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아 행진곡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지아 행진곡은 헨리 클레이 워크가 작곡한 미국 남북 전쟁의 노래이다. 1865년 윌리엄 테쿰세 셔먼 소장에게 헌정되었으며, 셔먼의 바다로의 행진을 기념한다. 이 곡은 셔먼의 군대가 조지아를 휩쓸고 지나간 과정을 묘사하며, 연방군의 승리와 노예 해방을 노래한다. 발표 이후 북부에서 큰 인기를 얻었지만, 남부에서는 셔먼 군대의 파괴를 연상시킨다는 이유로 혐오감을 샀다. 조지아 행진곡은 미국 외에도 다양한 국가에서 군가, 민족주의 찬가로 사용되었으며, 한국 독립군가로도 개사되어 불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65년 노래 - 라이징 어브 더 문
라이징 어브 더 문은 존 키건 캐시가 1798년 아일랜드 봉기를 소재로 지은 아일랜드 민요로, 독립군 상황 묘사와 페니언 봉기 영감을 통해 아일랜드에서 널리 불리며 대중문화에서도 사용된다. - 조지아주의 음악 - Moon River
Moon River는 1961년 영화 《티파니에서 아침을》을 위해 헨리 맨시니가 작곡하고 조니 머서가 작사한 곡으로, 오드리 헵번을 비롯한 다양한 가수의 커버 버전과 영화, 드라마, 광고 삽입, 그리고 문재인 전 대통령의 유세곡 및 JR 동일본의 발차 멜로디로 사용되는 등 큰 인기를 얻었다. - 조지아주의 음악 - A Single Man
A Single Man에 대한 정보가 충분히 제공되지 않아 도입부를 작성할 수 없습니다.
조지아 행진곡 | |
---|---|
노래 정보 | |
제목 | 조지아 행진곡 |
원제 | Marching Through Georgia |
작사/작곡 | 헨리 클레이 워크 |
발표년도 | 1865년 |
![]() | |
기타 정보 | |
장르 | 행진곡 |
주제 | 미국 남북 전쟁 조지아주 점령 |
2. 배경
2. 1. 작곡가 헨리 클레이 워크
헨리 클레이 워크(1832–1884)는 시카고에서 활동한 인쇄공이었으나, 어린 시절부터 노래 작곡에 깊은 애정을 가지고 있었다.[2] 미국 남북 전쟁 발발 후, 워크는 루트 앤 케이디에 입사하여 조지 프레데릭 루트의 인정을 받았다.[6][7]
미국 남북 전쟁의 음악은 전쟁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다.[8] 워크는 노예제 폐지론자 집안 출신으로, 그의 북부에 대한 강한 지지와 노예제도에 대한 혐오는 그의 음악에 큰 영향을 미쳤다.[11][12] 그는 1861년부터 1865년까지 25곡의 친연방군 노래를 작곡했다.[10]
워크는 음악을 통해 연방 시민들의 감정을 전달한 것으로 평가받는다.[13] ''The New Grove Dictionary of Music and Musicians''는 "다른 작곡가보다 워크는 남북 전쟁의 깊이 있는 감정을 포착했다"라고 언급한다.[5] 그의 노래 "Kingdom Coming"은 미국 남북 전쟁에서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군사사에서 아프리카계 미국인 병사들이 남쪽으로 행진하는 데 사용되었다.[14]
전쟁 직전에 쓰인 "조지아 행진곡"은 워크의 경력의 정점을 찍었다.[18] 1865년 1월 9일에 발표된 이 노래는[19] 윌리엄 테쿰세 셔먼 소장에게 헌정되었으며, 셔먼의 바다로의 행진을 기념한다.[20]
