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의주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의주의는 철학에서 의지를 존재의 본질로 보는 입장이다. 아르투르 쇼펜하우어는 의지를 세계와 현상의 본질로 보았으며, 데카르트는 인간의 의지를 무한하다고 보았다. 신학적 주의주의는 신의 뜻과 인간의 자유를 강조하며, 둔스 스코투스와 오컴의 윌리엄이 대표적이다. 인식론적 주의주의는 믿음을 의지의 문제로 보고, 정치적 주의주의는 정치 권력을 의지에 기반한다고 본다. 마르크스주의적 맥락에서는 혁명 전술과의 연관성을, 비판적 주의주의는 과학 이론화의 자유로운 결정을 강조한다. 초기 근대 과학에서는 신학적 주의주의가 경험적 접근 방식을 낳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코투스주의 - 존재론적 신학
존재론적 신학은 하이데거 철학의 영향을 받아 인간 존재 이해를 통해 신의 의미를 탐구하는 신학 분야로, 칸트의 비판 이후 현대에는 다양한 방식으로 연구되며 종교적 경험, 윤리, 사회적 관계에 영향을 미친다. - 스코투스주의 - 원죄 없는 잉태
원죄 없는 잉태는 가톨릭교회의 교리로, 성모 마리아가 하느님의 어머니로서의 역할을 위해 원죄 없이 잉태되었다는 신앙이며, 1854년 교황 비오 9세가 선포한 후 가톨릭 신자들에게 구속력을 갖는다. - 철학 - 개념
개념은 사물이나 사상의 추상적인 일반화 또는 표상으로,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고 명사로 표현되며, 추상적 객체 또는 정신적 표상으로 여겨지는 존재론적 지위와 함께 철학, 심리학, 언어학 등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된다. - 철학 - 플라토닉 러브
플라토닉 러브는 성적 요소 없이 깊은 애정과 우정을 나누는 관계를 뜻하며, 플라톤의 에로스 개념에서 시작되었으나 르네상스 시대 이후 비성적 이성애적 사랑으로 재해석되어 현대에는 깊은 유대감, 특히 퀴어플라토닉 관계를 의미하기도 하지만, 사랑과 우정의 경계가 모호하고 한국 사회에서는 널리 알려지지 않은 개념이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주의주의 | |
---|---|
철학적 입장 | |
분야 | 형이상학, 인식론, 윤리학, 정치철학 |
주요 아이디어 | 의지는 이성보다 우선한다, 자유 의지, 개인적 책임, 자기 결정, 행동의 중요성 |
반대 입장 | 결정론, 지성주의, 합리주의 |
역사적 맥락 | |
기원 | 고대 그리스 철학, 스토아 학파, 에피쿠로스 학파 |
영향 | 실존주의, 개인주의, 무정부주의 |
관련 철학 | 의지주의, 실용주의 |
주요 인물 | |
관련 인물 | 아우구스티누스 둔스 스코투스 임마누엘 칸트 요한 고트리프 피히테 아르투어 쇼펜하우어 프리드리히 니체 빌헬름 분트 윌리엄 제임스 레오 톨스토이 히렐 얀카우 에드문트 후설 미겔 데 우나무노 알랭 바디우 |
기타 | |
주의 사항 | 이 문서는 철학적 개념인 의지주의에 대한 것입니다. 우파 자유지상주의적 정치 철학에 대해서는 자발적 참여주의를 참조하십시오. |
2. 정의
주의주의는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각기 다른 의미로 사용된다.
- 심리학: 의지를 심적 생활의 근본 기능으로 보는 견해이다. 빌헬름 분트는 심리학적 주의주의의 대표자로, 의식을 인간 마음의 근본 기능으로 보고 의식이나 감정도 모두 의지에 입각한다고 생각했다.
- 윤리학: 의지가 양심이나 이성을 초월하여 모든 윤리적 과제의 중심이라고 여기는 견해이다.
- 신학: 의지를 모든 종교 활동의 근원으로 보는 입장이다.
- 사회학: 개인적 목적, 선택, 결정이 사회적 행위에서 결정적 요소라고 보는 견해이다.
