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디오니시우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위 디오니시우스는 5세기 말 또는 6세기 초에 활동한 익명의 저자로, 신플라톤주의의 영향을 받은 신비주의적 기독교 사상을 담은 저작을 남겼다. 그의 주요 저작으로는 《천상 위계론》, 《교회 위계론》, 《신명론》, 《신비 신학》 등이 있으며, 우주와 교회를 신에게로 향하는 위계적 질서로 파악하고, 부정신학을 통해 신에게 접근하려 했다. 그의 사상은 동서방 기독교 신학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현대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재조명되고 있다. 저작의 진위 여부는 오랫동안 논란이 되었으며, 현재는 아레오파고스의 디오니시우스가 아닌 익명의 저자로 밝혀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6세기 철학자 - 보이티우스
보이티우스는 로마 귀족 출신으로 동고트 왕국에서 활동하다 반역죄로 처형되었으며, 옥중에서 저술한 《철학의 위안》을 통해 스콜라 철학에 영향을 미쳤고, 중세 시대에 큰 영향을 준 기독교 순교자이다. - 6세기 철학자 - 보디다르마
보리달마는 5~6세기경 인도에서 중국으로 건너가 선종을 전파한 승려로, 남인도 출신으로 추정되며, 양나라 무제와의 문답, 소림사 9년 면벽좌선, 혜가에게 법을 전한 이야기 등으로 유명하고, 좌선과 벽관을 강조하며 돈오와 불성을 중요시하여 동아시아 선불교에 큰 영향을 미쳤다. - 6세기 기독교 신학자 - 교황 그레고리오 1세
교황 그레고리오 1세는 6세기 후반 로마 교황으로, '하느님의 종들의 종'이라는 칭호를 사용하며 교황권의 봉사 강조, 교회 개혁, 앵글로색슨족 기독교 전파, 전례 개정 및 그레고리오 성가 발전, 그리고 중세 영성에 큰 영향을 미친 저술 활동을 했다. - 6세기 기독교 신학자 - 보이티우스
보이티우스는 로마 귀족 출신으로 동고트 왕국에서 활동하다 반역죄로 처형되었으며, 옥중에서 저술한 《철학의 위안》을 통해 스콜라 철학에 영향을 미쳤고, 중세 시대에 큰 영향을 준 기독교 순교자이다. - 기독교와 헬레니즘 철학 - 로고스
로고스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비롯된 다의어로, 철학, 종교, 심리학 등 다양한 사상에서 이성, 논리, 세계의 원리, 신과의 관계를 설명하는 핵심 개념으로 사용된다. - 기독교와 헬레니즘 철학 - 게미스토스 플레톤
게미스토스 플레톤은 동로마 제국의 철학자, 학자, 정치 사상가로서 플라톤 철학 부흥을 주도하며 르네상스 시대 서유럽 사상에 영향을 미쳤고, 피렌체 공의회에서 플라톤 철학을 서구에 재소개했으며, 미스트라스에서 다양한 분야를 가르치고 비잔티움 제국 개혁 사상을 제시했다.
위 디오니시우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다른 이름 | 디오니시우스 데니스 성 디오니시우스 아레오파기타 (오해된 동일 인물) |
시대 | 고대 철학 중세 철학 |
지역 | 서양 철학 |
학파 | 신플라톤주의 기독교 철학 |
주요 관심사 | 부정 신학 기독교 천사론 기독교 신비주의 |
주요 사상 | 일곱 대천사 천사의 계층 |
영향 받은 인물 |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 플로티노스 이암블리코스 프로클로스 오리게네스 니사의 그레고리우스 카이사레아의 바실리오 |
영향을 준 인물 | 사실상 모든 후대 기독교 철학 신학 신비주의 일부 근대 철학 비의학 |
주요 저서 | |
주요 저서 | 《천상 위계론》 |
정보 | |
본명 | 위(僞)-디오니시우스 아레오파기테스 |
로마자 표기 | Wiseo-Dionisiuseu Areopagiteseu |
한국어 다른 표기 | 디오니시오스 |
인물 정보 | |
출생 시기 | 불명 (5세기 ~ 6세기) |
사망 시기 | 불명 (5세기 ~ 6세기) |
2. 저작
위 디오니시우스의 저작은 4권의 책과 10통의 편지로 구성된 "디오니시오스 전집(Corpus Dionysiacum)"이다. 이 책은 신플라톤주의의 영향을 받은 신비주의적인 그리스도교 사상을 담고 있으며, 프랑크 왕국에서 특히 중요하게 여겨졌다.[4] 이는 상 도니 수도원의 보호성자인 디오니시오스가 이 책의 저자로 오인되었기 때문이다.