2. 2. 셔먼의 바다로의 행진
1864년 9월까지 연방은 전쟁에서 승리할 것으로 보였다. 3년간의 피비린내 나는 교착 상태 이후, 셔먼의 애틀랜타 점령은 남부의 주요 도시였으며, 북부 대의에 구원을 가져다주었다.[23] 셔먼은 그 후 점령 시 남부를 양분할 수 있는 해안 도시 서배너를 주시했다. 9월 말 계획이 마무리되었고, 메이저 제너럴 율리시스 S. 그랜트가 결국 동의했다.[24]
11월 15일, 62,000명의 연방군이 애틀랜타를 출발하여 바다로의 행진을 시작했다.[25] 남부는 허를 찔렸고 효과적인 저항을 결코 하지 못했다. 따라서 진군은 순조로웠고 거의 방해받지 않았다.[26] 셔먼은 회고록에서 이렇게 회상한다. "[그의 주요 경쟁자인 하디(William J. Hardee)는] 요새를 건설하고 과장된 위협으로 우리를 놀라게 하려 했음에도 불구하고, 산병선 이외의 어떤 것도 사용하도록 강요하지 않았다."[27] 몇 차례의 소규모 충돌과 그리스월드빌 전투와 포트 맥앨리스터 전투 단 두 번의 주목할 만한 교전을 거친 후, 연방군은 12월 21일 애틀랜타로 진격했다. 이것으로 바다로의 행진은 종료되었다.[28] 5개월 후, 전쟁의 서부 전역이 종료되었다.[29]
행진은 남부에 두 가지 즉각적인 영향을 미쳤다. 첫째, 군대는 식량과 자원을 찾아 토지를 약탈하고 공공 건물과 기반 시설을 파괴하면서 파괴와 궁핍을 남겼다.[30] 이는 더 이상 전쟁을 지원할 가치가 없다는 것을 남부인들에게 설득하려는 셔먼의 전략에 부합했다.[31] 둘째, 이는 남부 노예들이 자유를 찾아 도망치도록 고무했다. 14,000명 이상이 조지아에서 셔먼의 군대에 합류했으며, 그들이 자신들의 고향 농장 근처를 지나가자 맹렬한 열정을 보이며, 이 전역을 해방의 이정표로 만들었다.[32]
작가 데이비드 J. 아이처는 바다로의 행진에 대해 이렇게 썼다. "셔먼은 놀라운 과업을 완수했다. 그는 적의 영토 깊숙이 침투하여 보급선이나 통신망 없이 작전을 수행함으로써 군사적 원칙을 거스른 것이다. 그는 전쟁을 수행할 수 있는 남부의 잠재력과 심리를 파괴했다."[33] 심리전과 총력전의 선구적인 사용으로, 셔먼의 군대가 가한 파괴는 남부를 공포에 떨게 했다. 눈앞에서 영토와 자원이 황폐화되는 민간인들은 갈수록 심해지는 갈등에 몹시 경악하여, 셔먼이 의도했던 대로, 더 이상 싸울 의지를 잃었다.[34] 행진은 남부 경제를 더욱 마비시켜 약 1억 달러의 손실을 입혔다.[35][36] 역사가 허먼 하타웨이의 말처럼, 그것은 "남부 연합의 전쟁 노력을 산산조각냈다."[37]
3. 구성
나팔 소년들이여! 다시 노래를 부르자, 온 세상이 따라 부르게 열정적으로 부르세;[38]
5만 명이나 되었을 때 부르던 그 노래를, 우리가 조지아를 행진할 때처럼.
''후렴''
"만세! 만세! 희년을 가져오네!
만세! 만세! 그대를 자유롭게 하는 깃발!"
우리는 애틀랜타에서 바다까지 이 후렴을 불렀네, 우리가 조지아를 행진하는 동안.
흑인들이 기쁜 소리를 듣고 어떻게 외쳤는가!
우리 군수품이 찾은 칠면조들이 어떻게 캑캑거렸는가!
고구마조차도 땅에서 솟아오르는구나, 우리가 조지아를 행진하는 동안.
''(후렴)''
그렇다, 연합군들이 기쁨의 눈물을 흘렸네,
몇 년 동안 보지 못했던 영광스러운 깃발을 보며;
환호성을 터뜨리는 것을 간신히 참을 수 있었지, 우리가 조지아를 행진하는 동안.