2. 1. 철학
철학에서 주의주의는 의지를 존재의 본질이라고 보는 입장이다. 쇼펜하우어는 의지가 세계나 세계 안의 여러 현상의 본질이며 본체라고 보았는데, 이는 형이상학적 주의주의의 대표적인 예시이다.[14] 쇼펜하우어에 따르면, 의지는 추론하는 것이 아니라 비이성적이며 무의식적인 충동이며, 지성은 부차적인 현상을 나타낸다. 의지는 실질적으로 실재의 근저에 있는 힘이다.[1] 이러한 생각은 후에 니체, 하르트만, 프로이트에게 영향을 주었다.[1]데카르트 또한 인간의 지성은 유한하지만 의지는 신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무한하다고 보아 주의주의 계열에 속한다. W. 빈델반트와 같이 판단의 긍정, 즉 긍정을 하는 의지를 인식 작용의 근원에 두는 입장은 인식론적 주의주의라고 부를 수 있다. 또한, 인식이나 사고가 생활 의지에 입각하여 전개된다고 보는 프래그머티즘의 입장도 주의주의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14]
2. 2. 심리학
의지를 심적 생활의 근본 기능으로 보는 견해이다.[1]2. 3. 윤리학
의지는 양심이나 이성을 초월하여 모든 윤리적 과제의 중심이라고 여기는 견해이다.[1]2. 4. 신학
의지를 모든 종교 활동의 근원으로 보는 입장이다.[15] 둔스 스코투스와 오컴의 윌리엄은 주의주의가 일반적으로 신의 뜻과 인간의 자유를 철학적으로 강조하기 위한 것이라고 보았다. 스코투스는 도덕성이 하나님의 지식이나 명철이 아닌 하나님의 뜻과 선택에서 비롯된다고 주장하였다. 이에 따라 하나님은 전능하므로, 행위는 추론을 통해 궁극적으로 합리화되거나 설명되어서는 안 되며 그럴 수도 없다고 정의된다. 다시 말하면, 신은 이성을 통해 궁극적으로 합리화되거나 설명될 수 없는 전지전능한 존재로 정의된다. 따라서 주의주의는 토마스 아퀴나스가 옹호한 주지주의와 대조된다.존 던스 스코투스와 윌리엄 오컴[3](중세 스콜라 철학을 대표하는 철학자)과 관련된 '''중세 신학적 의지설'''은 일반적으로 신의 의지와 인간의 자유를 지성보다 더 중요하게 여기는 철학적 경향을 말한다(voluntas superior intellectula). 예를 들어, 스코투스는 도덕이 신의 지성이나 지식이 아닌 신의 의지와 선택에서 비롯된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신은 궁극적으로 이성으로 합리화되고 설명될 수 없는 행동을 하는 전능한 존재로 정의되어야 한다. 이처럼 의지설은 스콜라 철학의 토마스 아퀴나스가 옹호한 지성주의와 대조된다.[4]
'''신학적 의지주의'''는 피에르 가상디, 월터 찰턴, 로버트 보일[5], 아이작 배로, 아이작 뉴턴과 같은 특정 초기 근대 자연 철학자들이 주장한 기독교 교리에 대한 특정 해석을 지칭하기도 한다. 이는 초기 근대 과학과 관련된 경험적 접근 방식을 낳았다. 따라서 의지주의는 개인에게 선행하는 신적 은총이 없더라도 의지에 의해 신앙이나 하나님에 대한 믿음을 얻을 수 있다고 본다. 이 개념은 적어도 일부 역사학자 및 철학자(예: 역사학자 프랜시스 오클리와 철학자 마이클 B. 포스터) 사이에서 호평을 받았다는 점에서 유효하다.[6] 20세기 의지주의 신학자로는 제임스 루터 아담스가 있다.
