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프 코만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프 코만치는 아메리칸 모터스(AMC)가 설계하고 1986년부터 1992년까지 생산한 픽업트럭이다. 지프 체로키(XJ)를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유니바디 구조와 탈착식 화물칸을 결합한 디자인이 특징이다. 두 가지 화물칸 길이와 다양한 엔진, 트림을 제공했으며, 1987년 크라이슬러의 AMC 인수로 인해 일부 변경을 겪었다. 1992년 생산이 중단되었으며, 낮은 판매량과 크라이슬러의 브랜드 전략 변화가 단종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4기통 종치엔진 자동차 - 마쓰다 MX-5
마쓰다 MX-5는 로터스 엘란에서 영감을 받은 디자인과 뛰어난 핸들링으로 인기를 얻은 마쓰다의 경량 2인승 로드스터로, 4세대에 걸쳐 진화하며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2인승 스포츠카로 기네스북에 등재되었다. - 4기통 종치엔진 자동차 - 토요타 86
토요타 86은 토요타 자동차에서 생산하는 후륜구동 스포츠카로, 스바루와 공동 개발하여 스바루 BRZ와 플랫폼을 공유하며 2.0리터 수평대향 엔진을 탑재, 경쾌한 핸들링과 운전의 즐거움을 추구하는 특징을 가진다. - 지프의 차종 - 지프 그랜드 체로키
지프 그랜드 체로키는 크라이슬러에서 생산하는 중형 럭셔리 SUV로, 모노코크 바디 구조와 다양한 엔진 라인업을 특징으로 하며, 오프로드 성능과 고급 편의 사양을 갖춘 다양한 트림을 제공하고 현대 팰리세이드, 기아 텔루라이드 등과 경쟁하며 연료 탱크 및 변속기 관련 문제로 리콜을 실시한 바 있다. - 지프의 차종 - 지프 체로키
지프 체로키는 1974년부터 2023년까지 다섯 세대에 걸쳐 생산된 지프의 대표적인 SUV 모델로, 디자인과 성능 변화, 유니바디 설계(2세대), 전륜구동 방식 도입(5세대) 등 혁신적인 시도와 함께 차명에 대한 문화적 민감성 논란이 있는 차량이다. - 1985년 도입된 자동차 - 현대 쏘나타
현대 쏘나타는 1985년 출시 이후 전륜구동 방식으로 전환, 디자인과 성능을 개선하며 다양한 파워트레인을 탑재한 현대자동차의 대표적인 중형 베스트셀링카이다. - 1985년 도입된 자동차 - 현대 엑셀
현대 엑셀은 1985년 현대자동차가 출시한 소형차로, 미쓰비시 미라주를 기반으로 조르제토 주지아로가 디자인했으며 해치백, 세단 형태로 출시, 미국에 수출된 최초의 현대차로 1995년 엑센트로 교체될 때까지 생산되었고, 저렴한 가격으로 인기를 얻었으나 잦은 고장과 판매 부진을 겪었다.
지프 코만치 - [자동차]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제조사 | 지프 }} |
차종 | 콤팩트 픽업 트럭 |
차체 스타일 | 2도어 트럭 |
이전 모델 | 지프 CJ-8 (스크램블러) 지프 CJ-10 지프 글래디에이터 (SJ) |
후속 모델 | 닷지 다코타 지프 글래디에이터 (JT) |
생산 기간 | 1985년–1992년 |
모델 연도 | 1986년–1992년 |
레이아웃 | 전륜 엔진, 후륜 및 사륜구동 |
관련 차종 | 지프 체로키 |
엔진 | |
가솔린 | 2.5 L AMC 150 I4 2.8 L GM LR2 V6 4.0 L AMC 242 I6 |
디젤 | 2.1 L Renault J8S 터보 I4 |
변속기 | |
차체 | |
휠베이스 | (6피트 베드) (7피트 베드) |
전장 | (6피트 베드) (7피트 베드) |
2. 디자인
1980년대 중반, AMC 회장인 W. 폴 티페트 주니어(W. Paul Tippett Jr.)는 "사람들이 트럭을 자동차의 합리적이고 세련된 대안으로 여기고 있다."라고 말했다.[5] 이러한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AMC는 1986년형 소형 픽업트럭을 준비하고 있었다.[5]
지프 코만치는 XJ 체로키를 기반으로 설계되었으며, 캡 뒤쪽에 전통적인 차체 온 프레임 설계와 탈착식 화물칸을 갖추었다. 코만치는 체로키의 유니바디 구조를 전반부에 유지하면서도, 캡 뒤쪽에는 별도의 프레임을 적용하여 픽업트럭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디자인되었다.