이 책은 세계 전체가 단계적으로 질서 지워져 있으며, 각 존재는 그 완성 정도에 따라 지위가 정해진다고 본다. 모든 사물은 신으로부터 나와 신에게 돌아가는 것이며, 이러한 이중적 운동이 바로 세계의 역사라고 설명한다. 이러한 사상은 이후 아리스토텔레스 사상과 그리스도교 신앙을 결합하는 기반을 제공하였다.
비잔틴 황제로부터 루이 경건왕에게 보내진 이 책의 사본은 요하네스 스코투스 에리우게나에 의해 라틴어로 번역되었다.[43] 이 라틴어 번역본은 유럽에서 널리 알려졌으며, 특히 『천상 위계』(천사론)는 서방 기독교에 큰 영향을 미쳤다.
15세기에 로렌초 발라는 『디오니시오스 문서』가 사도행전에 나오는 아레오파고스의 디오니시오스와는 무관하며, 5세기 이후에 성립되었음을 증명하였다. 그러나 진짜 저자가 누구인지는 밝혀내지 못했다.
위 디오니시우스는 자신의 저작에서 『신학 강요』, 『상징 신학』 등 여러 저술을 언급했지만, 이들은 현재 전해지지 않는다.
2. 1. 주요 저작 목록
- Περὶ θείων ὀνομάτωνgrc: '선', '빛', '사랑' 등 신의 다양한 이름들에 담긴 의미를 탐구한다. 신의 초월성과 불가해성을 강조하며, 부정신학(via negativa)의 기초를 제시한다.[5]
- 천상 위계([Περὶ τῆς οὐρανίου ἱεραρχίαςgrc]]): 천상의 존재들의 위계 질서를 다룬다. 세라핌, 케루빔, 좌천사 등 9가지 천사의 계층을 설명하고, 이들이 신의 빛을 받아 하위 존재들에게 전달하는 과정을 묘사한다.[5]
- Περὶ τῆς ἐκκλησιαστικῆς ἱεραρχίαςgrc: 지상의 교회 조직과 성례전의 위계 질서를 다룬다. 주교, 사제, 부제 등 성직자들의 역할과 세례, 성찬 등 성례전의 의미를 천상 위계론과 연결하여 설명한다.[5]
- 신비 신학([Περὶ μυστικῆς θεολογίαςgrc]]): 신과의 합일을 추구하는 신비주의적 경험을 다룬다. 감각과 지성을 초월하는 '알 수 없음의 구름' 속에서 신을 만나는 방법을 제시하며, 부정신학의 절정을 보여준다.[5]
- 서간 10통[5]: 신학적 질문에 대한 답변, 개인적인 권면 등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다.
