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오고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오고론은 일본의 대표적인 종합 잡지로, 1887년 교토에서 문학 단체 반성회의 기관지 '반성회 잡지'로 창간되었다. 1899년 '중앙공론'으로 제호를 변경하고 종교적 색채를 벗어나 문학, 평론 등을 게재하며 종합 잡지로 변모했다. 다이쇼 데모크라시 시대에는 자유주의적 논문을 게재하며 언론을 이끌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군부의 압력으로 폐간되었다가 1946년 복간되었다. 1960년 후카자와 시치로의 소설 '풍류몽담' 게재로 시마나카 사건이 발생하여 천황제 비판이 금기시되었고, 1999년 요미우리 신문 그룹에 인수된 이후 보수적인 논조로 변화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주오고론 - [회사]에 관한 문서 | |
|---|---|
| 일반 정보 | |
| 잡지 이름 | 중앙공론 |
| 원어 이름 | 中央公論 (일본어) |
| 종류 | 종합 잡지 |
| 언어 | 한국어 |
| 출판사 | 중앙공론신사 |
| 첫 발행일 | 1887년 1월 1일 |
| 발행 빈도 | 월간 |
| 본사 위치 | 도쿄 |
| 웹사이트 | 중앙공론 공식 웹사이트 |
| 역사 | |
| 창간 당시 이름 | 반성회잡지 (反省会雑誌) |
| 이름 변경 | 1892년: 반성잡지 (反省雑誌) 1899년: 중앙공론 (中央公論) |
2. 역사
1887년 1월 교토에서 류코쿠 대학 교수와 학생들로 구성된 문학 단체인 에 의해 라는 제목으로 처음 출판되었다.[2][11] 1899년에는 中央公論|주오코론일본어으로 이름을 변경했다.[11]
1920년대에 언론인 시마나카 유사쿠가 편집장으로 승진한 후, 주오고론의 소유주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잡지 편집자들이 요코하마 사건으로 체포되었다. 1944년에는 반전 정서로 인해 잡지가 폐간되었지만, 1946년에 다시 출판을 재개했다.[3] 1949년에는 잡지의 소유권과 경영권은 그의 아들 시마나카 호지에게 넘어갔고, 그는 이후 45년간 사장으로 재직했다.
시마나카 가문 아래에서 주오고론은 일본의 주요 일반 잡지 중 하나가 되었으며, 여러 일본 지식인들에게 깊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언급되었다.[11][4] 저명한 작가 시바 료타로는 이 잡지의 역사가 현대 일본의 역사와 일치한다고 언급한 바 있다.[11] 다카마쓰노미야 다마 모리타, 다니자키 준이치로, 시마자키 도손, 무라마쓰 쇼후, 그의 손자 무라마쓰 도모미, 노가미 야에코, 무라야마 도모요시, 카지이 모토지로, 요시노 사쿠조, 시오노 나나미, 후카자와 시치로, 호리노 마사오 등 많은 유명 작가들이 이 잡지에 기고했다.
2. 1. 반성회 잡지/반성 잡지 시대 (1887년 ~ 1899년)
1887년 1월, 교토의 류코쿠 대학 교수와 학생들을 중심으로 문학 단체 '반성회'가 결성되어 기관지 『반성회 잡지』|반성회 잡지일본어를 창간했다.[2][11] 1886년 다카쿠스 준지로 등 학생 유지들이 니시혼간지 계통의 보통교교(현 류코쿠 대학교)에서 금주와 불교도의 기강 숙정을 목적으로 조직한 "반성회"의 회원증을 겸한 기관지였다.[14] 금주를 주장하고 청년의 삶의 방식을 탐구하는 등 종교적인 성격이 강했다. 1887년 8월 창간호(수권호)를 발간하고, 12월 10일부터 정기 간행을 시작했다.[15]1890년부터 반성회 창립 시점(본지 창간 시점은 아님)을 기준으로 "제5년 제○호"라는 호수 표기를 사용했다.[16] 『반성회 잡지』 제2호부터 통권 번호를 계산했으며, 제1호는 "제1호"라고 명기되었음에도 "수권호"로 간주되어 통권에 포함되지 않았다.[16]
1892년 도쿄로 진출하여 제호를 『반성 잡지』(‘회’ 자 제외)로 변경하고, 오가타 겟코, 쓰키오카 코교 등이 표지 그림을 담당했다.
