르면, 테오시스는 경계심(그리스어: ''nepsis'')을 함양하여 얻어지는 관상 기도를 통해 얻어진다. 성령은 테오시스를 행하는 분이시니, 그분은 정화된 자들에게 그리스도의 은혜와 아버지의 사랑을 주시기 때문이다. 이 과정의 금욕적 공식에 따르면, 세 단계가 있는데 그중 첫 번째가 카타르시스(κάθαρσις|카타르시스el) 또는 정화이다.[6]
절제는 유혹적인 생각을 거부하는 정신적 수행에 기여하며, 집중력과 주의력을 매우 강조한다. 헤시카스트는 자신의 내면세계의 의식과 예수 기도문에 극도로 주의를 기울여 정신이 어떤 식으로든 방황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헤시카스트는 예수 기도문을 끊임없이 수행하며, 이는 자동적으로 하루 24시간, 일주일 내내 계속된다. 그러면서도 자신의 은둔처에서 깨어있는 주의력으로 지켜보면서 유혹적인 생각("도둑")을 거부하기 위해 넵시스를, 즉 주의 깊은 주의력을 기른다.
헤시카스트는 에로스(), 즉 "갈망"을 절제 수행에 결합하여 아케디아(태만)의 유혹을 극복해야 한다. 또한 유혹적인 생각에 맞서 극도로 통제된 분노를 사용해야 하지만, 그것들을 완전히 없애기 위해서는 예수 기도문을 통해 예수 그리스도를 불러야 한다.[7]
헤시카즘 문헌의 상당 부분은 이러한 유혹적인 생각에 대한 심리 분석(예: 수도자 마르코)으로 채워져 있다. 이 심리 분석은 에바그리우스 폰티코스의 8가지 정념 교리를 담은 수행 저서에 많은 빚을 지고 있다.
4. 2. 테오리아 (관상/조명)
테오리아는 정화를 통해 얻어지는 관상 기도로, 테오시스에 이르는 단계이다. 헤시카스트는 마음(누스el)을 심장에 집중시키고 예수 기도를 반복하며, 절제(유혹적인 생각에 대한 정신적 수행)를 통해 이미지 없는 기도를 실천한다. 이 과정에서 마음은 고요함과 공허함을 경험하며, 이를 '마음의 경계'라고 부른다.[8]
이 단계는 매우 진보된 영적 수행 단계이며, 정신신체적 기술을 조기에 사용하려는 시도는 영적, 정서적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 테오판 더 리클루스는 신체의 자세와 호흡 기술이 한때 거의 금지되었다고 언급했는데, 이는 사람들이 하느님의 영을 얻는 대신 폐를 망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8]
헤시카스트 수행의 핵심은 겸손이며, 자만심은 큰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내면의 기도 실천은 "마음의 내적 고요함 또는 침묵"을 목표로 한다. 이는 4세기부터 에바그리우스 폰티쿠스, 요한 클리마쿠스, 고백자 막시모스, 신학자 시므온 등에 의해 대표되는 헤시카즘 영성의 전통이다.
예수 기도에 대한 가장 오래된 언급은 포티케의 디아도코스(en) (450년경)에게서 발견된다. 13세기에는 아토스 산의 수도사 니케포로스(:en:Nikephoros the Monk)가 호흡과 함께 기도를 조절하고, 네프시스(주의 깊음)를 실천하도록 가르쳤다. 14세기 초, 시나이의 그리고리오스(en)는 요한 클리마쿠스의 전통에 따른 정신적 기도를 크레타 섬의 아르세니오스에게서 배웠고, 아토스 산에서 헤시카스트 수행을 도입했다.
헤시카스트가 사용하는 주요 자료는 『필로칼리아』, 『낙원으로의 사다리』, 신학자 시메온의 저작집, 시리아의 성 이사악의 작품 등이다.