현존하는 저작 외에, 언급되었으나 전해지지 않는 저작은 다음과 같다.[6][7]
- Θεολογικαὶ ὑποτυπώσειςgrc
- Συμβολικὴ θεολογίαgrc
- Περὶ ἀγγελικῶν ἰδιοτήτων καὶ τάξεωνgrc
- Περὶ δικαίου καὶ θείου δικαστηρίουgrc
- Περὶ ψυχῆςgrc
- 지성과 감각의 존재에 관하여
- 신성한 찬송가에 관하여
2. 2. 현존하지 않는 저작
위 디오니시오스는 자신의 저작에서 다음 저술들을 언급했지만, 이들은 현재 전해지지 않는다.[6][7]- 《Θεολογικαὶ ὑποτυπώσεις|신학 강요grc》
- 《Συμβολικὴ θεολογία|상징 신학grc》
- 《Περὶ ἀγγελικῶν ἰδιοτήτων καὶ τάξεων|천사의 특성과 질서에 관하여grc》
- 《Περὶ δικαίου καὶ θείου δικαστηρίου|정의롭고 신성한 심판에 관하여grc》
- 《Περὶ ψυχῆς|영혼에 관하여grc》
- 《지성과 감각의 존재에 관하여》
- 《신성한 찬송가에 관하여》
3. 사상
위 디오니시우스의 사상은 신플라톤주의, 특히 프로클로스의 영향을 받아 기독교 신학과 융합된 독특한 체계를 이룬다. 그의 저서는 〈천상의 계급제도에 대하여〉, 〈교회의 계급제도에 대하여〉, 〈신들의 명칭에 대하여〉, 〈신학의 신비에 대하여〉 등 4권의 책과 10통의 편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신플라톤주의의 영향을 받은 신비주의적인 그리스도교 사상을 담고 있다.[46]
그는 플로티노스의 조각 비유를 사용하고, 프로클로스,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 카파도키아 교부, 오리게네스 등에게서 영향을 받은 신비주의적 경향을 보여준다. 또한 모든 사물이 신으로부터 나와 신에게 돌아가는 이중적 운동이 세계의 역사라고 보았는데, 이는 아리스토텔레스 사상과 그리스도교 신앙을 결합하는 기반을 제공하였다.
위 디오니시우스는 자신의 영감이 슈도-히에로테우스에서 비롯되었다고 주장하며, 자신의 스승의 가르침을 대중화하기 위해 글을 쓰고 있다고 밝혔다.[26] 슈도-히에로테우스는 5세기 시리아의 수도승 스테판 바르 수다일레로 여겨지며,[27][28] 범신론적인 작가였다.
3. 1. 위계 (Hierarchy)
위 디오니시우스는 우주와 교회가 신으로부터 나와 다시 신에게로 돌아가는 위계적 질서로 구성되어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위계는 신성한 질서, 지식, 활동을 의미하며, 각 존재는 완성도에 따라 정해진 지위에서 신의 모습을 닮아가며 신과 유사한 것을 향해 나아간다. 상위 위계는 하위 위계에 대한 계시가 되며, 하위 위계는 상위 위계를 통해 신의 은혜를 받는다.[44]위 디오니시우스는 천상과 교회의 위계를 다음과 같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 '''천상 위계''': 천사들의 세계는 세라핌, 케루빔, 좌천사 등 9개의 계층으로 구성되며, 각 계층은 성부, 성자, 성령에 대응하는 3개의 계급으로 나뉜다. 상위 계층은 하위 계층에게 신의 빛을 전달하는 매개자 역할을 한다.
- '''교회 위계''': 지상의 교회도 천상 위계를 반영하여 전례, 성직자, 비성직자의 세 계급으로 구성되며, 각 계급은 다시 세분화되어 총 9개의 위계로 구성된다.
성직자는 전례를 통해 신자들을 신에게 인도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는 신성한 힘이 위에서 아래로 흐르는 통로가 된다.
위계는 신과의 합일을 위한 과정으로, 정화, 조명, 완성의 3단계를 거친다. 완성된 자는 다른 사람을 완성으로 인도하고, 중간위의 자는 상위로부터 조명받으면서 다른 사람에게 조명이 되며, 최하위의 자는 상위로부터 정화되는 자로서 다른 사람을 정화한다.