중세 기독교 신학에서는, 아우구스티누스나 둔스 스코투스 등이 (주지주의로 언급되는 토마스 아퀴나스 등과의 대비에서) 주의주의로 언급된다.[13]
2. 5. 사회학
개인적 목적, 선택, 결정이 사회적 행위에서 결정적 요소라고 보는 견해이다.[1]3. 형이상학적 주의주의
19세기 독일 철학자 쇼펜하우어는 형이상학적 주의주의의 대표적인 주창자이다.[1] 쇼펜하우어는 의지를 비이성적이고 무의식적인 충동으로 보았으며, 지성은 부차적인 현상으로 간주했다. 그는 의지가 실재의 근저에 있는 힘이라고 생각했다. 이러한 사상은 니체(힘에의 의지), 하르트만, 프로이트(쾌락 원칙) 등에게 영향을 미쳤다.[1]
빌헬름 빈델반트와 같이 판단의 긍정, 긍정을 하는 의지를 인식 작용의 근원에 두는 입장은 인식론적 주의주의라고 불린다. 프래그머티즘의 입장도 주의주의의 하나로 볼 수 있다.[14]
4. 신학적 주의주의
둔스 스코투스와 오컴의 윌리엄은 신의 의지와 인간의 자유를 강조하는 철학적 경향을 보였다.[1] 스코투스는 도덕성이 신의 지식이나 명철이 아닌, 신의 뜻과 선택에서 비롯된다고 주장했다.[15] 이는 행위가 추론을 통해 궁극적으로 합리화되거나 설명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며, 신은 이성을 통해 궁극적으로 합리화되거나 설명될 수 없는 전지전능한 존재로 정의된다. 이러한 주의주의는 토마스 아퀴나스가 옹호한 주지주의와 대조된다.[4]
피에르 가상디, 월터 찰턴, 로버트 보일[5], 아이작 배로, 아이작 뉴턴과 같은 초기 근대 자연 철학자들은 신학적 주의주의를 기독교 교리에 대한 특정 해석으로 보았다. 이는 초기 근대 과학과 관련된 경험적 접근 방식을 낳았다. 주의주의는 개인에게 선행하는 신적 은총이 없더라도 의지에 의해 신앙이나 하나님에 대한 믿음을 얻을 수 있다고 본다. 20세기 주의주의 신학자로는 제임스 루터 아담스가 있다.
중세 기독교 신학에서는, 아우구스티누스나 둔스 스코투스 등이 주의주의로 언급된다.[13]
4. 1. 대표적 인물
아우구스티누스는 인간의 의지와 이성을 설명하면서, 경험적 그리고 심리적 의미에서 의지를 우선시하였다. 이는 인간의 자유 의지 측면을 강조한 것으로, 그는 중세 철학에서 신학적 주의주의적 입장을 가진 것으로 여겨진다.[13] 중세 후기에는 캔터베리의 안셀무스, 윌리엄 오컴, 둔스 스코투스 등이 이러한 입장을 견지했다.현대 영미 철학에서는 필립 퀸, 마크 머피 등이 신학적 주의주의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제시하였다. 퀸은 신학적 주의주의에 대한 온건한 해석을 제시하였는데, 그에 의하면 도덕적인 의무는 특정한 행위를 바라는 신의 의지보다는 도덕적인 의무가 발생하기를 바라는 신의 의지에 의존하는 것이다. 한편 머피는 퀸의 입장을 받아들이며, 이에 더해, 행위가 실행되기를 바라는 신의 의지를 구분하였으며 도덕적 의무는 신의 선행적 의지에도 의존한다고 제시하였다.
4. 2. 특징
둔스 스코투스와 오컴의 윌리엄에 따르면 주의주의는 일반적으로 신의 뜻과 인간의 자유를 철학적으로 강조한다.[1] 스코투스는 도덕성이 하나님의 지식이나 명철이 아닌, 하나님의 뜻과 선택에서 비롯된다고 주장하였다. 이에 따라 하나님은 전능하므로, 행위는 추론을 통해 궁극적으로 합리화되거나 설명될 수 없다고 정의된다.[15] 신은 이성을 통해 궁극적으로 합리화되거나 설명될 수 없는 전지전능한 존재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주의주의는 토마스 아퀴나스가 옹호한 주지주의와 대조된다.신학적 주의주의는 규범적 관점과 메타윤리학적 측면과 연관되어 있다. 신의 명령에 따라 인간이 해야 할 행위의 의무, 즉 신에게 복종해야 하는 규범적인 상태에 대해 말하는 입장은 '규범적 신학적 주의주의'에 해당한다. '메타윤리학적 신학적 주의주의'는 도덕의 개념이나 속성 등을 신의 의지의 행위와 연관지어 설명하고자 하는 입장으로, 규범적 상태나 의무에 대해 직접적으로 언급하지 않는다.[16]
5. 역사
둔스 스코투스와 오컴의 윌리엄에 따르면 주의주의는 일반적으로 신의 뜻과 인간의 자유에 대한 철학적 강조를 하기 위한 것이다. 스코투스는 도덕성이 하나님의 지식이나 명철이 아닌 하나님의 뜻과 선택에서 비롯된다고 주장하였다.[15] 이에 따라 하나님은 전능하므로 행위는 추론을 통해 궁극적으로 합리화되거나 설명되어서는 안 되고 그럴 수도 없다고 정의된다.[15] 다시 말하면 신은 이성을 통해 궁극적으로 합리화되거나 설명될 수 없는 전지전능한 존재로 정의된다고 한다. 따라서 주의주의는 토마스 아퀴나스가 옹호한 주지주의와 대조된다.