4. 3. 테오시스 (신화)
'''테오시스'''(Θέωσις|테오시스el)는 하느님의 은총으로 인간이 신적인 본성에 참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경계심(νῆψις|넵시스el)을 함양하여 얻어지는 관상 기도를 통해 얻어진다. 성령은 테오시스를 행하는 분으로, 정화된 자들에게 그리스도의 은혜와 아버지의 사랑을 주신다.[6]
헤시카스트는 일반적으로 하느님의 관상을 성 그레고리 팔라마스의 신학에서 말하는 "창조되지 않은 빛"으로 경험한다. 이 경험은 '성령의 획득'과 관련되며, 성 신학자 시므온의 "조지"의 조명에 대한 기록, 사로프의 세라핌 성인의 ''생애''에 나오는 "모토빌로프와의 대화", 카프소칼리비아의 포르피리오스 (바이락타리스)의 회상록(''사랑에 상처 입다'' 27–31쪽)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4. 4. 영적 망상 (프렐레스트)
정교회 전통은 황홀경 자체를 추구하는 것을 경계한다. 이시카즘은 정교회 교리와 실천에 내재된 전통적인 금욕 수행의 복합체로, 정교회 신자를 정화하고, 하나님의 은총을 통해 하나님께서 원하실 때 그분과의 만남을 준비시키기 위한 것이다. 목표는 정화와 은총을 통해 성령과 구원을 얻는 것이다. 이시카즘 수행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어떠한 황홀경 상태나 기타 특이한 현상도 부차적이고 중요하지 않으며, 심지어 매우 위험한 것으로 간주된다. 더욱이, 특이한 "영적" 경험을 추구하는 것 자체가 큰 해를 끼쳐 구도자의 영혼과 정신을 파괴할 수 있다. 그러한 "영적" 경험에 대한 추구는 영적 망상(prelest|프렐레스트ru, plani|플라니el)로 이어질 수 있는데, 이는 사람이 자신을 성인이라고 믿고, 천사, 그리스도 등을 "보는" 환각을 경험하는 것이다. 이러한 영적 망상의 상태는 피상적이고 이기적인 방식으로 즐거울 수 있지만, 광기와 자살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시카즘 교부들에 따르면 구원을 불가능하게 만든다.[1]
5. 헤시카즘 논쟁과 팔라마스 신학
14세기, 헤시카즘은 칼라브리아 출신 수도사 세미나라의 바를람의 비판을 받으며 큰 논쟁에 휘말렸다. 아토스 산을 방문했던 바를람은 헤시카스트들의 수행 방식과 그레고리 팔라마스의 저술을 접하고, 서구 스콜라 철학의 관점에서 헤시카즘을 비판하기 시작했다.
바를람은 헤시카스트들이 체험하는 빛이 피조물이며, 하느님의 본질과 에너지를 구분하는 것은 다신론이라고 주장했다.[3] 이러한 주장은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여러 차례의 시노드를 통해 논의되었고, 결국 1351년 요한 6세 칸타쿠제누스 황제가 주재한 시노드에서 헤시카즘 교리가 동방 정교회 교리로 확립되면서 일단락되었다.[3]
5. 1. 성 그레고리 팔라마스의 변호
1337년경, 헤시카즘은 칼라브리아 출신 수도사 세미나라의 바를람의 관심을 끌었다. 아토스 산에서 바를람은 헤시카스트들을 만나 그들의 수행에 대한 설명을 듣고, 헤시카즘의 스승인 성 그레고리 팔라마스의 저술을 읽었다. 서구 스콜라 철학을 공부한 바를람은 헤시카즘에 충격을 받아 이를 공격하기 시작했다. 그는 헤시카스트들이 체험하는 빛이 이단이자 신성 모독이라고 주장했다. 헤시카스트들은 그 빛이 변용 때 타볼 산에서 예수의 제자들에게 나타났던 타볼의 빛과 동일하다고 주장했지만,[4] 바를람은 이것이 다신론이라고 비판했다.[3]이에 아토스 산의 수도사들은 테살로니카의 대주교가 된 성 그레고리 팔라마스에게 도움을 요청했다.[3] 성 그레고리는 1340년대에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열린 세 번의 시노드에서 헤시카즘을 옹호했으며, 여러 작품을 저술했다.
성 그레고리 팔라마스는 4세기 카파도키아 교부들의 저술에 나타난 하나님의 활동 또는 작용(에네르게이아)과 하나님의 본질(우시아) 사이의 구분을 사용했다. 그는 하나님의 활동 또는 작용은 창조되지 않았다고 가르쳤다. 그는 하나님의 본질은 내세에서도 피조물에게 결코 알려질 수 없지만, 그의 창조되지 않은 활동이나 작용은 현세와 내세 모두에서 알려질 수 있으며, 하나님에 대한 진정한 영적 지식을 전달한다고 가르쳤다. 팔라미트 신학에서, 헤시카스트를 비추는 것은 하나님의 창조되지 않은 활동이다.
