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주름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름위는 복부 정중선에 위치한 분비 기능을 하는 위로, 해부학적으로 단위위의 위와 유사하며, 미생물과 단백질의 산 가수분해에 관여한다. 송아지의 주름위는 렌넷을 분비하여 모유의 카제인 젤화를 촉진하며, 소의 위 중 유일하게 위액을 분비하는 기관이다. 젖소는 출산 후 주름위 전위나 제3위염과 같은 질병에 취약하며, 식재료로 사용될 때는 막창 또는 홍창으로 불리며 구이 요리에 주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위 (해부학) - 염산
    염산은 염화수소 수용액으로, 자비르 이븐 하이얀에 의해 처음 발견되어 르블랑 공정을 통해 대량 생산되었으며, 현재는 유기 화합물 생산의 부산물로 얻어져 산업 전반에 사용되지만 강한 부식성으로 취급에 주의해야 하는 강산성 무기산이다.
  • 위 (해부학) - 위산 (소화계)
    위산은 위에서 분비되는 강한 산성 물질로 살균 작용, 펩신 활성화 등의 소화 작용을 하며, 자율 신경계와 호르몬에 의해 조절되고, 과다 또는 과소 분비 시 질환을 유발할 수 있으며, 양성자 펌프 억제제 등으로 조절 가능하다.
  • 소목 - 돼지아목
    돼지아목은 윗앞니를 가진 우제류로, 잡식성에 적응된 멧돼지 형태의 외형과 어금니, 발달된 송곳니를 가지며 돼지과와 페커리과로 나뉘어 다양한 지역에 분포하지만, 식량 자원으로서의 중요성과 함께 농작물 피해, 생태계 교란, 질병 발생 등의 문제도 야기한다.
  • 소목 - 반추동물
    반추동물은 되새김질을 통해 식물을 소화하며, 4개의 위를 가진 반추아목과 3개의 위를 가진 낙타아목으로 분류된다.
주름위
일반 정보
명칭넷째 위, 막창
어원Abomasum (라틴어)
기능소화 효소 분비, 음식물 소화
위치흉강 뒤쪽, 복강 앞쪽
관련 기관반추위
벌집위
겹주름위
샘창자
구조
내부 구조주름, 소화샘
세포 종류벽세포
주세포
점액세포
특징위저선 존재
pH 낮음 (강산성)
생리
소화 과정위산 및 소화 효소에 의한 단백질 분해
역할반추 동물의 위에서 마지막 소화 단계 담당
살균 작용
임상적 중요성
질병위궤양
위염
위암
진단 방법내시경 검사
조직 검사
기타
식용막창 (소, 돼지)

2. 해부학적 특징 및 기능

주름위는 복부 정중선에 위치하며, 분비 기능을 하는 위이다. 해부학과 기능 면에서 단위위의 위와 유사하다. 주로 미생물 및 식이성 단백질 가수분해에 관여하며, 소장에서의 추가적인 소화흡수를 위해 단백질원을 준비하는 역할을 한다. 반추위는 염산과 소화 효소를 분비하는 샘으로 덮여 있어 음식을 분해하는데, 이는 비반추위의 위와 매우 유사하다.[1]

미노, 벌집위와 같은 반추위가 아닌 유일하게 위액을 분비하는 기관이므로, 소의 중 생물학적으로 본래의 위라고 할 수 있다. 다른 3개의 위는 반추 동물로서의 진화 과정에서 식도가 변화한 것이다.[1]

2. 1. 송아지의 주름위

송아지 시기에는 렌넷(키모신)이라는 응유 효소가 분비되어, 반추위를 우회하여 보내진 모유의 카제인 특정 부위의 펩티드 사슬을 가수 분해하여 잘라내 젤화를 촉진한다. 이는 더 나아가 다른 단백질 분해 효소에 의한 소화를 거쳐 졸화되기를 기다린 후, 위에서의 소화 완료를 감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 반응을 이용한 것이 치즈 제조에서의 커드 생성이다.[1] 송아지가 태어날 때 주름위는 4개의 위 중 약 70%의 체적을 차지하며, 성장과 함께 반추위의 비율이 커져 간다.[1]

3. 병리

고생산성 식단을 섭취하는 젖소는 출산 후 여러 병리에 취약하다. 가스가 찬 반추위는 비정상적인 위치로 이동하여 전위될 수 있으며, 오른쪽으로 전위되면 염전의 위험이 있다. 제3위 전위는 젖소에게 식욕 부진, 반추 위축 감소, 되새김질 감소, 유량 감소와 같은 증상을 유발한다.[2] 제3위염은 주름위의 비교적 드물지만 심각한 질병으로, 현재 그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다.

3. 1. 젖소 전위성 제3위

젖소는 출산 후 여러 병리에 취약하며, 고생산성 식단을 섭취하는 젖소는 반추위에 가스가 차서 비정상적인 위치로 이동하는 전위가 발생할 수 있다. 제3위가 오른쪽으로 전위되면 염전의 위험이 있다.[2]

젖소 제3위 전위는 식욕 부진, 반추 위축 감소, 되새김질 감소, 유량 감소 등의 증상을 유발한다. 즉각적으로 생명을 위협하지는 않지만, 외과적 교정을 위한 수의학적 치료가 필요하다. 경미한 경우에는 젖소를 구르거나 가파른 언덕을 뛰어 올라가게 하여 교정할 수 있다.[2]

3. 2. 제3위염

제3위염은 주름위의 비교적 드물지만 심각한 질병으로, 현재 그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다.[2]

4. 식재료

주름위는 여러 문화권에서 식재료로 활용된다. 한국에서는 막창이나 홍창으로 불리며, 주로 구이로 먹는다. 다른 나라에서는 램프레도토, 시라비-시르단, 추스타, 호르몬야키 등의 요리에 사용된다.

4. 1. 한국

막창이나 '''홍창'''으로 불린다. 희미하게 붉은빛을 띠며, 주로 구이로 먹는다. 지방이 적당히 붙어 달콤하며, 쫄깃한 식감을 가진다.

4. 2. 기타 국가

피렌체에서는 램프레도토를 만드는 데 주름위가 사용된다.[1] 이란에는 시라비-시르단(터키에서는 시르단으로 차용됨)이 있다.[1] 인도 비하르주에는 추스타가 있다.[1] 일본에서는 주름위를 구워서 호르몬야키로 제공하며, 아카센이라고 불린다.[1]

참조

[1] 사전 The Chambers Dictionary, Ninth Edition http://www.chambersh[...] Chambers Harrap Publishers 2003
[2] 문서 DN: Displaced Abomasum http://www.agromedi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