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홍콩인은 홍콩에 거주하는 사람들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광둥어로는 '홍콩 사람'을 뜻하며, 옥스퍼드 영어 사전에는 'Hongkonger'라는 단어가 1870년에 처음 등장했다. 홍콩 거주자는 홍콩 기본법에 따라 영주권자와 비영주권자로 나뉘며, 홍콩은 이중 국적을 허용하여 많은 홍콩인이 영국,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 등의 국적을 함께 가지고 있다. 홍콩 인구의 대다수는 중국인이지만, 다양한 민족과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거주하며, 광둥어가 주요 언어로 사용된다. 홍콩의 문화는 중국 문화와 영국 문화가 융합된 특징을 가지며, 홍콩인으로서의 정체성은 2010년대에 증가하다가 2020년 홍콩 국가 보안법 통과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홍콩 출신 이주민들은 중국 본토, 영국, 미국 등 전 세계에 흩어져 디아스포라를 형성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홍콩 사람 - 도널드 리
도널드 리는 미국의 배우로, 1983년 텔레비전 영화 《쿡 & 페리: 북극으로의 질주》로 데뷔하여 다양한 영화와 TV 시리즈에 출연했다. - 홍콩 사람 - 크리스 옌
크리스 옌은 홍콩 출신의 배우이자 무술가, 스턴트 코디네이터, 패션 디자이너로, 국제 태극권 토너먼트 은메달 수상 경력이 있으며, 영화와 드라마 출연 및 스턴트 코디네이터 활동, 그리고 의류 브랜드 론칭 등 다방면에서 활동하고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홍콩인 | |
---|---|
일반 정보 | |
![]() | |
언어 | 홍콩 광둥어(94.6%) 홍콩 영어(53.2%) 보통화(48.6%) |
종교 | 무종교 (조상 숭배), 기독교, 중국 민간 신앙, 유교, 도교, 불교, 소수 이슬람교 및 기타 신앙 |
관련 민족 | 광둥인 마카오인 객가인 상하이어인 정가인 |
인구 | |
홍콩 | 약 741만 3000명 |
중국 대륙 | 47만 2900명 |
미국 | 33만명 |
캐나다 | 21만 3855명 |
영국 | 28만명 |
타이완 | 8만 7719명 |
오스트레일리아 | 10만 148명 |
마카오 | 1만 9355명 |
네덜란드 | 1만 8300명 |
일본 | 1만 8210명 |
2. 용어
'홍콩인'과 '홍콩 사람'이라는 용어는 홍콩 거주자를 지칭하며, 영주권자와 비영주권자를 모두 포함한다. 광둥어로는 '香港人'(Hèung Góng Yàhncy)으로 번역되며, 직역하면 '홍콩 사람'이다.
옥스퍼드 영어 사전(Oxford English Dictionary)에는 'Hongkonger'라는 단어가 1870년 미국 신문 ''The Daily Independent''에서 처음 등장했다고 기록되어 있다.[17] 2014년 3월, '홍콩인'과 '홍콩 사람' 두 용어 모두 옥스퍼드 영어 사전에 추가되었다.[18][19][20] 반면, 미국 영어의 웹스터 사전(Merriam-Webster Dictionary)은 'Hong Konger' 형식을 사용한다.[21][22] 'Hong Konger' 형식은 전 세계 정부에서도 선호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2008년 미국 정부 출판국(U.S. Government Publishing Office)은 공식 스타일 가이드(Style Manual)에 'Hong Konger'를 포함하기로 결정했고,[23][24] 영국 정부의 컴퍼니 하우스(Companies House)도 2020년 9월 표준 국적 목록에 'Hong Konger'를 추가했다.[24]
영국령 홍콩 시대에는 출신 배경에 따라 '홍콩 영국인', '홍콩 중국인'과 같이 구분하는 용어가 사용되기도 했다.