엔진은 AMC제 외에도 GM제 V형 6기통 엔진, 르노제 2.1 L 직렬 4기통 터보 디젤 엔진 (Douvrin 시리즈)이 있었다.
일본에서는 히트를 친 체로키 (XJ)에 비해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미국에서는 AMC가 크라이슬러에 인수된 후에도 생산되어 총 7년간 판매되었다. 그러나 토요타 픽업, 닛산 닷선, 포드 레인저, GM의 쉐보레 S-10, GMC 소노마 등 경쟁 차종에 비해 차체 종류가 적어 판매 부진을 겪었다.
2. 1. 차체 구조
아메리칸 모터스(American Motors)의 지프(Jeep) 디자이너들은 1984년형으로 출시된 XJ 체로키를 기반으로 코만치 MJ의 차체, 스타일, 엔지니어링 및 파워트레인을 설계했다.[3] 코만치는 캡 뒤쪽에 다소 더 전통적인 차체-온-프레임 설계를 적용하고 탈착식 화물칸을 갖추었지만, 차량 전반부에는 체로키의 유니바디 구조를 유지했다.두 가지 화물칸 길이가 사용되었는데, 하나는 1986년에 처음 등장한 약 2.13m 롱 베드 모델용이었고, 다른 하나는 1987년형에 처음 등장한 약 1.83m 화물칸의 더 짧은 버전이었다. C-채널 프레임을 사용했던 당시의 다른 픽업과 달리, 코만치의 화물칸 아래 프레임 설계(지프에서 "유니프레임"이라고 불림)는 완전히 박스형이었고, 뒷 차축 위에 큰 X자 구조가 중심을 잡고 있었다. 강성을 위해 레일의 깊이는 약 20.32cm(상단에서 하단까지)였으며, 이는 기존의 중형 트럭 프레임보다 훨씬 깊었다(1983년 지프 J-10 풀 사이즈 트럭 프레임은 가장 깊은 지점이 약 17.14cm).[10] 이 구조는 1971년 AMC의 "카우보이" 소형 픽업 프로토타입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1986년부터 1987년까지 지프 코만치의 그릴은 1984-1987년형 체로키 XJ와 유사한 구성으로 10개의 슬롯을 가지고 있었지만, 1988년부터 1992년까지는 SUV와 일치하도록 이 구성이 8개의 슬롯으로 변경되었다.[11]
체로키 (XJ)를 기반으로 차체 후반부를 적재함으로 만든 스타일이었다. 차체 구조도 마찬가지로 전반부(보닛과 캡)는 체로키와 같은 모노코크 구조(빌트인 프레임), 후반부(적재함 아래)는 많은 픽업트럭과 같은 래더 프레임으로 되어 있으며, 캡 바닥에서 앞뒤 프레임 단면이 크게 변화하고 있다.
서스펜션은 앞바퀴가 체로키와 같은 고정 차축의 5링크+코일 스프링이었지만, 뒷바퀴는 공차 시와 적재 시의 차량 중량 차이를 고려하여 체로키보다 긴 리프 스프링으로 승차감을 확보하는 동시에 스프링 상수를 높였다.