''(후렴)''
"셔먼의 용감한 양키 소년들은 해안에 도달하지 못할 것이다!"
오만한 반군들이 그렇게 말했고, 그것은 멋진 자랑이었지,
아아! 그들이 주최측을 계산하는 것을 잊지 않았다면, 우리가 조지아를 행진하는 동안.
''(후렴)''
그렇게 우리는 자유와 그녀의 행렬을 위한 길을 만들었네,
위도 60마일—본선까지 300마일;
반역은 우리 앞에서 도망쳤고 저항은 헛수고였지, 우리가 조지아를 행진하는 동안.
''(후렴)''
3. 1. 가사 분석
"조지아 행진곡"은 연방 군인의 시점에서 셔먼의 행진과 그로 인한 승리, 파괴, 해방을 노래한다.[39] 이 노래는 5개의 절과 후렴구로 구성되어 있으며,[41] 각 절은 셔먼 부대의 진군, 남부 노예들의 해방, 남부 연합 지지자들의 절망, 그리고 자유를 위한 길을 닦는 과정을 묘사한다.첫 번째 절은 셔먼의 군대를 위한 결집 구호로 시작하며, "옛 나팔을 가져오게 친구들, 다른 노래를 부르세"라고 노래한다.[41] 실제로는 6만 명 이상이 행진에 참여했지만, 가사에서는 5만 명으로 과소평가하고 있다.[42]
두 번째 절은 해방의 주제를 다루며, "환희로운 소리 들은 검둥이들은 함성을 지르고"라고 묘사한다.[45]
세 번째 절에서는 국기를 보고 기쁨의 눈물을 흘리는 북군 지지자들의 모습을 그리며, "몇 년간 보지 못한 영광의 깃발을 보고 기쁨의 눈물 터뜨린 합중국의 시민도 있었다"라고 노래한다.[47]
네 번째 절은 셔먼의 캠페인을 비웃었던 남부 연합군이 절망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셔먼의 기생오래비 양키들은 해안선에 닿지 못한다!"라고 조롱하던 그들이 "아아! 놈들은 우리를 무시할 수 없었음을 잊지 못하리"라고 후회하는 모습을 담고 있다.[41]
다섯 번째 절은 행진의 성공을 기념하며, "그리하여 우리는 자유를 위한 신작로를 닦았다"라고 노래한다. "폭은 예순 마일에 길이 삼백 마일의 길"을 닦았으며, "우리를 본 역도들은 저항도 헛되이 달아나 버렸다"라고 묘사한다.[49]
후렴구는 성경 고대 시대의 희년을 언급하며 노예 해방과 새로운 시대의 도래를 축하한다.[43] "만세! 만세! 우리가 희년을 불렀다![97] 만세! 만세! 깃발이 그대를 자유케 하도다!"라고 노래하며, "그래서 우린 노래불렀지 애틀랜타에서 바다까지"라고 행진의 여정을 강조한다.
역사가 크리스찬 맥휘터는 이 노래의 가사와 주제를 평가하며, "표면적으로는 셔먼의 애틀랜타에서 사바나까지의 캠페인을 기념했지만, 청취자들에게 연방의 승리를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도 알려주었다"라고 설명한다. 백인 군인으로서 워크는 남부 연합 민간 재산에 대한 목표 설정을 연합주의와 해방의 축하로 바꾸었으며, 연방 군인들은 파괴자가 아니라 노예와 남부 연합주의자들을 위한 구원자가 되었다고 평가한다.