2. 1. 거주 자격
홍콩인은 대부분 홍콩 기본법에 따라 인정되는 홍콩의 법적 거주자를 지칭한다. 홍콩 기본법은 홍콩 거주자에 대한 정확한 법적 정의를 제공한다. 기본법 제24조에 따라 홍콩 거주자는 영주권자와 비영주권자로 나뉜다. 비영주권자는 홍콩 신분증을 소지할 권리가 있지만, 거주권은 없다. 영주권자는 홍콩 영구 신분증을 소지할 권리와 거주권을 모두 가진 사람을 말한다.기본법은 홍콩에서 출생하거나 일부 다른 방법으로 거주권을 취득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중국 본토 주민은 일방 통행 허가증을 취득하면 (수년간의 대기 시간이 있을 수 있음) 가족 재결합 목적으로 홍콩에 정착할 수 있다.
공식적으로 홍콩 정부는 자체 시민권을 부여하지 않지만, '홍콩 시민'이라는 용어는 구어체로 홍콩의 영주권을 가진 사람을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 홍콩은 귀화 신청자가 영주권자가 되기 위해 언어 시험을 치르도록 요구하지 않는다.[25] 그러나 홍콩 이주민과 거주자는 홍콩 기본법 제24조에 따라 홍콩의 법을 준수해야 할 의무가 있다고 간주된다.
3. 민족과 배경
202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홍콩 인구의 91.6%가 중국계이며,[26] 이 중 29.9%는 중국 본토, 타이완, 마카오에서 태어났습니다.[26] 역사적으로 많은 한족은 광둥성 등 중국 남부 지역에서 이주해 왔습니다. 특히 1850년대~1860년대 태평천국의 난[27][28]과 1940년대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전 시기에 이주가 많았습니다.
광둥성 출신 이민자와 그 후손들은 오랫동안 홍콩 중국계 주민의 대다수를 차지했으며, 이는 홍콩에 광둥 문화가 널리 퍼진 배경입니다. 광둥어는 월어의 한 종류로, 홍콩의 주요 언어이며 미디어와 교육에서 사용됩니다.[29] 객가, 복건, 조주 등 다른 한족 하위 그룹도 존재하지만,[30][31][32][33] 홍콩에서 태어나거나 자란 주민들은 주류 광둥어 정체성에 동화되어 광둥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경향이 있습니다.[34]
3. 1. 소수 민족
한족 외에도 홍콩에는 다양한 민족 및 국가 집단으로 구성된 소수 민족이 존재한다. 한족이 아닌 가장 큰 집단은 필리핀인(2.7%), 인도네시아인(1.9%)이며, 태국인, 베트남인을 포함하는 동남아시아 커뮤니티도 있다.[30][35][26] 2021년에는 홍콩 인구의 0.8%가 유럽계 조상이었으며, 이들 중 다수(48.9%)가 홍콩섬에 거주하며 인구의 2.5%를 차지한다.[26]19세기와 20세기 초 이주민의 후손뿐만 아니라 최근의 단기 체류 외국인을 포함하는 오랜 남아시아 커뮤니티가 있다. 인도인, 네팔인, 파키스탄인을 포함한 소규모 남아시아 커뮤니티는 2021년에 각각 홍콩 인구의 0.6%, 0.4%, 0.3%를 차지했다.[26] 앵글로스피어에서 온 미국인, 영국인, 캐나다인, 호주인, 뉴질랜드인과 같은 더 작은 디아스포라 그룹도 있다. 홍콩에는 일본인, 한국인과 같은 소규모 동아시아 커뮤니티도 거주하고 있다.