2. 2. 외관
아메리칸 모터스(American Motors)의 지프(Jeep) 디자이너들은 1984년형으로 출시된 XJ 체로키를 기반으로 코만치 MJ의 차체와 스타일을 설계했다.[3] 코만치는 캡 뒤쪽에 다소 더 전통적인 차체-온-프레임 설계를 적용하고 탈착식 화물칸을 갖추었지만, 차량 전반부에는 체로키의 유니바디 구조를 유지했다.두 가지 화물칸 길이가 사용되었는데, 하나는 1986년에 처음 등장한 약 2.13m 롱 베드 모델용이었고, 다른 하나는 1987년형에 처음 등장한 약 1.83m 화물칸의 더 짧은 버전이었다. C-채널 프레임을 사용했던 당시의 다른 픽업과 달리, 코만치의 화물칸 아래 프레임 설계(지프에서 "유니프레임"이라고 불림)는 완전히 박스형이었고, 뒷 차축 위에 큰 X자 구조가 중심을 잡고 있었다. 강성을 위해 레일의 깊이는 약 20.32cm 이상(상단에서 하단까지)이었으며, 이는 기존의 중형 트럭 프레임보다 훨씬 깊었다(1983년 지프 J-10 풀 사이즈 트럭 프레임은 가장 깊은 지점이 약 17.14cm).[10]
1986년부터 1987년까지 지프 코만치의 그릴은 XJ 체로키와 유사한 구성으로 10개의 슬롯을 가지고 있었지만, 1988년부터 1992년까지는 SUV와 일치하도록 이 구성이 8개의 슬롯으로 변경되었다.[11] 체로키 및 왜고니어 모델에서 볼 수 있는 것과 유사한 새로운 "4x4" 배지가 모든 4륜 구동 모델의 화물칸 상단 뒷부분에 부착되었다.[1]
체로키 (XJ)를 기반으로 차체 후반부를 적재함으로 만든 스타일이었다. 차체 구조도 마찬가지로 전반부(보닛과 캡)는 체로키와 같은 모노코크 구조(빌트인 프레임), 후반부(적재함 아래)는 많은 픽업트럭과 같은 래더 프레임으로 되어 있으며, 캡 바닥에서 앞뒤 프레임 단면이 크게 변화하고 있다.
서스펜션은 앞바퀴가 체로키와 같은 고정 차축의 5링크+코일 스프링이었다.
3. 파워트레인
지프 코만치는 다양한 엔진과 변속기를 조합하여 출시되었다. 초기에는 2.5L 4기통 엔진, 제너럴 모터스(GM)의 2.8L V6 엔진, 르노의 2.1L 터보 디젤 엔진을 선택할 수 있었다.[3] 4기통 엔진은 4단 수동 변속기가 기본이었고, 5단 수동 또는 3단 자동 변속기를 선택할 수 있었다. V6 엔진은 5단 수동 또는 자동 변속기와 조합되었고, 터보 디젤 엔진은 5단 수동 변속기만 제공되었다.
이후 AMC는 자체 개발한 4.0L 직렬 6기통 엔진을 도입하여 V6 엔진을 대체했다.[13] 이 엔진은 이전 V6 엔진보다 훨씬 강력하고 효율적이었다. 2.5L 4기통 엔진 또한 개선되어 출력이 향상되었다. 판매 부진을 겪던 터보 디젤 엔진은 단종되었다.
변속기는 아이신-워너에서 제작한 4단 자동 변속기가 새롭게 추가되어 기존 크라이슬러 3단 자동 변속기를 대체했다. 이 변속기에는 "파워"와 "컴포트"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 운전자가 주행 상황에 맞게 변속 패턴을 조절할 수 있었다.[14]
1987년 크라이슬러가 AMC를 인수한 후, 엔진 제어 시스템이 변경되어 엔진 성능이 더욱 향상되었다. 4.0L 엔진은 "고출력" 버전으로 업그레이드되었고, 자동 변속기의 일부 부품이 변경되었다.
코만치는 2륜구동 또는 4륜구동 모델로 제공되었으며, 뉴 프로세스 기어의 "커맨드-트랙" 또는 "셀렉-트랙" 트랜스퍼 케이스를 통해 구동 방식을 선택할 수 있었다.
3. 1. 엔진
1986년형 코만치 초기 모델에는 세 가지 엔진이 제공되었다. 기본은 2.5L 4기통 엔진이었고, 제너럴 모터스(General Motors)의 2.8L V6 또는 르노(Renault)의 2.1L I4 터보 디젤 엔진을 선택 사양으로 장착할 수 있었다.[3] 4기통 엔진은 4단 수동 변속기가 기본이었고, 크라이슬러(Chrysler) 5단 수동 또는 3단 토크플라이트 A904 자동 변속기가 선택 사양이었다. V6 엔진은 5단 수동 또는 자동 변속기와 함께 제공되었고, 터보 디젤은 5단 수동 변속기만 가능했다.V6 엔진은 쉐보레 S-10에 사용된 것과 동일했지만, 4기통의 전자식 스로틀 보디 연료 분사 시스템 대신 2배럴 로체스터 기화기가 장착되어, 6기통은 기본 4기통보다 출력이 약간 낮았다. V6 엔진은 성능은 큰 이점이 없었고, 연비가 좋지 않았다. 코만치가 출시된 지 2년째 되던 해, V6 엔진은 AMC의 새로운 연료 분사식 4.0L 직렬 6기통 엔진으로 대체되었으며,[13] 이는 이전 V6 엔진보다 50% 더 높은 출력과 47% 더 높은 토크였다.[13] 새로운 6기통 엔진은 연비도 더 좋았다. 기본 2.5L 엔진의 성능도 개선되어 최고 출력이 향상되었다. 판매 부진을 겪던 터보 디젤 옵션은 단종되었다.