3. 2. 음악적 특징
"조지아 행진곡"은 헨리 클레이 워크의 전시(戰時) 작품으로, 북부 민간인들의 셔먼의 성공적인 작전에 대한 환호를 담아낸 곡이다.[13][43] 이 곡은 축하적인 애국가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키며, 열정적인 애국심과 미국에 대한 자부심을 전달한다.[43][51] 음악학자 지그문트 스패스는 이를 "남북 전쟁의 가장 쓰라린 상처 중 하나에 북부의 소금을 뿌리는" 것과 같다고 표현했다.[52] 많은 작가들은 이러한 애국심이 노예 폐지론자 집안 출신인 워크의 배경과 연관이 있다고 본다.[53]"조지아 행진곡"은 전쟁 기간 동안 만들어진 곡들 중 분쟁 이후에도 오랫동안 인기를 누린 몇 안 되는 곡 중 하나였다.[54] 전쟁에 싫증을 느낀 민간인들은 1865년 이후 연합 전체에 알려진 찬가인 "Tramp! Tramp! Tramp!"가 주목을 받지 못한 채 사라진것과는 대조적이다.[55] 조지 F. 루트는 워크가 이 곡을 작곡한 지 26년 후 출판된 자서전에서, 이 곡이 전쟁 이후에도 특별한 인기를 누린 이유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즉, "자유의 전투 외침"과 같은 다른 전쟁 노래는 전쟁이나 전투에 참여할 때 애국심을 고취하기 위한 것이었지만, "조지아 행진곡"은 승리하여 나올 때의 영광스러운 기억을 담고 있어, 그 이후로 군인들과 다른 모임에 더욱 적합했다는 것이다.[56]
4. 영향 및 유산
4. 1. 미국 내에서의 인기와 논란
"조지아 행진곡"은 북부에서 12년 만에 악보 50만 부가 판매될 정도로 큰 인기를 얻었으며, 당시 가장 성공적인 전쟁 노래 중 하나이자 워크의 가장 수익성 높은 히트곡이었다.[57] 음악 전기 작가 데이비드 유언은 이 곡을 "그의 전쟁 노래 중 가장 위대한 곡"이라고 평가했고,[58] 칼 S. 로우든은 "영혼을 뒤흔드는" 제작과 지속성 덕분에 그의 최고의 작품이라고 평가했다.[59] 1880년대부터 이 노래는 북부 참전 용사들의 모임에서 자주 연주되었다.[63]하지만 셔먼은 북부에서 "조지아 행진곡"이 너무 자주 연주되어 혐오감을 느꼈다. 1890년 GAR의 전국 야영에서는 수백 개의 밴드가 그를 지나갈 때마다 이 곡을 연주하여 7시간이나 지속되었고,[64] 그는 "미국의 모든 밴드가 그의 앞에서 '조지아 행진곡'을 연주하지 않겠다는' 동의서에 서명할 때까지는 다시는 야영에 참석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고 전해진다.[65] 이 노래는 그의 장례식에서도 연주되었다.[66]
반면 남부에서는 셔먼의 군대에 의해 조지아가 황폐화된 것을 떠올리게 한다는 이유로 "조지아 행진곡"을 혐오했다.[67] 톰 돌란은 1908년 판 ''제퍼소니언''에서 "조지아는 [그 행진]을 잊지 않을 것이며, 그녀의 남부 자매들도 그 가혹한 약탈의 고통을 잊지 않을 것이다."라고 적었다.[68] 1908년 민주당 전당대회와 1924년 민주당 전당대회에서는 이 노래에 대한 조지아의 경멸을 보여주는 사건이 발생했다. 1908년 전당대회에서 조지아는 윌리엄 제닝스 브라이언에게 대표단을 보내지 않은 몇 안 되는 주 중 하나였으며,[69] 밴드는 "조지아 행진곡"을 연주하여 전당대회의 불만을 표현했다.[70] 1924년 전당대회에서는 조지아 대표단을 위해 노래를 연주하라는 지시를 받은 밴드가 "조지아 행진곡"을 연주하자, 야유와 야유가 쏟아졌다.[71]
4. 2. 군가 및 민족주의적 사용