3. 2. 언어
광둥어는 월어의 한 형태로, 홍콩의 주요 언어이며 미디어 및 교육에 사용된다.[29] 이러한 이유로, 상하이 및 산둥과 같이 중국의 더 먼 지역에 조상 뿌리를 둔 그룹뿐만 아니라 객가, 복건, 조주와 같은 다른 한족 하위 그룹의 구성원도 있지만,[30][31][32][33] 홍콩에서 태어나거나 자란 주민들은 종종 홍콩의 주류 광둥어 정체성에 동화되며 일반적으로 광둥어를 모국어로 채택한다.[34]언어 | 2006년[36] | 2011년[36] | 2016년[36] | 2021년[26] |
---|---|---|---|---|
% | % | % | % | |
광둥어 | 96.5 | 95.8 | 94.6 | 93.7 |
영어 | 44.7 | 46.1 | 53.2 | 58.7 |
만다린 | 40.2 | 47.8 | 48.6 | 54.2 |
객가어 | 4.7 | 4.7 | 4.2 | 3.6 |
민남어 | 3.4 | 3.5 | 3.6 | 3.1 |
타갈로그어 | 1.4 | 1.7 | 2.7 | 2.8 |
찌우차우어 | 3.9 | 3.8 | 3.4 | 2.8 |
인도네시아어 | 1.7 | 2.4 | 2.7 | 2.5 |
일본어 | 1.2 | 1.5 | 1.8 | 2.1 |
상하이 방언 | 1.2 | 1.1 | 1.1 | 0.8 |
3. 3. 종교
종교 | 2008 | 2009 | 2010 | 2011 | 2012 | 2013 | 2016 | 2021 |
---|---|---|---|---|---|---|---|---|
불교 | 100만 명 초과 | 100만 명 초과 | 100만 명 초과 | 100만 명 초과 | 100만 명 초과 | 100만 명 초과 | 100만 명 초과 | 100만 명 초과 |
도교 | 100만 명 가량 | 100만 명 가량 | 100만 명 가량 | 100만 명 가량 | 100만 명 초과 | 100만 명 초과 | 100만 명 초과 | 100만 명 가량 |
개신교 | 320,000명 | 320,000명 | 480,000명 | 480,000명 | 480,000명 | 500,000명 가량 | 500,000명 | 500,000명 |
가톨릭 | 350,000명 | 350,000명 | 353,000명 | 363,000명 | 363,000명 | 368,000명 | 384,000명 | 401,000명 |
이슬람교 | 220,000명 | 220,000명 | 220,000명 | 220,000명 | 270,000명 | 300,000명 | 300,000명 | 300,000명 |
힌두교 | 40,000명 | 40,000명 | 40,000명 | 40,000명 | 40,000명 | 40,000명 | 100,000명 | 100,000명 |
시크교 | 10,000명 | 10,000명 | 10,000명 | 10,000명 | 10,000명 | 10,000명 | 12,000명 | 12,000명 |
4. 문화적 정체성
홍콩 문화는 주로 중국과 서양의 영향이 혼합된 것으로, 링난 광둥어 뿌리에서 시작되어 나중에 영국 식민지주의로 인해 영국 문화와 융합되었다(粵英薈萃|jyut6 jing1 wui6 seoi6중국어).[39]
1841년 1월 26일부터 1997년 6월 30일까지 홍콩은 공식적으로 영국 종속 영토였다. 영어는 영국 식민 통치 기간 동안, 토착 중국어, 특히 광둥어와 함께 홍콩의 공식 언어로 도입되었다. 1997년 주권 반환 이후 중화인민공화국에 홍콩은 일국양제라는 틀 아래 독특한 정체성을 계속 발전시켜 왔다.
홍콩 대학교는 홍콩 반환 이후 홍콩 거주자들이 스스로를 어떻게 정의하는지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했다. "홍콩인"으로 정체성을 밝히는 홍콩 거주자의 수는 2010년대에 걸쳐 천천히 증가하여, 2019–2020 홍콩 시위 기간과 직후에 최고점에 달했으며, 2019년 12월 조사에서는 응답자의 55% 이상이 "홍콩인"으로 확인되었으며, 가장 두드러진 증가는 젊은 거주자들 사이에서 나타났다.[40] 2020 홍콩 국가 보안법 통과와 홍콩에서 이민자의 잇따른 파도 이후, 그 비율은 감소했다. 2022년 6월에 발표된 최신 설문 조사에서 응답자의 39.1%는 홍콩인, 31.4%는 중국 내 홍콩인, 17.6%는 중국인, 10.9%는 홍콩 내 중국인, 42.4%는 혼합 정체성이라고 답했다.[41]
5. 국적