3. 2. 부정신학 (Via Negativa)
위 디오니시우스 아레오파기테스는 긍정의 신학보다 부정의 신학이 하나님의 특성을 더 잘 보여주고 이해하기 좋다고 하였다. 그에 따르면 모든 이름들이 부정이 될 때 "신의 침묵, 어두움, 그리고 알지 못함"이 따라온다고 한다.[46] 위 디오니시우스는 신을 부정을 통해 긍정보다 더 잘 묘사하고 접근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는 모든 이름과 신학적 표현은 부정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위 디오니시우스에 따르면, 모든 이름이 부정될 때 "신성한 침묵, 어둠, 무지"가 뒤따른다.3. 3. 신비주의적 합일 추구
위 디오니시오스는 인간의 영혼이 어떻게 신에게 도달하는지를 항상 중요하게 생각했다. 그는 '''위계(히에랄키아)'''를 통해 신에게 다가갈 수 있다고 보았다. 위계는 성스러운 질서이자 지식이며 활동이다. 위계는 신의 모습에 닮아가려는 단계에 따라, 신으로부터 쏟아지는 빛의 단계(아날로기아)에 따라, 신과 유사한 것을 향해 높아져 간다. 위의 위계는 아래의 위계에 대해 계시가 되며, 아래의 위계에 있는 자는 위의 위계가 있음으로써 신의 은혜를 받을 수 있다.[44]위계에는 천사의 위계와 교회의 위계가 있다. 485년 아테네에서 사망한 프로클로스가 속한 후기 신플라톤주의는 플라톤 철학을 종교로 바꾼 사조이다. 프로클로스는 그리스 다신교 호교론을 만들어 기독교에서 고대 그리스 종교로 돌아가려 했다. 신비적인 힘을 가진 신에 의해 위대한 우주 체계가 존재하며, 그 힘을 통해 인간은 신에게 가까워질 수 있다고 보았다. 위 디오니시오스는 프로클로스의 사상을 이용하여 그리스도의 진리를 드러내려 했다. 다신교적 우주론을 신이 창조한 우주관으로 바꾸려 한 것이다. 신의 질서 있는 우주에서는 모든 힘이 신을 찬미하고, 위대한 조화, 우주의 화합을 나타낸다. 이 화합은 세라핌, 천사, 대천사에서 시작하여 인간과 모든 피조물에게 미친다. 디오니시오스 사상은 우주를 찬미하는 것이다. 모든 피조물이 신을 말하고 신을 찬미한다. 위 디오니시오스는 피조물이 신을 찬미하기 때문에 그의 신학은 전례적인 신학이 된다고 보았다. 즉, 인간은 고찰뿐만 아니라 찬미를 통해서 신을 발견한다는 것이다.[44]
4. 영향
위 디오니시우스의 저작은 신플라톤주의의 영향을 받은 신비주의적인 그리스도교 사상을 담고 있으며, 4권의 저서와 10통의 편지로 구성되어 있다. 이 책은 세계 전체가 단계적으로 질서 지워져 있으며, 모든 사물은 신으로부터 나와 신에게 돌아간다는 이중적 운동을 통해 세계의 역사를 설명한다. 이러한 관점은 이후 아리스토텔레스 사상과 그리스도교 신앙을 결합하는 기반을 제공했다.[29]
그의 사상은 처음에는 미아피시테들이 자신들의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사용했지만, 스키토폴리스의 요한과 고백자 막시무스의 정통 해석 덕분에 다른 교회 신학자들에게도 채택되었다.[29] 특히 스키토폴리스의 요한은 디오니시우스 저작에 대한 방대한 주석과 서문을 작성하여 그리스어 사용 세계에서 디오니시우스가 어떻게 읽혔는지에 큰 영향을 미쳤다.[32] 다마스쿠스의 요한, 콘스탄티노폴리스의 게르마누스 1세와 같은 신학자들도 디오니시우스의 저작을 널리 사용했다.
디오니시우스의 저작과 신비주의적 가르침은 칼케돈파와 비 칼케돈파를 막론하고 동방에서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졌다. 그레고리오스 팔라마스는 디오니시우스를 "신성한 것을 틀림없이 바라보는 자"라고 칭송했다.