새로운 직렬 6기통 엔진과 함께 아이신-워너 4단 자동 변속기가 이전 크라이슬러 3단 변속기를 대체했다. 30-40LE에는 전자 제어 장치가 탑재되어 운전자가 "파워" 모드와 "컴포트"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었다. "파워" 모드에서는 가혹한 가속 시 변속이 더 빠르게 이루어지고 더 높은 rpm에서 업시프트가 발생하며, "컴포트" 모드에서는 낮은 엔진 속도에서 업시프트가 이루어졌다.[14]
1988년에는 4.0L 엔진의 출력이 약간 개선되었다.
크라이슬러는 1987년에 AMC를 인수했으며, 1991년형 모델부터는 자체 엔진 제어 전자 장치를 적용하여 Renix 시스템을 대체했다. 그 결과 두 엔진의 출력과 토크가 모두 향상되어, 4.0L 엔진은 이후 "고출력"으로 배지를 달았다. 아이신-워너 자동 변속기의 출력 샤프트는 21 스플라인에서 23 스플라인으로 변경되었고, "파워-컴포트" 스위치는 삭제되었다. 4기통 엔진은 1991년과 1992년에는 더 이상 자동 변속기와 함께 제공되지 않았다.
코만치 생산 기간 동안 아이신, 크라이슬러, 푸조(Peugeot)에서 제작한 6가지 다른 변속기가 제공되었다. 크라이슬러는 1986년형 모델에 토크플라이트 904 3단 자동 변속기를 제공했다. 30-40LE 4단 자동 변속기 외에도 아이신은 AX-4 (4단), AX-5 및 AX-15 (5단 오버드라이브) 수동 변속기를 제공했다. AX-15는 1989년형 모델 중반에 4.0L 엔진에 1987년부터 사용되었던 푸조 BA10/5 5단 변속기를 대체하기 위해 단계적으로 도입되었다.
코만치는 2륜 또는 4륜 구동으로 제공되었으며, 전후면에 견고한 차축을 사용했다 (2륜 구동 코만치는 4륜 구동 모델과 동일한 전면 서스펜션을 갖춘 단순한 빔 차축을 사용했다). 트랜스퍼 케이스는 뉴 프로세스 기어에서 제작되었으며, 코만치는 파트타임 "커맨드-트랙" 또는 풀타임 "셀렉-트랙" 시스템과 함께 제공되었다. 1986년의 커맨드-트랙 트랜스퍼 케이스는 NP207 모델이었고 셀렉-트랙은 NP228 모델이었으며, 두 모델 모두 2.61:1의 로우 기어비를 가졌다. 1987년에는 NP207이 NP231로, NP228이 NP242로 대체되었으며, 두 모델 모두 2.72:1의 로우 기어비를 가졌다. 이들은 코만치 생산 기간 동안 동일하게 유지되었다.