홍콩은 현재 중화인민공화국의 특별행정구이지만, 모든 홍콩인이 중화인민공화국 국적을 가진 것은 아니다. 많은 홍콩인들은 여러 국가의 국적을 동시에 보유하는 이중 국적을 가지고 있다. 약 700만 명의 홍콩 인구 중 300만에서 400만 명 가량이 홍콩 특별행정구 여권과 영국 여권을 각각 소지하고 있다. 또한, 중국 본토 방문, 여행, 취업 등을 위해 回鄉證|회향증중국어이나 해외 여권을 소지하고 있기도 하다.[1]
5. 1. 영국 국적
홍콩 인구의 절반(약 350만 명)이 영국 국적을 가지고 있으며, 그 중 약 340만 명이 영국 해외 시민권(BNO)을 소지하고 있다.[46] 영국 국적법에 따르면, BNO는 영국 국적의 한 형태이며, 영국 해외 영토 시민이 아닌 영연방 시민이기 때문에 영국 종속령에서의 거주권을 가지지 못한다. 이 지위는 평생 유효하지만, 미래의 자녀 세대에게는 상속될 수 없다. 또한, 거주권 제도를 이용하여 영국 시민권을 취득한 사람들도 있다. 1997년 주권 반환 이후, 홍콩인이라는 이유만으로는 영국 국적을 취득할 수 없게 되었고, 최근에는 홍콩 특별행정구 여권 소지자 수가 영국 해외 시민권 여권 소지자 수를 넘어섰다.5. 2. 중화인민공화국 국적
홍콩 주권 반환 전, 중화인민공화국은 홍콩인을 "영국의 종속 영민"으로 인정하지 않았지만, 홍콩인은 다른 국적을 가지는 등 이중 국적을 가질 수 있었다. 홍콩 주권이 중국에 반환된 후, 중국계 홍콩 영주자는 자동적으로 중화인민공화국 시민이 되어 홍콩 특별행정구 여권을 신청하고 다른 국적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1] 홍콩 특별행정구의 "일국양제" 실시에 따라 홍콩 거주자는 중화인민공화국 중앙 정부에 세금을 납부할 필요가 없고, 홍콩 거주 납세자는 홍콩 특별행정구 정부에만 세금을 납부하면 된다.[1] 홍콩 거주자가 중국 본토에 입국하려면 중화인민공화국 정부가 발행하는 "홍콩·마카오 거주자 출입국 허가증" (통칭: 回鄉證|회향증중국어)을 신청하고 소지해야 한다.[1]5. 3. 중화민국 국적
1949년 양안 분단 이후, 타이완으로 철수한 중화민국 정부는 홍콩의 중국인을 완전한 중화민국 국민 신분을 가진 화교로 간주했다.[47] 1994년 5월 이전에는 중화민국 내정부의 "귀국 화교 호적 등기 방법"에 의거하여 타이완에서 공부하는 홍콩 및 마카오의 화교 학생은 자동으로 중화민국 국민 신분증을 취득했다. 홍콩 주권이 양도되기 전, 중화민국 정부는 자격 있는 홍콩인에게도 "중화민국 국민 신분증" 신청을 허용하여 중화민국의 동포가 되는 것을 인정했다. 그리하여 타이완에 체류한 학생 중 많은 이들이 홍콩으로 돌아가 개발을 진행했기 때문에, 홍콩인 중에는 중화민국 여권과 홍콩 특별 행정구 여권을 동시에 소지할 수 있는 사람도 있었다.1997년 홍콩 주권이 중화인민공화국으로 이양된 후, 중화민국 정부는 "홍콩 마카오 관계 조례"를 이용하여 홍콩과의 관계를 규제하고, BNO/SAR 여권만을 소지하고 타국 여권을 소지하지 않은 자를 홍콩 주민(홍콩인)으로 정의했다. 현재 홍콩인의 법적 지위는 중화민국 헌법 부칙의 틀 안에서 비외국인·비국민으로 규정되어 있다는 견해가 있다.[48]
5. 4. 기타 국적
1970년대부터 1980년대 초반, 해외로 이주한 초기 홍콩인이나 화교는 홍콩 영주권자 지위를 유지할 수 있었다. 홍콩으로 귀국한 중국인 주재원은 미국, 캐나다, 싱가포르, 뉴질랜드, 호주 등 영어권 국가로 귀화하여 다른 국적을 취득하기도 했다. 1997년 홍콩 주권 반환 전, 특히 1990년대 초반 천안문 사건의 영향으로 많은 홍콩인들이 정치적 미래를 우려하여 타국으로 이주했다. 이는 홍콩이나 중국에서 일하거나 사업하는 것을 용이하게 했다.[46]6. 최근 조사에 나타난 홍콩인의 민족 귀속 의식
스스로를 중국인이 아닌 홍콩인으로 여기는 사람들은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며, 특히 젊은 층에서 두드러진다. 2019년 홍콩 대학교의 여론 조사에서 18~29세 젊은이의 75%가 "나는 홍콩인"이라고 응답했다.[49][50]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의 영향으로 젊은 층의 중국에 대한 애국심이 일시적으로 높아져 중국인 정체성이 높아졌지만, 이후 계속 감소하고 있다.