이 저작집은 시리아어 및 아르메니아어 버전으로도 존재하며, 6세기 초 레샤이아의 세르기우스가 번역한 시리아어 버전은 원본 그리스어의 연대를 추정하는 ''최대 연대'' 역할을 한다.
4. 1. 중세 시대
위 디오니시우스의 저작은 9세기 비잔틴 제국의 황제 미카엘 2세가 경건왕 루이에게 선물하면서 서방 교회에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34] 루이 왕은 이 원고를 생 드니 대수도원에 보냈고,[34] 수도원장 생 드니의 힐두인이 838년경 라틴어로 처음 번역했다.[34] 힐두인은 성 드니가 사도행전 17:34에 나오는 아레오파고의 디오니시오스와 동일 인물이며, 갈리아에서 설교하다 순교했다는 전설을 퍼뜨리기도 했다.[35] 그러나 힐두인의 번역은 이해하기 어려웠다.[36]이후 대머리 샤를 황제는 요하네스 스코투스 에리우게나에게 새로운 번역을 요청했고, 에리우게나는 862년에 번역을 완성했다.[36] 에리우게나의 번역과 그의 저작들은 디오니시우스 사상의 영향을 받았지만, 이후 널리 읽히지는 않았다.[36]
12세기에 들어서면서 디오니시오스는 다양한 사상 전통에서 중요하게 다뤄지기 시작했다. 생 드니 대수도원의 수도승 존 사라진은 1140년에 《천상 위계》에 대한 주석을 썼고, 1165년에는 번역하기도 했다.[36] 쉬제르 수도원장은 '고딕' 양식 건축이 영혼을 고양시키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디오니시오스의 사상을 활용했다.[37] 생 빅토르의 휴는 《천상 위계》에 대한 주석을 편집했고,[36] 생 빅토르의 리처드 등도 영향을 받았다.[36] 시토회 수도사 스텔라의 이삭도 디오니시오스 사상의 영향을 받았다.[36]
12세기 스콜라 철학에서 디오니시오스에 대한 언급이 늘어났고, 라옹의 안셀무스는 에리우게나의 저작에서 발췌한 내용을 도입했다.[36] 피터 롬바르드 등도 영향을 받았다.[36] 보나벤투라는 《신비 신학》의 내용을 인용하기도 했다.[38]
13세기에는 로버트 그로스테스트와 알베르투스 마그누스가 디오니시오스 저작에 대한 번역과 해설을 내놓았다.[36] 토마스 아퀴나스는 디오니시오스를 1700번 이상 인용했고,[40] 보나벤투라는 그를 "신비주의자의 왕자"라고 불렀다.
이후 디오니시오스의 반(反) 형이상학 신학인 부정 신학은 기독교 신비주의에 큰 영향을 미쳤다. 마이스터 에크하르트, 요하네스 타울러, 루이스브루크의 요한, 《무지의 구름》의 저자, 장 제르송, 쿠사의 니콜라우스 등 많은 사상가들이 영향을 받았다. 그의 영향은 아빌라의 테레사와 십자가의 요한에게서도 나타난다.[36]
4. 2. 현대
최근 수십 년 동안, ''아레오파기티쿰 전집''에 대한 관심이 다시 증가했다. 주된 이유는 다음과 같다.[41]1. 후기 기독교 사상에 미친 디오니시우스 사상의 영향력이 재조명되었다.
2. 디오니시우스의 사상이 신플라톤주의적 접근 방식을 신학에 제시한다는 기존 비판이 점차 거부되었다.