이름 | 배기량 | 레이아웃 | 연료 | 출력 | 토크 | 비고 | 연도 |
---|---|---|---|---|---|---|---|
2.5 리터 | 2464 cc (150 CID) | I4, OHV | 가솔린 | 117hp / 5,000 rpm | 135lbft / 3,250 rpm | Renix TBI | 1986 |
121hp / 5,000 rpm | 141lbft / 3,500 rpm | Renix TBI | 1987–1990 | ||||
130hp / 5,250 rpm | 149lbft / 3,250 rpm | 크라이슬러 MPI | 1991–1992 | ||||
2.8 L V6 | 2838 cc (173 CID) | V6, OHV | 가솔린 | 115hp / 4,800 rpm[15] | 150lbft / 2,100 rpm[15] | 쉐보레 LR2 | 1986 |
2.1 L 터보디젤 | 2068 cc (126 CID) | I4, SOHC | 경유 | 85hp / 3,750 rpm | 132lbft / 2,750 rpm | 르노 J8S | 1986–1987 |
4.0 리터 | 3964 cc (242 CID) | I6, OHV | 가솔린 | 173hp / 4,500 rpm | 220lbft / 2,500 rpm | Renix MPI | 1987 |
177hp / 4,500 rpm | 224lbft / 2,500 rpm | Renix MPI | 1988–1990 | ||||
190hp / 4,750 rpm | 225lbft / 3,950 rpm | 크라이슬러 MPI, "고출력" | 1991–1992 |
3. 2. 변속기
이름 | 형식 | 엔진 | 연식 |
---|---|---|---|
Aisin AX-4 | 수동, 4단 | 2.5 L영어 | 1986–1992 |
Aisin AX-5 | 수동, 5단 | 2.5 L영어 | 1986–1992 |
2.8 L V6영어 | 1986 | ||
2.1 L영어 터보디젤 | 1986–1987 | ||
TorqueFlite A904 | 자동, 3단 | 2.5 L영어 | 1986 |
2.8 L V6영어 | |||
Aisin-Warner 30-40LE (AW-4) | 자동, 4단 | 2.5 L영어 | 1987–1990 |
4.0 L영어 | 1987–1992 | ||
Peugeot BA10/5 | 수동, 5단 | 4.0 L영어 | 1987–1989 (3월 9일) |
Aisin AX-15 | 수동, 5단 | 4.0 L영어 | 1989 (3월 10일) –1992 |
3. 3. 구동 방식
코만치는 2륜구동(FR) 또는 4륜구동(AWD) 방식을 선택할 수 있었으며, 전륜과 후륜 모두에 견고한 차축을 사용했다. 2륜구동 모델은 4륜구동 모델과 동일한 전면 서스펜션을 갖춘 단순한 빔 차축을 사용했다.[3] 트랜스퍼 케이스는 뉴 프로세스 기어에서 제작되었으며, 파트타임 "커맨드-트랙" 또는 풀타임 "셀렉-트랙" 시스템을 선택할 수 있었다. 1986년의 커맨드-트랙 트랜스퍼 케이스는 NP207 모델이었고 셀렉-트랙은 NP228 모델이었으며, 두 모델 모두 2.61:1의 로우 기어비를 가졌다. 1987년에는 NP207이 NP231로, NP228이 NP242로 대체되었으며, 두 모델 모두 2.72:1의 로우 기어비를 가졌다. 이들은 코만치 생산 기간 동안 동일하게 유지되었다.[3]4. 서스펜션
코만치는 XJ 체로키의 "쿼드라링크(Quadralink)" 전면 서스펜션을 사용했는데, 여기에는 코일 스프링과 상/하 컨트롤 암이 솔리드 액슬에 장착되었다. 코일 스프링은 오프로드 주행 시 더 뛰어난 승차감과 액슬 관절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고 알려져 있다. 트랙 바(패나드 로드/Panhard rod)는 액슬이 차량 중앙에 위치하도록 유지하는 데 사용된다. 이와 동일한 기본 서스펜션 시스템의 수정된 버전은 이후 지프 그랜드 체로키(1993–2004), TJ 랭글러(1997년 이후), 닷지 램(1994년 이후)에 사용되었다.
후면 서스펜션의 경우, 코만치는 체로키보다 상당히 긴 리프 스프링을 사용하여 거친 승차감을 유발하지 않으면서도 우수한 적재 능력을 제공했다. 표준 리어 액슬은 체로키와 동일한 Dana 35였지만, 코만치는 리프 스프링을 액슬 아래에 장착했고 체로키는 액슬 위에 장착했다는 차이점이 있다. 롱 베드 모델에는 헤비 듀티 미터톤(Metric Ton) 패키지가 있었는데, 이 패키지에는 더 강력한 리프 스프링과 휠, 더 큰 타이어가 포함되었고 리어 액슬을 Dana 44로 업그레이드하여 기본 탑재 하중(cargo) 용량을 약 635.03kg 에서 약 1000.17kg으로 증가시켜 다른 중형 트럭보다 훨씬 높았다. 미터톤 코만치의 탑재 하중 등급은 많은 풀사이즈 픽업트럭보다도 높았다.[3]
5. 트림
모델 연도별 트림은 다음과 같다.
