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인민해방군 주홍콩부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국 인민해방군 주홍콩부대는 1997년 홍콩 반환 이후 홍콩의 방위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주둔한 중국 인민해방군 부대이다. 육군, 해군, 공군 병력으로 구성되며, 중앙군사위원회의 직접 지휘를 받고 남부 전구의 행정 통제를 받는다. 홍콩 기본법과 주둔군법에 따라 홍콩의 법률을 준수하며, 홍콩 정부와의 실무 연락을 통해 군사 훈련 및 홍콩 시민과의 소통을 진행한다. 1990년대부터 부대 설립이 추진되었으며, 2018년 태풍 피해 복구 지원, 2019년 홍콩 시위 진압 지원 등 홍콩 내 치안 유지에도 관여한 바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 인민해방군의 부대 - 중국 인민해방군 주마카오부대
중국 인민해방군 주마카오부대는 1999년 마카오 반환 후 주둔하며 마카오의 주권과 안전을 보호하고, 특별행정구 정부 요청 시 공공 질서 유지 및 재해 구호 활동을 지원하는 부대이다. - 홍콩의 군사 - 스탠리 군사묘지
스탠리 군사묘지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홍콩 스탠리에서 사망한 연합군 및 민간인 희생자들을 기리는 묘지로, 격전지였던 스탠리에서 임시 매장된 유해들을 이장하여 조성되었으며, 신원 미확인 희생자, 민간인 억류자, 영국 육군 지원단 소속, 제1차 세계 대전 희생자 등을 안장하고 사이완 전쟁 묘지도 포함하고 있다. - 홍콩의 군사 - 사이완 전쟁묘지
사이완 전쟁묘지는 홍콩섬에 있는 묘지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홍콩 전투에서 사망한 연합군 병사 1,528명을 기리고 있으며, 영연방 전쟁 묘지 위원회에서 관리한다. - 중화인민공화국-홍콩 관계 - 2014년 홍콩 시위
2014년 홍콩 시위는 2017년 홍콩 행정장관 선거의 후보 제한에 반발하여 대학생과 시민 단체를 중심으로 시작되었으며, 홍콩 여러 지역으로 확산되어 경찰의 강경 진압, 국제 사회의 다양한 반응, 사회 분열 등의 영향을 미쳤다. - 중화인민공화국-홍콩 관계 - 2019년 도주범죄인 및 형사법 관련 법률 지원 개정 법안
2019년 홍콩에서 추진된 2019년 도주범죄인 및 형사법 관련 법률 지원 개정 법안은 푼휘잉 피살 사건을 계기로 홍콩과 범죄인 인도 조약을 체결하지 않은 국가나 지역에도 범죄인 인도 협정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나, 홍콩 시민들의 거센 반발과 대규모 시위를 야기하여 결국 철회되었으며, 홍콩 사회의 민주주의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중국 인민해방군 주홍콩부대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명칭 | 중국 인민해방군 홍콩 주둔부대 |
원어 명칭 (한자) | 中國人民解放軍駐香港部隊 |
원어 명칭 (간체) | 中国人民解放军驻香港部队 |
로마자 표기 | Zhōngguó Rénmín Jiěfàngjūn Zhù Xiānggǎng Bùduì |
광둥어 표기 | zung1gwok3 jan4man4 gaai2fong3gwan1 zyu3 hoeng1gong2 bou6deoi2 |
기본 정보 | |
창설일 | 1997년 7월 1일 |
소속 | 중국공산당 |
군종 | 중국 인민해방군 육군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중국 인민해방군 로켓군 |
지휘 구조 | 남부 전구 |
주둔지 | 중국 인민해방군 주홍콩부대 빌딩 |
병력 규모 | 10,000 ~ 12,000명 |
지휘관 | |
사령관 | 펑징탕 소장 |
정치위원 | 차이융중 소장 |
관련 | |
이전 영국 주둔군 | 해외 주둔 영국군 홍콩 |
2. 역사
1993년부터 부대 창설 준비가 시작되어 1996년 1월 28일 선전에 부대와 기지가 먼저 설치되었다. 같은 해 12월 30일, 제8기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제23차 회의에서 "홍콩 주둔군법"이 통과되었다. 이 법에 따라 주홍콩 부대는 홍콩 주둔군법과 홍콩 기본법은 물론, 홍콩의 다른 법률들도 준수해야 할 의무를 지게 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PRC)은 1997년 7월 1일 홍콩에 대한 주권을 회복하면서, 중앙인민정부는 홍콩의 방위 업무를 담당하기 위해 중국 인민해방군(PLA) 주둔군을 배치하였다.[5] 주둔군의 지휘권은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가 가지며, 주둔에 필요한 비용 역시 중앙 정부가 부담한다. 이는 과거 홍콩 식민 정부가 군사비를 직접 지불해야 했던 것과는 다른 방식이다.
중국 인민해방군 주홍콩부대는 육군, 해군, 공군 및 지원 부대로 구성된다.