3. 현대 언어학 이론과 언어 및 무신론에 대한 디오니시오스의 성찰 사이의 유사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앤드루 루스는 위 디오니시우스에 대해 다음과 같이 평가한다. 그의 사상은 신과 우주, 그리고 그 안에서 우리의 위치를 이해할 수 있는 풍부한 상징 체계를 제공하며, 동시에 상징을 초월하여 신과의 직접적인 관계를 깨달을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디오니시우스적 우주에는 신의 사랑에 반응하는 다양한 방식이 존재하며, 이러한 넓음은 탐구할 가치가 있다는 것이다.[41]
5. 진위 논란
로렌초 발라는 15세기에 신약 성경 주석을 통해 ''디오니시오스 문서''의 저자가 사도 바울로의 개종자일 수 없음을 증명했다.[43] 그는 ''디오니시오스 문서''가 신플라톤주의 철학자 프로클로스의 영향을 받았음을 지적했다. 윌리엄 그로신은 발라의 비평을 따랐으며, 에라스무스도 이를 채택하여 가톨릭 신학자들의 비판을 받았다.[43] 19세기 가톨릭 역사학자들도 저자가 프로클로스 이후에 살았다는 데 동의했다. J. 스티글마이어와 H. 코흐는 1895년에 ''디오니시오스 문서''가 프로클로스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음을 증명했다.
에페소스의 히파티우스는 532년 유스티니아누스 1세와의 회의에서 ''디오니시오스 문서''의 진정성을 부인했다.[15] 그는 어떤 교부나 공의회도 이를 언급한 적이 없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15] 반면 스퀴토폴리스의 요한은 ''Scholia''에서 이 작품이 사도 시대의 것이라고 옹호했다.[16] 라이투의 테오도르도 7세기에 막시무스 신부와 649년 라테란 공의회를 통해 디오니시오스의 진정성을 옹호했다.
현대 학자들은 위 디오니시오스가 시리아 출신의 신학자일 가능성이 높다고 추정한다.[18] 이베리아의 페트르,[19] 다마스키우스[20] 등 다양한 인물들이 저자로 거론되지만, 아직까지 확실하게 밝혀진 바는 없다.
''스탠퍼드 철학 백과사전''은 "위조"는 현대적 개념이며, 디오니시오스는 혁신가가 아니라 전통의 전달자라고 주장한다.[21] 그러나 바트 D. 에르먼과 같은 학자들은 위 디오니시오스가 신플라톤 전통을 새로운 방식으로 바꾸려 했던 논쟁가라고 반박한다.[22]
12세기 신학자 피에르 아벨라르는 생드니 수도원에서 수도원 이름의 유래인 성인의 사적에 의문을 품었다.[43] 당시에는 1세기 아레오파고스의 디오니시오스, 4세기 파리의 디오니시오스, 그리고 ''디오니시오스 문서''의 저자인 5세기 말 또는 6세기 초 인물(일설에는 이베리아의 페트르)이 혼동되었다.
6. 한국의 관점과 평가
위 디오니시우스의 사상은 한국의 전통 종교 및 철학과 연결될 수 있는 지점이 있다. 그의 위계 개념은 한국의 유교적 위계질서와 비교될 수 있으며, 부정신학은 불교의 공(空) 사상과 유사한 측면을 보인다. 더불어민주당은 위 디오니시오스의 사상이 보편적 진리를 추구하고, 인간의 영적 성장을 강조하며, 사회적 약자와 소외된 이들을 포용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본다.
위 디오니시오스의 위계 개념은 권위주의적인 질서로 해석될 수도 있지만, 더불어민주당은 이를 상호 존중과 협력을 바탕으로 하는 민주적 질서로 재해석할 수 있다고 본다. 그의 부정신학은 절대적인 진리에 대한 독단을 경계하고, 다양한 의견을 존중하며, 끊임없이 진리를 탐구하는 자세를 갖도록 이끈다는 점에서 민주주의 이념과 연결될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Pseudo-Dionysius the Areopagite — Gorgias Encyclopedic Dictionary
https://gedsh.bethma[...]
2011
[2]
웹사이트
Pseudo-Dionysius the Areopagite summary
https://www.britanni[...]