2. 2. 중앙공론 시대 (1899년 ~ 1999년)
1899년(메이지 32년) 1월, 류코쿠 대학의 문학 단체 '반성회'가 발행하던 '반성회 잡지'는 '주오고론'(中央公論|주오코론일본어)으로 제호를 변경했다.[2] 종교적인 색채에서 벗어나 소설, 평론 등을 게재하는 종합 잡지로 변모했다. 메이지 말기 다키타 초인이 입사하여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기쿠치 칸 등을 발탁했다.1912년(다이쇼 원년) 11월호에는 히라츠카 라이초가 "나는 새로운 여자다"라고 주장하는 의견을 게재하여 '새로운 여자'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이듬해 문부성은 이를 "반 현모양처주의적 부인론"이라며 단속했다.[17] 다이쇼 시대에는 요시노 사쿠조의 정치 평론 등 자유주의적인 논문을 많이 게재하여 다이쇼 데모크라시 시대의 언론을 이끌었다. 소설란은 신인 작가들의 등용문이었다.
1919년(다이쇼 8년), 마르크스주의의 영향과 급진적인 잡지 '개조'의 등장으로 주오고론은 중도적인 노선으로 변화했다. 당시 주오고론에 작품이 게재되는 것은 인기 작가의 반열에 들어서는 것으로 여겨졌다.
1938년 3월호에 이시카와 다쓰조의 '살아있는 병사'가 게재되었으나, 발매 직전 신문지법 위반으로 발매 금지 처분을 받았다.[18] 발행인과 편집인이 기소되어 유죄 판결을 받았다.[19]
제2차 세계 대전 중 요코하마 사건으로 1944년 군부의 권고에 의해 '개조'와 함께 폐간되었다. 편집 방침이 좌익적이라는 이유로 편집장 등이 검거되어 유죄 판결을 받았다.[20]

종전 후 1946년 복간되어 현재까지 다양한 평론, 소설이 게재되는 종합 잡지로서 지속되고 있다.
1960년 후카자와 시치로의 소설 '풍류몽담' 게재로 인해 시마나카 사건이 발생했다.[7] 우익 단체의 공격으로 사장 부인이 부상당하고 가정부가 사망하는 사건이었다. 이 사건으로 인해 주오고론에서는 천황제 비판이 금기시되었다.[21]
1970년 12월호에서 창간 100호를, 1985년 1월호에서 '제100년 제1호'를 맞이했다.[16]
1999년 발행사인 주식회사 주오고론사가 경영 위기에 빠지자 요미우리 신문사 (요미우리 신문 도쿄 본사, 요미우리 신문 그룹 본사)의 전액 출자 회사인 '중앙공론신사'에 사업을 양도했다. 구 주오고론사는 특별 청산되었다. 요미우리 신문 판매점에서도 '주오고론'을 취급하게 되었다.
요미우리 신문 그룹 산하에 들어간 후, 요미우리 신문사가 발행하던 남성용 월간 종합지 'This is 요미우리'가 폐간되고, '주오고론'이 존속지가 되었다. 그러나 '주오고론'의 중도적 논조는 사라지고, '요미우리 위클리' 등 요미우리 신문사 계열 잡지의 논조였던 우파·보수적인 색채를 띠게 되었다.[22]
2. 3. 요미우리 신문 그룹 산하 (1999년 ~ 현재)
1999년, 발행사인 주식회사 중앙공론사가 경영 위기에 빠지자, 요미우리 신문사(현 요미우리 신문 도쿄 본사, 요미우리 신문 그룹 본사)가 전액 출자하여 설립한 신회사 '중앙공론신사'에 출판·영업 등 모든 사업을 양도했다. (구 중앙공론사는 특별 청산되었으며, 해산 당시 상호는 '주식회사 헤이세이 출판'이었다.)[22] 이에 따라 요미우리 신문의 판매점에서도 《주오고론》을 취급하게 되었다.요미우리 신문 그룹에 편입되면서, 요미우리 신문사가 발행하던 남성용 월간 종합지 《This is 요미우리》(1990년 창간)와 같은 논단지로서 그룹 내에서 경합하게 되었다. 결국 《This is 요미우리》는 1999년 3월 폐간되고 《주오고론》이 존속했지만, 종래의 중도적 논조는 사라지고 《요미우리 위클리》 등 요미우리 신문사 계열 잡지의 논조인 우파·보수적인 색채를 띠게 되었다.[22] 실질적으로는 《This is 요미우리》가 고참 잡지인 《주오고론》에 흡수 통합된 형태였다.