1997년 홍콩 반환 협정에 따라 7월 1일부터 중국 인민해방군 부대가 홍콩에 공식적으로 주둔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주둔 시작 시점을 두고 중국공산당 측은 7월 1일 0시 정각까지 부대 진입을 완료하기를 원했고, 영국 측은 6월 30일 오후 11시 59분까지 영국군을 주둔시키기를 원해 의견 대립이 있었다. 결국 양측 합의에 따라 6월 30일과 7월 1일 두 차례에 걸쳐 인민해방군 부대가 홍콩에 진입하게 되었다. 다만, 사령부로 사용될 건물은 반환 전날인 6월 30일에 미리 이관되었다. 현재도 선전 등 중국 본토에는 주홍콩 부대의 기지가 운영되고 있다.
인민해방군 주홍콩부대의 지휘권은 중앙군사위원회에 있으며, 주둔에 필요한 경비 역시 중앙 정부가 부담한다. 홍콩 행정장관은 필요시 중앙 정부의 국무원을 통해서만 부대 출동을 요청할 수 있다.
사령부는 홍콩섬 북부 센트럴 지역 동쪽에 위치한 중국 인민해방군 주홍콩 부대 빌딩에 자리 잡고 있다. 이 건물은 홍콩 반환 전에는 주홍콩 영국군 사령부 건물이었으며, 당시에는 웨일스 친왕 빌딩(Prince of Wales Buildingeng)으로 불렸다.
주홍콩 부대는 1998년, 2002년, 2004년, 2007년, 2015년에 열병식을 거행했다. 2018년 10월 13일, 태풍 망쿳으로 홍콩이 큰 피해를 입자, 주둔군법에 따른 공식 요청 없이 중앙 정부의 지시에 따라 주홍콩 부대가 투입되어 쓰러진 나무 제거 등 구호 활동을 벌였다. 이는 홍콩 반환 이후 인민해방군이 홍콩 내에서 활동한 첫 사례였다. 2019년 11월 16일에는 홍콩 민주화 시위 과정에서 시위대가 도로에 설치한 벽돌 등 장애물을 제거하는 활동을 벌였다. 주홍콩 부대 측은 이를 "자발적인 활동"이라고 설명했지만, 투입된 대원 중에는 대테러 전문 부대원도 포함된 것으로 확인되어 홍콩 민주파 진영의 반발을 샀다.
3. 역할 및 법적 근거
홍콩의 기본법은 중앙인민정부가 홍콩의 방어를 책임지도록 명시하고 있다. 이에 더해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제정한 주둔군법은 주둔군 인원의 의무와 규율, 관할권 및 기타 사항들을 구체적으로 규정하여, 주둔군이 법적 테두리 안에서 방위 임무를 수행하도록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있다. 이 법에 따라 주둔군은 홍콩에 주둔하는 동안 중화인민공화국과 홍콩의 법률 및 PLA의 현행 규칙과 규정을 준수해야 한다.
주둔군은 홍콩의 지역 문제에 간섭해서는 안 되며, 공공 질서 유지는 홍콩 정부의 책임으로 규정되어 있다. 홍콩 행정장관은 필요한 경우, 중앙 정부의 국무원을 통해 주둔군의 출동을 요청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다.
주둔군은 중국 인민해방군 육군, PLA 해군, PLA 공군 병력으로 구성되며, 베이징의 중앙군사위원회로부터 직접적인 지휘를 받는다. 행정적으로는 인접한 남부 전구의 통제를 받는다.
주둔군의 주요 역할은 홍콩 방위이지만, 일각에서는 베이징의 홍콩 통치를 상징하는 정치적 의미가 더 크다는 해석도 존재한다.[5] 이는 과거 덩샤오핑이 영국의 마거릿 대처 총리에게 홍콩 주둔의 의의가 방위보다는 주권 회복의 상징성에 있다고 언급한 것과 관련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둔군 측은 전투 준비 태세를 갖춘 군대임을 강조한다.[5]
홍콩에 진주한 이후, 주둔군은 기본법과 주둔군법을 준수하며 군사 훈련을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또한 홍콩 정부와 실무적인 연락 체계를 구축하고 있으며, 석커터스 섬과 스탠리에 위치한 막사를 대중에게 개방하거나 연례 공개 행사를 개최하는 등 홍콩 시민들의 이해와 신뢰를 높이기 위한 활동도 병행하고 있다. 주둔군 병력의 순환 근무도 정기적으로 이루어진다.[6][7]
2018년 태풍 망쿳으로 홍콩이 큰 피해를 입었을 당시, 주둔군은 중국 정부의 지시에 따라 도로를 막은 쓰러진 나무를 제거하는 등 구호 활동을 위해 출동한 바 있다. 이는 홍콩 반환 이후 인민해방군이 홍콩 시내에서 활동한 첫 사례였으나, 주둔군법에 따른 홍콩 정부의 공식 요청은 아니었다. 2019년 홍콩 민주화 시위 기간 중에는 시위대가 도로에 설치한 장애물(벽돌 등)을 제거하는 활동을 하기도 했다. 주둔군은 이를 "자발적인 활동"이라고 밝혔으나, 민주파를 중심으로 군의 개입에 대한 우려와 비판이 제기되었다.