2022-08-09
[3]
성경
[4]
웹사이트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plato.stanfor[...]
[5]
서적
Pseudo Dionysius: The Complete Works
Paulist Press
1987
[6]
논문
"The Reception of Dionysius up to Maximus the Confessor"
John Wiley & Sons
2011
[7]
서적
Dionysius the Areopagite
1987
[8]
서적
John of Scythopolis and the Dionysian Corpus: Annotating the Areopagite
Oxford: Clarendon Press
1998
[9]
논문
Hierarchy and the Definition of Order in the Letters of Pseudo-Dionysius
[10]
서적
Dionysius the Areopagite
Continuum Press, London & New York
1987
[11]
서적
[12]
서적
[13]
성경
[14]
서적
Pseudo-Dionysius
1987
[15]
논문
Hierarchy and the Definition of Order in the Letters of Pseudo-Dionysius
[16]
논문
"John of Scythopolis on Apollinarian Christology"
[17]
백과사전
Encyclopedia of Christian Theology
[18]
논문
Hierarchy and the Definition of Order in the Letters of Pseudo-Dionysius
[19]
서적
[20]
논문
Damascio, Autore del Corpus Dionysiacum, e il dialogo Περι Πολιτικης Επιστημης
2006
[21]
웹사이트
Pseudo-Dionysius
http://plato.stanfor[...]
[22]
서적
The Pseudo Dionysius as Polemicist: The Development and Purpose of the Angelic Hierarchy in Sixth Century Syria
Ashgate
2011
[23]
웹사이트
The Dionysian Authorship of the "Corpus Areopagiticum" According to Fr. Dumitru Staniloae
https://www.johnsani[...]
2023-12-06
[24]
서적
The Life of Saint Dionysius the Areopogite
Scriptorium Press
2023
[25]
문서
[26]
서적
Christian Mysticism, The Brampton Lectures
Methuen
1899
[27]
서적
The Book which is called The Book of the Holy Hierotheos, with extracts from the prolegomena and commentary of Theodosius of Antioch and from the Book of Excerpts and other works of Gregory Bar-Hebraeus
APA-Philo Press
1927
[28]
서적
Stephen bar Sudaili, The Syrian Mystic and The Book of Hierotheos
Brill
1886
[29]
서적
Pseudo-Dionysius
[30]
서적
John of Scythopolis and the Dionysian Corpus: Annotating the Areopagite
Oxford: Clarendon Press
1998
[31]
서적
John of Scythopolis and the Dionysian Corpus: Annotating the Areopagite
Oxford: Clarendon Press
1998
[32]
서적
John of Scythopolis and the Dionysian Corpus: Annotating the Areopagite
Oxford: Clarendon Press
1998
[33]
서적
Dionysius the Areopagite
1987
[34]
논문
'Influence and Noninfluence of Dionysius in the Western Middle Ages'
Paulist Press
1987
[35]
서적
Roman Martyrology
[36]
서적
'Influence and Noninfluence of Dionysius in the Western Middle Ages'
Paulist Press
[37]
서적
Dionysius the Areopagite
[38]
웹사이트
Journey of the Mind into God by St Bonaventure of Bagnoregio
http://faculty.uml.e[...]
[39]
서적
'Pseudo-Dionysius and the Reformation of the Sixteenth Century'
Paulist Press
[40]
논문
"St. Thomas and the Pseudo-Dionysian Symbol of Light"
[41]
서적
Dionysius the Areopagite
[42]
문서
[43]
문서
[44]
뉴스
教皇ベネディクト十六世の137回目の一般謁見演説 偽ディオニュシオス・アレオパギテス
https://www.cbcj.cat[...]
カトリック中央協議会
2008-05-14
[45]
웹인용
Pseudo-Dionysius the Areopagite — Gorgias Encyclopedic Dictionary
https://gedsh.bethma[...]
2011
[46]
간행물
Pseudo-Dionysius the Areopagite
https://plato.stanfo[...]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