근대 철학에서 데카르트, 칸트, 셸링, 쇼펜하우어 등은 주의주의자로 언급된다. (주지주의자로 언급되는 스피노자나 라이프니츠와 대비된다.)[13]
쇼펜하우어는 의지가 세계와 현상의 본질이라고 보았으며, 형이상학적 주의주의의 대표자로 여겨진다. 그는 의지를 비이성적이고 무의식적인 충동으로 보았고, 지성은 부차적인 현상으로 간주했다. 이러한 쇼펜하우어의 사상은 니체, 하르트만, 프로이트에게 영향을 주었다.[1]
분트는 의지를 인간 마음의 근본 기능으로 보고 의식과 감정도 의지에 기반한다고 생각하여 심리학적 주의주의의 대표자로 여겨진다. 빈델반트와 같이 판단의 긍정, 긍정을 하는 의지를 인식 작용의 근원에 두는 입장은 인식론적 주의주의라고 불린다. 프래그머티즘의 입장 또한 인식이나 사고가 생활 의지에 기반하여 전개된다고 보아 주의주의의 하나로 볼 수 있다.[14]
5. 1. 중세
둔스 스코투스와 오컴의 윌리엄에 따르면 주의주의는 일반적으로 신성의 뜻과 인간의 자유에 대한 철학적 강조를 하기 위한 것이다. 스코투스는 도덕성이 하나님의 지식이나 명철이 아닌 하나님의 뜻과 선택에서 비롯된다고 주장하였다.[15] 이에 따라 하나님은 전능하므로 행위는 추론을 통해 궁극적으로 합리화되거나 설명되어서는 안 되고 그럴 수도 없다고 정의된다.[15] 다시 말하면 신은 이성을 통해 궁극적으로 합리화되거나 설명될 수 없는 전지전능한 존재로 정의된다고 한다. 따라서 주의주의는 일반적으로 토마스 아퀴나스가 옹호한 주지주의와 대조된다.존 던스 스코투스와 윌리엄 오컴(중세 스콜라 철학을 대표하는 철학자)과 관련된 중세 신학적 의지설은 일반적으로 신의 의지와 인간의 자유를 지성보다 더 중요하게 여기는 철학적 경향을 말한다.(voluntas superior intellectula) 예를 들어, 스코투스는 도덕이 신의 지성이나 지식이 아닌 신의 의지와 선택에서 비롯된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신은 궁극적으로 이성으로 합리화되고 설명될 수 없는 행동을 하는 전능한 존재로 정의되어야 한다. 이처럼 의지설은 스콜라 철학의 토마스 아퀴나스가 옹호한 지성주의와 대조된다.[4]
중세 기독교 신학에서는, 아우구스티누스나 둔스 스코투스 등이 (주지주의로 언급되는 토마스 아퀴나스 등과의 대비에서) 주의주의로 언급된다.[13]
5. 2. 근대
근대 철학에서 데카르트, 칸트, 셸링, 쇼펜하우어 등은 주의주의자로 언급된다. (주지주의자로 언급되는 스피노자나 라이프니츠와 대비된다.)[13]데카르트는 인간의 지성은 유한하지만, 의지는 신의 경우처럼 무한하다고 보아 주의주의 계열에 속한다. 쇼펜하우어는 의지가 세계와 현상의 본질이라고 보았으며, 형이상학적 주의주의의 대표자로 여겨진다. 그는 의지를 비이성적이고 무의식적인 충동으로 보았고, 지성은 부차적인 현상으로 간주했다. 이러한 쇼펜하우어의 사상은 니체, 하르트만, 프로이트에게 영향을 주었다.[1]
분트는 의지를 인간 마음의 근본 기능으로 보고 의식과 감정도 의지에 기반한다고 생각하여 심리학적 주의주의의 대표자로 여겨진다. 빈델반트와 같이 판단의 긍정, 긍정을 하는 의지를 인식 작용의 근원에 두는 입장은 인식론적 주의주의라고 불린다. 프래그머티즘의 입장 또한 인식이나 사고가 생활 의지에 기반하여 전개된다고 보아 주의주의의 하나로 볼 수 있다.[14]
6. 인식론적 주의주의
인식론에서 '''인식적 의지주의'''[7]는 믿음이 진술된 명제에 대한 인지적 태도나 심리적 확신 정도를 단순히 기록하는 문제가 아니라 의지의 문제라는 견해이다. 만약 어떤 사람이 믿음에 대해 의지주의자라면, 특정 명제 P에 대해 매우 확신을 느끼면서 동시에 P에 매우 낮은 주관적 확률을 할당하는 것이 모순되지 않는다. 이것은 바스 판 프라센의 반성 원리의 기초가 된다. 또한 믿음 의지주의를 참조할 수 있다.