"조지아 행진곡"은 취주악단의 필수적인 곡이며, 전형적인 미국의 곡이지만,[51] 전 세계의 군대에서 연주되었다.[60] 일본군은 러일 전쟁 발발 당시 여순항에 진입하면서 이 곡을 불렀고,[72] 1880년대 후반에는 현지 구세군이 사용하기도 했다.[73] 제2차 세계 대전 중 인도에 주둔한 영국군은 이따금 이 곡을 제창했다.[72]이 곡의 멜로디는 수많은 지역의 군가 및 민족주의 찬가에 차용되었다. 제2차 보어 전쟁 당시 프레토리아 진격 직후, 영국군은 "프레토리아 행진곡"으로 승리를 기념했다.[74] 핀란드 시민들은 프리깃함 ''토이보'' 함장의 행동에 분노하여 이를 항의가요 "라바 토이보, 오울루"로 개사했다.[75] 찰리 오크스는 이 곡조에 맞춰 "플랑드르 행진곡"을 작곡하여 제1차 세계 대전 중 벨기에에 대한 미국의 개입을 묘사했다.[76] 프린스턴 대학교의 풋볼 응원가 "나소! 나소!" 또한 워크의 곡조를 차용했다.[77] 가장 주목할 만한 각색은 논란이 많은 친얼스터 찬가 "빌리 보이즈"이다.[78]
4. 3. 대중문화 속의 조지아 행진곡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1939)에서 카펫배거는 타라를 스칼렛 오하라로부터 빼앗으려 하면서 이 곡의 후렴구를 부른다.[85] 서부극인 《셰인》(1953)에서는 윌슨이 하모니카로 이 곡을 짧게 연주하는 장면이 등장하며,[86] 《엘도라도》(1966)에서는 총에 맞고 엄호를 요청받은 불이 "총 하나만 더 줘. '조지아 행진곡'을 연주해 주겠어."라고 외친다.[87] 대체 역사 소설인 《조지아 행진곡을 걷다》(1988)와 《브링 더 주빌리》는 제목에 이 가사를 언급하고 있다.[88][89] 영국에서는 조지즘 주의자들의 반역가 "The Land"에 이 곡의 멜로디가 사용되고 있으며, "The Land"는 영국 자유민주당의 사실상의 당가가 되었다. 핀란드의 반역가 "Laiva Toivo, Oulu"의 멜로디는 조지아 행진곡의 것이며, 그 가사는 프리깃함 "Toivo"의 선장의 행위를 비판하는 내용이다.4. 4. 한국 독립군가
일제강점기에 조지아 행진곡은 가사가 개사되어 한국 독립군가로 불렸다. "신대한국 독립군의 백만용사야"로 시작하는 이 노래는 조국 독립을 향한 열망과 투지를 담아내며 독립운동가들과 민중들에게 큰 힘을 주었다.: ''제1절''
: 신대한국 독립군의 백만용사야
: 조국의 부르심을 네가 아느냐
: 삼천리 삼천만의 우리동포들
: 건질 이 너와 나로다
: ''제2절''
: 원수들이 강하다고 겁을 낼 건가
: 우리들이 약하다고 낙심할 건가
: 정의의 날쌘 칼이 비끼는 곳에
: 이길 이 너와 나로다
: ''제3절''
: 너 살거든 독립군의 용사가 되고
: 나 죽으면 독립군의 혼령이 됨이
: 동지야 너와 나의 소원 아니냐
: 빛낼 이 너와 나로다
: ''제4절''
: 압록강과 두만강을 뛰어 건너라
: 악독한 원수무리 쓸어 몰아라
: 잃었던 조국강산 회복하는 날
: 만세를 불러보세
: ''후렴''
: 나가 나가 싸우러 나가
: 나가 나가 싸우러 나가
: 독립문의 자유종이 울릴 때까지
: 싸우러 나가세
4. 4. 1. 한국 독립군가 버전 가사
''제1절'': 신대한국 독립군의 백만용사야
: 조국의 부르심을 네가 아느냐
: 삼천리 삼천만의 우리동포들
: 건질 이 너와 나로다
''제2절''
: 원수들이 강하다고 겁을 낼 건가
: 우리들이 약하다고 낙심할 건가
: 정의의 날쌘 칼이 비끼는 곳에
: 이길 이 너와 나로다
''제3절''
: 너 살거든 독립군의 용사가 되고
: 나 죽으면 독립군의 혼령이 됨이
: 동지야 너와 나의 소원 아니냐
: 빛낼 이 너와 나로다
''제4절''
: 압록강과 두만강을 뛰어 건너라
: 악독한 원수무리 쓸어 몰아라
: 잃었던 조국강산 회복하는 날
: 만세를 불러보세
''후렴''
: 나가 나가 싸우러 나가
: 나가 나가 싸우러 나가
: 독립문의 자유종이 울릴 때까지
: 싸우러 나가세
5. 다른 번안곡
"조지아 행진곡"은 여러 노래로 번안되었는데, 그 중에는 영국의 조지주의 찬가인 더 랜드/The Land영어가 있다. 이 노래는 "자유를 위한 외침을 울려라, 소년들이여, 멀리 널리 울려라"라는 가사로 시작하며, "하느님은 땅을 백성에게 주셨다"라는 구절이 반복된다. 핀란드에서는 저항가요 라이바 토이보, 오울루/Laiva Toivo, Oulufi로 번안되었고, 그 외에도 여러 노동가와 응원가로 불렸다.