1341년,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열린 시노드는 바를람을 정죄했다. 바를람은 칼라브리아로 돌아갔으며, 이후 가톨릭 교회의 주교가 되었다.[3]
5. 2. 콘스탄티노플 공의회
1341년 콘스탄티노플에서 열린 시노드는 안드로니코스 3세 황제가 주재했으며, 위 디오니시우스의 저술이 존중받는다는 점을 고려하여 바를람을 정죄했다.[3] 바를람은 자신의 주장을 철회하고 칼라브리아로 돌아가 가톨릭 교회의 주교가 되었다.[3]1351년 요한 6세 칸타쿠제누스 황제가 주재한 시노드에서 헤시카즘 교리는 동방 정교회 교리로 확립되었다.[3]
6. 러시아의 헤시카즘
성 파이시우스 벨리치코프스키와 그의 제자들은 헤시카즘을 러시아와 루마니아에 전파했지만, 러시아에는 이미 헤시카즘이 알려져 있었다. 사로프의 성 세라핌은 독자적으로 헤시카즘을 실천한 대표적인 러시아 성인이다.
7. 다른 기독교 교파의 관점
서방 신학자들은 하느님의 본질과 에너지 구분을 실제적인 것이 아닌 개념적인 것으로 보는 경향이 있었다. 이들은 신 안에서 본질과 에너지 구분을 긍정하는 것은 니케아 공의회[10]의 일신론 가르침에 어긋난다고 보았다.[11] 애드리안 포르테스큐는 1909년 가톨릭 백과사전에서 "신의 본질과 활동 간의 실제적인 구분은 정교회가 가톨릭과 다른 또 하나의 원칙으로 남아 있지만, 현재는 거의 강조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12]
어떤 신학자들은 헤시카즘을 퀘이에티즘과 동일시하기도 했는데, 이는 가톨릭교회에서 정죄한 18세기 신비주의 운동이었다. 그러나 칼리스토스 웨어는 "헤시카즘을 '퀘이에티즘'으로 번역하는 것은 역사적, 신학적으로 오해의 소지가 있다"고 지적한다.[13]
20세기 후반, 가톨릭 신학자들 사이에서 팔라마스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졌다.[10] 몇몇 서방 학자들은 팔라마스의 가르침과 가톨릭 사상 사이에 충돌이 없다고 주장한다.[19] 칼리스토스 웨어는 일부 서방 신학자들이 팔라마스의 신학이 신 안에 용납할 수 없는 분열을 가져온다고 보지만, 다른 이들은 그의 신학을 자신의 사고에 통합했다고 언급한다.[20]
가톨릭 교회는 팔라미즘을 정죄하는 어떠한 입장도 표명한 적이 없으며, 동방에서 일어난 논쟁에서 팔라마스의 지지자였던 니콜라스 카바실라스의 저작에서 발췌한 내용을 전례에 사용한다.[16]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기독교 동방과 로마 교황청 사이의 분열 이후에도 동방 신학이 전체 교회에 이익이 되는 관점을 열어주었다고 강조하며 동방 신학에 대한 존경심을 표했다. 그는 헤시카즘 논쟁에 대해 언급하며, "헤시카즘"은 예수의 이름을 부르면서 하나님을 묵상하는 깊은 영적 평온함으로 특징지어지는 기도 방식이라고 말했다. 가톨릭 관점에서 이 관행의 일부 발전에 대해 긴장이 있었지만, 인간이 "테오시스", 즉 신화라고 알려진 은총의 깊은 연합 안에서 하나님과 연합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려는 의도가 좋다는 것을 부인할 수 없다고 말했다.[22]
7. 1. 동방 가톨릭 교회
Kallistos Ware영어 대주교는 "헤시카즘"이라는 용어를 다음과 같이 다섯 가지로 구분한다.[1]# 4세기부터 사용된 "고독한 삶" (은수자적 삶과 같음)
# 이미지, 개념 및 언어를 초월한 수준에서 하느님과의 합일을 목표로 하는 내면 기도 수행
# 예수 기도를 통한 그러한 합일 추구
# 예수 기도와 결합된 특정한 정신 신체 기법 (이 기법은 적어도 13세기로 거슬러 올라감)
# 성 그레고리 팔라마스의 신학 (팔라미즘 참조)
7. 2. 콥트 정교회
일부 콥트 정교회 성직자들은 동방 교회에서 나중에 발전한 예수 기도와 같은 헤시카즘 수행에 대해 경계심을 갖고 있다.[9]마타 엘 메스킨 신부는 콥트 정교회의 성직자로, 헤시카즘이 끊임없는 기도의 개념에서 단순성을 제거하고 "그 자체로 겸손을 실천하는 수행자로서의 금욕적 위치를 프로그램, 규정, 기술적 및 기계적 기반, 정도, 목표, 결과가 있는 신비주의적 위치로 바꾸었다"고 언급했다.[9]