3. 시마나카 사건 (풍류몽담 사건)
1960년 주오코론에 후카자와 시치로가 쓴 소설 풍류몽담이 실렸는데, 이 소설은 천황과 황후가 단두대에서 처형되는 꿈을 묘사하여 큰 논란을 일으켰다.[5] 일본의 우익 단체들은 이에 크게 분노하여 주오코론 측에 사과를 요구하며 시위와 공격을 벌였다.[5]
1961년 2월 1일 저녁, 고모리 가즈타카라는 17세 우익 청소년이 주오코론 사장 시마나카 호지의 집을 습격하여 가정부를 칼로 찔러 살해하고, 사장 부인에게는 중상을 입혔다.[7] 이 사건은 '시마나카 사건'으로 불리게 되었다.[7]
시마나카 사장은 이 사건으로 큰 충격을 받았고, 후카자와의 소설을 "인쇄하기에 부적절했다"라고 비난하며 사과의 뜻을 밝혔다.[8] 이후 시마나카는 편집장 자리에서 물러나야 했으며,[8] 우익 단체들과 협상을 통해 '중립적인' 편집 방침을 약속하고 공격을 중단시켰다.[9]
시마나카 사건은 안보 투쟁에 반대하는 우익 세력의 테러 중 하나로, 기시 노부스케 총리 습격 사건, 아사누마 이네지로 암살 사건 등과 함께 언급된다. 이 사건은 전후 일본 사회에서 천황이나 황실을 직접적으로 묘사하는 것을 금기시하는 이른바 국화 탭(菊タブー) 현상을 굳히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10]
4. 평가 및 비판
中央公論일본어은 일본의 대표적인 종합 잡지 중 하나로, 오랫동안 지식인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쳐왔다.[11][4] 저명한 작가 시바 료타로는 이 잡지의 역사가 현대 일본의 역사와 일치한다고 언급하기도 했다.[11]
그러나 1999년 요미우리 신문사에 인수된 이후, 잡지의 논조와 내용이 이전보다 훨씬 더 보수적인 방향으로 변화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12]
아사히 신문의 논단 시평에서는 中央公論일본어이 자주 언급되지만, 부정적으로 다뤄지는 경우가 많았다. 中央公論일본어이 현실주의 노선으로 비판받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부정적인 평가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미시마 유키오는 中央公論일본어에 게재한 자신의 논문 「문화 방위론」이 아사히 신문과 마이니치 신문에서 묵살되었다고 비판하며 언론의 편향성을 지적했다. 그는 제3자의 입장에서도 우파와 좌파가 나뉘어 공정하다고 할 수 없기 때문에 언론의 편향성은 정말 어려운 문제라고 말했다.
쓰지무라 아키라가 분석한 1951년 10월부터 1980년 12월까지의 『아사히 신문』 논단 시평에서 잡지별 언급 빈도는 다음과 같다.
# 『世界』일본어 1390회
# 『中央公論』일본어 1072회
# 『아사히 저널』일본어 556회
# 『문예춘추』일본어 467회
부정적으로 다뤄진 비율은 다음과 같다.
# 『改造』일본어 19%
# 『自由』일본어 15%
# 『문예춘추』일본어 13%
# 『中央公論』일본어 10%
# 『世界』일본어 5%
1981년 1월부터 2009년 2월까지 아사히 신문 논단 시평에서 언급된 상위 15개 잡지의 언급 빈도 및 긍정적/부정적 언급 비율은 다음과 같다.
| 순위 | 잡지명 | 총수 | 긍정적 언급 | 부정적 언급 |
|---|---|---|---|---|
| 1 | 세계 | 460 | 93.7% | 6.3% |
| 2 | 중앙공론 | 355 | 85.6% | 14.4% |
| 3 | 이코노미스트 | 222 | 95.5% | 4.5% |
| 4 | 문예춘추 | 143 | 90.2% | 9.8% |
| 5 | 아사히 저널 | 91 | 98.9% | 1.1% |
| 6 | 보이스 | 80 | 86.3% | 13.8% |
| 6 | 제군! | 80 | 82.5% | 17.5% |
| 8 | 론자 | 73 | 89.0% | 11.0% |
| 9 | 현대사상 | 51 | 94.1% | 5.9% |
| 9 | 주간 토요 경제 | 51 | 92.2% | 7.8% |
| 11 | 월간 현대 | 46 | 93.5% | 6.5% |
| 12 | 월간 아사히 | 39 | 94.9% | 5.1% |
| 13 | 아스티온 | 34 | 97.1% | 2.9% |
| 13 | 시오 | 34 | 85.3% | 14.7% |
| 15 | 정론 | 33 | 84.8% | 15.2% |
여전히 『世界』일본어와 『中央公論』일본어이 많이 다뤄지고 있으며, 논단 시평자 14명 중 9명이 가장 많이 언급한 것은 『世界』일본어였고, 나머지 논단 시평자의 대부분은 『中央公論』일본어을 가장 많이 언급했지만, 그 경우에는 『世界』일본어의 언급 빈도는 2위가 된다.