6. 각주
참조
[1]
문서
Sometimes spelled "Marching Thru' Georgia" or "Marching Thro Georgia".
[2]
Multiref
Birdseye,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America's Song Composers|America's Song Composers]]", 284–285|Ewen,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Popular American Composers|Popular American Composers]]'', 188|Hill,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The Mysterious Chord|The Mysterious Chord]]", 215–216|Howard,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Our American Music|Our American Music]]'', 267
[3]
Multiref
Birdseye,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America's Song Composers|America's Song Composers]]", 285|Hill,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The Mysterious Chord|The Mysterious Chord]]", 216|Howard,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Our American Music|Our American Music]]'', 267|McCray,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About Henry Clay Work|About Henry Clay Work]]", 10
[4]
Multiref
Carder,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George F. Root|George F. Root]]'', 101|Eicher,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The Longest Night|The Longest Night]]'', 34
[5]
인용
quoted in Sadie & Tyrrell,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New Grove Dictionary|New Grove Dictionary]]'', 568
[6]
Multiref
Carder,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George F. Root|George F. Root]]'', 101|Epstein,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Music Publishing in Chicago|Music Publishing in Chicago]]", 43|Sadie & Tyrrell,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New Grove Dictionary|New Grove Dictionary]]'', 568|Tribble,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Marching Through Georgia|Marching Through Georgia]]", 425
[7]
Multiref
Carder,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George F. Root|George F. Root]]'', 122, 124|Hill,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The Mysterious Chord|The Mysterious Chord]]", 216|Root,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Story of a Musical Life|Story of a Musical Life]]'', 137–138|Tribble,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Marching Through Georgia|Marching Through Georgia]]", 425
[8]
Multiref
Kelley & Snell,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Bugle Resounding|Bugle Resounding]]'', 21|McWhirter,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Battle Hymns|Battle Hymns]]'', 15|Silber,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Songs of the Civil War|Songs of the Civil War]]'', 7–8
[9]
인용
quoted in Silber,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Songs of the Civil War|Songs of the Civil War]]'', 7
[10]
Multiref
Hill,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The Mysterious Chord|The Mysterious Chord]]", 213–214|Kelley & Snell,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Bugle Resounding|Bugle Resounding]]'', 21|Howard,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Our American Music|Our American Music]]'', 266|Work,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Songs|Songs]]'', table of contents
[11]
Multiref
quoted in Howard,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Our American Music|Our American Music]]'', 267|Carder,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George F. Root|George F. Root]]'', 114|McCray,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About Henry Clay Work|About Henry Clay Work]]", 10|McWhirter,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Battle Hymns|Battle Hymns]]'', 146
[12]
Multiref
Carder,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George F. Root|George F. Root]]'', 114|Ewen,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Popular American Composers|Popular American Composers]]'', 188|Lowden,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Stories of Old Home Songs|Stories of Old Home Songs]]", 9|Silber,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Songs of the Civil War|Songs of the Civil War]]'', 306
[13]
Multiref
Hill,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The Mysterious Chord|The Mysterious Chord]]", 211|McCray,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About Henry Clay Work|About Henry Clay Work]]", 10|Spaeth,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Battle Hymns|History of Popular Music in America]]'', 156
[14]
Multiref
Birdseye,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America's Song Composers|America's Song Composers]]", 288|McCray,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About Henry Clay Work|About Henry Clay Work]]", 10|McWhirter,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Battle Hymns|Battle Hymns]]'', 146–147|Silber,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Songs of the Civil War|Songs of the Civil War]]'', 306