연도 | 트림 | 설명 |
---|---|---|
1986년 | 커스텀(Custom) | 주문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코만치 트림이다. |
1986년 | X | 코만치의 더 기본적인 트림 중 하나이다. |
1986년 | XLS | 더 "기본적인" 코만치 트림의 "상위" 버전이다. |
1987-1992년 | 베이스(Base) (스포트럭(SporTruck)) | 1986년 이후 코만치의 가장 기본적인 트림이 되었다. |
1988년 | 올림픽 에디션(Olympic Edition) | 1988년 하계 올림픽과 미국 팀을 기념하기 위해 파이오니어 트림을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
1987-1988년 | 치프(Chief) | 기본 레벨 코만치 트림에 더 많은 표준 장비를 추가했다. |
1987-1990년 | 라레도(Laredo) | 코만치의 최고급 및 가장 "상위 레벨" 트림이었다. |
1987-1992년 | 파이오니어(Pioneer) | 기본 코만치 트림의 "상위" 버전이다. |
1988-1992년 | 엘리미네이터(Eliminator) | "스포티"한 코만치 트림이다. |
6. 단종 및 영향
1980년대 중반, AMC 회장 W. 폴 티페트 주니어(W. Paul Tippett Jr.)는 사람들이 트럭을 자동차의 합리적인 대안으로 여기고 있다고 말했다.[5] 이러한 수요를 충족시키고 일본 경쟁업체와 경쟁하기 위해 AMC와 크라이슬러는 1986년과 1987년형 소형 픽업트럭을 각각 준비하고 있었다.[5] 이 시기에 AMC의 재정 상태는 좋지 않았고, 캐나다 브램턴 조립 공장(Brampton Assembly)에서 생산될 예정인 새로운 중형 세단(이글 프리미어(Eagle Premier)) 라인을 준비하면서 현금이 필요했지만, 회사가 가진 가장 좋은 것은 인기 있는 지프 라인이었고 1985년 가을에 소형 지프 픽업 트럭을 출시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되었다.[6]
지프 코만치는 1985년 8월 중순, MGM 그랜드 호텔 앤 카지노(현재 발리스 라스베이거스(Bally's Las Vegas))의 연회장에서 AMC의 1,500명 이상의 북미 딜러들을 위해 성대하게 열린 행사에서 처음 공개되었다.[7] 아메리칸 모터스는 베이징 지프(Beijing Jeep)(현재 베이징 벤츠(Beijing Benz)) 설립 협상의 일환으로 중국 관리들을 포함시켰다. 목표는 이 합작 투자를 통해 코만치를 중국에서 생산하고 판매하는 것이었다.[7]
새로운 트럭은 르노(Renault)에서 23년의 경력을 가진 엔지니어이자 국제적인 비즈니스 임원인 호세 데데르워더(Jose Dedeurwaerder)에 의해 공개되었으며, 그는 막 AMC의 새로운 사장으로 임명되었다.[8] 2륜 구동 모델의 기본 가격은 7,049달러(인플레이션 조정 시 7049USD달러)로, 1986년형 모델 중 가장 저렴한 지프 모델이었다.[9]
6. 1. 단종 이후
지프 코만치를 단종하기로 한 결정은 낮은 판매량과 지프 브랜드를 플리머스, 닷지, 크라이슬러 모델의 크라이슬러 계열에 맞추려는 크라이슬러의 시도라는 두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였다.[16] 지프는 SUV를, 닷지는 트럭을 담당하게 되었다.판매량이 감소하면서 코만치는 단종될 예정이었다. 1990년, 전미 지프-이글 딜러 협회는 크라이슬러에게 코만치를 단종하고 닷지 다코타 픽업트럭의 버전을 판매할 수 있도록 요청했다.[17]
회사는 1992년 6월 12일, 오하이오주 톨레도 조립 라인에서 몇 천 대의 트럭이 더 생산된 후 코만치 생산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18] 총 190,446대의 코만치가 생산되었다.[19]
코만치 단종 이후, 닷지 램차저는 크라이슬러가 닷지에서 픽업트럭을, 지프에서 SUV를 판매하려는 계획의 일환으로 곧 멕시코 이외의 지역에서 단종될 예정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닷지는 나중에 초기 SUV 붐이 절정에 달했던 1998년에 닷지 듀랑고를 출시하며 SUV 분야에 재진입했고, 한때 세 대의 SUV 또는 크로스오버(듀랑고, 저니 및 니트로, 후자는 배지를 바꾼 지프 리버티 (KK))를 제공했지만, 지프는 픽업트럭을 전혀 제공하지 않았다. 닷지 자체는 2011년 램 트럭 브랜드가 닷지에서 분리되어 닷지 램과 다코타를 가져가면서 픽업트럭 제공을 중단했다.