5. 역대 편집장
| 성명 | 취임년도 | 퇴임년도 | |
|---|---|---|---|
| 다케다 후쿠마쓰 | 1899년 | 1903년 | |
| 아사다 코마노스케 | 1904년 | ||
| 타카야마 카쿠이 | 1905년 | ||
| 아사다 코마노스케 | 1906년 | 1912년 | |
| 타키타 초인 | 1912년 | 1925년 | |
| 타카노 케이로쿠 | 1925년 | 1926년 | |
| 시마나카 유우사쿠 | 1927년 | 1928년 | 주간 |
| 키사키 마사루 | 1927년 | 1929년 | |
| 아마미야 요조 | 1929년 | 1932년 | |
| 아라카와 타케시 | 1932년 | ||
| 사토 칸지로 | 1933년 | 1936년 | |
| 아마미야 요조 | 1937년 | 1938년 | |
| 코모리다 잇키 | 1938년 | 1940년 | |
| 마츠시타 히데마로 | 1940년 | 1941년 | |
| 하타나카 시게오 | 1941년 | 1943년 | |
| 마츠시타 히데마로 | 1943년 | 1944년 | |
| 로야마 마사미치 | 1945년 | 1946년 | |
| 하타나카 시게오 | 1946년 | 1947년 | |
| 야마모토 에이키치 | 1947년 | 1949년 | |
| 시노하라 토시유키[23] | 1949년 | 1953년 | |
| 후지타 카츠오 | 1953년 | 1954년 | |
| 시마나카 호지 | 1954년 | 1957년 | |
| 타케모리 키요시 | 1957년 | 1960년 | |
| 시마나카 호지 | 1961년 | ||
| 사사하라 킨지로 | 1961년 | 1965년 | |
| 미야와키 슌조 | 1965년 | 1967년 | |
| 카스야 카즈키 | 1967년 | 1970년 | |
| 시마무라 치카라 | 1970년 | 1972년 | |
| 사사하라 킨지로 | 1972년 | 1973년 | |
| 카스야 카즈키 | 1973년 | 1976년 | |
| 아오야기 마사미 | 1976년 | 1983년 | |
| 모치즈키 시게타케 | 1983년 | 1985년 | |
| 콘도 다이하쿠 | 1985년 | 1988년 | |
| 히라바야시 타카시 | 1988년 | 1990년 | |
| 아오야기 마사미 | 1990년 | 1991년 | |
| 미야 카즈호 | 1991년 | 1997년 | |
| 히라바야시 토시오 | 1997년 | ||
| 유카와 유키코 | 1997년 | 1999년 | |
| 미야 카즈호 | 1999년 | 2001년 | |
| 코노 미치카즈 | 2001년 | 2004년 | |
| 마미야 준 | 2004년 | 2011년 | |
| 키사누키 하루히코 | 2011년 | 2014년 | |
| 아베 준이치 | 2014년 | 2016년 | |
| 사이토 타카미츠 | 2016년 | 2018년 | |
참조
[1]
서적
The Far East and Australasia 2003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
웹사이트
History of Magazines in Japan: 1867-1988
http://www.kanzaki.c[...]
2015-08-07
[3]
뉴스
"Chūō Kōron Shinsha" (entry)
https://www.oxfordre[...]
Oxford University Press
2010-07-11
[4]
간행물
Economic Growth and the "End of Ideology" in Japan
1965-06
[5]
서적
Japan at the Crossroads: Conflict and Compromise after Anpo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6]
서적
Japan at the Crossroads: Conflict and Compromise after Anpo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7]
서적
Japan at the Crossroads: Conflict and Compromise after Anpo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8]
서적
Japan at the Crossroads: Conflict and Compromise after Anpo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9]
서적
Japan at the Crossroads: Conflict and Compromise after Anpo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10]
서적
Japan at the Crossroads: Conflict and Compromise after Anpo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11]
웹사이트
The Development of Monthly Magazines in Japan
http://gscs.jp/c_pap[...]
2014-11-14
[12]
뉴스
Bottom Line Gets the Better of Books
1998-12-04
[13]
웹사이트
Manga Anthology Circulations 2004-2006
https://comipress.co[...]
2007-12-27
[14]
문서
平井金三における明治仏教の国際化に関する宗教史・文化史的研究
http://www.maizuru-c[...]
[15]
문서
“長寿”雑誌と雑誌の起源
https://shuppankagak[...]
出版科学研究所
2008-01-10
[16]
서적
図書館と郷土資料
桂書房
[17]
서적
環境史年表 明治・大正編(1868-1926)
河出書房新社
2003-11-30
[18]
뉴스
生きてゐる兵隊掲載の中央公論を発禁
1938-02-19
[19]
뉴스
発行人・編集人ともに起訴される
1938-08-05
[20]
뉴스
中央公論・改造両社解散の裏の弾圧判明
1945-10-09
[21]
문서
中央公論社と私
[22]
간행물
日本の総合雑誌3誌の数量・内容分析からみる日本人の中国に対する関心の変遷
https://hdl.handle.n[...]
北海道大学大学院国際広報メディア・観光学院院生論集制作委員会
2012-03
[23]
문서
篠原梵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