[15]
Multiref
Eicher,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The Longest Night|The Longest Night]]'', 501|Spaeth,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History of Popular Music|History of Popular Music]]'', 156
[16]
Multiref
Ewen,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Popular American Composers|Popular American Composers]]'', 188|Root,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Story of a Musical Life|Story of a Musical Life]]'', 137, 139|Spaeth,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History of Popular Music|History of Popular Music]]'', 155
[17]
Multiref
Birdseye,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America's Song Composers|America's Song Composers]]", 284–285|Hill,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The Mysterious Chord|The Mysterious Chord]]", 211|Kelley & Snell,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Bugle Resounding|Bugle Resounding]]'', 119|Sadie & Tyrrell,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New Grove Dictionary|New Grove Dictionary]]'', 568
[18]
Multiref
McWhirter,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Battle Hymns|Battle Hymns]]'', 169|Silber,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Songs of the Civil War|Songs of the Civil War]]'', 16|Spaeth,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History of Popular Music|History of Popular Music]]'', 156|Tribble,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Marching Through Georgia|Marching Through Georgia]]", 426
[19]
Multiref
Erbsen,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Rousing Songs|Rousing Songs]]'', 51|Hill,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The Mysterious Chord|The Mysterious Chord]]", 214
[20]
Multiref
Carder,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George F. Root|George F. Root]]'', 153|Eicher,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The Longest Night|The Longest Night]]'', 763|Lowden,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Stories of Old Home Songs|Stories of Old Home Songs]]", 9|Tribble,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Marching Through Georgia|Marching Through Georgia]]", 426
[21]
Multiref
McWhirter,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Battle Hymns|Battle Hymns]]'', 169–170|Silber,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Songs of the Civil War|Songs of the Civil War]]'', 16, 238
[22]
웹사이트
Byers, Samuel Hawkins Marshall
http://uipress.lib.u[...]
University of Iowa Press Digital Editions
2023-02-21
[23]
Multiref
Davis,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Atlanta Campaign (Davis)|Atlanta Campaign]]"|Eicher,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The Longest Night|The Longest Night]]'', 760, 763|Hattaway,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How the North Won|How the North Won]]'', 622–623|Osborn,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Atlanta Campaign|Atlanta Campaign]]", 282–287
[24]
Multiref
Bailey,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Sherman's March to the Sea (Georgia)|Sherman's March to the Sea]]" § Preparation|Hattaway,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How the North Won|How the North Won]]'', 638, 641|Rhodes,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Sherman's March to the Sea|Sherman's March to the Sea]]", 466
[25]
Multiref
Bailey,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Sherman's March to the Sea (Georgia)|Sherman's March to the Sea]]" § The March|Eicher,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The Longest Night|The Longest Night]]'', 763|Hattaway,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How the North Won|How the North Won]]'', 642
[26]
Multiref
Eicher,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The Longest Night|The Longest Night]]'', 763|Hattaway,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How the North Won|How the North Won]]'', 647|Rhodes,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Sherman's March to the Sea|Sherman's March to the Sea]]", 469
[27]
인용
quoted in Sherman,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Memoirs|Memoirs]]'', 210
[28]
Multiref
Bailey,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Sherman's March to the Sea (Georgia)|Sherman's March to the Sea]]" § Military Encounters|Eicher,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The Longest Night|The Longest Night]]'', 765–768|Hattaway,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How the North Won|How the North Won]]'', 642, 648, 654|Marzalek,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Sherman's March to the Sea (Trust)|Sherman's March to the Sea]]"