7. 3. 서방 교회의 관점 (가톨릭, 개신트)
서방 신학자들은 하느님의 본질과 에너지 구분을 실제적인 것이 아닌 개념적인 것으로 보는 경향이 있었다. 이들은 신 안에서 본질과 에너지 구분을 긍정하는 것은 니케아 공의회[10]의 일신론 가르침에 어긋난다고 보았다.[11] 애드리안 포르테스큐는 1909년 가톨릭 백과사전에서 "신의 본질과 활동 간의 실제적인 구분은 정교회가 가톨릭과 다른 또 하나의 원칙으로 남아 있지만, 현재는 거의 강조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12]어떤 신학자들은 헤시카즘을 퀘이에티즘과 동일시하기도 했는데, 이는 가톨릭교회에서 정죄한 18세기 신비주의 운동이었다. 그러나 칼리스토스 웨어는 "헤시카즘을 '퀘이에티즘'으로 번역하는 것은 역사적, 신학적으로 오해의 소지가 있다"고 지적한다.[13]
20세기 후반, 가톨릭 신학자들 사이에서 팔라마스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졌다.[10] 몇몇 서방 학자들은 팔라마스의 가르침과 가톨릭 사상 사이에 충돌이 없다고 주장한다.[19] 칼리스토스 웨어는 일부 서방 신학자들이 팔라마스의 신학이 신 안에 용납할 수 없는 분열을 가져온다고 보지만, 다른 이들은 그의 신학을 자신의 사고에 통합했다고 언급한다.[20]
7. 4. 한국 개신교와 가톨릭의 입장
한국의 개신교와 가톨릭에서는 헤시카즘이 생소한 개념이며, 이에 대한 공식적인 입장은 거의 없다. 다만, 일부에서는 동방 정교회의 영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헤시카즘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칼리스토스 웨어에 따르면, 가톨릭 교회와 성공회의 일부 서방 신학자들은 팔라마스 신학을 신 안에 용납할 수 없는 분열을 도입하는 것으로 간주하기도 하지만, 그의 신학을 자신의 생각에 통합한 사람들도 있다.[39]
보수적인 개신교 교단에서는 헤시카즘을 신비주의적인 경향으로 간주하여 경계하는 입장을 취할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hesychasm
2020-07-03
[2]
서적
Conferences
New advent
2014-02-06
[3]
EB1911
[4]
서적
The Law of God
Holy Trinity Monastery (Jordanville, New York)
2019-03-21
[5]
문서
Ladder
[6]
웹사이트
Franks, Romans, Feudalism, and Doctrine – Part 2
http://www.romanity.[...]
[7]
문서
St. John of Sinai
[8]
서적
The Philokalia : the complete text
https://www.worldcat[...]
Faber and Faber
1979–1986
[9]
웹사이트
Stand, Bow, Prostrate: The Prayerful Body of Coptic Christianity : Clarion Review
https://www.clarionr[...]
Clarion Review
2013-12-08
[10]
서적
John Meyendorff (editor),''Gregory Palamas - The Triads'', p. xi
https://books.google[...]
Paulist Press
2014-02-06
[11]
간행물
Simon Vailhé, "Greek Church"
http://oce.catholic.[...]
Robert Appleton Company
2011-07-25
[12]
웹사이트
Adrian Fortescue, "Hesychasm" in ''Catholic Encyclopedia'', vol. VII (Robert Appleton Company, New York, 1910)
http://oce.catholic.[...]