대중화주의적 관점에서 타이완 독립에 반대하는 홍콩인도 과거에 많이 있었지만, 2020년 조사에서는 "타이완 독립 지지"와 "타이완의 유엔 가입"에 대한 지지가 반대를 넘어섰으며, 양안 통일에 대한 관심도 감소 추세에 있다.[51]
7. 디아스포라
중국 대륙은 가장 많은 홍콩 출신 이주민을 보유하고 있으며, 홍콩 디아스포라는 대만, 캐나다, 영국, 미국과 같은 여러 영국 문화권 국가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 중국 본토 외부에 거주하는 대부분의 홍콩인들은 더 큰 해외 화교 공동체의 일부를 형성한다. 홍콩인의 세계 각지로의 이주는 1997년 홍콩 반환 이전 몇 년 동안 가속화되었지만, 그 후 상당수가 홍콩 귀환자가 되었다. 2019–2020년 홍콩 시위와 영국의 BN(O) 비자 제도 시행 이후 새로운 이민 물결이 일어났다.
7. 1. 홍콩 내의 디아스포라 커뮤니티
홍콩에는 다양한 디아스포라 커뮤니티가 존재한다.커뮤니티 |
---|
아프리카인 |
미국인 |
호주인 |
영국인 |
캐나다인 |
필리핀인 |
외국인 가사 도우미 |
프랑스인 |
인도네시아인 |
일본인 |
한국인 |
러시아인 |
상하이인 |
남아시아인 |
타이완인 |
태국인 |
베트남인 |
참조
[1]
웹사이트
2016 Hong Kong Mid-term Demographics
http://www.bycensus2[...]
2019-11-18
[2]
웹사이트
2021 Population Census – Hong Kong Resident Population, Persons Present in Hong Kong at the Reference Moment by Category of Residents and Year
https://www.census20[...]
2023-01-31
[3]
웹사이트
Enhanced Method for Compiling Statistics on Hong Kong Residents Having Resided / Having Stayed Substantially in the Mainland
https://www.statisti[...]
2018-06-11
[4]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22-01-15
[5]
웹사이트
僑委會全球資訊網
http://www.ocac.gov.[...]
[6]
웹사이트
Immigrant population by selected places of birth, admission category and period of immigration, 2021 Census
https://www12.statca[...]
2023-03-10
[7]
웹사이트
Human Rights in Hong Kong - Volume 744: debated on Tuesday 23 January 2024
https://hansard.parl[...]
2024-03-29
[8]
웹사이트
臺灣地區居留外僑統計
http://www.immigrati[...]
內政部入出國及移民署
2010-07-12
[9]
웹사이트
Cultural diversity: Census
https://www.abs.gov.[...]
2024-06-22
[10]
웹사이트
Population Census – Official statistics
http://www.dsec.gov.[...]
2016-07-22
[11]
웹사이트
CBS Statline
http://statline.cbs.[...]
2019-09-29
[12]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e-stat.go[...]
2019-09-29
[13]
웹사이트
Hong Kongese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2018-08-08
[14]
웹사이트
Hongkongese
https://www.msn.com/[...]
2020-05-04
[15]
서적
Chinese Citizenship: Views from the Margins
Routledge
2006
[16]
웹사이트
2011 Hong Kong Consesus, Volume 1, Table 3.9
http://www.census201[...]
2020-06-06
[17]
뉴스
"'Hongkonger' makes it to world stage with place in the Oxford English Dictionary – Amid anti-mainland sentiment, Oxford dictionary recognises city's local identity"
https://www.scmp.com[...]
