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태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태구는 조선 시대의 문신으로, 1683년에 생원시에 합격하고 1686년 별시 병과에 급제하여 관직에 진출했다. 기사환국 당시 왕세자 책봉식 불참으로 파직되었으나 갑술환국 이후 복관되어 여러 관직을 역임했다. 경종 재위 기간에는 우의정과 영의정을 지냈으며, 신임옥사 당시 소론 과격파의 숙청을 반대하고 영조를 구명했다. 영조 즉위 후 신임사화의 원흉으로 몰려 관작이 추탈되었으나 순종 때 신원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완론 - 박문수
    조선 후기 문신 박문수는 소론 가문 출신으로 문과 급제 후 이인좌의 난 평정에 공을 세워 경상도관찰사가 되었고, 암행어사로 알려졌으나 실제로는 별견어사로 민생을 살피는 데 힘썼다.
  • 완론 - 이광좌
    숙종 때 문과에 장원급제하여 영의정에 오른 소론의 중진 이광좌는 이인좌의 난 진압에 공을 세우고 영조 초 대리집정을 맡았으나, 사후 노론의 탄핵으로 추탈되었다가 순종 때 복권되었으며, 저서로는 《운곡실기》가 있다.
  • 1723년 사망 - 인크리스 매더
    인크리스 매더는 17세기 후반부터 18세기 초반 매사추세츠에서 활동한 청교도 목사이자 하버드 대학교 총장으로, 보스턴 제2 교회 목사로 봉직하며 세일럼 마녀 재판과 관련된 논쟁적인 역할과 매사추세츠 헌장 폐지에 맞서는 정치 활동을 펼쳤고, 종교적, 정치적 견해를 담은 다수의 저서를 남겼다.
  • 1723년 사망 - 크리스토퍼 렌
    크리스토퍼 렌은 17세기 영국의 저명한 과학자이자 건축가로, 왕립 학회에서 활동하며 다양한 과학 분야를 연구했고 런던 대화재 이후 세인트 폴 대성당을 포함한 많은 건축물을 설계하여 영국 건축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660년 출생 - 조지 1세
    조지 1세는 하노버 선제후 출신으로 1714년 잉글랜드와 아일랜드의 국왕이 되었으며, 휘그당을 중용하고 로버트 월폴을 기용하여 내각을 이끌게 했고, 1727년 하노버에서 사망했다.
  • 1660년 출생 - 마쓰마에 노리히로 (5대)
    마쓰마에 노리히로는 에도 시대 마쓰마에 번의 5대 번주로, 샤쿠샤인의 난 진압에 참여하고 번정 혼란을 겪었으며, 에조치의 섬주로서 다이묘로 승격되었지만 낮은 영지로 조롱받기도 하고 텔레비전 드라마 주인공으로도 등장했다.
조태구
기본 정보
조태구 초상
조태구 초상
본관풍양(豊壤)
자(字)녕하(寧夏)
호(號)동곽(東郭)
생애
출생1660년
사망1723년
가족
아버지조위명
어머니정부인(貞夫人) 남양 홍(南陽 洪氏)
배우자정부인(貞夫人) 청송 심(靑松 沈氏)
아들조영복
관력
최종 관직우의정
저서
주요 저서동곽집(東郭集)

2. 생애

조태구는 1683년(숙종 9) 생원시에 합격하고, 1686년(숙종 12) 별시에 급제하여 관직에 나아갔다. 1691년 예문관 검열 재직 중 기사환국에 대한 반감을 드러내고 왕세자 책봉식에 불참하여, 아버지 조사석이 남인의 탄핵으로 유배된 후 연좌제로 파직되었다.[1]

1694년 갑술환국으로 조사석이 신원되면서 복관되어 사헌부 지평[2], 이조좌랑[3], 이조정랑, 교리, 헌납, 수찬, 사간, 승지[4], 이조참의[5], 형조참의, 충청도관찰사, 대사간, 대사성, 부제학, 평안도관찰사, 도승지 등을 역임했다. 1710년 동지사청나라에 다녀왔으나, 돌아오는 길에 표문(表文)·자문(咨文)을 넣어 둔 궤짝을 잃어버려 파직되었다.[6] 이후 한성부판윤, 예조판서, 이조판서 등을 거쳤다.

경종 즉위 후 한성부 판윤, 지돈녕부사, 지춘추관사를 거쳐 이조판서로 승진, 공조판서와 호조판서를 거쳐 우의정이 되었다.[6] 경종 1년 왕세제 대리청정을 환수시켰으며, 신임옥사를 주도하여 노론 4대신(이이명, 이건명, 김창집, 조태채)을 숙청하고 노론을 실각시켰다.[6] 그러나 소론 과격파(준론)인 김일경 중심의 과격한 숙청에는 반대하였으며, 경종을 설득하여 왕세제인 영조를 구명하고 왕세제 지위 역시 유지시켰다. 이후 영의정에 올랐다.[6]

영조 즉위 후 신임사화의 원흉으로 지목되어 대역죄가 물어져 관작이 추탈됐다. 순종 때 신원되었다.