지프는 2019년 초 랭글러를 기반으로 한 지프 글래디에이터를 출시하면서 픽업트럭 시장에 재진입했다. 지프는 실제로 글래디에이터와 가장 흔하게는 스크램블러와 함께 코만치 이름을 부활시키는 것을 고려했으며, 새로운 이름을 사용하는 것 또한 고려했지만, 글래디에이터가 해당 트럭에 가장 잘 어울린다고 판단하여 글래디에이터를 선택했다. 아메리카 원주민 (특히 코만치 부족)에 대한 아메리카 원주민에 대한 민감성과 지프가 수십 년 동안 지프 체로키와 지프 그랜드 체로키에 "체로키"를 사용했던 것에 비해 브랜드 인지도가 훨씬 낮았던 것도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20] 새로운 글래디에이터는 코만치의 27년 만의 대체 모델이 될 것이다.
생산 수치는 다음과 같다(모델 연도가 아닌 달력 연도 기준):
연도 | 수량 |
---|---|
1985 | 29,245 |
1986 | 33,386 |
1987 | 43,070 |
1988 | 43,718 |
1989 | 25,311 |
1990 | 9,576 |
1991 | 5,188 |
1992 | 952 |
7. 기타
참조
[1]
서적
Standard catalog of 4 x 4's
https://books.google[...]
Krause Publications
2011-07-04
[2]
웹사이트
The Complete Comanche History
http://www.comanchem[...]
2017-02-02
[3]
간행물
Detroit Listening Post
https://books.google[...]
2012-08-24
[4]
웹사이트
The Jeep Comanche (1986-1992)
http://www.allpar.co[...]
2017-02-02
[5]
잡지
Pickups Make a Haul
http://www.time.com/[...]
2012-08-24
[6]
잡지
Autos: Expensive, Old and Inefficient
http://www.time.com/[...]
2012-08-24
[7]
서적
Beijing Jeep: a case study of Western business in China
https://archive.org/[...]
Westview Press
2012-08-24
[8]
뉴스
BUSINESS PEOPLE; Chairman of A.M.C. To Join Textile Concern
https://www.nytimes.[...]
1985-06-27
[9]
서적
The Story of Jeep
https://books.google[...]
KP Books
2012-08-24
[10]
웹사이트
1971 AMC Jeep Cowboy—What Might Have Been
http://vintagetruckm[...]
2017-02-02
[11]
서적
The United States patents quarterly
Associated Industry Publications
[12]
뉴스
Chrysler is Buying American Motors; Cost is $1.5 billion
https://www.nytimes.[...]
2012-08-24
[13]
뉴스
New Fuel-Injected Engine Adds Power to Jeep Models
https://news.google.[...]
2012-08-24
[14]
잡지
Power to the people
https://books.google[...]
The Hearst Corporation
2019-01-05
[15]
잡지
Pickup showdown—can Detroit hold off the imports?
https://books.google[...]
Bonnier Corporation
2019-01-05
[16]
서적
Jeep Color History
https://archive.org/[...]
MBI Publishing
2012-08-24
[17]
뉴스
Baker's job is to keep Jeep 'King of the Hill'
https://news.google.[...]
2012-08-24
[18]
뉴스
Chrysler to end production of Jeep Comanche
https://query.nytime[...]
2012-08-24
[19]
웹사이트
Lost Cars of the 1980s – Jeep Comanche Pickup
http://blog.hemmings[...]
Hemmings Motor News
2013-12-25
[20]
Youtube
A Closer Look - 2018 LA Auto Show - 2020 Jeep® Gladiator
https://www.youtube.[...]
2018-12-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