주둔군의 규모는 중국의 성(省)급 군구와 형식상 동급으로 취급되지만, 실제 배치된 전력은 상대적으로 소규모이며, 대형 무기 등은 홍콩 내 기지가 아닌 중국 본토 측 기지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22년 초,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시진핑은 전 인민무장경찰 부사령관 출신인 펑징탕 소장을 홍콩 주둔 PLA 사령관으로 임명하였다.[8]
4. 편제
주홍콩 부대는 형식상 성(省)급 군구와 동격이지만, 실제 전력 규모는 상대적으로 작다. 중국 본토의 광둥성에도 기지를 두고 있으며, 실질적으로는 남부전구 소속으로 간주된다. 과거 덩샤오핑이 영국의 마거릿 대처 총리에게 언급했듯이, 홍콩 주둔은 군사적 방위 목적보다는 홍콩에 대한 주권 회복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의미가 크다.
홍콩 내 군사 기지 공간의 제약으로 인해, 주홍콩 부대는 전차와 같은 대형 병기는 홍콩이 아닌 본토 기지에 배치하고 있다. 육군 전력은 여단 규모에 해당하며, 총 병력은 약 6천 명 수준이다. 주요 장비는 소형 화기와 장갑차 등으로 제한된다. 해군 부대는 중국 본토 기지에서 순환 배치되는 소규모 함정으로 구성되며, 앙펀저우에 기지를 두고 있다. 공군 부대는 석강 비행장을 중심으로 헬리콥터 등을 운용한다.
4. 1. 육군
중국 인민해방군 주홍콩부대의 육군 구성 요소는 駐香港部隊合成旅|주홍콩부대 합성여단중국어으로 불린다.[23] 규모는 여단(步兵旅중국어)급에 해당하며, 총 병력은 약 6천 명 수준이다. 장비는 주로 소형 화기와 장갑차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차는 배치되지 않았다.
주요 편제는 다음과 같다.
편제 | 주요 내용 |
---|---|
보병 주둔 여단 | 공중 강습 (부대 53300). 1949년 제48군 제142사단 제424연대로 창설되어 여러 차례 개편을 거쳐 현재에 이름 (이전 명칭: 제1 적군 제1 적 사단 제1 적 연대, 제424연대, 제430연대, 제487연대). |
명예위병대대 | 중국 인민해방군 홍콩 주둔군 명예위병대대 |
보병 대대 | 3개 (공중 강습/헬기 강습) |
기계화 보병 대대 | 1개 |
포병대 | 1개 |
공병 대대 | 1개 |
정찰/특수 작전 중대 | 1개 (별칭: 5분 대응 부대. 일부 병력은 마카오 주둔군으로 이동하여 새로운 신속대응소대 구성) |
정보 수집 대대 | 1개 |
장갑 호송대 | 1개 |
물류 기지 | 선전 (부대 53310) |
자동차 수송 중대 | 샤오페이 |
홍콩 내 육군 기지는 대부분 과거 영국 육군이 사용하던 시설을 이어받은 것이다.
현재 기지명 | 주요 내용 | 이전 영국군 시설명 |
---|---|---|
센트럴 주둔지 | 중국 인민해방군 육군 본부 | HMS 태머 |
칭이토 주둔지 | - | 빅토리아 주둔지 (퀸스 라인) |
가우룽 이스트 주둔지 | - | 오스본 주둔지 |
스탠리 주둔지 | 5분 대응 부대 주둔 (첵추 주둔지 포함) | 스탠리 요새 |
웨스턴 주둔지 | 88 본햄 로드 | 본햄 타워 주둔지 |
산틴 주둔지 | - | 카시노 라인 |
탬 메이 주둔지 | 위안롱 응어우 탬 메이 | - |
갈리폴리 라인 | 판링 샤 타우콕 로드 (산 와이/타이 링 사격장 포함) | 산 와이 캠프 |
버마 라인 | - | 퀸스 힐 캠프 |
건 클럽 힐 주둔지 | 가우룽 (인민해방군 주둔군 병원) | 건 클럽 힐 주둔지 |
주요 보유 장비는 다음과 같다.
구분 | 주요 장비 |
---|---|
기관단총 | 05식 경형 충봉총 |
소총 | 95식 자동보총, 03식 자동보총, 191식 5.8mm 자동보총 |
저격총 | 88식 저격보총 |
군용 트럭 | CA-30 |
장갑차 | 92식/93식 차륜형 장갑차, 08식 보병전투차 |
4. 2. 해군
597* 1 × AK-176 76 mm 함포
* 2 × 30 mm 기관포
* 2 × 2연장 YJ-83 대함 미사일, 선체 중앙
* 1 × 8연장 FL-3000N 지대공 미사일 발사기
* 2 × 3연장 324 mm 어뢰 발사관

25 mm 기관포 2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