7. 정치적 주의주의
토마스 홉스, 장 자크 루소와 같은 이론가들과 독일 관념론의 많은 구성원들이 주장한 견해로, 정치 권력이 의지에서 비롯된다고 이해한다.[8]
8. 마르크스주의적 맥락
마르크스주의 담론에서 주의주의는 형이상학적 주의주의(특히 마흐주의)에 대한 철학적 헌신과 극단적인 혁명 전술, 특히 알렉산드르 보그다노프와 관련된 정치적 헌신 사이의 연관성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9]
소련은 더 발전된 기계가 없는 상황에서 인간의 노력을 통해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제1차 5개년 계획 기간 동안 돌격 작업을 장려했다.[10]
쿠바의 혁명적 공세는 사회주의 경제 개발을 가속화하고 사회주의적인 새로운 인간 정신의 발전을 장려하기 위해 시골에서 자발적인 노동을 장려하려 했다.[11]
9. 비판적 주의주의
후고 딩글러의 '''비판적 자발주의'''는 과학철학에서 과학에서의 이론화는 피할 수 없는 의지의 자유로운 결정으로 시작된다고 전제하는 합의주의의 한 형태이다.[12] 딩글러의 비판적 자발주의의 후계 학파는 방법론적 구성주의의 에를랑겐 학파의 방법론적 구성주의 인식론이다(마르부르크 학파의 방법론적 문화주의와도 비교하라).
10. 초기 근대 과학에서의 신학적 주의주의
피에르 가상디, 월터 찰턴, 로버트 보일[5], 아이작 배로, 아이작 뉴턴과 같은 초기 근대 자연 철학자들이 주장한 기독교 교리에 대한 특정 해석을 신학적 주의주의라고 부른다. 이는 초기 근대 과학과 관련된 경험적 접근 방식을 낳았다. 따라서 주의주의는 개인에게 선행하는 신적 은총이 없더라도 의지에 의해 신앙이나 하나님에 대한 믿음을 얻을 수 있다고 본다. 이 개념은 역사학자 프랜시스 오클리와 철학자 마이클 B. 포스터를 포함한 적어도 일부 역사학자 및 철학자 사이에서 호평을 받았다는 점에서 유효하다.[6] 20세기 주의주의 신학자로는 제임스 루터 아담스가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Voluntarism (philosophy)
https://www.britanni[...]
[2]
서적
The Story of Philosophy
Touchstone Books-Simon & Schuster
[3]
간행물
Voluntarism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2019-09-27
[4]
웹사이트
Voluntarism
http://www.iep.utm.e[...]
[5]
서적
The Fall of Man and the Foundations of Scien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서적
Newton and Newtonianism: New Studies
Springer
2004
[7]
논문
Stances and Epistemology: Values, Pragmatics, and Rationality
2018-07
[8]
간행물
The Very Idea of Popular Sovereignty: “We the People” Reconsidered
https://www.philosop[...]
2000
[9]
서적
Lenin and the Revolutionary Party
[10]
서적
Cinematic Guerillas: Propaganda, Projectionists, and Audiences in Socialist China
Columbia University Press
[11]
서적
The Low-Carbon Contradiction: Energy Transition, Geopolitics, and the Infrastructural State in Cub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23
[12]
서적
Protophysics of Time: Constructive Foundation and History of Time Measurement
Springer
[13]
웹사이트
主意主義とは
https://kotobank.jp/[...]
[14]
웹사이트
https://terms.naver.[...]
[15]
웹사이트
David Calhoun, "Ancient & Medieval Church History"
https://web.archive.[...]
[16]
웹사이트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