2014-03-19
[18]
웹사이트
New words list March 2014 | Oxford English Dictionary
https://web.archive.[...]
2014-07-09
[19]
웹사이트
Hongkonger – definition of Hongkonger in English from the Oxford dictionary
https://web.archive.[...]
2016-06-23
[20]
웹사이트
Hong Kongese {{!}} Definition of Hong Kongese by Oxford Dictionary on Lexico.com also meaning of Hong Kongese
https://web.archive.[...]
2021-02-02
[21]
웹사이트
Definition of HONG KONG
https://www.merriam-[...]
2021-02-02
[22]
웹사이트
"'Hongkonger' makes it to world stage with place in the Oxford English Dictionary"
http://www.scmp.com/[...]
2016-06-23
[23]
웹사이트
Style Manual 2008
https://www.govinfo.[...]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21-02-02
[24]
웹사이트
List of nationalities
https://www.gov.uk/g[...]
2021-02-02
[25]
웹사이트
Application for naturalisation as a Chinese national
http://www.info.gov.[...]
Legislative Council of Hong Kong
2013-12-07
[26]
웹사이트
2021 Population Census
https://www.census20[...]
2023-05-08
[27]
웹사이트
Chap on Hong Kong
http://irc.aa.tufs.a[...]
1873-01-01
[28]
웹사이트
Hong Kong Gov Info
http://www.info.gov.[...]
2007-02-16
[29]
웹사이트
Why Cantonese is a real language in Hong Kong
http://www.scmp.com/[...]
2015-03-31
[30]
간행물
2011 Population Census – Summary Results
http://www.census201[...]
Census and Statistics Department
2013-10-23
[31]
서적
Encyclopedia of diasporas: immigrant and refugee cultures around the world. Diaspora communities
Springer
2005
[32]
웹사이트
Immigration Autonomy
https://web.archive.[...]
[33]
서적
Labour Law in Hong Kong
Kluwer Law International
2010
[34]
웹사이트
Han Chinese, Cantonese in China, Hong Kong
http://joshuaproject[...]
2015-03-31
[35]
논문
Overseas Filipino Workers, Labor Circulation in Southeast Asia, and the (Mis)management of Overseas Migration Programs
https://web.archive.[...]
2007-03-18
[36]
웹사이트
Main Tables ! 2016 Population By-census
https://www.bycensus[...]
2018-11-23
[37]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ww.yearbook[...]
2018-01-09
[38]
웹사이트
Religion and Custom
https://www.yearbook[...]
2023-05-08
[39]
서적
Staging Hong Kong: Gender and Performance in Transition
University of Hawaii
1998
[40]
뉴스
Almost nobody in Hong Kong under 30 identifies as “Chinese”
https://www.economis[...]
2024-08-25
[41]
웹사이트
Categorical Ethnic Identity
https://www.pori.hk/[...]
Hong Kong Public Opinion Research Institute
2022-06-05
[42]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43]
웹사이트
http://hk.apple.next[...]
[44]
웹사이트
2001年、2006年及2011年按種族劃分的人口 (A104)
http://www.census201[...]
2012-02-21
[45]
웹사이트
痛恨霸權 回流移民:唔信50年不變
http://hk.apple.next[...]
[46]
웹사이트
UK help and services in Hong Kong
https://www.gov.uk/g[...]
[47]
웹사이트
回國僑生戶籍登記辦法
https://law.moj.gov.[...]
法務部全國法規資料庫
[48]
웹사이트
自由廣場》港澳條例與難民法的兩難
https://talk.ltn.com[...]
自由时报网站
2020-12-13
[49]
웹사이트
若者75%「香港人」返還以来、最高を記録
https://www.tokyo-np[...]
[50]
웹사이트
港大民研:18至29歲青年對中國人身份認同 創97後新低
https://www.thestand[...]
[51]
웹사이트
香港人首次贊成台灣獨立 立場新聞 2020/1/16 — 0:05
https://www.thestand[...]
[52]
웹인용
'Hongkonger' makes it to world stage with place in the Oxford English Dictionary
http://www.scmp.com/[...]
2016-06-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