2. 1. 초기 생애 및 관직 진출 (숙종 재위 기간)

1683년(숙종 9) 생원시에 합격하고, 1686년(숙종 12) 별시(別試) 병과(丙科)에 급제하여 관직에 나아갔다.

1691년 예문관 검열 재직 중 기사환국에 대한 반감을 드러내고 왕세자 책봉식에 불참하여, 아버지 조사석이 남인의 탄핵으로 유배된 후 연좌제로 파직되었다.[1] 갑술환국 이후 조사석이 신원되면서 복관되어 사헌부 지평[2], 이조좌랑[3], 이조정랑, 교리, 헌납, 수찬, 사간, 승지[4], 이조참의[5], 형조참의, 충청도관찰사, 대사간, 대사성, 부제학, 평안도관찰사, 도승지 등을 역임했다.

2. 2. 관직 활동 (숙종 ~ 경종 재위 기간)

1694년 갑술환국으로 조사석이 신원되면서 복관되어 사헌부 지평[2], 이조좌랑[3], 이조정랑, 교리, 헌납, 수찬, 사간, 승지[4], 이조참의[5], 형조참의, 충청도관찰사, 대사간, 대사성, 부제학, 평안도관찰사, 도승지 등을 역임했다.

이후 공조참판, 대사성을 거쳐 이조참판, 지의금부사, 한성부판윤으로 승진해 1710년 동지사청나라에 다녀왔으나, 돌아오는 길에 표문(表文)·자문(咨文)을 넣어 둔 궤짝을 잃어버려 파직되었다.[6] 이후 한성부판윤, 예조판서, 이조판서를 거치며 의약청제조를 겸했고, 공조판서, 호조판서를 역임하며 지경연사를 겸했다. 병조판서, 판의금부사, 예조판서, 호조판서, 형조판서, 우참찬, 좌참찬을 거쳐 다시 형조판서가 되었다. 한성부판윤, 호조판서, 수어사를 거쳐 공조판서, 호조판서, 좌참찬, 형조판서, 도총관을 역임했다. 경종 즉위 후 한성부판윤, 지돈녕부사, 지춘추관사를 거쳐 이조판서로 승진, 공조판서와 호조판서를 거쳐 우의정이 되었다.

2. 3. 신임옥사와 정치 활동 (경종 재위 기간)

경종 즉위 후 한성부 판윤, 지돈녕부사, 지춘추관사를 거쳐 이조판서로 승진, 공조판서와 호조판서를 거쳐 우의정이 되었다.[6] 경종 1년 왕세제 대리청정을 환수시켰으며, 신임옥사를 주도하여 노론 4대신(이이명, 이건명, 김창집, 조태채)을 숙청하고 노론을 실각시켰다.[6] 그러나 소론 과격파(준론)인 김일경 중심의 과격한 숙청에는 반대하였으며, 경종을 설득하여 왕세제인 영조를 구명하고 왕세제 지위 역시 유지시켰다. 이후 영의정에 올랐다.[6]

2. 4. 몰락과 신원 (영조 재위 기간)

경종 1년 왕세제 대리청정을 환수시켰으며, 신임옥사로 경종의 하야를 꾀해왔던 민진원노론 4대신(이이명, 이관명, 김창집, 조태채)을 숙청하고 노론을 실각시켰으나, 소론 과격파(준론)인 김일경 중심의 과격 숙청에는 반대하였으며, 경종을 설득하여 왕세제인 영조를 구명하고 왕세제 지위 역시 유지시켰다. 이후 영의정을 지냈다. 영조 즉위 후 신임사화의 원흉으로 지목되어 대역죄가 물어져 관작이 추탈됐다. 순종 때 신원되었다.

3.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증조부조존성(趙存性)
조부조계원(趙啓遠)
부친조사석(趙師錫)
모친권후의 딸
중부조희석(趙禧錫)
종형조태휘(趙泰彙)민진후(인현왕후의 큰오빠)의 사돈
종형조태채(趙泰采)노론 4대신
숙부조가석(趙嘉錫)
종제조태억(趙泰億)경종 3년~영조 4년 소론 온건파 당수
부인전주 이씨이유상의 딸
부인전주 이씨이관성의 딸


참조

[1] 서적 조선왕조실록 숙종 23권, 17년(1691 신미 / 청 강희(康熙) 30년) 12월 6일(병술) 3번째기사
[2] 서적 조선왕조실록 숙종 30권, 22년(1696 병자 / 청 강희(康熙) 35년) 8월 14일(정유) 1번째기사
[3] 서적 조선왕조실록 숙종 31권, 23년(1697 정축 / 청 강희(康熙) 36년) 10월 23일(경오) 2번째기사
[4] 서적 조선왕조실록 숙종 33권, 25년(1699 기묘 / 청 강희(康熙) 38년) 4월 10일(기유) 1번째기사
[5] 서적 조선왕조실록 숙종 38권, 29년(1703 계미 / 청 강희(康熙) 42년) 12월 20일(신묘) 1번째기사
[6] 서적 조선왕조실록 숙종 48권, 36년(1710 경인 / 청 강희(康熙) 49년) 3월 20일(을유) 1번째기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