Oce.catholic.com
2014-02-06
[13]
서적
The Westminster Dictionary of Christian Spirituality
https://books.goog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14]
서적
The inner kingdom
https://books.google[...]
St Vladimir's Seminary Press
[15]
서적
Paths to the heart: Sufism and the Christian East
https://books.google[...]
World Wisdom, Inc.
[16]
웹사이트
DOMINGO V DE PASCUA
http://www.mercaba.o[...]
[17]
서적
Gregory Palamas
https://books.google[...]
Paulist Press
[18]
서적
Andreas Andreopoulos,''Metamorphosis: The Transfiguration in Byzantine Theology and Iconography'' (St Vladimir's Seminary Press 2005, ISBN 0-88141-295-3), pp. 215–216
https://books.google[...]
St Vladimir's Seminary Press
2014-02-06
[19]
서적
Several Western scholars contend that the teaching of St. Gregory Palamas himself is compatible with Roman Catholic thought on the matter
https://books.google[...]
Associated University Presses
[20]
서적
Kallistos Ware in ''Oxford Companion to Christian Thought''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1]
서적
Michael J. Christensen, Jeffery A. Wittung (editors), ''Partakers of the Divine Nature'' (Associated University Presses 2007 ISBN 0-8386-4111-3), p. 243
https://books.google[...]
Fairleigh Dickinson Univ Press
2014-02-06
[22]
웹사이트
Pope John Paul II and the East Pope John Paul II. "Eastern Theology Has Enriched the Whole Church" (11 August 1996). English translation
http://rumkatkilise.[...]
2014-02-06
[23]
웹사이트
Original text (in Italian)
https://www.vatican.[...]
2014-02-06
[24]
웹사이트
Eastern Theology Has Enriched the Whole Church
http://www.catholicc[...]
2022-05-08
[25]
웹사이트
hesychasm
2020-07-03
[26]
서적
Conferences
New advent
2014-02-06
[27]
EB1911
[28]
서적
The Law of God
Holy Trinity Monastery (Jordanville, New York)
2019-03-21
[29]
서적
John Meyendorff (editor),''Gregory Palamas - The Triads'', p. xi
https://books.google[...]
Paulist Press
2014-02-06
[30]
간행물
Simon Vailhé, "Greek Church"
http://oce.catholic.[...]
Robert Appleton Company
2011-07-25
[31]
웹사이트
Adrian Fortescue, "Hesychasm" in ''Catholic Encyclopedia'', vol. VII (Robert Appleton Company, New York, 1910)
http://oce.catholic.[...]
Oce.catholic.com
2014-02-06
[32]
서적
The Westminster Dictionary of Christian Spirituality
https://books.goog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33]
서적
The inner kingdom
https://books.google[...]
St Vladimir's Seminary Press
[34]
서적
Paths to the heart: Sufism and the Christian East
https://books.google[...]
World Wisdom, Inc.
[35]
웹사이트
DOMINGO V DE PASCUA
http://www.mercaba.o[...]
[36]
서적
Gregory Palamas
https://books.google[...]
Paulist Press
[37]
서적
"Andreas Andreopoulos,''Metamorphosis: The Transfiguration in Byzantine Theology and Iconography'' (St Vladimir's Seminary Press 2005, ISBN 0-88141-295-3), pp. 215-216"
https://books.google[...]
St Vladimir's Seminary Press
2014-02-06
[38]
서적
Partakers of the Divine Nature
https://books.google[...]
Associated University Presses
[39]
서적
Oxford Companion to Christian Thought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40]
서적
"Michael J. Christensen, Jeffery A. Wittung (editors), ''Partakers of the Divine Nature'' (Associated University Presses 2007 ISBN 0-8386-4111-3), p. 243"
https://books.google[...]
Fairleigh Dickinson Univ Press
2014-02-06
[41]
웹사이트
Pope John Paul II and the East Pope John Paul II. "Eastern Theology Has Enriched the Whole Church" (11 August 1996). English translation
http://rumkatkilise.[...]
2014-02-06
[42]
웹사이트
Original text (in Italian)
https://www.vatican.[...]
2014-02-06
[43]
웹사이트
Eastern Theology Has Enriched the Whole Church
http://www.catholicc[...]
1996-08-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