[29]
Multiref
Eicher,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The Longest Night|The Longest Night]]'', 793–802, 831|Hattaway,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How the North Won|How the North Won]]'', 656–657, 669
[30]
Multiref
Bailey,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Sherman's March to the Sea (Georgia)|Sherman's March to the Sea]]" § Consequences of the March|Eicher,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The Longest Night|The Longest Night]]'', 768|Hattaway,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How the North Won|How the North Won]]'', 642|Rhodes,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Sherman's March to the Sea|Sherman's March to the Sea]]", 471–472
[31]
Multiref
Hattaway,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How the North Won|How the North Won]]'', 641–642|Rhodes,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Sherman's March to the Sea|Sherman's March to the Sea]]", 470
[32]
Multiref
Drago,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How Sherman's March Affected the Slaves|How Sherman's March Affected the Slaves]]", 362–363|Marzalek,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Sherman's March to the Sea (Trust)|Sherman's March to the Sea]]"|Rhodes,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Sherman's March to the Sea|Sherman's March to the Sea]]", 473
[33]
인용
quoted in Eicher,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The Longest Night|The Longest Night]]'', 768
[34]
Multiref
Bailey,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Sherman's March to the Sea (Georgia)|Sherman's March to the Sea]]" § Consequences of the March|Eicher,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The Longest Night|The Longest Night]]'', 768|Hattaway,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How the North Won|How the North Won]]'', 642|Merzalek,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Sherman's March to the Sea (Trust)|Sherman's March to the Sea]]"
[35]
Multiref
Rhodes,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Sherman's March to the Sea|Sherman's March to the Sea]]", 472|Sellers,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Economic Incidence of the Civil War|Economic Incidence of the Civil War]]", 179
[36]
정보
[37]
Multiref
[38]
Multiref
[39]
Multiref
[40]
문서
New Grove Dictionary
[41]
문서
Marching Through Georgia
[42]
서적
The Longest Night
[43]
서적
Battle Hymns
[44]
서적
The Voices That Are Gone
[45]
서적
Songs
[46]
Multiref
[47]
서적
Songs
[48]
서적
George F. Root
[49]
서적
Songs
[50]
인용
[51]
서적
Songs of the Civil War
[52]
Multiref
[53]
Multiref
[54]
Multiref
[55]
Multiref
[56]
인용
[57]
Multiref
[58]
인용
[59]
인용
[60]
Multiref
[61]
문서
Marching Through Georgia
[62]
Multiref
[63]
문서
Marching Through Georgia
[64]
Multiref
[65]
인용
[66]
Multiref
[67]
Multiref
[68]
인용
[69]
문서
Shall the People Rule?
[70]
Multiref
[71]
서적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Our American Music
[72]
서적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The Longest Night
[73]
서적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Soeda Azenbō
[74]
간행물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Marching on Pretoria
[75]
서적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Laiva Toivo
[76]
간행물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Marching Through Flanders
[77]
서적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History of Popular Music
[78]
뉴스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Irish FA Bans 'Billy Boys'
BBC
[79]
뉴스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The Bitter Divide
BBC
[80]
간행물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We Want Yer, McKinley
[81]
서적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Big Red Songbook
[82]
서적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Bounder from Wales
[83]
간행물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God Gave the Land to the People
[84]
서적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American Labor Songs
[85]
간행물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War Is Marching Our Way
[86]
영화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Shane
IMDB
[87]
영화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El Dorado
IMDB
[88]
서적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Marching Through Georgia (novel)
[89]
서적
Marching Through Georgia#CITEREFBring the Jubilee
[90]
문서
[91]
웹사이트
http://www.scotshist[...]
[92]
문서
[93]
문서
[94]
문서
[95]
문서
[96]
문서
[97]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